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036B1 -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 감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 감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036B1
KR101481036B1 KR20080045032A KR20080045032A KR101481036B1 KR 101481036 B1 KR101481036 B1 KR 101481036B1 KR 20080045032 A KR20080045032 A KR 20080045032A KR 20080045032 A KR20080045032 A KR 20080045032A KR 101481036 B1 KR101481036 B1 KR 101481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ipocyte
adipocytes
differenti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rachidonyldop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45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159A (ko
Inventor
신동욱
노민수
이형호
이상민
송민정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080045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036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Abstract

본 발명은 아라키도닐 도파민(arachidonyl dopamine)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lipid droplet)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아라키도닐 도파민은 지방세포의 분화뿐만 아니라 분화된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비만 또는 지방종(lipoma)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미용 또는 성형 목적의 지방조직 감소에도 유용하다.

Description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 감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RACHIDONYL DOPAMINE FOR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 AND LOWERING LEVELS OF LIPID DROPLET IN ADIPOCYTE}
본 발명은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엔도카나비노이드(endocannabinoid)는 인간 생체에서 다양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들은 한 세포에서 분비되어 인접한 다른 세포에 존재하는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세포내 지질 신호 운반 전달자(lipid messenger)로서 기능을 한다. 특히, 후신경말단세포(postsynaptic cell)에서 분비되어 전신경말단세포(presynaptic cell)에 있는 수용체에 작용하여, 일반적인 신경 전달물질의 방출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등의 역행성 신호전달(retrograde signaling)의 기작을 가진다. 지금까지 세 종류의 카나비노이드가 밝혀졌는데, 대마류 식물에서 독특하게 발생하는 파이토카 나비노이드(phytocannabinoid), 사람과 동물의 몸에서 발생하는 내인성 카나비노이드 (endogenous cannabinoid), 합성 카나비노이드(synthetic cannabinoid)가 그것이다. 또한 이들이 관여하는 수용체로 크게 두 가지가 밝혀졌는데, 하나는 카나비노이드 수용체(cannabinoid receptor)이며, 다른 하나는 TRPV1(transient recetor potential vanilloid 1) 수용체이다.
포유동물 조직은 G단백질과 결합된 두 가지 카나비노이드 수용체 유형, 즉 CB1과 CB2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 CB1 수용체는 주로 신경 말단에 분포하여, 신경전달물질이 방출되는 것을 저해하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CB2 수용체는 주로 면역세포에서 발현되며, 싸이토카인(cytokine)의 방출을 조절하는 등 항염 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Lambert et al., J. Med. Chem., 48:5059-5087, 2005). 한편, TRPV1 수용체는 비선택적인 리간드에 의해 열리는 채널 단백질로서 다양한 내외부적인 자극에 의해서 활성화된다. TRPV1 수용체는 주로 중추 및 부교감 신경계에서 발현되며, 통증의 전달 및 조절과 다양한 통증 자극의 통합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Caterina et al., Annu. Rev. Neurosci, 24: 487-517, 2001).
상기 세 가지 카나비노이드 중 내인성 카나비노이드는 모두 에이코사노이드 (eicosanoid) 계열이며, 이 중에서 특히, 아라키도노일 에탄올아마이드(arachidonoyl ethanolamide; AEA), 2-아라키도노일 글리세롤(2-arachidonoyl glycerol; 2-AG) 및 아라키도닐 도파민이 잘 알려져 있다. 내인성 카나비노이드는 대부분 G단백질이 결합된 카나비노이드 수용체, CB1과 CB2 뿐만 아니라, 캡사이 신(capsaicin)과 열에 활성을 띠는 TRPV1 수용체에도 결합한다. 예로서, 아라키도노일 에탄올아마이드는 CB1 수용체에 결합하여, 교감신경계에서 신경전달물질의 방출 저해를 유발하는 것 외에 TRPV1 수용체에도 결합하여 교감신경을 활성화시켜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유발하며, 혈관 확장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Ralevic et al., Eur. J. pharmacol, 472: 1-21, 2003). 2-아라키도노일 글리세롤도 비슷한 친화도로 CB1 수용체에 더 잘 결합하며 뇌에서는 아라키도노일 에탄올아마이드보다 더 높은 농도로 존재한다고 밝혀졌다(Stella et al., Nature, 388: 773-778, 1997). 아라키도닐 도파민 역시 CB1 수용체에 더 잘 결합되어 반응하며, 바닐로이드 수용체 서브타입 1(vanilloid receptor subtype 1; VR1)에 대한 작용제로서 알려졌다(Bisogno et al., Biochem. J., 351: 817-824, 2000).
최근에 사람의 지방 세포에서도 CB1 및 CB2가 모두 세포막에서 발현된다고 밝혀졌으며, CB1을 활성화시켰을 경우 세포내 cAMP가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CB 수용체들이 지방세포의 염증 반응의 조절과 에너지 균형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어떤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oche et al., Histochem. Cell. Biol., 126: 177-187. 2006).
이런 지방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분화되거나, 지방세포내의 지질체(lipid droplet)의 함량에 이상이 있을 경우, 비만 또는 지방종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들이 나타난다고 알려졌다. 따라서, 이런 질환들을 치유하기 위하여,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함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에 있어서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 뿐만 아니라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도 사용되고 있다. 특히, 중간엽줄기세포는 피하 조직 등에서 채취한 지방전구세포를 완전한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과 거의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지방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방세포 분화의 연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Xu et al., Exp. Cell Res., 312: 1856-1864, 2006; 및 Pittenger et al., Science., 284: 143-146, 1999).
이처럼 지방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중간엽줄기세포는 신체의 대부분의 조직에 분포되어 있으며, 지방세포뿐만 아니라 연골세포, 뼈세포 등의 다른 유형의 세포로도 분화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Meirelles et al., J. Cell Sci., 119: 2204-2213, 2006). 중간엽줄기세포는 그것이 어느 조직으로부터 유래한 것인지에 따라 그 성질 또는 특성에 있어서 미세한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유사한 성질 또는 특성을 가진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Sakaguchi et al., Arthritis Rheumat., 52: 2521-2529. 2005).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같은 성질로서 인식되는 내인성 엔도카나비노이드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는 바, 인간의 중간엽줄기세포에 아라키도노일 에탄올아마이드, 2-아라키도노일 글리세롤 및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처리한 결과, 다른 두 엔도카나비노이드들과 달리, 아라키도닐 도파민만이 중간엽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이미 분화된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을 감소시킴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문헌 1] Lambert et al., J. Med. Chem., 48:5059-5087, 2005
[문헌 2] Caterina et al., Annual. Rev. of Neuroscience, 24: 487-517, 2001
[문헌 3] Ralevic et al., Eur. J. pharmacol, 472: 1-21, 2003
[문헌 4] Stella et al., Nature, 388: 773-778, 1997
[문헌 5] Bisogno et al., Biochem. J., 351: 817-824, 2000
[문헌 6] Roche et al., Histochem. Cell. Biol., 126: 177-187. 2006
[문헌 7] Xu et al., Exp. Cell Res., 312: 1856-1864, 2006
[문헌 8] Pittenger et al., Science, 284: 143-146, 1999
[문헌 9] Meirelles et al., J. Cell Sci., 119: 2204-2213, 2006
[문헌 10] Sakaguchi et al., Arthritis Rheumat., 52: 2521-2529. 200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함에 있어서 아라키도닐 도파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를 감소시킴에 있어서 아라키도닐 도파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라키도닐 도파민은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비만 또는 지방종(lipoma)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미용 또는 성형 목적의 지방조직 감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중간엽줄기세포를 아라키도닐 도파민으로 처리하였을 때 지방세포 분화가 억제될 뿐만 아니라, 이미 분화가 완료된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이 감소된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아라키도닐 도파민에 의해 지방세포 분화가 억제되고 분화된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이 감소될 때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유전자들, 예를 들어, 지방산 결합 단백질 4(FABP4), 렙틴수용체(leptin receptor), 아디포넥틴(adiponectin), g 타입의 퍼옥시좀 증식-활성화 수용체(pe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 gamma, PPAR g)의 전사 수준이 감소된다는 것을 밝혔다(도 4 참조). 나아가, CB1 수용체로 알려진 아라키도노일 에탄올아마이드(AEA)와 비교한 결과, 아라키도닐 도파민에서 상기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유전자들이 상대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5 참조).
이에, 본 발명은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지방조직의 비대화와 관련된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지방조직의 비대화와 관련된 질환으로는 비만 및 지방종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지방세포 분화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의 지방전구세포 또는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골수로부터 유래한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지방조직을 감소시킨다. 상기 지방조직의 감소로 인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만 및 지방종의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조직의 감소로 인해 미용 또는 성형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글리신), 활 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형으로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다.
유효 성분으로서 아라키도닐 도파민은 사람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게 하루에 0.1 mg/kg 내지 1 mg/kg을 비경구적 경로 또는 지방조직이 있는 부위에 국소적으로 1일 1회 또는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증상의 중증도, 선택된 투여 경로,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및 건강상태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대한 아라키도닐 도파민의 효과
(1)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 배양 및 아라키도닐 도파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확인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hBM-MSCs)를 론자사(Lonza, Inc. Walkersville, MD, USA)에서 구입하여 론자사의 지침서에 따라 배양하였다. 지방세포 분화는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대신 트로글리타존(troglitazone; TRO)을 사용하여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한 점을 제외하고는 론자사에서 권장하는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간엽줄기세포 배양액에 인슐린 1 μg/ml,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A) 1 μM, 이소부틸메틸잔틴(isobutylmethylxanthine; IBMX) 0.5 mM 및 트로글리타존(TRO) 1 μM을 넣고 배양하여 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켰으며, 실험군의 경우, 지방세포 분화 유도시에 아라키도닐 도파민 10 μM을 배지에 첨가하였다. 중간엽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를 시작한 지 7일 또는 15일 후,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고, 10 ml의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포를 세척한 후, 10% 포르말린/PBS 용액 0.2 ml/cm2을 사용하여 세포를 10분간 고정시켰다. 고정된 세포를 60% 이소프로판올 용액 0.5 ml/cm2로 1회 세척 하고, 오일레드오(Oil Red O)를 60% 이소프로판올에 녹인 염색액 0.2 ml/cm2로 10분간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를 염색하였다. 이어서, 헤마톡실린(hematoxylin)으로 재염색하여 세포핵이 쉽게 구분되도록 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라키도닐 도파민은 중간엽줄기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의한 수준으로 유도하지 않으면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였다.
(2) 아라키도닐 도파민의 인간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의 정량적 측정
(1)에서와 같이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되, 5개의 군으로 나누어 A군에는 인슐린 1 μg/ml만 처리하고(대조군), B군에는 인슐린 1 μg/ml, DEXA 1 μM, IBMX 0.5 mM(IDX) 및 TRO 1 μM을 처리하였고, C, D 및 E군은 IDX 와 TRO 1 μM 외에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각각 10 μM, 3 μM 및 1 μM씩 처리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1)에서와 같이 지방세포를 오일레드오로 염색한 후, 염색된 오일레드오를 100% 이소프로판올 용액으로 용출시킨 후 500 나노미터(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TRO에 의해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한 경우, 아라키도닐 도파민이 처리되지 않은 군(B군)에 비해 10 μM 및 3 μM의 아라키 도닐 도파민이 처리된 실험군(C 및 D군)에서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각각 73% 및 23% 정도 감소하였다. 1 μM의 아라키도닐 도파민이 처리된 경우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 결과로부터, 아라키도닐 도파민이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분화된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에 대한 아라키도닐 도파민의 효과
실시예 1의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를 배양하고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한 후 아라키도닐 도파민 10 μM 및 1μM을 각각 처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를 실시예 1의 (1)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배양하고 지방세포 분화를 15일 동안 유도하여 50% 이상의 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된 시점에서 아라키도닐 도파민으로 7일 동안 처리하였다. 분화된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위해, 실시예 1의 (1) 및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오일레드오 염색/헤마톡실린 재염색 및 흡광도 측정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의해 확인된 바와 같이, 아라키도닐 도파민은 중간엽줄기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의한 수준으로 유도하지 않으면서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을 10μM의 아라키도닐 도파민의 농도에서 54% 정도 감소시켰다(도 3 참조). 이 결과로부터, 아라키도닐 도파민이 이미 분화된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을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지방세포와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 수준에 대한 아라키도닐 도파민의 효과
실시예 1 및 2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아라키도닐 도파민에 의해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억제되고, 분화된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이 감소하는데, 이때 지방세포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패턴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인간의 골수 중간엽 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한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에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10 mM 농도로 7일간 처리한 후, 트리졸 시약(Trizol reagent, 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여 세포 내의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를 키아젠사의 RNA 키트(Qiagen RNeasy kit, Qiagen, Valencia, CA)로 한번 더 정제한 후, 애질런트사의 바이오어낼라이저 2100 모델 기기(Agilent 2100 BioAnalyzer,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를 사용하여 RNA의 질(quality)을 확인하였다. 인비트로젠사의 역전사키트(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RT) II kit, Invitrogen, Carlsbad, CA)를 이용하여 상기 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였고, 이를 실시간 역전사 중합 효소 연쇄반응(real time-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으로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 시 및 분화된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 감소 시, 하기 지방세포 관련 유전자의 발현 패턴 변화를 플라이드바이오시스템 사의 택맨 유전자 발현 시스템(TaqMan® gene expression assay kit,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렙틴수용체(Hs00174497_m1), 아디포넥틴(Hs00605917_m1), FABP4(Hs0060 9791_m1) 및 PPARg(Hs00233423_m1).
10 mM의 아라키도닐 도파민으로 처리하였을 때, 지방세포 관련 유전자인 아디포넥틴(ADIPOQ), 렙틴수용체(LEPR), FABP4 및 PPARγ의 전사 수준이 감소하였다 (도 4 참조). 도 4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아라키도닐 도파민이 지방세포 관련 유전자들이 관여하는 세포 내 특정 기전을 조절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고 분화된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아라키도닐 도파민과 다른 CB1 작용제로 알려진 10 mM의 아라키도노일 에탄올아마이드 및 2-아라키도노일 글리세롤을 각각 처리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지방세포 관련 유전자인 아디포넥틴, 렙틴수용체, FABP4 및 PPARγ의 전사수준을 분석하였다. 아라키도닐 도파민의 경우, 아라키도노일 에탄올아마이드 및 2-아라키도노일 글리세롤에 비해 특히 아디포넥틴 및 FABP4의 전사수준을 현저히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참조).
도 1은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인간의 중간엽줄기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지방세포 분화가 억제되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오일레드오 염색액으로 지방세포의 지질체를 염색하였을 때, 10 μM 농도에서 아라키도닐 도파민이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함을 보여주는 결과이고,
도 2는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한 중간엽줄기세포에 오일레드오 염색액으로 염색한 후, 이를 이소프로판올에 녹인 후 50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정량화하였을 때, 아라키도닐 도파민이 용량 의존적으로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함을 보여주는 결과이고,
도 3은 인간의 중간엽줄기세포를 15일간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한 후,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10 μM 농도로 7일간 처리하였을 때, 감소된 지질체를 정량적으로 보여주는 결과이고,
도 4는 인간의 중간엽줄기세포를 15일간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한 후,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10 μM 농도로 7일간 처리한 후, 수확한 RNA로부터 세포 내의 지방세포 관련 유전자인 아디포넥틴, 렙틴수용체, FABP4 및 PPARγ의 mRNA 발현을 Q-RT-PCT로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이고,
도 5는 인간의 중간엽줄기세포를 15일간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한 후, 아라키도노일 에탄올아마이드 및 2-아라키도노일 글리세롤 각각을 10 μM 농도로 7일간 처리한 후, 수확한 RNA로부터 세포 내의 지방세포 관련 유전자인 아디포넥틴, 렙틴수용체, FABP4 및 PPARγ의 mRNA 발현을 Q-RT-PCT로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Claims (8)

  1. 아라키도닐 도파민(arachidonyl dopamine)을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방종(lipoma)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080045032A 2008-05-15 2008-05-15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 감소용 약학 조성물 KR101481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5032A KR101481036B1 (ko) 2008-05-15 2008-05-15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 감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5032A KR101481036B1 (ko) 2008-05-15 2008-05-15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 감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159A KR20090119159A (ko) 2009-11-19
KR101481036B1 true KR101481036B1 (ko) 2015-01-09

Family

ID=4160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45032A KR101481036B1 (ko) 2008-05-15 2008-05-15 아라키도닐 도파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지방세포 내의 지질체 수준 감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0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3600A2 (en) 2004-05-18 2005-12-01 Haptogen Ltd Methods for the control, treatment and management of obesity
KR20070089151A (ko) * 2004-11-16 2007-08-30 지더블유 파마 리미티드 카나비노이드의 새로운 용도
WO2007138322A1 (en) 2006-06-01 2007-12-06 Gw Pharma Limited New use for cannabinoid
KR20080035510A (ko) * 2005-05-04 2008-04-23 프로노바 바이오파마 너지 에이에스 새로운 dha 유도체 및 약제로서의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3600A2 (en) 2004-05-18 2005-12-01 Haptogen Ltd Methods for the control, treatment and management of obesity
KR20070089151A (ko) * 2004-11-16 2007-08-30 지더블유 파마 리미티드 카나비노이드의 새로운 용도
KR20080035510A (ko) * 2005-05-04 2008-04-23 프로노바 바이오파마 너지 에이에스 새로운 dha 유도체 및 약제로서의 용도
WO2007138322A1 (en) 2006-06-01 2007-12-06 Gw Pharma Limited New use for cannabino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159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an et al. Exosomes derived from MicroRNA-146a-5p-enriched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alleviate intracerebral hemorrhage by inhibiting neuronal apoptosis and microglial M1 polarization
Wang et al. Capacitative calcium entry and TRPC channel proteins are expressed in rat distal pulmonary arterial smooth muscle
Xu et al. Excessive mechanical stress induces chondrocyte apoptosis through TRPV4 in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transected rat osteoarthritis model
Schmuck et al. Activation of meningeal 5‐HT2B receptors: an early step in the generation of migraine headache?
Li et al. Homing of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mediated by sphingosine 1-phosphate contributes to liver fibrosis
Izquierdo et al. TWEAK (tumor necrosis factor–like weak inducer of apoptosis) activates CXCL16 expression during renal tubulointerstitial inflammation
Facci et al. Serum amyloid A primes microglia for ATP-dependent interleukin-1β release
Hofmann et al. Classical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6 (TRPC6) channels support myofibroblast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experimental pulmonary fibrosis
Teixeira et al. NPY revealed as a critical modulator of osteoblast function in vitro: new insights into the role of Y1 and Y2 receptors
Cao et al. Naringin rescued the TNF-α-induced inhibition of osteogenesis of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by depressing the activation of NF-кB signaling pathway
Gavrilyuk et al. Identification of complement 5a‐like receptor (C5L2) from astrocytes: characterization of anti‐inflammatory properties
Tsuji et al.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agonists as candidates for anti-inflammatory and immunomodulatory agents
Li et al. TGF-β and NF-κB signaling pathway crosstalk potentiates corneal epithelial senescence through an RNA stress response
José et al. Recombinant human ZP3-induced sperm acrosome reaction: evidence for the involvement of T-and L-type voltage-gated calcium channels
Gao et al. miR-199a-3p regulates brown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mTOR signaling pathway
EP3262021B1 (en) Treatment method, compounds, and method of increasing trpv2 activity
Marquez-Exposito et al. Gremlin regulates tubular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 via VEGFR2: potential role in renal fibrosis
Yao et al. Beta-adrenergic signaling affect osteoclastogenesis via osteocytic MLO-Y4 cells' RANKL production
Cao et al. Change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on crushed rat sciatic nerves and differentiated primary Schwann cells
Kim et al. The role of sphingosine-1-phosphate in adipogenesis of Graves' orbitopathy
Chang et al. Cannabidiol promotes adipogenesis of human and mouse mesenchymal stem cells via PPARγ by inducing lipogenesis but not lipolysis
Chang et al. 2 dyn/cm2 shear force upregulates kruppel‐like factor 4 expression in human chondrocytes to inhibit the interleukin‐1β‐activated nuclear factor‐κB
Hristov et al. Expression and function of KV2-containing channels in human urinary bladder smooth muscle
Huang et al. PPARα and PPARγ effectively protect against HIV‐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brain endothelial cells
Gómez-Abellán et al. Professional phagocytic granulocyte-derived PGD2 regulates the resolution of inflammation in fi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