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672B1 - Touch window - Google Patents

Touch wind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672B1
KR101480672B1 KR20140070913A KR20140070913A KR101480672B1 KR 101480672 B1 KR101480672 B1 KR 101480672B1 KR 20140070913 A KR20140070913 A KR 20140070913A KR 20140070913 A KR20140070913 A KR 20140070913A KR 101480672 B1 KR101480672 B1 KR 101480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pattern
pattern
print
sensing electrode
transparen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0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9756A (en
Inventor
조성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70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672B1/en
Publication of KR20140079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7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6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윈도우의 인쇄패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명윈도우의 일면에 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는 터치센서모듈(TSP)와 상기 투명윈도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상에 적어도 2 이상 적층되는 인쇄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인쇄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부의 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구현되는 터치윈도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는 터치센서모듈과의 접착면의 일부에 인쇄되는 다층구조의 인쇄패턴을 단차구조로 형성하고, 인쇄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부의 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구현하여 접착절연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print pattern of a touch wind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sensor module (TSP) which is adhered to one surface of a transparent window through an adhesive material layer, And a print patter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int patterns covers a lower print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layered print pattern to be printed on a part of the bonding surface with a touch sensor module disposed under the transparent window is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and at least one of the printed patterns covers a printed pattern So that the adhesive force to the adhesive insulating layer can be improved.

Description

터치윈도우{TOUCH WINDOW}Touch window {TOUCH WINDOW}

본 발명은 터치윈도우의 인쇄패턴의 형성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forming a print pattern of a touch window.

터치 패널은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발광소자(ELD; Electro Luminescence Device) 등과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터치 패널을 가압하여 컴퓨터에 미리 정해진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이다.The touch panel may be a cathode ray tube (CRT),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ELD; Electro Luminescence Device) and the like, and the user presses the touch panel while viewing the image display device to input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computer.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의 주요 구성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다층의 구조의 접착구조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의 X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터치패널은 투명윈도우(window;10) 하부에 상부 OCA(50), 그 하부에 상부전극층(ITO;40)과 하부OCA(30), 하부전극층(20)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하부에 액정패널(LCD;60)과 접착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층의 합착으로 형성되는 터치스크린패널(TSP)는 FPCB 모듈과의 본딩을 위해 상술한 상부 OCA(50),상부전극층(ITO;40),하부OCA(30)를 절단하여 연결패드(P)가 노출되는 본딩영역(C)을 구비하게 된다.FIGS. 1 and 2 show the main components of the capacitive touch panel. Fig. 1 shows a plan view of such an adhesive structure having such a multi-layer structure, and Fig. 2 shows a sectional view cut along the X-ray of Fig. Referring to FIG. 1, the touch panel includes an upper OCA 50 under a transparent window 10, an upper electrode layer 40 (ITO) 40 under the OCA 50, a lower OCA 30 and a lower electrode layer 20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LCD) 60 is bonded to the lower portion. The touch screen panel TSP formed by joining the various layers cuts the upper OCA 50, the upper electrode layer 40 and the lower OCA 30 for bonding with the FPCB module to form connection pads P Is exposed.

일반적인 터치윈도우는 도 3의 구조와 같이, 투명윈도우(100)와 상기 투명윈도우의 일면에 접착물질층(140)을 매개로 접착되는 터치센서모듈(TSP), 그리고 상기 투명윈도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상에 형성되는 인쇄패턴(P)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터치윈도우는, 외부와의 접촉을 수용하는 투명윈도우(100)와 상기 투명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감지전극패턴층을 통해 화면영역(V/A;View Area)과 비활성영역(D/A;Dead Area)을 구현하는 터치센서모듈(TSP)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general touch window includes a transparent window 100 and a touch sensor module TSP adhered to one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through an adhesive material layer 140, And a print pattern P formed on the recording medium. That is, the touch window includes a transparent window 100 for receiving contact with the outside, and a display area (V / A) and a non-active area (D / A) And a touch sensor module (TSP) that implements the dead space (Dead Area).

특히, 상기 투명윈도우(100) 상에 인쇄되는 인쇄패턴은 적어도 2 이상의 층이 적층되는 구조로 구현되게 되는데, 이는 터치스크린모듈의 배선패턴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가려주는 역할과 제품의 디자인적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터치센서모듈의 비활성영역(D/A)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패턴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다수의 층으로 인쇄패턴을 중첩인쇄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다층구조로 인쇄패턴을 구현하는 경우, 터치센서모듈(TSP)과 접착물질층(140)과 투명윈도우(100)을 결합하여 합착하는 경우에 인쇄패턴의 높이(두께)로 인해 접착물질층(140)과 인쇄패턴(P) 사이에는 공기층(A)이 형성되게 되며, 이러한 공간은 접착불량으로 이어지게 된다. Particularly, the print pattern printed on the transparent window 100 is realized by stacking at least two layers. This is because the function of shielding the wiring pattern of the touch screen module from the outside and the design effect of the product (D / A) of the touch sensor module in order to implement the touch sensor module. In this case, in order to realize the function of the print pattern, it is common to form the print pattern by superimposing print patterns on a plurality of layers. In the case of implementing the print pattern by such a multi-layer structure, the touch sensor module TSP and the adhesive material layer The air layer A is formed between the adhesive material layer 140 and the print pattern P due to the height (thickness) of the print pattern when the transparent window 100 and the transparent window 100 are joined together, Resulting in poor adhesion.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는 터치센서모듈과의 접착면의 일부에 인쇄되는 다층구조의 인쇄패턴을 단차구조로 형성하고, 인쇄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부의 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구현하여 접착절연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윈도우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ensor module in which a multi-layered print pattern printed on a part of an adhesive surface, And at least one of the print patterns has a structure that covers the printed pattern at the bottom, thereby improving the adhesive force with the adhesive insulating layer.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투명윈도우; 상기 투명윈도우의 일면에 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는 터치센서모듈(TSP); 상기 투명윈도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상에 적어도 2 이상 적층되는 인쇄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인쇄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부의 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구현되는 터치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s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transparent window; A touch sensor module (TSP)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through an adhesive material layer; At least two or more print patterns stacked on the transparent window or the touch screen panel,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int patterns covers a lower print pattern.

또한, 상기 인쇄패턴은, 상기 투명윈도우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인쇄패턴; 상기 제1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2인쇄패턴; 상기 제2인쇄패턴 상에 형성되는 제3인쇄패턴;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Further, the print pattern may include a first print pattern formed on a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A second printing pattern formed in a structure covering the first printing pattern; And a third print pattern formed on the second print pattern.

또한, 상기 인쇄패턴은, 상기 투명윈도우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인쇄패턴;과 상기 제1인쇄패턴 상에 순차로 적층되는 제2 및 제3인쇄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3인쇄패턴이 상기 제1 및 제3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int pattern may include a first print pattern formed on a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and second and third print patterns sequentially stacked on the first print pattern, And may cover the first and third print patterns.

또한, 상기 인쇄패턴은, 상기 투명윈도우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인쇄패턴;과 상기 제1인쇄패턴 상에 순차로 적층되는 제2 및 제3인쇄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3인쇄패턴의 폭이 상기 제2인쇄패턴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상기 제3인쇄패턴이 상기 제1 및 제2인쇄패턴을 덮거나, 제3인쇄패턴이 제2인쇄패턴 만을 덮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int pattern may include a first print pattern formed on a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and a second print pattern and a second print pattern sequentially stacked on the first print pattern, The width of the second print pattern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print pattern so that the third print pattern covers the first and second print patterns or the third print pattern covers only the second print pattern.

또한, 상기 인쇄패턴은, 상기 투명윈도우 또는 상기 터치센서모듈과 상기 접착물질층의 밀착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The print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transparent window or o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touch sensor module and the adhesive material layer.

또한, 상기 인쇄패턴은,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비활성영역 또는 상기 비활성영역에 대응되는 투명윈도우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nt pattern may be disposed in an inactive area of the touch screen panel or a transparent window area corresponding to the inactive area.

이 경우 상기 인쇄패턴의 적층구조는, 적층되는 인쇄패턴의 어느 하나 이상의 층에 표면조도가 형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print pattern can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surface roughness is formed on any one or more layers of the laminated print pattern.

상술한 인쇄패턴이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투명윈도우의 일면 상에 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는 베이스기판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패턴화되는 제1 및 제2 감지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above-described print pattern is applied, includes a base substrate bonded to one surface of a transparent window through an adhesive material layer, and a second substrate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may be formed.

또한,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상기 투명윈도우에 제1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며, 일면에 감지전극이 형성되는 제1감지전극패턴층과, 상기 제1감지전극패턴층의 타면에 제2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며, 일면에 감지전극이 형성되는 제2감지전극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odule may include a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bonded to the transparent window through a first adhesive material layer and having sensing electrodes formed on a first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which is adhered via an adhesive material layer and on which a sensing electrode is formed.

또한,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상기 투명윈도우 상에 직접 형성되며, 상호 절연되도록 패터닝되는 제1 및 제2 감지전극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odule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directly formed on the transparent window and patterned to be mutually insulated.

또한,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상기 투명 윈도우의 일면 상에 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는 베이스기판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어느 한쪽면에 직접형성되며, 상호 절연되도록 패터닝되는 제1 및 제2 감지전극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odule may include a base substrate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through an adhesive material layer, first and second sensors formed directly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and patterned to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And an electrode pattern.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는 터치센서모듈과의 접착면의 일부에 인쇄되는 다층구조의 인쇄패턴을 단차구조로 형성하고, 인쇄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부의 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구현하여 접착절연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layered print pattern to be printed on a part of the bonding surface with a touch sensor module disposed under the transparent window is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and at least one of the printed patterns covers a printed pattern So that the adhesive force to the adhesive insulating laye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적층구조의 인쇄패턴에서 투명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는 터치센서모듈과의 접착면의 일부에 인쇄되는 인쇄패턴에 조도를 부여하여 접착물질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in the print pattern of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ve force with the adhesive material layer by applying roughness to the print pattern printed on a part of the adhesive surface with the touch sensor module disposed under the transparent window It is effective.

또한, 상기 인쇄패턴을 다층구조로 형성하는 경우, 다층 모두 또는 일부 층에 표면 조도를 부여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int pattern is formed into a multilayer structure, there is also an effect of improving the adhesive force by imparting surface roughness to all or some of the multilayer structures.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터치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윈도우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모듈의 다양한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1 and 2 show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ouch panel.
FIGS. 3 and 4 and FIGS. 5A to 5C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ssential parts of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7 show various examples of the touch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윈도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4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윈도우는 투명윈도우(100)의 일면에 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는 터치센서모듈(TSP), 상기 투명윈도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상에 적어도 2 이상 적층되며 적층되는 인쇄패턴(P)을 포함하되, 상기 인쇄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부의 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a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or module (TSP) that is adhered to one side of a transparent window 100 through an adhesive material layer, at least two stacked layers And at least one of the print patterns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that covers a print pattern at a lower portion of the print pattern.

즉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명윈도우(100)의 일면에 2 층의 인쇄패턴을 구비하되, 상부의 인쇄패턴(102)가 하부의 인쇄패턴(101)을 덮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a), the transparent window 100 may have a two-layer print pattern on one side, and the upper print pattern 102 may cover the lower print pattern 101 .

구체적으로는, 도 4의 (b)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윈도우는 투명윈도우(100)와 상기 투명윈도우의 일면에 접착물질층(140)을 매개로 접착되는 터치센서모듈(TSP), 그리고 상기 투명윈도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상에 형성되는 인쇄패턴(P)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터치윈도우는, 외부와의 접촉을 수용하는 투명윈도우(100)와 상기 투명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감지전극패턴층을 통해 화면영역(V/A;View Area)과 비활성영역(D/A;Dead Area)을 구현하는 터치센서모듈(TSP)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이 경우 이러한 구조는 접착물질층(140)을 매개로 터치센서모듈(TSP)가 투명윈도우(100)에 합착하는 경우 에어영역(A)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접합불량을 초래하는 적층구조에서 접합력을 향상시키는 구조로 인쇄패턴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4 (b),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arent window 100 and a touch sensor module (not shown) bonded to one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through an adhesive material layer 140 TSP), and a print pattern P formed on the transparent window or the touch screen panel. That is, the touch window includes a transparent window 100 for receiving contact with the outside, and a display area (V / A) and a non-active area (D / A) And a touch sensor module (TSP) that implements the dead space (Dead Area). Particularly in this case, this structure enables the air area A to be minimized when the touch sensor module TSP is attached to the transparent window 100 via the adhesive material layer 140. As a result, the printed pattern can be realized with a structure that improves the bonding force in the laminated structure which causes the bonding failure.

도 5a는 도 4에서 상술한 터치윈도우의 인쇄패턴의 구조를 단차구조로 3개의 층으로 인쇄하여 순차 적층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인쇄패턴(P)은 이러한 단차구조로 인해 도 3에서 상술한 단순한 적층구조에서 발생하는 에어영역의 문제를 많은 부분 해소할 수 있게 된다.FIG. 5A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print pattern of the touch window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is printed in three layers with a step structure and sequentially stacked. The printed pattern P having such a structure can largely solve the problem of the air region generated in the simple lamination structur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because of such a stepped structure.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도 5a의 구조에서 더 나가아 도 5b와 같은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shown in FIG.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명윈도우(100)의 표면에 인쇄패턴을 형성하며,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인쇄패턴(101)을 인쇄하고, 순차로 제2 및 제3인쇄패턴(102, 103)을 인쇄하되, 제2인쇄패턴(102)의 길이를 제1인쇄패턴(101) 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인쇄할 수 있다. 또는,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인쇄패턴(101)을 인쇄하고, 순차로 제2 및 제3인쇄패턴(102, 103)을 인쇄하되, 제2인쇄패턴(102)의 길이를 제1인쇄패턴(101) 및 제3인쇄패턴(103)의 폭보다 좁은 길이를 가지도록 인쇄할 수 있다. 또는,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내지 제3인쇄패턴의 길이를 순차로 길어지는 구조로 형성하거나, (d)와 같이 제1인쇄패턴(101)을 인쇄하고, 제1인쇄패턴(101)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제2인쇄패턴(102)를 인쇄한 후, 제3인쇄패턴(103)을 제1인쇄패턴(101)보다 긴 구조로 인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쇄구조의 변경으로 인해 종래기술의 문제였던 인쇄패턴과 접착층의 계면에 발생하는 공기층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A printing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100 as shown in Fig. 5B, and the first printing pattern 101 is printed as shown in Fig. 5A, and the second and third printing It is possible to print the patterns 102 and 103 so that the length of the second print pattern 102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print pattern 101. [ Alternatively, as shown in (b), the first print pattern 101 may be printed and the second and third print patterns 102 and 103 may be sequentially printed.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second print pattern 102 may be The first print pattern 101 and the third print pattern 103 can be printed with a length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print pattern 101 and the third print pattern 103. [ Alternatively, as shown in (c), the lengths of the first to third print patterns may be formed to be successively longer, or the first print pattern 101 may be printed as shown in (d) The third printed pattern 103 may be printed with a structure longer than the first printed pattern 101 after the second printed pattern 102 is printed so as to have a length shorter than the first printed pattern 101. [ This change in the printing structure makes it possible to remarkably reduce the air layer genera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rinting pattern and the adhesive layer, which has been a problem in the prior art.

예를 들면,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5b에서의 (a)와 같은 방식으로 인쇄패턴을 형성하게 되면, 접착물질층(140)을 형성하는 경우, 인쇄패턴(P)의 구조가 상기 투명윈도우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인쇄패턴(101), 상기 제1인쇄패턴(101)을 덮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2인쇄패턴(102), 상기 제2인쇄패턴 상에 형성되는 제3인쇄패턴(103)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하는 경우, 도시된 에어영역(A)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들게 되는 효과가 구현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C, when the print pattern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5B, when the adhesive material layer 140 is formed, A first print pattern 101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a second print pattern 102 formed by a structure covering the first print pattern 101, a third print pattern 102 formed on the second print pattern, (103). ≪ / RTI > In the case of such a structure, the effect that the air region A shown in the drawing sharply decreases is realized.

물론, 이러한 인쇄패턴의 구조는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5b에서의 제2인쇄패턴(102)이 제1인쇄패턴(101)을 덮는 구조에서 나아가, 도 5d의 (a) 제3인쇄패턴이(103) 제1 및 제2 인쇄패턴(101, 102)을 덮는 구조라던가, 제3인쇄패턴(103)의 폭을 제2인쇄패턴(102)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제3인쇄패턴이 제2인쇄패턴을 덮는 구조, 또는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 순차로 상부의 인쇄패턴이 하부의 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변형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도 5b에서의 인쇄패턴의 형성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Of course, the structure of such a print patter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print pattern 102 in Fig. 5B covers the first print pattern 101, as shown in Fig. 5D, The width of the third printed pattern 103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printed pattern 102 so that the third printed pattern 103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attern covers the first and second printed patterns 101 and 102, Or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rint pattern sequentially covers the lower print pattern as shown in (b) of FIG. It will be apparent that this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manner of forming the print pattern in FIG. 5B.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인쇄층을 구현하였으나, 더 많은 수의 인쇄패턴이 적층되는 경우라도, 다수의 인쇄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부의 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구현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ree print layers are implemented. However, even when a greater number of print patterns are stacke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rint patterns is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for covering a lower print pattern, It will be included in the gist.

나아가,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층의 인쇄패턴과 접착물질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쇄패턴의 표면에 표면조도(roughness)를 구현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인쇄패턴을 다층 구조(101~103)로 적층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적층 형성하되, 각각의 인쇄패턴의 표면에 표면조도(rouchness)를 형성하거나, 최상위층(103)에 표면조도를 부여하여 접착물질층(P)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tructure in which the surface roughness is realiz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 pattern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multilayer print pattern and the adhesive material layer.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print patterns are laminated by the multilayer structures 101 to 103, a laminate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layers are sequentially laminated, and a surface roughness is formed on the surface of each print pattern, or a surface roughness So as to improve the adhesive force with the adhesive material layer (P).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윈도우에서 인쇄패턴의 구현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명윈도우 상에 형성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터치센서모듈(TSP)의 비활성영역 상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implementation of the print pattern in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on a transparent window as shown in FIG. 4 or formed on an inactive area of the touch sensor module TSP It is possib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패턴 구조가 적용되는 터치센서모듈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구조에서 투명윈도우(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터치센서모듈(TSP)은 도 6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touch sensor module to which the print patter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briefly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touch sensor module TSP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100 may have a structure as shown in FIG.

즉,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모듈(TSP)은 베이스기판(130, 110)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일면 또는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패턴화되는 감지전극(132, 112)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투명윈도우(100)에 제1접착물질층(140)이 배치되어, 하부의 터치센서모듈과 접합하게 된다. 상기 터치센서모듈(TSP)은 일면에 감지전극패턴(132)이 형성되는 제1감지전극패턴층과, 상기 제1감지전극패턴층의 타면에 제2접착물질층(120)을 매개로 접착되며, 일면에 감지전극패턴(112)이 형성되는 제2감지전극패턴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각각의 제1감지전극패턴(132)와 제2감지전극패턴(112)는 상호 다른 베이스기재(130, 110)에 각각 형성되어 이격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감지전극패턴(132, 112)과 연결되는 배선패턴(131, 111)이 형성되게 된다.That is, the touch sensor module TS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substrate 130, 110, and sensing electrodes 132, 112 patterned on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 That is, the first adhesive material layer 140 is disposed on the transparent window 100 and bonded to the lower touch sensor module. The touch sensor module TSP includes a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on one side of which a sensing electrode pattern 132 is formed and a second sensing material layer 120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having a sensing electrode pattern 112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In this case, each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s 13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112 may be formed in different base substrates 130 and 1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wiring patterns 131 and 111 connected to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s 132 and 112 are formed.

상술한, 각 접착물질층은 OCA 필름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패턴층은 베이스기재상에 ITO(Indium-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Ag 나노와이어(Ag NW) 또는 전도성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전극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s may be formed of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ZnO (Zinc Oxide) An electrode pattern may be formed of any one of carbon nanotube (CNT), graphene, Ag nanowire (Ag NW), and conductive polymer.

또는, 도 6의 구조와는 달리,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명윈도우(200)의 하부에 접착물질층(240)을 매개로 터치센서모듈이 합착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투명윈도우(200)의 일면 상에 접착물질층(222)를 매개로 접착되는 베이스기판(230)과, 상기 베이스기판(230)의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패턴화되는 제1 및 제2 감지전극 패턴(232)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기판(230)의 하면의 감지전극패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2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상술한 투명윈도우(200) 상에는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b에서 상술한 인쇄패턴(P)가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감지전극 패턴(232)과 연결되는 배선패턴(231)이 형성되게 된다.Alternatively, unlike the structure of FIG. 6, the touch sensor module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nsparent window 200 through an adhesive material layer 240,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touch sensor module includes a base substrate 230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200 via an adhesive material layer 222, and a second side of the base substrate 230 facing the first 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232 may be patterned on the substrate 210. [ The protection substrate 210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on film 210 for protecting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230. Of course, in this case, the print pattern P described in FIGS. 4 and 5A to 5B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on the transparent window 200 described above. In addition, a wiring pattern 231 connected to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232 is formed.

또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명윈도우(300)가 형성되며, 상기 투명윈도우(300)과 터치센서모듈은 접착물질층(340)을 매개로 접합될 수 있다. 베이스기판(310)의 단면에 감지전극패턴(312)가 패터닝되며, 배선부(311)이 상기 감지전극패턴과 동시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8, a transparent window 300 is formed, and the transparent window 300 and the touch sensor module may b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an adhesive material layer 340.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312 may be patterned on the end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310 and the wiring portion 311 may be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다만, 동일 평면상에 제1 및 제2 감지전극패턴이 구현되는바, 일면에 접촉의 제 1 축(예를 들어, X 축) 성분을 판단하기 위한 제 1 감지 전극 층을 패터닝하고, 접촉의 제 2 축(예를 들어, Y 축) 성분을 판단하기 위한 제 2 감지 전극 층은 상기 제1감지전극층과 절연되는 배치를 구현하여 패터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투명윈도우(300)의 일면에 인쇄패턴(P)가 형성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However, since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a first sensing electrode layer for determining a first axis (e.g., X-axis) component of contact on one surface is patterne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layer for determining the second axis (e.g., Y-axis) component may be patterned by implementing an arrangement that is insulated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layer. In this case, the print pattern P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300 as described above.

물론, 도 8에서는 별도의 베이스기판(310)에 감지전극패턴층을 동일 평면에 형성하는 구성을 일례로 들었으나, 이러한 베이스기판(310) 없이, 상기 투명 윈도우(300)의 일면에 직접 감지전극패턴을 증착, 코팅 공정을 통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hough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is formed on a separate base substrate 310 in the same plane as shown in FIG. 8,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may be direct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300 without the base substrate 31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pattern through a deposition and coating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윈도우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뿐만 아니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 구동 등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성분이 터치센서모듈, 즉 터치스크린패널(TSP;Touch Screen Panel)에 전달되어 접촉 감지 패널의 오작동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접촉 감지 패널과 표시 장치 사이에 차단층 (Shield Layer)을 배치할 수도 있다.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various display devices. That is, the display device may be not only a liquid crystal display but als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panel, or the like.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a noise component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display device or the lik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touch sensor module, that is, a touch screen panel (TSP), to cause malfunction of the touch sensor panel, A shield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evices.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Claims (19)

화면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윈도우;
상기 비활성 영역상에만 배치되는 제 1 인쇄패턴; 및
상기 제 1 인쇄패턴 상의 제 2 인쇄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쇄패턴은 상기 제 1 인쇄패턴의 상면 및 측면을 덮고,
상기 제 2 인쇄패턴의 측면은 상기 투명윈도우의 표면에 대해 경사진 터치 윈도우.
A transparent window including a screen area and an inactive area;
A first print pattern disposed only on the inactive area; And
And a second print pattern on the first print pattern,
Wherein the second print pattern covers an upp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print pattern,
Wherein a side of the second print pattern is tilted with respect to a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인쇄패턴과 직접 접촉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rint pattern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print patter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투명윈도우와 직접 접촉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rint pattern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transparent window.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패턴의 폭은 상기 제 1 인쇄패턴의 폭보다 큰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dth of the second print patter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print patter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윈도우 상에 직접 배치된 감지전극패턴; 및
상기 감지전극패턴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인쇄패턴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배선패턴을 더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nsing electrode pattern directly disposed on the transparent window; And
And a wiring pattern connected to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and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second print patter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패턴은 상호 절연되는 제 1 및 제 2 감지전극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comprises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that are mutually insul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윈도우, 상기 제 1 인쇄패턴 및 상기 제 2 인쇄패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접착물질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ayer of adhesive material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the first print pattern, and the second print patter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물질층은 상기 제 2 인쇄패턴과 직접 접촉하는 터치 윈도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dhesive material laye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print patter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패턴 상의 제 3 인쇄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인쇄패턴은 상기 제 2 인쇄패턴의 상면 및 측면을 덮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hird print pattern on the second print pattern,
Wherein the third print pattern covers an upp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print patter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패턴 상의 제 3 인쇄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인쇄패턴은 상기 제 2 인쇄패턴의 상면만을 덮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hird print pattern on the second print pattern,
Wherein the third print pattern covers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int patter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패턴과 상기 제 2 인쇄패턴 사이에 개재된 제 3 인쇄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쇄패턴은 상기 제 1 인쇄패턴의 측면 및 상기 제 3 인쇄패턴의 측면을 덮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hird print pattern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rint pattern and the second print pattern,
Wherein the second print pattern covers a side surface of the first print pattern and a side surface of the third print patter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윈도우의 일면에 배치된 터치센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패턴은, 상기 터치센서모듈의 비활성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투명윈도우 상의 영역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ouch sensor modul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rint patterns are disposed in an area on the transparent window corresponding to an inactive area of the touch sensor modul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윈도우와 상기 터치센서모듈을 접착시키는 접착물질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material layer for bonding the transparent window and the touch sensor modul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감지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감지 전극 패턴은 상기 접착물질층과 접촉하는 터치 윈도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touch sensor module includes:
A base substrate;
And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and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Wherei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is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material layer.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배선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배선 패턴은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패턴과 오버랩되는 터치 윈도우.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wiring patter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iring patterns overlap with the first and second print patterns.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호 절연되도록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감지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전극 패턴은 상기 접착물질층과 접촉하는 터치 윈도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touch sensor module includes:
A base substrate;
And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and arranged to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ar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material layer.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배선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배선 패턴은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패턴과 오버랩되는 터치 윈도우.
17. The method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wiring patter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iring patterns overlap with the first and second print patterns.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제 1 베이스 기판;
상기 제 1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 1 감지 전극 패턴;
상기 제 1 베이스 기판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측에 배치된 제 2 베이스 기판;
상기 제 2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 2 감지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 패턴은 상기 접착물질층과 접촉하는 터치 윈도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touch sensor module includes:
A first base substrate;
A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A second base substrat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substrate,
Wherei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is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material layer.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배선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배선 패턴은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패턴과 오버랩되는 터치 윈도우.
19. The method of claim 18,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wiring patter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iring patterns overlap with the first and second print patterns.
KR20140070913A 2014-06-11 2014-06-11 Touch window KR1014806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0913A KR101480672B1 (en) 2014-06-11 2014-06-11 Touch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0913A KR101480672B1 (en) 2014-06-11 2014-06-11 Touch window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840A Division KR101987338B1 (en) 2011-12-16 2011-12-16 Touch wind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756A KR20140079756A (en) 2014-06-27
KR101480672B1 true KR101480672B1 (en) 2015-01-14

Family

ID=5113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0913A KR101480672B1 (en) 2014-06-11 2014-06-11 Touch wind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67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0756B2 (en) 2015-07-13 2020-04-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011727B2 (en) 2016-11-17 2021-05-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972B1 (en) * 2014-10-30 2021-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13684B1 (en) * 2014-12-02 2015-04-21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Method of forming printing layer of glass for mobile device and printing layer forming structure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684B1 (en) 2009-05-25 2010-03-26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using in a mobile instrument
KR20100083798A (en) * 2007-10-31 2010-07-22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rotective panel with touch input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display window and electronic device
JP2010176397A (en) 2009-01-29 2010-08-12 Nissha Printing Co Ltd Protection panel with touch input function for electronic equipment display window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20041122A (en) * 2010-10-20 2012-04-30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3798A (en) * 2007-10-31 2010-07-22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rotective panel with touch input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display window and electronic device
JP2010176397A (en) 2009-01-29 2010-08-12 Nissha Printing Co Ltd Protection panel with touch input function for electronic equipment display window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949684B1 (en) 2009-05-25 2010-03-26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using in a mobile instrument
KR20120041122A (en) * 2010-10-20 2012-04-30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0756B2 (en) 2015-07-13 2020-04-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011727B2 (en) 2016-11-17 2021-05-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756A (en) 201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338B1 (en) Touch window
TWI498779B (en) Touch window
JP6467449B2 (en) Touch input device
US20190252132A1 (en) Touch window having improved electrode pattern structure
KR101357592B1 (en) Touch-Window
JP5718889B2 (en) Touch panel
KR101480672B1 (en) Touch window
KR20130119045A (en) Touch panel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1966241B1 (en) Touch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30116854A (en) Touch window
KR101762961B1 (en) Touch-window
KR101415585B1 (en) Touch window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ed of the touch window
JP6587952B2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KR20130050631A (en) Touch-window
KR102262549B1 (en) Touch panel
US9552119B2 (en) Touch window
KR102238815B1 (en) Touch window
KR101765945B1 (en) Fabricating device for touch window and fabric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303634B1 (en) Fabricating method of Touch window
KR101303637B1 (en) Touch window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KR101250416B1 (en) Touch window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KR20120120742A (en) Touch window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KR20120120719A (en) Touch window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KR20150104850A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