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384B1 - An air operated valve with dedicated self-condition sensing elements - Google Patents

An air operated valve with dedicated self-condition sensing ele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384B1
KR101480384B1 KR20130039763A KR20130039763A KR101480384B1 KR 101480384 B1 KR101480384 B1 KR 101480384B1 KR 20130039763 A KR20130039763 A KR 20130039763A KR 20130039763 A KR20130039763 A KR 20130039763A KR 101480384 B1 KR101480384 B1 KR 101480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diaphragm
pressure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97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2842A (en
Inventor
정경열
박창대
임병주
이후락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39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384B1/en
Publication of KR20140122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8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3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piezo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inflatabl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구동 밸브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팽창되는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를 내부에 마련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는 그 일측에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driven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pansion part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diaphragm and a diaphragm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diaphragm in accordance with inflow of the air and a case part having the expansion part therein, And a pressure sensing unit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Description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An air operated valve with dedicated self-condition sensing element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self-

본 발명은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전물질을 이용하여 공기 구동 밸브의 각 구성의 압력변화를 측정하여 운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self-monitoring air drive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self-monitoring air drive valve that can measure a pressure change of each configuration of an air- .

공기 구동 밸브(air operated valve)는 발전소와 같은 대형의 플랜트에 설치된 각종 관로 내부로 흐르는 고온ㆍ고압의 유체를 제어하기 위한 대표적인 밸브 시스템 중의 하나로서, 밸브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구동력으로 이용하여 밸브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관로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유량, 압력, 방향 등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유로 개폐, 교축, 역지, 과압방지 등의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An air operated valv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valve systems for controlling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fluid flowing into various pipelines installed in a large plant such as a power plant. The air operated valve uses the pressure of air supplied to the valve as a driving force This is a valve that controls valve opening and closing. Generally, it controls not only the flow rate, pressure and direction of the fluid flowing in the pipeline, but also performs main functions such as opening and closing of the flow path, throttling, reversing and overpressure prevention.

이러한 공기 구동 밸브는 그 구동부의 형태에 따라 다이아프램형, 실린더형으로 구분되고, 또한 공기유입방식에 따라 싱글 구동방식(single acting)과, 더블 구동방식(double acting) 등으로 구분된다.The air driven valve is divided into a diaphragm type and a cylinder ty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riving part, and the air driven valve is classified into a single acting type and a double acting type according to an air inflow method.

한편, 압전물질(piezo-electric material)이라 함은 기계적 변형(mechanical deformation) 내지 압력에 의해 전하의 분극 현상(polarization of the charge)이 생성되거나, 반대로 전기장(electric field)에 의해 기계적 변형이 생기는 물질을 말한다. 수정 단결정(Single crystal Quartz)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일반적으로 Perovskite 구조를 갖는 세라믹(무기재료)에서 이러한 특성이 발견된다.
On the other hand, a piezo-electric material is a material in which a polarization of the charge is generated by mechanical deformation or pressure, or a material which is mechanically deformed by an electric field . It was first discovered in a single crystal quartz, and is generally found in ceramics (inorganic materials) with a perovskite structure.

한편,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 구동 밸브의 외형을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하며, 도 2는 공기 압력에 따른 다이아프램의 팽창과 그에 따른 스템의 구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에 해당한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outline of a conventional air drive valve, and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expansion of a diaphragm according to an air pressure and driving of the stem accordingly.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 구동 밸브는 일반적으로 공기 공급부로부터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급된 공기의 압력을 구동력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스템부의 이동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air actuated valve generally supplies air from the air supply unit to the inside of the case, and induces movement of the stem unit by using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air as a driving force.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부 내부로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다이아프램의 팽창이 야기되며, 다이아프램의 팽창에 따라 일단에 고정된 스템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expansion of the diaphragm is caused as air is supplied into the expansion portion, and the stem fixed at one end is driven in such a manner that the stem is vertically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the diaphragm .

다이아프램 방식의 공기 구동 밸브의 경우 다이아프램 자체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다이아프램을 복원시키는 별도의 탄성부재를 마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반복되는 작동에 따라 다이아프램 자체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에 소성변형이 야기되며, 그 결과 성능 저하가 발생되고, 최종적으로는 교체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 구동 밸브의 경우 성능 내지 운전상태를 측정할 수 없어, 소형변형에 따른 성능 저하 및 그에 따른 구동 특성을 반영한 공기 압력의 추가적인 제어가 불가능하며, 나아가 다이아프램 자체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의 교체 시기를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a diaphragm-type air-operated valve, the diaphragm itself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r a separate elastic member for restoring the diaphragm is generally provided.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repeated operation, plastic deformation occurs in the diaphragm itself or a separate elastic member, resulting in deterioration in performance, and eventually replacement is requir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ir-operated valve, it is not possible to measure the performance or the operation state, and it is impossible to further control the air pressure reflecting the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the small deformation and the driving characteristics thereof.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replacement time of the battery.

따라서, 이러한 소성 변형 내지 성능 저하를 모니터링하여 다이아프램 등의 교체시기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dd a separate structure for monitoring the plastic deformation or the performance degradation so as to predict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diaphragm or the like.

종래의 공기 구동 밸브의 경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가 공기 공급 배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압력센서는 공기 공급압력을 조절하여 밸브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공기 구동 밸브의 운전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것이라 보기 어렵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air-operated valve,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air is generally installed in the air supply pipe. However, such a pressure sensor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valve drive by adjusting the air supply pressure, so that it is difficult to monit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air drive valve.

또한, 종래의 압전소자를 이용한 밸브의 경우 밸브의 구동력을 압전물질의 기계적 변형으로부터 획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압전물질을 이용하여 밸브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등 운전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것이라 보기 어렵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valve using a conventional piezoelectric element, the driving force of the valve is generally obtained from the mechanical deformation of the piezoelectric material, and it is difficult to monitor the operating state by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valve using the piezoelectric material.

선행문헌: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32771호
Prior Art Document: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7-3277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이아프램 내지 별도의 탄성 부재의 소성 변형에 따른 구동 특성을 반영하여 공급되는 공기압을 결정할 수 있어 공기 구동 밸브 성능의 항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소성변형에 따른 다이아프램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의 교체시기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determine the air pressure to be supplied by reflecting the driving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or another elastic member, thereby improving the consistency of the air drive valve performanc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lf-contained, self-sensing air-operated valve capable of predicting a replacement timing of a diaphragm or a separate elastic member according to deforma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팽창되는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를 내부에 마련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는 그 일측에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grated self-sensing air drive valve comprising: an inflow portion for inflowing air into an interior of the diaphragm; And the case part further includes a pressure sensing part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made of a piezoelectric material on one side of the case part.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팽창부를 둘러싸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어 밀폐된 형태의 상기 케이스부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결합부위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체결수단 내부에 마련된 압전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e includes a first case surrounding the bulged portion, and a second case coupled to the first case to form the case portion in a sealed form, wherein a joint portion betwee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And the pressure sensing part is composed of a piezoelectric element provided inside the fastening part.

한편,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볼트의 내부에 마련된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전은 상기 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볼트 내부에 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tening means may comprise a bolt. In this case, the pressure sensing unit may include a piezoelectric element made of a piezoelectric material provided in the bolt. The piezoelectric is injected into the bol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lt.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볼트 외에도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상호 고정시키는 각종 핀 등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of various members such as various pins for fixing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to each other in addition to the bolt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마련되되, 상기 공기 압력의 변화에 따라 팽창하는 제2다이아프램, 상기 제2다이아프램을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2다이아프램과 상기 케이스 내측면을 연결하는 압력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sens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diaphragm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the second diaphragm expanding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air pressure, And a pressure element connecting the second diaphragm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동 밸브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부풀어 팽창되는 팽창부, 상기 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개폐부 및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개폐부를 연결하되 상기 다이아프램의 팽창에 따른 변위를 상기 개폐부에 전달하는 스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상기 스템부는 그 내부에 압전물질(piezo material)로 이루어지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스템부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operated valve comprising: an expansion part having air introduced therein and having a diaphragm swellably inflated on the one surface thereof with inflow of air; And a stem portion connecting the diaphragm and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and transmitting a displacement due to the expansion of the diaphragm to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Here, the stem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ing portion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made of a piezoelectric material. And the pressure sensing part measures a pressure applied to the stem part.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는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부풀어 팽창되는 팽창부, 상기 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개폐부,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개폐부를 연결하되 상기 다이아프램의 팽창에 따른 변위를 상기 개폐부에 전달하는 스템부 및 상기 스템부를 둘러싸는 스템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템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스템부 사이에 위치되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스템부의 수평방향 변위에 따라 상기 스템부가 상기 압력감지부를 압박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grated self-diagnosis air drive valve, comprising: an expansion part for inflowing air into an interior of the integrated self-diagnosis air drive valve and expanding a diaphragm provided on one surface thereof with inflow of air; A stem for connecting the diaphragm to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 stem for transmitting a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diaphragm to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 stem case surrounding the stem part. And a pressure sensing unit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stem case and the stem. The pressure sensing unit may measure a pressure that the stem presses the pressure sensing unit according to a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stem.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부풀어 팽창되는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를 내부에 마련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팽창부를 둘러싸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어 밀폐된 형태의 상기 케이스부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결합부위 사이에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마련하여 상기 팽창부의 팽창에 따른 압력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감지부는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위를 따라 둘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grated self-sensing air drive valve, comprising: an expansion valve having a diaphragm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diaphragm to swell due to inflow of air, And a case portion. Here, the cas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ase surrounding the bulged portion and a second case coupled to the first case to form the case portion in a closed form, A pressure sensing part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to measure the pressure chang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expansion part. The pressure sensing unit may be formed in a wire shape and may be formed along the coupl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공기 구동 밸브의 세부 구성의 압력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공기 구동 밸브의 소모성 부품의 소성변형의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성변형의 정도를 고려하여 공급되는 공기 압력을 보정함으로써 밸브 성능의 항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소모성 부품의 교체 시기 및 밸브 전체의 교체시기를 가늠할 수 있어, 공기 구동 밸브가 사용되는 설비 전체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integrated self-monitoring air driv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degree of plastic deformation of the consumable component of the air driven valve by observing the pressure change in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ir driven valve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sistency of the valve performance by correcting the supplied air pressure. Further,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consumable parts and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entire valve, thereby achieving the safety of the entire facility in which the air drive valve is used.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 구동 밸브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다이아프램의 변위에 따른 스템부의 이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에 해당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의 케이스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확대 사시도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의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의 내부에 마련된 압전소자를 나타내는 확대도에 해당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케이스부와 압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발췌 사시도에 해당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케이스부와 압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스템부와 스템부 내부에 마련된 압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스템부와 스템부에 마련된 압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한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air drive valve.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of the stem portion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diaphragm in a conventional air-operated valve.
FIGS. 3 and 4 correspond to a cross-sectional view and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casing portion of the integrated self-diagnosis-aware air-actuated val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fastening member of the integrated self-sensing air drive valve and a piezoelectric element provided inside the fasten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portion and a pressure sensing portion of the integrated self-sensing air drive val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portion and a pressure sensing portion of the integrated self-diagnosis-aware air drive val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em portion of the integrated self-diagnosis-aware air-operated valv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essure sens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stem por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essure sensing unit provided at a stem portion and a stem portion of an air driven valv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는 공기를 주입하여 주입된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구동 밸브에 관한 것이다. The integrated self-monitoring air drive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operated valve that regulates the degree of opening of a pipe by using the pressure of air injected with air.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유입되는 팽창부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부는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변위를 팽창되어 변위를 발생시키는 다이아프램(14)을 그 일면에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inflator includes an inflow portion into which air is introduced. The inflating portion inflates the displace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of the inflow air, It is included in one side.

한편, 상기 다이아프램(14)은 공기 압력이 낮아졌을 때 최초의 위치로 복원가능하도록 그 자체가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스프링 등의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를 마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The diaphragm 14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the like so that the diaphragm 14 can be restored to its initial position when the air pressure is lowered. When the diaphragm 14 is made of an inelastic material, a separate elastic member ) Can be considered.

이하에서는 그 자체가 탄성부재(미도시)로 이루어진 경우의 다이아프램(14)을 '탄성 다이아프램'이라 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iaphragm 14 when it is made of an elastic member (not shown) is referred to as an elastic diaphragm.

한편, 상기 팽창부는 케이스부(11, 12)의 일부에 의해 둘러싸여 그 외관이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케이스부(11, 12) 및 상기 다이아프램(14)에 의해 둘러싸여 그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밀폐된 공간을 팽창부라 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expansion part is surrounded by a part of the casing parts 11 and 12, and its outer appearance is formed. In other respects, the enclosed space surrounded by the case portions (11, 12) and the diaphragm (14) and into which air flows is referred to as an expansion portio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11, 12)는 그 일측에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ase portions 11 and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pressure sensing portion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on one side thereof.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지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sur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동 밸브의 케이스부(11, 12)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확대 사시도에 해당한다. 상기 케이스부(11, 12)는 상부 몸체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11)와 상기 제1케이스(11)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 몸체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는 체결수단(3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체결수단(30)에 압력감지부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수단(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1) 조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1) 내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압전소자(4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s. 3 and 4 correspond to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ase portions 11 and 12 of the air-driven val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parts 11 and 12 include a first case 11 forming an upper body and a second case 12 coupled to a lower part of the first case 11 to form a lower body. The first case 11 and the second case 12 are integrally coupled by a fastening means 30 and a pressure sensing unit is provided on the fastening means 30. 4, the bolt 31 may be assembled into the bolt 31.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the bolt 31 is provided with a piezoelectric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evice 41.

상기 팽창부로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서 팽창부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상기 압력에 비례하여 상기 다이아프램(14)의 이동 또는 팽창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탄성 다이아프램(14)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의 소성변형에 따라 동일한 운전조건 하에서 상기 압력감지부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은 미세하게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의 변화를 관찰하여 상기 탄성 다이아프램(14)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의 소성변형의 정도를 관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성변형의 정도를 감안하여 공기의 공급 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최종적으로 탄성 다이아프램(14)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의 교체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As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expanding portion, the pressure inside the expanding portion rises and the degree of movement or expansion of the diaphragm 14 varies in proportion to the pressure. However, depending on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diaphragm 14 or the separate elastic member (not shown),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under the same operating condition changes finely. The degree of p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diaphragm 14 or another elastic member (not shown) can be observed by observing the change of the pressure, and the air supply pressure can be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plastic deformation And finally,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elastic diaphragm 14 or the elastic member (not shown) can be finally determined.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케이스부(11, 12)와 압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발췌 사시도에 해당한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se portions 11 and 12 and the pressure sensing portion of the air driven val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동 밸브는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가 결합되는 결합면에 와이어 형태의 압전소자(42)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 공급에 따라서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 사이의 결합면에 부가되는 압력은 감소하게 된다. 또한, 탄성 다이아프램(14)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의 소성 변형에 따라 동일 운전 조건에서 상기 결합면에 부가되는 압력에 변화가 발생되며, 이러한 압력변화를 상기 압력감지부를 통하여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탄성 다이아프램(14)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 소성변형의 정도를 감안하여 공급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최종적으로 탄성 다이아프램(14)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의 교체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air-operated val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ase 11 and a second case 12. A wire-shaped piezoelectric element 42 is disposed on a coupling surface to which the first case 11 and the second case 12 are coupled. As the pressure inside the first case 11 and the second case 12 increases according to the air suppl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engagement surface between the first case 11 and the second case 12 decreases do. Further, depending on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diaphragm 14 or another elastic member (not shown), a change i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engagement surface occurs under the same operation condition, and the pressure change is measured through the pressure sensing portion do.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upply pressure can be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p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diaphragm 14 or another elastic member (not shown), and finally, the elastic diaphragm 14 or the separate elastic member The replacement time of the elastic member (not shown) can be determined.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케이스부(11, 12)와 압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한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ase portions 11 and 12 and the pressure sensing portion of the integrated type self-sensing air drive val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의 압력감지부는 케이스부(11, 12)의 내측에 별도의 구성으로 설치된다. 엄밀하게는 팽창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공기 압력 변화를 측정하게 된다. 다른 측면에서는 케이스부(11, 12)의 내측에 설치된다고도 볼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pressure sensing unit of the integrated type self-diagnosis-sensing air actuated val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parts 11 and 12 in a separate configuration. Strictly speaking, it is installed inside the expansion part to measure the air pressure change. And on the other side, it can be seen that it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parts 11, 12.

상기 압력감지부는 팽창부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변위가 발생되는 제2다이아프램(52)과 상기 제2다이아프램(52)을 케이스부(11, 12)의 내측에 고정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다이아프램(52)과 케이스부(11, 12) 사이를 연결하는 압전소자(43)를 마련하여 상기 제2다이아프램(52)의 변위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탄성 다이아프램(14)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 소성변형의 정도를 감안하여 공기의 공급 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최종적으로 탄성 다이아프램(14)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의 교체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The pressure sensing part includes a second diaphragm 52 for generating a displacement in response to a pressure change in the expansion part and a supporting member for fixing the second diaphragm 52 to the inside of the case parts 11 and 12 . A piezoelectric element 43 connecting between the second diaphragm 52 and the case portions 11 and 12 is provided to measure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second diaphragm 52.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ir supply pressure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p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diaphragm 14 or another elastic member (not shown), and final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frame 14 or another elastic member (not shown).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스템부(20)와 스템부(20) 내부에 마련된 압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한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essure sensing unit provided in the stem unit 20 and the stem unit 20 in the integrated self-diagnosis-sensing air-operated valv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스템부(20)는 일단이 다이아프램(14)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배관(200)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개폐부(21)에 고정되어, 상기 다이아프램(14)의 변위를 상기 개폐부(21)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스템부(20)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압전소자(44)가 삽입되어 상기 스템부(20)에 인가되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한다.The stem portion 20 is fixed at one end to one surface of the diaphragm 14 and at the other en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1 for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pipe 200. The displacement of the diaphragm 14 is transmitted to the opening / (21). A piezoelectric element 44 made of a piezoelectric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stem portion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o measure changes in pressure applied to the stem portion 20.

상기 개폐부(21)를 구동함에 있어서, 최대한 하강되어 배관(200)의 하부에 개폐부(21)가 닿게 되는 경우, 그리고 최대한 상승되어 배관(200)의 상부에 개폐부(21)가 닿게 되는 경우 각각 상기 스템부(20) 내부의 압력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개폐 동작 중에도 배관(200)에 흐르는 유체의 영향으로 개폐정도에 따라 스템부(20) 내부 압력의 변화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지부는 이러한 압력변화를 측정하여 공기 구동 밸브의 성능 변화를 관찰하고, 다이아프램 등의 소모성 부품 교체시기, 밸브 전체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스템부(20)의 일단에는 코일형태의 전선(60)이 연결되어 압력변화에 따른 전기신호를 케이스부(11, 12)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선은 다이아프램(14)의 상면으로 부터 케이스부(11, 12)의 상부로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일형태로 이루어진 것은 다이아프램(14)의 이동 변위를 커버하기 위함이다.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1 reaches the lower part of the pipe 200 as much as possible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1 is driven an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1 reaches the upper part of the pipe 200 as much as possible, The pressure inside the stem portion 20 is changed. Dur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the pressure inside the stem 20 is changed depending on the opening / closing degre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pipe 200. The pressur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pressure change to observe the performance change of the air driven valve and provides information to predict the life of the valve and the replacement timing of consumable parts such as the diaphragm. A coil-shaped electric wire 6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em portion 20 so that an electr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change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portions 11 and 12.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ic wires exten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14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portions 11 and 12 and extend to the outside, and the coil is formed to cover the moving displacement of the diaphragm 14 .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스템부(20)와 스템부(20)에 마련된 압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한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essure sensing part provided in the stem part 20 and the stem part 20 in the integrated self-diagnosis type air-operated valv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지부는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막대형상의 압전소자(45)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템부(20)와 상기 스템부(20)를 둘러싸는 스템 케이스(13)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스템부(20)의 수평방향 변위 및 스러스트를 측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단이 스템 케이스(13)의 내측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스템부(20)가 상하 운동할 수 있는 정도로 접촉되거나, 미세하게 이격되도록 인접된다.The pressur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rod-shaped piezoelectric element 45 made of a piezoelectric material and has a stem portion 20 and a stem case 13 surrounding the stem portion 20 And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thrust of the stem portion 20 are measured. More specifically, one e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tem case 13, and the other end is abutted such that the stem portion 20 can move up and down or is finely spaced.

배관(200) 내부의 유체의 압력에 따라 상기 스템부(20)의 수평방향 변위 및 스러스트에 변화가 발생되며, 상기 압력감지부는 이러한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측정한다.
A change occurs i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thrust of the stem portion 20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of the fluid inside the pipe 200. The pressure sensing portion converts the chang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measures it.

한편,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서 언급된 상기 압전소자(41, 42, 43, 44, 45)는 그 일측 및 타측에 전극이 마련되어, 압전소자에 주어지는 압력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별도로 마련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전극은 전도성을 가지는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압전소자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용하는 다양한 부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iezoelectric elements 41, 42, 43, 44, and 45 mentioned in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are provided with electrodes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the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s To a separate monitoring system. The electrode may be made of various members having conductivity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including various members for receiving electrical signals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공기 구동 밸브의 내부 구성의 압력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공기 구동 밸브의 소모성 부품의 소성변형의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성변형의 정도를 고려하여 공급되는 공기 압력을 보정함으로써 성능의 항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소모성 부품의 교체 시기 및 밸브 전체의 교체시기를 가늠할 수 있어, 공기 구동 밸브가 사용되는 설비 전체의 안전성을 도모한다.
The integrated self-monitoring air driv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degree of plastic deformation of the consumable part of the air driven valve by observing the pressure change in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ir driven valve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omeostasis of performance by correcting the supplied air pressure. Further,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consumable parts and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entire valve,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the entire facility in which the air drive valve is used.

11: 제1케이스
12: 제2케이스
13: 스템 케이스
14: 다이아프램
20: 스템부
21: 개폐부
30: 체결수단
31: 볼트
41, 42, 43, 44, 45: 압전소자
50: 압력감지부
51: 지지부재
52: 제2다이아프램
60: 전선
100: 공기 공급부
200: 배관
11: First case
12: Second case
13: Stem Case
14: diaphragm
20: stem portion
21:
30: fastening means
31: Bolt
41, 42, 43, 44, 45:
50: Pressure sensing unit
51: Support member
52: second diaphragm
60: Wires
100: air supply part
200: Piping

Claims (11)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팽창되는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를 내부에 마련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는 그 일측에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팽창부를 둘러싸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어 밀폐된 형태의 상기 케이스부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결합부위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체결수단 내부에 마련된 상기 압전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An air driven valve for regulating the degree of opening of a pipe by using air pressure,
An expansion part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inside of the diaphragm and expanding the diaphragm provided on one side in accordance with the inflow of the air; And
And a case portion provided inside the expanding portion,
And a pressure sensing part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made of a piezoelectric material on one side of the case part,
In the case,
A first case enclosing the expanding portion, and a second case coupled to the first case to form the enclosure in a sealed form,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is coupled by a fastening means,
Wherein the pressure sensing part comprises the piezoelectric element provided inside the fastening means.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볼트의 내부에 마련된 압전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astening means comprises a bolt,
Wherein the pressure sensing part comprises a piezoelectric element provided inside the bol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볼트 내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located inside the bolt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lt.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팽창되는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를 내부에 마련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는 그 일측에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에 마련되되,
상기 공기 압력의 변화에 따라 팽창하는 제2다이아프램;
상기 제2다이아프램을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2다이아프램과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An air driven valve for regulating the degree of opening of a pipe by using air pressure,
An expansion part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inside of the diaphragm and expanding the diaphragm provided on one side in accordance with the inflow of the air; And
And a case portion provided inside the expanding portion,
And a pressure sensing part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made of a piezoelectric material on one side of the case part,
Wherein the pressure sensing part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part,
A second diaphragm that expand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ir pressure;
A supporting member for fixing the second diaphragm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part; And
And a piezoelectric element for connecting the second diaphragm to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part.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부풀어 팽창되는 팽창부;
상기 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개폐부; 및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개폐부를 연결하되 상기 다이아프램의 팽창에 따른 변위를 상기 개폐부에 전달하는 스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템부는 그 내부에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An air driven valve for regulating the degree of opening of a pipe by using air pressure,
An expansion part for inflowing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diaphragm and swelling the diaphragm provided on one surface thereof with inflow of air;
An opening / closing unit provided on the pipe to adjust an opening degree of the pipe; And
And a stem portion connecting the diaphragm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nd transmitting a displacement corresponding to the expansion of the diaphragm to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Wherein the stem portion further comprises a pressure sensing portion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made of a piezoelectric material inside the stem por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스템부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ressure sensing part measures a pressure applied to the stem part.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부풀어 팽창되는 팽창부;
상기 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개폐부;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개폐부를 연결하되 상기 다이아프램의 팽창에 따른 변위를 상기 개폐부에 전달하는 스템부; 및
상기 스템부를 둘러싸는 스템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스템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스템부 사이에 위치되는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An air driven valve for regulating the degree of opening of a pipe by using air pressure,
An expansion part for inflowing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diaphragm and swelling the diaphragm provided on one surface thereof with inflow of air;
An opening / closing unit provided on the pipe to adjust an opening degree of the pipe;
A stem portion connecting the diaphragm and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and transmitting a displacement due to the expansion of the diaphragm to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And
And a stem case surrounding the stem portion,
And a pressure sensing unit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made of a piezoelectric material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stem case and the 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스템부의 수평방향 변위에 따라 상기 스템부가 상기 압력감지부를 압박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ressure sensing unit measures the pressure that the stem presses the pressure sens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stem unit.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부풀어 팽창되는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를 내부에 마련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팽창부를 둘러싸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어 밀폐된 형태의 상기 케이스부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결합부위 사이에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마련하여 상기 팽창부의 팽창에 따른 압력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An air driven valve for regulating the degree of opening of a pipe by using air pressure,
An expansion part for inflowing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diaphragm and swelling the diaphragm provided on one surface thereof with inflow of air; And
And a case portion provided inside the expanding portion,
The case includes a first case surrounding the bulging portion,
And a second case coupled to the first case to form the enclosure in a sealed form,
And a pressure sensing part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part of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to measure the pressure chang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expansion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는 와이어 형태의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결합부위를 따라 둘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ressure sensing part includes a wire-shaped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formed along the coupling part.
KR20130039763A 2013-04-11 2013-04-11 An air operated valve with dedicated self-condition sensing elements KR1014803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763A KR101480384B1 (en) 2013-04-11 2013-04-11 An air operated valve with dedicated self-condition sensing ele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763A KR101480384B1 (en) 2013-04-11 2013-04-11 An air operated valve with dedicated self-condition sensing el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842A KR20140122842A (en) 2014-10-21
KR101480384B1 true KR101480384B1 (en) 2015-01-09

Family

ID=5199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9763A KR101480384B1 (en) 2013-04-11 2013-04-11 An air operated valve with dedicated self-condition sensing elem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38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656A (en) * 1992-03-25 1993-10-19 Nissan Motor Co Ltd Pressure control valve
KR100296945B1 (en) 1992-11-10 2002-05-13 알.지.랭달 Joint
JP2005506495A (en) * 2001-10-16 2005-03-03 ヘラ ユーエスエ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Hydrogen storage medium fuel gauge
JP2007079996A (en) * 2005-09-14 2007-03-29 Tokiko Techno Kk Pressure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656A (en) * 1992-03-25 1993-10-19 Nissan Motor Co Ltd Pressure control valve
KR100296945B1 (en) 1992-11-10 2002-05-13 알.지.랭달 Joint
JP2005506495A (en) * 2001-10-16 2005-03-03 ヘラ ユーエスエ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Hydrogen storage medium fuel gauge
JP2007079996A (en) * 2005-09-14 2007-03-29 Tokiko Techno Kk Pressure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842A (en) 201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66051B (en) Vacuum valve comprising pressure sensor
EP2717031B1 (en) Multi-range field full-automatic pressure and electric signal calibrating instrument
JP4765746B2 (en) Shut-off valve device and mass flow control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KR102087645B1 (en) Pressure-type flow rate control device
EP1408241B1 (en) Pump-integrated flexible actuator
CN110114601A (en) Piezoelectric element drive-type valve and volume control device
CN108351270B (en) Monitoring device and abnormality diagnosis device
KR20190022899A (en) Control valve monitoring system
MX2021011942A (en) Power element for refrigerant modulating valve.
KR101480384B1 (en) An air operated valve with dedicated self-condition sensing elements
JP2012531556A (en) Measure and read parameters of remotely located devices
JP6269715B2 (en) Monitoring device
CN108445080A (en) Control valve monitoring system
JP7475631B2 (en) Valve device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control device, fluid control device,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KR20120092585A (en) Flow regulating valve and mass flow controller
RU2377515C2 (en) Pressure gauge
JP2014119178A (en) Automatic combustion control system of steam boiler, and steam boiler comprising the automatic combustion control system
JP7002493B2 (en) Tongue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tongue pressure measuring method
JP2018080929A (en) Fluid device
KR101454204B1 (en) Pulsating pressure supply apparatus, method, virtual blood pressure generator and test method for sphygmomanometer using elastic body
JPH09178586A (en) Pressure-sensitive unit having high pressure tightness
KR101062516B1 (en) Position indicator for displaying the correct valve position on the remote indicator
JPH0392687A (en) Motion confirming mechanism fop direction control valve
JP5035740B2 (en) Air driven valve calibration device
JP7161157B2 (en) Actuators, fluid control valves and valve mon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