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977B1 -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Google Patents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977B1
KR101482977B1 KR1020130084407A KR20130084407A KR101482977B1 KR 101482977 B1 KR101482977 B1 KR 101482977B1 KR 1020130084407 A KR1020130084407 A KR 1020130084407A KR 20130084407 A KR20130084407 A KR 20130084407A KR 101482977 B1 KR101482977 B1 KR 101482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teel
support portion
side uni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정
김도범
박호영
김승재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유진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유진건철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8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10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metal beams or girders, e.g. with steel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73U- or C-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을 성형한 유닛단면을 조립하여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태로 구성하고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로 합성시킨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지지부와, 수직 지지부의 상단과 하단부에 각각 엇갈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 및 하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의 단부에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져 모서리가 각각 직각인 Z형상 단면을 가지며, 하부 지지부의 중앙부에는 상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절곡되어 2개의 수직편과 수직편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편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유닛을, 측면 유닛과 측면 유닛의 결합부가 각각 맞닿도록 결합하여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한 강재보와; 강재보의 내부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강재보의 중앙부에서는 수직 지지부의 중앙부 상부측에서, 강재보의 양단부에서는 수직 지지부의 중앙부 하부측에서, 강재보의 마주보는 수직 지지부를 일정간격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복수의 간격유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profiled plate}
본 발명은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판을 성형한 유닛단면을 조립하여 박스형태로 구성하고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로 합성시킨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강재 보와 철근콘크리트가 단일부재로 거동하도록 구현하여 휨모멘트를 받을 때 압축응력의 대부분은 콘크리트가 부담하도록 하고 인장응력은 강재가 부담하도록 하는 효율적인 구조부재로써, 보의 춤을 줄여 건축구조물의 층고나 교량구조물의 형하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보 단면의 저항강도와 저항강성 증대로 장 스팬 구조물이 가능하게 하며, 극한성능이나 변형성능이 증대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H형강은 강재 이용 측면에서 볼 때 휨에 의해 부재에 발생하는 인장력, 압축력에 대해 효율적으로 저항하는 부재단면이지만, H형강을 이용한 합성보는 정모멘트 구간에서 합성단면의 중립축이 상부 플랜지측으로 이동하여 콘크리트 슬래브가 압축력의 대부분을 부담하므로 상부 플랜지가 비효율적인 저항단면으로 사용된다. 또한, 합성보 부재의 강도평가 측면에서 성능이 우수하므로 장스팬에 많이 적용하고 있는데 이때 상대적으로 단면의 강성이 작아져서 과다 처짐, 진동 등 사용성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합성보의 H형강 외부를 철근콘크리트로 둘러싸는 개념의 철골철근콘크리트보(SRC보,Steel-Reinforced Concrete beam)가 개발되었다. SRC보는 단면의 강도나 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자중이 매우 증가되어 현장시공시 거푸집공사 및 동바리공사에 면밀한 주의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정모멘트 구간에서 보부재의 단면 하부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에 대해 H형강을 둘러싼 콘크리트의 기여도 없으므로 비효율적 구조단면이라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휨균열이 육안으로 나타나므로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936403호 "내화피복재 부착구조를 갖는 성형강판 콘크리트 합성보 및 그의 시공방법"(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7에서와 같이 "강판을 거푸집 형상으로 성형하여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형성된 성형 강판보; 상기 콘크리트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상기 성형 강판보의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슬래브; 및 상기 성형 강판보의 측면판으로 돌출 형성되고, 측면판에서 뿜칠 되는 내화피복재의 하측 방향 흐름을 방지하여 내화피복재가 성형 강판보 측면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하는 흐름방지부재를 포함하는 내화피복재 부착구조를 갖는 성형강판 콘크리트 합성보."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다양한 단면을 적용하기 어려웠으며, 상부 플랜지의 상부면에 별도로 다수의 시어 커넥터를 구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어 커넥터의 결합을 위하여 별도의 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비용 및 공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데크 플레이트를 거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0936403호 "내화피복재 부착구조를 갖는 성형강판 콘크리트 합성보 및 그의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판을 성형한 유닛 단면을 조립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단면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외부 강판을 구조재로 사용하여 인장 철근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박스 형태로 제작하여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기 때문에 부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내력 및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지지부와, 수직 지지부의 상단과 하단부에 각각 엇갈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 및 하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의 단부에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져 모서리가 각각 직각인 Z형상 단면을 가지며, 하부 지지부의 중앙부에는 상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절곡되어 2개의 수직편과 수직편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편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유닛을, 측면 유닛과 측면 유닛의 결합부가 각각 맞닿도록 결합하여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한 강재보와; 강재보의 내부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강재보의 중앙부에서는 수직 지지부의 중앙부 상부측에서, 강재보의 양단부에서는 수직 지지부의 중앙부 하부측에서, 강재보의 마주보는 수직 지지부를 일정간격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복수의 간격유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측면 유닛의 하부 지지부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수직편과 수평편이 접하는 부분이 분절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측면 유닛의 돌출부는 2개의 수직편이 전부 또는 1개가 선택적으로 하부 지지부와 예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단부가 측면 유닛과 측면 유닛의 결합부의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단부가 측면 유닛의 상부 지지부 보다 높게 수직으로 형성되는 웨브와 웨브의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로 형성되어 단면이 T형상의 전단 연결재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단 연결재의 웨브와 플랜지에는 일정간격으로 전단 연결공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강판을 성형한 유닛 단면을 조립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단면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외부 강판을 구조재로 사용하여 인장 철근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박스 형태로 제작하여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기 때문에 부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내력 및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가 적용된 구조 시스템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강재보의 다른 실시 예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강재보의 내부 돌출부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강재보에 전단연결재가 구성된 실시 예의 강콘크리트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강재보에 간격유지부재가 구성된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상기 도 6a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내화피복재 부착구조를 갖는 성형강판 콘크리트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가 적용된 구조 시스템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적용한 구조시스템은 측면 유닛(10a) 2개가 상호 결합하여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태로 강재보(10)를 형성하고, 강재보(10)의 상부 지지부(12)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2)의 단부를 안착시킨 후, 데크 플레이트(2)의 상부에 콘크리트(50)를 타설하여 강재보(10)의 내부에 콘크리트(50)를 충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강재보(10)는 측면 유닛(10a) 2개가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 단면을 만들도록 마주보는 형태로 상호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측면 유닛(10a)은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지지부(11)와, 수직 지지부(11)의 상단과 하단부에 각각 엇갈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12) 및 하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3)의 단부에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부(14)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모서리가 각각 직각인 Z형상 단면을 갖는다.
수직 지지부(11)는 강재보(10)의 측벽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형성되며, 높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지지부(12)는 수직 지지부(11)의 상단부에는 연장되어 일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수직 지지부(11)와 직각으로 형성된다. 상부 지지부(12)는 강재보(10)를 형성하였을 때 강재보(10)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단부에 데크 플레이트(2)의 단부가 안착이 되도록 한다.
하부 지지부(13)는 상부 지지부(12)와 평행이 되도록 수직 지지부(11)의 하단부에서 연장되어 타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하부 지지부(13)는 상부 지지부(12)와는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모서리가 직각인 Z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지지부(13)는 중앙부에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31)를 형성하도록 하여, 측면 유닛(10a)(10a)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강재보(10)의 내부에 구성되는 콘크리트(50)와의 부착력 및 내력,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돌출부(131)는 절곡이 용이하도록 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2개의 수직편(131a)과 수직편(131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편(131b)으로 이루어지도록 절곡하여 형성한다.
결합부(14)는 하부 지지부(13)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수직 상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수직 지지부(11)와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결합부(14)는 측면 유닛(10a) 끼리의 상호 결합시, 결합부(14)를 접하도록 하여 결합면적을 늘려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결합부(14)는 수직 지지부(1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강재보(10) 내부의 콘크리트(50)가 결합부(14)에 의하여 단절되지 않도록 수직 지지부(11)의 중심 이하의 높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 지지부(12), 수직 지지부(11) 및 하부 지지부(13)로 이루어지는 측면 유닛(10a)은 2개의 측면 유닛(10a)을 결합부(14)가 상호 접하도록 하여 마주보는 형태로 결합을 하여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 단면을 갖도록 하여, 상부 지지부(12)는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가 안착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수직 지지부(11) 및 하부 지지부(13)는 거푸집의 역할을 하게 된다.
측면 유닛(10a) 간의 결합은 용접, 볼트 결합 등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강재보의 다른 실시 예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유닛(10a)은 2개의 단위체로 분절하여 제작한 후 2개의 단위체를 결합하여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측면 유닛(10a)에는 다수의 절곡부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 유닛(10a)을 2개의 단위체로 분리 형성하여 제작 및 운송을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측면 유닛(10a)의 하부 지지부(13)는 수직 지지부(11) 측의 수직편(131a)과 수평편(131b)이 접하는 부분이 분절되어 2개의 단위체를 구성하고, 2개의 단위체가 결합되어 측면 유닛(10a)을 구성하도록 한다. 2개의 단위체의 결합은 용접 결합 등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강재보의 내부 돌출부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편(131a)은 내측 또는 외측의 1개가 사선으로 형성되거나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측의 2개 모두가 사선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수직편(131a)을 하부 지지부(13)와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수직편(131a)과 수직편(131a)의 하단부의 폭 보다 상단부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강재보에 전단연결재가 구성된 실시 예의 강콘크리트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보(10)를 이루는 측면 유닛(10a)간의 결합시 측면 유닛(10a)과 측면 유닛(10a)의 결합부(14)(14)의 사이에 T형 단면을 갖는 전단 연결재(30)가 구성되도록 하여, 강재보(10)의 내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50)와 이종 재료인 강재보(10)와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한다.
전단 연결재(30)는 웨브(31)와 웨브(31)의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플랜지(32)로 구성되어, T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웨브(31)의 하단부는 측면 유닛(10a)과 측면 유닛(10a)의 결합부(14)(14)의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단부는 측면 유닛(10a)의 상부 지지부(12) 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플랜지(32)가 상부 지지부(12)와 높이 차가 나도록 하여 플랜지(32)가 슬래브에 매입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강재보(10)의 내부 및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한다.
전단 연결재(30)는 강재보(10)의 전길이에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연결재(30)의 웨브(31)와 플랜지(32)에는 일정간격으로 전단 연결공(34)이 통공되도록 하여, 전단 연결공(34)을 통하여 콘크리트가 단절되지 않고 연속되도록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강재보에 간격유지부재가 구성된 실시 예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상기 도 6a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보(10)의 내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간격유지부재(20)가 결합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20)는 강재보(10)의 마주보는 수직 지지부(11)(11)를 일정간격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결합은 용접, 브라켓을 이용한 볼트 결합 등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간격유지부재(20)로 L형강(앵글)이 사용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수직 지지부(11)(11)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부재로서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부재, 예를 들어, ㄷ형강(채널), Z형강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간격유지부재(20)는 형태 유지, 수직 지지부(11)(11)의 벌어짐 방지 뿐만 아니라 이종재료인 콘크리트와 강재보(10)의 합성을 유도하는 전단 연결재로서도 기능한다.
간격유지부재(20)는 강재보(10)의 전길이에 걸쳐서 내부의 폭방향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데, 강재보(10)의 중앙부에는 수직 지지부(11)의 중앙부에서 상부측에 양단부에서는 수직 지지부(11)의 중앙부에서 하부측에 구성되도록 하여, 모멘트가 작용하는 강재보(10)의 중앙부에는 비틀림 등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도록 하고, 양단부는 전단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강판을 성형한 유닛 단면을 조립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단면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외부 강판을 구조재로 사용하여 인장 철근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박스 형태로 제작하여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기 때문에 부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내력 및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2 : 데크 플레이트
10 : 강재보
10a : 측면 유닛
11 : 수직 지지부
12 : 상부 지지부
13 : 하부 지지부
14 : 결합부
20 : 간격유지부재
30 : 전단 연결재
31 : 웨브
32 : 플랜지
34 : 전단 연결공
50 : 콘크리트
131 : 돌출부
131a : 수직편
131b : 수평편

Claims (6)

  1.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지지부(11)와, 수직 지지부(11)의 상단과 하단부에 각각 엇갈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12) 및 하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3)의 단부에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부(14)로 이루어져 모서리가 각각 직각인 Z형상 단면을 가지며, 하부 지지부(13)의 중앙부에는 상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절곡되어 2개의 수직편(131a)과 수직편(131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편(131b)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131)가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유닛(10a)을, 측면 유닛(10a)과 측면 유닛(10a)의 결합부(14)(14)가 각각 맞닿도록 결합하여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한 강재보(10)와;
    강재보(10)의 내부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50);를 포함하며,
    강재보(10)의 중앙부에서는 수직 지지부(11)의 중앙부 상부측에서, 강재보(10)의 양단부에서는 수직 지지부(11)의 중앙부 하부측에서, 강재보(10)의 마주보는 수직 지지부(11)(11)를 일정간격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복수의 간격유지부재(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면 유닛(10a)의 하부 지지부(13)는 돌출부(131)를 형성하는 수직편(131a)과 수평편(131b)이 접하는 부분이 분절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측면 유닛(10a)의 돌출부(131)는 2개의 수직편(131a)이 전부 또는 1개가 선택적으로 하부 지지부(13)와 예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하단부가 측면 유닛(10a)과 측면 유닛(10a)의 결합부(14)(14)의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단부가 측면 유닛(10a)의 상부 지지부(12) 보다 높게 수직으로 형성되는 웨브(31)와 웨브(31)의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플랜지(32)로 형성되어 단면이 T형상의 전단 연결재(3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전단 연결재(30)의 웨브(31)와 플랜지(32)에는 일정간격으로 전단 연결공(34)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6. 삭제
KR1020130084407A 2013-07-17 2013-07-17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1482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407A KR101482977B1 (ko) 2013-07-17 2013-07-17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407A KR101482977B1 (ko) 2013-07-17 2013-07-17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977B1 true KR101482977B1 (ko) 2015-01-16

Family

ID=5259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407A KR101482977B1 (ko) 2013-07-17 2013-07-17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9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827B1 (ko) * 2017-09-28 2018-03-07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철근콘크리트 스틸 합성 박스보
KR102245168B1 (ko) * 2019-12-23 2021-04-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용접없이 단면구성이 가능한 강판성형 비탈형 보 거푸집
CN113062201A (zh) * 2021-02-22 2021-07-02 浙江大学 一种压型钢板装配式组合箱型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398B1 (ko) * 2004-10-06 2006-06-26 이창남 병목형 상부 플랜지 tsc보
KR20080109958A (ko) * 2007-06-14 2008-1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이치형강과 성형강판을 이용한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398B1 (ko) * 2004-10-06 2006-06-26 이창남 병목형 상부 플랜지 tsc보
KR20080109958A (ko) * 2007-06-14 2008-1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이치형강과 성형강판을 이용한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827B1 (ko) * 2017-09-28 2018-03-07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철근콘크리트 스틸 합성 박스보
KR102245168B1 (ko) * 2019-12-23 2021-04-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용접없이 단면구성이 가능한 강판성형 비탈형 보 거푸집
CN113062201A (zh) * 2021-02-22 2021-07-02 浙江大学 一种压型钢板装配式组合箱型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803B1 (ko) 절곡강판 합성보의 기둥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880490B1 (ko) 딥데크 슬래브용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KR101208207B1 (ko) 유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WO2010047096A1 (ja) 橋脚とコンクリート桁の剛結合構造
EP1905898B1 (en) Device for equipping an expansion joint between concrete slabs
KR101557226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콘크리트 합성보
JP2015101842A (ja) 橋梁床版用継手金具
KR101880492B1 (ko) 단부 h형강이 구성된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KR101482977B1 (ko)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1483362B1 (ko)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1948812B1 (ko)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KR101560908B1 (ko) 개방형 강구조체의 접합부
JP2021156041A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継手及び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続方法
KR101482979B1 (ko) 내부 전단 연결부가 형성된 덮개를 구비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KR101222320B1 (ko) ㄷ자형 부재와 역티자형 부재를 조립한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1904115B1 (ko)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JP6535704B2 (ja) 柱梁架構
KR101429527B1 (ko) 복합보 접합부 구조
KR101191545B1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KR101415695B1 (ko) 합성보를 이용한 클린룸 골조
JP6508866B2 (ja) 柱梁架構
KR101591808B1 (ko) 합성pc보, 이와 합성pc기둥과의 연결구조
KR101355147B1 (ko) 기둥―슬래브 접합부의 수직걸림형 전단보강체
WO2019215939A1 (ja) 合成パネル構造
JP5759317B2 (ja) 梁と柱と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