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897B1 -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897B1
KR101478897B1 KR20130028016A KR20130028016A KR101478897B1 KR 101478897 B1 KR101478897 B1 KR 101478897B1 KR 20130028016 A KR20130028016 A KR 20130028016A KR 20130028016 A KR20130028016 A KR 20130028016A KR 101478897 B1 KR101478897 B1 KR 101478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urned
unit
heating unit
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8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3085A (ko
Inventor
전제욱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28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89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3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취출되는 얼음 배출부; 및 상기 얼음 저장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음용에 적합하도록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정수기는 정수를 저수조에 저장한 후에 저장된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와, 정수를 저장하지 않고 바로 배출시키는 정수기로 구분될 수 있다.
종래의 정수기는, 한국공개특허 제2012-011073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저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 저장고에는 배수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물은 얼음과 함께 고여있지 않고,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정수기는, 제빙 기능이 오프된 상태에서, 물이 배출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얼음 저장고 내면 또는 얼음 이송 부재 등에 맺힌 물방울은 배수를 통하여 쉽게 배출되지 못한다. 이 경우, 얼음 저장고 내면 또능 얼음 이송 부재 등에 맺힌 물방울에 의해서 세균이 번식하거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얼음 저장부 또는 얼음 저장부가 수용되는 공간의 건조가 가능한 정수기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필터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필터에 의해서 정화된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취출되는 얼음 배출부; 및 상기 얼음 저장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빙 기능을 온하거나 오프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선택부에 의해서 제빙 기능이 오프된 경우, 상기 가열부가 온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가 온되고 기준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가열부는 오프될 수 있다.
상기 얼음 배출부와 상기 얼음 저장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셔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가 온되고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셔터는 1회 이상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 시간 경과 전에 상기 모드 선택부에 의해서 상기 제빙 기능이 온되면, 상기 가열부는 오프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부의 온 기준 시간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면, 상기 가열부가 온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가 온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빙부에서의 제빙은 정지될 수 있다.
상기 얼음 배출부와 상기 얼음 저장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셔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가 온된 후에는 상기 셔터는 1회 이상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가 온된 후에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가열부는 오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가 온된 후에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가열부의 온 시간이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되고, 상기 가열부의 온 시간이 기준 시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열부는 오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가 오프된 후에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하기 전까지는 상기 제빙부에서의 제빙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얼음 저장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은, 제빙 기능이 온되는 단계; 상기 제빙 기능이 온된 상태에서 가열부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부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가열부가 온되어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부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는, 입력부를 통하여 제빙 기능이 오프되거나,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일 수 있다.
상기 가열부가 온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가열부는 오프될 수 있다.
제빙 기능이 오프되어 상기 가열부가 온된 후에, 상기 제빙 기능이 다시 온되면 상기 가열부는 오프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가 되어 상기 가열부가 온된 후에,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가열부는 오프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필터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필터에 의해서 정화된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취출되는 얼음 배출부; 상기 얼음 저장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및 상기 얼음 배출부와 상기 얼음 저장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가 온되고 오프되기 전에 상기 셔터는 1회 이상 개방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필터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본체의 필터에 의해서 정화된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취출되는 얼음 배출부; 및 상기 얼음 저장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가열부가 작동하되, 상기 가열부의 작동 시,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에 따라 온 기준 시간이 다르게 설정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필터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본체의 필터에 의해서 정화된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취출되는 얼음 배출부; 및 상기 얼음 저장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가열부가 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은, 제빙 기능이 온되는 단계; 상기 제빙 기능이 온된 상태에서 가열부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는 단계; 상기 가열부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가열부가 온되어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부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부의 오프 전에 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얼음 배출부와 상기 얼음 저장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셔터를 1회 이상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빙 기능이 오프되면, 상기 히터가 온되어 상기 얼음 저장부 및 상기 하우징 내를 건조시키므로, 상기 얼음 저장부 또는 하우징 내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내 온도가 기준 실내 온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얼음 저장부 내의 엉겨있는 얼음을 녹이고, 다시 제빙을 수행하므로, 사용자의 감성 불만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구가 개폐부에 의해서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가 본체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블럭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 패널과, 상기 외부 패널에 의해서 커버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패널은, 전면 패널(12)과, 다수의 사이드 패널(11)과, 상면 패널(13)과, 하면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패널(11, 12, 13)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본체(10)가 위치된다.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후술할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배출부(22)와,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얼음 배출부(22)는 내부에 얼음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물 배출부(20)에는 내부에 물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앞쪽 하측에는 물받이(15)가 연결된다. 상기 물받이는 상기 얼음 배출부(22)와 물 배출부(2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2)에는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와,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는, 물과 관련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는, 물의 종류를 선택하는 버튼과, 물을 취출하기 위한 출수 버튼과, 물을 일정 시간 연속적으로 취출하거나 일정량 만큼 취출하기 위한 연속 출수 버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한 버튼 중에서 일부 버튼은 생략 가능하다.
상기 전면 패널(12)의 내측에는 각 버튼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다수의 발광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특정 버튼이 선택되면(가압되거나 터치되면), 선택된 특정 버튼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온되어 빛을 조사함으로써, 특정 버튼이 표시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특정 버튼이 선택되면 대응하는 발광부가 온되어 빛을 조사함으로써, 사용자는 빛을 확인하여 특정 버튼이 선택되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는, 정수의 수위를 표시하는 정수수위 표시부와, 냉수온도를 표시하는 정수온도 표시부와, 필터의 교체시기를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표시부 중에서 일부 표시부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는, 얼음과 관련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얼음 버튼과,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의 입력 기능(일 예로 얼음 버튼의 기능)을 잠금거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는, 현재 얼음이 제빙부에서 생성 중임을 알리기 위한 제1표시부와, 제빙 기능이 해제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제2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빙 기능이 해제된다는 것은 제빙부에서 얼음이 생성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빙 기능은, 후술할 모드 선택부(후술함)에 의해서 해제되거나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는, 입력 기능이 잠금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잠금 표시부와, 입력 기능이 잠금 해제된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잠금 해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구가 개폐부에 의해서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가 본체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본체(10)는, 하나 이상의 필터에 의해서 필터링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30)와, 상기 저장탱크(30)로부터 공급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수탱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0)에는 상온의 물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30)의 물이 상기 물 취출부(20)를 통하여 취출되거나 상기 냉수탱크의 물이 상기 물 취출부(20)를 통하여 취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10)는 냉수탱크를 구비하지 않고, 온수탱크를 구비하거나, 상기 냉수탱크와 온수탱크를 모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본체(10)는 상온의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30)를 구비하지 않고, 냉수탱크 또는 온수탱크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10)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실(40)에 구비되어 얼음 생성을 위한 제빙부(41, 42)와, 상기 제빙부(41, 42)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며, 상기 본체(10)에서 분리 가능한 얼음 저장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음 저장부(60)는 상기 제빙부(41, 42)와 분리된 개별적인 구성이며, 상기 제빙부(41, 42)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40)은 제빙실 커버(43)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4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우징(10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00)에 상기 제빙실 커버(43)가 상기 제빙실(40)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에서 상기 상부 패널(13)이 분리되면,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상기 제빙실 커버(43)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제빙실 커버(43)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제빙부(41, 42)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제빙부(41, 42)는, 저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부(41)와,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41)는 일 예로 냉매 배관일 수 있으며, 상기 물 저장부(42)에 담긴 물에 잠길 수 있도록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42)로는 상기 정수탱크(30)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거나 상기 정수탱크(30)를 지나지 않은 물(필터링된 물임)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저장부(60)는 상기 본체(10) 내에서 독립적으로 단열된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외면은 단열재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 저장부(60)가 상기 제빙실(40)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본체(10)는, 상기 얼음 저장부(60)가 수용되기 위한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수용공간(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단열을 위하여 상기 얼음 저장부(60)를 감싸며 상기 얼음 저장부(6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수용공간(50)과 상기 제빙실(40)을 형성하나, 이와 달리 별도의 하우징 각각이 상기 수용공간(50)과 상기 제빙실(40)을 개별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얼음 저장부(60)가 인출입되기 위한 개구(102)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개구(102)는 개폐부(11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기(1)에서 상기 전면 패널(12)이 분리되면, 상기 본체(10)의 전면으로 상기 개폐부(110)가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면 패널(12)을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개폐부(110)에 접근할 수 있고, 상기 개폐부(110)를 조작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102)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얼음 저장부(60)를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110)에는 상기 개구(10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되기 위한 레버(1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레버(140)가 결합되기 위한 레버 결합부(144)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레버(140)를 조작하여 상기 레버(140)와 상기 레버 결합부(144)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개구(102)를 쉽게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부(110)는 상기 얼음 저장부(60)에서 이송되는 얼음이 유입되는 얼음 입구(111)와, 상기 얼음 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된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110)는 상기 얼음 저장부(60)에서 이송된 얼음의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개폐부(110)는, 얼음 출구(112)를 개폐하는 셔터(116)와, 상기 셔터(116)를 구동하는 셔터 구동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116)는 상기 개폐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셔터 구동부(118)는, 모터와, 모터의 동력을 상기 셔터(116)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셔터(116)를 구동하기 위한 셔터 구동부(118)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셔터(116)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얼음 배출부(22)와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저장 챔버(610A)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셔터(116)가 상기 얼음 출구(112)를 개방하면, 상기 얼음 배출부(22)와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저장 챔버(610A)가 연통되고, 상기 셔터(116)가 상기 얼음 출구(112)를 닫으면, 상기 얼음 배출부(22)와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저장 챔버(610A)의 연통은 차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110)는, 상기 얼음 입구(111)와 얼음 출구(112)가 형성되는 제1바디(120)와, 상기 제1바디(120)에 결합되는 제2바디(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바디(120)에 상기 얼음 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120)의 하측에 얼음 출구(112)가 형성되는 제3바디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다. 그리고, 상기 제2바디(130)의 일 측면에 상기 레버(14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상기 얼음 저장부(6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80)는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의 수용공간(50)으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열부(80)의 열이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 외로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가열부(80)는 단열재(미도시)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80)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얼음 저장부(60)에 얼음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얼음 저장부(60) 또는 상기 수용공간(50) 내의 수분이 제거되고, 상기 얼음 저장부(60)에 얼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얼음이 녹은 후에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80)는, 발열을 위한 열선 형태의 히터(810)와, 상기 히터(810)를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시트(8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열부(8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가열부(80)의 작동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얼음 저장부(60)는, 얼음이 저장되기 위한 저장 챔버(610A)를 형성하는 프레임(6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10)은, 얼음 통로(614)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611: 또는 "제1프레임"이라고 할 수 있음)과, 상기 전면 프레임(611)과 이격되는 후면 프레임(613: 또는 "제2프레임"이라고 할 수 있음)과, 상기 전면 프레임(611)과 후면 프레임(613)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프레임(615: 또는 "제3프레임"이라고 할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프레임(611)과 후면 프레임(613) 사이에는 물을 통과시키고, 얼음은 지지하기 위한 메쉬 타입의 지지부(660)가 구비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프레임(610)은 다수의 연결 프레임(615)을 포함할 수 있고, 인접하는 두 개의 연결 프레임(616) 사이에 지지부(66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프레임(610)은, 상면 개구와 전면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 개구는 얼음이 상기 프레임(610)으로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하고, 전면 개구는 상기 프레임(610) 내의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610)은 물이 배출되기 위한 다수의 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얼음 저장부(60)는, 상기 저장 챔버(610A)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얼음 통로(614)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오거(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위치 또는 배치에 따라 상기 오거(620)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오거(620)는, 상기 프레임(6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오거(620)는, 회전축(622)과, 상기 회전축(622)에서 나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6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22)의 후측 단부에는 상기 오거(620)의 회전이 가이드되기 위한 가이드 리브(626)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프레임(613)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626)를 수용하는 회전 가이드(616)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616)는. 상기 후면 프레임(613)과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면 프레임(613)에 결합되거나 상기 후면 프레임(61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가이드(616)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626)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거(620)의 일측은 상기 프레임(6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회전 가이드(616)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626)에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 가이드(616)는 상기 오거(610)의 회전을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상기 오거(620)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610)은 상기 전면 프레임(61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612)는 일 예로 상기 전면 프레임(611)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라운드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612)는 상기 전면 프레임(61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전면 프레임(6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612)는 상기 오거(620)에 의해서 이송되어 상기 얼음 통로(614)를 통과한 얼음이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장부(612)는 상기 얼음 통로(614)에서 볼 때,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61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폐부(110)의 얼음 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개폐부(1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612)가 상기 개폐부(110) 내에 위치함에 따라서 얼음이 상기 연장부(612)에 의해서 상기 개폐부(110)의 얼음 출구(112) 측으로 용이하게 낙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10)에는 상기 제빙부(41, 42)에서 낙하된 얼음이 상기 얼음 저장부(60)에서 상기 얼음 통로(614)(또는 하우징의 개구)에 가까운 측에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 부재(6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부재(630)는 일 예로 상기 프레임(610), 실질적으로는 상기 후면 프레임(613)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부재(630)는 상기 프레임(610)에 결합되는 결합부(632)와, 상기 결합부(632)의 상측에 형성되는 경사 가이드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는 상기 제빙부(41, 42)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는 상기 얼음 저장부(60)가 상기 본체(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후측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는 외력에 의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빙부(41, 42)에서 분리된 얼음은 상기 프레임(610) 내로 직접 낙하되지 않고,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로 낙하된다. 따라서, 얼음이 상기 프레임(610)으로 집적 낙하되지 않으므로, 얼음의 낙하 시 얼음이 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얼음이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에 낙하되어도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는 탄성 변형될 수 있으므로, 얼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얼음의 깨짐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632)는 상기 제1가이드 부재(630)가 상기 프레임(610)에 결합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가 상기 프레임(610)의 상단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가 상기 프레임(610)의 상단에서 이격됨에 따라,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의 하방에도 얼음이 위치될 수 있어,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가 저장 챔버(610A)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프레임(610) 내의 저장 챔버(610A)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610)과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 사이의 공간에도 얼음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홀(6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10)에는 상기 저장 챔버(610) 내로 유입되는 얼음이 상기 얼음 통로(614) 측에 가깝게 저장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 부재(6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 부재(650)는, 상기 프레임(610), 실질적으로는 연결 프레임(615)에 결합되는 결합부(652)와, 상기 결합부(652)에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 가이드부(6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 가이드부(654)는 상기 오거(620)와 상기 지지부(660) 사이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 가이드부(654)는, 상기 저장 챔버(610A) 내에 위치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60)가 상기 본체(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후측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오거(620)의 양측에 각각 제2가이드 부재(650)가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제2가이드 부재(65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오거(6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70)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오거 구동부(710)와, 상기 오거 구동부(710)의 동력을 상기 오거(62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720, 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거 구동부(710)는, 일 예로 모터이며, 상기 개폐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오거 구동부(710)는 상기 개폐부(110)의 제2바디(13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거 구동부(710)는 상기 개폐부(110)에 결합되는 커버(74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720, 730)는, 상기 개폐부(110)에 구비되는 제1전달부(720)와, 상기 얼음 저장부(60)에 구비되는 제2전달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달부(720)는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전달부(730)는 상기 오거(620)의 회전축(62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102)를 닫으면 상기 제1전달부(720)가 상기 제2전달부(730)와 연결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102)를 개방하면, 상기 제1전달부(720)와 상기 제2전달부(730)의 연결은 해제된다.
상기 제1전달부(720)는 상기 제1바디(120)와 상기 제2바디(13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달부(720)는 상기 제2전달부(730)와 연결되기 위한 제1연결부(7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722)는 일 예로 돌출부 일 수 있으며, 상기 제1바디(12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2전달부(730)는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연장부(61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102)를 닫는 과정 또는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개구(10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오거 구동부(710)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전달부(720)와 상기 제2전달부(730)가 용이하게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제2전달부(730)는 상기 연장부(6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전달부(730)는 상기 오거(620)의 회전축(622)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612)에는 상기 제2전달부(73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7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전달부(730)는 고정부(750)에 의해서 상기 연장부(612)에 설치된다.
상기 제2전달부(730)는 상기 제1전달부(720)의 제1연결부(722)가 연결되는 제2연결부(7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732)는 상기 제1연결부(722)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홈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부(720)의 동력이 상기 제1전달부(720)를 통하여 상기 제2전달부(730)로 안정적으로 전달되기 위하여 상기 제1연결부(722) 및 제2연결부(732)의 단면은 비원형일 수 있다.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개구(10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722)와 상기 제2연결부(732)가 정렬되지 않으면, 상기 제1전달부(720)가 상기 제2전달부(730)에 연결되지 않고, 단지 상기 제2전달부(730)를 가압한다. 물론,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개구(10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722)와 상기 제2연결부(732)가 정렬된 경우에도, 상기 제1전달부(720)는 상기 제2전달부(730)를 가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개구(10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바디(120)가 상기 연장부(612)의 일부를 가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개구(10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110)는 상기 얼음 저장부(60)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달부(720)가 상기 제2전달부(730)를 가압하면, 상기 탄성부재(740)는 수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오거 구동부(710)가 동작되면, 상기 오거 구동부(710)에 의해서 상기 제1전달부(720)는 회전되나, 상기 제2전달부(730)는 미회전된다. 물론, 상기 제1전달부(720)와 제2전달부(730)가 접촉되는 부분의 마찰력이 큰 경우에는 제1전달부(720)의 회전 시 상기 제2전달부(730)도 회전될 수 있으나, 제1전달부(720)의 회전력이 상기 제2전달부(730)로 완전하게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전달부(720)와 상기 제2전달부(730)는 상대 회전된다.
상기 제1전달부(720)와 상기 제2전달부(730)이 상대 회전되면, 상기 제1연결부(722)와 상기 제2연결부(732)가 정렬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740)로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므로, 상기 탄성부재(740)가 인장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4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2전달부(730)가 상기 제1전달부(7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연결부(722)와 상기 제2연결부(7320가 연결된다.
상기 제2전달부(730)는 상기 오거(620)의 회전축(622)과 연결되는 축 연결부(7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 연결부(734)는 상기 오거(620)의 회전축(622)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는 상기 오거(620)의 회전축(622)이 상기 축 연결부(734)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얼음 저장부(60)에 저장된 얼음이 녹은 경우, 녹은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04)는 배출관(106)과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106)을 따라 상기 정수기(1)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3,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정수기(1)는, 실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26)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제빙 기능을 선택(또는 온)하거나 해제(또는 오프)하는 모드 선택부(27)와, 상기 개폐부(110)에 의한 상기 개구(102)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29)와,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만빙 감지 센서(28)와,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810)와,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냉각기(90)와, 각종 제어를 위한 제어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부(27)는 일 예로 상기 본체(10)의 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부(27)는 온오프 스위치일 수 있으나, 상기 모드 선택부(27)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냉각기(90)는 상술한 제빙부(41, 42)와 냉매 사이클을 형성하기 위한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부(27)에 의해서 제빙 기능이 온되면, 상기 제빙부(41, 42)에서 얼음이 생성된다.
상기 제빙부(41, 42)에서 생성된 얼음은 상기 제빙부(41, 42)에서 분리되어 하방으로 낙하된다. 상기 제빙부(41, 42)에 낙하된 얼음은 상기 제1가이드 부재(630) 상으로 낙하된 후에 상기 제1가이드 부재(630)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얼음 저장부(6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만빙 감지 센서(28)에서 만빙이 감지되지 않는 한 상기 제빙부(41, 42)에서는 얼음이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본 발명에서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센서의 종류는 공지의 구조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온도 센서(26)는 상기 본체(10)의 앞쪽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온도 센서(26)는 상기 전면 패널(1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26)가 상기 전면 패널(12)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본체(10) 내부 부품의 온도에 따른 영향이 최소화되므로, 실내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를 통하여 얼음 배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얼음 배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개폐 감지부(29)에 의해서 상기 개구(102)가 상기 개폐부(110)에 의해서 닫혔는지 여부가 감지된다. 상기 개구(102)가 완전하게 닫히지 않으면, 상기 오거 구동부(710)가 구동하여도 상기 오거(620)가 회전되지 않는다. 이 경우 얼음 배출 명령을 입력하여도 얼음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정수기(1)가 고장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얼음 배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개구(102)의 닫힘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는 점검(개구가 열린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얼음 배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개구(102)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오거 구동부(720)를 온시킨다. 그러면, 상기 오거 구동부(720)가 온되어 작동하고, 상기 구동부(720)의 동력이 상기 제1전달부(720) 및 상기 제2전달부(730)를 통하여 상기 오거(62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오거(620)가 회전되고, 상기 저장 챔버(610A)에 저장된 얼음은 상기 오거(620)에 의해서 상기 얼음 통로(614) 측으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셔터 구동부(118)가 작동하여 상기 셔터(116)가 상기 개폐부(110)의 얼음 출구(116)를 개방시킨다.
상기 얼음 통로(614)로 이동되는 얼음은 상기 연장부(612)에 의해서 이동이 가이드되고, 상기 얼음 출구(112) 측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얼음은 최종적으로 상기 얼음 배출부(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얼음 저장부(6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본체(10)에서 상기 전면 패널(12)을 분리시킨다. 그러면, 상기 본체(10)의 전면으로 상기 개폐부(110)가 노출된다.
그 다음, 상기 개폐부(110)의 레버(140)를 조작하여, 상기 레버(140)와 상기 레버 결합부(144)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러면,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102)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상기 개폐부(110)는 회전시켜,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102)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102)를 개방하면, 상기 얼음 저장부(60)가 외부로 노출된다. 일 예로, 상기 얼음 저장부(160)의 연장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상기 얼음 저장부(160)를 상기 본체(10)로부터 꺼낼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얼음 저장부(60)를 상기 본체(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청소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얼음 저장부(6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50)의 청소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25)는 상기 제빙 기능이 온되어 제빙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제빙 기능이 오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빙 기능은 상기 모드 선택부(27)에 의해서 오프될 수 있다.
제빙 기능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온도 센서(26)에서 실내 온도가 감지된다(S2). 물론, 상기 온도 센서(26)에는 주기적으로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온도 센서(26)에서 감지되는 실내 온도를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빙 기능이 오프되면, 상기 제빙부(41, 42)가 제빙 중인 경우에는 제빙이 중단된다.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온도 센서(26)에서 감지된 온도를 기초로 상기 히터(810)의 온 기준 시간을 결정한다(S3). 그리고,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히터(810)를 온 시킨다(S4).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빙 기능이 오프된 경우 상기 얼음 저장부(60) 및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공간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히터(810)를 온시킨다.
상기 온도 센서(26)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른 상기 히터(810)의 온 기준 시간은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온도 센서(2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기준 온도 미만(일 예로 10도)인 경우에는 상기 히터(810)의 온 기준 시간은 제1기준 시간(일 예로 12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센서(2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기준 온도 이상이고, 제2기준 온도 미만(일 예로 20도)인 경우에는 상기 히터(810)의 온 기준 시간은 제2기준 시간(일 예로 9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센서(26)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2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히터(810)의 온 기준 시간은 제3기준 시간(일 예로 6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실내 온도가 높을 수록 수분의 건조가 용이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실내 온도가 높을 수록 상기 히터(810)의 온 기준 시간이 적게 설정된다.
위에서는 상기 히터(810)의 온 기준 시간이 3개로 설정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실내 온도에 상관 없이 상기 히터(810)가 일정 시간 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내 온도에 따른 상기 히터(810)의 온 기준 시간의 개수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히터(810)가 온되면, 도시되지 않은 타이머 또는 제어부(25)가 상기 히터(810)의 온 시간을 카운팅한다.
상기 히터(810)가 온되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열이 공급된다. 상기 얼음 저장부(60)에 얼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된 열에 의해서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얼음이 녹고, 녹은 물은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구(104)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히터(810)의 온 시간이 증가하면,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얼음은 완전하게 녹고, 수분마저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저장부(60)에 얼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히터(810)에 의해서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수분 및 상기 하우징(100) 내의 수분이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으로 지속적으로 열이 공급되면, 상기 하우징(100)의 압력이 증가되고 상기 하우징(100) 내의 증기량이 증가하므로, 상기 하우징(100) 내의 증기를 배출하여야 한다. 상기 하우징(100) 내의 증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히터(810)가 온되는 중에 상기 셔터 구동부(118)는 1회 이상 온된 후에 오프된다. 일 예로 상기 셔터 구동부(118)는 간헐적으로 온/오프를 반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셔터(116)가 간헐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S5).
상기 셔터 구동부(118)의 온에 의해서 상기 셔터(116)가 상기 개폐부(110)의 얼음 출구(112)를 개방하여 상기 얼음 배출부(22)와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50)이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의 증기는 상기 얼음 배출부(22)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히터(810)의 온 시간이 온 기준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 그리고, 상기 히터(810)의 온 시간이 온 기준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히터(810)를 오프시킨다(S7).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빙 기능이 오프되면, 상기 히터가 온되어 상기 얼음 저장부 및 상기 하우징 내를 건조시키므로, 상기 얼음 저장부 또는 하우징 내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의 설명에서 상기 제빙 기능이 오프되면 상기 히터(810)가 온되므로, 상기 제빙 기능이 오프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단계 S2)를 히터(가열부)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라고도 할 수 있다.
위에서 상기 히터(810)가 온되고, 상기 히터(810)의 온 시간이 온 시간 기준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모드 선택부(27)에 의해서 제빙 기능이 선택(온)되면 상기 히터(810)는 오프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1에서 제빙 기능이 오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빙 기능은 지속적으로 수행된다(S11).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26)에서 실내 온도가 감지된다(S12). 물론, 상기 온도 센서(26)에는 주기적으로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온도 센서(26)에서 감지되는 실내 온도를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온도 센서(26)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가 기준 실내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감지된 실내 온도와 기준 실내 온도 비교단계임). 단계 S13에서 판단 결과, 감지된 실내 온도가 기준 실내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계 S1으로 복귀된다.
반면, 감지된 실내 온도가 기준 실내 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히터(810)를 온시킨다(S14). 본 발명에서 기준 실내 온도는 일 예로 5도일 수 있다.
상기 실내 온도가 기준 실내 온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얼음 저장부(60)에 저장된 얼음 들은 서로 엉기게 된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얼음 배출 명령을 입력하여도 상기 얼음 저장부(60)로부터 얼음이 배출되지 않거나 얼음에 의해서 얼음 저장부가 파손되거나 상기 오거와의 마찰에 의해서 얼음이 의도치 않게 부셔지고, 부셔진 얼음이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감성 불만이 야기되거나, 정수기가 고장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내 온도가 기준 실내 온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얼음 저장부(60) 내의 엉겨있는 얼음을 녹이기 위하여, 상기 히터(810)가 온되도록 한다.
상기 히터(810)가 온되면, 상기 제빙부(41, 42)에서의 제빙은 정지된다(S15). 본 발명에서 제빙의 정지는 제빙 기능의 오프와는 다른 것으로서, 제빙 기능은 온되어 있으나, 제빙 대기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히터(810)가 온되는 중에는 상기 셔터 구동부(118)는 1회 이상 온된 후에 오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셔터 구동부(118)는 간헐적으로 온/오프를 반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셔터가 간헐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S16).
상기 셔터 구동부(118)의 온에 의해서 상기 셔터(116)가 상기 개폐부(110)의 얼음 출구(112)를 개방하여 상기 얼음 배출부(22)와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50)이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의 증기는 상기 얼음 배출부(22)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히터(810)가 작동하는 중에, 상기 제어부(25)는 감지된 실내 온도가 기준 실내 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재차 판단한다(S17).
단계 S17에서 판단 결과, 감지된 실내 온도가 기준 실내 온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히터(810)의 온 시간이 온 기준 시간(일 예로 12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8).
상기 온 기준 시간은 상기 얼음 저장부(60) 내의 얼음이 존재하는 경우에 얼음이 녹고, 수분이 완전하게 건조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으로서, 일 예로 12시간일 수 있으며, 상기 얼음 저장부의 크기, 상기 히터의 용량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단계 S18에서 판단 결과, 상기 히터(810)의 온 시간이 온 기준 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4로 복귀한다. 반면, 상기 히터(810)의 온 시간이 온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히터를 오프시킨다(S19).
상기 히터(810)가 오프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25)는 감지된 실내 온도가 기준 실내 온도를 초과하는 여부를 재차 판단한다(S20).
단계 S20에서 판단 결과, 감지된 실내 온도가 기준 실내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계 S1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제빙 기능이 오프되지 않는 한 상기 제빙부(41, 42)에서의 제빙은 시작된다.
반면, 단계 S20에서 판단 결과, 감지된 실내 온도가 기준 실내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9로 복귀한다. 즉, 상기 히터(810)가 오프된 경우에도, 감지된 실내 온도가 기준 실내 온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빙부(41)에서 얼음이 생성되어도 얼음이 다시 엉길 가능성이 높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히터(810)가 오프된 후에 감지된 실내 온도가 기준 실내 온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빙부(41, 42)는 제빙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제빙 정지 상태 유지).
한편, 단계 S17에서 판단 결과, 감지된 실내 온도가 기준 실내 온도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히터(810)를 오프시킨다(S21). 즉,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히터의 온 시간이 온 기준 시간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감지된 실내 온도가 기준 실내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히터(810)를 오프시킨다.
위의 실시 예에서 히터가 온되어 얼음 저장부 내의 얼음을 녹이는 과정을 얼음 멜팅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얼음 멜팅 과정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얼음 멜팅 과정이 수행되는 중에는 이를 알리기 위한 정보가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에서 표시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가 기준 실내 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히터(810)가 온되므로, 감지된 실내 온도와 기준 실내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S13)을 히터(가열부)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얼음 저장부(60)에서 지지부(60)가 생략되는 구성을 오거 어셈블리라 이름할 수 있다. 이 경우, 얼음은 상기 오거 어셈블리에 저장되거나 상기 수용공간(50)의 바닥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위의 실시 예에서는 하우징에 개폐부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외부 패널에 개폐부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외부 패널을 구성하는 일 패널을 정수기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개폐부를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얼음 저장부(또는 오거 어셈블리)를 상기 정수기에서 인출할 수 있다.
10: 본체 20: 물 배출부
22; 얼음 배출부 60; 얼음 저장부
80: 가열부

Claims (18)

  1. 필터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필터에 의해서 정화된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취출되는 얼음 배출부;
    상기 얼음 저장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및
    상기 얼음 배출부와 상기 얼음 저장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가 온되고 오프되기 전에 상기 셔터는 1회 이상 개방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기능을 온하거나 오프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선택부에 의해서 제빙 기능이 오프된 경우, 상기 가열부가 온되는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가 온되고 기준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가열부는 오프되는 정수기.
  4. 필터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본체의 필터에 의해서 정화된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취출되는 얼음 배출부; 및
    상기 얼음 저장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가열부가 작동하되,
    상기 가열부의 작동 시,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에 따라 온 기준 시간이 다르게 설정되는 정수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 시간 경과 전에 상기 모드 선택부에 의해서 상기 제빙 기능이 온되면, 상기 가열부는 오프되는 정수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부의 온 기준 시간이 다르게 설정되는 정수기.
  7. 필터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본체의 필터에 의해서 정화된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취출되는 얼음 배출부; 및
    상기 얼음 저장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가열부가 온되는 정수기.
  8. 삭제
  9.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배출부와 상기 얼음 저장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셔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가 온된 후에는 상기 셔터는 1회 이상 개폐되는 정수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가 온된 후에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가열부는 오프되는 정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가 온된 후에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가열부의 온 시간이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되고,
    상기 가열부의 온 시간이 기준 시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열부는 오프되는 정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가 오프된 후에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하기 전까지는 상기 제빙부에서의 제빙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정수기.
  13. 제 1 항, 제 4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정수기.
  14. 제빙 기능이 온되는 단계;
    상기 제빙 기능이 온된 상태에서 가열부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는 단계;
    상기 가열부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가열부가 온되어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부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부의 오프 전에 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얼음 배출부와 상기 얼음 저장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셔터를 1회 이상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는, 입력부를 통하여 제빙 기능이 오프되거나,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인 정수기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가 온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가열부는 오프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제빙 기능이 오프되어 상기 가열부가 온된 후에, 상기 제빙 기능이 다시 온되면 상기 가열부는 오프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가 되어 상기 가열부가 온된 후에,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가열부는 오프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KR20130028016A 2013-03-15 2013-03-15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478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8016A KR101478897B1 (ko) 2013-03-15 2013-03-15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8016A KR101478897B1 (ko) 2013-03-15 2013-03-15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085A KR20140113085A (ko) 2014-09-24
KR101478897B1 true KR101478897B1 (ko) 2015-01-02

Family

ID=5175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8016A KR101478897B1 (ko) 2013-03-15 2013-03-15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8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251B1 (ko) 2015-01-26 2016-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KR102376013B1 (ko) * 2015-08-27 202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540A (ko) * 2009-05-15 2010-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KR20130020530A (ko) * 2011-08-18 2013-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정수기의 제어방법 및 정수기의 얼음 취출장치
KR20130020064A (ko) * 2011-08-18 2013-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투명얼음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540A (ko) * 2009-05-15 2010-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KR20130020530A (ko) * 2011-08-18 2013-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정수기의 제어방법 및 정수기의 얼음 취출장치
KR20130020064A (ko) * 2011-08-18 2013-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투명얼음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085A (ko)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0766B1 (en) Ice supply system for refrigerator
EP2539652B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hidden user interface
KR101392596B1 (ko) 냉장고
KR101658667B1 (ko) 냉장고
KR101166640B1 (ko) 냉장고의 급수 제어 방법
US20070251261A1 (en) Hot water supplying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03754B1 (ko) 냉장고
EP2419692B1 (en) Refrigerator control technology
KR101668251B1 (ko)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JP5095507B2 (ja) アイスクラッシャーを備えた装置及び冷蔵庫
KR101478897B1 (ko)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275188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101482383B1 (ko) 정수기
KR20100092686A (ko) 필터 내장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519198B1 (ko) 냉장고
KR101491899B1 (ko) 정수기
KR20140039880A (ko) 아이스 메이커 킷트 및 그를 갖는 냉장고
JP4562503B2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KR101483028B1 (ko) 냉장고 제빙기의 제어 방법
JP6995222B2 (ja) 冷蔵庫
JP5193765B2 (ja) 冷蔵庫
KR20100137234A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639440B1 (ko) 냉장고
JP2007101032A (ja) 冷凍冷蔵庫
KR101639481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