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546B1 -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546B1
KR101472546B1 KR1020130028611A KR20130028611A KR101472546B1 KR 101472546 B1 KR101472546 B1 KR 101472546B1 KR 1020130028611 A KR1020130028611 A KR 1020130028611A KR 20130028611 A KR20130028611 A KR 20130028611A KR 101472546 B1 KR101472546 B1 KR 101472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extract
weight
old pumpkin
steri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150A (ko
Inventor
김형순
정이형
채윤주
하현아
이정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참살이 모악골 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참살이 모악골 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30028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546B1/ko
Publication of KR20140114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울금 추출물(extract of fermented Curcuma long L.)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효 울금 추출물 및 늙은 호박 농축액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혼합물을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Beverage comprising extract of fermented Curcuma long 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효 울금 추출물(extract of fermented Curcuma long L.)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효 울금 추출물 및 늙은 호박 농축액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혼합물을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 향상, 고령화로 인한 건강지향 욕구 증대, 대체의학과 자가치료에 대한 관심 증대, 건강과 식품에 관한 지식축적 등에 의해 국내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기능성 식품의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세계 기능성 식품의 시장을 국가별로 보면 미국(36%), 유럽(31%), 일본(16%) 등이 전체 시장의 83%를 차지하고 있어 소득수준과 경제성장에서 우위인 선진국 위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경제성장과 소득수준이 증가하고 있는 아시아, 남미 지역에서도 관심이 증대되고 있어 이들 국가의 시장점유율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00년 이후 웰빙(well-being)의 열풍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기능성 식품을 찾는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울금(Curcuma long L.)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구근을 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을 심황이라고 부르며 향은 순한 단맛을 지니고 있고 뿌리는 노란색이며 커리와 머스커드의 주원료 중의 하나로서 착색료 및 향신료로 이용되고 있다.
울금의 약리작용으로는 대표적으로 담즙분비, 항진작용, 혈압강하작용, 관동맥 확장작용, 혈소판응집 억제작용, 살균 및 소염작용, 발암촉진인자(promotor) 억제 작용 등이 알려져 있으며, 또한 울금은 예로부터 숙취해소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애용되어 왔고, 과학적 실증을 통해 살균 및 항암 등 폭 넓은 작용을 하는 것이 밝혀져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의 울금에 대한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간장 해독 촉진, 담즙분비 촉진, 담도 결석 제거, 강심, 이뇨, 항출혈, 항균, 항궤양, 혈중콜레스테롤 억제 등이 알려졌고 간염, 특히 담도염, 황달, 위염, 생리불순, 고혈압, 동맥경화 등에 대한 효능과 항암, 항당뇨에 대한 효과가 있음이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혈압 등 순환기계 질환과 대사성 질환 등 성인병의 발생이 지속적으로 급증함에 따라 이들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특히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며 대사성 질환의 대표적 위험 요인인 비만의 개선을 위한 소재로서 울금을 발효시킨 발효 울금을 이용함으로써 경제성 및 시장성이 우수한 소재의 개발로 경제적 이윤 창출 및 인력 양성이 기여하고자 한다.
따라서, 비만과 같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와 특히 비만 제어 효과를 지니는 소재로서 발효 울금을 이용하여 비만 개선을 위한 식품 소재로의 개발을 통하여, 국내 울금 재배 농가 소득을 꾀하고자 하며, 이는 한국의 비만관련 경제 비용 감소와 80억 달러에 달할 세계 비만치료제 및 소재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11-0008742호에 채취된 울금을 세척·건조하는 제 1단계; 상기 건조된 울금을 분쇄하는 제 2단계; 요플레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울금 분말을 2∼5중량%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 3단계; 울금 요플레 혼합물을 상온에서 10∼30분 동안 발효시키는 제 4단계;로 구성되어,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유기산이 함유된 울금 요플레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울금을 함유하는 요플레의 제조방법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2-0073505호에 정제수 100중량부에 오이식초 2∼15중량부, 헛개나무 추출농축액 0.5∼5중량부, 울금 추출농축액 0.1∼0.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이식초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상기 인용발명들은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서로 상이하여 발명의 구성이 서로 다른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발효 울금 추출물 및 늙은 호박 농축액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혼합물을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은 1∼5mm 두께로 슬라이스(slice) 처리한 울금을 -20∼-10℃에서 1∼12시간(hr) 동안 동결건조한 다음 120∼130℃에서 10∼30분 동안 멸균처리한 후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를 동결 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 중량 대비 0.01∼0.1배량으로 동결 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에 살포하고 25∼35℃에서 1∼15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거나 또는 울금에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7∼9.9×108cell/ml를 첨가한 것을 울금 중량 대비 0.5∼5배량으로 살포하고 25∼35℃에서 1∼15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거나 또는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7∼9.9×108cell/ml 및 울금 분말을 상기의 멸균수 중량 대비 0.01∼0.5배량으로 첨가하고 25∼35℃에서 1∼15일 동안 발효시킨 후 수분을 제거하여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5∼3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00℃에서 6∼24시간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10∼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은 음료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써 발효 울금을 사용하므로, 울금에 대한 소비를 촉진시켜 울금 재배 농가 및/또는 울금 재배 지역의 경제적 이익 향상과 음료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공정의 일예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공정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3은 발효 울금 추출물의 제조공정도의 일예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발효 울금 추출물 및 늙은 호박(pumpkin) 농축액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혼합물을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 및 늙은 호박 농축액을 10:90∼90: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 및 늙은 호박 농축액을 10:9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 및 늙은 호박 농축액을 30:7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 및 늙은 호박 농축액을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 및 늙은 호박 농축액을 70: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 및 늙은 호박 농축액을 90: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혼합물의 살균은 레로트르 살균 처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 혼합물의 살균은 80∼100℃에서 1∼30분(minute)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혼합물의 살균은 90℃에서 10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혼합물의 살균은 110∼130℃에서 3초∼60초(second)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혼합물의 살균은 125℃에서 10초(second)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은 1∼5mm 두께로 슬라이스(slice) 처리한 울금을 -20∼-10℃에서 1∼12시간(hr) 동안 동결건조한 다음 120∼130℃에서 10∼30분 동안 멸균처리한 후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를 동결 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 중량 대비 0.01∼0.1배량으로 동결 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에 살포하고 25∼35℃에서 1∼15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5∼3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00℃에서 6∼24시간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10∼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은 5mm 두께로 슬라이스(slice) 처리한 울금을 -15℃에서 6시간(hr) 동안 동결건조한 다음 121℃에서 21분 동안 멸균처리한 후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를 동결건조한 울금 중량 대비 0.05배량으로 살포하고 30℃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hr)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10∼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은 울금에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7∼9.9×108cell/ml를 첨가한 것을 울금 중량 대비 0.5∼5배량으로 살포하고 25∼35℃에서 1∼15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5∼3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00℃에서 6∼24시간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10∼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은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7∼9.9×108cell/ml 및 울금 분말을 상기의 멸균수 중량 대비 0.01∼0.5배량으로 첨가하고 25∼35℃에서 1∼15일 동안 발효시킨 후 수분을 제거하여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5∼3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00℃에서 6∼24시간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10∼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늙은 호박 농축액은 늙은 호박을 늙은 호박 중량 대비 5∼3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00℃에서 6∼24시간 동안 추출하여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10∼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늙은 호박 농축액은 늙은 호박을 늙은 호박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1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늙은 호박 농축액은 늙은 호박을 늙은 호박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3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늙은 호박 농축액은 늙은 호박을 늙은 호박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늙은 호박 농축액을 제조시 사용하는 늙은 호박(pumpkin)은 씨앗을 제외한 늙은 호박 속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늙은 호박은 씨앗을 제외한 늙은 호박 속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는 용기에 충진하고 포장할 수 있다.
상기의 용기는 통상적으로 음료를 충진할 수 있는 용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용기의 일예로서 유리병(glass bottle), 종이, 합성수지 및 금속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는 상기의 혼합물을 살균한 다음 스틱형 포장기(stick packaging machine)로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시 발효 울금 추출물 및/또는 늙은 호박 농축액 이외에 음료의 구성 성분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의 일예로서 감미료, 산미료, 비타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음료 구성 성분의 일예로서 감미료는 설탕, 포도당, 과당, 엿류, 당시럽류, 덱스트린, 맥아당,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셀로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이눌로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키토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수크랄로스(sucralose), 꿀(honey), 프로폴리스(propolis), 트레할로스(trehalos),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아스파탐(Aspartame), 라피노오스(raffinose),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만티톨(mantitol), 람니톨(rhamnitol), 이노시톨(Inos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파라티노스(paratinose) 및 쿠에르시톨(quercito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음료 구성 성분의 일예로서 산미료는 구연산, 사과산 및 주석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음료 구성 성분의 일예로서 비타민은 비타민 B1(thiamin), 비타민 B2(riboflavin), 비타민 B6(pyridoxine), 비타민B12(Cyanocobalamin),니아신(niacin), 비타민 C(ascorbic acid), 비오틴(biotin), 엽산(folic acid) 및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의 일예로서 감미료, 산미료, 비타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은 발효 울금 추출물 및 늙은 호박 농축액을 혼합시 발효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15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시 음료의 기능성 및/또는 관능성 향상을 위해 추가 성분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추가 성분은 발효 울금 추출물 및 늙은 호박 농축액을 혼합시 발효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추가 성분 1∼10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추가 성분은 현초(玄草) 추출물 및 마름열매(fruit of Trapa japonica ELEROV.)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 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현초 추출물은 현초를 현초 중량 대비 5∼3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00℃에서 최초 정제수 부피 대비 5∼50%가 되도록 추출한 다음 여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현초 추출물은 현초를 현초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 부피 대비 25%가 되도록 추출한 다음 여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마름열매 추출물은 마름열매를 마름열매 중량 대비 5∼3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00℃에서 최초 정제수 부피 대비 5∼50%가 되도록 추출한 다음 여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마름열매 추출물은 마름열매를 마름열매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 부피 대비 25%가 되도록 추출한 다음 여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에 대해 다양한 조건으로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발효 울금 추출물 300g, 늙은 호박 농축액을 300g, 설탕 20g, 구연산 1g 및 비타민 C 0.5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의 혼합물을 125℃에서 10초(second) 동안 살균한 다음 유리병에 충진하여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도 1 참조).
상기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은 5mm 두께로 슬라이스(slice) 처리한 울금을 -15℃에서 6시간(hr) 동안 동결건조한 다음 121℃에서 21분 동안 멸균처리한 후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를 동결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 중량 대비 0.05배량으로 동결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에 살포하고 30℃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hr)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1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도 3 참조).
상기에서 늙은 호박 농축액은 늙은 호박을 늙은 호박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1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하기의 방법에 의해 얻은 발효 울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울금에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8cell/ml를 첨가한 것을 울금 중량 대비 0.5배량으로 살포하고 30℃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1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발효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하기의 방법에 의해 얻은 발효 울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8cell/ml 및 울금 분말을 상기의 멸균수 중량 대비 0.5배량으로 첨가하고 30℃에서 5일 동안 발효시킨 후 수분을 제거하여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1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발효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발효 울금 추출물 300g, 늙은 호박 농축액을 300g, 설탕 20g, 구연산 1g 및 비타민 C 0.5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의 혼합물을 125℃에서 10초(second) 동안 살균한 다음 스틱형 포장기(stick packaging machine)를 이용하여 포장하여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도 2 참조).
상기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은 5mm 두께로 슬라이스(slice) 처리한 울금을 -15℃에서 6시간(hr) 동안 동결건조한 다음 121℃에서 21분 동안 멸균처리한 후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를 동결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 중량 대비 0.05배량으로 동결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에 살포하고 30℃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hr)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도 3 참조).
상기에서 늙은 호박 농축액은 늙은 호박을 늙은 호박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2>
하기의 방법에 의해 얻은 발효 울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울금에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8cell/ml를 첨가한 것을 울금 중량 대비 0.5배량으로 살포하고 30℃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발효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하기의 방법에 의해 얻은 발효 울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8cell/ml 및 울금 분말을 상기의 멸균수 중량 대비 0.5배량으로 첨가하고 30℃에서 5일 동안 발효시킨 후 수분을 제거하여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발효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발효 울금 추출물 300g, 늙은 호박 농축액을 300g, 설탕 20g, 구연산 1g 및 비타민 C 0.5g 및 현초 추출물 15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의 혼합물을 125℃에서 10초(second) 동안 살균한 다음 유리병에 충진하여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은 5mm 두께로 슬라이스(slice) 처리한 울금을 -15℃에서 6시간(hr) 동안 동결건조한 다음 121℃에서 21분 동안 멸균처리한 후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를 동결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 중량 대비 0.05배량으로 동결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에 살포하고 30℃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hr)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1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늙은 호박 농축액은 늙은 호박을 늙은 호박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1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현초 추출물은 현초를 현초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 부피 대비 25%가 되도록 추출한 다음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2>
하기의 방법에 의해 얻은 발효 울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울금에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8cell/ml를 첨가한 것을 울금 중량 대비 0.5배량으로 살포하고 30℃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1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발효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3>
하기의 방법에 의해 얻은 발효 울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8cell/ml 및 울금 분말을 상기의 멸균수 중량 대비 0.5배량으로 첨가하고 30℃에서 5일 동안 발효시킨 후 수분을 제거하여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1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발효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1>
발효 울금 추출물 300g, 늙은 호박 농축액을 300g, 설탕 20g, 구연산 1g, 비타민 C 0.5g 및 마름열매(fruit of Trapa japonica ELEROV.) 추출물 15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의 혼합물을 125℃에서 10초(second) 동안 살균한 다음 유리병에 충진하여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은 5mm 두께로 슬라이스(slice) 처리한 울금을 -15℃에서 6시간(hr) 동안 동결건조한 다음 121℃에서 21분 동안 멸균처리한 후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를 동결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 중량 대비 0.05배량으로 동결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에 살포하고 30℃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hr)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1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늙은 호박 농축액은 늙은 호박을 늙은 호박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1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마름열매 추출물은 마름열매를 마름열매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 부피 대비 25%가 되도록 추출한 다음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2>
하기의 방법에 의해 얻은 발효 울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울금에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8cell/ml를 첨가한 것을 울금 중량 대비 0.5배량으로 살포하고 30℃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1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발효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3>
하기의 방법에 의해 얻은 발효 울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8cell/ml 및 울금 분말을 상기의 멸균수 중량 대비 0.5배량으로 첨가하고 30℃에서 5일 동안 발효시킨 후 수분을 제거하여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1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발효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1>
발효 울금 추출물 300g, 늙은 호박 농축액을 300g, 설탕 20g, 구연산 1g ,비타민 C 0.5g 및 현초(玄草) 추출물 15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의 혼합물을 125℃에서 10초(second) 동안 살균한 다음 스틱형 포장기(stick packaging machine)를 이용하여 포장하여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은 5mm 두께로 슬라이스(slice) 처리한 울금을 -15℃에서 6시간(hr) 동안 동결건조한 다음 121℃에서 21분 동안 멸균처리한 후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를 동결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 중량 대비 0.05배량으로 동결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에 살포하고 30℃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hr)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늙은 호박 농축액은 늙은 호박을 늙은 호박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현초 추출물은 현초를 현초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 부피 대비 25%가 되도록 추출한 다음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2>
하기의 방법에 의해 얻은 발효 울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울금에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8cell/ml를 첨가한 것을 울금 중량 대비 0.5배량으로 살포하고 30℃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발효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3>
하기의 방법에 의해 얻은 발효 울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8cell/ml 및 울금 분말을 상기의 멸균수 중량 대비 0.5배량으로 첨가하고 30℃에서 5일 동안 발효시킨 후 수분을 제거하여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발효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1>
발효 울금 추출물 300g, 늙은 호박 농축액을 300g, 설탕 20g, 구연산 1g ,비타민 C 0.5g 및 마름열매(fruit of Trapa japonica ELEROV.) 추출물 15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의 혼합물을 125℃에서 10초(second) 동안 살균한 다음 스틱형 포장기(stick packaging machine)를 이용하여 포장하여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은 5mm 두께로 슬라이스(slice) 처리한 울금을 -15℃에서 6시간(hr) 동안 동결건조한 다음 121℃에서 21분 동안 멸균처리한 후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를 동결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 중량 대비 0.05배량으로 동결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에 살포하고 30℃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hr)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늙은 호박 농축액은 늙은 호박을 늙은 호박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마름열매 추출물은 마름열매를 마름열매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 부피 대비 25%가 되도록 추출한 다음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2>
하기의 방법에 의해 얻은 발효 울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울금에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8cell/ml를 첨가한 것을 울금 중량 대비 0.5배량으로 살포하고 30℃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발효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3>
하기의 방법에 의해 얻은 발효 울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8cell/ml 및 울금 분말을 상기의 멸균수 중량 대비 0.5배량으로 첨가하고 30℃에서 5일 동안 발효시킨 후 수분을 제거하여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발효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울금 추출물 20중량부를 혼합하여 울금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울금 추출물은 울금을 울금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지로 여과하여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6-3에서 제조한 각각의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실험군으로 하고, 상기 비교예에서 제조한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대조군으로 하여 실험군 및 대조군에 대한 맛, 기호도 등의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관능검사는 식품 관련 분야에서 3년 이상의 관능검사 경력을 지닌 패널 30명(남여 각각 15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법(1:매우 나쁨, 3:보통, 5:매우 좋음)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군 및 대조군의 관능검사 결과
항목 기호도
실시예 1-1 4.1 4.1
실시예 1-2 4.0 4.1
실시예 1-3 4.1 4.0
실시예 2-1 4.3 4.2
실시예 2-2 4.2 4.2
실시예 2-3 4.2 4.1
실시예 3-1 4.1 4.1
실시예 3-2 4.0 4.1
실시예 3-3 4.1 4.0
실시예 4-1 4.1 4.1
실시예 4-2 4.1 4.1
실시예 4-3 4.1 4.0
실시예 5-1 4.2 4.2
실시예 5-2 4.2 4.2
실시예 5-3 4.1 4.2
실시예 6-1 4.2 4.2
실시예 6-2 4.2 4.1
실시예 6-3 4.1 4.2
비교예 3.7 3.8
*상기 표 1에서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6-3에서 제조한 각각의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비교예에서 제조한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에 대한 맛, 기호도 등의 관능성은 패널의 점수 총합을 패널수로 나눈 다음 소수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것으로서 수치가 높을수록 관능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의 결과에서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6-3에서 제조한 각각의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는 비교예에서 제조한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와 대비시 관능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어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충분히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1>
발효 울금 추출물 200g, 늙은 호박 농축액 200g, 설탕 10g, 구연산 1g 및 비타민 C 0.5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2>
발효 울금 추출물 200g, 늙은 호박 농축액 200g, 설탕 10g, 구연산 1g 및 비타민 C 0.5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3>
발효 울금 추출물 200g, 늙은 호박 농축액 200g, 설탕 10g, 구연산 1g, 비타민 C 0.5g 및 현초 추출물 1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4>
발효 울금 추출물 200g, 늙은 호박 농축액 200g, 설탕 10g, 구연산 1g, 비타민 C 0.5g 및 마름열매 추출물 1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5>
발효 울금 추출물 200g, 늙은 호박 농축액 200g, 설탕 10g, 구연산 1g, 비타민 C 0.5g 및 현초 추출물 1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6>
발효 울금 추출물 200g, 늙은 호박 농축액 200g, 설탕 10g, 구연산 1g, 비타민 C 0.5g 및 마름열매 추출물 1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1>
발효 울금 추출물 100g, 늙은 호박 농축액 100g, 설탕 8g, 구연산 0.5g 및 비타민 C 0.5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2>
발효 울금 추출물 100g, 늙은 호박 농축액 100g, 설탕 8g, 구연산 0.5g 및 비타민 C 0.5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3>
발효 울금 추출물 100g, 늙은 호박 농축액 100g, 설탕 8g, 구연산 0.5g, 비타민 C 0.5g 및 현초 추출물 5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4>
발효 울금 추출물 100g, 늙은 호박 농축액 100g, 설탕 8g, 구연산 0.5g, 비타민 C 0.5g 및 마름열매 추출물 5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5>
발효 울금 추출물 100g, 늙은 호박 농축액 100g, 설탕 8g, 구연산 0.5g, 비타민 C 0.5g 및 현초 추출물 5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6>
발효 울금 추출물 100g, 늙은 호박 농축액 100g, 설탕 8g, 구연산 0.5g, 비타민 C 0.5g 및 마름열매 추출물 5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통상의 기술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은 음료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써 발효 울금을 사용하므로, 울금에 대한 소비를 촉진시켜 울금 재배 농가 및/또는 재배 지역의 경제적 이익 향상과 음료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6)

1∼5mm 두께로 슬라이스(slice) 처리한 울금을 -20∼-10℃에서 1∼12시간(hr) 동안 동결건조한 다음 120∼130℃에서 10∼30분 동안 멸균처리한 후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를 동결 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 중량 대비 0.01∼0.1배량으로 동결 건조 후 멸균처리한 울금에 살포하고 25∼35℃에서 1∼15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거나, 울금에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7∼9.9×108cell/ml를 첨가한 것을 울금 중량 대비 0.5∼5배량으로 살포하고 25∼35℃에서 1∼15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울금을 얻거나 또는 멸균수 200ml에 대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1×107∼9.9×108cell/ml 및 울금 분말을 상기의 멸균수 중량 대비 0.01∼0.5배량으로 첨가하고 25∼35℃에서 1∼15일 동안 발효시킨 후 수분을 제거하여 발효 울금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을 발효 울금 중량 대비 5∼3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00℃에서 6∼24시간 동안 추출하여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발효 울금 열수 추출물을 10∼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발효 울금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발효 울금 추출물 및 늙은 호박 농축액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혼합물을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발효 울금 추출물 및 늙은 호박 농축액을 10:90∼90: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단계;
상기의 혼합물을 레로트르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삭제
제1항에 있어서,
늙은 호박 농축액은 늙은 호박을 늙은 호박 중량 대비 5∼3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00℃에서 6∼24시간 동안 추출하여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늙은 호박 열수 추출물을 10∼60브릭스(brix)로 농축시켜 얻은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발효 울금 추출물 및 늙은 호박 농축액을 혼합시 발효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현초(玄草) 추출물 및 마름열매(fruit of Trapa japonica ELEROV.)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 1∼10중량부를 추가로 더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청구항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KR1020130028611A 2013-03-18 2013-03-18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2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611A KR101472546B1 (ko) 2013-03-18 2013-03-18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611A KR101472546B1 (ko) 2013-03-18 2013-03-18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150A KR20140114150A (ko) 2014-09-26
KR101472546B1 true KR101472546B1 (ko) 2014-12-16

Family

ID=5175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611A KR101472546B1 (ko) 2013-03-18 2013-03-18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5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913B1 (ko) * 2014-12-10 2016-03-28 주식회사 리체 강황을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KR101683030B1 (ko) * 2015-07-24 2016-12-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울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추출방법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969816B1 (ko) * 2017-06-02 2019-04-17 전라남도 발효 울금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1820676B1 (ko) * 2017-07-20 2018-01-23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마름 추출물 및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개선용 조성물
KR102177749B1 (ko) * 2018-12-07 2020-11-11 주식회사 나온스 강황을 이용한 강황 추출물 분말(커큐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큐민 콜로이드 분산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989B1 (ko) 2003-10-28 2006-03-30 박경준 울금 발효방법 및 울금을 주재료로 하는 식품조성물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989B1 (ko) 2003-10-28 2006-03-30 박경준 울금 발효방법 및 울금을 주재료로 하는 식품조성물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재구 외,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8권 제4호, pp430~43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150A (ko) 2014-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232B1 (ko) 무 및 무잎을 이용한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9752B1 (ko)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발효조청의 제조방법
KR100935847B1 (ko) 홍삼 절편의 제조 방법
KR101374538B1 (ko) 천년초 선인장을 이용한 식품용 분말의 제조방법
KR101472546B1 (ko)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5199B1 (ko)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식품첨가제
KR102448542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1166884B1 (ko) 당귀, 천궁, 작약, 숙지황, 홍삼, 감초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962431A (zh) 一种八月瓜乌饭子混合型果酒
KR20180091311A (ko)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0994177B1 (ko) 발효 숙성 흑산수유 및 그의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490211B1 (ko) 숙취해소 및 소화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671961B1 (ko) 으름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KR20110080817A (ko) 건강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6908A (ko)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63973B1 (ko) 떡의 제조방법
KR20110035835A (ko)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젤리의 제조방법
KR101291181B1 (ko) 기호도가 향상된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음료
KR20160010159A (ko) 꽃대가 올라온 상추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청 조성물
KR101585406B1 (ko) 버섯차 제조방법
KR101404520B1 (ko) 천마경옥고를 이용한 초콜릿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초콜릿
KR102014374B1 (ko)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7352A (ko) 홍삼의 액상 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0382A (ko) 죽력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332812B1 (ko) 인삼의 가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