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577B1 -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 Google Patents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577B1
KR101483577B1 KR1020140156936A KR20140156936A KR101483577B1 KR 101483577 B1 KR101483577 B1 KR 101483577B1 KR 1020140156936 A KR1020140156936 A KR 1020140156936A KR 20140156936 A KR20140156936 A KR 20140156936A KR 101483577 B1 KR101483577 B1 KR 101483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temporary storage
storage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거
Original Assignee
윤인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거 filed Critical 윤인거
Priority to KR1020140156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급수탱크(30)나 급탕기(40)의 물을 이용하여 냉난방을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물수요부(34)나 급탕수요부(44)에서 물이 사용되지 않을 때, 임시저장탱크(14)에 저장된 물을 활용하여 보다 오랜동안 효율적으로 냉난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임시저장탱크(14)에서 나와 열교환부(20)를 통과한 물을 물수요부(34)나 급탕수요부(44)에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귀환관(27)을 통해 상기 임시저장탱크(14)로 귀환시키고 임시저장탱크(14)의 물이 계속해서 열교환부(20)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임시저장탱크(14)에 있는 물의 에너지를 충분히 활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탱크(30)나 급탕기(40)에서 전달된 물을 임시저장탱크(14)를 활용하여 충분히 활용하므로 급수나 급탕을 활용한 냉난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Radiator using a water}
본 발명은 급수나 급탕을 사용한 천정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에서 사용되는 급수를 사용하여 난방과 냉방을 수행하는 급수나 급탕을 사용한 천정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업무를 수행하거나 주거하는 공간이 외부의 환경에 상관없이 쾌적한 환경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여름에는 냉방을 하고 겨울에는 난방을 하게 된다. 냉방시에는 해당 공간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고, 난방시에는 해당 공간 내부로 열을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를 건물에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동작을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 다양한 열원을 활용하여 원하는 공간의 공기조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아래에 선행문헌으로 제시된 선행기술에서는 건물에서 사용되는 온수와 냉수를 활용하여 공기조화를 위한 에너지를 공급받고 있다. 즉, 건물에서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온수와 냉수를 공급원으로부터 사용자에게 열교환장치를 거쳐서 전달되도록 하여 최소한의 에너지 사용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내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온수와 냉수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는 온수와 냉수가 열교환장치를 통과하지 않아 그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9045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건물에서 급수나 급탕을 사용자들이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공기와의 열교환을 위한 급수나 급탕이 열교환부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건물에서 사용되는 급수나 급탕이 임시저장되는 임시저장탱크와, 상기 임시저장탱크에서 나온 물과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한 물을 물수요부나 급탕수요부로 전달하는 연결관과, 상기 열교환부에서 상기 연결관으로 물이 흘러가지 않을 때 상기 임시저장탱크로 물을 귀환시키는 귀환관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와 임시저장탱크의 외면에는 단열재가 더 설치된다.
상기 임시저장탱크에는 상기 급수나 급탕이 공급되는 입수관이 중력방향 상부에 연결되어 볼탑에 의해 개폐되어 수위를 제어하고, 중력방향 하부에는 임시저장탱크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이 연결되어 상기 임시저장탱크의 중력방향 하부에 설치된 상기 열교환부로 물을 전달한다.
상기 귀환관은 상기 연결관, 상기 열교환부의 열교환관, 상기 배출관보다 내경이 작게 형성되어 사이펀의 원리를 사용하여 물을 임시저장탱크로 전달한다.
상기 귀환관을 통해 임시저장탱크로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별도의 펌프를 사용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는 공기조화장치나 공기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댐퍼를 통해 공급된다.
급수탱크에서 공급되는 급수는 상기 임시저장탱크로는 급수탱크에서 물수요부로 물이 전달되는 급수관에서 분지된 급수분지관을 통해 물이 전달되고 상기 임시저장탱크에서 급수관으로는 급수전달관을 통해 물이 전달되며, 급탕기에서 공급되는 급탕은 상기 임시저장탱크로는 급탕기에서 급탕수요부로 물이 전달되는 급탕관에서 분지된 급탕분지관을 통해 물이 전달되고 상기 임시저장탱크에서 급탕관으로는 급탕전달관을 통해 물이 전달되며 상기 급수탱크와 급탕기의 물은 선택적으로 상기 임시저장탱크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급수나 급탕을 사용한 천정냉난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급수원에서 전달된 물을 임시로 저장하는 수조를 두고 수조의 물이 열교환부를 통과해서 다시 수조로 계속적으로 유동하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사용자가 급수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수조에서 열교환부를 거쳐 다시 수조로 급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실내공간의 공기가 급수와의 열교환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급수나 급탕을 사용한 열교환을 통해 원하는 공간의 공기조화를 별도의 에너지 공급없이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냉난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중요부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열교환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배출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천정냉난방장치와 연결된 배관구성을 보인 배관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천정냉난방장치에는 케이스(10)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0)는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하지만, 상기 케이스(10)가 반드시 육면체 형상일 필요는 없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0')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0')에는 공기조화장치(도시되지 않음)에서 전달된 공기나 별도의 공기공급장치에서 전달된 공기가 유동되고, 아래에 설명될 임시저장탱크(14)와 열교환부(20) 등이 위치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외면이나 내면에는 외부와의 열교환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열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에는 임시저장탱크(14)가 설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에 임시저장탱크(14)의 하단 일부가 삽입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임시저장탱크(14) 전체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 내에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케이스(10)가 상기 임시저장탱크(14) 전체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임시저장탱크(14)에는 급수 또는 급탕이 저장된다.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노출된 외부에 단열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상단에는 입수관(15)이 연결된다. 상기 입수관(15)으로는 아래에서 설명될 급수분지관(36)이나 급탕분지관(46)을 통해서 급수나 급탕이 전달된다.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내부에는 볼탑(16)이 설치된다. 상기 볼탑(16)은 상기 임시저장탱크(14) 내부에 채워지는 물이 정해진 수위로 되도록 한다. 상기 볼탑(16)은 상기 입수관(15)을 통한 물의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수위를 관리하게 된다.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하부에는 출수관(18)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출수관(18)은 상기 임시저장탱크(14) 내부에 있던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열교환부(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중력방향 하부에는 열교환부(20)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부(20)는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열교환관(22)이 지그재그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관(22)의 외면에는 열교환핀(24)이 설치되어 공기와의 열교환면적을 넓히도록 한다. 상기 열교환관(22)은 다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상기 열교환관(22)의 입구에는 상기 출수관(18)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관(22)의 출구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관(26)이 연결된다.
상기 열교환부(20)의 크기는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즉,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크기에 따라서 달리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케이스(10)의 하단에 하나만이 있으나, 상기 케이스(10)를 옆으로 확장하여 여러 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배출관(18)을 다수개로 분지하여 각각의 열교환부(20)로 물을 공급하고, 각각의 열교환부(20)를 나온 물은 아래에서 설명될 각각의 연결관(26)이 급수전달관(39)이나 급탕전달관(49)에 연결되면 된다.
상기 열교환부(20)의 열교환관(22) 출구에는 연결관(26)이 연결된다. 상기 연결관(2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전달관(39) 및 급탕전달관(49)에 연결되어, 상기 임시저장탱크(14)에서 나와 상기 열교환부(20)를 통과한 급수나 급탕을 전달한다.
상기 연결관(26)에서 분지되어 귀환관(27)이 설치된다. 상기 귀환관(27)은 상기 임시저장탱크(14)로 상기 열교환부(20)에서 나온 물을 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귀환관(27)을 통해 물이 임시저장탱크(14)로 전달되는 것은 상기 연결관(26)을 통해 물이 아래에서 설명될 급수전달관(39)이나 급탕전달관(49)으로 물이 흐르지 않을 때이다.
상기 귀환관(27)은 적어도 일부가 중력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귀환관(27)은 상기 배출관(18), 열교환관(22) 및 연결관(26)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다. 이는 상기 귀환관(27)을 통한 물의 상승이 상대적으로 쉽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귀환관(27) 전체의 직경이 상기 배출관(18), 열교환관(22) 및 연결관(26)의 내경보다 작아야 하는 것은 아니나, 귀환관(27)의 끝부분은 반드시 그러해야 하고, 귀환관(27)의 거의 대부분의 직경이 위와 같이 설정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물이 배출관(18)을 통해 배출되어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상기 귀환관(27)을 통해 다시 임시저장탱크(14)로 들어가는 것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귀환관(27)의 끝부분은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만수위에 맞춰주는 것이 좋다. 물론 귀환관(27)의 끝부분이 역 U자 모양으로 되어 있어 귀환관(27)의 가장 높은 부분이 만수위보다 높기는 하지만, 상기 귀환관(27)의 내경을 상기 배출관(18) 등의 내경보다 작게 함에 의해 귀환관(27)을 통해 물이 임시저장탱크(14)로 귀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귀환관(27)을 통해서 임시저장탱크(14)로 물을 귀환시키는 경우에 펌프(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열교환부(20)를 통과한 물을 임시저장탱크(14)로 귀환시킬 때, 사이펀의 원리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펌프를 사용하여 강제로 물을 순환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댐퍼(28)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댐퍼(28)는 공기조화장치에서 전달된 공기나 별도의 공기공급장치에서 전달된 공기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2)으로 들어가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열교환부(20)를 통과하여 공기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댐퍼(28)가 제어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부(20)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열교환부(20)의 중력방향 하면에는 배출판(29)이 설치된다. 상기 배출판(29)에는 공기가 공기조화를 위한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29')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배출판(29)은 본 발명의 장치가 천정에 설치되었을 때, 천정의 외관을 구성하는 일종의 장식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배관이 연결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는 건물의 급수탱크(30)와 급탕기(40)에서 물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것이다. 먼저, 급수탱크(30)의 물을 전달하는 급수관(32)에는 제1급수밸브(33)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32)에는 다수개의 물수요부(34)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물수요부(34)의 예로는 수도가 있다.
상기 급수관(32)에서 상기 제1급수밸브(33)를 기준으로 급수탱크(30) 측에서 분지하여 급수분지관(36)이 있다. 상기 급수분지관(36)은 급수탱크(30)의 물을 상기 입수관(15)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급수분지관(36)에는 제2급수밸브(3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26)에 연결되어 급수전달관(39)이 있다. 상기 급수전달관(39)은 상기 물수요부(34)쪽의 급수관(32)에 연결된다. 상기 급수전달관(39)은 상기 열교환부(20)를 통과해 나온 급수탱크(30)의 물을 급수관(32)을 통해 물수요부(34)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급수전달관(39)에는 제3급수밸브(39')가 있다.
상기 급탕기(40)의 물을 전달하는 급탕관(42)에는 제1급탕밸브(43)가 설치되고, 상기 급탕관(42)에는 다수개의 급탕수요부(44)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급탕수요부(44)의 예도 수도이다.
상기 급탕관(42)에서 상기 제1급탕밸브(43)를 기준으로 급탕기(40) 측에서 분지하여 급탕분지관(46)이 있다. 상기 급탕분지관(46)은 급탕기(40)의 물을 상기 입수관(15)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급탕분지관(46)에는 제2급탕밸브(3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26)에 연결되어 급탕전달관(49)이 있다. 상기 급탕전달관(49)은 상기 급탕수요부(44)쪽의 급탕관(42)에 연결된다. 상기 급탕전달관(49)은 상기 열교환부(20)를 통과해 나온 급탕기(40)의 물을 급탕관(42)을 통해 급탕수요부(44)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급탕전달관(49)에는 제3급탕밸브(49')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천정냉난방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천정냉난방장치는 급수탱크(30)나 급탕기(40)의 물에 있는 에너지를 사용하여 냉방이나 난방을 하는 것인데, 특히, 물수요부(34)나 급탕수요부(44)에서 물의 사용이 없을 때, 임시저장탱크(14)에 저장된 물을 활용하여 소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냉방이나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물수요부(34)나 급탕수요부(44)에서 물의 사용이 없으면, 열교환부(20)에서 물이 계속하여 유동하지 못하게 되어 공기와의 열교환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귀환관(27)을 통해 열교환부(20)를 통과한 물을 임시저장탱크(14)로 귀환시켜 임시저장탱크(14)에 있는 물의 에너지를 활용하여 일정 이상의 시간동안 냉난방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용량이 커질수록 지속시간은 더 길어질 수 있다. 하지만, 물수요부(34)나 급탕수요부(44)에서 물이 사용되지 않는 시간이 그리 길지 않기 때문에, 임시저장탱크(14)의 용량이 크지 않더라도 충분히 냉난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먼저, 급수탱크(30)의 물을 사용하여 냉방을 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1급수밸브(33)를 닫고, 상기 제2급수밸브(38)와 제3급수밸브(39)를 열어 급수탱크(30)의 물이, 급수분지관(36), 입수관(15), 임시저장탱크(14), 배출관(18), 열교환부(20), 연결관(26), 급수전달관(39), 급수관(32)을 거쳐 물수요부(34)로 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열교환부(20)를 상기 급수탱크(30)의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급탕기(40)의 물은 열교환부(20)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급탕수요부(44)로 직접 전달되도록 제1급탕밸브(43)는 개방하고 제2 및 제3 급탕밸브(48)(49')는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물수요부(34)에서 물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물이 상기 열교환부(20)를 지나 상기 연결관(26), 급수전달관(39) 및 급수관(32)을 통과해서 물수요부(34)로 전달된다. 물론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상기 볼탑(16)이 동작하여 상기 급수탱크(30)의 물을 전달받아 만수위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열교환부(20)를 물이 통과하면서 공기와 열교환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부(20)에서 상기 물과 열교환하는 공기는 상기 댐퍼(28)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2)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물수요부(34)에서 물을 사용하지 않게 되면, 상기 경로를 통해서 물이 흘러가지 않게 되므로,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물은 상기 연결관(26)을 통해 흘러가지 않게 된다. 하지만, 상기 연결관(26)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기 귀환관(27)을 통해 상기 열교환부(20)를 통과한 물이 상기 임시저장탱크(14)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은 물의 흐름은 상기 임시저장탱크(14)에 있는 물이 상기 열교환부(20)로 유동되게 하고, 상기 열교환부(20)의 열교환관(22)을 따라 물이 유동된다. 즉, 임시저장탱크(14)의 물이 열교환부(20)로 통과해서 다시 임시저장탱크(14)로 유동되어 지속적으로 물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열교환부(20)에서 공기와의 열교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다가 상기 물수요부(34)에서 물이 사용되면 상기 연결관(26)을 통해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물이 상기 열교환부(20)를 거쳐 전달되므로 임시저장탱크(14)로는 새로 급수탱크(30)에서부터 물이 공급되어 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급탕기(40)의 물을 사용하여 난방을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1급탕밸브(43)를 닫고, 상기 제2급탕밸브(48)와 제3급탕밸브(49)를 열어 급탕기(40)의 물이, 급탕분지관(46), 입수관(15), 임시저장탱크(14), 배출관(18), 열교환부(20), 연결관(26), 급탕전달관(49), 급탕관(42)을 거쳐 급탕수요부(44)로 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열교환부(20)를 상기 급탕기(40)의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급수탱크(30)의 물은 열교환부(20)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물수요부(34)로 직접 전달되도록 제1급수밸브(33)는 개방하고 제2 및 제3 급수밸브(38)(39')는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급탕수요부(44)에서 물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물이 상기 열교환부(20)를 지나 상기 연결관(26), 급탕전달관(49) 및 급탕관(42)을 통과해서 급탕수요부(44)로 전달된다. 물론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상기 볼탑(16)이 동작하여 상기 급탕기(40)의 물을 전달받아 만수위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열교환부(20)를 물이 통과하면서 공기와 열교환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부(20)에서 상기 물과 열교환하는 공기는 상기 댐퍼(28)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2)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급탕수요부(44)에서 물을 사용하지 않게 되면, 상기 경로를 통해서 물이 흘러가지 않게 되므로,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물은 상기 연결관(26)을 통해 흘러가지 않게 된다. 하지만, 냉방의 경우에도 설명한 바와 같이, 임시저장탱크(14)의 물이 열교환부(20)로 통과해서 다시 임시저장탱크(14)로 유동되어 지속적으로 물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열교환부(20)에서 공기와의 열교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다가 상기 급탕수요부(44)에서 물이 사용되면 상기 연결관(26)을 통해 상기 임시저장탱크(14)의 물이 상기 열교환부(20)를 거쳐 전달되므로 임시저장탱크(14)로는 새로 급탕기(40)에서부터 물이 공급되어 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케이스 12: 내부공간
14: 임시저장탱크 15: 입수관
16: 볼탑 18: 배출관
20: 열교환부 22: 열교환관
24: 열교환핀 26: 연결관
27: 귀환관 28: 댐퍼
29: 배출판 29': 배출공
30: 급수탱크 32: 급수관
33: 제1급수밸브 34: 물수요부
36: 급수분지관 38: 제2급수밸브
39: 급수전달관 39': 제3급수밸브
40: 급탕기 42: 급탕관
43: 제1급탕밸브 44: 급탕수요부
46: 급탕분지관 48: 제2급탕밸브
49: 급탕전달관 49': 제3급탕밸브

Claims (7)

  1. 내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건물에서 사용되는 급수나 급탕이 임시저장되는 임시저장탱크와,
    상기 임시저장탱크에서 나온 물과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한 물을 물수요부나 급탕수요부로 전달하는 연결관과,
    상기 열교환부에서 상기 연결관으로 물이 흘러가지 않을 때 상기 임시저장탱크로 물을 귀환시키는 귀환관을 포함하는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임시저장탱크의 외면에는 단열재가 더 설치되는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탱크에는 상기 급수나 급탕이 공급되는 입수관이 중력방향 상부에 연결되어 볼탑에 의해 개폐되어 수위를 제어하고, 중력방향 하부에는 임시저장탱크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이 연결되어 상기 임시저장탱크의 중력방향 하부에 설치된 상기 열교환부로 물을 전달하는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관은 상기 연결관, 상기 열교환부의 열교환관, 상기 배출관보다 내경이 작게 형성되어 사이펀의 원리를 사용하여 물을 임시저장탱크로 전달하는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관을 통해 임시저장탱크로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는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는 공기조화장치나 공기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댐퍼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급수탱크에서 공급되는 급수는 상기 임시저장탱크로는 급수탱크에서 물수요부로 물이 전달되는 급수관에서 분지된 급수분지관을 통해 물이 전달되고 상기 임시저장탱크에서 급수관으로는 급수전달관을 통해 물이 전달되며, 급탕기에서 공급되는 급탕은 상기 임시저장탱크로는 급탕기에서 급탕수요부로 물이 전달되는 급탕관에서 분지된 급탕분지관을 통해 물이 전달되고 상기 임시저장탱크에서 급탕관으로는 급탕전달관을 통해 물이 전달되며 상기 급수탱크와 급탕기의 물은 선택적으로 상기 임시저장탱크로 전달되는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KR1020140156936A 2014-11-12 2014-11-12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KR101483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936A KR101483577B1 (ko) 2014-11-12 2014-11-12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936A KR101483577B1 (ko) 2014-11-12 2014-11-12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577B1 true KR101483577B1 (ko) 2015-01-16

Family

ID=5259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936A KR101483577B1 (ko) 2014-11-12 2014-11-12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5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238A (ko) * 2015-01-09 2016-07-19 윤인거 흡수식 공기조화장치
KR20160138599A (ko) * 2015-05-26 2016-12-06 윤인거 흡수식 공기조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632B1 (ko) * 2009-10-01 2011-07-07 대림산업 주식회사 벽걸이 양변기 일체형의 급탕배관 이용 난방기능 보강 환기장치 및 그 설치구조
KR101390450B1 (ko) * 2013-12-04 2014-05-30 윤인거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
KR20140067412A (ko) * 2012-11-26 2014-06-05 김용태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KR20140088348A (ko) * 2013-01-02 2014-07-10 김용태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632B1 (ko) * 2009-10-01 2011-07-07 대림산업 주식회사 벽걸이 양변기 일체형의 급탕배관 이용 난방기능 보강 환기장치 및 그 설치구조
KR20140067412A (ko) * 2012-11-26 2014-06-05 김용태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KR20140088348A (ko) * 2013-01-02 2014-07-10 김용태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KR101390450B1 (ko) * 2013-12-04 2014-05-30 윤인거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238A (ko) * 2015-01-09 2016-07-19 윤인거 흡수식 공기조화장치
KR101705746B1 (ko) 2015-01-09 2017-02-13 윤인거 흡수식 공기조화장치
KR20160138599A (ko) * 2015-05-26 2016-12-06 윤인거 흡수식 공기조화장치
KR101705747B1 (ko) 2015-05-26 2017-02-22 윤인거 흡수식 공기조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008252U (zh) 一种利用地下水源热泵的机房空调
ES2556034T3 (es) Unidad de acondicionamiento de aire ambiental para uso residencial
CN104567022A (zh) 一种太阳能热水器双温差发电装置
US10295206B2 (en) Gravity-assisted heat pipe ground cooling source cold storage system and chiller set
KR101483577B1 (ko)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CN206023565U (zh) 一种变流器散热***
CN104780746A (zh) 一种水冷机柜及含该机柜的地下水冷***
ES2569195T3 (es) Sistema de suministro de calor y procedimiento de suministro de calor
KR20170090105A (ko) 복사 냉방 시스템
CN101512236B (zh) 用于运输工具的组合供热/热水***
CN107270567A (zh) 一种用于寒冷地区地源热泵***的地下土壤冷热平衡***
CN204962942U (zh) 二氧化碳热泵加热装置
JP2008304180A (ja) 蓄熱システム
KR20150081418A (ko) 공기 순환을 이용한 구들장식 주거용 난방 시스템
ES2967011T3 (es) Ensamble hidráulico para una bomba de calor para calefacción de habitaciones y para la producción de agua caliente sanitaria y bomba de calor provista de dicho ensamble
US8955764B1 (en) Building heat exchange system
CN101368760A (zh) 空调机散热装置
KR20140067412A (ko)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JP2012247163A (ja) ヒートポンプ温水暖房装置
CN205784097U (zh) 一种降低数据中心pue的装置
CN207196776U (zh) 一种具有蓄热功能的复合式空调***
CN204214097U (zh) 一种水源热泵空调***及其水阀组件
CN203731740U (zh) 换热装置和换热电器
CN104061642A (zh) 具有杀菌效果的冷暖超声加湿一体机
KR101283252B1 (ko) 열매체 균등분할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