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820B1 -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CSF) to induce functional pillow - Google Patents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CSF) to induce functional pil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820B1
KR101474820B1 KR1020130097155A KR20130097155A KR101474820B1 KR 101474820 B1 KR101474820 B1 KR 101474820B1 KR 1020130097155 A KR1020130097155 A KR 1020130097155A KR 20130097155 A KR20130097155 A KR 20130097155A KR 101474820 B1 KR101474820 B1 KR 101474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body
pillow
laryngeal
occipit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1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아이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아이, 김희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130097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82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8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Abs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functional pillow to induce the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CSF) comprising a pillow body and an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seating part where an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of an occipital bone of human body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illow body, wherein the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seating part compresses and supports the outer part of the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and accordingly compresses the fourth ventricle part of human body.

Description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CSF) to induce functional pillow}(CSF) to induce functional pillow (CSF)

본 발명은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경추를 비롯한 외후두 융기를 자연스럽게 압박하여 인체의 균형을 도모할 수 있는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illow for inducing CSF circul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pillow for inducing CSF circulation which can naturally compress the external laryngeal bump including the cervical vertebra of a human body to balance the human body.

일반적으로 취침 시에는 사람 인체의 목과 머리 부분을 편안하게 지탱하고 안식하게 해 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 베개이다.In general, when sleeping, it is a pillow that functions to comfortably support and rest the human neck and head.

종래의 베개는 딱딱한 것과 부드러운 것에 따른 소재 선택에, 한약재 등과 같은 기능성 소재를 베개 내부로 넣어주는 등 재질 및 기능성 측면에서 다양한 베개가 시판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pillow, a variety of pillows are commercially available in terms of material and functionality, such as placing a functional material such as herbal medicines and the like into the pillow in selecting a material according to hardness and softness.

인간 생활의 일과 중 1/3은 잠자리를 통하여 휴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안락한 수면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Comfortable sleep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because one-third of the daily life of people is resting through sleeping.

이와 같은 수면을 취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베개이다. 어깨결림, 코골이, 두통, 불면증, 목디스크, 일자목 등의 대부분은 베개를 잘못 베거나 잘못 선택한 데 그 원인이 있다고 전해져 오고 있는 것도 이를 뒷받침하게 된다.The most important thing in taking such a sleep is a pillow.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most of the shoulders, snoring, headache, insomnia, neck disc, and diagonal neck are mislabeled or mis-selected.

그러나 종래의 베개는 너무 딱딱하거나 너무 물렁하거나 또는 너무 높거나 너무 낮아서 머리와 목 부위가 베개에 안착되지 않고 자유 이동하여 어깨선의 흐름을 깨트리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pillow was too hard or too soft or too high or too low to allow the head and neck to move freely without getting seated on the pillow, breaking the flow of the shoulder line.

또한, 일반적으로, 인체의 구조는 머리와 상부경추를 잇는 연결부위가 전만(앞으로 볼록함)인데다 인체의 중력과 지구의 자전주기의 영향으로 무게 중심까지 경추보다 앞으로 치우쳐 있어서, 후두부와 후두하부의 근육은 쉽게 긴장된다.In addition, in general, the structure of the human body is shifted forward (convexly) from the head to the upper cervical vertebra, and due to the gravitational force of the human body and the rotation period of the earth, the center of gravity is biased forward from the cervical vertebra, Is easily tense.

또한, 생활 중 스트레스나, 나쁜 자세습관, 각종부상 시에는 이 부위의 긴장 정도가 더 심해져 대후두 신경이나 추골동맥 등을 폐색시켜 후두하부에 압박을 가하게 된다.In addition, stress in life, bad posture habits, and various injuries increase the degree of tension in this area, and occlusion of the large laryngeal nerve or the vertebral artery causes pressure on the lower larynx.

그렇게 되면, 경정맥공을 통과하는 여러 신경들이 지속적인 압박을 받게 되고, 이들이 지배하는 근육이 긴장되어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자율신경계 시스템에 기능장애가 발생하며, 심한 경우 뇌를 싸고 있는 뇌경막까지도 긴장시켜 전신증상이 나타나게 된다.In this case, the various nerves passing through the jugular vein are subjected to sustained compression, and the muscles that they control are tensed, resulting in dysfunction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at maintains homeostasis. In severe cases, .

따라서, 후두부 및 후두하부의 긴장된 근육과 연부조직을 이완시켜주는 치료는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 Therefore, the relaxation of the muscles and soft tissues of the occipital region and the lower larynx is very important.

종래에는 이러한 후두부 및 후두하부의 긴장을 일일이 수기 임상가(manual therapist), 물리치료사 등의 시술자가 수작업으로 풀어주는 번거로운 시술과정을 거쳐 치료하였다.Conventionally, the tension of the occipital area and the lower part of the larynx has been treated through a troublesome procedure in which a practitioner such as a manual therapist, a physical therapist, or the like manually releases the tension.

시술 기법으로는 두개천골치료법(Cranosacral therapy;CST)에서 두개골 기저 지압법(Cranial base release), 제 4뇌실 압박법(CV4 technique) 등이 있다.Craniofacial therapy (CST), cranial base release, and 4th ventricular compression technique (CV4 technique) are the treatment methods.

하지만, 이러한 치료방법은 후두부 및 후두하부의 긴장이 이완될 때까지 시술자가 직접 손가락으로 환자의 머리를 들어 올려서 지탱하고 있어야 하므로, 치료에 많은 힘과 노력, 시간이 소요되어 건강에 매우 유익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환자에게 시술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treatment method requires the practitioner to lift the patient's head with his / her finger until the tension of the occiput and the larynx relaxes, so that it takes a lot of effort, And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operation on many patients.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최근에는 베개 형태로 이루어져 환자가 베고 누우면 후두부 및 후두하부의 긴장이 해소되는 기구가 등장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recently, there has been a device for relieving the tension of the larynx and the larynx when the patient is lying down.

그러나 이러한 기구들은 잠깐 휴싱을 취할때만 사용하고 수면중에는 사용이 힘들기 때문에 수면중에 사용하는 베개가 없어서 수면중에도 오래 베고 누워 있어도 불편하지 않고 두개골 기저부와, 상부 경추를 포함하는 후두하부의 근육과 후두 경막을 효과적으로 부드럽게 이완시켜 뇌척수액을 순환 시켜줄 수 있는 데에는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However, these devices are used only for taking a little hushing, and because they are difficult to use during sleeping, there is no pillow to use during sleep, so it is not inconvenient to lie long in the water even when sleeping. The muscles under the larynx, including the base of the skull, , It is impossible to circulate the cerebrospinal fluid effectively and smoothly.

이에 두개골 기저부와, 상부 경추를 포함하는 후두하부의 근육과 후두 경막을 효과적으로 부드럽게 이완시켜 뇌척수액 순환을 도와줄 수 있는 기능성 숙면용 정형 베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functional sleeping pillow that can effectively relax the muscular and laryngeal muscles of the lower larynx including the base of the skull and the upper cervical vertebrae, thereby helping the CSF circul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55444호(공고일: 2012.06.05)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목 지지부에 접촉되는 목 둘레를 경추 지지 베개와 나란하게 유지하면서 지속적인 자극을 줄 수 있는 경추 지지 베개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Prior ar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55444 (Publication Date: 2012.06.05), which discloses that the neck circumference in contact with the neck support is kept parallel to the cervical support pillow, A technique for a cervical support pillow is disclosed.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경추를 비롯한 외후두융기를 자연스럽게 압박하여 인체의 균형을 도모할 수 있는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pillow that induces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that can naturally compress the external laryngeal bumps including the cervical vertebra of a human body and balance the human bod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의 두부의 후두를 비롯한, 두부의 양측부를 안정적으로 안치하도록 함으로써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nctional pillow that induces CSF circulation that can induce a good sleep by stably holding both sides of the head including the larynx of the head of the human body.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베개 몸체; 및 상면부 중앙에 인체의 외후두 융기가 안착되며, 상기 외후두 융기의 외측부를 지지하는 외후두 융기 안치부를 포함하는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를 포함하는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llow body comprising: a pillow body; And a functional pillow for guiding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on including an outer laryngeal swollen rest part for supporting the lateral portion of the outer laryngeal bulge, and a functional pillow on which the outer laryngeal ridge of the human body is se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which guides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on .

상기 외후두 융기 안치부는, 상기 베개 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및 일정 깊이를 이루는 안치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laryngeal swollen ankle portion may be formed as an ankle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illow body.

상기 안치홈의 테두리는, 상기 외후두 융기의 외측부를 압박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im of the catch groove presses and supports the outer side of the external occipital ridge.

상기 안치홈은, 상기 베개 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타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at groove may be formed as an elliptical groov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illow body.

상기 안치홈의 테두리에는, 상기 외후두 융기의 외측부를 압박하는 압박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protrud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outer side of the outer occipital ridge is formed at the rim of the above-mentioned recess.

상기 압박 돌기부의 상단은, 상기 베개 몸체의 양측부의 상단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projection is formed lower than the upper ends of the side portions of the pillow body.

상기 압박 돌기부는,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돌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ing projection portion is formed as a projection that forms a convex curved surface upward.

상기 압박 돌기부와, 상기 베개 몸체의 양측부 상면과의 사이 영역에는, 하방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한 쌍의 측부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side grooves having a certain depth downward are formed in a region between the pressing projection and the upper side of both side portions of the pillow body.

상기 외후두 융기 안치부의 양측에 위치되는 상기 베개 몸체의 양측부 상면부에는, 측두부 안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두부 안치부는, 상기 인체의 양측 두부가 안치되도록 하방으로 곡면을 이루는 측두부 안치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ide-head portion rest portion is formed on both upper side portions of the pillow bod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occipital bulb rest portion, and the side head rest portion is formed as a temporally side rest groove that is curved downward so that both side heads of the human body are held .

상기 베개 몸체에는, 경추 지지부를 구비한다.The pillow body is provided with a cervical vertebra.

상기 경추 지지부는, 상기 외후두 융기 안치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게 몸체의 일면부를 따라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rvical vertebrae may form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outer occipital bulb rest part along one side of the pillow body.

상기 경사면은, 상기 베개 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베개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양측방을 따라 상향 경사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inclining upwards along both sides of the pillow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ow bod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illow body.

상기 경사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부에는, 상기 경사면의 경사 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경추 측면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pair of lower cervical side support portions protruding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inclined surface.

또한,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는 상부경추 후면 지지부가 형성되고,In addition, an upper cervical vertebra on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상기 상부경추 후면 지지부의 양측에는, 상기 경사면의 양측 상단부와 상기 하부경추 측면 지지부의 사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부경추 측면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cervical vertebra support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cervical vertebra support with an upper cervical vertebra that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between both upper and lower cervical vertebrae.

본 발명은, 인체의 경추를 비롯한 외후두 융기를 자연스럽게 압박하여 인체의 균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naturally compressing the external laryngeal bumps including the cervical vertebra of a human body, thereby balancing the human body.

또한, 본 발명은, 인체의 두부의 후두를 비롯한, 두부의 양측부를 안정적으로 안치하도록 함으로써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ducing a good sleep by stably holding both sides of the head including the larynx of the head of the human body.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를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FIGS. 1 to 4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functional pillows for inducing CSF circulation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functional pillow for inducing CSF circ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functional pillow for inducing CSF circ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ar view showing a functional pillow for inducing CSF circ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를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functional pillow for inducing CSF circ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뇌척수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뇌척수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를 보여주는 후면도이다.1 to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unctional pillow for inducing CSF circ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functional pillow for inducing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 FIG. 7 is a rear view showing a functional pillow of the cerebral circ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7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뇌척수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의 구성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1 to 7, the construction of a functional pillow for inducing cerebral circ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베개는 크게 베개 몸체(100)와, 외후두 융기 안치부(200), 경추 지지부(400)로 구성된다.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pillow body 100, an external laryngeal swelling mouth portion 200, and a cervical support portion 400.

베개 몸체(100)The pillow body (100)

상기 베개 몸체(100)는 일정 두께 및 길이,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게 몸체(100)의 길이 방향은 X축을 따르고, 베개 몸체(100)의 폭 방향은 Y축을 따르며, 두께는 Z축을 따른다.The pillow body 10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length, and width. Here,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ow body 100 is along the X axis, a width direction of the pillow body 100 is along the Y axis, and a thickness is along the Z axis.

상기 베개 몸체(100)는 원형으로 복귀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탄성 재질은 라텍스와 같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illow body 10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returned to a circular shape. The elastic material is preferably formed of a rubber material such as latex.

물론, 상기 베개 몸체(100)는 라텍스 외, 스폰지, 면직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지압 또는 치료 용도에 따라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과 같은 고체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pillow body 100 may be formed of a latex, a sponge, a cotton fabric, or a solid material such as a plastic having a strength depending on acupressure or therapeutic use.

외후두 융기 안치부(200)External laryngeal swelling (200)

본 발명에 따르는 외후두 융기 안치부(200)는 상기 베개 몸체(100)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다.The external occipital bulb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100.

상기 외후두 융기 안치부(200)는 인체 머리 후두골의 외후두 융기가 안착되며, 상기 외후두 융기의 외측부를 압박 및 지지하여 인체의 제4뇌실 부위를 압박한다.The external laryngeal swelling mouth portion 200 seats the external laryngeal bulge of the human head scapular bone and presses and supports the lateral portion of the external laryngeal swollen to press the fourth ventricle portion of the human body.

상기 외후두 융기 안치부(200)는 상기 베개 몸체(100)의 중앙부에서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폭, 깊이를 갖는 안치홈(210)을 포함한다.The external laryngeal swollen mouth portion 200 includes an anchoring groove 2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depth along the width direction at a central portion of the pillow body 100.

바람직하게, 상기 외후두 융기 안치부(200)는 상기 안치홈(210)의 양측으로 2 내지 8 센티미터의 간격을 이루는 위치되어 인체의 후두부를 압박 지지하는 것이 좋다.Preferably, the outer occipital bulb 200 is spaced by two to eight centimeters from both sides of the orbital groove 210 to support the back of the human body.

상기 안치홈(210)의 길이는 베개 몸체(100)의 폭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안치홈(210)의 폭은 폭 방향을 따라 타원형을 이루는 폭을 형성한다.The length of the insertion groove 210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pillow body 100. The width of the catch groove 210 forms an elliptical width along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에서의 안치홈(210)은 베개 몸체(100)의 폭 방향을 따라 타원형을 이루는 홈이 바람직한 예로 제시하였지만, 원형 또는 경우에 따라 각을 갖는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oval groove 21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a preferred example as an oval groov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illow body 100, it may be formed as a circular or angled groove in some cases.

상기 안치홈(210)은 인체의 후두골 중, 외후두 융기가 안치되는 홈으로 사용된다.The anchor groove 210 is used as a groove of the occipital bone of the human body in which the external occipital bumps are placed.

또한, 상기 안치홈()210의 테두리는 외후두 융기의 외측부를 압박 지지하는 영역으로 사용된다.Further, the rim of the anchor groove 210 is used as a region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outer side of the external occipital bulge.

본 발명에서, 상기 안치홈(210)의 테두리는 베개 몸체(100)의 상면 양측부를 따라 별도의 홈이 형성되지 않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im of the seat groove 2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100 so as not to have a separate groove.

바람직하게, 상기 안치홈(210)의 테두리에는 볼록한 곡면을 갖는 압박 돌기부(220)가 형성된다.Preferably, the protrusion protrusion 220 having a convex curved surface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placement groove 210.

상세하게는, 상방으로 인체 머리 후두골의 모양에 상응되도록 내측으로 하향 곡면을 형성하는 돌기로 형성된다.Specifically, it is formed as a projection that forms a downward curved surface inwardly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ack of the human head.

상기 압박 돌기부(220)는 상기 안치홈(210)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 또는 평탄한 상면을 갖는 돌기로 형성되며, 압박 돌기부(220) 자체의 형상 역시, 안치홈(210)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sing protrusion 220 is formed as a protrusion having an upwardly convex curved surface or a flat upper surface along the rim of the mounting groove 210. The shape of the pressing protrusion 220 itself is also formed along the shape of the mounting groove 210 .

여기서, 상기 압박 돌기부(220)의 중앙부에서 X축을 따르는 폭은, 안치홈(210)의 중앙부 폭 보다 작게 형성된다.Here, the width along the X axis at the center of the pushing protrusion 220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enter of the catch groove 210.

한편, 상기 압박 돌기부(220)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베개 몸체(100)의 상면 양측부에는 한 쌍의 측두부 안치부(300)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10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essing projection 220, a pair of side-face holding portions 300 are formed.

상기 측두부 안치부(300) 각각은, 상기 베개 몸체(100)의 상면 양측부에서 하방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두부 안치홈으로 형성된다.Each of the temporal portion 300 includes a pair of side head recesses formed in a curved surface downwardly concave from both side portion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100.

상기 한 쌍의 측두부 안치홈은 사람이 누웠을 때, 인체의 두부 중, 양측 두부가 안치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는 영역이다.The pair of side-head portion placing grooves are areas where both side heads of the human head are laid down and can be stably supported when a person is lying down.

또한, 상기 한 쌍 측두부 안치홈의 테두리에서 압박 돌기부(220) 측을 제외한 테두리는 상방으로 볼록한 돌기 형상의 하부경추 측면 지지부(110)를 이루고, 베개 몸체(100)의 양단측 하부경추 측면 지지부(110)는 다른 하부경추 측면 지지부에 비해 낮은 높이를 이룰 수 있다.The rim excluding the side of the pressing projection 220 on the rim of the pair of sidebottom receiving grooves constitutes the lower cervical side supporting portion 110 having the convex shape protruding upward and the rim of the lower cervical side supporting portion 110 may have a lower height than other lower cervical side supports.

여기서, 상술한 압박 돌기부(220)와 상기 베개 몸체(100)의 양측부 상면과의 사이 영역에는 하방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한 쌍의 측부 홈(230)이 더 형성된다.Here, a pair of side grooves 230 having a certain depth downward is further formed in the area between the above-described pressing protrusion 220 and the upper side of both side portions of the pillow body 100.

따라서, 외후두 융기가 안치되는 안치홈(210)의 양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압박 돌기부(220)는 양측으로 외후두 융기 안치홈(210)과 측부 홈(230)으로 인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다.Therefore, the pushing protrusions 220 formed on both side edges of the inner case 210 on which the outer occipital bumps are placed have a shape protruding upward due to the lateral occipital flute 210 and the lateral grooves 230 on both sides .

이의 구조에 의해, 상기 압박 돌기부(220)는 인체의 외후두 융기 외측부를 지지하는 경우, 외후두 융기의 외측부를 견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pushing protrusion 220 supports the lateral portion of the outer occipital bulge of the human body, it can pull the outer side of the lateral occipital bulge.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부 홈(230) 각각은 서로 나란하게 두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air of side grooves 230 may be formed in two piece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이러한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두 개의 측부 홈(230)의 사이에 돌출되는 융기부의 높이는 압박 돌기부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protrusions protruding between the two side grooves 230 is preferab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pressing protrusion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경추 지지부(400)The cervical spine (400)

본 발명에 따르는 경추 지지부(400)는 상술한 외후두 융기 안치부(200) 알단에 연결되는 상태로 베개 몸체(100)의 일면부에 형성된다.The cervical vertebra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illow body 100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external occipital bulb 200.

상기 경추 지지부(400)는 경사면(410)으로 형성된다.The cervical vertebra 400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410.

상기 경사면(410)은 상기 외후두 융기 안치부(200)의 압박 돌기부(220)의 일단으로부터 베게 몸체(100)의 일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The inclined surface 41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pushing protrusion 220 of the external occipital bulb 200 toward one end of the pillow body 100.

따라서, 상기 경사면(410)은 베개 몸체(100)의 중앙을 하부경추 측면 지지부(110)로 좌우측을 따라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Accordingly, the inclined surface 41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along the right and left sides by the lower cervical side support portion 110 at the center of the pillow body 100.

즉, 상기 경사면(410)은 베개 몸체(100)의 중앙을 하부경추 측면 지지부(110)로 양측이 상향 경사지는 곡면으로 형성된다.That is, the inclined surface 410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in which both sides of the pillow body 100 are inclined upward by the lower cervical spine support 110.

상기 경사면(410)은 인체의 경추 부분이 안치되는 영역이다.The inclined surface 410 is a region where a cervical vertebra of a human body is placed.

또한, 상기 경사면(410)의 상단과 외후두 융기 안치부(200)의 일단 사이에는 상부경추 후면 지지부(411)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경추 후면 지지부(411)는 인체의 경추와 후두골의 사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n upper cervical vertebra 411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410 and one end of the lateral occipital cervical vertebra 200 and the upper cervical vertebra 411 is positioned between the cervical vertebra .

또한, 상기 상부경추 후면 지지부(411)는 외후두 융기 안착부(200)의 타단과 동일한 라인을 따라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cervical vertebra 411 is formed along the same line as the other end of the external occipital swelling seat 200.

또한, 상기 경사면(410)의 상단에는 상부경추 후면 지지부(4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경추 후면 지지부(411)의 양측에는, 상기 경사면(410)의 양측 상단부와 상기 하부경추 측면 지지부(110)의 사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부경추 측면 지지부(412)가 형성된다.The upper cervical vertebra 411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loping surface 410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cervical vertebra support 110 of the lower cervical vertebra, The upper cervical spine support 412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이에 더하여, 상기 경사면(4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부에는 한 쌍의 경추 지압돌기(420)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pair of cervical acupressure projections 42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inclined surface 410.

상기 경추 지압돌기들(420)은 실질적으로 인체의 경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압을 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cervical spine protrusions 420 may function to perform a spinal pressure substanti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 of the human body.

따라서, 상기 경추 지압돌기(420)는 상기 경사면(410)의 경사 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것이 좋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rvical spine protrusion 420 protrude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410.

또한, 상기 경추 지지부(400)의 일단은 베개 몸체(100)의 일단부로부터 일부 돌출 형성된다.One end of the cervical vertebra 400 is partially protruded from one end of the pillow body 100.

한편, 상술한 외후두 융기 안치부(200)의 타단측을 따르는 베개 몸체(100)의 타단 하부경추 측면 지지부에는, 인체의 후두골 상부 중앙을 지지하는 보조 안치홈(500)이 형성된다.The auxiliary cervical spine 500 supporting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human body is formed on the cervical spine side support portion of the other end of the pillow body 100 along the other end side of the external laryngeal swelling mouth portion 200 described above.

상기의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머리를 본 발명의 베개를 사용하여 누운 경우, 사용자 또는 인체의 경추는 경추 지지부(400)에 포함되는 경사면(410)에 안치된다.When the user uses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r the cervical vertebra of the human body is placed on the inclined surface 410 included in the cervical vertebrae 400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이때, 인체의 후두기저부 및 경추 지지부를 이용하여 인체의 뒷목 부위를 받쳐 지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함은 물론 뒷목 부위에 위치하는 경추 부근의 근육을 자극, 이완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by supporting the back part of the human body using the laryngeal base and the cervical vertebrae of the human body, the user can feel more comfortable, and the muscles in the vicinity of the cervical vertebrae can be stimulated and relaxed.

더불어 경추 지지부(410)에 포함되는 경추 지압돌기들(420)은 인체의 경추를 길이 방향을 따라 추가적으로 지압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cervical spine protrusions 420 included in the cervical vertebrae 410 have the effect of additionally pressing the cervical spine of the human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따라서, 인체의 경추 간 눌려진 상태를 이완시킴으로써 목의 긴장상태를 푸는 동시에 목 디스크, 일자목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relaxation of the pressed state of the cervical vertebra of the human body can relieve the tension of the neck, and at the same time,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ects of the neck disk and the throat can be obtained.

이와 동시에, 인체의 후두골의 외후두 융기는 외후두 융기 안치부(200)에 안치됨과 아울러, 외후두 융기의 외측부(200)는 돌출되는 외후두 융기 안치홈(210)의 테두리 바람직하게는 압박 돌기부(220)에 의해 인체의 외후두 융기 외측부를 지지 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outer laryngeal ridge of the human body is housed in the external laryngotracheal protuberance 200, and the outer portion 200 of the external laryngeal bulge is protruded from the rim of the protruded laryngeal raised protruding recess 210, And can support the lateral portion of the external occipital lobe of the human body by the pawl 220.

이때, 본 발명에 따는 압박 돌기부(220)는 외후두 융기 외측부를 일정의 압력으로 연속적으로 가압 지지하여 경추를 비롯한 외후두 융기에 대한 견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ushing protrusion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ously press the outer lateral portion of the occipital lobe at a constant pressure to have a traction effect on the external laryngeal bumps including the cervical vertebra.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외후두 융기 안치부(200)에 의해, 인체의 두개골의 음률적 기능을 호전시키며 옴전체에 림프의 흐름을 호전 및 뇌척수액의 움직임을 호전시키고 후두골하부위에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Accordingly, the external laryngeal bulb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tone function of the human skull, improves the flow of the lymph in the entire om and improves the movement of the cerebrospinal fluid,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또한, 후두하부 위의 목덜미선을 가압하여 후두기저부와 상부경추부에 분포되어 있는 부교감신경을 활성화 함으로써 스트레스로 인해 긴장되어 있던 교감신경의 기전을 정상적인 기전으로 만들어 주어 자율신하부경추 측면 지지부의 균형을 이루게 함으로써 생체의 리듬과 에너지를 정상적인 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nerves on the lower larynx is pressed to activate the parasympathetic nerves distributed in the laryngeal base and upper cervical vertebrae, thereby making the mechanism of sympathetic nervous tension, which is stressed by stress, a normal mechanism, By doing so, the rhythm and energy of the living body can be made normal.

이상, 본 발명의 뇌척수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ncret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the functional pillow which induces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on. However,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베개 몸체 110 : 하부경추 측면 지지부
200 : 외후두 융기 안치부 210 : 안치홈
220 : 압박 돌기부 230 : 측부 홈
300 : 측두부 안치부 400 : 경추 지지부
410 : 경사면 411 : 상부경추 후면 지지부
420 : 경추 지압돌기 500 : 보조 안치홈
100: pillow body 110: lower cervical spine support
200: External laryngeal elevation anterior segment 210: Anchored groove
220: compression protrusion 230: side groove
300: lateral temporal anchoring portion 400:
410: slope 411: upper cervical spine support
420: cervical acupressure projection 500: auxiliary anchoring groove

Claims (12)

베개 몸체; 및
상기 베개 몸체의 상면부에 인체의 후두골의 외후두 융기가 안착되며, 상기 외후두 융기의 외측부를 압박 및 지지하여 인체의 제4뇌실 부위를 압박하는 외후두 융기 안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후두 융기 안치부는,
상기 베개 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및 일정 깊이를 이루는 안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후두 융기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2 내지 8센티미터의 간격을 이루는 상기 외후두 융기의 외측부를 압박 및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Pillow body; And
And an outer laryngeal swollen cushion res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and pressing the outer portion of the outer laryngeal bulge to compress the fourth ventricle of the human body,
The external laryngeal swollen mouth portion
Wherein the pillow body includes an accommodation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illow body,
And pressing and supporting the lateral portion of the external laryngeal bulge spaced by 2 to 8 cm on both sides based on the external laryngeal bulg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홈의 외측 영역에 형성되는 테두리는,
상기 외후두 융기의 외측부를 압박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im form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catch groove may be,
Wherein the outer pillow bulge is supported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occipital bulg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홈은,
상기 베개 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타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The method of claim 3,
The above-
Wherein the pillow body is formed with an elliptical groov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illow body.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홈의 테두리에는,
상기 외후두 융기의 외측부를 압박하는 압박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The method of claim 3,
At the edge of the catch groove,
And a press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outer side of the lateral occipital bulge is form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돌기부의 상단은,
상기 베개 몸체의 양측부의 상단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projection
And the pillow body is formed lower than the upper ends of the pillow bod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돌기부는,
인체의 상기 후두골의 형상에 상응되도록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essing projection portion
A functional pillow that induces CSF circulation to form a curved surface that slopes downward inwar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ccipital bone of the human body.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후두 융기 안치부의 양측에 위치되는 상기 베개 몸체의 양측부 상면부에는, 측두부 안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두부 안치부는,
상기 인체의 양측 두부가 안치되도록 하방으로 곡면을 이루는 측두부 안치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8. The method of claim 7,
A lateral side rest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 upper face portions of the pillow bod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occipital bulb rest portion,
Wherein the temporal-
And the side wall of the body is curved downward so that both sides of the human body are fac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몸체에는, 경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추 지지부는,
상기 외후두 융기 안치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게 몸체의 일면부를 따라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illow body is provided with a cervical vertebra,
The cervical vertebra,
And a sloped surface inclining downward along a side surface of the pillow body from an end of the external occipital bulb rest par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베개 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베개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양측방을 따라 상향 경사지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부에는,
상기 경사면의 경사 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경추 측면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nclined surface
A pillow body having a curved surface inclined upwards along both sides of the pillow body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ow body,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inclined surface,
And a pair of lower cervical side support portions protruding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는 상부경추 후면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경추 후면 지지부의 양측에는,
상기 경사면의 양측 상단부와 상기 하부경추 측면 지지부의 사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부경추 측면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11. The method of claim 10,
An upper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upper cervical spine support,
And an upper cervical side support portion formed to protrude upward between both upper end portions of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lower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베개 몸체; 및
상기 베개 몸체의 상면부에 인체의 후두골의 외후두 융기가 안착되며, 상기 외후두 융기의 외측부를 압박 및 지지하여 인체의 제4뇌실 부위를 압박하는 외후두 융기 안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개 몸체는,
일정 깊이를 갖도록 함몰되어 형성된 측부홈을 형성하고,
상기 외후두 융기 안치부는,
상기 측부홈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개 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인체의 외후두 융기가 삽입되는 안치홈을 형성하는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Pillow body; And
And an outer laryngeal swollen cushion res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and pressing the outer portion of the outer laryngeal bulge to compress the fourth ventricle of the human body,
The pillow body includes:
A side groove form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The external laryngeal swollen mouth portion
Wherein the pillow body is formed in the side groove and ha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outer occipital bumps of the human body are inser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illow body.
KR1020130097155A 2013-08-16 2013-08-16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CSF) to induce functional pillow KR1014748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155A KR101474820B1 (en) 2013-08-16 2013-08-16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CSF) to induce functional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155A KR101474820B1 (en) 2013-08-16 2013-08-16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CSF) to induce functional pill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820B1 true KR101474820B1 (en) 2014-12-19

Family

ID=5267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155A KR101474820B1 (en) 2013-08-16 2013-08-16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CSF) to induce functional pil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820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115B1 (en) 2015-04-14 2016-10-12 김태국 Cervical verteble pillow
CN106136739A (en) * 2015-05-11 2016-11-23 韩商艾得股份有限公司 Functional pillow
KR200484005Y1 (en) 2016-04-19 2017-07-20 (주)코폼인터내셔널 Functional pillow
KR20170090389A (en) * 2015-10-06 2017-08-07 주식회사 티앤아이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KR101780277B1 (en) * 2015-10-06 2017-10-10 주식회사 티앤아이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KR20190021968A (en) * 2017-08-24 2019-03-06 (주)메드사피엔스 Neck support for shampoo and shampoo apparatus for a hair salon
WO2022225278A1 (en) * 2021-04-21 2022-10-27 주식회사 어썸랩 Functional pet cushion for joint protection
KR20220145090A (en)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Functional cushion for protecting joint of pet
KR20220145092A (en)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Multipurpose cushion for pet
KR20220145091A (en)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Functional cushion for protecting spine of pet
KR102540819B1 (en) * 2021-11-29 2023-06-08 주식회사 티앤아이 Pillow for strengthening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on induction effec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8520A (en) * 2004-08-02 2006-03-16 Masae Horinouchi Pillow and correction technology using pillow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8520A (en) * 2004-08-02 2006-03-16 Masae Horinouchi Pillow and correction technology using pillow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115B1 (en) 2015-04-14 2016-10-12 김태국 Cervical verteble pillow
CN106136739A (en) * 2015-05-11 2016-11-23 韩商艾得股份有限公司 Functional pillow
KR20170090389A (en) * 2015-10-06 2017-08-07 주식회사 티앤아이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KR101780277B1 (en) * 2015-10-06 2017-10-10 주식회사 티앤아이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KR102284813B1 (en) * 2015-10-06 2021-08-02 주식회사 티앤아이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KR200484005Y1 (en) 2016-04-19 2017-07-20 (주)코폼인터내셔널 Functional pillow
KR20190021968A (en) * 2017-08-24 2019-03-06 (주)메드사피엔스 Neck support for shampoo and shampoo apparatus for a hair salon
KR101982524B1 (en) * 2017-08-24 2019-05-27 (주)메드사피엔스 Neck support for shampoo and shampoo apparatus for a hair salon
WO2022225278A1 (en) * 2021-04-21 2022-10-27 주식회사 어썸랩 Functional pet cushion for joint protection
KR20220145090A (en)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Functional cushion for protecting joint of pet
KR20220145092A (en)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Multipurpose cushion for pet
KR20220145091A (en)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Functional cushion for protecting spine of pet
KR102617855B1 (en) 2021-04-21 2023-12-27 주식회사 어썸랩 Functional cushion for protecting joint of pet
KR102617859B1 (en) 2021-04-21 2023-12-27 주식회사 어썸랩 Multipurpose cushion for pet
KR102617858B1 (en) 2021-04-21 2023-12-27 주식회사 어썸랩 Functional cushion for protecting spine of pet
KR102540819B1 (en) * 2021-11-29 2023-06-08 주식회사 티앤아이 Pillow for strengthening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on induction effe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820B1 (en)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CSF) to induce functional pillow
US8566985B2 (en) Orthopedic pillow for sound sleep
US10561561B2 (en) Functional pillow for manipulation therapy
KR101077885B1 (en) A myofascal relaxer for physical therapy
KR101564674B1 (en) a cervical spinal pillow with variable form
KR102284813B1 (en)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US20120024295A1 (en) Orthopedic device
KR101630386B1 (en) Craniosacral therapy applied neck pillow for seat
KR200484005Y1 (en) Functional pillow
KR102406918B1 (en) Neck cervical vertebrae pillow with functions to improve sleep disorders and blood circulation
KR20090006288U (en) Combination neck and lumbar supporting wooden pillow with magnetic
KR101649416B1 (en) Head relaxing pillow
KR100795271B1 (en) Bear back n' neck pillo
KR100718661B1 (en) Head rester for phisical therapy
KR20200136285A (en) Massage Device Of Posterior Cervical muscle
KR101378163B1 (en) Multi position rest
KR200483101Y1 (en) A functional Neck Pillow of supporting upper backrest
KR101604216B1 (en) Korean Pillow
KR101848645B1 (en) Functional cervical spine relaxation device
CN206534746U (en) A kind of pillow
CN210748508U (en) Orthopedic pillow using craniosacral therapy
KR20180004993A (en) Rolling Shiatsu massage pillow for cervical treatment with functionality
KR101982524B1 (en) Neck support for shampoo and shampoo apparatus for a hair salon
KR20170006499A (en) Acupressure device for a cervical vertebrae
TWI583364B (en) Cranio-sacral therapy and chiropractic applied myofascial relaxer for physical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