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242B1 - 다층 시트를 일렉트로블로잉하는 공정 - Google Patents

다층 시트를 일렉트로블로잉하는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242B1
KR101468242B1 KR1020097014991A KR20097014991A KR101468242B1 KR 101468242 B1 KR101468242 B1 KR 101468242B1 KR 1020097014991 A KR1020097014991 A KR 1020097014991A KR 20097014991 A KR20097014991 A KR 20097014991A KR 101468242 B1 KR101468242 B1 KR 101468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fibers
solvent
radiation beam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523A (ko
Inventor
조셉 브라이언 호바넥
마이클 존 시니어 무어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9009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01D5/003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 D01D5/0038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the fibre formed by solvent evaporation, i.e. dry 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69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pinning section, e.g. capillary tube, protrusion or pi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D04H3/16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the filaments being flash-spun

Abstract

본 발명은 상이한 성분의 웨브를 제조하기 위해 다수의 방사 빔을 이용하여 다층 시트를 일렉트로블로잉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시트는 형성 스크린에 부착되지 않으며 개선된 웨브 안정성을 갖는다.
섬유, 액체 스트림, 웨브, 다층 시트, 일렉트로블로잉

Description

다층 시트를 일렉트로블로잉하는 공정{PROCESS FOR ELECTROBLOWING A MULTIPLE LAYERED SHEET}
본 발명은 다층 시트의 일렉트로블로잉에 대한 개선에 관한 것이다.
섬유로 제조된 천 및 웨브는 여과 매체, 에너지 저장 분리기(energy storage separator), 보호용 의류 등과 같은 다양한 고객 최종 용도의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웨브를 제조하는 하나의 공정으로는, 용매를 증발시켜 스크린 상에 수집되는 섬유를 형성하기 위해 블로잉 또는 포워딩 유체(blowing or forwarding fluid) 및 정전기장의 존재 하에 중합체 용액이 노즐을 통해 방사되는 일렉트로블로잉법이 있다. 전형적으로, 레이다운(laydown)시 모든 용매가 섬유로부터 제거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적인 용매 제거 공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스크린 상에서의 섬유 레이다운시 너무 많은 용매가 섬유 내에 남게 되면, 웨브는 스크린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웨브를 스크린에서 떼어낼 때 웨브 손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스크린 상에서의 섬유 레이다운시 너무 적은 용매가 섬유에 남게 되면, 웨브는 웨브 취급을 가능하게 하는 우수한 표면 안정성을 위한 충분한 점착성을 나타내지 못한다.
취급을 위한 충분한 표면 안정성을 가지면서 수집 스크린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시트 구조체를 일렉트로블로잉하는 공정을 필요로 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다층 시트를 일렉트로블로잉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 본 방법은 섬유를 형성하고 이 섬유를 수집 스크린 상으로 침착하기 위해 포워딩 기체 및 전기장의 존재 하에 선형 배열의 방사 노즐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방사 빔(spinning beam)을 통해 용매 내에 용해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액체 스트림을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a) 제1 방사 빔은 약 0 내지 약 30 중량%의 용매 농도로 수집 스크린 상으로 침착되어 제1 웨브를 만드는 섬유를 제공하며, 그리고 (b) 제2 방사 빔은 약 30 내지 약 70 중량%의 용매 농도로 제1 웨브 상으로 침착되어 제2 웨브를 만드는 섬유를 제공하며, 웨브들 사이의 용매 농도의 차이는 적어도 약 10 중량%이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출원 제10/477,882호에 대응하는 국제 특허 공개 WO 03/080905호에 개시된 일렉트로블로잉 공정에 의해 제조된 웨브로부터 만들어진 다층 시트에 대한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렉트로블로잉 방법은 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중합체 용액의 스트림을 저장 탱크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고 중합체 용액이 방출되는 방사구(spinneret) 내의 일련의 방사 노즐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선택적으로 가열된 압축 공기가 방사 노즐의 측면 또는 주연부에 배치된 공기 노즐로부터 방출된다. 공기는, 새로 방출된 중합체 용액을 둘러싸서 전진시키고 진공 챔버 위의 접지된 다공성 수집 스크린 상에 수집되는 섬유질 웨브의 형성을 돕는 블로잉 기체 스트림으로서 대체로 하향으로 지향된다.
중합체 용액은 관련 중합체, 가소제, 자외선 안정제, 가교결합제, 경화제, 반응 개시제 등과 상용성인 임의의 수지를 포함하는 첨가제와 혼합될 수 있다. 비록 대부분의 중합체를 용해하는 것이 임의의 특정 온도 범위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지만, 용해 반응을 돕기 위해 가열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렉트로블로잉 공정에 따라 웨브를 제조함에 있어서, 웨브가 수집 스크린 상에서의 레이다운시 너무 많은 용매를 가진 섬유를 포함한다면, 웨브는 스크린에 부착되어 스크린으로부터의 제거시 웨브에 대한 손상을 야기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부착 문제는 레이다운시 웨브가 약 0 내지 약 30 중량%의 용매 농도를 갖는 경우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렉트로블로잉 공정에 따라 웨브를 제조함에 있어서, 웨브가 수집 스크린 상에서의 레이다운시 너무 적은 용매를 갖는 섬유를 포함한다면, 섬유는 웨브를 취급할 때 웨브 손상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표면 안정성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부착되기에 충분한 점착성을 갖지 못하게 된다는 것을 추가로 알게 되었다. 표면 안정성은 레이다운시 웨브가 약 30 내지 약 70 중량%의 용매 농도를 갖는 경우 개선될 수 있다.
웨브 취급을 위한 충분한 표면 안정성을 제공하면서 수집 스크린에 부착되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시트는 용매 저함유 웨브를 용매 고함유 웨브와 결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층 시트는, 약 0 내지 약 30 중량%의 용매 농도로 수집 스크린 상으로 침착되어 제1 웨브를 만드는 섬유를 제공하는 제1 방사 빔 및 약 30 내지 약 70 중량%의 용매 농도로 제1 웨브 상으로 침착되어 제2 웨브를 만드는 섬유를 제공하는 제2 방사 빔을 통해 중합체 용액을 방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웨브들 사이의 용매 농도의 차이는 적어도 약 10 중량%이다.
레이다운시 상이한 용매 농도를 갖는 웨브를 제조하는 한 가지 방법은 방사 빔을 빠져 나가는 중합체 용액의 액체 스트림 처리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1 웨브는 약 0.5 내지 약 2.0 cc/hole/min의 노즐당 액체 스트림 처리량을 갖는 방사 빔으로부터 섬유를 방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제2 웨브는 약 2.0 내지 약 4.0 cc/hole/min의 노즐당 액체 스트림 처리량을 갖는 방사 빔으로부터 섬유를 방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두 액체 스트림들 사이의 처리량의 차이는 적어도 약 1 cc/hole/min이다.
레이다운시 상이한 용매 농도를 갖는 웨브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은 포워딩 기체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제1 웨브는 약 50℃ 내지 약 150℃의 온도를 갖는 제1 포워딩 기체로 섬유를 방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제2 웨브는 약 25℃ 내지 약 50℃의 온도를 갖는 제2 포워딩 기체로 섬유를 방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포워딩 기체들 사이의 온도 차이는 적어도 약 25℃이다.
레이다운시 원하는 수준의 용매 농도를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방사 빔으로부터 방사된 섬유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조작될 수 있는 대안적인 공정 변수에는 방사 셀 온도, 및 다이와 컬렉터 사이의 거리 또는 빔과 수집 스크린 사이의 거리가 포함된다.
추가적인 방사 빔이 이 공정에 추가되어, 제1 웨브와 제2 웨브 사이에, 제2 웨브 상으로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으로 추가적인 웨브를 침착할 수 있다.
이 공정은, 최종 용도에 따라, 수집된 웨브로부터 용매를 요구되는 용매 함량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중합체/용매 조합은 폴리아미드 다층 시트를 준비하기 위해 포름산에 용해된 폴리아미드이다.
시험 방법
웨브 내의 용매 함량은 이와 같이 제조된 웨브를 칭량하고, 이어서 웨브를 건조시키고, 다시 웨브를 칭량함으로써 측정되고, 하기의 식으로 계산된다:
% 용매 = (용매 함유 웨브의 중량 - 용매 무함유 웨브의 중량) x 100%
(용매 함유 웨브의 중량)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 웨브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출원 제10/477,882호에 대응하는 국제 특허 공개 WO 2003/080905호에 기재된 일렉트로블로잉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비교예 A
24 중량% 농도의 나일론 6,6 중합체인 자이텔(Zytel)(등록상표) FE3218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 소재의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컴퍼니(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함)을 99% 순도의 포름산 용매 (핀란 드 헬싱키 소재의 케미라 오와이제이(Kemira Oyj)로부터 입수가능함) 중에 용해한 중합체 용액으로부터 웨브를 제조하였다. 중합체 용액은 약 50℃의 온도 및 50 ㎸의 방사 빔과 컬렉터 사이의 전위차에서의 블로잉 공기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전기 방사된다. 방사 빔은 약 60% 포름산 함량을 갖는 웨브를 형성하기 위해 스크린 상에 수집되는 섬유를 제조하는 약 4.0 cc/hole/min의 중합체 용액 처리량을 갖는다. 웨브는 수집 스크린에 부착되며, 웨브를 떼어낼 때 웨브에 대한 손상을 야기한다.
비교예 B
방사 빔이 약 25%의 포름산 함량을 갖는 웨브를 형성하기 위해 스크린 상에 수집되는 섬유를 제조하는 약 1.0 cc/hole/min의 중합체 용액 처리량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A와 유사한 방식으로 다른 웨브를 제조한다. 웨브는 제거될 때 수집 스크린에 부착되지 않는다. 그러나, 웨브의 표면 안정성은 취급시 웨브에 손상을 주지 않기에는 불충분하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시트는 비교예 A 및 비교예 B를 특정 순서로 조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비교예 B에서와 같이, 제1 방사 빔은 약 25% 포름산 함량을 갖는 제1 웨브를 형성하기 위해 스크린 상에 수집되는 섬유를 제조하는 약 1.0 cc/hole/min의 중합체 용액 처리량을 갖는다. 비교예 A에서와 같이, 제2 방사 빔은 약 60% 포름산 함량을 갖는 제2 웨브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웨브의 상부에 수집되는 섬유를 제조하는 약 4.0 cc/hole/min의 중합체 용액 처리량을 갖는다. 두 웨브로 다층 시트를 제조한다. 시트는 스크린에 부착됨이 없이 스크린으로부터 제거 된다. 더욱이, 제2 웨브의 추가적인 점착성은 웨브가 취급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표면 안정성과 함께 시트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다층 시트는 용매 제거되어 잔류 포름산을 제거한다.

Claims (6)

  1. 섬유를 형성하고 섬유를 수집 스크린 상으로 침착하기 위해 포워딩 기체 및 전기장의 존재 하에 선형 배열의 방사 노즐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방사 빔을 통해 용매 내에 용해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액체 스트림을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a) 제1 방사 빔은 0 내지 30 중량%의 용매 농도로 수집 스크린 상으로 침착되어 제1 웨브를 제조하는 섬유를 제공하고,
    (b) 제2 방사 빔은 30 내지 70 중량%의 용매 농도로 제1 웨브 상으로 침착되어 제2 웨브를 제조하는 섬유를 제공하며, 웨브들 사이의 용매 농도의 차이는 적어도 10 중량%인, 다층 시트를 일렉트로블로잉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c) 하나 이상의 추가 방사 빔이 제1 웨브와 제2 웨브 사이에, 제2 웨브 상으로,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으로 침착되어 하나 이상의 추가 웨브를 제조하는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층 시트를 일렉트로블로잉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수집된 섬유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층 시트를 일렉트로블로잉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방사 빔은 0.5 내지 2.0 cc/hole/min의 노즐당 액체 스트림 처리량을 갖고, 제2 방사 빔은 2.0 내지 4.0 cc/hole/min의 노즐당 액체 스트림 처리량을 가지며, 액체 스트림들 사이의 처리량의 차이는 적어도 1 cc/hole/min인, 다층 시트를 일렉트로블로잉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1 방사 빔은 50℃ 내지 150℃의 온도를 갖는 제1 포워딩 기체를 구비하고, 제2 방사 빔은 25℃ 내지 50℃의 온도를 갖는 제2 포워딩 기체를 구비하며, 포워딩 기체들 사이의 온도 차이는 적어도 25℃인, 다층 시트를 일렉트로블로잉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는 폴리아미드이고 용매는 포름산인, 다층 시트를 일렉트로블로잉하는 방법.
KR1020097014991A 2006-12-20 2007-12-18 다층 시트를 일렉트로블로잉하는 공정 KR101468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592506P 2006-12-20 2006-12-20
US60/875,925 2006-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523A KR20090096523A (ko) 2009-09-10
KR101468242B1 true KR101468242B1 (ko) 2014-12-03

Family

ID=3958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991A KR101468242B1 (ko) 2006-12-20 2007-12-18 다층 시트를 일렉트로블로잉하는 공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361365B2 (ko)
EP (1) EP2094886B1 (ko)
JP (1) JP5377325B2 (ko)
KR (1) KR101468242B1 (ko)
CN (1) CN101563485B (ko)
AT (1) ATE485406T1 (ko)
BR (1) BRPI0719501B8 (ko)
DE (1) DE602007010031D1 (ko)
WO (1) WO20080824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2009149A3 (cs) * 2009-03-09 2010-09-22 Elmarco S.R.O. Zpusob ukládání funkcní vrstvy polymerních nanovláken na povrch podkladu
US8535590B2 (en) * 2011-01-12 2013-09-17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Spray system and method of making phase separated polymer membrane structur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0905A1 (en) * 2002-03-26 2003-10-02 Nano Technics Co., Ltd. A manufacturing device and the method of preparing for the nanofibers via electro-blown spinning process
WO2004074559A1 (en) * 2003-02-24 2004-09-02 Hag-Yong Kim A process of preparing continuous filament composed of nano fiber
WO2005090653A1 (en) * 2004-03-23 2005-09-29 Hak-Yong Kim A bottom-up electrospinning devices, and nanofibers prepared by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8651A (en) * 1933-06-23 1936-07-21 Massachusetts Inst Technolog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US3901675A (en) * 1971-05-21 1975-08-26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Apparatus for producing fibers and environmental control therefor
FR2299438A1 (fr) * 1974-06-10 1976-08-27 Rhone Poulenc Textile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fabrication de nappes non tissees en fils continus thermoplastiques
US6723669B1 (en) * 1999-12-17 2004-04-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ne multicomponent fiber webs and laminates thereof
CA2457162A1 (en) * 2000-09-01 2002-03-07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Intellectual Property Foundation Electroprocessed fibrin-based matrices and tissues
DE10063518C2 (de) * 2000-12-20 2003-11-20 Sandler Helmut Helsa Werke Verfahren zum elektrostatischen Spinnen von Polymeren zum Erhalt von Nano- und Mikrofasern
US6641773B2 (en) * 2001-01-10 2003-11-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Electro spinning of submicron diameter polymer filaments
US6713011B2 (en) * 2001-05-16 2004-03-30 The Research Foundation A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pparatus and methods for electrospinning polymeric fibers and membranes
KR100458946B1 (ko) * 2002-08-16 2004-12-03 (주)삼신크리에이션 나노섬유 제조를 위한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위한방사노즐팩
AU2003262818A1 (en) * 2002-08-22 2004-03-11 George G. Chase Nanofibers with modified optical properties
US20050104258A1 (en) * 2003-07-02 2005-05-19 Physical Sciences, Inc. Patterned electrospinning
EP1512777B1 (de) * 2003-08-23 2009-11-18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Mehrkomponentenfasern, insbesondere von Bikomponentenfasern
US7662332B2 (en) * 2003-10-01 2010-02-16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Electro-blowing technology for fabrication of fibrous articles and its applications of hyaluronan
JP4276962B2 (ja) * 2004-01-28 2009-06-10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積層繊維集合体の製造方法
DE602004026116D1 (de) * 2004-01-30 2010-04-29 Kim Hak Yong Von unten nach oben arbeitende elektrospinnvorrichtung
US20060135020A1 (en) * 2004-12-17 2006-06-22 Weinberg Mark G Flash spun web containing sub-micron filaments and process for forming same
US7585451B2 (en) * 2004-12-27 2009-09-0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oblowing web formation process
US8808608B2 (en) * 2004-12-27 2014-08-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oblowing web formation process
US20060137317A1 (en) * 2004-12-28 2006-06-29 Bryner Michael A Filtration media for filtering particulate material from gas streams
US7717975B2 (en) * 2005-02-16 2010-05-18 Donaldson Company, Inc. Reduced solidity web comprising fiber and fiber spacer or separation means
US20060200232A1 (en) * 2005-03-04 2006-09-07 Phaneuf Matthew D Nanofibrous materials as drug, protein, or genetic release vehicles
US7582247B2 (en) * 2005-08-17 2009-09-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oblowing fiber spinning process
JP4915102B2 (ja) * 2006-02-09 2012-04-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08095266A (ja) * 2006-10-12 2008-04-24 Hodai Lee ナノ素材を用いた複合繊維フィルター、ナノ素材を用いた複合繊維フィルターの製造装置及びナノ素材を用いた複合繊維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US7927540B2 (en) * 2007-03-05 2011-04-19 Bha Group,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filter media
CN101910492B (zh) * 2007-11-20 2012-01-04 陶氏康宁公司 制品及其制造方法
KR101056734B1 (ko) * 2008-06-20 2011-08-1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고밀도 슈퍼 커패시터의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US8608998B2 (en) * 2008-07-09 2013-12-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frared solvent stripping process
US20100041296A1 (en) * 2008-08-13 2010-02-18 Lopez Leonardo C Electroblowing of fibers from molecularly self-assembling materials
US9834874B2 (en) * 2009-08-07 2017-12-05 Pervormance International Gmbh Textile fabric
WO2011033975A1 (ja) * 2009-09-16 2011-03-24 株式会社クラレ 非水系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系電池、ならびに非水系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CN102668173B (zh) * 2009-11-03 2015-08-12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具有耐热性和高强度的超细纤维多孔隔板及其制造方法以及使用所述隔板的二次电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0905A1 (en) * 2002-03-26 2003-10-02 Nano Technics Co., Ltd. A manufacturing device and the method of preparing for the nanofibers via electro-blown spinning process
WO2004074559A1 (en) * 2003-02-24 2004-09-02 Hag-Yong Kim A process of preparing continuous filament composed of nano fiber
WO2005090653A1 (en) * 2004-03-23 2005-09-29 Hak-Yong Kim A bottom-up electrospinning devices, and nanofibers prepared b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523A (ko) 2009-09-10
BRPI0719501B8 (pt) 2018-02-27
CN101563485A (zh) 2009-10-21
WO2008082499A3 (en) 2009-01-22
CN101563485B (zh) 2011-07-06
DE602007010031D1 (de) 2010-12-02
WO2008082499A2 (en) 2008-07-10
ATE485406T1 (de) 2010-11-15
JP5377325B2 (ja) 2013-12-25
EP2094886B1 (en) 2010-10-20
JP2010513746A (ja) 2010-04-30
US20080157440A1 (en) 2008-07-03
BRPI0719501B1 (pt) 2018-01-09
EP2094886A2 (en) 2009-09-02
BRPI0719501A2 (pt) 2013-12-10
US8361365B2 (en) 201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7286B2 (ja) ナノ繊維ウエブ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EP1954373B1 (en) Coalescing filtration medium and process
KR20070047282A (ko) 개량된 일렉트로블로잉 웹 형성 방법
US20100024370A1 (en) Composite filter media
CN101838888A (zh) 静电纺间位芳纶纳米纤维的制备方法
KR101402976B1 (ko) 폴리올레핀 기재 상 폴리이미드를 전기방사한 후 무기물을 코팅한 이차전지용 다공성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1020840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ultrafine fiber
KR101468242B1 (ko) 다층 시트를 일렉트로블로잉하는 공정
CN110743249B (zh) 带锚点耐反吹纳米纤维复合滤材
US7592415B2 (en) Infrared solvent stripping process
US20080142737A1 (en) Microwave solvent stripping process
WO2008060424A2 (en) Solvent stripping process
KR101491994B1 (ko) 다공성 지지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기체 또는 액체 필터용 멤브레인
JPH07229048A (ja)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法
KR101118079B1 (ko) 나노섬유 웹의 제조방법
Repanas et al. MWCNT-doped Nylon electrospun fibers as materials for increasing damage tolerance of CFRPs in structural applications
KR20210124755A (ko) 서브마이크론섬유 멤브레인 및 그 제조 방법
KR101024091B1 (ko)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9720B1 (ko) 우수한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갖는 메쉬 타입의 나노섬유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RU261228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атериала на основе нановолокон из ар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лиимида
CN216223329U (zh) 纳米纤维滤材
US20210355606A1 (en) Efficient production of nanofiber structures
CN111516331A (zh) 一种静电纺纳米空气过滤材料的制备方法
KR101063821B1 (ko) 나노섬유 망상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2095310A (ja) フィルタ用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