KR101486014B1 -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014B1
KR101486014B1 KR20140102328A KR20140102328A KR101486014B1 KR 101486014 B1 KR101486014 B1 KR 101486014B1 KR 20140102328 A KR20140102328 A KR 20140102328A KR 20140102328 A KR20140102328 A KR 20140102328A KR 101486014 B1 KR101486014 B1 KR 101486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joint
walking
thigh
disabled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2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웅범
Original Assignee
김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웅범 filed Critical 김웅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2Knee
    • A61H2205/104Pat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6Leg for the lowe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8Leg for the upper le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소아마비 환자 등의 경우 무릎관절을 중심으로 보행시 무릎이 엉덩이 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형태의 과도한 역(逆)접힘 현상이나 다리가 상하 똑바로 접히고 펴지는 것이 아니라 좌우로 심하게 요동하면서 동작하게 되어 보행이 불편하고 보행속도가 늦으며 주위의 시선이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정상인에 가까운 보행 동작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는 대퇴(大腿)의 내외 양측에 접하도록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프레임과, 이 제1프레임을 연결하고 대퇴 후부를 감싸는 제1바디와, 이 제1바디 상측에 돌설되어 박근(薄筋, gracilis)을 감싸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서포트를 포함하는 대퇴결합체; 하퇴(下腿)의 내외와 접하도록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2프레임과, 이 제2프레임을 연결하고 비복근(
Figure 112014113429515-pat00018
腹筋, gastrocnemius)을 감싸는 제2바디를 갖는 제2서포트를 포함하는 하퇴결합체; 및 제1 및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슬개관절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ASSISTANCE APPARATUS FOR WALK}
본 발명은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개(무릎)관절체에 의하여 굽힘 동작이 가능하게 연결된 대퇴(허벅지)결합체 및 하퇴(종아리)결합체가 각각 내외측에 위치한 제1 및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서포트를 포함하며,
제1서포트는 박근(薄筋, gracilis, 대퇴 내측의 근육)을 감싸는 제1돌출부를 갖고, 제2서포트는 외측 비복근(
Figure 112014113429515-pat00007
腹筋, gastrocnemius, 종아리 근육)을 감싸는 제2돌출부를 가져
특히 소아마비 환자 등의 경우 보행시 무릎관절을 중심으로 무릎이 엉덩이 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형태의 과도한 역(逆)접힘 현상이나 다리가 상하 똑바로 접히고 펴지는 것이 아니라 좌우로 심하게 요동하면서 동작하게 되어
보행이 불편하고 보행속도가 늦으며 주위의 시선이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정상인에 가까운 보행 동작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아마비 환자 등을 위한 보행 보조장치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455208호(등록일자 2011년08월17일) [무릎 지지장치]가 있는데,
이 등록고안은 무릎관절이 약한 노인이나 환자들이 허벅지와 종아리부분에 각각 착용대를 착용함으로써 앉았다가 일어설 때 상/하부 착용대에 연결 고정되는 비틀림스프링의 텐션작용에 의해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하며 무릎관절이 약한 사용자의 앉았다가 일어서는 동작이 무리없이 진행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비틀림스프링의 텐션에 의해 무릎관절의 굽히고 펼침 동작이 지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무릎을 완전히 구부림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비틀림스프링의 양측이 외부에 노출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비틀림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무릎 지지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또 특허공개 제10-2012-0126326호(공개일자 2012년11월21일) [무릎 관절의 내외반 교정을 위한 무릎 보조기]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무릎의 내반 또는 외반을 교정하여 치료하기 위한 무릎 보조기에 [0001]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무릎 보조기가 무릎 관절의 꺾이는 방향으로의 굴적각을 조절함으로써 무릎 부상 환자나 관절염을 앓고 있는 사용자의 무릎에 미치는 통증을 완화하고 보행을 보조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다리의 양측 슬관절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휜 내반슬 또는 외반슬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환자의 교정 상태에 따라 교정 각도를 수시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무릎 보조기를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특허등록 제10-0408747호(등록일자 2003년11월26일) [시상 조정되는 무릎 보조기]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시상 조정되는 무릎 보조기, 즉 골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해 무릎 관절을 내반 또는 외반으로 교정할 수 있는 보조기 또는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릎 보조기가 환자의 무릎 관절의 위치를 교정하도록, 특히 다리가 신장되는 동안 환자의 다리에 부착된 대퇴 커프(cuff) 및 경골 커프에 교정력을 공급하는 특별한 힌지부를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특허공개 제10-2014-0044874호(공개일자 2014년04월15일) [체중-지지 관절 조인트들의 가동성 안정화, 개선 및 연골 기질 열화 조절 장치 및 방법]가 있는데,
이 공개특허는 퇴행성 관절염 및 골관절염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체중 지지 관절 조인트들의 가동성 안정화, 개선, 및 연골 기질 열화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를 제시하고 있는데,
감염된 관절 조인트의 윤활액의 품질 및/또는 가동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고, 여기서 조인트는 자연 신경 충동에 의해 회복된 경우 운동 범위를 통해 조인트의 가동성을 달성하기 위해 대항 관계를 각각 가지는 적어도 제1 근육 그룹 및 적어도 제2 근육 그룹과 관련된다. 상기 장치 및 방법은 적어도 제1 채널 및 적어도 제2 채널을 통해 다상 패턴으로 모터-레벨 전기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 전자-의료 디바이스 - 다상 패턴은 전자-의료 디바이스에 프로그래밍되고 조인트의 근전계의 시퀀스에 대응하고; 전자-의료 디바이스의 적어도 제1채널에 접속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전극들 - 적어도 2개의 제1 전극들은 적어도 제1 근육 그룹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전자-의료 디바이스의 적어도 제2 채널에 접속되는 적어도 2개의 제2 전극들 - 적어도 2개의 제2 전극들은 적어도 제2 근육 그룹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 및 적어도 2개의 제1 전극들 및 적어도 2개의 제2 전극들이 애플리케이터와 관절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도록 관절 세그먼트 위에 착용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터를 구비하고, 애플리케이터는 또한 감염된 조인트의 적어도 하나의 구획상의 압축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들 종래 기술을 비롯한 기존 보행 보조장치는 착용을 한 소아마비 환자 등의 장애우가 보행시 무릎관절을 중심으로 무릎이 엉덩이 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형태의 과도한 역(逆)접힘 현상이나 다리가 상하 똑바로 접히고 펴지는 것이 아니라 좌우로 심하게 요동하면서 동작하게 되어 보행이 불편하고 보행속도가 늦으며 주위의 시선이 집중되는 문제를 전혀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슬개(무릎)관절체에 의하여 굽힘 동작이 가능하게 연결된 대퇴(허벅지)결합체 및 하퇴(종아리)결합체가 각각 내외측에 위치한 제1 및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서포트를 포함하며,
제1서포트는 박근(薄筋, gracilis, 대퇴 내측의 근육)을 감싸는 제1돌출부를 갖고, 특히 소아마비 환자 등의 경우 무릎관절을 중심으로 보행시 무릎이 엉덩이 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형태의 과도한 역(逆)접힘 현상이나 다리가 상하 똑바로 접히고 펴지는 것이 아니라 좌우로 심하게 요동하면서 동작하게 되어 보행이 불편하고 보행속도가 늦으며 주위의 시선이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정상인에 가까운 보행 동작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제2서포트가 외측 비복근(
Figure 112014113429515-pat00008
腹筋, gastrocnemius, 종아리 근육)을 감싸는 제2돌출부를 가져 착용 후 보행시 보다 완벽하고 안정된 동작이 확보되도록 한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대퇴결합체의 제1서포트가 함몰압박부를 가져 착용상태의 안정성과 보행 동작의 보조 기능의 완벽화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2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된 족(足)결합체가 구비되어 있어 다리를 비롯한 발 전체의 근육을 사용하는 보행동작의 안정성 추가 확보와 착용감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하퇴결합체 또는 대퇴결합체, 또는 이들 모두가 조절밴드를 구비하여 맞춤제작이 되는 경우에도 착용 편리성 확보 및 착용 상태의 확실한 고정려글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는
대퇴(大腿)의 내외 양측에 접하도록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프레임과,
이 제1프레임을 연결하고 대퇴 후부를 감싸는 제1바디와, 이 제1바디 상측에 돌설되어 박근(薄筋, gracilis)을 감싸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서포트를 포함하는 대퇴결합체;
하퇴(下腿)의 내외와 접하도록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2프레임과, 이 제2프레임을 연결하고 비복근(
Figure 112014113429515-pat00009
腹筋, gastrocnemius)을 감싸는 제2바디를 갖는 제2서포트를 포함하는 하퇴결합체; 및
제1 및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슬개관절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에서
상기 제2프레임의 제2서포트의 제2바디는 외측 비복근(
Figure 112014113429515-pat00010
腹筋, gastrocnemius)을 감싸는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퇴결합체의 제1서포트는 함몰압박부를 갖고,
상기 제2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된 족(足)결합체를 더 포함하고,
하퇴결합체 또는 대퇴결합체, 또는 이들 모두는 조절밴드를 더 포함하고,
대퇴결합체의 제1조절밴드인 경우 내측 제1-1프레임에서 외측 제1-2프레임측으로 하향 경사 배열되어 있고,
하퇴결합체의 제2조절밴드인 경우 외측 제2-2프레임에서 내측 제2-1프레임측으로 하향 경사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는 슬개(무릎)관절체에 의하여 굽힘 동작이 가능하게 연결된 대퇴(허벅지)결합체 및 하퇴(종아리)결합체가 각각 내외측에 위치한 제1 및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서포트를 포함하며, 제1서포트는 박근(薄筋, gracilis, 대퇴 내측의 근육)을 감싸는 제1돌출부를 갖고, 제2서포트는 외측 비복근(
Figure 112014113429515-pat00011
腹筋, gastrocnemius, 종아리 근육)을 감싸는 제2돌출부를 가져 특히 소아마비 환자 등의 경우 무릎관절을 중심으로 보행시 무릎이 엉덩이 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형태의 과도한 역(逆)접힘 현상이나 다리가 상하 똑바로 접히고 펴지는 것이 아니라 좌우로 심하게 요동하면서 동작하게 되어 보행이 불편하고 보행속도가 늦으며 주위의 시선이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정상인에 가까운 보행 동작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은 인체 다리의 근육을 보이기 위한 참고 해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왼다리용)의 정면도 및 대응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왼다리용)의 측면도 및 대응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왼다리용)의 배면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오른다리용)의 착용 상태의 도면대용 정면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오른다리용)의 착용 상태의 도면 및 대응 후면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A)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왼다리용) 및 도 5(오른다리용)의 도면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표현된 상태 그대로,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고려하여 상하, 전후, 내외(착용자 양 다리 사이의 마주보는 면이 내측)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의 인체 해부도([A]는 인체 전면, [B]는 인체 후면), 도 2 내지 도 4의 왼다리용 보조장치, 그리고 도 5 및 도 6의 오른다리용 보조장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A)는 대퇴(大腿, 허벅지)결합체(10)와, 하퇴(下腿, 종아리)결합체(20), 그리고 이 둘을 연결하는 슬개(무릎)관절체(3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족(足)결합체(40)를 더 포함하며, 이 족결합체는 하퇴결합체(20)를 구성하는 제2프레임(21)의 하단에 발목관절체(5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 착용 후 보행시 최대한 자연스러운 동작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A)는 석고로 주문자의 본을 뜨는 방식 등을 통하여 맞춤 제작되며, 도 2 등의 사진에서는 족결합체(40)에 주문자의 발에 상응하는 석고본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대퇴결합체(10)는 대퇴(大腿)의 내외 양측에 접하도록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프레임(11), 즉 내측의 제1-1 및 외측의 제1-2 프레임(11A)(11B)을 포함하고,
이 제1프레임을 연결하고 대퇴 후부를 감싸는 제1바디(13A)와, 이 제1바디 상측에 돌설되어 박근(薄筋, gracilis, 대퇴 내측의 근육, 도 1 참조)을 감싸는 제1돌출부(13B)를 포함하는 제1서포트(13)를 포함한다.
또 상기 하퇴결합체(20)는 하퇴(下腿)의 내외와 접하도록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2프레임(21), 즉 내측의 제2-1 및 외측의 제2-2 프레임(21A)(21B)을 포함하고,
이 제2프레임을 연결하고 비복근(
Figure 112014113429515-pat00012
腹筋, gastrocnemius, 종아리 근육, 도 1 참조)을 감싸는 제2바디(23A)를 갖는 제2서포트(23)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프레임과 제1 및 제2 서포트는 인체와 접촉하는 부위에 다양한 소재의 쿠션재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및 제2 프레임은 금속, 합성수지 등의 견고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제1 및 제2 서포트는 쿠션재 내측에 금속,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된 견고한 심재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프레임(21)의 제2서포트(23)의 제2바디(23A)는 외측 비복근(
Figure 112014113429515-pat00013
腹筋, gastrocnemius)을 감싸는 제2돌출부(23B)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퇴결합체(10)의 제1서포트(13)는 함몰압박부(13a)를 가져 보행 안정성이 보다 확고하게 보장되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서포트와 제1서포트의 박근(薄筋, gracilis, 대퇴 내측의 근육)을 감싸는 제1돌출부, 그리고 더 나아가 제2서포트의 외측 비복근(
Figure 112014113429515-pat00014
腹筋, gastrocnemius, 종아리 근육)을 감싸는 제2돌출부를 통하여 추가적으로
소아마비 환자 등의 경우 무릎관절을 중심으로 보행시 무릎이 엉덩이 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형태의 과도한 역(逆)접힘 현상이나 다리가 상하 똑바로 접히고 펴지는 것이 아니라 좌우로 심하게 요동하면서 동작하게 되어
보행이 불편하고 보행속도가 늦으며 주위의 시선이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정상인에 가까운 보행 동작이 보장될 수 있다.
한편, 발싸개(41)와 벨크로테이프 등 크기 조절 및 결속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밴드(43)를 갖는 족(足)결합체(40)와 상기 제2프레임(21)의 하단을 연결하는 발목관절체(5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프레임(21)의 하단과 발목관절체(50)를 통하여 연결되는 족결합체(40)는 도면부호로 지시하지는 않았으나 역시 심재 역할을 하는 금속(필요에 따라 합성수지 사용 가능) 제3프레임을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도 3 및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퇴(大腿, 허벅지)결합체(10)와 하퇴(下腿, 종아리)결합체(20)를 연결하는 슬개(무릎)관절체(30)는 착용 상태에서 무릎관절이 역으로 꺾이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1)이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리벳 체결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슬개관절체(30)가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1)의 중첩 부위에 꼭맞음 형태의 두텁살을 형성하여
슬개관절체 자체가 일정 수준 이상 넘어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31)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스토퍼의 구조는 다양한 구조 및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대퇴결합체(10) 또는 하퇴결합체(20), 또는 이들 모두는 조절밴드, 즉 제1 및 제2 조절밴드(15)(25)를 각각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대퇴결합체의 제1조절밴드(15)는 내측 제1-1프레임(11A)에서 외측 제1-2프레임(11B) 측으로 하향 경사 배열되어 있고,
하퇴결합체의 제2조절밴드(25)인 경우 외측 제2-2프레임(21B)에서 내측 제2-1프레임(21A) 측으로 하향 경사 배열되며,
각 조절밴드는 길이 조절 및 조절 후 결속이 가능하도록 벨크로테이프나 허리 벨트 타입의 조절 및 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맞춤 제작된 보행 보조장치(A)를 쉽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 상태 및 동작시 보조장치가 인체와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시간에 따라 약간씩 변화하는 인체 치수에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제1 및 제2 조절밴드의 특정 하향 경사 배열 구조는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박근(薄筋, gracilis, 대퇴 내측의 근육)을 감싸는 제1돌출부(13B) 및 외측 비복근(
Figure 112014113429515-pat00015
腹筋, gastrocnemius, 종아리 근육)을 감싸는 제2돌출부(23B)가 보다 확실하게 해당 근육을 가압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 각 조절밴드는 필요에 따라 교차하는 알파벳 'X'자형 또는 한글자음 'ㅅ' 형태 등의 결박 구조를 가져 착용 및 동작 상태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장애우 각각의 환부 및 장애 정도, 이에 따른 보행 보조장치의 미세한 조절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보행 보조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보행 보조장치 10: 대퇴결합체
20: 하퇴결합체 30: 슬개관절체
40: 족결합체 50: 발목관절체
11,11A,11B,21,21A,21B:프레임 13,23: 서포트
13A,23A: 바디 13B,23B: 돌출부
15,25: 조절밴드

Claims (4)

  1. 대퇴(大腿)의 내외 양측에 접하도록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프레임과,
    이 제1프레임을 연결하고 대퇴 후부를 감싸는 제1바디와, 이 제1바디 상측에 돌설되어 박근(薄筋, gracilis)을 감싸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서포트를 포함하는 대퇴결합체;
    하퇴(下腿)의 내외와 접하도록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2프레임과, 이 제2프레임을 연결하고 비복근(
    Figure 112014113429515-pat00016
    腹筋, gastrocnemius)을 감싸는 제2바디를 갖는 제2서포트를 포함하는 하퇴결합체; 및
    제1 및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슬개관절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대퇴결합체의 제1서포트는 함몰압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의 제2서포트의 제2바디는 외측 비복근(
    Figure 112014113429515-pat00017
    腹筋, gastrocnemius)을 감싸는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퇴결합체 또는 대퇴결합체, 또는 이들 모두는 조절밴드를 더 포함하고,
    대퇴결합체의 제1조절밴드인 경우 내측 제1-1프레임에서 외측 제1-2프레임측으로 하향 경사 배열되어 있고,
    하퇴결합체의 제2조절밴드인 경우 외측 제2-2프레임에서 내측 제2-1프레임측으로 하향 경사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의 하단에 발목관절체(50)를 통하여 연결된 족(足)결합체를 더 포함하고,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1)이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리벳 체결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슬개관절체(30)는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1)의 중첩 부위에 꼭맞음 형태의 두텁살을 형성하여 구성된 스토퍼(3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
KR20140102328A 2014-07-31 2014-08-08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 KR101486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470 2014-07-31
KR20140098470 2014-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014B1 true KR101486014B1 (ko) 2015-01-27

Family

ID=5259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2328A KR101486014B1 (ko) 2014-07-31 2014-08-08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0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2440B2 (en) 2015-08-17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tion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211A (ko) * 1998-09-25 2001-08-29 추후 시상 조정되는 무릎 보조기
JP2004261622A (ja) * 2004-06-30 2004-09-24 Akira Shimizu 自立歩行支援機
KR20100090619A (ko) * 2009-02-02 2010-08-16 조경일 발목보호대와 탈,부착 가능한 무릎보호대
KR20130083299A (ko) * 2012-01-12 2013-07-22 박인식 다리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211A (ko) * 1998-09-25 2001-08-29 추후 시상 조정되는 무릎 보조기
JP2004261622A (ja) * 2004-06-30 2004-09-24 Akira Shimizu 自立歩行支援機
KR20100090619A (ko) * 2009-02-02 2010-08-16 조경일 발목보호대와 탈,부착 가능한 무릎보호대
KR20130083299A (ko) * 2012-01-12 2013-07-22 박인식 다리 교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2440B2 (en) 2015-08-17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tion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4954B2 (en) Posture improving garment
US6945945B2 (en) Flaccid upper extremity positioning apparatus
US10898403B2 (en) Device and methods for movement assistance
JP4131873B2 (ja) 身体補装具
KR100780416B1 (ko) 착용이 간편한 무릎관절 보조기구
CA2951238A1 (en) Triple flexion device
US10548802B2 (en) Mechanical lower limb assistive device
KR20140091257A (ko) 편마비 환자용 상체 지지장치
KR101815274B1 (ko) 무릎보조기
KR101486014B1 (ko)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
KR20190051232A (ko) 슬개골 안정화용 무릎보호대
US8147439B2 (en) Ankle-foot orthosis
KR101566986B1 (ko) 전방쏠림 방지형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
JP2018079132A (ja) 下肢動作支援装具
KR101882877B1 (ko)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
KR102014538B1 (ko)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CN104970908A (zh) 一种膝关节助伸矫形器
CN101357090B (zh) 膝关节防过伸康复矫正器
JP2014181426A (ja) 股付き衣類
JP5962617B2 (ja) 前面支柱式長下肢装具
JP2005279153A (ja) 歩行矯正器
JP2005168532A (ja) 膝関節サポーター
JP2007186803A (ja) サポータ
KR101921718B1 (ko) 발목 보조기
CN208770091U (zh) X腿及内八字矫正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