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707B1 - Base Plate of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 Google Patents

Base Plate of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707B1
KR101478707B1 KR20120032022A KR20120032022A KR101478707B1 KR 101478707 B1 KR101478707 B1 KR 101478707B1 KR 20120032022 A KR20120032022 A KR 20120032022A KR 20120032022 A KR20120032022 A KR 20120032022A KR 101478707 B1 KR101478707 B1 KR 101478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battery
base plate
plate
modu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320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10246A (en
Inventor
김주한
이범현
성준엽
신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120032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707B1/en
Publication of KR20130110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2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7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2Inorganic material
    • H01M50/224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tationary device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2Connection only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탑재되는 모듈 수납부가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판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판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향 절곡된 구조의 측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수납부에는 전지모듈 쪽으로 돌출된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module housing part on which at least one battery module is mounted is made of a plate material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material is formed with a side wall having an upwardly bent structure, And a protruding reinforcing bead is formed on the base plat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Description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Base Plate of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a novel structure,

본 발명은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탑재되는 모듈 수납부가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판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판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향 절곡된 구조의 측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수납부에는 전지모듈 쪽으로 돌출된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a novel structur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a novel structure, And a reinforcing bead protruding toward the battery module is formed in the module housing part.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의 증가로, 이차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에너지 밀도와 작동전압이 높고 보존과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전지는 각종 모바일 기기는 물론 다양한 전자 제품들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is also rapidly increasing. Among them, lithium secondary batteries, which have high energy density and high operating voltage and excellent storage and life characteristics, It is widely used as an energy source.

이차전지는 외부 및 내부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대략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및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되며, 그 중에서도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길이 대비 작은 폭을 가진 각형 전지와 파우치형 전지가 특히 주목받고 있다.The secondary battery is roughly classified into a cylindrical battery, a prismatic battery and a pouch-shaped battery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outside and the inside. Among them,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stacked with a high degree of integration, and prismatic batteries and pouch- .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에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화되어 가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energy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hybrid electric vehicles, and the like, which is proposed as a solution for air pollution in existing gasoline vehicles and diesel vehicles using fossil fuels.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is diversifying due to the advantages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secondary battery will be applied to many fields and products in the future.

이와 같이 이차전지의 적용 분야와 제품들이 다양화됨에 따라, 전지의 종류 또한 그에 알맞은 출력과 용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화되고 있다. 더불어, 당해 분야 및 제품들에 적용되는 전지들은 소형 경량화가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As the application fields and products of the secondary battery are diversified, the type of the battery is also diversified to provide an appropriate output and capacity. In addition,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cells applied to the field and products.

예를 들어, 휴대폰, PDA,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들은 해당 제품들의 소형 경박화 경향에 따라 그에 상응하도록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소형 경량을 가진 전지셀들이 사용되고 있다. 반면에,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들은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모듈(또는 "중대형 전지팩"으로 칭하기도 함)이 사용되고 있는데, 전지모듈의 크기와 중량은 당해 중대형 디바이스 등의 수용 공간 및 출력 등에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으므로, 제조업체들은 가능한 한 소형이면서 경량의 전지모듈을 제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For example, a small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 digital camera, a notebook computer, etc., has one or a few small and light-weight battery cells per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endency to miniaturize the products. On the other hand, a middle- or large-sized devic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electric vehicle uses a battery module (also referred to as a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in which a large number of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size and weight of the battery are directly relat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output of the mid- to large-sized devices, manufacturers are trying to manufacture a battery module as small and light as possible.

한편, 종래의 전지모듈에서 이차전지는 과충전, 과방전, 과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전지가 비정상적인 상태로 작동되면서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열된 전지는 가스를 발생시키고 케이스에서 가압된 가스는 전지요소의 분해반응을 더욱 촉진시켜 계속적인 과열 및 가스 발생을 유발하며, 스웰링(swell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이차전지가 서서히 열화되는 과정에서도 나타난다. 이 때, 전지모듈이 전지팩 외면과 직접 접촉하는 구조의 경우, 스웰링에 의해 전지팩 외면이 함께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battery module,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operated in an abnormal state due to overcharging, over-discharge, overheating, external impact, etc., and gas may be generated therein. For example, the overheated battery generates gas and the gas pressurized in the case further accelerates the decomposition reaction of the battery element, causing continuous overheating and gas generation, and swelling may occur. This phenomenon occurs even in the course of a gradual deteriora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due to long-term use. In this case, when the battery module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pac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pack is deformed together by swell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전지모듈에는 최외곽에 별도의 구조물을 추가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스웰링을 최소화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전지모듈 어셈블리 전체 부피를 증가시키고 생산 공정을 복잡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conventional battery module, swelling is minimized by adding and fixing a separate structure to the outermost part. However, this method increases the total volum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nd complicates the production process .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high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fundamentally solving such problems.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강 비드를 포함하는 특정한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스웰링에 의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부피 증가를 억제하고 생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that can prevent a battery module assembly from being deformed by swelling while suppressing an increase in volume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a production process by constituting a specific structure including a reinforcing bead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콤팩트(compact)한 구조로 조립할 수 있고, 내부 수납 부재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생산 공정의 안전성 및 효율성 증대 효과를 함께 달성할 수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module assembly which can be assembled in a compact structure, can stably fix the inner receiving members, and can achiev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process at the same time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는,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탑재되는 모듈 수납부가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판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판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향 절곡된 구조의 측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수납부에는 전지모듈 쪽으로 돌출된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a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ule housing part on which at least one battery module is mounted, And a reinforcing bead protruding toward the battery module is formed in the module housing par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보강 비드로 인해, 별도의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지 않고도 스웰링 시 전지모듈의 외면이 변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보다 콤팩트한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Therefore, due to the reinforcing beads, the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from being deformed during swelling without including a separate supporting structure, Assemblies can be configured.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전지셀은 각형 이차전지 또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일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preferred example, the battery cell may be a prismatic secondary battery or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각형 이차전지는 각형의 금속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밀봉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고,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구체적으로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가 밀봉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The prismatic secondary battery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sealed in a rectangular metal case, and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sealed in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상기 이차전지는 바람직하게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및 출력 안정성의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의 기타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이하에서 간단히 설명한다.The secondary battery may preferably b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high energy density, discharge voltage, and output stability. Other components of suc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ill be briefly described below.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액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Generall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composed of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 separator, a non-aqueous electrolyte containing a lithium salt, and the like.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충진제를 더 첨가하기도 한다. 음극은 또한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과 바인더의 혼합물을 도포, 건조하여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성분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is prepared, for example, by applying a mixture of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conductive material and a binder on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llowed by drying, and if necessary, a filler is further added. The negative electrode is also manufactured by applying a mixture of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binder on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drying the same, and if necessary,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further be included.

상기 분리막은 음극과 양극 사이에 개재되며,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된다.The separation membrane is interposed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node, and an insulating thin film having high ion perme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is used.

리튬염 함유 비수계 전해액은, 비수 전해액과 리튬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수 전해액으로는 액상 비수 전해액, 고체 전해질, 무기 고체 전해질 등이 사용된다.The lithium salt-containing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is composed of a nonaqueous electrolyte and a lithium salt. As the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a liquid nonaqueous electrolyte, a solid electrolyte, and an inorganic solid electrolyte are used.

상기 집전체, 전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충진제, 분리막, 전해액, 리튬염 등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The collector,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the binder, the filler, the separator, the electrolyte, and the lithium salt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양극과 음극 사이에 다공성 분리막을 삽입하고 거기에 전해액을 주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Suc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produced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That is, a porous separator may be insert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an electrolyte may be injected into the separator.

양극은,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 활물질과 도전재 및 결합제를 함유한 슬러리를 집전체 위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음극은,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탄소 활물질과 도전재 및 결합제를 함유한 슬러리를 얇은 집전체 위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anode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applying a slurry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lithium transition metal oxide active material, a conductive material and a binder on a current collector, followed by drying. Likewise, the negative electrode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applying a slurry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carbon active material, a conductive material and a binder onto a thin current collector and then drying it.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전지모듈에서 전지셀들은 상호 병렬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In one preferred example, the battery cells in the battery module may be structured such that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병렬 연결은 'ㄱ'자형 또는 'ㄷ'자형 버스 바(bus bar)에 의해 달성되는 구조일 수 있지만 별도의 버스 바 없이 전지셀들의 전극단자들을 직접 연결할 달성될 수도 있다.In a specific example, the parallel connection may be a structure achieved by a '?' Or '?' Shaped bus bar, but it may be achieved to connect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directly without a separate bus bar.

상기 전지셀들은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 프레임(cartridge frame)에 고정되고, 상기 전지모듈은 카트리지 프레임들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attery cells are preferably fixed to a cartridge frame, and the battery module may have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cartridge frames.

이러한 카트리지 프레임은 소정의 강성을 갖는 구조물로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지셀들을 보호하고, 전지셀들의 안정적인 장착을 보장한다. 또한, 카트리지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전지셀들은 전극 리드들이 일 측면을 향하도록 배열됨으로써, 상기 버스 바에 의한 전기적 병렬 연결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Such a cartridge frame is a structure having predetermined rigidity, which protects the battery cells from external impact and ensures stable mounting of the battery cells. In addition, the battery cells are arranged such that the electrode leads are directed to one side by the cartridge frame, thereby facilitating electrical parallel connection by the bus bars.

또한, 상기 버스 바에 의해 전기적 병렬 연결을 이루는 전지셀 전극 리드들은 전극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전극단자는 바람직하게, 전극 리드들이 배열된 일 측면과 동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지셀들이 카트리지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고 카트리지 프레임의 적층에 의해 조립된 전지모듈은, 일 측면에 형성된 전극단자에 의해 전지모듈들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뿐만 아니라, 전압 측정을 위한 검출부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cell electrode leads electrically connected in parallel by the bus bar are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electrode terminal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ame side as the one side where the electrode leads are arranged. Therefore, the battery module, in which the battery cells are fixed by the cartridge frame and assembled by stacking the cartridge frames, can be easily connected not only to the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battery modules by the electrode terminals formed on one side, .

상기 판재는, 예를 들어, 금속 소재의 판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The plate material may be, for example, a plate material made of a metal material.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들이 탑재되고, 상기 전지모듈들의 상면에 탑재되고 전지모듈들에 체결 결합되는 판상형 부재로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부를 포함하고 있는 어셈블리 커버(assembly cove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base plate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a plate-shaped member moun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battery modules and fastened to the battery modules, the assembly including a cabl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cable And may further include an assembly cover.

이러한 어셈블리 커버의 장착에 의해, 전지모듈을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 수납부에 안정적으로 장착 고정할 수 있으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구성시 전체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이와 더불어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에 수납되는 케이블들을 안정적으로 체결 고정할 수 있다.By mounting the assembly cover, it is possible to stably mount and fix the battery module in the base plate internal storage portion,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n its entirety, and to stably store the cables housed in the base plate And can be fastened and fixed.

상기 구조에서, 전지모듈들에는 어셈블리 커버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지모듈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모듈 수납부의 상면에 탑재됨과 동시에 어셈블리 커버와 체결될 수 있으므로,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들을 통해 달성되는 전지모듈과 어셈블리 커버와의 체결은, 바람직하게, 볼트 또는 리벳에 의한 체결일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structure, the battery modules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fasteners for fastening with the assembly cover are formed. Therefore, the battery module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part formed on the base plate and can be fastened to the assembly cover, so that a firm and stable fixing effect can be achieved. Also, the fastening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assembly cover achieved through the fasteners may be performed by bolts or rive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보강 비드의 돌출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 대비 10 내지 400%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높이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보강 비드의 형성에 따른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고, 너무 큰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부피가 증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 바람직한 돌출 높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 대비 30 내지 300%의 크기일 수 있다The protruding height of the reinforcing beads may preferably be 10-400% of the thickness of the base plate. When the height is too small, it is difficult to exert the effect of forming the reinforcing beads. When the height is too large, the volume is increased as a whole, which is not preferable. A more preferable protrusion height may be 30 to 300% of the thickness of the base plate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보강 비드는, In yet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reinforcing bead comprises:

모듈 수납부의 중앙에 위치하며 중앙의 응력을 수용하는 평면상 원형의 메인 비드(main bead);A main bead having a circular shape in plan view and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module housing part and receiving a center stress;

모듈 수납부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위치하고 메인 비드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평면상 원형의 보조 비드들(auxiliary beads); 및Auxiliary beads each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beads, each of the auxiliary beads being positioned at a corner portion of the module receiving portion; And

상기 메인 비드로부터 각각의 보조 비드들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 비드들(connection beads);Connection beads extending from the main bead to respective auxiliary beads;

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따라서, 메인 비드에 의해 가장 많이 집중되는 중앙의 응력을 수용하면서, 연결 비드 및 보조 비드에 의해 응력이 사방으로 분산되므로 매우 바람직하다.Thus, it is highly desirable to accommodate the central stresses that are most concentrated by the main beads, while stresses are distributed in four directions by the connecting beads and auxiliary beads.

상기 구조에서, 전지셀 또는 전지모듈에서 인가되는 팽창 응력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상기 메인 비드는 보조 비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반경을 갖는 바, 예를 들어, 메인 비드의 반경은 보조 비드의 반경의 1.5 내지 10배일 수 있다.In this structure, in order to effectively accommodate the expansion stress applied from the battery cell or the battery module, the main bead has a relatively larger radius than the auxiliary bead. For example, the radius of the main bead is 1.5 To 10 times.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module assembly including the base plate for the battery module assembly.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는,The battery module assembly includes:

전극 리드들이 일측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수직 적층된 둘 이상의 판상형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들; 및Two or more battery modules including two or more plate-shaped battery cells vertically stacked so that electrode leads are aligned in one direction; And

전지모듈의 전극단자를 기준으로 양측에 하향 절곡된 측벽을 포함하고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어 모듈 어셈블리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upper cover plate);An upper cover plate including sidewalls bent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module and fixed on the base plate to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module assembly;

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전지모듈의 안정적인 고정 및 상부 커버 플레이트 등과 같은 구성 부품들의 장착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생산 공정의 효율성 증대 효과와 더불어 안전성 증대 효과를 함께 달성할 수 있다.That is, it is easy to stably fix the battery module and to mount and fix the components such as the upper cover plate and the like,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process can be increased and the safety can be increased.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도 전지모듈 쪽으로 돌출된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upper cover plate may have reinforcing beads protruding toward the battery module.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보강 비드는 자체 강성의 향상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평면상 X자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최외곽에 위치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보강 비드에 의해 별도의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지 않고도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inforcing bead of the upper cover plate may preferably be in the form of an X-like plane in order to improve its own rigidity. Therefore, deformation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without including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by the reinforcing beads of the base plate and the upper cover plate locat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지모듈은, 전지셀의 전극 리드들 상에 장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어셈블리 커버에 체결 고정되는 전기 절연성의 모듈 커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specific example, the battery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ically insulative module cover mounted on the electrode leads of the battery cell and fastened to the base plate and the assembly cover.

따라서, 상기 모듈 커버는 전지셀의 전극 리드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바, 전기 절연성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이격시키는 효과를 더불어 달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module cover can protect the electrode leads of the battery cell from external impact, and is formed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thereby achieving an effect of electrically separating from the outside.

상기 모듈 커버는, 바람직하게는, 전지모듈의 전극단자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 1 후크(hook), 상기 어셈블리 커버에 맞물려 고정되는 위치고정용 상향 돌기, 및 전지모듈에 장착 고정되는 제 2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odule cover includes a first hook for fixing a cable connected to an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module, an upward projection for fixing a position fixed to the assembly cover, Hooks.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후크는, 케이블 단자 및 케이블을 잡아 고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블 단자 및 케이블과의 전기적 연결시, 케이블 단자 및 케이블 결속부가 외부로 이탈하거나, 케이블 단자가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로 인해 전지모듈 어셈블리 조립 공정에서, 더욱 빠른 전지모듈 조립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안전한 생산 공정을 담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hook includes at least one projecting portion capable of holding and fixing the cable terminal and the cable. Therefore, when the cable terminal and the cabl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able terminal and the cable coupling portion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or the cable terminal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in place. In addition, due to such an effect,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battery module more quickly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nd more secure production process can be secured.

더욱이, 상기 모듈 커버는, 전지모듈과 착탈이 용이한 제 2 후크를 포함하고 있어서, 전지모듈을 조립함에 있어 전지모듈의 조립 공정을 더욱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커버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되는 바, 전지모듈 내부에 적층된 판상형 전지셀들을 하나로 일체화 시킴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모듈 커버는 어셈블리 커버의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상향 돌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모듈 커버에 의해 일체화된 전지모듈은 어셈블리 커버와 일체형으로 안착 고정될 수 있다.Further, the module cover includes a second hook which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from the battery module, so that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battery module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in assembling the battery module. In addition, the module cov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so that the plate-shaped battery cells stacked in the battery module can be integrated into one unit, and at the same time,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module from external shocks can be achieved. Furthermore, since the module cover includes upward protrusions that can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ssembly cover, the battery module integrated by the module cover can be seated and fixed integrally with the assembly cover.

상기 모듈 커버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 고정되기 위한 부싱(bushing) 삽입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module cover may further include a bushing insertion port for mounting and fixing to the base plate.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 커버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체결 고정되기 위한 부싱 삽입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바, 상기 부싱 삽입구에 삽입된 부싱 및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상기 체결 부재는 바람직하게 볼트일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the module cover further includes a bushing insertion port for fastening and fixing with the upper cover plate and the base plate, and is fastened and fixed by the bushing and the faste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bushing insertion port. The fastening member may preferably be a bol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따라서, 상기 모듈 커버와 함께 일체화된 전지모듈은, 상기 부싱 삽입구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장착 고정되므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안정적이고 소망하는 수준의 자체 강성을 달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battery module integrated with the module cover is stably mounted and fixed to the base plate by the bushing insertion hole, so that a stable and desired level of self-rigidity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can be achieved.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 커버 플레이트는 브라켓(bracket)를 경유하여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In one preferred example, the base plate and the upper cover plate may be fixed via a bracket.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은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벽에 장착 고정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용접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타측이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측벽에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racket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base plate, preferably by a welding method,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upper cover plate in a fastening manner.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의 체결 방식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자체 탄성 변형을 이용한 방식으로서,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측벽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크기의 만입부를 상기 브라켓의 측벽에 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에 의한 체결 방식일 수 있다.Preferably, the upper cover plate and the upper cover plate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cover plate, and the upper cover plate and the lower cover plate are integrally fixed to each other. And may be a fastening system by a combination of these.

상기 돌출부 및 만입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체결구를 통해 체결 부재로서 상호 체결 고정될 수 있다.The protrusions and indentations preferably include fastener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can be fastened and fixed to each other as fastening members through the fasteners.

따라서, 상부 커버 플레이트는 자체 탄성에 의해 브라켓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체결 조립 공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pper cover plate can easily be mounted on the bracket by its own elasticity, thereby facilitating the fastening and assembling process.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바, 상기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비상용 전원장치, 전산실 전원장치, 휴대용 전원장치, 의료설비 전원장치, 소화설비 전원장치, 경보설비 전원장치 또는 피난설비 전원장치일 수 있지만,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s a power source. The device includes an emergency power source device, a computer room power source device, a portable power source device, a medical device power source device, a fire extinguishing device power source device, Power supply unit, or evacuation facility power supply uni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device are well known in the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는 보강 비드를 포함하는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스웰링에 의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부피 증가를 억제하고 생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콤팩트 한 구조로 조립할 수 있고, 내부 수납 부재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생산 공정의 안전성 및 효율성 증대 효과를 함께 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cluding a reinforcing bead,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due to swelling, increasing volume efficiency,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process . 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ncluding the base plate can be assembled in a compact structure, the inner receiving members can be stably fixed, and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process can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셀이 카트리지 프레임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카트리지 프레임에 의해 적층되어 조립된 전지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및 도 5는 도 3의 전지모듈에 모듈 커버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브라켓이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전지모듈을 안착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전지모듈 상단면에 어셈블리 커버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7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부 커버 플레이트를 장착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pouch-shaped battery ce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cell of FIG. 1 mounted on a cartridge fram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stacked and assembled by the cartridge frame of FIG. 2;
FIG. 4 and FIG.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mounting of the module cover to the battery module of FIG. 3;
Figure 6 is a front view of a module co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ront view of a base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cket mounted on the base plate of FIG. 7;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attery module is seated on the base plate of FIG. 7;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co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ssembly cover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10;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an upper cover plate is mounted on the base plate of FIG. 7;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에는 전극 리드들(11, 12)이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 전지셀(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plan view of a plate-shaped battery cell 10 having electrode leads 11 and 12 formed at one end thereof.

도 1을 참조하면, 전지셀(10)은 전극 리드들(11, 12)이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 전지셀(10)이다. 구체적으로 판상형 전지셀(10)은 금속층(도시하지 않음)과 수지층(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13)에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이며, 통상적으로 이를 파우치형 전지셀(10)로 통칭한다.Referring to FIG. 1, a battery cell 10 is a plate-shaped battery cell 10 having electrode leads 11 and 12 formed at one end thereof. Specifically, the plate-shaped battery cell 10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is embedded in a pouch-shaped case 13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metal layer (not shown) and a resin layer (not shown) This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pouch-shaped battery cell 10.

도 2에는 전지셀들(10, 20)이 카트리지 프레임(31)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카트리지 프레임들(31-38)에 의해 조립된 전지모듈(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cells 10 and 20 are mounted on the cartridge frame 3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100 assembled by the cartridge frames 31-38. A perspective view is show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셀들(10, 20)은 카트리지 프레임(31)에 장착되고, 이러한 카트리지 프레임들(31-38)은 카트리지 프레임 상단 커버(111) 및 카트리지 프레임 하단 커버(112)에 의해 볼트 체결(121, 122, 123, 124)되어 고정되어 하나의 전지모듈(100)을 이룬다. 또한, 카트리지 프레임들(31-38) 내부에 장착된 전지셀들(10, 20)의 전극 리드들(11, 12)은 전지모듈(100)의 일 측면에 정렬되고, 'ㄷ'자형 버스 바들(131, 141)에 의해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다. 또한, 이렇게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 전극 리드들(11, 12)은 각각 양극 단자(130) 및 음극 단자(140)에 연결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battery cells 10 and 20 are mounted on the cartridge frame 31, and these cartridge frames 31-38 are mounted on the cartridge frame top cover 111 and the cartridge frame bottom cover 112 122, 123, and 124 to be fixed to each other to form one battery module 100. The electrode leads 11 and 12 of the battery cells 10 and 20 mounted inside the cartridge frames 31 to 38 are align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100 and the ' (131, 141). The electrode leads 11 and 12 electrically connected in parallel ar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3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40, respectively.

도 4 및 도 5에는 도 3의 전지모듈(100)에 모듈 커버(200)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커버(20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mounting of the module cover 200 to the battery module 100 of FIG. 3.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dule co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is show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모듈(100)의 모듈 커버(200)가 장착되는 일 측면의 양측 모서리에는 후크 구조의 돌출부(151, 1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모듈 커버(200)에는 돌출부(151, 152)에 들어맞는 크기의 제 2 후크(211, 212)가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protruding portions 151 and 152 having a hook structure are formed on both side edges of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100 on which the module cover 200 is mounted. The module cover 200 moun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formed with second hooks 211 and 212 sized to fit into the projections 151 and 152.

따라서, 이러한 후크 구조는 착탈이 매우 용이한 구조이므로, 전지모듈(100)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hook structure is easily detachab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in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battery module 100. [

도 1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1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co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도 11과 함께 참조하면, 모듈 커버(200)는 어셈블리 커버(500)에 맞물려 고정되는 위치고정용 상향 돌기들(251, 252)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모듈 커버(200)는 부싱 삽입구(220)를 포함하고 있어, 어셈블리 커버(500)의 체결구(523)를 통해 더욱 견고히 고정된다.Referring to FIG. 6 together with FIG. 11, the module cover 200 includes upwardly projecting protrusions 251 and 252 which are engaged with and fixed to the assembly cover 500. In addition, the module cover 200 includes a bushing insertion port 220, and is more firmly fixed through a fastener 523 of the assembly cover 500. [

도 7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의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브라켓(400)이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4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7 is a front view of a ba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cket 400 mounted on the base plate 300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300)에는 전지모듈들(도시하지 않음)을 탑재할 수 있는 수납부들(301, 302, 303, 304)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져 있다. 금속 판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 즉, 상호 대향하는 양측 외주면에 상향 절곡된 구조의 측벽(330)이 형성되어 있으며, 모듈 수납부(301, 302, 303, 304)에는 전지모듈 쪽으로 돌출된 보강 비드(340)가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base plate 300 is formed of a metal plate having upper portions formed with receiving portions 301, 302, 303, and 304 on which battery modules (not shown) can be mounted. A side wall 330 having an upwardly bent structure is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metal plate, that is, opposit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pposed to each other. The module accommodating portions 301, 302, 303, (Not shown).

구체적으로, 보강 비드(340)는, 모듈 수납부(301, 302, 303, 304)의 중앙에 위치하며 중앙의 팽창 응력을 수용하는 평면상 원형의 메인 비드(341); 모듈 수납부(301, 302, 303, 304)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위치하고 메인 비드(34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평면상 원형의 보조 비드들(342); 및 메인 비드(341)로부터 각각의 보조 비드들(342)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 비드들(343); 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reinforcing bead 340 includes a main bead 341 in the shape of a circle on the plane and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module housing part 301, 302, 303, 304 and receiving a central inflation stress; Auxiliary auxiliary beads 342 which are respectively located at corner portions of the module storage portions 301, 302, 303, 304 and are smaller in size than the main beads 341; And connection beads (343) extending from the main bead (341) to the respective auxiliary beads (342); .

이 때, 보강 비드(340)의 돌출 높이(h)는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두께(W) 대비 약 150%의 크기이고, 메인 비드(341)의 반경(R)은 보조 비드의 반경(r)의 약 4배로 형성되어 있어서, 중앙의 팽창 응력을 메인 비드(341)가 주로 수용하면서, 연결 비드(343) 및 보조 비드(342)와 연동하여 전체적인 팽창 응력을 효과적으로 수용한다.The protrusion height h of the reinforcing bead 340 is about 150% of the thickness W of the base plate 300 and the radius R of the main bead 341 is a radius of the auxiliary bead r So that the main bead 341 mainly accommodates the central expansion stress and interlocks with the connecting bead 343 and the auxiliary bead 342 to effectively receive the overall expansion stress.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하단면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체결부들(311, 312, 313, 1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300) 외주면에 상향 절곡된 구조의 측벽(330)에는 브라켓(400)이 용접에 의해 결속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astening portions 311, 312, 313, and 134 protruding upward are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base plate 300. A bracket 400 is welded to the sidewall 330 having an upwardly bent structur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300.

브라켓(40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측벽(330)과 용접 결속되는 용접 결합부(420), 상부 커버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와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만입부들(401, 402, 403) 및 각 만입부들(401, 402, 403)에 형성된 체결구들(411, 412, 413)이 형성되어 있다.The bracket 400 is provided with a weld joint 420 welded to the side wall 330 of the base plate 300, indentations 401, 402 and 403 coupled with the upper cover plate Fasteners 411, 412, and 413 formed in the respective indentations 401, 402, and 403 are formed.

도 10에는 도 7의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전지모듈들(101, 102, 103, 104)을 안착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커버(5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는 도 7의 전지모듈 상단면에 어셈블리 커버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modules 101, 102, 103, and 104 are seated on the base plate 300 of FIG. 7,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co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shown a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 source 500.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cover mou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이들 도면을 도 6 내지 도 8과 함께 참조하면, 전지모듈들(101, 102, 103, 104)은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모듈 수납부들(301, 302, 303, 304)에 각각 안착된다. 안착된 전지모듈들(101, 102, 103, 104)은 어셈블리 커버(500)에 의해 장착 고정된다.Referring to FIGS. 6 to 8, the battery modules 101, 102, 103, and 104 are respectively seated in the module receiving portions 301, 302, 303, and 304 of the base plate 300. The mounted battery modules 101, 102, 103, and 104 are mounted and fixed by the assembly cover 500.

구체적으로, 어셈블리 커버(500)의 체결구들(512, 540)은,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상향 돌출형 체결구들(321, 322)에 체결 고정된다.Concretely, the fasteners 512 and 540 of the assembly cover 500 are fastened and fastened to the upwardly projecting fasteners 321 and 322 of the base plate 300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전지모듈들(101, 102, 103, 104)의 모듈 커버(200)의 상부면에는 어셈블리 커버(500)의 위치고정용 체결구들(521, 522)에 맞물려 고정되는 상향 돌기들(251, 25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고정용 체결구들(521, 522)은 전지모듈들(101, 102, 103, 104)로 하여금 어셈블리 커버(500)의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surfaces of the module cover 200 of the battery modules 101, 102, 103 and 104 are provided with upward projections 251 and 252 engaged with and fixed to the position fixing fasteners 521 and 522 of the assembly cover 500, Respectively. These position fixing fasteners 521 and 522 allow the battery modules 101, 102, 103 and 104 to be mounted in the correct positions of the assembly cover 500. [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정위치에 안착 고정된 전지모듈들(101, 102, 103, 104)은, 모듈 커버(200)에 형성된 부싱 삽입구(220) 및 부싱 삽입구(220) 내에 장착된 부싱(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볼트 체결에 의해 또다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어셈블리 커버(500)의 체결구(523), 모듈 커버(200)의 부싱 삽입구(220)를 관통한 볼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향 돌출형 체결구들(311, 312, 313, 134) 체결 고정됨으로써, 모듈 커버(200)에 고정된 전지모듈들(101, 102, 103, 104)을 더욱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The battery modules 101, 102, 103 and 104 which are fixed in place by the above method are installed in the bushing insertion port 220 formed in the module cover 200 and the bushing And then fixed again by bolt fastening. Specifically, bolts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s 523 of the assembly cover 500 and the bushing insertion holes 220 of the module cover 200 are fastened and fixed to the upward protruding fasteners 311, 312, 313, The battery modules 101, 102, 103, and 104 fixed to the module cover 200 are more firmly fixed.

도 13에는 도 7의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상부 커버 플레이트(800)를 장착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the upper cover plate 800 is mounted on the base plate 300 of FIG.

도 13을 도 8 및 도 9와 함께 참조하면, 상부 커버 플레이트(800)는 베이스 플레이트(300) 상에 고정되어 모듈 어셈블리의 상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호 대향하는 양측 외주면에는 하향 절곡된 측벽(810)을 포함하고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장착된 브라켓(400)에 의해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13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the upper cover plate 800 is fixed on the base plate 300 to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assembly, and on both opposit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downwardly bent side walls 810 And is coupled by a bracket 400 mounted on the base plate 300. [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800)는 전지모듈(101, 102, 103, 104) 쪽으로 돌출되어 외부 표면에 자체 강성 향상을 위한 평면상 X자 형상의 보강 비드(8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 모서리를 따라 다수의 통풍구들(830)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upper cover plate 800, a reinforcing bead 820 in a planar shap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101, 102, 103, 104 to improve its own rigidity. And a plurality of vents 830 are formed.

한편, 상부 커버 플레이트(800)에는 브라켓(400)에 형성되어 있는 만입부들(401, 402, 403)과 대응하는 돌출부들(811, 812, 813)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돌출부들(811, 812, 813)은 각각 만입부들(401, 402, 403)의 체결구들(411, 412, 413)과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구들(도시하지 않음) 각각 포함한다.The upper cover plate 800 includes projections 811, 812, and 813 corresponding to the indentations 401, 402, and 403 formed in the bracket 400. These protrusions 811, 812 and 813 each include fasteners (not shown) which can be fastened by bolts to the fasteners 411, 412 and 413 of the indentations 401, 402 and 403, respectively.

상부 커버 플레이트(800)와 브라켓(400)의 체결 방식은, 상부 커버 플레이트(800)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는 바, 상부 커버 플레이트(800)를 자체 탄성에 의해 브라켓(400)에 용이하게 정위치 안착할 수 있는 체결 방식이므로, 이를 통해 체결 조립 공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upper cover plate 800 and the bracket 400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upper cover plate 800 so that the upper cover plate 800 is easily fixed to the bracket 400 The fastening and assembling process can be further facilitat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Claims (26)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탑재되는 모듈 수납부가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판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판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향 절곡된 구조의 측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수납부에는 전지모듈 쪽으로 돌출된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 비드는,
모듈 수납부의 중앙에 위치하며 중앙의 응력을 수용하는 평면상 원형의 메인 비드;
모듈 수납부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위치하고 메인 비드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평면상 원형의 보조 비드들; 및
상기 메인 비드로부터 각각의 보조 비드들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 비드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member is formed with a side wall having an upwardly bent structure and the module hous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inforcement projecting toward the battery module Beads are formed,
The reinforcing bead
A main bead having a circular shape in plan view and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module housing portion and receiving a center stress;
Planar circular auxiliary beads respectively located at corner portions of the module housing portion and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beads; And
Connection beads extending from the main bead to respective auxiliary beads;
And a base plate for supporting the battery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에 내장된 전지셀은 각형 이차전지 또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The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cell built in the battery module is a prismatic secondary battery or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가 밀봉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The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sealed in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에서 전지셀들은 병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The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parallel in the battery modu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연결은 'ㄱ'자형 또는 'ㄷ'자형 버스 바(busbar)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The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arallel connection is accomplished by an 'a' or 'c' shaped bus b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에 내장된 전지셀들은 카트리지 프레임(cartridge frame)에 고정되고, 상기 전지모듈은 카트리지 프레임들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The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cells built in the battery module are fixed to a cartridge frame, and the battery module comprises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cartridge fram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금속 소재의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The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te member is a metal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들이 탑재되고, 상기 전지모듈들의 상면에 탑재되고 전지모듈들에 체결 결합되는 판상형 부재로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부를 포함하고 있는 어셈블리 커버(assembly cover)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plate includes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a plate-shaped member moun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battery modules and fastened to the battery modules, Wherein the base plate further comprises an assembly cov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들에는 어셈블리 커버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12]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claim 8, wherein the battery modules have fasteners for fastening the battery module to the assembly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비드의 돌출 높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 대비 10 내지 400%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The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eight of the reinforcing beads is 10-400% of a thickness of the base pla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비드의 반경은 보조 비드의 반경의 1.5 내지 1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The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dius of the main bead is 1.5 to 10 times the radius of the auxiliary bead. 제 1 항 내지 제 10 항 또는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A battery module assembly comprising a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or 1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전극 리드들이 일측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수직 적층된 둘 이상의 판상형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들; 및
전지모듈의 전극단자를 기준으로 양측에 하향 절곡된 측벽을 포함하고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어 모듈 어셈블리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upper cover plate);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4.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claim 13,
Two or more battery modules including two or more plate-shaped battery cells vertically stacked so that electrode leads are aligned in one direction; And
An upper cover plate including sidewalls bent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module and fixed on the base plate to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module assembly;
The battery module assembly comprising: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는 전지모듈 쪽으로 돌출된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5.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a reinforcing bead protruding toward the battery module is formed on the upper cover plat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보강 비드는 평면상 X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16.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claim 15, wherein the reinforcing beads of the upper cover plate are planar X-shape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은, 전지셀의 전극 리드들 상에 장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어셈블리 커버에 체결 고정되는 전기 절연성의 모듈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15.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claim 14, wherein the battery module further comprises an electrically insulative module cover mounted on the electrode leads of the battery cell and fastened to the base plate and the assembly cover.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는, 전지모듈의 전극단자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 1 후크(hook), 상기 어셈블리 커버에 맞물려 고정되는 위치고정용 상향 돌기, 및 전지모듈에 장착 고정되는 제 2 후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module cover comprises: a first hook for fixing a cable connected to an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module; an upward projection for fixing the position fixed to the assembly cover; And a second hook. ≪ Desc / Clms Page number 18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 고정되기 위한 부싱(bushing) 삽입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18.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claim 17, wherein the module cover further comprises a bushing insert for mounting and fixing to the base plat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 커버 플레이트는 브라켓(bracket)를 경유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15.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claim 14, wherein the base plate and the upper cover plate are fixed via a bracket.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벽에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측벽에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21.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claim 20, wherein the bracket is welded to one side of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a side wall of the upper cover plate in a fastening manner. 제 13 항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전원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A device as claimed in claim 13,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s a power source.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비상용 전원장치, 전산실 전원장치, 휴대용 전원장치, 의료설비 전원장치, 소화설비 전원장치, 경보설비 전원장치 또는 피난설비 전원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23. The device of claim 22, wherein the device is an emergency power supply, a computer room power supply, a portable power supply, a medical equipment power supply, a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power supply, an alarm facility power supply or an evacuation facility power supply.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탑재되는 모듈 수납부가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판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판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향 절곡된 구조의 측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수납부에는 전지모듈 쪽으로 돌출된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들이 탑재되고, 상기 전지모듈들의 상면에 탑재되고 전지모듈들에 체결 결합되는 판상형 부재로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부를 포함하고 있는 어셈블리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member is formed with a side wall having an upwardly bent structure and the module hous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inforcement projecting toward the battery module Beads are formed,
The base plate may further include an assembly cover including a cabl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cable, the plate-shaped member having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mounted thereon an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s and fastened to the battery modules A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전극 리드들이 일측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수직 적층된 둘 이상의 판상형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들; 및
전지모듈의 전극단자를 기준으로 양측에 하향 절곡된 측벽을 포함하고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어 모듈 어셈블리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탑재되는 모듈 수납부가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판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판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향 절곡된 구조의 측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수납부에는 전지모듈 쪽으로 돌출된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지모듈은, 전지셀의 전극 리드들 상에 장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어셈블리 커버에 체결 고정되는 전기 절연성의 모듈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A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Two or more battery modules including two or more plate-shaped battery cells vertically stacked so that electrode leads are aligned in one direction; And
An upper cover plate including sidewalls bent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module and fixed on the base plate to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module assembly;
Lt; / RTI >
Wherein the base plate for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s formed of a plate having a module storage part on which at least one battery module is mounted, the sidewall having an upwardly bent structure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A reinforcing bead protruding toward the battery module is formed in the pouring part;
Wherein the battery module further comprises an electrically insulative module cover mounted on the electrode leads of the battery cell and fastened to the base plate and the assembly cover.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전극 리드들이 일측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수직 적층된 둘 이상의 판상형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들; 및
전지모듈의 전극단자를 기준으로 양측에 하향 절곡된 측벽을 포함하고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어 모듈 어셈블리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탑재되는 모듈 수납부가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판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판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향 절곡된 구조의 측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수납부에는 전지모듈 쪽으로 돌출된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 커버 플레이트는 브라켓을 경유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A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Two or more battery modules including two or more plate-shaped battery cells vertically stacked so that electrode leads are aligned in one direction; And
An upper cover plate including sidewalls bent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module and fixed on the base plate to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module assembly;
Lt; / RTI >
Wherein the base plate for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s formed of a plate having a module storage part on which at least one battery module is mounted, the sidewall having an upwardly bent structure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A reinforcing bead protruding toward the battery module is formed in the pouring part;
Wherein the base plate and the upper cover plate are fixed via a bracket.
KR20120032022A 2012-03-29 2012-03-29 Base Plate of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KR1014787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2022A KR101478707B1 (en) 2012-03-29 2012-03-29 Base Plate of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2022A KR101478707B1 (en) 2012-03-29 2012-03-29 Base Plate of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246A KR20130110246A (en) 2013-10-10
KR101478707B1 true KR101478707B1 (en) 2015-01-02

Family

ID=4963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32022A KR101478707B1 (en) 2012-03-29 2012-03-29 Base Plate of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7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310B1 (en) 2014-12-24 2017-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Compact secondary battery module integrated with BMS
KR102092110B1 (en) * 2015-12-04 2020-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Pack Comprising Connecting Bracket for Battery Module Groups Spaced Apart
KR102115481B1 (en) * 2015-12-07 2020-05-26 주식회사 엘지화학 Compact secondary battery module integrated with BMS
KR102317506B1 (en) 2017-04-10 2021-10-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KR102159347B1 (en) 2017-11-14 2020-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having end plates pressurizing battery cells and extensible sensing housing parts
KR102263447B1 (en) * 2018-03-02 2021-06-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Cylindrical Battery Having Structure Shielding Laser Beam for Welding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102360951B1 (en) 2019-01-17 2022-02-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r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the battery rack
KR20210017169A (en) * 2019-08-07 2021-0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pack cover having surface uneven structures and battery pack thereof
CN110854330A (en) * 2019-11-27 2020-02-28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Exhaust positioning tool,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KR20210118527A (en) * 2020-03-23 2021-10-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cover member having uneven patterns protruding in different direction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307A (en) * 2007-06-28 2009-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JP4858660B1 (en) * 2010-09-20 2012-0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Assembly pallet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307A (en) * 2007-06-28 2009-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JP4858660B1 (en) * 2010-09-20 2012-0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Assembly pallet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246A (en)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707B1 (en) Base Plate of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US10862082B2 (en) Battery module assembly
JP6058163B2 (en)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ew structure
JP6019125B2 (en)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improved reliability and medium-to-larg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9997758B2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EP2999024B1 (en) Base plate for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novel structure
KR101281811B1 (en)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Structure Stability
KR101459400B1 (en) Battery Module Assembly
EP2562842B1 (en) Battery module
EP3151307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EP2991132B1 (en) Battery module assembly
JP2011108652A (en) Battery pack, automobile, reinforcement method of battery pack, and forming method of battery pack
US9012063B2 (en) Battery module
KR101382543B1 (en)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KR20170062845A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Unit Module Having Simple Structure
KR101443833B1 (en) External Input and Output Cab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Assembly Employed with the Same
KR20190009340A (en) Battery module with cover assembly
KR20160019664A (en) A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Electrical Connected Groove of Mechanical Coupling Method
KR20150107698A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