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015B1 - 초미립자 방제기 - Google Patents

초미립자 방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015B1
KR101485015B1 KR20130039768A KR20130039768A KR101485015B1 KR 101485015 B1 KR101485015 B1 KR 101485015B1 KR 20130039768 A KR20130039768 A KR 20130039768A KR 20130039768 A KR20130039768 A KR 20130039768A KR 101485015 B1 KR101485015 B1 KR 101485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scharge pipe
blower
housing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9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3619A (ko
Inventor
최승훈
봉민
김형곤
심상철
Original Assignee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봉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봉민 filed Critical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39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015B1/ko
Publication of KR20140123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4Field atomisers, e.g. orchard atomisers,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미립자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서, 분무부를 통해 외부공기와 함께 분무대상물을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미립화하여 분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수입품을 대체할 수 있고, 나아가 분무부의 하측에 위치한 안내관에 꼬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로터리 조인트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초미립자 방제기{ULTRA LOW VOLUME SPRAYER}
본 발명은 분무부를 통해 외부공기와 함께 분무대상물을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미립화하여 분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수입품을 대체할 수 있고, 나아가 분무부의 하측에 위치한 안내관에 꼬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로터리 조인트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초미립자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농약 살포는 인력난과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 농산물 중금속 오염 등의 농약 중독, 토양 오염문제 등 사회적으로 심각하게 문제가 거론되고 있어, 농약의 적절한 살포가 요구되고 있다.
농약의 적절한 살포는 살포 방법 및 미립화 성능에 크게 좌우되며, 현재 미립화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동력분무기, 인력분무기, 연막분무기 등 다양한 살포장치로 농약을 분무하고 있다.
이 중 동력분무기는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187634호(소형 초미립화 분무장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엔진 및 모터 등에 장착되어 농약을 살포하는 장치로 분무 압력은 크나 입경분포가 좋지 않으며, 부가 장치가 많이 필요하고, 장비 구축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특히, 엔진을 이용한 동력분무기는 무겁고 소음이 커 작업 자유도 향상으로 작업성 좋지 못하며, 일본 및 독일 등의 제품을 수입하여 판매되고 있는 실정으로 기술력 확보를 통한 국산화가 시급하다.
연막소독은 약품에 경유나 등유를 혼합, 기계적인 방법으로 연소시켜 연기를 내뿜는 방법으로 해충구제 효율이 떨어지고, 대기오염 유발과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있다.
한편, 농촌의 경우 대량의 청년 노동력이 도시로 유출되어 농촌인구의 노령화나 과소현상이 급증됨에 따라 손쉽고 많은 힘이 소요되지 않으며 작업성이 향상된 농약분무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18763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분무부를 통해 외부공기와 함께 분무대상물을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미립화하여 분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수입품을 대체할 수 있고, 나아가 분무부의 하측에 위치한 안내관에 꼬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로터리 조인트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초미립자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분무시키고자 하는 분무대상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된 분무대상물을 토출하는 토출관이 구비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토출관이 내부로 인입되는 안내관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관 내부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블로워와; 상기 블로워의 안내관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상기 펌프의 토출관이 토출하는 분무대상물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미립화하여 분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는 분무부와; 상기 블로워의 안내관의 상측과 상기 분무부의 하측 사이에 구비되는 로터리 조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립자 방제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분무부는 하측이 상기 로터리 조인트에 의해 상기 블로워의 안내관과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측 외부방향으로 노출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연결관의 상부 일측과 상기 연결관의 상부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 분무부 및 타측 분무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분무부가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펌프의 토출관은 상기 블로워의 안내관 내부로 인입되는 하측토출관과; 상기 하측토출관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측토출관의 상부 내부에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분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측토출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토출관의 하부 외주면에 상기 하측토출관의 상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누수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분무부를 좌우회전시키는 좌우회전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지하다.
여기서, 상기 좌우회전부는 상기 분무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와 치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블로워의 안내관에 상기 분무부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블로워의 안내관으로부터 상기 분무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관에 분무건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펌프의 토출관은 상기 블로워의 안내관 내부로 인입되는 하측토출관과; 상기 하측토출관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측토출관의 상부 내부에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분무건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측토출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토출관의 하부 외주면에 상기 하측토출관의 상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누수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분무부를 통해 외부공기와 함께 분무대상물을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미립화하여 분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수입품을 대체할 수 있고, 나아가 분무부의 하측에 위치한 안내관에 꼬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로터리 조인트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초미립자 방제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일부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분무부의 상하각도가 각각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분무부가 각각 좌우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좌우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좌우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12는 블로워의 안내관에 분무건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블로워의 안내관에서 분무건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4는 블로워의 안내관에 분무건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초미립자 방제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초미립자 방제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 저장탱크(20), 펌프(30), 블로워(40), 분무부(50) 및 로터리 조인트(도 10의 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상부사각틀(110), 하부사각틀(120), 연결대(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사각틀(110)의 하부면 각 모서리와 상기 하부사각틀(120)의 상부면 각 모서리 사이에 상기 연결대(130)가 각각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사각틀(110)의 상부와 상기 하부사각틀(120)의 하부, 상기 상부사각틀(110)의 전측과 상기 하부사각틀(120)의 전측 사이,상기 상부사각틀(110)의 일측과 상기 하부사각틀(120)의 일측 사이 및 상기 상부사각틀(110)의 타측과 상기 하부사각틀(120)의 타측 사이에 각각 고정판(150)이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저장탱크(2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후측에 수납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20)의 내부에는 액상의 물, 농약 등의 분무시키고자 하는 분무대상물이 일정높이로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펌프(3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펌프(30)의 후측에는 상기 저장탱크(20)와 연통된 상태로 연결되는 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흡입관(310)이 수밀하게 연결고정되고,
상기 펌프(30)의 전측에는 상기 흡입관(310)을 통해 흡입된 분무대상물을 토출하는 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토출관(320)이 수밀하게 연결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블로워(40)는 상기 펌프(3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블로워(40)로서, 링블로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링블로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블로워(40)의 하부 일측에 기밀하게 연결된 안내관(410)의 내부로 상기 펌프(30)의 토출관(320)이 인입된다.
링블로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블로워(40)의 하부 타측에는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관(420)이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링블로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블로워(40) 주변의 외부공기는 상기 블로워(40)의 유입관(420)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안내관(410) 내부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무부(5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상기 펌프(30)의 토출관(320)이 토출하는 분무대상물을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미립화하여 분무하게 된다.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일부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로터리 조인트(도 10의 60)는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의 상측과 상기 분무부(50)의 연결관(510)의 후술할 하측연결관(511)의 하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관(410)과 상기 하측연결관(511)을 연결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무부(5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연결관(510), 일측 분무부(520) 및 타측 분무부(5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510)은 하측연결관(511)과 상측분기연결관(5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연결관(511)의 하측은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과 연통되도록 상기 로터리 조인트(60)에 의해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의 상측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측연결관(511)의 상측은 상기 하우징(10)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상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상측분기연결관(512)은 'T', 'Y'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분기연결관(512)의 하부는 상기 하측연결관(511)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측연결관(511)의 상측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분기연결관(512)의 하부를 상기 하측연결관(511)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5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540)는 고정턱(541)과 캡부재(5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턱(541)은 상기 상측분기연결관(512)의 하측 외주면에서 상기 상측분기연결관(512)의 외측방향으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턱(541)은 상기 상측분기연결관(512)의 하측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거나 환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542)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캡부재(542)의 내측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고정턱(541)의 상부면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환형의 안착판(543)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542)의 하측 내주면은 상기 하측연결관(511)의 상측 외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분무부(520)와 상기 타측 분무부(530)는 상기 연결관(510)의 상측분기연결관(512)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연결관(510)의 상측분기연결관(512)의 일측과 상기 연결관(510)의 상측분기연결관(512)의 타측에 각각 서로 대칭된 상태로 연결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분무부(520)와 상기 타측 분무부(530)는 핸들부(501), 헤드부(502), 샤프트관(503), 베인(504) 및 회전컵(50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분무부(520)의 핸들부(501)의 타측 내부에 상기 상측분기연결관(512)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분무부(520)의 핸들부(501)의 타측 내주면에는 상기 상측분기연결관(512)의 일측 외주면에 밀착되는 환형의 일측 오링(506)이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분무부(530)의 핸들부(501)의 일측 내부에 상기 상측분기연결관(512)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501)의 내부에 공기통로(50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분무부(530)의 핸들부(501)의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상측분기연결관(512)의 타측 외주면에 밀착되는 환형의 타측 오링(507)이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502)는 상기 일측 분무부(520)의 핸들부(501) 및 상기 타측 분무부(530)의 핸들부(501)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핸들부(501)의 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502)는 상기 일측 분무부(520)의 핸들부(501)의 일측 및 상기 타측 분무부(530)의 핸들부(501)의 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관(503)은 상기 헤드부(502)의 내부 중심에 수평으로 회전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관(503)의 내부관로에는 상기 토출관(320)을 통해 분무대상물이 공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샤프트관(503)내에 일정깊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헤드부(502)의 내부 공간내에 고정되는 공급튜브(503a)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튜브(503a)는 상기 토출관(320)과 연결된다.
상기 베인(504)은 상기 샤프트관(503)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컵(505)은 상기 샤프트관(503)의 전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인(504)은 상기 헤드부(502)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되어 상기 헤드부(502)의 분무구(502a)로 배출되는 고압의 외부공기에 의해 정역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샤프트관(503) 및 상기 회전컵(505)은 상기 베인(504)과 함께 정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헤드부(502)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고압의 외부공기는 상기 베인(504)을 거쳐 상기 회전컵(505)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분무구(502a)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관(503)내로 공급되는 분무대상물((도 3 내지 도 5의 점선화살표 참조.)은 회전하는 상기 회전컵(505)내로 공급되며, 상기 회전컵(505)내로 공급된 분무대상물은 회전하는 상기 회전컵(505)의 내주면에서 미립화와 동시에 상기 분무구(502a) 방향으로 이동되고, 미립화된 분무대상물은 상기 회전컵(505)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분무구(502a)로 배출되는 고압의 외부공기에 의해 분무된다.
도 6 및 도 7은 분무부(50)의 상하각도가 각각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전측 상부방향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인 상기 분무부(50)의 헤드부(502)의 전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분무부(50)의 핸들부(501)를 제자리에서 정역회전시킬 시 상기 헤드부(502)의 전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고, 이로서 상기 헤드부(502)의 분무구(502a)를 통해 고압의 외부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분무대상물의 분무상하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후측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격벽(70)이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70)을 기준으로 상기 격벽(70)의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 및 상기 격벽(70)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 중 상기 격벽(70)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상기 저장탱크(2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펌프(30)의 흡입관(310)은 상기 격벽(70)을 관통하여 상기 저장탱크(20)와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도어(80)는 일측개폐도어(810) 및 후측개폐도어(820)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상부사각틀(110)의 일측과 상기 하부사각틀(120)의 일측 사이에 구비된 상기 고정판(150)의 전측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통구(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160)의 내측에는 상기 펌프(30)와 후술할 좌우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200)에는 ON/OFF스위치가 누름식 다이얼 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상기 ON/OFF스위치를 ON상태, OFF상태로 각각 조작함에 따라 상기 펌프(30)가 작동 및 작동정지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개폐도어(810)의 후측은 상기 관통구(160)의 후측 내주면에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일측개폐도어(810)의 전측이 상기 관통구(160)의 전측 내주면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관통구(160)의 내부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일측개폐도어(810)가 상기 관통구(160)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측개폐도어(820)의 타측은 상기 하우징(10)의 타측 후면에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후측개폐도어(820)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후면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하우징(10)의 후측 내부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는 상기 후측개폐도어(820)의 일측을 상기 하우징(10)의 타측 후면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하우징(10)의 후측 내부를 개방시킨 후 상기 격벽(70)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저장탱크(20)를 꺼내에 상기 저장탱크(20)의 내부로 액상의 물, 농약 등의 분무시키고자 하는 분무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저장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내부로 유입된 고압의 외부공기는 상기 안내관(410)의 내부에서 상기 분무부(50)의 헤드부(502)의 내부로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상기 헤드부(502)의 분무구(502a)를 통해 상기 헤드부(50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도 3 내지 도 5의 실선화살표 참조.)
그리고, 상기 펌프(30)의 토출관(320)은 일예로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측토출관(321)과 상측토출관(3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토출관(321)은 상기 펌프(30)의 토출구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블로워(40)의 내부로 인입됨과 더불어 상기 분무부(50)의 연결관(510)의 하측연결관(511)의 내부로 일정길이로 더 인입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토출관(321)의 상측 외주면과 상기 분무부(50)의 연결관(510)의 하측연결관(511)의 상측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하측토출관(321)의 상측을 상기 하측연결관(511)의 상부 내측에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격벽(300)이 방사형으로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토출관(322)은 제 1상측토출관(322a)와 제 2상측토출관(32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상측토출관(322a)이 상기 하측토출관(321)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 1상측토출관(322a)의 하부는 상기 하측토출관(3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분무부(50)의 상측분기연결관(512)의 내부 하측 중심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상측토출관(322a)이 상기 분무부(50)의 상측분기연결관(512)의 내부 하측 중심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상측토출관(322a)의 하측 외주면과 상기 상측분기연결관(512)의 내부 하측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고정격벽(300)이 방사형으로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상측토출관(322b)은 상기 상측분기연결관(512)의 내부 상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502)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상기 헤드부(502)의 내부방향으로 일측과 타측이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상측토출관(322b)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공급튜브(503a)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측토출관(322)의 제 1상측토출관(322a)의 하부 외주면에는 상기 하측토출관(321)의 상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환형의 오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누수방지부재(323)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분무부(50)가 각각 좌우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 좌우회전부(9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좌우회전부(9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무부(50)를 좌우회전시키는 좌우회전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전측 상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고정대(17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회전부(90)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동기어(910), 구동기어(920) 및 구동부재(9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무부(50)의 연결관(510)의 하측연결관(511)이 상기 피동기어(910)의 중심부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하측연결관(511)의 하부에 상기 피동기어(91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920)의 외경크기는 상기 피동기어(910)의 외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920)는 상기 피동기어(910)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피동기어(910)의 타측과 치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930)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구동기어(9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대(170)의 전측면의 반대측인 상기 고정대(170)의 후측면 타측에 수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930)를 이루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은 상기 구동기어(920)의 중심부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구동기어(9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좌우회전부(90)의 구동부재(930)의 구동축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버튼이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어버튼은 제 1, 2, 3제어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제 1, 2, 3제어버튼 중 상기 제 1제어버튼을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930)의 구동축은 정방향으로 일정횟수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분무부(5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자리에서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작업자가 상기 제 1, 2, 3제어버튼 중 상기 제 2제어버튼을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930)의 구동축은 역방향으로 일정횟수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분무부(5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자리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작업자가 상기 제 1, 2, 3제어버튼 중 상기 제 3제어버튼을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930)의 구동축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각각 교대로 일정횟수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분무부(50)가 제자리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방향 및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도 12는 블로워(40)의 안내관(410)에 분무건(100)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블로워(40)의 안내관(410)에서 분무건(100)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4는 블로워(40)의 안내관(410)에 분무건(100)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의 상측에는 상기 로터리 조인트(60)에 의해 상기 분무부(50)의 하측연결관(511)의 하측이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의 상측에 하측이 연결고정된 상기 분무부(50)의 하측연결관(511)으로부터 상기 분무부(50)의 상측분기연결관(512)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관(410)의 상측에 하측이 연결고정된 상기 분무부(50)의 하측연결관(511)의 상부에는 1개의 분무건(100)이 연결될 수 있다.
1개의 상기 분무건(100)은 상기 분무부(50)의 일측 분무부(520) 및 타측 분무부(530)와 동일하게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핸들부(501), 상기 헤드부(502), 상기 샤프트관(503), 상기 베인(504) 및 상기 회전컵(50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 상기 핸들부(501)의 하부에는 상기 분무부(50)의 하측연결관(511)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무부(50)의 하측연결관(511)의 상부에 결합되는 공급호스(4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호스(400)의 하부에는 상기 공급호스(400)의 하부를 상기 분무부(50)의 하측연결관(511)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상기 결합부재(5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540)의 고정턱(541)은 상기 공급호스(400)의 하측 외주면에서 상기 공급호스(400)의 외측방향으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턱(541)은 상기 공급호스(400)의 하측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거나 환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540)의 캡부재(542)의 환형의 안착판(543)은 상기 고정턱(541)의 상부면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캡부재(542)의 하측 내주면은 상기 분무부(50)의 하측연결관(511)의 상측 외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펌프(30)의 토출관(320)은 다른예로서,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토출관(321)과, 상측토출관(3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토출관(322)은 1개의 상기 분무건(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토출관(322)이 상기 하측토출관(321)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측토출관(321)의 상부 내부에 상기 상측토출관(322)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토출관(321)의 상측 외주면과 상기 분무부(50)의 연결관(510)의 하측연결관(511)의 상측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하측토출관(321)의 상측을 상기 하측연결관(511)의 상부 내측에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고정격벽(300)이 방사형으로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토출관(322)의 하측 외주면과 상기 공급호스(400)의 하측 내주면 사이에도 상기 고정격벽(300)이 방사형으로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측토출관(322)의 하부 외주면에는 상기 하측토출관(321)의 상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환형의 오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누수방지부재(323)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분무부(50)를 통해 외부공기와 함께 분무대상물을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미립화하여 분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수입품을 대체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분무부(50)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안내관(410)에 꼬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상기 로터리 조인트(60)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하우징, 20; 저장탱크,
30; 펌프, 40; 블로워,
50; 분무부, 60; 로터리 조인트.

Claims (9)

  1.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분무시키고자 하는 분무대상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20)와;
    상기 저장탱크(20)와 연결되는 흡입관(310)과, 상기 흡입관(310)을 통해 흡입된 분무대상물을 토출하는 토출관(320)이 구비되는 펌프(30)와;
    상기 펌프(30)의 토출관(320)이 내부로 인입되는 안내관(410)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관(410)내부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블로워(40)와;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상기 펌프(30)의 토출관(320)이 토출하는 분무대상물을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미립화하여 분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분무부(50)와;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의 상측과 상기 분무부(50)의 하측 사이에 구비되는 로터리 조인트(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분무부(50)는 하측이 상기 로터리 조인트(60)에 의해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과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상측 외부방향으로 노출되는 연결관(510)과;
    상기 연결관(51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연결관(510)의 상부 일측과 상기 연결관(510)의 상부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 분무부(520) 및 타측 분무부(5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립자 방제기.
  2.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분무시키고자 하는 분무대상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20)와;
    상기 저장탱크(20)와 연결되는 흡입관(310)과, 상기 흡입관(310)을 통해 흡입된 분무대상물을 토출하는 토출관(320)이 구비되는 펌프(30)와;
    상기 펌프(30)의 토출관(320)이 내부로 인입되는 안내관(410)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관(410)내부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블로워(40)와;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상기 펌프(30)의 토출관(320)이 토출하는 분무대상물을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미립화하여 분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분무부(50)와;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의 상측과 상기 분무부(50)의 하측 사이에 구비되는 로터리 조인트(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펌프(30)의 토출관(320)은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 내부로 인입되는 하측토출관(321)과;
    상기 하측토출관(321)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측토출관(321)의 상부 내부에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분무부(5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측토출관(3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토출관(322)의 하부 외주면에 상기 하측토출관(321)의 상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누수방지부재(3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립자 방제기.
  3.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분무시키고자 하는 분무대상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20)와;
    상기 저장탱크(20)와 연결되는 흡입관(310)과, 상기 흡입관(310)을 통해 흡입된 분무대상물을 토출하는 토출관(320)이 구비되는 펌프(30)와;
    상기 펌프(30)의 토출관(320)이 내부로 인입되는 안내관(410)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관(410)내부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블로워(40)와;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상기 펌프(30)의 토출관(320)이 토출하는 분무대상물을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미립화하여 분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분무부(50)와;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의 상측과 상기 분무부(50)의 하측 사이에 구비되는 로터리 조인트(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에 상기 분무부(5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으로부터 상기 분무부(5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관(410)에 분무건(100)이 연결되며,
    상기 펌프(30)의 토출관(320)은 상기 블로워(40)의 안내관(410) 내부로 인입되는 하측토출관(321)과;
    상기 하측토출관(321)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측토출관(321)의 상부 내부에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분무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측토출관(3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토출관(322)의 하부 외주면에 상기 하측토출관(321)의 상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누수방지부재(3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립자 방제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상기 분무부(50)가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립자 방제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7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립자 방제기.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부(50)를 좌우회전시키는 좌우회전부(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립자 방제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회전부(90)는 상기 분무부(50)의 하측에 결합되는 피동기어(910)와;
    상기 피동기어(910)와 치합되는 구동기어(920)와;
    상기 구동기어(920)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9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9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립자 방제기.
  8. 삭제
  9. 삭제
KR20130039768A 2013-04-11 2013-04-11 초미립자 방제기 KR101485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768A KR101485015B1 (ko) 2013-04-11 2013-04-11 초미립자 방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768A KR101485015B1 (ko) 2013-04-11 2013-04-11 초미립자 방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619A KR20140123619A (ko) 2014-10-23
KR101485015B1 true KR101485015B1 (ko) 2015-01-29

Family

ID=5199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9768A KR101485015B1 (ko) 2013-04-11 2013-04-11 초미립자 방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01029A1 (it) * 2018-01-16 2019-07-16 O C L L S R L Atomizzatore
CN109430210A (zh) * 2018-10-31 2019-03-08 陈燕 一种行进式喷药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0537A (ja) 2004-07-06 2006-01-26 Matsumoto Kiko Kk 茶園用薬剤散布機
KR200409877Y1 (ko) * 2005-12-15 2006-03-03 워터테크 코리아 주식회사 살포 범위가 조절되는 이동용 살포 장치
KR200436979Y1 (ko) * 2006-12-22 2007-10-22 배현식 방역장치의 분무관
KR101223901B1 (ko) 2011-01-20 2013-01-21 (주) 대 홍 농약살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0537A (ja) 2004-07-06 2006-01-26 Matsumoto Kiko Kk 茶園用薬剤散布機
KR200409877Y1 (ko) * 2005-12-15 2006-03-03 워터테크 코리아 주식회사 살포 범위가 조절되는 이동용 살포 장치
KR200436979Y1 (ko) * 2006-12-22 2007-10-22 배현식 방역장치의 분무관
KR101223901B1 (ko) 2011-01-20 2013-01-21 (주) 대 홍 농약살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619A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354262U (zh) 一种园林建设用全方位农药喷洒装置
KR101187634B1 (ko) 소형 초미립화 분무장치
KR102198073B1 (ko) 소독제 분사용 건
KR101778971B1 (ko) 휴대용 전동식 연무기
KR101300675B1 (ko) 액상 약제 살포용 분무장치의 분사관
KR101485015B1 (ko) 초미립자 방제기
CN111346750A (zh) 液体喷雾器
KR101462622B1 (ko) 안개식 약제 살포장치
KR101966027B1 (ko) 원격지로부터 액제의 충전, 공급 및 반환이 가능한 농약분무용 휴대장치
CN211247020U (zh) 喷雾器
CN206596557U (zh) 一种便于混合农药的农业电动喷药装置
CN101439195B (zh) 便携式泡沫消毒机
KR20110009062U (ko) 농약 교반기
CN112191415A (zh) 一种喷嘴可调式液体喷洒器
KR101869295B1 (ko) 전동식 분무기
KR102318985B1 (ko) 진공청소기를 활용하는 휴대용 방역기
EP3007828B1 (en) A multifunctional spray machine for cold macro- and micro-spray
KR101835698B1 (ko)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약액분사장치
CN218635134U (zh) 一种用于林业混合超声雾化除草剂喷雾器
CN2447059Y (zh) 一种喷枪嘴
CN205431718U (zh) 一种新型电动打药机
RU170229U1 (ru) Опрыскиватель
WO2021078094A1 (zh) 喷雾器
CN201329048Y (zh) 便携式泡沫消毒机
CN209303006U (zh) 一种喷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