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007B1 - 차량 내장용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장용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007B1
KR101482007B1 KR1020137034671A KR20137034671A KR101482007B1 KR 101482007 B1 KR101482007 B1 KR 101482007B1 KR 1020137034671 A KR1020137034671 A KR 1020137034671A KR 20137034671 A KR20137034671 A KR 20137034671A KR 101482007 B1 KR101482007 B1 KR 101482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connecting member
foamed polyurethane
injection hole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5016A (ko
Inventor
준이치 이시이
토루 코다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모리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모리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모리덴
Publication of KR20140095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29C45/14508Joining juxtaposed sheet-like articles, e.g. for making trim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13/01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13/01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 B60R13/013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comprising removable or hinged parts, e.g. for accessing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2013/018Connection or positioning of adjac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절곡이 자유로운 힌지부를 구비하고, 부품 점수가 적어 생산성이 우수함과 함께, 경량이면서 또한 고강도의 차량 내장용 보드를 제공한다.
각각 한 쌍의 박판(11, 12, 21, 22) 사이에 끼인 공간에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 23)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보드(10, 20)와, 오목홈(34)이 형성된 다공 구조체로 구성되고, 일부분이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연결 부재(30)를 구비하고,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 23)은, 박판(11, 12, 21, 22)과 연결 부재(30)의 간극(18, 19, 28, 29)에도 형성되어 각 보드(10, 20)와 연결 부재(30)를 접합한다. 이에 의해, 제1 보드(10)를 성형하는 공정에서, 각 보드(10, 20)를 성형하고 접합해 일체화하여, 절곡이 자유롭고 경량이면서 또한 고강도의 차량 내장용 보드(1)를 성형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 점수를 줄이고, 생산 공정을 간이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내장용 보드 및 그 제조 방법{VEHICLE INTERIOR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짐칸의 바닥판 등에 사용되는 차량 내장용 보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절곡이 자유로운 힌지부를 구비한 차량 내장용 보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용 바닥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1 강판과, 제2 강판과, 이들 강판 사이에 끼인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을 갖는 자동차용 바닥판을, RIM 성형(반응 사출 성형: Reaction Injection Molding)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RIM 성형에 의해 성형된 다층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보드는, 얇고 경량이면서 또한 고강도임과 함께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절곡이 자유로운 힌지부를 구비한 차량 내장용 보드의 예로서, 도 10에 나타내는 덱 보드(200)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덱 보드(200)는, 밴형 차량의 후부 짐칸의 바닥부에 설치된 스페어 타이어 등을 수납하는 오목부를 덮어, 짐칸의 바닥면이 되는 것이다. 덱 보드(200)는, 전부(前部) 보드(220)와 후부(後部) 보드(230)로 2분할되어 있고, 전부 보드(220)의 후단은, 복수의 중(中)힌지(260)에 의해 후부 보드(230)의 전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분할된 보드의 일부분(후부 보드(230))만을 개폐할 수 있게 되어, 덱 보드(200)의 하방에 수납된 짐 등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덱 보드(200)의 이면에는, 보강 파이프(213), 보강 리브(214) 및 외주 플랜지(221, 231)가 설치되어 있고, 그들에 의해 덱 보드(200)의 강성이 확보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44477호(3페이지, 도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54069호(2페이지, 도 2)
그러나, RIM 성형에 의해 성형된 다층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보드는, 보드 자체를 절곡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때문에, 절곡이 필요할 경우에는, 보드를 분할하고, 도 10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과 같이, 별도 준비한 복수의 힌지 부품(중힌지(260))을 사용하여 분할된 각 보드(전부 보드(220), 후부 보드(230))를 연결해야 하였다.
또한, 분할된 보드를 별도 부품인 힌지 부품에 의해 연결하는 방식에서는, 각각의 보드를 따로따로 성형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각 부품을 성형하는 공정과는 별도로 보드 전체를 조립하는 공정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각 보드와 힌지 부품을 연결하는 공정에서는, 부품의 위치 결정이나 각각의 부품 고정 등의 작업이 매우 번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각 보드를 따로따로 성형하고 나서 각각을 연결하여 조립하는 것은, 차량 내장용 보드의 생산 효율을 저하시키고, 조립 불량의 발생률을 높여, 생산 비용을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차량 내장용 보드에서는, 다수의 힌지 부품 및 체결 부품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때문에, 각각의 부품의 가공 및 관리가 필요하고, 그 점도 생산 비용을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각 보드는 분할되어 있으므로, 각 보드의 대향하는 단부 및 그 주변부(이하, 「가장자리부」라고 한다.)로서 힌지 부품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강도가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연결부 부근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보강 부재(예를 들어, 도 10에 있어서의 보강 파이프(213) 등)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 경우, 부품 점수가 더 많아져, 제품 중량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힌지 부품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보드간의 가장자리부가 변형됨으로써, 보드 연결부 부근의 보드 표면에 요철이 발생하여 보드 표면의 평면도가 저하되어, 제품의 미관을 저해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절곡이 자유로운 힌지부를 구비하고, 부품 점수가 적어 생산성이 우수함과 함께, 경량이면서 또한 고강도의 차량 내장용 보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차량 내장용 보드는, 한 쌍의 박판과, 상기 박판 사이에 끼인 공간에 형성되는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을 갖는 제1 보드 및 제2 보드와, 상기 제1 보드와 상기 제2 보드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적어도 일방의 주면에 오목홈이 형성된 다공 구조체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홈에 대하여 일방의 단부측 영역의 일부분이 상기 제1 보드의 상기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드에 접합됨과 함께, 상기 오목홈에 대하여 상기 일방의 단부측의 반대측이 되는 타방의 단부측 영역의 일부분이 상기 제2 보드의 상기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보드와 접합되고, 상기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은, 상기 박판과 상기 연결 부재의 간극에도 형성되어 상기 제1 보드 및 상기 제2 보드와 상기 연결 부재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내장용 보드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제1 보드와 제2 보드를 나란히 배치하고 각각의 일부분을 연결 부재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차량 내장용 보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연결 부재가 되는 다공 구조체를 준비하고, 양단부측 영역의 일부분에 일방의 주면으로부터 타방의 주면으로 관통하는 주입공을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보드가 되는 한 쌍의 박판과, 상기 제2 보드가 되는 한 쌍의 박판을 준비하고, 각각의 상기 한 쌍의 박판의 일방의 주면을 대향시켜 소정의 이간 거리를 형성하여 배치함과 함께,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주입공이 형성된 일방의 단부측 영역을 상기 제1 보드가 되는 상기 박판의 일부분 사이에 끼우고, 타방의 단부측 영역을 상기 제2 보드가 되는 상기 박판의 부분 사이에 끼우는 공정과, 상기 박판 사이에 끼인 공간에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의 액상 원료를 주입하여 반응시켜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주입공을 통해 상기 박판과 상기 연결 부재의 간극에도 상기 액상 원료를 공급하고, 상기 제1 보드 및 제2 보드를 성형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보드 및 상기 제2 보드와 상기 연결 부재를 접합하여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내장용 보드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보드 및 제2 보드를 구성하는 박판 사이에 연결 부재의 가장자리부를 각각 삽입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보드를 구성하는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보드와 상기 연결 부재를 접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제1 보드를 성형하는 공정에서, 동시에 상기 제2 보드를 성형함과 함께, 상기 제1 및 제2 보드와 상기 연결 부재를 접합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 내장용 보드의 생산 공정을 간이화하고, 조립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에 오목홈을 형성함으로써, 당해 오목홈을 힌지부로 하여 차량 내장용 보드를 절곡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별도 다수의 힌지 부품이나 당해 힌지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부품 등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 차량 내장용 보드의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드 및 제2 보드의 대향하는 단부 전체를 연결 부재에 접합하여 일체화하고 있으므로, 보드 연결부 부근에 있어서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보드 연결부 부근에 별도 보강 부품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부품 점수의 증가를 억제하여, 보드를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의 박판에 끼이는 부분에는 주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박판의 접합부 및 상기 주입공에도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이 형성되므로, 제1 및 제2 보드와 연결부를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를 구성하는 다공 구조체로서 허니컴 구조체를 채용하고, 그 공극부와, 면판에 형성되어 상기 공극부에 연통되는 개구부를 상기 주입공으로 함으로써, 부품의 가공이 용이해짐과 함께, 충분한 접합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보드 중 어느 일방측으로부터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의 액상 원료를 주입하고 연결 부재의 공극부를 통해 타방측으로 공급하므로, 금형에 복잡한 주입 포트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액상 원료를 보드의 전역으로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드를 더 분할하여 연결 부재를 복수 마련하고, 절곡이 자유로운 힌지의 지점을 늘린 경우라도, 상기 액체 원료의 공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내장용 보드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부재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A)상면도, (B)단면도, (C)주입공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내장용 보드의 (A)연결부 부근, (B)제1 보드 연결부 부근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부재의 (A)주입공의 가공, (B)표피재의 첩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내장용 보드의 성형 장치의 (A)박판을 세트하는 상태, (B)연결 부재를 세트하는 상태, (C)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을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내장용 보드의 연결 부재의 배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내장용 보드의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의 형성을 설명하는 (A)제1 보드 연결부 부근의 확대 단면도, (B)연결부 부근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내장용 보드의 오목홈의 가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내장용 보드의 연결부 부근의 개략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의 차량 내장용 보드의 예를 나타내는 연결부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내장용 보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차량 내장용 보드(1)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차량 내장용 보드(1)의 개략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차량 내장용 보드(1)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짐칸의 바닥판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이용되는 용도에 따라 소정의 주위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내장용 보드(1)는, 제1 보드(10)와, 제2 보드(20)를 연결 부재(30)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30)의 일방의 주면(30b)에는, 제1 보드(10)의 단부(10c) 또는 제2 보드(20)의 단부(20c)를 따라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오목홈(34)을 힌지부로 하여 차량 내장용 보드(1)를 절곡시킬 수 있다.
차량 내장용 보드(1)의 절곡 방향은, 오목홈(34)이 형성된 주면(30b)의 방향 또는 오목홈(34)의 반대측이 되는 주면(30a)의 방향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오목홈(34)이 형성된 방향으로 절곡시키는 경우에는, 절곡 각도를 소정의 범위로 규제할 수 있다. 한편, 오목홈(34)의 반대측으로 절곡시키는 경우에는, 절곡 각도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용도에 따라 오목홈(34)을 형성하는 주면과 절곡 방향을 적절히 선정하면 된다.
한편, 도시를 생략하지만, 차량 내장용 보드(1)의 주면에는, 마무리 표피재로서 카펫 등이 첩부된다. 마무리 표피재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제의 부직포 등, 수지 기타를 재료로 하는 부직포, 섬유 직물, 기타 각종 시트상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부재(30)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동(同) 도(B)는 부분 단면도, 동 도(C)는 주입공(35)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는, 한 쌍의 면판(31, 32)과, 면판(31)과 면판(32) 사이에 끼인 심재(33)로 구성되는 두께 3~30㎜ 정도의 평판상의 허니컴 구조체(다공 구조체)이다. 각 면판(31, 32)에 끼이는 심재(33)의 주위 공간에는, 공극부(36)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소정의 강도를 발휘하면서 차량 내장용 보드(1)의 계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심재(33)는, 면판(31, 32)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복수의 지지벽(33a)이 형성된 얇은 구조체이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의 지지벽(33a)은,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고, 연결 부재(30)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는 각 지지벽(33a)의 외측 주위의 공극부(36)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면판(31, 32) 및 심재(33)의 재질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PP)를 채용하고 있다. 수지 재료는, 입수가 용이하고 가공성이 우수하다는 메리트를 갖고, 또한 내수성이 요구되는 용도에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면판(31, 32) 및 심재(33)의 재질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수지 재료나 종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 부재(30)를 구성하는 허니컴 구조체의 심재(33)로는, 예를 들어, 육각형상이나 사각형상 등, 그 밖의 지지벽 배치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 부재(30)는, 허니컴 구조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판(31)과 면판(32)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는 것이면, 심재(33)로서, 물결상의 판이나 섬유상의 충전재 등, 그 밖의 충전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 부재(30)로서, 발포 수지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판상의 다공 구조체를 사용해도 된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의 양단부측 영역의 일부분, 즉, 제1 보드(10) 및 제2 보드(20)와 접합되는 가장자리부에는, 주입공(35)이 형성되어 있다.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면판(31, 32)에는, 공극부(36)에 연통되는 개구부(37)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연결 부재(30)의 일방의 주면(30a)으로부터 개구부(37)와 공극부(36)를 통해 타방의 주면(30b)으로 관통하는 주입공(35)이 형성된다.
또한, 주입공(35)의 공극부(36)는, 연결 부재(30)의 제1 보드(10)와 접합되는 측의 단면(30c) 및 제2 보드(20)와 접합되는 측의 단면(30d)(도 2(A) 참조)으로 개구되어 있다. 즉, 주입공(35)은, 연결 부재(30)의 주면(30a, 30b)의 외측 공간과, 단면(30c, 30d)의 외측 공간을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A)는, 차량 내장용 보드(1)의 연결부 부근의 개략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동 도(B)는, 제1 보드(10)와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보드(10)는, 한 쌍의 박판(11, 12)과, 박판(11)과 박판(12) 사이에 끼이는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으로 구성되는 다층 구조의 판상체이다. 마찬가지로, 제2 보드(20)도, 한 쌍의 박판(21, 22) 사이에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23)을 끼운 다층 구조의 판상체이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제1 및 제2 보드(10, 20)를 고강도이면서 또한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박판(11, 12, 21, 22)으로는, 강판이나 알루미늄판 등의 금속 박판이나, 유리 크로스, 카본, 수지, 기타 섬유 재료, 복합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각종 시트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판(11, 1221, 22)으로서, 두께 약 0.08~0.18㎜의 평탄한 아연 도금 강판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박판(11, 12, 21, 22)의 두께를 크게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박판(11, 12, 21, 22)은 매우 얇으므로, 박판(11, 12, 21, 22)의 단부(10c, 20c)(도 3(B) 참조)의 단차는, 제품 품질상 문제가 되지 않으며, 차량 내장용 보드(1)의 연결부 부근의 표면은 대략 평탄하다.
연결 부재(30)의 일부분, 즉, 전술한 주입공(35)이 형성되어 제1 보드(10) 혹은 제2 보드(20)에 접합되는 가장자리부는, 박판(11)과 박판(12) 사이 혹은 박판(21)과 박판(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연결 부재(30)의 일방의 단부측의 가장자리부는, 박판(11)과 박판(12) 사이에 끼워져 있고, 타방의 단부측의 가장자리부는, 박판(21)과 박판(22) 사이에 끼워져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연결 부재(30)의 양단부측의 가장자리부는, 각각 박판(11, 12) 혹은 박판(21, 22)과, 겹침 공간 X로 나타내는 겹침 부분을 갖고 있다. 겹침 공간 X의 치수는, 예를 들어 20~100㎜ 정도이다.
그리고,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 23)은, 연결 부재(30)의 주입공(35)이 되는 공극부(36) 및 개구부(37)에도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은, 겹침 공간 X로 나타내는 박판(11, 12, 21, 22)과 연결 부재(30)의 맞닿음 지점에도 형성되어 있다. 도 3(B)에 제1 보드(10)와의 접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은, 박판(11, 12)의 면(11a, 12a)과 연결 부재(30)의 주면(30a, 30b)이 대향하여 형성되는 간극(18, 19)에도 형성되어 있다. 제2 보드(20)와 연결 부재(30)의 접합부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보드(10, 20)와 연결 부재(30)가 강고하게 접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의 일방의 주면(30b)에는, 절곡이 자유로운 힌지부가 되는 단면 대략 V자 형상 또는 대략 U자 형상의 오목홈(34)이 제1 혹은 제2 보드(10, 20)의 단부(10c, 20c)를 따라 직선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목홈(34)은, 제1 보드(10)의 단부(10c)(박판(11, 12)의 단부)와, 제2 보드(20)의 단부(20c)(박판(21, 22)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오목홈(34)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적어도 오목홈(34)의 홈 내면에는, 표피재(38)가 첩부되어 있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차량 내장용 보드(1)의 주면에는, 용도에 따라 소정 두께의 마무리 표피재(도시 생략)가 첩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내장용 보드(1)에서는, 제1 및 제2 보드(10, 20)와 연결 부재(30)를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 23)을 접합재로 하여 직접 접합하고, 연결 부재(30)에 힌지로서의 오목홈(34)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별도 다수의 힌지 부품이나 당해 힌지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부품 등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 차량 내장용 보드(1)의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드(10) 및 제2 보드(20)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부 전체를 연결 부재(30)로 대략 띠상으로 접합하여 일체화하고 있으므로, 각 보드(10, 20)의 가장자리부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차량 내장용 보드(1)의 표면에 요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드 연결부 부근에 별도 보강 부품 등을 설치하지 않고, 보드 연결부 부근에서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부품 점수의 증가를 억제하여 차량 내장용 보드(1)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차량 내장용 보드(1)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는, 연결 부재(30)의 주입공(35)의 가공, 동 도(B)는, 표피재(38)의 첩부를 각각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한편, 도 4(A) 및 (B)에서는, 연결 부재(30)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먼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로서 다공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평판상의 소재를 준비하고, 제1 보드(10)에 접합되는 가장자리부 및 제2 보드(20)에 접합되는 가장자리부에 주입공(35)을 형성한다. 주입공(35)의 가공은, 예를 들어, 프레스 기계에 의한 전단 가공에 의해, 연결 부재(30)의 주면(30a)으로부터 주면(30b)으로 관통하는 관통공(개구부(37))을 뚫음으로써 행하여진다.
다음으로, 주면(30b)의 적어도 오목홈(34)(도 3(A) 등 참조)을 형성하는 위치에,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피재(38)를 첩부한다. 표피재(38)로는, 전술한 마무리 표피재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PET제의 부직포 등, 각종 시트상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오목홈(34)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오목홈(34)의 내면이 융해되어 버(burr)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표피재(38)를 연결 부재(30)의 주면(30b) 또는 주면(30a)의 전체면에 첩부해도 물론 상관없다. 또한, 전술한 주입공(35)을 형성하는 공정 전에, 표피재(38)를 첩부하는 공정을 실행해도 된다. 또한, 후술하는 오목홈(34)을 형성하는 공정 직전에, 표피재(38)를 첩부하는 공정을 실행해도 된다.
도 5(A)는, 차량 내장용 보드(1)를 성형하는 RIM 성형 장치에 박판(11, 12, 21, 22)을 세트하는 상태, 동 도(B)는, 연결 부재(30)를 세트하는 상태, 동 도(C)는,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 23)을 형성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소정의 주위 형상으로 커트된 박판(11, 12, 21, 22)의 각각의 일방의 주면(11a, 12a, 21a, 22a)에, 프라이머(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도료나, 화학 반응형, 용제 휘발형, 물 휘산형, 핫 멜트형 등의 각종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건조시킨다.
다음으로,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지 처리된 박판(11, 21)을, 프라이머가 도포된 주면(11a, 21a)을 하방으로 하고, 타방의 주면(11b, 21b)을 세트면(52)에 맞닿게 하여, 상형(50)의 오목부(51) 내에 세트한다. 여기서, 강제의 박판(11, 21)은, 상형(50)에 설치된 전자석(55)의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져 상형(50)에 유지된다. 한편, 박판(11, 21)으로서,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버큠 수단에 의해 박판(11, 21)을 유지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하지 처리된 박판(12, 22)을, 프라이머가 도포된 주면(12a, 22a)을 상방을 향하고, 타방의 주면(12b, 22b)을 세트면(42)에 맞닿게 하여, 하형(40)의 오목부(41) 내에 세트한다. 한편, 하형(40)에도 전자석이나 버큠 수단 등을 설치하여 박판(12, 22)을 유지해도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박판(11, 12, 21, 22) 등의 두께를 크게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박판(11, 12, 21, 22)은 매우 얇으므로, 박판(11, 12, 21, 22)의 단부에서의 세트면(42, 52)과의 단차는 매우 작다.
다음으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를 하형(40)의 오목부(41) 내에 세트한다. 이 때, 연결 부재(30)의 주입공(35)이 형성된 일방의 가장자리부가 박판(12)의 가장자리부의 주면(12a) 상에, 타방의 가장자리부가 박판(22)의 가장자리부의 주면(22a) 상에, 각각 소정의 겹침 공간 X에서 겹치도록 연결 부재(30)를 배치한다.
다음으로,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형(50)을 하강시킨다. 이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판(11)의 가장자리부와 박판(12)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연결 부재(30)의 일방의 가장자리부가 끼인다. 동시에, 박판(21)의 가장자리부와 박판(22)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연결 부재(30)의 타방의 가장자리부가 끼인다.
그리고,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판(11)과 박판(12) 사이에 성형 공간(60)이 형성되고, 박판(21)과 박판(22) 사이에 성형 공간(61)이 형성된다. 또한 동시에, 하형(40) 및 상형(50)에 각각 설치된 주입 홈(44, 54)(도 5(B) 참조)과, 하형(40)에 설치된 주입 포트(45)에 의해, 성형 공간(60)에 연통되는 주입 경로(62)가 형성된다.
여기서, 성형 공간(60)과 성형 공간(61)은, 연결 부재(30)의 공극부(36)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형(50)을 하강시킴으로써, 주입 포트(45)로부터 주입 경로(62), 성형 공간(60) 및 공극부(36)를 순차적으로 통해 성형 공간(61)으로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주입 포트(45)로부터 주입 경로(62)를 통해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의 액체 원료, 즉,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포함하는 액상의 혼합 원료를 성형 공간(60)으로 주입한다. 이에 의해, 성형 공간(60), 공극부(36) 및 성형 공간(61)으로 상기 액체 원료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체 원료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 포트(45)를 복수 설치하여, 성형 공간(61)으로도 직접 상기 액체 원료를 주입하도록 구성해도 상관없다. 특히, 연결 부재(30)를 구성하는 다공 구조체로서 독립 기포형의 발포 재료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성형 공간(60, 61)에 상기 액체 원료를 직접 공급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하형(40) 및 상형(50)은, 도시하지 않은 가열 수단에 의해 소정의 온도(60~80℃)로 유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성형 공간(60, 61) 및 공극부(36)로 주입된 상기 액체 원료는, 성형 공간(60, 61) 등의 내부에서 가열되어 화학 반응하여 발포하고 경화된다. 그 결과,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 23) 등이 형성된다.
도 7(A)는,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 등의 형성을 설명하는 제1 보드(10)의 연결부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고, 동 도(B)는, 제1 보드(10)와 제2 보드(20)의 연결부 부근의 상면도이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보드(10)측의 성형 공간(60)으로 주입된 상기 액체 원료는, 연결 부재(30)의 단면(30c)측에 개구되는 공극부(36)의 내부로 흘러든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의 공극부(36)는, 제2 보드(20)측의 성형 공간(61)으로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액체 원료는, 성형 공간(61)으로 공급된다. 즉, 연결 부재(30)는, 제1 보드(10)측에 공급된 상기 액체 원료를 제2 보드(20)측에 공급하기 위한 경로로서 기능한다.
또한, 성형 공간(60)으로 주입된 상기 액체 원료는, 면판(31, 32)에 형성된 개구부(37)와, 공극부(36)로 구성되는 주입공(35)을 통해, 박판(11, 12)과 연결 부재(30) 사이에 형성된 간극(18, 19)으로 공급된다. 간극(18, 19)으로 흐르는 상기 액체 원료는, 간극(18, 19) 내에서, 도 7(B)에 부호 13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주입공(35)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원형상으로 퍼진다.
그리고, 도 7(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극부(36) 및 간극(18, 19)에 공급된 상기 액체 원료가 반응하여 발포, 경화됨으로써, 공극부(36) 및 간극(18, 19)에도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b, 13a)이 형성된다. 그 결과, 제1 보드(10)와 연결 부재(30)를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a, 13b)을 접합 부재로 하여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특히, 주입공(35)을 형성함으로써,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판(11, 12)과 연결 부재(30)를 접합하는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a)의 접합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보드(10)와 연결 부재(30)의 접합 강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제2 보드(20)와 연결 부재(30)의 접합 지점에 대해서도, 전술과 동일하다. 즉, 박판(21, 22)(도 5(C) 등 참조)과 연결 부재(3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28, 29)(도 5(C) 참조)에 상기 액체 원료가 공급되고, 각 주입공(35)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원형상으로 퍼지는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23a)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박판(21, 22)과 연결 부재(30)를 접합하는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23a)의 접합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제2 보드(20)와 연결 부재(30)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보드(10, 20)와 연결 부재(30)의 접합 강도를 높게 하기 위하여, 각 개구부(37)의 배치 간격 P(피치)는, 겹침 공간 X의 치수와 동등 또는 그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부(37)의 중심 위치와 박판(11, 12, 21, 22)의 단부(10c, 20c)의 거리 Y는, 겹침 공간 X의 1/3~1/2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박판(11, 12, 21, 22)의 외부로 유출되는 상기 액체 원료의 양을 줄임과 함께,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a, 23a)의 접합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박판(11, 12, 21, 22)의 내측이 되는 주면(11a, 12a, 21a, 22a)(도 5(A) 참조)에는, 미리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 23)과 박판(11, 12, 21, 22)의 접합이 강고해지므로, 제1 및 제2 보드(10, 20)의 강도를 높임과 함께, 제1 및 제2 보드(10, 20)와 연결 부재(30)의 접합 강도를 더 높게 할 수 있다.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 23)의 성형이 완료되면, 전자석(55)(도 5(C) 등 참조)에 의한 유지를 해제하고, 상형(50)(도 5(C) 등 참조)을 상승시켜, 차량 내장용 보드(1)를 하형(40)(도 5(C) 등 참조)에서 꺼낸다.
도 8은, 차량 내장용 보드(1)의 오목홈(34)의 가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의 주면(30b)에, 고온(예를 들어, 약 190~230℃)으로 가열된 소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직선상의 열 칼날(65)(프레스형) 가압함으로써 오목홈(34)을 형성한다.
한편, 오목홈(34)의 가공은, RIM 성형 장치(도 5(A) 참조)와는 별도의 가공 장치(열 칼날 가공기)를 사용하여 행해도 되고, 열 칼날(65)을 RIM 성형 장치에 탑재하여 열 칼날 가공기와 RIM 성형기를 겸하도록 한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이,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 23)을 형성한 후에, 오목홈(34)을 형성하는 공정을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의 공극부(36)(도 7(A) 참조)를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의 액체 원료를 공급하는 경로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금형에 복잡한 주입 포트를 형성하지 않고, 일방의 보드(제1 보드(10))측으로부터만 상기 액체 원료를 주입하여, 타방의 보드(제2 보드(20))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각 보드(10, 20)를 더 분할하여 연결 부재(30)를 복수 마련하고, 절곡이 자유로운 힌지의 지점을 늘린 경우라도, 1개의 주입 포트로부터 보드 전역으로 효율적으로 상기 액체 원료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제1 보드(10)와 제2 보드(20)가 힌지부가 되는 오목홈(34)을 구비한 연결 부재(30)를 통해 연결되어 일체가 된 차량 내장용 보드(1)가 완성된다. 한편, 이 후, 용도에 따라 차량 내장용 보드(1)의 주면에 적당한 마무리 표피재를 첩부하여, 차량 등에 장착되는 제품이 완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내장용 보드(1)에 의하면, 제1 보드(10)를 성형하는 공정에서, 동시에 제2 보드(20)를 성형함과 함께, 제1 보드(10)와, 제2 보드(20)와, 연결 부재(30)를 접합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보드(10)를 성형하는 공정과는 별도로, 제2 보드(20)를 성형하는 공정이나, 제1 보드(10)와 제2 보드(20)를 연결하여 조립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차량 내장용 보드(1)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내장용 보드(101)의 연결부 부근의 개략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한편, 이미 설명한 차량 내장용 보드(1)와 동일 혹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합을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130)에는, 오목홈(34)을 복수개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차량 내장용 보드(101)의 절곡 각도를 더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130)의 제1 보드(10)와 접합되는 가장자리부에는, 단면(130c)측에 개구되고, 단면 대략 U자 형상을 이루고, 일방의 주면(130a)으로부터 타방의 주면(130b)으로 관통하는 주입공(13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제2 보드(20)를 접합하는 측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도 동일한 주입공(135)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면(130c)측(및 제2 보드(20)측의 단면)으로 개구되는 주입공(135)을 형성함으로써, 연결 부재(130)를 구성하는 다공 구조체로서 독립 기포형의 발포 재료를 채용한 경우라도, 제1 및 제2 보드(10, 20)와 연결 부재(130)를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즉, 내부의 공극이 연통되지 않은 다공 구조체라도, 주입공(135)을 통해 연결 부재(130)와 박판(11, 12, 21, 22) 사이에 효율적으로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의 액체 원료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C) 및 도 8을 참조하여,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 23)을 형성한 후에 오목홈(34)을 형성하는 공정을 실행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13, 23)을 형성하기 전에 오목홈(34)을 가공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연결 부재(30)의 공극부(36)를 통해 상기 액체 원료를 흘려 보낼 수 없으므로, 주입 경로를 별도 형성하여 각각의 성형 공간(60, 61)으로 상기 액체 원료를 직접 공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결 부재(30)로서, 미리 오목홈(34)이 형성된 평판상의 다공 구조체를 준비(구입)해도 물론 상관없다. 또한 마찬가지로, 미리 표피재(38)가 첩부된 다공 구조체를 사용하여 주입공(35)이나 오목홈(34)의 가공을 행해도 된다.
또한, 도 5(A) 내지 (C)에 나타내는 RIM 성형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는, 모식적인 그 일례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그 밖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힌지 수단에 의해 상형(50)과 하형(40)을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해도 된다. 또한, 연결 부재(30)가 배치되는 부분에 관해서는, 반드시 상형(50)으로 유지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밖에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1, 101 차량 내장용 보드
10 제1 보드
11, 12 박판
11a, 12a 박판의 주면
13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
18, 19 간극
20 제2 보드
21, 22 박판
21a, 22a 박판의 주면
23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
28, 29 간극
30 연결 부재
30a, 30b, 130a, 130b 연결 부재의 주면
31, 32 면판
33 심재
34 오목홈
35, 135 주입공
36 공극부
37 개구부
60, 61 성형 공간

Claims (6)

  1. 한 쌍의 박판과, 상기 박판 사이에 끼인 공간에 형성되는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을 갖는 제1 보드 및 제2 보드와,
    상기 제1 보드와 상기 제2 보드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적어도 일방의 주면에 오목홈이 형성된 다공 구조체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홈에 대하여 일방의 단부측 영역의 일부분이 상기 제1 보드의 상기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드에 접합됨과 함께, 상기 오목홈에 대하여 상기 일방의 단부측의 반대측이 되는 타방의 단부측 영역의 일부분이 상기 제2 보드의 상기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보드와 접합되고,
    상기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은, 상기 박판과 상기 연결 부재의 간극에도 형성되어 상기 제1 보드 및 상기 제2 보드와 상기 연결 부재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용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박판에 끼이는 부분에는, 상기 박판에 대향하는 상기 일방의 주면으로부터 타방의 주면으로 관통하는 주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은, 상기 주입공에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용 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구조체는, 적어도 한 쌍의 면판과, 상기 면판에 끼이는 심재를 구비하는 허니컴 구조체이고,
    상기 주입공은, 상기 면판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면판에 끼이는 공극부를 연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용 보드.
  4. 적어도 제1 보드와 제2 보드를 나란히 배치하고 각각의 일부분을 연결 부재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차량 내장용 보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연결 부재가 되는 다공 구조체를 준비하고, 양단부측 영역의 일부분에 일방의 주면으로부터 타방의 주면으로 관통하는 주입공을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보드가 되는 한 쌍의 박판과, 상기 제2 보드가 되는 한 쌍의 박판을 준비하고, 각각의 상기 한 쌍의 박판의 일방의 주면을 대향시켜 소정의 이간 거리를 형성하여 배치함과 함께,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주입공이 형성된 일방의 단부측 영역을 상기 제1 보드가 되는 상기 박판의 일부분 사이에 끼우고, 타방의 단부측 영역을 상기 제2 보드가 되는 상기 박판의 일부분 사이에 끼우는 공정과,
    상기 박판 사이에 끼인 공간에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의 액상 원료를 주입하여 반응시켜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주입공을 통해 상기 박판과 상기 연결 부재의 간극에도 상기 액상 원료를 공급하고, 상기 제1 보드 및 제2 보드를 성형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보드 및 상기 제2 보드와 상기 연결 부재를 접합하여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용 보드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연결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주면에 오목홈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용 보드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구조체는, 적어도 한 쌍의 면판과, 상기 면판에 끼이는 심재를 구비하는 허니컴 구조체이고,
    상기 주입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면판에 끼이는 공극부에 연통되는 개구부를 상기 면판에 형성하고,
    상기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당해 공정을 상기 오목홈을 형성하는 공정보다 전에 실행하고, 상기 제1 보드 또는 상기 제2 보드의 어느 일방측으로부터 상기 액상 원료를 주입하여 상기 공극부를 통해 타방측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용 보드의 제조 방법.
KR1020137034671A 2012-12-27 2012-12-27 차량 내장용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2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08365 WO2014102867A1 (ja) 2012-12-27 2012-12-27 車両内装用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016A KR20140095016A (ko) 2014-07-31
KR101482007B1 true KR101482007B1 (ko) 2015-01-21

Family

ID=5061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671A KR101482007B1 (ko) 2012-12-27 2012-12-27 차량 내장용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98120B2 (ko)
JP (1) JP5444521B1 (ko)
KR (1) KR101482007B1 (ko)
CN (1) CN104024053B (ko)
DE (1) DE112012007279T5 (ko)
WO (1) WO20141028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5611A (zh) * 2014-10-16 2015-03-04 烟台正海汽车内饰件有限公司 一种喷涂产品及生产方法及其专用模具
CN104890586B (zh) * 2015-05-14 2017-05-17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行李箱地毯结构
CN105946736B (zh) * 2016-06-03 2018-03-13 上海汽车地毯总厂(沈阳)科技有限公司 两块承重基材上的软性织物连接装置及连接方法
JP6915827B2 (ja) * 2016-07-20 2021-08-04 盟和産業株式会社 積層板
US11230082B2 (en) 2016-10-24 2022-01-25 Honda Motor Co., Ltd. Automobile floor panel and automobile floor panel manufacturing method
CN109803857B (zh) * 2016-12-28 2022-09-23 株式会社森傳 汽车内饰板及其制造方法
AT519023B1 (de) * 2017-03-24 2018-03-15 Rosenbauer Int Ag Kabinenmodul sowie damit ausgestattetes Kraftfahrzeug
JP6884047B2 (ja) * 2017-06-16 2021-06-09 林テレンプ株式会社 車両用ボード構造体及び車両用ボード構造体の製造方法
US10286826B2 (en) * 2017-07-25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looring component
US11472491B1 (en) * 2018-01-26 2022-10-18 Pennplastics, Llc Vehicle frame and cargo bay liner
US11447189B1 (en) * 2018-01-26 2022-09-20 Pennplastics, Llc Vehicle frame and cargo bay liner
US20190375334A1 (en) * 2018-06-06 2019-12-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storage device
JP7339497B2 (ja) * 2019-04-26 2023-09-06 キョーラク株式会社 樹脂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7165301B2 (ja) * 2019-06-28 2022-11-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荷室ボード
KR20230154481A (ko) 2019-04-26 2023-11-08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트렁크 보드
EP3954597A1 (en) * 2020-08-11 2022-02-16 API CZ s.r.o. Base floor part, replacement floor, modular system and method for enlarging a rear cargo space of a motor vehicle
DE102021203684A1 (de) 2021-04-14 2022-10-2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aderaumboden für einen Fahrzeugladeraum
FR3138891A1 (fr) * 2022-08-17 2024-02-23 Dabireau Business habillage de protection de passage de roue positionnable à l’intérieur d’un véhicule roula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2208A (ja) 2004-12-28 2006-07-13 Kyoraku Co Ltd 車両用内装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18513A (ja) 2007-07-12 2009-01-29 Meiwa Ind Co Ltd 金属積層ボ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36664A (ja) 2009-12-29 2011-07-14 Kyoraku Co Ltd 車両用内装品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8176A (en) * 1937-12-28 1939-02-21 American Tissue Mills Composite sheet
US4194313A (en) * 1978-06-19 1980-03-25 Downing Displays, Inc. Articulated panel display
JPS5746743A (en) * 1980-08-29 1982-03-17 Mitsui Petrochemical Ind Corrugated cardboard sheet in synthetic resin
US4711046A (en) * 1985-02-27 1987-12-08 Herrgord Donald E Lightweight multi-panel display
DE3704377A1 (de) * 1985-08-17 1988-08-25 Rainer Bischoff Mobiles containersystem
US4906510A (en) * 1988-07-20 1990-03-06 Adolph Coor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hinge for laminated corrugated material
US5535558A (en) * 1994-07-26 1996-07-16 Mid-America Building Products Corporation Plastic roof vent and method of making
DE19518432A1 (de) * 1995-05-19 1996-11-21 Fischer Artur Werke Gmbh Vorrichtung zum variablen Unterteilen eines Kraftfahrzeug-Kofferraums und Festhalten des Ladegutes
JP3716708B2 (ja) 2000-06-12 2005-11-16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デッキボード
JP4044724B2 (ja) 2000-11-08 2008-02-06 株式会社森傳 自動車用床板の製造方法
US7690158B2 (en) * 2003-10-09 2010-04-06 Angeles Corporation Sight and sound barrier
CN100404316C (zh) * 2005-06-07 2008-07-2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抽屉式行李箱
KR101579520B1 (ko) * 2009-12-29 2015-12-22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수지 적층판의 제조 방법
US20110239505A1 (en) * 2010-03-15 2011-10-06 Steven Fink Multi-panel foamboard display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2208A (ja) 2004-12-28 2006-07-13 Kyoraku Co Ltd 車両用内装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18513A (ja) 2007-07-12 2009-01-29 Meiwa Ind Co Ltd 金属積層ボ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36664A (ja) 2009-12-29 2011-07-14 Kyoraku Co Ltd 車両用内装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44521B1 (ja) 2014-03-19
CN104024053B (zh) 2016-04-20
JPWO2014102867A1 (ja) 2017-01-12
WO2014102867A1 (ja) 2014-07-03
US20160200372A1 (en) 2016-07-14
DE112012007279T5 (de) 2015-09-24
KR20140095016A (ko) 2014-07-31
CN104024053A (zh) 2014-09-03
US9598120B2 (en)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007B1 (ko) 차량 내장용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0560B1 (ko) 차량 내장용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JP4421616B2 (ja) プラスチック製パネル
EP3093222B2 (en) Structural reinforcement system
KR101827233B1 (ko) 차량 크로스 부재 및 관련된 방법
KR102009526B1 (ko) 접착된 복합 플라스틱 부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부품
CA2615783A1 (en) Fire retardant panel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090188100A1 (en) Chassi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20190168818A1 (en) Vehicle cross members and related methods
JP2009508709A5 (ko)
US9394009B2 (en) Connection arrangement of structural units and method for connecting structural units
CN101784418A (zh) 具有改进的声学性能的复合顶蓬
US8366181B2 (en) Structural reinforcer applied to cut-out area of structural member
JP6940183B2 (ja) 車両内装用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116208A (ja) ハニカム構造内蔵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ハニカム構造内蔵ボードを含む車両のリアフロア構造
KR102363830B1 (ko) 특히 차량의 기술 프런트 페이스를 위하여, 중합체 재료를 이용하여 구조 요소에 대한 부착부를 통해 보강되어 조립되는 보강 인서트의 조립체
US11772715B2 (en) Composite panel with connecting strip and method
NL2018905B1 (en) Roof Module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of Module
JP2017047833A (ja) 車両内装用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