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329B1 -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 - Google Patents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329B1
KR101481329B1 KR1020130134527A KR20130134527A KR101481329B1 KR 101481329 B1 KR101481329 B1 KR 101481329B1 KR 1020130134527 A KR1020130134527 A KR 1020130134527A KR 20130134527 A KR20130134527 A KR 20130134527A KR 101481329 B1 KR101481329 B1 KR 101481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sliding
eyepiece
main beam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완
Original Assignee
김창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완 filed Critical 김창완
Priority to KR1020130134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61C13/02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for towing or transporting ships or for like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CSHIP-LIFTING DEVICES OR MECHANISMS
    • E02C5/00Mechanisms for lifting ships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을 수상으로 리프팅하여 정박하는 과정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정박의 편리성을 향상하면서도 안정적인 정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접안공간을 형성하는 접안시설에 배치되는 선박의 정박장치로서, 접안시설에 고정배치되는 프레임(1110) 및 상기 프레임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연결되고 상측에 선박을 지지하며 접안시설에 양단측이 지지되는 지지부(13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측에서 선박을 지지하는 메인빔(1310)과 상기 메인빔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슬라이딩빔(1400)으로 이루어지는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SHIP LIFTING APPARATUS FOR WHARF AND MOO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의 정박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을 수상으로 리프팅하여 정박하는 과정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정박의 편리성을 향상하면서도 안정적인 정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선박의 경우 강, 호수, 바다 또는 댐 등과 같은 수상에서 사용되며, 미사용시에는 접안시설에 계류되어 보관된다. 접안시설의 계류를 위하여 물가에 고정체를 구비하고 로프를 통하여 육상과 선박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보관시의 유실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접안시설로서 부잔교(浮棧橋)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부잔교란 박스 또는 원통형의 폰툰(pontoon)을 수상에 부상시키고 그 위에 소정의 바닥판을 배치하여 여객의 승하선시설로서 활용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폰툰은 목재, 강철제, 철근콘크리트재의 거룻배를 의미하며 부잔교의 본체를 구성하는데, 갑판, 상판 및 측벽은 대략 박스 구조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소정의 강성을 지니도록 이루어지고 수밀성을 갖추게 된다. 이러한 갑판 위에는 맨홀, 빌지홀, 체인홀, 통기구멍, 방현재, 페어리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부잔교의 접안공간에서 계류되는 선박과 부잔교가 파랑에 의하여 흔들리게 되고, 이때 선박과 부잔교가 충격하여 각각 변형 및 파손의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는 단지 부잔교의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육상과 연결하여 선박을 계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문제를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선박을 육상으로 인양하는 방식으로 보관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 과도한 시설, 동력 및 시간을 소요하게 되어 비경제적이고 상시적으로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를 가진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5466호는 '선착장의 부잔교용 분해조립식 부상(浮上)구조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접안시설에서 파랑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부양하여 선박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한 보관이 가능한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의 리프팅 및 고정 과정에서 탈착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접안공간을 형성하는 접안시설에 배치되는 선박의 정박장치로서, 접안시설에 고정배치되는 프레임(1110) 및 상기 프레임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연결되고 상측에 선박을 지지하며 접안시설에 양단측이 지지되는 지지부(13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측에서 선박을 지지하는 메인빔(1310)과 상기 메인빔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슬라이딩빔(1400)으로 이루어지는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딩빔이 메인빔에 수납된 상태에서 접안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빔은, 양측으로 형성되는 개구형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빔은,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슬라이딩빔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빔의 이동이 정확하게 가이드된다.
상기 메인빔은, 측단면상 'I'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빔은, 메인빔의 종방향으로 형성된 판재를 마주보도록 전후방으로 제1빔과 제2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인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1빔과 제2빔은, 각각 종방향으로 결합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빔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보강부재는 단일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1빔과 제2빔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빔과 제2빔은, 메인빔의 종방향으로 형성된 판재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상호간에 이격되어 슬릿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의 이동이 더욱 확실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빔의 상측에 결합되어 프레임에 구비되는 와이어에 연결되는 고정부(1330) 및 상기 메인빔의 상면과 고정부를 관통하여 체결시키는 체결부재(13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빔과 제2빔은,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체결부재와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으로서, 선박이 접안공간에 위치되면 와이어를 구동부에서 권취하여 메인빔의 상면에 선박을 안착하는 단계, 와이어를 통하여 지지부를 접안시설의 높이 이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메인빔으로부터 슬라이딩빔을 인출하여 접안시설의 상면과 슬라이딩빔의 저면을 마주보도록 하는 단계 및 와이어를 구동부에서 권취 해제하여 슬라이딩빔이 접안시설에 지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지지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로서 신뢰성 있는 정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은, 선박이 접안공간의 수상의 상측에 고정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박중에 파랑의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전한 보관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특히 선박과 부잔교의 상호간의 파랑에 의한 흔들림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이 완전하게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지지부를 적용함으로써 최소한의 장치로 간단하고 신속한 공정만으로 접안시설에 선박을 파랑의 영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조작자의 안전한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선착장 리프트장치의 저면도.
도 3은 도 1의 선착장 리프트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의 지지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지지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접안시설에 지지되는 프레임(1110)과, 상기 프레임(111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연결되고 상측에 선박(20)을 지지하고 접안시설에 양단측이 지지되는 빔 형태의 지지부(1300)를 포함하는 리프트장치(10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접안시설은 물가에 배치되어 육상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육상으로 연결되는 다양한 형태의 시설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부잔교 또는 부상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지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접안시설은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측으로 선박(20)이 입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선박(20)은 그 사이의 공간에 계류될 수 있다. 이때, 'ㄷ'자 형태의 폐쇄된 측은 육상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고, 양측의 가지 부위는 부잔교로서 형성될 수 있다. 양 가지측 사이에 형성되어 선박(20)이 저장되는 공간을 접안공간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선박은, 보트, 제트스키, 수상부유장치 또는 그 부품 등 다양한 수상 또는 수중에서 이동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접안시설(10)은 양측의 가지부위를 포함하며, 리프트장치(1000)의 프레임(1110)은 접안시설(10)에 양측이 지지되어 중심측의 접안공간을 정면상 감싸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측으로 선박(20)이 상하이동될 수 있는 리프팅공간을 마련한다.
프레임(1110)은 상측으로 횡방향으로 긴 빔을 구비하고, 상기 빔을 통하여 후술될 바와 같이 지지부(1300)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부(1300)는 횡방향으로 긴 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측에 선박(20)의 저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지지부재(1301)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1301)의 배치와 형상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300)의 메인빔(1310)은 최소한 접안공간의 횡방향의 폭 이하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선박(20)의 리프팅 동작을 위하여 바람직하고, 상기 메인빔(1310) 양측으로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빔(14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빔(1400)과 메인빔(1310)의 결합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빔(1310)과 프레임(1110)의 빔은 전후방향으로 선택된 개수로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00)는 상측에 선박(20)을 지지한 상태에서 프레임(1110)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프레임(1110)은 구동부(12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200)의 작동방식은 래칫기어, 체인, 링크바 형태 등 다양한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설비와 공간상의 이점을 고려하여 와이어(1220)가 권취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110)은 상측에서 구동부(1200)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1200)는 와이어를 외주연에 권취하는 윈치(winch)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00)의 양측으로는 와이어(1220)가 연장되어 각각의 단부측에서 메인빔(1310)의 대략 양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부(1200)의 회전동작에 따라 와이어(1220)가 장력을 제공하고 지지부(1300)는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110)은 와이어(1220)의 신축시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리프팅공간의 대략 사측 모서리부위에 가이드롤러(1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1220)의 장력에 의하여 선박(20)을 소정 높이, 바람직하게는 접안시설(10)의 수평 높이 이상으로 리프팅이 이루어지게 되면 메인빔(1310)으로부터 슬라이딩빔(1400)이 인출되어 슬라이딩빔(1400)의 저부에서 접안시설(10)의 가지부위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선박의 안전한 정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는 상기된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보는 저면도이다.
도면의 예에서는 슬라이딩빔(1400)이 인출되어 접안시설(10)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지지부(1300)는 대략 전후방측으로 두 개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배치상태와 개수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00)의 메인빔(1310)을 상호간에 연결할 수 있도록 전후방측으로 긴 형태의 지지부재(1301)가 배치될 수 있고, 상호간에 양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01)는 하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선박(20)의 하측의 지지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1301)의 상부는 선박(20)의 저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딩빔(1400)이 메인빔(1310) 측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지지부재(1301)에 선박(20)의 저부가 안착되면, 상기된 와이어(1220)의 작동에 의하여 접안공간의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고 그러면 슬라이딩빔(1400)이 인출되어 접안시설(10)에 저부가 지지된다. 도 2에서는 상기 슬라이딩빔(1400)이 4개소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슬라이딩빔(1400)의 배치상태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중의 분포를 고려하여 양측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되 최소한 4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상기된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박(20)이 생략된 상태로서 도시하고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프레임(1110)에는 구동부(1200)가 배치되어 와이어(1220)에 장력을 제공하는데, 상기된 바와 같이 지지부(1300)가 전후방측에 두 개로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지지부(1300)를 리프팅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되게 구동부(1200) 역시 두 개소에 배치될 수 있고 와이어(1220)도 이에 대응되어 각각 전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구동부(1200)는 단일로서 이루어지고 전후방측의 와이어(1220)에 함께 장력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각각의 와이어(1220)의 단부측은 지지부(1300), 더욱 정확하게는 메인빔(1310)의 대략 단부측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연결구조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지지부(1300)는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지지부재(1301)는 지지부(1300)의 상측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재(1301)는 선박(20)의 저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메인빔(1310)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에서 지지부를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부(1300)는 직접 선박(20)을 지지하는 메인빔(1310)과 상기 메인빔(1310)의 양측에서 슬라이딩 인출되는 슬라이딩빔(1400)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빔(1400)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개구 형태의 가이드부(1410)를 구비하고, 메인빔(1310)은 상기 가이드부(1410)에 삽입되어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전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재(1320)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320)는 가이드부(1410)를 전방 및/또는 후방측으로 관통하여 배치되되 슬라이딩빔(1400)의 전후방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단부측에서 슬라이딩빔(1400)의 전후면에 밀착될 수 있는 소정의 넓이를 가진 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320)의 단부는 예를 들어, 와서(washers)나 볼트의 헤드부위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410)는 슬라이딩빔(1400)의 인출되는 길이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딩빔(1400)의 인입출에 따라 가이드부재(1320)에 의하여 가이드부(1410)가 이동되면서 수평방향으로의 정확한 안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320)는 메인빔(1310)의 일측에 두 개가 배치되는 예가 도시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410)는 가이드부재(1320)에 대해 실질적으로 두 가지의 포지션으로 위치될 수 있는데, 즉 상기 포지션은 인출상태와 수납상태로 정의될 있다.
따라서, 상기 두 가지 포지션의 상태를 고정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슬라이딩빔(14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1410)는 가이드부재(1320)에 걸림될 수 있는 소정의 안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은 선택된 개수와 형상 및 배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슬라이딩빔(1400)의 자중을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가이드부재(1320)의 가이드부(1410)를 관통하는 모양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부(1410)의 상측에 오목한 형태의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착홈은 가이드부재(1320)가 두 개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외측으로부터 제1안착홈(1411), 제2안착홈(1412) 및 제3안착홈(14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인접되는 안착홈 사이의 간격은 가이드부재(1320)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며, 수납상태에서는 제1안착홈(1411)과 제2안착홈(1412)에 가이드부재(1320)가 걸림되어 보관상태 또는 선박(20)의 리프트상태에서 의도하지 않은 인출을 방지하며, 인출상태에서 제2안착홈(1412) 및 제3안착홈(1413)에 가이드부재(1320)가 걸림되어 선박(20)의 지지를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안착홈(1412)과 제3안착홈(1413)이 가이드부재(1320)보다 더욱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제3안착홈(1413)은 내측의 가이드부재(1320)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빔(1400)은 실질적으로 메인빔(1310)보다 단면의 면적이 작게 형성되고 폭을 크게 하는데에도 한계가 있다. 선박(20)의 지지상태에서 모든 하중은 실질적으로 슬라이딩빔(1400)에만 집중되기 때문에 강성의 보강을 위하여 각각의 슬라이딩빔(1400)은 보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는 높이방향으로의 강성을 보강하여야 하는바, 슬라이딩빔(1400)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고, 최소한 두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의 예와 같이, 외측으로부터 외측보강부재(1421), 중심측보강부재(1422) 및 내측보강부재(1423)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보강부재의 배치 및 형상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외측보강부재(1421)는 슬라이딩빔(1400)의 선단에 배치되므로, 슬라이딩빔(1400)의 단면이 후술될 바와 같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대부분을 덮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외측보강부재(1421)는 중심측보강부재(1422) 및 내측보강부재(1423)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또한, 메인빔(1310)과 와이어(1220)의 연결을 위하여 메인빔(1310)의 단부측 상면에는 고정부(1330)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부(1330)가 별도의 부재로서 이루어지는 경우 체결부재(1332)가 메인빔(131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체결하도록 하고, 전후방 또는 좌우방으로 형성된 고정홀(1331)에 와이어(1220)가 관통되어 상호간에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고정부(1330)는 메인빔(1310)의 일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관통홀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체결부재(1332)가 메인빔(1310)과 고정부(133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볼트와 너트로서 이루어지는 경우 하측에서 슬라이딩빔(1400)의 이동에 장애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메인빔(1310)은 측단면상 'I'형의 빔일 수 있다. 즉, 상하면에 평판 형태의 부재와 상하측을 단일의 판재가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하게 된다.
이때, 'I'자 형 빔의 종방향 판재의 양측으로는 소정의 'ㄷ'자형의 슬라이딩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슬라이딩공간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딩빔(1400)은 전후방으로 마주보는 'ㄷ'자 형의 부재가 상호간에 연결된 형태로서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슬라이딩빔(1400)은 전후방측에 배치되는 제1빔(1430)과 제2빔(1440)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메인빔(1310)의 종방향 판재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제1빔(1430)과 제2빔(1440)이 상호간에 이격되어 상기 종방향 판재에 의하여 인입출시 가이드가 가능하도록 좌우방향으로 긴 슬릿부(14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빔(1400)을 형성하는 제1빔(1430)과 제2빔(1440)은 상호 배면된 상태로서 이격되어 배치되고 'ㄷ'자 형의 공간 내부에 가이드부재(1320)가 배치되고 중심측에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부(1410)에 의하여 인출 가이드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된 외측보강부재(1421)는 상호간에 이격된 상태의 제1빔(1430)과 제2빔(1440)을 연결하도록 단일의 부재로서 배치되고, 상기 중심측보강부재(1422) 및 내측보강부재(1423)는 제1빔(1430)과 제2빔(1440)의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1332)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빔(1400)을 이루는 제1빔(1430)과 제2빔(1440)의 상면에는 상하를 관통하도록 개구부(1431, 14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431, 1441)는 대략 체결부재(1332)의 하단부측의 폭 이상으로 형성되며, 횡방향으로의 길이는 슬라이딩빔(1400)의 인출되는 길이를 고려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상기된 본 발명의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에서 지지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된 예에서와 같이 메인빔(1310)은 'I'자 형태를 이루고, 그 양측의 공간에 대략 'ㄷ'자 형태의 제1빔(1430)과 제2빔(1440)이 배면되고 이격된 상태로서 배치된다.
메인빔(1310)의 종방향 판재 및 제1빔(1430)과 제2빔(1440)을 전후방으로 관통하여 가이드부재(1320)가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320)는 제1빔(1430)과 제2빔(1440)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410)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가이드부재(1320)는 제1가이드부재(1321)와 제2가이드부재(1322)로 배치되는 예가 도시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들은 볼트와 너트 및 와셔의 결합관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410)는 슬라이딩빔(1400)의 인입출에 따라 가이드부재(1320)에 의하여 슬라이딩 가이드되면서 정확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빔(1430)과 제2빔(1440)의 종방향의 강성을 고려하여 단부측에서는 상호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단일의 판재로서 외측보강부재(142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빔(1400)의 내측 및 좌우방향의 경로 상에는 내측보강부재(1423) 및 중심측보강부재(1422)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보강부재(1421)의 경우 슬라이딩 이동 간에 가이드부재(1320)와의 간섭 가능성은 매우 적고, 경우에 따라 수납상태에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로서 기능을 할 수도 있다.
그런데, 내측보강부재(1423)와 중심측보강부재(1422)는 슬라이딩 이동시 가이드부재(1320)의 간섭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각각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가이드부재(1320)가 이동될 수 있는 소정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보강부재(1423)와 중심측보강부재(1422)는 대략 중심측 즉, 종방향 판재의 방향을 지향하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부(1330)는 메인빔(1310)의 단부측 상단에 결합되며, 측면상 대략 'ㅗ'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부측에서는 메인빔(1310)의 상판과 관통되어 체결부재(1332)가 고정부(1330)와 메인빔(1310)을 결합하고, 상측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형성되는 고정홀(1331)에 와이어(12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홀(1331)과 와이어(1220)의 연결은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보수성 등을 고려하여 고리형태의 부재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332)에 의한 슬라이딩빔(1400)의 이동시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빔(1430)과 제2빔(1440)의 상측에는 상하방향을 관통하는 개구부(1431, 1441)가 형성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러한 개구부(1431, 1441)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슬라이딩빔(1400)의 가동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1빔(1430)과 제2빔(1440)은 상호간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슬릿부(1450)를 형성하며, 이러한 슬릿부(1450)를 통하여 1차적으로 메인빔(1310)의 종방향부재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이드가 이루어지고, 가이드부(1410)를 통하여 2차적인 슬라이딩 가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사항에서 지지부재(1301)는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지지부재(1301)와 메인빔(1310) 사이의 고정을 위하여 소정의 연결부재(참조번호 미표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의 형상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접안시설은 부잔교와 같은 시설에 의하여 소정의 접안공간을 형성하고, 이에 선박이 정박을 위하여 접근하게 된다.
선박(20)이 접안공간에 접근하기 전에 미리 슬라이딩빔(1400)이 수납된 상태의 지지부(1300)가 수중으로 인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그 상측에 선박(20)이 위치되면 구동부(1200)를 가동하여 와이어(1220)에 장력을 제공하고 지지부재(1301)에 선박(20)의 저면이 안착된다.
와이어(1220)에 의한 지지부(1300)의 리프팅에 따라 선박(20)은 수상으로 끌어올려지게 되는데 지지부(1300)의 저부가 접안시설(10)의 가지부위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더욱 정확하게는 접안시설(10)의 높이보다 높게 배치되면 슬라이딩빔(1400)을 메인빔(1310)으로부터 인출하여 슬라이딩빔(1400)의 저면이 접안시설(10)의 상면을 지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빔(1400)의 가이드부(1410)에 형성되는 제2안착홈(1412) 및 제3안착홈(1413)이 가이드부재(1320)에 걸림되어 인출상태를 유지하고, 와이어(1220)의 구동부(1200)를 풀어감에 따라 장력이 해제되어 선박(20) 및 리프트장치(1000)의 하중이 슬라이딩빔(1400)을 통하여 지지된다.
이에 따라 선박(20)은 접안공간의 수상의 상측에 고정배치되고, 정박중에 파랑의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전한 보관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특히 선박(20)과 부잔교의 상호간의 파랑에 의한 흔들림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이 완전하게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선박(20)을 다시 수상으로 내려놓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면, 슬라이딩빔(1400)의 메인빔(1310)으로의 수납을 위한 슬라이딩 동작 전에 슬라이딩빔(1400)과 접안시설의 이격을 위하여 소정의 리프팅 동작이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동부(1200)는 와이어(1220)에 장력을 제공하여 지지부(1300)를 소정 간격 접안시설(10)로부터 이격시키고 조작자는 슬라이딩빔(1400)을 메인빔(1310) 측으로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된 실시예에서 제1안착홈(1411)과 제2안착홈(1412)이 가이드부재(1320)에 걸림되어 수납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그러면, 와이어의 권취상태를 해제해가도록 구동부(1200)를 회전하여 지지부(1300)를 수중으로 이동시키고 선박(20)은 부력에 의하여 수상에 부상하게 된다. 이때 선박이 이동되면 다시 슬라이딩빔(1400)의 수납상태에서 지지부(1300)를 리프팅하여 보관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1000) 및 선박 지지방법은 최소한의 장치로서 간단하고 신속한 공정만으로 접안시설에 선박(20)을 파랑의 영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조작자의 안전한 조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리프트장치 1110...프레임
1200...윈치부 1210...가이드롤러
1220...와이어 1300...지지부
1301...지지부재 1310...메인빔
1320...가이드부재 1330...고정부
1331...고정홀 1332...체결부재
1400...슬라이딩빔 1410...가이드부
1411...제1안착홈 1412...제2안착홈
1413...제3안착홈 1421...외측보강부재
1422...중심측보강부재 1423...내측보강부재
1430...제1빔 1431...개구부
1440...제2빔 1441...개구부
1450...슬릿부

Claims (10)

  1. 접안공간을 형성하는 접안시설에 배치되는 선박의 정박장치로서,
    접안시설에 고정배치되는 프레임(1110); 및
    상기 프레임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연결되고 상측에 선박을 지지하며 접안시설에 양단측이 지지되는 지지부(130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측에서 선박을 지지하는 메인빔(1310)과, 메인빔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인출되고 메인빔의 종방향으로 형성된 판재를 마주보도록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제1빔과 제2빔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빔(14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빔과 제2빔은, 메인빔의 종방향으로 형성된 판재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상호간에 이격되어 슬릿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딩빔이 메인빔에 수납된 상태에서 접안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빔은, 양측으로 형성되는 개구형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빔은,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슬라이딩빔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빔은, 측단면상 'I'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빔과 제2빔은, 각각 종방향으로 결합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빔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보강부재 단일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1빔과 제2빔을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빔의 상측에 결합되어 프레임에 구비되는 와이어에 연결되는 고정부(1330); 및
    상기 메인빔의 상면과 고정부를 관통하여 체결시키는 체결부재(1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빔과 제2빔은,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체결부재와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10. 접안공간을 형성하는 접안시설에 배치되는 선박 리프트장치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으로서,
    선박이 접안공간에 위치되면 와이어를 구동부에서 권취하여 메인빔의 상면에 선박을 안착하는 단계;
    접안시설에 고정배치되는 프레임에 대해 와이어를 통하여 메인빔을 접안시설의 높이 이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메인빔으로부터 슬라이딩빔을 양측으로 인출하여 접안시설의 상면과 슬라이딩빔의 저면을 마주보도록 하는 단계; 및
    와이어를 구동부에서 권취 해제하여 슬라이딩빔이 접안시설에 지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지지방법.

KR1020130134527A 2013-11-07 2013-11-07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 KR101481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527A KR101481329B1 (ko) 2013-11-07 2013-11-07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527A KR101481329B1 (ko) 2013-11-07 2013-11-07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329B1 true KR101481329B1 (ko) 2015-01-14

Family

ID=5258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527A KR101481329B1 (ko) 2013-11-07 2013-11-07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3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393A (ko) * 2017-07-25 2019-02-07 현대건설주식회사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한 조류발전장치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류발전장치 시공방법
KR102129966B1 (ko) * 2019-05-28 2020-07-03 정석기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KR20220090618A (ko)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오리온아이 보트 이송용 행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91U (ja) * 1993-08-03 1995-03-07 財団法人シップ・アンド・オーシャン財団 タンカー貨油槽内自走式自動検査装置の移動用案内装置
KR100445866B1 (ko) * 2001-11-05 2004-08-30 황인철 선박용 복합 대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91U (ja) * 1993-08-03 1995-03-07 財団法人シップ・アンド・オーシャン財団 タンカー貨油槽内自走式自動検査装置の移動用案内装置
KR100445866B1 (ko) * 2001-11-05 2004-08-30 황인철 선박용 복합 대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393A (ko) * 2017-07-25 2019-02-07 현대건설주식회사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한 조류발전장치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류발전장치 시공방법
KR102034347B1 (ko) * 2017-07-25 2019-10-18 현대건설주식회사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한 조류발전장치 시공 시스템
KR102129966B1 (ko) * 2019-05-28 2020-07-03 정석기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KR20220090618A (ko)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오리온아이 보트 이송용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10624B2 (en) Ocean going transport vessel with docking arrangements
KR100732876B1 (ko) 임시적인 부양 안정화 장치 및 방법
FI114306B (fi) Menetelmä ja ponttoni kannen asentamiseksi kelluvalle meritekniselle alusrakenteelle
KR20000010566A (ko) 보트의 진수 및 양육 장치
US3361274A (en) Lighter lifting and stacking devices
KR101206759B1 (ko) 소형 선박 부양장치
KR101481329B1 (ko)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
KR102111988B1 (ko) 이동식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NO145500B (no) Dokk av den art som omfatter en flytende plattform
US4048937A (en) Cargo carrying vessel having at least one cargo carrying deck
KR101531592B1 (ko) 헬리데크 격납부를 갖는 선박
JP2020023233A (ja) 緊張係留式浮体構造物の撤去方法
KR101587875B1 (ko) 다기능 독
WO2015136086A1 (en) A quay structure, a quay arrangement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structure
KR20150137353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추가 부력탱크 탈착구조
JP6681191B2 (ja) 浮体設備の建造方法、及び、浮体設備の浮体構造体
US20220243415A1 (en) Installation arrangement with jack-up rig and a barge and a method for setting up the installation arrangement
KR101606693B1 (ko) 바지선의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방법
CN106629378B (zh) 一种将船舶移至岸上或干船坞内的吊运装置及方法
KR100967887B1 (ko)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RU2561491C1 (ru) Волностойкая морская грузоподъёмная платформа (вмгп)
KR810001197B1 (ko) 선박 도킹 플랜트
KR101584571B1 (ko)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 및 상기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
DK2844541T3 (en) Ship with vertical draught system
KR810001447B1 (ko) 부선 운반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