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118B1 - Mouthpiece typ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light - Google Patents

Mouthpiece typ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l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118B1
KR101478118B1 KR1020130106827A KR20130106827A KR101478118B1 KR 101478118 B1 KR101478118 B1 KR 101478118B1 KR 1020130106827 A KR1020130106827 A KR 1020130106827A KR 20130106827 A KR20130106827 A KR 20130106827A KR 101478118 B1 KR101478118 B1 KR 101478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housing
light emitting
outer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수종
홍창수
Original Assignee
(주)푸로맥스
홍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푸로맥스, 홍창수 filed Critical (주)푸로맥스
Priority to KR1020130106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1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1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6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 A61N2005/0665Refl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insertion type treatment device using light, which is inserted in the mouth to treat gum inflammation and to sterilize teeth and mouth and, more specifically, to an oral insertion type treatment device using light comprising a light-emitting diode, which irradiates a certain wavelength to an oral-shaped housing, and a control circuit thereof.

Description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Mouthpiece typ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light}[0001] Mouthpiece typ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light [

본 발명은 구강에 삽입되어 잇몸염증을 치료하고, 치아와 구강을 살균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에 특정한 파장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와 그 제어회로를 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cavity type optical therapy apparatus inserted into an oral cavity for treating gingival inflammation and sterilizing teeth and oral cavity, A diode, and a control circuit thereof.

예로부터 치아는 오복(五福)중 하나라고 하여 건강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왔다. 치아는 구강으로 섭취되는 음식물을 씹어서 잘게 분쇄하는 저작 운동을 함으로써 위장과 소장에서 음식물의 소화를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For a long time, teeth have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health by being one of five bok. Tooth helps the digestion of food in the stomach and small intestine by chewing the food ingested into the mouth and finely grinding it.

이러한 치아는 상악과 하악으로 대분되며, 법랑질로 이루어진 치아는 치은(잇몸)으로 둘러싸여 있다.These teeth are divided into the maxilla and mandible, and the teeth of enamel are surrounded by gums (gums).

그런데, 음식물을 치아로 씹는 과정에서 치아를 비롯한 구강내에 음식물이 남아있게 되면, 구강내에 남아있는 음식물을 매개로 하여 박테리아 균이 번식하게 되면서 충치 및 잇몸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when foods are left in the oral cavity such as teeth during the process of chewing food with teeth, bacterial bacteria are propagated through food remaining in the oral cavity, resulting in tooth decay and gingival inflammation.

일반적으로, 치은에 염증이 발생된 것을 치은염이라고 하는데, 잇몸이 빨갛게 변하면서 양치시 잇몸에 출혈이 발생하고 구취가 심해지며, 음식물 섭취시 잇몸에 통증이 유발된다. 이러한 치은염은 치아 주위 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치주염으로 악화될 수 있다.Generally, inflammation of the gingiva is called gingivitis. When the gingiva turns red, it causes bleeding in the gums and bad breath, and it causes pain in the gums when food is consumed. Such gingivitis can be exacerbated by periodontitis, which causes inflammation of the surrounding tissue of the tooth.

이러한 치은염이나 치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구강에 삽입되는 치주질환용 광 치료기가 대한민국 특허 제10-777438 호의 마우스피스형 치주질환 치료기(하기, '선행기술문헌')로 공지되어 있다.A phototherapy apparatus for periodontal diseas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uch gingivitis and periodontal disease is known as a treatment apparatus for periodontal disease of the mouthpiece type of Korean Patent No. 10-77743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상기의 선행기술은 입안에 삽입하여 치아 및 잇몸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끼움골을 가지는 마우스피스부재와, 치아 및 잇몸에 광을 조사할 수 있게 마우스피스부재 내에 다수개의 광원이 어레이된 광원 어레이와, 광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ior art includes a mouthpiece member having a fitting bone to be inserted into a mouth to cover a tooth and a part of a gum, a light source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arrayed in a mouthpiece member to irradiate light to the teeth and the gum,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light source.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제어기가 마우스피스부재와 별도로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제어기와 마우스피스부재와의 연결과정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controller is separately provided from the mouthpiece member, which is inconvenient to carry and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mouthpiece member is troublesome.

대한민국 특허 제 10-0777438호(발명의 명칭: 마우스피스형 치주질환 광치료기, 공고일자: 2007년11월28일)Korean Patent No. 10-0777438 (entitled "Mouthpiece Type Periodontal Disease Phototherapy Machine", published on Nov. 28, 2007)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된 본 발명의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는, 치료장치에 광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가 함께 설치되어 있으며, 부피를 적게 차지하면서도 휴대성이 우수하고 시술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the oral cavity type optical therap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a light source in a treatment apparatus, and has a small volu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al-type optical therapy apparatus which can be simply performed.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의 구성은, 구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에 특정한 파장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와 그 제어회로를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ral cavity type phototherapy apparatus comprising a light emitting diode for emitting light at a specific wavelength to a housing having a mouth shape, and a control circuit for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a phototherapy apparatus.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The advantages of the oral cavity typ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re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의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는, 하우징에 광원과 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전원과 그 충전을 위한 접속단자가 함께 설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선행기술과 대비하여 치료장치 자체의 크기를 경박단소화시킬 수 있으며, 휴대성이 우수하고 시술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since the light source,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and the connection terminal for power supply and charging thereof are provided together in the housing of the oral cavity type optical therap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length of time and to carry out the procedure easily.

둘째, 본 발명 광 치료장치의 하우징은 U 자 형상의 외측 테두리와 내측 테두리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전면커버와 배면커버로 이루어져 인체의 구강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환자에게 거부감과 불쾌감을 유발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Second, the housing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shaped outer rim and an inner rim, and a front cover and a back cover that connect the inner and outer rims, and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human body. There is no effect.

셋째, 본 발명 광 치료장치의 하우징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져 광의 투과율과 굴절률이 양호한 효과가 있다. Thirdly, the housing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light transmitting material, and has a good light transmittance and refractive index.

넷째, 본 발명 광 치료장치의 광원은 발광다이오드이며 특히 특정 파장대의 잇몸치료용 파장과 치아 및 구강살균용 파장을 이중으로 발광함으로써 한번의 시술로 다양한 치료 효과를 수득할 수 있게 된다. Fourth, the light source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 emitting diode. In particular, by emitting a wavelength for treating gums of a specific wavelength band and a wavelength for tooth and oral disinfec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various therapeutic effects by a single operation.

다섯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부에 확산렌즈를 설치하고 외측 테두리 상에 반사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광원에서 발광하는 광의 투과율과 굴절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Fifth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diffusion lens in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providing the reflection member on the outer edge, the transmittance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can be maximized.

여섯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광원 및 전원과 제어회로가 구강내로 삽입되지 않는 상부 케이스에 설치됨으로써, 광원과 그 제어회로가 구강내의 침 등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본 발명 광 치료장치의 내구성이 보다 강화된 효과를 발현하고 있다. Sixt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source, the power supply, and the control circuit are installed in the upper case where the control circuit is not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he light source and its control circuit are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needle or the like in the oral cavity. And the durability of the resin composition is enhanced.

일곱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의하면,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하우징의 외부 테두리 및 내부 테두리로 전달하는 광섬유를 구비함으로써 광의 전달 효율을 증가시킨 효과가 있다. Seventhl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odifications, an optical fiber for transmitting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to an outer rim and an inner rim of the housing is provided, thereby increasing light transmission efficiency.

여덟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 및 제 5 실시예에 의하면, 광원으로 이용되는 발광다이오드를 외부 테두리 부분에 3 개를 설치함으로써 절대적인 광 조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외측 테두리의 중앙 및 양측면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된 광이 잇몸과 치아에 입체적으로 조사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매우 진보한 발명인 것이다. Eighth,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bsolute amount of light irradiation by providing three light emitting diodes used as a light source at the outer edge portion, Is a very advanced invention having the advantage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stalled light emitting diode can be irradiated to the gums and teeth in three dimensions.

도 1 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배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전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배면의 일부절개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정면도,
도 6 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전면의 일부절개사시도,
도 7a 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평면도,
도 7b 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단면도,
도 8a 은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변형예의 평면도,
도 8b 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변형예의 단면도,
도 9a 은 본 발명 제 4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평면도,
도 9b 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단면도,
도 10a 은 본 발명 제 5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평면도,
도 10b 은 본 발명 제 5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단면도이다.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surface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hoto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surface of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plan view of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plan view of a modification of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 sectional view of a modification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is a plan view of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is a plan view of a photo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는, 구강의 상악 부분과 하악 부분이 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특정한 파장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전원을 인가하고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and a mandible portion of the oral cavity can be placed, a light source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irradiating light with a specific wavelength, And a light emitting unit for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the light source.

또한, 본 발명 광 치료장치의 상기 하우징은 U 자 형상의 외측 테두리와, 상기 외측 테두리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U 자 형상의 내측 테두리와, 상기 외측 테두리와 상기 내측 테두리의 사이를 수평하게 연결하되 구강의 상악 부분이 거치되는 전면 커버와 구강의 하악 부분이 거치되는 배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housing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haped outer rim, a U-shaped inner rim formed inside the outer rim, and an inner rim connected horizontally between the outer rim and the inner rim, And a rear cover on which a mandible portion of the mouth is mounted.

또한, 본 발명 광 치료장치의 상기 하우징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 투과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의 투과율과 굴절률이 높은 재질이다. Further, the housing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light-transmitting material, and more preferably a material having high light transmittance and refractive index.

또한, 본 발명 광 치료장치의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광의 파장은 630nm~660nm 의 잇몸치료용 파장을 발광하는 제 1 발광다이오드와, 270nm 의 치아 및 구강살균용 파장을 발광하는 제 2 발광다이오드임이 보다 바람직하며, 이는 현재 가용한 발광다이오드의 광의 파장을 고려한 수치로 실제에 있어서는 253.7nm의 광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light source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 emitting diode. The light emitting diode has a first light emitting diode emitting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630 nm to 660 nm and a gum treatment wavelength of 270 nm,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253.7 nm in practice, which is a numerical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wavelength of light of the currently available light emitting diode.

또한, 상기 발광부의 전원은 충전가능한 배터리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배터리 충전용 접속단자를 부설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source of the light emitting unit is a rechargeable battery,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provide a connection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부는 광원의 제어를 위하여 광원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치와 광원의 발광 순서와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실장된 제어기판을 구비한다.Preferably, the light emitting portion includes a switch for turning on or off a light source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and a control board on which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rder and the light emission time of the light source is mounted.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의 실시예들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embodiments of the oral cavity typ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It is to be noted, however, that the disclosed drawings are provided as examples for allowing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is omitted.

도 1 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배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전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배면의 일부절개사시도이다.FIG.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hoto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surface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1)는, 인체의 구강의 상악 부분과 하악 부분이 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어 특정한 파장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31)과, 상기 광원(31)에 전원을 인가하고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phototherapy apparatus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10) having a shape in which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of a mouth of a human body can be mounted, A light source 31 for emitting light with a specific wavelength and a light emitting unit 30 for a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31 and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the light source.

상기 하우징(10)은 U 자 형상의 외측 테두리(11)와, 상기 외측 테두리(11)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U 자 형상의 내측 테두리(12)와, 상기 외측 테두리(11)와 상기 내측 테두리(12)의 사이를 수평하게 연결하되 구강의 하악 부분이 거치되는 배면 커버(13)와 구강의 상악 부분이 거치되는 전면 커버(14)로 이루어진다.The housing 10 includes a U-shaped outer rim 11, a U-shaped inner rim 12 formed inside the outer rim 11, and an outer rim 11 and an inner rim 11, 12, and a front cover 14 o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oral cavity is mounted.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외측 테두리(11)의 상부에 손잡이(40)가 취부되며, 상기 손잡이(40)의 걸쇠(41)가 외측 테두리(11) 상부 내지 전면 커버(14)와 배면 커버(13)에 천공된 삽입공(15)에 내삽되어 손잡이(40)가 하우징(10)에 취부된다.A handle 40 is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11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latch 41 of the handle 40 is engaged with the upper edge of the outer edge 11, The handle 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5 drilled in the housing 13 to attach the housing 40 to the housing 10.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테두리(12)의 내측의 중앙부(16)에 광원(31)을 구비한 발광부(30)가 설치된다.A light emitting portion 30 having a light source 31 is provided at an inner central portion 16 of the inner frame 12 of the housing 10.

상기 발광부(3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31)과, 상기 광원(31)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32)와, 상기 광원(31)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치(33)와, 광원(31)의 발광 순서와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회로(34)와, 상기 배터리(32)를 충전하는 외부 전원이 결선되는 접속단자(36)를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30 includes at least one light source 31, a battery 32 for a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31, a switch 33 for turning on or off the light source 31, A control circuit 34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rder and the light emission time of the battery 32 and a connection terminal 36 for connect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for charging the battery 32.

이때, 상기 광원(31), 배터리(32), 스위치(33), 제어회로(34) 및 접속단자(36)는 상기 중앙부(16)에 거치된 제어기판(35) 상에 실장된다. At this time, the light source 31, the battery 32, the switch 33, the control circuit 34 and the connection terminal 36 are mounted on the control board 35 mounted on the central portion 16.

아울러, 상기 제어회로(34)는 광원(31)의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실행될 수 있는 통상의 중앙처리유닛(CPU)과 메모리소자등의 그 주변회로이며, 이러한 제어회로(34)의 구성은 후술되는 제 2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의 제어회로도 동일하다.The control circuit 34 is a peripheral circuit such as a general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a memory device that can be executed with the control program of the light source 31 embedded therein. The control circuits of the second to fifth embodiments are also the same.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1)의 상기 하우징(1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The housing 10 of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1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light-transmitting material.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광원(31)은 2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다. 즉, 제 1 발광다이오드는 광의 파장이 630nm~660nm 로서, 제 1 발광다이오드는 잇몸치료용 파장을 발광하고, 제 2 발광다이오드는 광의 파장이 270nm 로서, 치아 및 구강살균용 파장을 발광한다. 이는 현재 가용한 발광다이오드의 광의 파장을 고려한 수치로 실제에 있어서 구현할 수 있는 경우 실험적으로 최대의 살균효과를 가지는 253.7nm의 광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light source 31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wo light emitting diodes. That is,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has a light wavelength of 630 nm to 660 n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emits a wavelength for gum treatment,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emits a wavelength of 270 nm to emit wavelengths for tooth and oral disinfection. This is a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wavelength of the light of the currently available light emitting diode,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the light of 253.7 nm which has the maximum sterilizing effect experimentally when it can be practically realized.

또한,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1)는 상기 발광부(30)의 광원(31)의 광의 확산을 보다 잘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부(30)의 광원(31)의 상측에 확산렌즈(20)가 설치되고, 상기 확산렌즈(20)로부터 확장된 광을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재반사시켜 배면커버(13)와 전면커버(14) 상에 거치되는 치아 및 잇몸으로 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외측 테두리(11) 상에 반사부재(50)가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부재(50)는 반사용 테이프이다.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uses light on the light source 31 of the light emitting unit 30 in order to more easily diffuse light of the light source 31 of the light emitting unit 30 A lens 20 is installed and the light expanded from the diffusion lens 20 is reflected back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light is transmitted to the teeth and the gums which are placed on the back cover 13 and the front cover 14 A reflective member 50 is provided on the outer edge 11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reflective member 50 can be more efficiently supplied.

한편, 미설명부호 17 은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커버(13) 및 전면커버(14)를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 통기공(17)이고, 미설명부호 18 은 전면커버(13) 및 배면커버(14)가 거치되도록 외측 테두리(11)에 형성된 단차면(18)이다. Reference numeral 17 denotes a vent hole 17 penetrating through the rear cover 13 and the front cover 14 of the housing 10. Reference numeral 18 denotes a front cover 13 and a rear cover 14 is formed in the outer rim 11 to be mounted.

상기 통기공(17)은 구강내에 본 발명 광 치료장치(1)가 삽입되었을 경우 통기공(17)을 통하여 구강내로 공기를 유동시켜 치료 과정에서의 환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When the phototherap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he ventilation hole 17 functions to smooth the breathing of the patient during the treatment by flowing air into the oral cavity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7.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테두리(12)의 내측의 중앙부(16)에 설치된 발광부(30)의 보호를 위하여 상기 중앙부(16)를 차폐하는 커버(19)가 형성된다. 커버(19)는 예컨대 초음파 융착과 같은 가공방법으로 밀봉 고정결합된다.A cover 19 for shielding the central portion 16 is formed to protect the light emitting portion 30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16 of the inner side edge 12 of the housing 10. The cover 19 is sealed and fixed by a processing method such as ultrasonic weld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1)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작동은 상기 광 치료장치(1)의 배터리(32)가 완전하게 충전된 상태임을 전제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The following operation assumes that the battery 32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1 is completely charged.

시술자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1)의 손잡이(40) 부분을 파지한 채 환자의 구강 내부로 광 치료장치(1)를 삽입하고 구강내 상악 부분을 광 치료장치(1)의 전면커버(14) 상에 위치시키고, 구강내 하악 부분을 광 치료장치(1)의 배면 커버(13) 상에 위치시킨다. The practitioner inserts the phototherapy apparatus 1 into the inside of the patient's mouth while holding the handle 40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1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front cover (14), and the oral cavity portion is placed on the back cover (13)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1).

그리고, 스위치(33)를 ON 상태로 전환하여 배터리(32)로부터 전원을 제어회로(34) 상에 인가한다. 그러면, 제어회로(34)에 기설정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광원(31)이 발광하되 먼저, 상기 광원(31)의 제 1 발광다이오드가 잇몸 염증 치료용으로 이용되는 광의 파장이 630nm~660nm 의 광을 대략 2 분 발광한 후, 순차적으로 제 2 발광다이오드가 치아와 구강내 살균용으로 이용되는 광의 파장이 270nm 의 광을 대략 30초 발광한다. 이러한 발광 순서 및 시간은 치료 내지 살균효과와 연동하여 사전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 재설정 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n, the switch 33 is turned on to apply power from the battery 32 to the control circuit 34. [ Then, the light source 31 emits ligh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preset in the control circuit 34. First,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of the light source 31 emits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630 nm to 660 nm After approximately two minutes of light emission,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successively emits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270 nm, which is used for tooth and oral cavity sterilization, for approximately 30 seconds. Such a light-emitting sequence and time may be pre-set in conjunction with the treatment or sterilization effect or may be implemented to be set and reset by the user.

상기 광원(31)의 제 1 발광다이오드 및 제 2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는 광은 확산렌즈(20)를 통하여 하우징(10)의 외측으로 확산되며, 확산된 광은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10)의 내측 테두리(12)를 경유하여 외측 테두리(11)로 확산되면서 배면커버(13) 및 전면커버(14) 상에 위치하는 잇몸 및 치아의 잇몸 염증 치료 및 치아와 구강내부를 살균하게 되며, 나아가, 외측 테두리(11)에 설치된 반사부재(50)에 의하여 광이 내측 테두리(12) 방향으로 재반사됨으로써 광의 조사 작용이 보다 강화된다.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of the light source 31 is diffu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diffusion lens 20 and diffused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housing 10 made of a light- The gums and teeth of the gums and teeth located on the back cover 13 and the front cover 14 are sterilized and the teeth and the inside of the mouth are sterilized by diffusing into the outer rim 11 via the inner rim 12 of the inner cover 12, , The light is further refl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rim 12 by the reflecting member 50 provided on the outer rim 11,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light irradiation action.

이후, 제어회로(34)에 제어에 의하여 상기 광원(31)에 의한 잇몸 염증 치료 및 치아와 구강의 살균이 종료되면, 제어회로(34)에 의하여 자동으로 전원이 OFF 되도록 구현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위 자동 OFF와는 독립적으로 치료 또는 살균 중 사용자가 스위치(33)을 OFF 하여 상기 광원(31)에 의한 잇몸 염증 치료 및 치아와 구강의 살균이 종료시키거나 전체 전원을 OFF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power is automatically turned off by the control circuit 34 when the control of the control circuit 34 is completed and the treatment of the gum inflammation by the light source 31 and the sterilization of the teeth and oral cavity are completed. Accordingly, the user can turn off the switch 33 during treatment or disinfection independently of the automatic OFF, so that the treatment of the gum inflammation by the light source 31 and the disinfection of the teeth and oral cavity can be terminated or the entire power supply can be turned off .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1)의 작동이 종료된 후 별도로 부설된 충전기(미도시)에 발광부(30)의 접속단자(36)을 연결시켜 차후 사용을 위하여 배터리(32)를 재충전시킨다.
After the operation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1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the connection terminal 36 of the light emitting unit 30 is connected to a separately installed charger (not shown) Recharge.

도 4 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정면도, 도 6 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전면의 일부절개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hoto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2)는 광원을 포함하는 발광부를 하우징의 상부에 부설한 실시예로서, 이하에서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phototherapy apparatus (2)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in which a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 light source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a housing,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 more detail.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2)는 인체의 구강의 상악 부분과 하악 부분이 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부착된 상부 케이스(120)와, 상기 상부 케이스(120) 내부에 설치되되 특정한 파장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131)이 실장되며 상기 광원(131)에 전원을 인가하고 광원(131)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phototherapy apparatus 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having a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and a mandible portion of a human body can be placed, And a light source 131 for emitting light with a specific wavelength is mounted in the upper case 120 and power is applied to the light source 131 and light emission of the light source 131 is controlled And a light emitting unit 130 for emitting light.

여기서, 상기 제 2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2)의 하우징(100)의 형상은 제 1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1)의 그것과 유사하다. Here, the shape of the housing 100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2 of the second embodiment is similar to that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1 of the first embodiment.

즉, 상기 하우징(100)은 U 자 형상의 외측 테두리(111)와, 상기 외측 테두리(111)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U 자 형상의 내측 테두리(112)와, 상기 외측 테두리(111)와 상기 내측 테두리(112)의 사이를 수평하게 연결하되 구강의 상악 부분이 거치되는 전면 커버(113)와 구강의 하악 부분이 거치되는 배면 커버(114)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housing 100 includes a U-shaped outer rim 111, a U-shaped inner rim 112 formed inside the outer rim 111, an inner rim 111 formed by the inner rim 111, And a rear cover 114 connected horizontally between the rims 112 and having a front cover 113 o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mouth is fixed and a lower cover 114 o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mouth is fixed.

또한, 상기 전면 커버(113)과 배면 커버(114)를 각각 관통하는 통기공(115)이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115)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강내에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2)가 삽입되었을 경우 통기공(115)을 통하여 구강내로 공기를 유동시켜 치료 과정에서의 환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와 구강 내 간의 공기의 유동은 공기공(115)과 외주면상에 돌출된 연결부(116)의 상기 공기통(115)과 연결된 측면 관통공 및 상부케이스(120) 측면의 복수의 관통 구멍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공기통로에 의하여 이루어진다.A vent hole 115 penetrating the front cover 113 and the back cover 114 is formed. When the phototherapy apparatus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s described above, the ventilation hole 115 allows the air to flow into the oral cavity through the vent hole 115, Performs smooth function. 6, the air flows between the outside and the oral cavity through the air hole 115 and the side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air hole 115 of the connecting portion 116 protrud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air passag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아울러,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상부 케이스(120)를 설치하기 위하여, 하우징(100)의 외부 테두리(111)의 외주면상에 돌출된 연결부(116)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16)에 결합공(117)이 천공된다. In order to install the upper case 12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a connecting portion 116 protrud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rim 111 of the housing 100 is formed, The engaging holes 117 are drilled.

연결부(116)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117)에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결합돌기(121)가 내삽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하우징(100)에 부착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121 of the upper case 12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17 formed in the coupling part 116 so that the upper case 120 can be attached to the housing 100.

상기와 같이 하우징(100)의 상부에 부착된 상부 케이스(120)의 내부에 발광부(130)가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 emitting unit 130 is installed in the upper case 120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상기 케이스(120)는 본 발명 제 2 광 치료장치(2)의 시술시 시술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손잡이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The case 120 also has the function of a handle gripped by an operator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ptical therapy apparatus 2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발광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31)과, 상기 광원(131)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132)와, 상기 광원(131)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치(133)와, 광원(131)의 발광 순서와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회로(134)와, 상기 배터리(132)를 충전하는 외부 전원이 결선되는 접속단자(136)를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130 includes at least one light source 131, a battery 132 for a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131, a switch 133 for turning on or off the light source 131, A control circuit 134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rder and the light emission time of the battery 132, and a connection terminal 136 for connect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for charging the battery 132.

그리고, 상기 광원(131), 배터리(132), 스위치(133), 제어회로(134) 및 접속단자(136)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부 바닥면에 거치된 제어기판(135) 상에 실장된다.The light source 131, the battery 132, the switch 133, the control circuit 134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36 are mounted on the control board 135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ase 120 Respectively.

아울러,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2)의 상기 하우징(10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housing 100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2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light-transmitting material.

또한,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광원(131)은 2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다. 즉,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발광다이오드는 광의 파장이 630nm~660nm 로서, 제 1 발광다이오드는 잇몸치료용 파장을 발광하고, 제 2 발광다이오드는 광의 파장이 270nm 로서, 치아 및 구강살균용 파장을 발광한다. 이는 현재 가용한 발광다이오드의 광의 파장을 고려한 수치로 실제에 있어서 구현할 수 있는 경우 실험적으로 최대의 살균효과를 가지는 253.7nm의 광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Further, the light source 131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wo light emitting diodes. That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has a light wavelength of 630 nm to 660 n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emits light for gum treatment,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has a light wavelength of 270 nm, It emits a wavelength for oral sterilization. This is a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wavelength of the light of the currently available light emitting diode,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the light of 253.7 nm which has the maximum sterilizing effect experimentally when it can be practically realiz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2)의 작동을 설명한다. 하기의 작동은 상기 광 치료장치(2)의 배터리(132)가 완전하게 충전된 상태임을 전제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2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The following operation assumes that the battery 132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2 is completely charged.

먼저, 시술자가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1)의 상부 케이스(120) 부분을 파지하고 환자의 구강 내부로 광 치료장치(2)를 삽입하고 구강내 상악 부분을 광 치료장치(2)의 전면커버(113) 상에 위치시키고, 구강내 하악 부분을 광 치료장치(2)의 배면 커버(114) 상에 위치시킨다.First, a practitioner grips a portion of the upper case 120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1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the phototherapy apparatus 2 into the inside of the patient's mouth, And places the mandibular part in the mouth on the back cover 114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2. Then,

그리고, 스위치(133)를 ON 상태로 전환하여 배터리(132)로부터 전원을 제어회로(134) 상에 인가한다. 그러면, 제어회로(134)에 기설정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광원(131)이 발광하되 먼저, 상기 광원(131)의 제 1 발광다이오드가 잇몸 염증 치료용으로 이용되는 광의 파장이 630nm~660nm 의 광을 대략 2 분 발광한 후, 순차적으로 제 2 발광다이오드가 치아와 구강내 살균용으로 이용되는 광의 파장이 270nm 의 광을 대략 30초 발광한다.Then, the switch 133 is turned on to apply power from the battery 132 to the control circuit 134. [ Then, the light source 131 emits ligh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set in the control circuit 134. First,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of the light source 131 emits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630 nm to 660 nm After approximately two minutes of light emission,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successively emits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270 nm, which is used for tooth and oral cavity sterilization, for approximately 30 seconds.

상기 광원(131)의 제 1 발광다이오드 및 제 2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는 광은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100)의 외측 테두리(111)로부터 내측 테두리(112)로 확산되면서 전면커버(113) 및 배면커버(114) 상에 위치하는 잇몸 및 치아의 잇몸 염증 치료 및 치아와 구강내부를 살균하게 된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of the light source 131 is diffused from the outer edge 111 of the housing 100 made of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to the inner edge 112, Treatment of gum inflammation of the gums and teeth located on the back cover 114, and sterilization of the inside of the teeth and mouth.

이후, 제어회로(134)에 제어에 의하여 상기 광원(131)에 의한 잇몸 염증 치료 및 치아와 구강의 살균이 종료되면, 제어회로(134)에 의하여 자동으로 전원이 OFF 되도록 구현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위 자동 OFF와는 독립적으로 치료 또는 살균 중 사용자가 스위치(133)을 OFF 하여 상기 광원(131)에 의한 잇몸 염증 치료 및 치아와 구강의 살균이 종료시키거나 전체 전원을 OFF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control circuit 134 controls the light source 131 to treat gum inflammation and disinfects the teeth and oral cavity, the control circuit 134 automatically turns off the power. Accordingly, the user can turn off the switch 133 during the treatment or disinfection independently of the automatic OFF, so that the treatment of the gum inflammation by the light source 131 and the disinfection of the teeth and oral cavity can be terminated or the entire power supply can be turned off .

시술자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2)의 작동이 종료된 후 별도로 부설된 충전기(미도시)에 발광부(130)의 접속단자(136)을 연결시켜 차후 사용을 위하여 배터리(132)를 재충전시킨다.
The operator connects the connection terminal 136 of the light emitting unit 130 to a charger (not shown) separately install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2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

다음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 제 3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의 변형 실시 형태로서, 하우징이나 상부 케이스 및 발광부의 기본적 구조는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조하여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한다.
Next, the third through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modified embodiments of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basic structure of the housing, the upper case, and the light- The structure and operation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ir plan and sectional views.

도 7a 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평면도, 도 7b 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FIG. 7A is a plan view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sectional view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lan view of a modification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3)는, 전술한 제 2 실시예의 하우징 및 상부 케이스의 구조는 동일하나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하우징의 외부 테두리 및 내부 테두리로 전달하는 광섬유의 구성요소가 추가된 것이다. 이러한 본원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구성을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3)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housing and the upper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the components of the optical fiber that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outer rim and the inner rim of the housing It is added.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7a 및 도 7b 의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3)는, 인체의 구강의 상악 부분과 하악 부분이 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상부에 부착된 상부 케이스(220)와, 상기 상부 케이스(220) 내부에 설치되되 특정한 파장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231)이 실장되되 상기 광원(231)에 전원을 인가하고 광원(231)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7A and 7B, a phototherapy apparatus 3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00 having a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and a mandible portion of a human body can be placed, An upper case 220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00 and a light source 231 installed inside the upper case 220 and emitting light with a specific wavelength are mounted and power is applied to the light source 231 And a light emitting unit 230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f the light source 231.

상기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3)의 하우징(200)은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2)의 그것들과 유사한 구성이다.The housing 200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3 of the third embodiment is similar in configuration to those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2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즉, 상기 하우징(200)은 U 자 형상의 외측 테두리(211)와, 상기 외측 테두리(211)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U 자 형상의 내측 테두리(212)와, 상기 외측 테두리(211)와 상기 내측 테두리(212)의 사이를 수평하게 연결하되 구강의 상악 부분이 거치되는 전면 커버(213)와 구강의 하악 부분이 거치되는 배면 커버(214)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housing 200 includes a U-shaped outer rim 211, a U-shaped inner rim 212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rim 211, And a rear cover 214 connected horizontally between the rim 212 and having a front cover 213 o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mouth is fixed and a lower cover 214 o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mouth is fixed.

또한,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상부 천정면에서 내측 테두리(212)까지 수직으로 천공된 통기공(215)이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215)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3)가 삽입되었을 경우 통기공(215)을 통하여 구강내로 공기를 유동시켜 치료 과정에서의 환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Further, as shown in FIG. 7B, a vent hole 215 is formed in the housing 200 so as to be vertically perforated from the upper ceiling surface to the inner edge 212. When the phototherapy apparatus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the ventilation hole 215 flows air into the oral cavity through the vent hole 215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하우징(200)의 상부에 상부 케이스(220)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00)에 상술한 제 2 실시예의 구성요소인 연결부(116)와 결합공(117)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220)의 내부 바닥면에도 제 2 실시예의 구성요소인 결합돌기(121)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제 2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도시한 바 있으므로 본 제 3 실시예에서는 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In order to attach the upper case 22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00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portion 116 and the coupling hole 117, which are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ase 220 is formed with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which is a component of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se components are shown in detail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thereof are omitted in the third embodiment.

아울러, 상기 상부 케이스(220)는 본 발명 제 3 광 치료장치(3)의 시술시 시술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손잡이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case 220 also has the function of a handle gripped by an operato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optical therapy apparatus 3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우징(200)의 상부에 부착된 상부 케이스(220)의 내부에 발광부(230)가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 emitting unit 230 is installed in the upper case 220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00.

상기 발광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31)과, 상기 광원(231)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232)와, 상기 광원(231)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치(233)와, 광원(231)의 발광 순서와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회로(234)와, 상기 배터리(232)를 충전하는 외부 전원이 결선되는 접속단자(236)를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230 includes at least one light source 231, a battery 232 for a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231, a switch 233 for turning on / off the light source 231, A control circuit 234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rder and the light emission time of the battery 232, and a connection terminal 236 for connect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for charging the battery 232.

이때, 상기 광원(231), 배터리(232), 스위치(233), 제어회로(234) 및 접속단자(236)는 상기 상부 케이스(220)의 내부 바닥면에 거치된 제어기판(235) 상에 실장된다.At this time, the light source 231, the battery 232, the switch 233, the control circuit 234 and the connection terminal 236 are mounted on the control board 235, which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ase 220 Respectively.

나아가,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3)의 상기 하우징(200) 역시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다.Furthermore, the housing 200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3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light-transmitting material.

또한,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광원(231)은 2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다. 즉, 전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발광다이오드는 광의 파장이 630nm~660nm 로서, 제 1 발광다이오드는 잇몸치료용 파장을 발광하고, 제 2 발광다이오드는 광의 파장이 270nm 로서, 치아 및 구강살균용 파장을 발광한다.In addition, the light source 231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wo light emitting diodes. That is,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has a wavelength of 630 nm to 660 n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emits light for gum treatment,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has a wavelength of light 270 nm, emitting light for tooth and oral disinfection.

이때,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상부 케이스(220)에 설치된 광원(231)의 하단 부분으로부터 상기 내측 테두리(212)의 표면까지 또는 표면 부근까지 광섬유(240)가 연결되며, 다수의 광섬유로 이루어지는 다발의 형태로 다수의 광섬유는 구강내 각 부분에 광을 전달하도록 상기 내측 테두리(212)의 전 부분의 표면까지 또는 표면 부근까지 각각 연장된다.The optical fiber 240 is connected from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ight source 231 provided in the upper case 220 of the third embodiment to the surface of the inner edge 212 or near the surface, A plurality of optical fibers extend to the surface of the entire front portion of the inner rim 212 or near the surface to transmit light to each portion in the oral cavity.

상기 광섬유는 상기 광원(231)으로부터 발광된 광을 상기 내측 테두리(212)까지 전달하는 광의 이동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optical fiber functions as a light path for trans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31 to the inner edge 212.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3)의 작동을 설명한다. 하기의 작동은 상기 광 치료장치(3)의 배터리(232)가 완전하게 충전된 상태임을 전제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3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The following operation assumes that the battery 232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3 is fully charged.

먼저, 시술자가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3)의 상부 케이스(220) 부분을 파지하고 환자의 구강 내부로 광 치료장치(3)를 삽입하고 구강내 상악 부분을 광 치료장치(3)의 전면커버(213) 상에 위치시키고, 구강내 하악 부분을 광 치료장치(3)의 배면 커버(214) 상에 위치시킨다.First, a practitioner grips a portion of the upper case 220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3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the phototherapy apparatus 3 into the inside of the patient's mouth, And the mandibular portion in the oral cavity is placed on the back cover 214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3. Then,

그리고, 스위치(233)를 ON 상태로 전환하여 배터리(232)로부터 전원을 제어회로(234)상에 인가한다. 그러면, 제어회로(234)에 기설정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광원(231)이 발광하되 먼저, 상기 광원(231)의 제 1 발광다이오드가 잇몸 염증 치료용으로 이용되는 광의 파장이 630nm~660nm 의 광을 대략 2 분 발광한 후, 순차적으로 제 2 발광다이오드가 치아와 구강내 살균용으로 이용되는 광의 파장이 270nm 의 광을 대략 30초 발광한다. Then, the switch 233 is turned ON, and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232 to the control circuit 234. Then, the light source 231 emits light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preset in the control circuit 234, and first,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of the light source 231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gingival inflammation with a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630 nm to 660 nm After approximately two minutes of light emission,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successively emits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270 nm, which is used for tooth and oral cavity sterilization, for approximately 30 seconds.

그러면, 상기 광원(231)의 제 1 발광다이오드 및 제 2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는 광은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200)의 외측 테두리(211)로부터 내측 테두리(212)로 확산되면서 전면커버(213) 및 배면커버(214) 상에 위치하는 잇몸 및 치아의 잇몸 염증 치료 및 치아와 구강내부를 살균하게 된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of the light source 231 is diffused from the outer edge 211 of the housing 200 made of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to the inner edge 212, ) And the back cover 214, and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teeth and mouth.

나아가, 상기 광원(231)의 제 1 발광다이오드 및 제 2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는 광이 광원(231)의 하단부분에 부착된 광섬유(240)에 의하여 구축된 광의 전달 통로상을 이동하면서 광섬유(240)가 연결된 내측 테두리(212)까지 전달되고, 광섬유(240)로부터 전달된 광은 내측 테두리(212)부분으로부터 외측 테두리(211)로 재확산되게 되므로, 광 조사 작동의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of the light source 231 travels on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light constructed by the optical fiber 240 attach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ight source 231, And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fiber 240 is rediffused from the inner edge 212 to the outer edge 211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light irradiation operation is improved do.

이후, 제어회로(234)에 제어에 의하여 상기 광원(231)에 의한 잇몸 염증 치료 및 치아와 구강의 살균이 종료되면, 제어회로(234)에 제어에 의하여 전원이 자동으로 OFF되도록 구현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위 자동 OFF와는 독립적으로 치료 또는 살균 중 사용자가 스위치(233)을 OFF 하여 상기 광원(231)에 의한 잇몸 염증 치료 및 치아와 구강의 살균이 종료시키거나 전체 전원을 OFF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3)의 작동이 종료된 후 별도로 부설된 충전기(미도시)에 발광부(230)의 접속단자(236)을 연결시켜 차후 사용을 위하여 배터리(232)를 재충전시키게 된다.Thereafter, the control circuit 234 controls the control circuit 234 to automatically turn off the power when the light source 231 treats the gum inflammation and disinfects the teeth and the oral cavity by the control circuit 234, The user can turn off the switch 233 during treatment or disinfection independently of the above automatic OFF to implement the treatment of the gum inflammation by the light source 231 and the disinfection of the teeth and mouth or the entire power supply to be turned off . After the operation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3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the connection terminal 236 of the light emitting unit 230 is connected to a separately installed charger (not shown) Recharged.

도 8a 및 도 8b 은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변형예의 평면도,도 8b 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8A and 8B are a plan view of a modification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s a sectional view of a modification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변형예는 상술한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3)와 구성이 동일하나,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3)의 광섬유(240)를 내측 테두리(212) 및 외측 테두리(211)의 표면까지 연결하는 구성의 변형예이다.The modification of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optical fiber 240 of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arranged inside To the surface of the rim 212 and the surface of the outer rim 211. Fig.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3)의 변형예는 상기 광원(231)의 제 1 발광다이오드 및 제 2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는 광이 광원(231)의 하단부분에 부착된 광섬유(240)의 이동통로를 통하여 광섬유(240)가 연결된 내측 테두리(212) 및 외측 테두리(211)까지 전달되면서, 광섬유(240)로부터 전달된 광이 내측 테두리(212) 및 외측 테두리(211)를 통하여 상호 재확산되므로, 상술한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3) 보다 더 광 조사 작동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A modification of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light emitted by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of the light source 231 is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fiber 231 attach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ight source 231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fiber 240 passes through the inner edge 212 and the outer edge 211 of the optical fiber 240 while being transmitted to the inner edge 212 and the outer edge 211 of the optical fiber 240 through the moving path of the optical fiber 240, Diffusing mutually through the optical therapy device 3 of the third embodimen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light irradiation operation becomes more than that of the optical therapy device 3 of the third embodiment.

도 9a 은 본 발명 제 4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평면도, 도 9b 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단면도이다.FIG. 9A is a plan view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 sectional view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제 4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4)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하우징과 외형이 동일한 구성의 하우징을 채용하나, 광원이 발광부에 위치하지 않고 이와 별도로 분리되어 외부 테두리에 부착된 실시예이다.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4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housing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housing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the light source is not located in the light emitting portion but is separately separated from the housing, Yes.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제 4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4)는, 인체의 구강의 상악 부분과 하악 부분이 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phototherapy apparatus 4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300 having a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and a mandible portion of a mouth of a human body can be mounted.

상기 하우징(300)은 U 자 형상의 외측 테두리(311)와, 상기 외측 테두리(311)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U 자 형상의 내측 테두리(312)와, 상기 외측 테두리(311)와 상기 내측 테두리(312)의 사이를 수평하게 연결하되 구강의 상악 부분이 거치되는 전면 커버(313)와 구강의 하악 부분이 거치되는 배면 커버(314)로 이루어진다.The housing 300 includes a U-shaped outer rim 311, a U-shaped inner rim 312 formed inside the outer rim 311, and an outer rim 311 and an inner rim 312, and a front cover 313 o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mouth is mounted and a rear cover 314 o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mouth is mounted.

이때, 상기 외측 테두리(311)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이 부착된다. 본 발명 제 4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4)의 광원은 외측 테두리(311)의 상측 중앙 부분에 부착된 중앙광원(320)과, 상기 외측 테두리(311)의 양 측 부분에 각각 부착된 제 1 측면광원(321)과 제 2 측면광원(322)을 포함하고 있다. At this time, at least one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is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311. The light source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4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light source 320 attached to an upper cent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311 and a central light source 320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outer frame 311 And includes a side light source 321 and a second side light source 322.

또한,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 테두리(312)의 내측의 중앙부(316)에 상기 외측 테두리(311)에 설치된 광원들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부(330)가 설치된다.A light emitting portion 330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f the light sources provided on the outer frame 311 is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316 of the inner side of the inner frame 312 of the housing 300.

상기 발광부(330)는 상기 중앙광원(320), 제 1 측면광원(321) 및 제 2 측면광원(322)에 배터리(332)와, 상기 광원들(320,321,322)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치(333)와, 상기 광원들(320,321,322)의 발광 순서와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회로(334)와, 상기 배터리(332)를 충전하는 외부 전원이 결선되는 접속단자(336)를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330 includes a battery 332 and a switch 333 for turning on or off the light sources 320, 321 and 322 to the central light source 320, the first side light source 321 and the second side light source 322 A control circuit 334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rder and the light emission time of the light sources 320, 321 and 322 and a connection terminal 336 for connecting external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332.

이때, 상기 배터리(332), 스위치(333), 제어회로(334) 및 접속단자(336)는 상기 중앙부(316)에 거치된 제어기판(335) 상에 실장된다.At this time, the battery 332, the switch 333, the control circuit 334 and the connection terminal 336 are mounted on the control board 335 which is mounted on the central portion 316.

또한, 도 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0)의 상부 천정면에서 내측 테두리(312)까지 수직으로 천공된 통기공(315)이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315)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 제 4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4)가 삽입되었을 경우 상기 통기공(315)을 통하여 구강내로 공기를 유동시켜 치료 과정에서의 환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Further, as shown in FIG. 9B, a vent hole 315 formed vertically from the upper ceiling surface of the housing 300 to the inner edge 312 is formed. When the phototherapy apparatus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the ventilation hole 315 flows air into the oral cavity through the vent hole 315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 제 4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4)의 상기 하우징(30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housing 300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4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light-transmitting material.

상기 본 발명 제 4 실시예의 중앙 광원(320)은 광의 파장이 630nm~660nm 인 잇몸치료용 파장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이고, 상기 제 1 측면광원(321) 및 제 2 측면광원(322)는 광의 파장이 270nm 인 치아 및 구강살균용 파장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이다. The central light source 320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a wavelength for gum treatment having a wavelength of 630 nm to 660 nm and the first side light source 321 and the second side light source 322 have wavelengths of light Is a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light at a wavelength of 270 nm for oral cavity disinfection.

다만, 본 발명 제 4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4)의 목적과 효능을 달리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 광원(320)을 광의 파장이 270nm 인 치아 및 구강살균용 파장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로 채용하고, 상기 제 1 측면광원(321) 및 제 2 측면광원(322)를 광의 파장이 630nm~660nm 인 잇몸치료용 파장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를 채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 purpose and efficacy of the phototherapy device 4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light source 320 is employed as a light emitting diode which emits a tooth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270 nm and a wavelength for oral cavity steriliza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first side light source 321 and the second side light source 322 may be light emitting diodes that emit a wavelength for gum treatment having a wavelength of 630 nm to 660 nm.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4)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작동은 상기 광 치료장치(4)의 배터리(332)가 완전하게 충전된 상태임을 전제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optical therapy device 4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The following operation assumes that the battery 332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4 is fully charged.

시술자가 본 발명 제 4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4)를 파지한 채 환자의 구강 내부로 광 치료장치(4)를 삽입하고 구강내 상악 부분을 광 치료장치(4)의 전면커버(313) 상에 위치시키고, 구강내 하악 부분을 광 치료장치(4)의 배면 커버(314) 상에 위치시킨다.The practitioner inserts the phototherapy device 4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while holding the optical therapy device 4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laces the upper part of the oral cavity on the front cover 313 of the optical therapy device 4 And the oral cavity portion of the mouth is placed on the back cover 314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4. Then,

그리고, 스위치(333)를 ON 상태로 전환하여 배터리(332)로부터 전원을 제어회로(334) 상에 인가한다. 그러면, 제어회로(334)에 기설정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중앙 광원(320)의 발광다이오드가 잇몸 염증 치료용으로 이용되는 광의 파장이 630nm~660nm 의 광을 대략 2 분 발광한 후, 순차적으로 제 1 측면광원(321) 및 제 2 측면광원(322)의 발광다이오드가 치아와 구강내 살균용으로 이용되는 광의 파장이 270nm 의 광을 대략 30초 발광한다. Then, the switch 333 is turned ON, and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332 to the control circuit 334.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preset in the control circuit 334, the light emitting diode of the central light source 320 emits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630 nm to 660 nm for approximately two minutes to be used for treatment of gingival inflammation, The light emitting diode of the side light source 321 and the second side light source 322 emits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270 nm for approximately 30 seconds to be used for tooth and oral cavity sterilization.

이때, 상기 중앙광원(320), 제 1 측면광원(321) 및 제 2 측면광원(322)가 발광하는 광은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외측 테두리(311)를 통과하여 내측 테두리(312)까지 확산되면서 전면커버(313) 및 배면커버(314) 상에 위치하는 잇몸 및 치아의 잇몸 염증 치료 및 치아와 구강내부의 살균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 light emitted from the central light source 320, the first side light source 321 and the second side light source 322 passes through the outer frame 311 made of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and diffuses to the inner frame 312 The gums and teeth located on the front cover 313 and the back cover 314 are treated for gum inflammation and sterilized inside the teeth and oral cavity.

이후, 제어회로(334)에 제어에 의하여 상기 광원들(320,321,322)에 의한 잇몸 염증 치료 및 치아와 구강의 살균이 종료되면, 제어회로(334)에 제어에 의하여 전원이 자동으로 OFF되도록 구현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위 자동 OFF와는 독립적으로 치료 또는 살균 중 사용자가 스위치(333)을 OFF 하여 상기 광원들에 의한 잇몸 염증 치료 및 치아와 구강의 살균이 종료시키거나 전체 전원을 OFF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 제 4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4)의 작동이 종료된 후 별도로 부설된 충전기(미도시)에 발광부(330)의 접속단자(336)을 연결시켜 차후 사용을 위하여 배터리(332)를 재충전시키게 된다.Thereafter, the control circuit 334 controls the power source to be turned off automatically when the control of the control circuit 334 terminates the treatment of the gingival inflammation by the light sources 320, 321 and 322 and the disinfection of the teeth and the oral cavity, The user can turn off the switch 333 during treatment or disinfection independently of the automatic OFF, so that the treatment of the gum inflammation by the light sources and the disinfection of the teeth and oral cavity can be terminated or the entire power supply can be turned off have. After the operation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4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the connection terminal 336 of the light emitting unit 330 is connected to a separately installed charger (not shown) Recharg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4)는 전술한 실시예들이 2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것과 대비하여 발광다이오드의 갯수가 더 추가된 구성이므로, 절대적인 광 조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외측 테두리의 중앙 및 양측면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된 광이 잇몸과 치아에 입체적으로 조사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Therefore,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use two light emitting diodes, and thus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diodes is further increased. Further,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s installed at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outer frame has the advantage of being irradiated to the gums and teeth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도 10a 은 본 발명 제 5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평면도, 도 10b 은 본 발명 제 5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의 단면도이다.10A is a plan view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B is a sectional view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제 5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5)는, 전술한 제 2 실시예의 하우징 및 상부 케이스의 외형과 동일한 구성의 하우징 및 상부 케이스를 채용하나, 광원이 발광부에 위치하지 않고 상술한 제 4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4)와 같이 별도로 분리되어 외부 테두리에 부착된 실시예이다.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5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the housing and the upper case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outer shape of the housing and the upper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the light source is not located in the light- And is separately attached to the outer frame as in the phototherapy device 4 of the embodiment.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제 5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5)는 인체의 구강의 상악 부분과 하악 부분이 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400)과 상기 하우징(400)의 상부에 부착된 상부 케이스(4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phototherapy apparatus 5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400 having a shape in which a maxillary and mandibular portions of a human body can be placed, And an upper case 420.

여기서, 상기 제 5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5)의 하우징(400) 및 상부 케이스(420)의 형상은 제 2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2)의 그것과 유사하다. Here, the shape of the housing 400 and the upper case 420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5 of the fifth embodiment is similar to that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2 of the second embodiment.

즉, 상기 하우징(400)은 U 자 형상의 외측 테두리(411)와, 상기 외측 테두리(411)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U 자 형상의 내측 테두리(412)와, 상기 외측 테두리(411)와 상기 내측 테두리(412)의 사이를 수평하게 연결하되 구강의 상악 부분이 거치되는 전면 커버(413)와 구강의 하악 부분이 거치되는 배면 커버(414)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housing 400 includes a U-shaped outer rim 411, a U-shaped inner rim 412 formed inside the outer rim 411, an inner rim 411 formed by the inner rim 411, And a rear cover 414 which is connected horizontally between the rims 412 and has a front cover 413 o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mouth is fixed and a rear cover 414 o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mouth is fixed.

상기 상부 케이스(420)는 본 발명 제 5 광 치료장치(5)의 시술시 시술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손잡이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The upper case 420 also has the function of a handle gripped by the practitione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fifth optical therapy apparatus 5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상기 외측 테두리(411)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이 부착된다. 본 발명 제 5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5)의 광원은 외측 테두리(411)의 상측 중앙 부분에 부착된 중앙광원(430)과, 상기 외측 테두리(411)의 양 측 부분에 각각 부착된 제 1 측면광원(431)과 제 2 측면광원(432)을 포함하고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is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411. The light source of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5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light source 430 attached to an upper cent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411 and a central light source 430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outer frame 411 And includes a side light source 431 and a second side light source 432.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420)의 내부에 상기 외측 테두리(411)에 설치된 광원들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부(440)가 설치된다.Further, a light emitting unit 440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f the light sources provided on the outer frame 411 is installed in the upper case 420.

상기 발광부(440)는 상기 중앙광원(430), 제 1 측면광원(431) 및 제 2 측면광원(432)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442)와, 상기 광원들(430,431,432)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치(443)와, 상기 광원들(430,431,432)의 발광 순서와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회로(444)와, 상기 배터리(442)를 충전하는 외부 전원이 결선되는 접속단자(446)를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440 includes a battery 442 for applying power to the central light source 430, the first side light source 431 and the second side light source 432, and a light source 430 for driving the light sources 430, 431, A control circuit 444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rder and light emission time of the light sources 430, 431 and 432 and a connection terminal 446 for connecting external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442 .

이때, 상기 배터리(442), 스위치(443), 제어회로(444) 및 접속단자(446)는 상기 상부 케이스(420)의 내부 바닥면에 부착된 제어기판(445) 상에 실장된다.At this time, the battery 442, the switch 443, the control circuit 444 and the connection terminal 446 are mounted on the control board 445 attach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ase 420.

또한, 도 10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의 상부 천정면에서 내측 테두리(412)까지 수직으로 천공된 통기공(415)이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415)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 제 5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5)가 삽입되었을 경우 상기 통기공(415)을 통하여 구강내로 공기를 유동시켜 치료 과정에서의 환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Further, as shown in FIG. 10B, a vent hole 415 is formed in the housing 400 so as to extend vertically from the upper ceiling surface to the inner edge 412. When the phototherapy apparatus 5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the air vent 415 flows air into the oral cavity through the vent hole 415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like.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하우징(400)의 상부에 상부 케이스(420)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400)에 상술한 제 2 실시예의 구성요소인 연결부(116)와 결합공(117)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420)의 내부 바닥면에도 제 2 실시예의 구성요소인 결합돌기(121)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제 2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도시한 바 있으므로 본 제 5 실시예에서는 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In order to attach the upper case 42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400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portion 116 and the coupling hole 117, which are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ase 420 may be formed with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which is a component of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se components are shown in detail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thereof are omitted in the fifth embodiment.

아울러, 본 발명 제 5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5)의 상기 하우징(40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housing 400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5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light-transmitting material.

상기 본 발명 제 5 실시예의 중앙 광원(430)은 광의 파장이 630nm~660nm 인 잇몸치료용 파장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이고, 상기 제 1 측면광원(431) 및 제 2 측면광원(432)는 광의 파장이 270nm 인 치아 및 구강살균용 파장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이다. The central light source 43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a wavelength for gum treatment having a wavelength of 630 nm to 660 nm and the first side light source 431 and the second side light source 432 have a wavelength Is a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light at a wavelength of 270 nm for oral cavity disinfection.

다만, 본 발명 제 5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5)의 목적과 효능을 달리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 광원(430)을 광의 파장이 270nm 인 치아 및 구강살균용 파장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로 채용하고, 상기 제 1 측면광원(431) 및 제 2 측면광원(432)를 광의 파장이 630nm~660nm 인 잇몸치료용 파장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를 채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 purpose and effect of the optical therapy device 5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light source 430 is employed as a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270 nm in wavelength and oral cavity sterilizing ligh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first side light source 431 and the second side light source 432 may be light emitting diodes that emit a wavelength for gum treatment having a wavelength of 630 nm to 660 nm.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5)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작동은 상기 광 치료장치(5)의 배터리(442)가 완전하게 충전된 상태임을 전제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The following operation assumes that the battery 442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5 is fully charged.

시술자가 본 발명 제 5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5)의 상부 케이스(420) 부분을 파지한 채 환자의 구강 내부로 광 치료장치(5)를 삽입하고 구강내 상악 부분을 광 치료장치(5)의 전면커버(413) 상에 위치시키고, 구강내 하악 부분을 광 치료장치(5)의 배면 커버(414) 상에 위치시킨다.The operator inserts the phototherapy device 5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while grasping the upper case 420 portion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5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dible portion in the mouth is placed on the back cover 414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5. [

그리고, 스위치(443)를 ON 상태로 전환하여 배터리(442)로부터 전원을 제어회로(444) 상에 인가한다. 그러면, 제어회로(444)에 기설정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중앙 광원(430)의 발광다이오드가 잇몸 염증 치료용으로 이용되는 광의 파장이 630nm~660nm 의 광을 대략 2 분 발광한 후, 순차적으로 제 1 측면광원(431) 및 제 2 측면광원(432)의 발광다이오드가 치아와 구강내 살균용으로 이용되는 광의 파장이 270nm 의 광을 대략 30 초 발광한다. Then, the switch 443 is turned on to apply power from the battery 442 on the control circuit 444. [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preset in the control circuit 444, the light emitting diode of the central light source 430 emits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630 nm to 660 nm for approximately two minutes to be used for treatment of gingival inflammation, The light emitting diodes of the side light source 431 and the second side light source 432 emit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270 nm for approximately 30 seconds to be used for tooth and oral cavity sterilization.

이때, 상기 중앙광원(430), 제 1 측면광원(431) 및 제 2 측면광원(432)가 발광하는 광은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외측 테두리(411)를 통과하여 내측 테두리(412)까지 확산되면서 전면커버(413) 및 배면커버(414) 상에 위치하는 잇몸 및 치아의 잇몸 염증 치료 및 치아와 구강내부의 살균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At this time, the light emitted from the central light source 430, the first side light source 431, and the second side light source 432 passes through the outer frame 411 made of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and spreads to the inner frame 412 The gums and teeth located on the front cover 413 and the back cover 414 are treated for gum inflammation and sterilized inside the teeth and oral cavity.

이후, 제어회로(444)에 제어에 의하여 상기 광원들(430,431,432)에 의한 잇몸 염증 치료 및 치아와 구강의 살균이 종료되면, 제어회로(444)에 제어에 의하여 전원이 자동으로 OFF되도록 구현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위 자동 OFF와는 독립적으로 치료 또는 살균 중 사용자가 스위치(443)을 OFF 하여 상기 광원들에 의한 잇몸 염증 치료 및 치아와 구강의 살균이 종료시키거나 전체 전원을 OFF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5)의 작동이 종료된 후 별도로 부설된 충전기(미도시)에 발광부(440)의 접속단자(446)을 연결시켜 차후 사용을 위하여 배터리(442)를 재충전시킨다.Thereafter, the control circuit 444 controls the control circuit 444 to automatically turn off the power when the control of the control circuit 444 is completed and the treatment of the gum inflammation by the light sources 430, 431 and 432 and the disinfection of the teeth and the oral cavity are comple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ser can turn off the switch 443 during treatment or disinfection independently of the automatic OFF, so that the treatment of the gum inflammation by the light sources, the disinfection of the teeth and the oral cavity, have. After the operation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5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the connection terminal 446 of the light emitting unit 440 is connected to a separately installed charger (not shown) Lt; / RTI >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5)는 전술한 제 4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4)와 마찬가지로 발광다이오드의 갯수가 더 추가된 구성이므로, 절대적인 광 조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외측 테두리의 중앙 및 양측면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된 광이 잇몸과 치아에 입체적으로 조사되는 효과가 발현된다.Therefore, the phototherapy apparatus 5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operates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diodes is further added as in the phototherapy apparatus 4 of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Further, the effect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s provided at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outer frame is irradiated to the gums and teeth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is developed.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And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
10; 하우징
11; 외측 테두리 12; 내측 테두리
13; 배면커버 14; 전면커버
15; 삽입공 16; 중앙부
17; 통기공 18; 단차면
19; 커버
20; 확산렌즈
30; 발광부
31; 광원 32; 배터리
33; 스위치 34; 제어회로
35; 제어기판 36; 접속단자
40; 손잡이 41; 걸쇠
50; 반사부재
2; 제 2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
100; 하우징
111; 외측 테두리 112; 내측 테두리
113; 전면 커버 114; 배면 커버
115; 통기공 116; 연결부
117; 결합공
120; 상부 케이스 121; 결합돌기
130; 발광부
131; 광원 132; 배터리
133; 스위치 134; 제어회로
135; 제어기판 136; 접속단자
3; 제 3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
200; 하우징
211; 외측 테두리 212; 내측 테두리
213; 전면 커버 214; 배면 커버
215; 통기공
220; 상부 케이스
230; 발광부
231; 광원 232; 배터리
233; 스위치 234; 제어회로
235; 제어기판 236; 접속단자
240; 광섬유
4; 제 4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
300; 하우징
311; 외측 테두리 312; 내측 테두리
313; 전면 커버 314; 배면 커버
315; 통기공 316; 중앙부
320; 중앙광원
321; 제 1 측면광원 322; 제 2 측면광원
330; 발광부
332; 배터리 333; 스위치
334; 제어회로 335; 제어기판
336; 접속단자
5; 제 5 실시예의 광 치료장치
400; 하우징
411; 외측 테두리 412; 내측 테두리
413; 전면 커버 414; 배면 커버
415; 통기공
420; 상부 케이스
430; 중앙광원
431; 제 1 측면광원 432; 제 2 측면광원
440; 발광부
442; 배터리 443; 스위치
444; 제어회로 445; 제어기판
446; 접속단자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One;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housing
11; An outer rim 12; Inner border
13; A back cover 14; Front cover
15; Insertion hole 16; Central part
17; Air vent 18; However,
19; cover
20; Diffusion lens
30; The light-
31; Light source 32; battery
33; Switch 34; Control circuit
35; A control board 36; Connection terminal
40; A handle 41; latch
50; Reflective member
2;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100; housing
111; An outer rim 112; Inner border
113; Front cover 114; Back cover
115; Air vent 116; Connection
117; Joining ball
120; An upper case 121; Engaging projection
130; The light-
131; Light source 132; battery
133; Switch 134; Control circuit
135; A control board 136; Connection terminal
3;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200; housing
211; An outer rim 212; Inner border
213; Front cover 214; Back cover
215; Vent
220; The upper case
230; The light-
231; Light source 232; battery
233; Switch 234; Control circuit
235; A control board 236; Connection terminal
240; Optical fiber
4; The optical treatment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300; housing
311; An outer rim 312; Inner border
313; Front cover 314; Back cover
315; Air vent 316; Central part
320; Central light source
321; A first side light source 322; The second side light source
330; The light-
332; A battery 333; switch
334; A control circuit 335; Control board
336; Connection terminal
5;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fifth embodiment
400; housing
411; An outer rim 412; Inner border
413; Front cover 414; Back cover
415; Vent
420; The upper case
430; Central light source
431; A first side light source 432; The second side light source
440; The light-
442; A battery 443; switch
444; A control circuit 445; Control board
446; Connection terminal

Claims (1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광을 이용하는 치료장치에 있어서,
구강의 상악 부분과 하악 부분이 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특정한 파장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에 전원을 인가하고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U 자 형상의 외측 테두리와, 상기 외측 테두리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U 자 형상의 내측 테두리와, 상기 외측 테두리와 상기 내측 테두리의 사이를 수평하게 연결하되 구강의 상악 부분이 거치되는 전면 커버와 구강의 하악 부분이 거치되는 배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테두리의 내측의 중앙부(16)에 광원(31)을 구비한 발광부(30)가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3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31)과, 상기 광원(31)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32)와, 상기 광원(31)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치(33)와, 광원(31)의 발광 순서와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회로(34)와, 상기 배터리(32)를 충전하는 외부 전원이 결선되는 접속단자(36)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31)은 잇몸 치료용의 파장을 가진 광을 발광하는 제 1 발광다이오드와 치아 및 구강살균용의 파장을 가진 광을 발광하는 제 2 발광다이오드이고,
상기 발광부(30)의 광원(31)의 상측에 확산렌즈(20)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 테두리(11) 상에 반사부재(50)가 설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
A treatment apparatus using light,
A housing having a shap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ral cavity can be mounted,
A light source which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emits light at a specific wavelength;
And a light emitt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apply power to the light source and control light emission of the light source,
The housing includes a U-shaped outer rim, a U-shaped inner rim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rim, and an outer rim connected horizontally between the outer rim and the inner rim, And a back cover on which a cover and a mandible portion of the mouth are mounted,
A light emitting portion 30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31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16 inside the inner edge of the housing,
The light emitting unit 30 includes at least one light source 31, a battery 32 for a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31, a switch 33 for turning on or off the light source 31, 31) and a connection terminal (36) for connecting an external power source for charging the battery (32), wherein the control circuit (34)
The light source 31 is a first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light having a wavelength for gum treatment, and a second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light having wavelengths for tooth and mouth disinfection,
A diffusion lens 20 is provided on the light source 31 of the light emitting unit 30,
And a reflective member (50) is provided on the outer rim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를 각각 관통하는 통기공(1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vent hole (17) is formed through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of the housing, respectively.
광을 이용하는 치료장치에 있어서,
구강의 상악 부분과 하악 부분이 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특정한 파장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에 전원을 인가하고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U 자 형상의 외측 테두리와, 상기 외측 테두리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U 자 형상의 내측 테두리와, 상기 외측 테두리와 상기 내측 테두리의 사이를 수평하게 연결하되 구강의 상악 부분이 거치되는 전면 커버와 구강의 하악 부분이 거치되는 배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부 케이스(120)가 부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120) 내부에 발광부(130)가 설치되며,
상기 발광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31)과, 상기 광원(131)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132)와, 상기 광원(131)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치(133)와, 광원(131)의 발광 순서와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회로(134)와, 상기 배터리(132)를 충전하는 외부 전원이 결선되는 접속단자(136)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131)은 잇몸 치료용의 파장을 가진 광을 발광하는 제 1 발광다이오드와 치아 및 구강살균용의 파장을 가진 광을 발광하는 제 2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
A treatment apparatus using light,
A housing having a shap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ral cavity can be mounted,
A light source which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emits light at a specific wavelength;
And a light emitt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apply power to the light source and control light emission of the light source,
The housing includes a U-shaped outer rim, a U-shaped inner rim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rim, and an outer rim connected horizontally between the outer rim and the inner rim, And a back cover on which a cover and a mandible portion of the mouth are mounted,
An upper case 120 is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 light emitting unit 130 is installed in the upper case 120,
The light emitting unit 130 includes at least one light source 131, a battery 132 for a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131, a switch 133 for turning on or off the light source 131, A control circuit 134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rder and the light emission time of the battery 132, and a connection terminal 136 for connect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for charging the battery 132,
Wherein the light source (131) is a first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light having a wavelength for gum treatment, and a second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light having a tooth and a wavelength for oral cavity steriliza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를 각각 관통하는 통기공(11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vent hole (115) is formed through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of the housing, respectively.
광을 이용하는 치료장치에 있어서,
구강의 상악 부분과 하악 부분이 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특정한 파장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에 전원을 인가하고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U 자 형상의 외측 테두리와, 상기 외측 테두리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U 자 형상의 내측 테두리와, 상기 외측 테두리와 상기 내측 테두리의 사이를 수평하게 연결하되 구강의 상악 부분이 거치되는 전면 커버와 구강의 하악 부분이 거치되는 배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부 케이스(220)가 부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220) 내부에 발광부(230)가 설치되며,
상기 발광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31)과, 상기 광원(231)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232)와, 상기 광원(231)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치(233)와, 광원(231)의 발광 순서와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회로(234)와, 상기 배터리(232)를 충전하는 외부 전원이 결선되는 접속단자(236)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231)은 잇몸 치료용의 파장을 가진 광을 발광하는 제 1 발광다이오드와 치아 및 구강살균용의 파장을 가진 광을 발광하는 제 2 발광다이오드이고,
상부 케이스(220)에 설치된 광원(231)의 하단 부분으로부터 상기 내측 테두리(212)의 표면까지 광섬유(240)가 연결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
A treatment apparatus using light,
A housing having a shap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ral cavity can be mounted,
A light source which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emits light at a specific wavelength;
And a light emitt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apply power to the light source and control light emission of the light source,
The housing includes a U-shaped outer rim, a U-shaped inner rim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rim, and an outer rim connected horizontally between the outer rim and the inner rim, And a back cover on which a cover and a mandible portion of the mouth are mounted,
An upper case 220 is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 light emitting unit 230 is installed in the upper case 220,
The light emitting unit 230 includes at least one light source 231, a battery 232 for a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231, a switch 233 for turning on / off the light source 231, A control circuit 234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rder and the light emission time of the battery 232 and a connection terminal 236 for connect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for charging the battery 232,
The light source 231 is a first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light having a wavelength for gum treatment, and a second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light having wavelengths for tooth and mouth disinfection,
Wherein an optical fiber (240) is connected from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ight source (231) provided in the upper case (220) to the surface of the inner edge (212).
제 9 항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220)에 설치된 광원(231)의 하단 부분으로부터 상기 내측 테두리(212) 및 외측 테두리(211)의 표면까지 광섬유(240)가 연결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optical fiber 240 is connec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light source 231 provided in the upper case 220 to a surface of the inner edge 212 and the outer edge 211.
삭제delete 광을 이용하는 치료장치에 있어서,
구강의 상악 부분과 하악 부분이 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특정한 파장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에 전원을 인가하고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U 자 형상의 외측 테두리와, 상기 외측 테두리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U 자 형상의 내측 테두리와, 상기 외측 테두리와 상기 내측 테두리의 사이를 수평하게 연결하되 구강의 상악 부분이 거치되는 전면 커버와 구강의 하악 부분이 거치되는 배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광 투과성 재질이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 테두리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이 부착되고,
상기 광원은 외측 테두리의 상측 중앙 부분에 부착된 중앙광원(320)과, 상기 외측 테두리의 양 측 부분에 각각 부착된 제 1 측면광원(321)과 제 2 측면광원(322)이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테두리의 내측 중앙부(316)에 상기 외측 테두리에 설치된 광원들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부(330)가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330)는 상기 중앙광원(320), 제 1 측면광원(321) 및 제 2 측면광원(322)에 배터리(332)와, 상기 광원들(320,321,322)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치(333)와, 상기 광원들(320,321,322)의 발광 순서와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회로(334)와, 상기 배터리(332)를 충전하는 외부 전원이 결선되는 접속단자(336)을 구비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
A treatment apparatus using light,
A housing having a shap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ral cavity can be mounted,
A light source which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emits light at a specific wavelength;
And a light emitt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apply power to the light source and control light emission of the light source,
The housing includes a U-shaped outer rim, a U-shaped inner rim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rim, and an outer rim connected horizontally between the outer rim and the inner rim, And a back cover on which a cover and a mandible portion of the mouth are mounted,
The housing is made of a light-
Wherein at least one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is attach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rim of the housing,
The light source includes a central light source 320 attached to an upper cent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a first side light source 321 and a second side light source 322 attached to both side portions of the outer frame,
A light emitting unit 330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f the light sources provided at the outer rim is installed at the inner central portion 316 of the inner rim of the housing,
The light emitting unit 330 includes a battery 332 and a switch 333 for turning on or off the light sources 320, 321 and 322 to the central light source 320, the first side light source 321 and the second side light source 322 A control circuit 334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rder and the light emission time of the light sources 320, 321 and 322 and a connection terminal 336 for connect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for charging the battery 332 Oral implantable optical therapy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광원은 잇몸 치료용의 파장을 가진 광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이고,
상기 제 1 측면광원과 제 2 측면광원은 치아 및 구강살균용의 파장을 가진 광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entral light source is a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light having a wavelength for gum treatment,
Wherein the first side light source and the second side light source are light emitting diodes that emit light having wavelengths for tooth and mouth disinfection.
KR1020130106827A 2013-09-05 2013-09-05 Mouthpiece typ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light KR1014781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827A KR101478118B1 (en) 2013-09-05 2013-09-05 Mouthpiece typ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827A KR101478118B1 (en) 2013-09-05 2013-09-05 Mouthpiece typ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l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118B1 true KR101478118B1 (en) 2014-12-31

Family

ID=5268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827A KR101478118B1 (en) 2013-09-05 2013-09-05 Mouthpiece typ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l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118B1 (en)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270B1 (en) 2015-05-06 2015-08-12 주식회사 지에이 Oral insertable light treatment device for mouthpiece type
KR101554721B1 (en) 2015-03-26 2015-09-21 주식회사 덴트화이트 Light irradiating device for mouth
WO2017039175A1 (en) * 2015-09-04 2017-03-0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Teeth whitener
KR101728957B1 (en) * 2015-09-04 2017-04-2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Apparatus for teeth whitening
KR101858657B1 (en) * 2017-05-18 2018-05-16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Oral treatment apparatus
KR20180058989A (en) 2016-11-25 2018-06-04 (주)명문덴탈 Synostosis aid appartus, using method for the same and terminal
WO2019017757A3 (en) * 2017-07-20 2019-03-0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Oral cavity fixing apparatus for radiotherapy and oral cavity fixing method in treatment of lip cancer
US20200360124A1 (en) * 2016-02-16 2020-11-19 Osstemimplant Co., Ltd. Teeth whitening device
KR20210016833A (en) * 2019-08-05 2021-02-17 김영신 Mouthpiece type oral cavity cleansing apparatus
CN112566586A (en) * 2018-06-08 2021-03-26 阿尔托大学基金会 Mouthpiece and method for intra-oral treatment
KR20210067560A (en)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엠디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KR102314963B1 (en) * 2021-05-26 2021-10-20 주식회사 참사람덴탈 Multifunctional LED oral treatment device
KR20220078877A (en) 2020-12-04 2022-06-13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Mouthpiece Structure For Treatment Using The Light
KR102489670B1 (en) 2021-09-06 2023-01-18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Easy-to-clean mouthpiece structure
KR20230101388A (en) * 2021-12-29 2023-07-0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whitening and curing of toot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438B1 (en) * 2006-06-05 2007-11-28 럭스프로(주) Optical cure apparatus for paradental disease
KR20100000287U (en) * 2008-07-01 2010-01-11 이정열 A portable apparatus for eliminating halitosis
KR100964414B1 (en) * 2005-05-25 2010-06-16 바이오레이즈 테크놀로지, 인크. Device having activated textured surfaces for treating oral tissue
US20120009539A1 (en) * 2006-05-03 2012-01-12 Goodson J Max Intraoral Light-Emitt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414B1 (en) * 2005-05-25 2010-06-16 바이오레이즈 테크놀로지, 인크. Device having activated textured surfaces for treating oral tissue
US20120009539A1 (en) * 2006-05-03 2012-01-12 Goodson J Max Intraoral Light-Emitting Device
KR100777438B1 (en) * 2006-06-05 2007-11-28 럭스프로(주) Optical cure apparatus for paradental disease
KR20100000287U (en) * 2008-07-01 2010-01-11 이정열 A portable apparatus for eliminating halitosis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721B1 (en) 2015-03-26 2015-09-21 주식회사 덴트화이트 Light irradiating device for mouth
KR101543270B1 (en) 2015-05-06 2015-08-12 주식회사 지에이 Oral insertable light treatment device for mouthpiece type
WO2017039175A1 (en) * 2015-09-04 2017-03-0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Teeth whitener
KR101728957B1 (en) * 2015-09-04 2017-04-2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Apparatus for teeth whitening
KR101728956B1 (en) * 2015-09-04 2017-04-2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Apparatus for teeth whitening
US20200360124A1 (en) * 2016-02-16 2020-11-19 Osstemimplant Co., Ltd. Teeth whitening device
KR20180058989A (en) 2016-11-25 2018-06-04 (주)명문덴탈 Synostosis aid appartus, using method for the same and terminal
KR101865714B1 (en) * 2016-11-25 2018-07-04 (주)명문덴탈 Synostosis aid appartus, using method for the same and terminal
KR101858657B1 (en) * 2017-05-18 2018-05-16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Oral treatment apparatus
WO2019017757A3 (en) * 2017-07-20 2019-03-0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Oral cavity fixing apparatus for radiotherapy and oral cavity fixing method in treatment of lip cancer
US11464598B2 (en) 2017-07-20 2022-10-11 University Of Ulsan Foundation For Industry Cooperation Oral fixation device and method for radiation therapy of lip cancer
CN112566586A (en) * 2018-06-08 2021-03-26 阿尔托大学基金会 Mouthpiece and method for intra-oral treatment
CN112566586B (en) * 2018-06-08 2023-05-30 科伊特健康有限公司 Mouth gag and method for intraoral treatment
KR20210016833A (en) * 2019-08-05 2021-02-17 김영신 Mouthpiece type oral cavity cleansing apparatus
KR102325665B1 (en) * 2019-08-05 2021-11-15 김영신 Mouthpiece type oral cavity cleansing apparatus
KR20210067560A (en)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엠디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KR20220078877A (en) 2020-12-04 2022-06-13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Mouthpiece Structure For Treatment Using The Light
KR102314963B1 (en) * 2021-05-26 2021-10-20 주식회사 참사람덴탈 Multifunctional LED oral treatment device
KR102489670B1 (en) 2021-09-06 2023-01-18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Easy-to-clean mouthpiece structure
KR20230101388A (en) * 2021-12-29 2023-07-0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whitening and curing of tooth
KR102649661B1 (en) * 2021-12-29 2024-03-1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light irradi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118B1 (en) Mouthpiece typ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light
KR101750970B1 (en) Mouthpiece that adjusts to user arch sizes and seals from oxygen exposure and methods for effecting an oral treatment
US9974630B2 (en) Laser orthodontic devices
JP6161826B2 (en) Tooth whitening equipment
US8029278B1 (en) Intra-oral whitening device
US8215954B2 (en) Methods for effecting oral treatment of teeth or gums
JP4295219B2 (en) Electrochemical device for bleaching the body, especially in the medical and dental field
US200700216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light to gums
KR100777438B1 (en) Optical cure apparatus for paradental disease
WO2010098761A1 (en) Intra-oral whitening device
US20140272770A1 (en) Phototherapy mouthpiece for enhancing the replication of gum cells
US200802335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the Treatment of Teeth and Gums
US20070003905A1 (en) Tooth whiten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whitening teeth using an intra-oral light generating device
WO2011152585A1 (en) Movable light therapy device for periodontal disease
KR101543270B1 (en) Oral insertable light treatment device for mouthpiece type
JP2009502214A (en) Device for treating oral tissue having an activated surface
KR20050114585A (en) Mouthpiece
TW201735875A (en) Tooth brace with light guide function capable of thoroughly irradiating infrared rays or far-infrared rays to the whole oral cavity without blind spot
CN112566586B (en) Mouth gag and method for intraoral treatment
KR101554721B1 (en) Light irradiating device for mouth
US20100330523A1 (en) Optical tip for photosynthesis
KR101453520B1 (en) Teeth Whitening Apparatus
JP2000070292A (en) Dental photoirradiation device
KR20120079828A (en) Movable optical cure apparatus for paradental diseas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05107637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the treatment of teeth and gu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