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616B1 - 건조분말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건조분말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616B1
KR101466616B1 KR1020120113174A KR20120113174A KR101466616B1 KR 101466616 B1 KR101466616 B1 KR 101466616B1 KR 1020120113174 A KR1020120113174 A KR 1020120113174A KR 20120113174 A KR20120113174 A KR 20120113174A KR 101466616 B1 KR101466616 B1 KR 101466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ry powder
capsule
powder inhale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6935A (ko
Inventor
김용일
김경수
이덕규
김동호
박재현
우종수
Original Assignee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3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616B1/ko
Priority to PCT/KR2013/008985 priority patent/WO2014058208A1/en
Publication of KR20140046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61M11/003Particle size control by passing the aerosol trough sieves o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3Mouthpieces therefor retrac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41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with movabl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16Rotating swirling helical flow, e.g. by tangential inflows

Abstract

약리활성 성분이 유속의 변화에 의한 동적입자크기분포값에 변화가 거의 없으며, 폐 깊숙한 곳으로 약물 전달이 잘 되어 표적화가 우수한 건조분말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조분말 흡입장치는 캡슐 형태의 조성물이 내부에 장착되는 캡슐 수용부가 형성되는 본체; 본체에 연통되며, 환자가 흡입함으로써 캡슐의 조성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흡입부;를 포함하고, 본체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유속 저항값이 0.02
Figure 112014106289577-pat00041
/L/min 내지 0.030
Figure 112014106289577-pat00042
/L/min이 되도록 형성되는 공기 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조분말 흡입장치{Dry Powder Inhaler Device}
본 발명은 건조분말 흡입제형의 입자를 폐로 전달하기 위한 건조분말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 질환, 예를 들어 천식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치료를 위해, 다양한 약물들이 흡입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흡입제는 소량의 약리활성성분으로 목적하는 치료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투여되는 약리활성성분 중 일부만이 목표 부위에 도달하고, 약리활성성분이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다른 장기에 도달하여 부작용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약리활성성분이 목표 부위에 재현성 있게 표적화 되도록 하여 약효를 극대화하고, 약리활성성분이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기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되고 있다.
이러한, 흡입제의 효과적인 투여를 위해, 약물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기도에 투여하는 흡입 장치(inhaler)가 호흡기 질환 치료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정량 분무식 흡입기(Metered Dose Inhaler; MDI)가 1956년에 처음으로 승인된 이래 흡입기 시장의 80%를 선점할 정도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오존층 파괴와 지구 온난화와 같은 환경적인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최근에는 건조 분말 흡입기(Dry Powder Inhaler; DPI)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현재는 DPI 제형이 MDI 제형의 단점을 보완하는 단계에 있다. MDI는 추진체로 쓰일 수 있는 용매와 약리활성성분이 압축되어 있어 안정성이 저하되며, 분무 되어 나오는 속도가 빨라 약리활성성분이 인후부에 너무 빨리 도달을 하는 단점이 있는데 반해, DPI는 사용하기 쉽고, 고체 분말 입자들로만 이루어져 있어 안정성이 더 우수한 장점이 있다(Martin J Telko and Anthony J Hickey, Dry Powder Inhaler Formulation, Respiratory Care, September 2005, Vol 50, No. 9 참조).
그러나, DPI의 경우 흡입에 사용되는 흡입장치(device)에 따라 유효량 및 유효량 패턴이 달라지는 것을 발명 도중 관찰되었다. 이는, DPI를 사용하는 환자들마다 호기량이 다르기 때문에 흡입 장치 내의 유속이 달라지고, 또한 각 제조사마다 상품화한 흡입 장치의 모형이 다르기 때문에 흡입 장치 내의 압력강하 및 기체의 흐름 형태가 장치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호기량 변화에 따른 사용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폐로 전달이 잘되고, 유효량변화가 없는 흡입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
Dry Powder Inhaler Formulation, Respiratory Care, (2005), Vol 50, No. 9 (특허문헌 1) US 2003-0000523 (특허문헌 2) EP127003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기 편할 뿐 아니라, 유속변화에 따른 동적입자분포의 변화가 적으며 폐 깊숙한 곳으로 약물전달이 잘 되어 표적화가 우수한 건조분말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건조분말 흡입장치는 캡슐 형태의 조성물이 내부에 장착되는 캡슐 수용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통되며, 환자가 흡입함으로써 상기 캡슐의 조성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유속 저항값이 0.02
Figure 112014106289577-pat00013
/L/min 내지 0.03
Figure 112014106289577-pat00014
/L/min이 되도록 형성되는 공기 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분말 흡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캡슐 수용부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분말 흡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돌출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푸시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분말 흡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 버튼 어셈블리는, 상기 캡슐에 구멍을 형성하는 니들; 상기 니들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푸시 버튼; 상기 본체와 상기 푸시버튼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분말 흡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흡입부 사이에 그리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분말 흡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캡슐 수용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흡입 덕트;
상기 본체와 결합되도록 상기 흡입 덕트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분말 흡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는 사용하기 편할 뿐 아니라, 약리활성성분이 유속의 변화에 의한 동적입자 크기 분포 값에 변화가 거의 없으며, 폐 깊숙한 곳으로 약물전달이 잘 되어 표적화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의 본체와 흡입부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의 상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의 저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의 공기흡입구 너비를 보여주는 비교 도면,
도 9는 시험예 1의 살메테롤 동적입자분포시험 결과,
도 10은 시험예 1의 플루티카손 동적입자분포시험 결과,
도 11은 시험예 2의 살메테롤 동적입자분포시험 결과,
도 12는 시험예 2의 플루티카손 동적입자분포시험 결과.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약리활성성분들이 폐에 효과적으로 이송되어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각 활성성분의 입자가 미분화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관지계에 흡입되기 위한 최적 입자 크기는 0.1 μm 초과 내지 10 μm, 바람직하게는 0.1 μm 초과 내지 5 μm이다. 입자 크기가 0.1 μm 이하로 너무 작을 경우, 흡입 시 기관지에 침착되지 못하고 오히려 몸 밖으로 다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USP 34 <601> 'Aerosol, Nasal spray, Metered-dose inhaler and Dry powder inhaler'에 따르면 MDI 및 DPI 제형에 대해 다양한 기구(Apparatus 1~6)를 사용하여 동적입자크기분포(Aerodynamic Size Distribution)를 측정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예를 들어, USP 34 <601>의 Apparatus 3(Anderson Cascade Impactor)을 사용하면 스테이지(Stage) 1~5에 모이는 주성분이 대략적으로 0.1~5 μm의 동적입자크기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이 양을 정량한다면 흡입제의 사용 시 폐에 들어가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량을 유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영역에 해당하는 입자분포율은 흡입되기 위해 계량되어진 활성성분 함량의 10% 내지 30%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제형에 있어서 흡입장치의 선택은 약리학적 활성성분의 전달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일 뿐 아니라, 환자의 안전과 복약편의성 보장을 위해 중요하다. 이미 많은 종류의 건조분말흡입용 흡입장치가 시판되고 있지만 약리학적 활성물질의 전달 효율과 사용 편의성 등에서 만족할만한 제품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의 본체와 노즈피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1)는 조성물이 내장된 캡슐(6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캡슐 수용부(11)가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10)에 결합되는 흡입부(20)와, 본체(10)에 설치되어 본체(10)의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시버튼 어셈블리(30)를 포함한다.
캡슐(60)은 내부에 보유한 의약 내용물이 쉽게 이용될 수 있도록 관통형으로 개조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이다.
본체(10)는 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캡슐(6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향이 개방된 형태의 캡슐 수용부(11)가 형성된다.
또, 본체(10)의 측면에는 본체(10)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시버튼 어셈블리(3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홀(15)이 형성된다.
설치홀(15)은 본체(10)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20)는 본체(10)의 캡슐 수용부(11)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흡입 덕트(22)와, 흡입 덕트(22)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21)를 포함한다.
흡입부(20)는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본체(10)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플랜지(21)의 하부에는 돌출되는 페그(24)와, 페그(24)의 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크로스 투스(23)가 형성된다.
본체(10)에는 흡입부(20)의 페그(24)와 크로스 투스(23)에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홀(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홀(12)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크로스 투스(23)와 결합될 수 있도록 크로스 투스(23)에 대응되는 형상의 종방향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홀(12)에 결합되는 페그(24)가 체결홀(12)의 바닥에 도달하면, 체결홀(12)에서 페그(24)를 회전시켜 본체(10)에 대해 흡입부(20)를 회전시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와 흡입부(20)의 결합은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함몰 형성된 래칭 오목부(13)의 내부에 돌출되는 릿지(14)와, 흡입부(20) 플랜지(21)에 형성되는 후크에 의해 폐쇄 상태로 잠금 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와 흡입부(20)의 잠금 구조는 본 실시예에서 릿지(14)와 후크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용수철식 잠금 수단으로 할 수 있다.
본체(10)의 설치홀(15)에 설치되는 푸시버튼 어셈블리(30)는 캡슐(60)에 구멍을 형성하는 니들(33)과, 니들(33)이 설치되며 본체(10)의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버튼(31)과, 본체(10)와 푸시버튼(31)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부재(32)는 코일 스프링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니들(33)과 푸시버튼(31), 탄성부재(32)는 같은 축 선상에 배치되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니들(33)은 푸시버튼(31)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본체(10)의 설치홀(15)에는 니들(33)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홀(16a)이 형성된 가이드(16)가 형성된다.
따라서, 푸시버튼(31)의 이동시 본체(10) 가이드(16)의 가이드홀(16a)을 따라 니들(33)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니들(33)은 피하주사용 니들과 유사하고, 캡슐(60)의 코팅물 및 조성물의 관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베벨 팁(beveled tip)이 형성될 수 있다.
피하주사용 니들은 관통에 대한 저항성이 작고 아주 정확한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캡슐(60)의 손상 없이 비교적 큰 직경을 갖는 니들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아주 간단한 관통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작은 수, 예를 들어 2 개의 니들 사용으로, 관통 단면적이 동일하고 니들과 캡슐 사이의 접촉면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마찰 및 이전의 흡입기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푸시버튼 어셈블리(30)는 본체(10)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외부의 공기가 본체(1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기 유입부(40)가 형성된다.
공기 유입부(40)는 본체(10)의 캡슐 수용부(11)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부(20)에 의해 흡입이 이루어지면 공기 유입부(40)로부터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 흐름이 발생하게 되고, 캡슐 수용부(11)에 공기가 유입되어 캡슐(60)의 조성물과 혼합되어, 흡입부(20)의 흡입 덕트(22)를 통과해 환자가 제품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흡입부(20)에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그리드(50)가 설치된다.
그리드(50)는 본체(10)와 흡입부(20)의 사이에 배치되며, 흡입 덕트(22)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건조분말 흡입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체(10)로부터 흡입부(20)를 개방한 상태에서, 본체(10)의 캡슐 수용부(11)에 캡슐(60)을 삽입하고, 흡입부(20)를 회전시켜 본체(10)에 결합한다.
본체(10)의 푸시버튼(31)을 누르면, 푸시버튼(31)이 본체(10)의 내측 중심 방향(도 7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고, 푸시버튼(31)에 고정된 니들(33)은 캡슐(60)을 관통하여 그에 따라 캡슐(60) 내부의 조성물, 즉 본 발명의 건조분말은 캡슐 수용부(11)에 수용되게 된다.
환자가 흡입부(20)를 통해 흡입하면, 본체(10)의 공기 유입부(4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본체(1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유입되는 공기는 본체(10) 내부에서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고, 이는 캡슐 수용부(11)의 조성물(건조분말)을 혼합하여, 그리드(50) 및 흡입 덕트(22)를 통해 환자에게 흡입되게 된다.
이렇게, 건조분말 흡입장치(1)에서 약리활성성분을 캡슐(60)에서 기도로 빨아들이는 추진체는 환자의 흡입력이다. 모든 건조분말 흡입장치는 환자가 흡입시에 공기의 이동으로 인하여 생기는 압력강하 값을 가지게 되는데 공기의 흐름에 의해 변하는 압력강하 값이 흡입 제형의 적절한 유효량 평가를 위한 동적입자크기분포 및 단위 전달량 함량균일성 시험 등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실제로 유속저항값((AR, Airflow resistance, KPa/Lmin) 은 장치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미국약전에서는 흡입 유속을 분당 0 L부터 100 L까지 조절할 수 있으며, 압력강하 값이 4 kPa로 유지될 때의 유속(Qout)과 T(초)=240/Qout 식에서 얻어진 T의 값을 흡입 시간으로 하여 흡입제형에 대한 제품시험을 평가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환자마다 유사한 약리학적 활성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는 유속의 변화에 따른 동적입자크기분포값의 변화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1)는 0.02
Figure 112014106289577-pat00015
/L/min 내지 0.030
Figure 112014106289577-pat00016
/L/min인 유속저항값을 가짐으로써 약리활성성분이 유속의 변화에 의한 동적입자크기분포값에 변화가 거의 없을 뿐 아니라, 폐 깊숙한 곳으로의 전달율이 다른 건조분말 흡입장치에 비해 우수한 효과가 있다.
건조분말 흡입장치(1)에서 유속저항값은 압력저하(P, kPa)의 제곱근에 비례하고, 유속(Φ, L/min)에 반비례한다.(J.P de Koning et al, Effect of an external resistance to airflow on the inspiratory flow curve,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234 (2002) 257~266 참조).
따라서, 미국약전의 단위전달량당 함량균일성 시험(Delivered-Dose Uniformity, DUSA) 방법을 사용하여 흡입장치별 유속변화에 따른 압력저하값을 측정하면 흡입장치 고유의 유속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속저항값이 0.02
Figure 112014106289577-pat00017
/L/min 내지 0.030
Figure 112014106289577-pat00018
/L/min인 건조분말 흡입장치(1)를 사용하면, USP 34 <601>의 Apparatus 3(Anderson Cascade Impactor)의 Stage 3 내지 7영역에 약리학적활성성분의 전달이 잘 이루어져 폐의 깊은 곳인 기관지 및 폐포로의 약리학적활성물질의 전달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와 같이 건조분말 흡입장치(1)의 유속저항값이 0.02
Figure 112014106289577-pat00019
/L/min 내지 0.030
Figure 112014106289577-pat00020
/L/min 영역에 해당할 경우, 건조분말 흡입장치(1)는 적절한 공기저항을 가지게 되어 건조분말 흡입장치(1)를 사용하는 환자가 깊은 흡입을 통한 폐의 완벽한 팽창을 통해 약리활성물질이 입이나 기관지상부영역에 침착하지 않고 폐 깊숙한 곳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건조분말 흡입장치(1)의 유속저항값을 변화시키기 위하여는 본체(10)의 공기 유입부(40) 너비(w)를 조절할 수 있다.
본체(10)의 공기 유입부(40) 너비(w)를 1.5mm 내지 3.5mm, 바람직하게는 1.5mm 내지 3mm로 조절할 경우 유속저항값이 0.02
Figure 112014106289577-pat00021
/L/min 내지 0.030
Figure 112014106289577-pat00022
/L/min에 들어오게 되며, 이때의 동적입자크기분포값은 폐로의 전달효율이 최대화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건조분말 흡입장치(1)를 사용할 경우 흡입제형중의 약리활성성분이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기관지 및 폐포로 충분히 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유속변화에 의한 동적입자크기분포의 변화가 적어 환자가 안전하게 흡입제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건조분말 흡입장치(1)에 대한 효과를 시험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시험예 1 : 유속저항값 측정 ( Airflow resistance )
도 8 에서 보는 것과 같이 RS01 Model 7 Inhaler(이하, 흡입장치(D))의 공기 유입구(40')의 너비(w)를 w1=1.3mm, w2= 1.8mm, w3=2.6mm, w4=4.0mm 으로 다양하게 형성하여 각각의 유속저항값을 측정하였다. 단위전달함량 시험장치인 USP 34 <601>의 Apparatus 1을 사용하여 28.3L/min, 60L/min, 75L/min, 90L/min의 네 가지 유속조건에서 흡입장치(D)의 압력저하값(P, kPa)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측정된 압력저하값을 아래 계산법을 참조하여 흡입구 너비에 따른 공기저항값을 측정하였다(J. Aerosol Med. 6 (1993) 99-100).
유속 (L/min) 28.3 L 28.3L 60L 75L 90L 평균
공기유입구 너비(mm)
1.3mm
압력저하값
(kPa)
1.15 5.22 6.89 9.45 -
유속저항값
(
Figure 112014106289577-pat00023
/L/min
0.036 0.038 0.035 0.034 0.036
1.8mm 압력저하값
(kPa)
0.78 3.93 4.84 6.61 -
유속저항값
(
Figure 112014106289577-pat00024
/L/min
0.031 0.033 0.029 0.029 0.031
2.6mm 압력저하값
(kPa)
0.41 2.07 3.00 4.14 -
유속저항값
(
Figure 112014106289577-pat00025
/L/min
0.023 0.024 0.023 0.023 0.023
4.0mm 압력저하값
(kPa)
0.28 1.6 1.94 2.62 -
유속저항값
(
Figure 112014106289577-pat00026
/L/min
0.019 0.021 0.019 0.018 0.019
[표 1] 은 공기 흡입구의 너비에 따른 유속저항성값을 나타낸 것으로, 표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동일한 흡입장치(D)를 사용하더라도 공기유입구의 너비(w1~w4)를 다양하게 할 경우 유속저항값이 다양하게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 동적입자크기분포 ( Aerodynamic Size Distribution ) 측정 I
유당 2 mg 해당량을 혼합기에 넣어 혼합기를 도포한 다음, 하기 표 2의 조성의 비율에 따라 살메테롤 지나포산염,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및 유당 2 mg 해당량을 배산한 후 혼합기에 넣고, 나머지 유당을 혼합기에 볼과 함께 넣어 20분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2시간 이상 안정화시킨 다음 캡슐 충전기를 사용하여 투명한 3호 캡슐에 충전하였다.
성분 (mg)
살메테롤 지나포산염 0.0725 (살메테롤로서 0.05)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0.2500
유당 20.0000
합계 20.3225
상기 표2의 조성물을 공기 유입구(40')의 너비가 1.3mm 내지 4.0mm(w1,w2,w3,w4)로 다양하게 제작된 흡입장치(D)로 하여 USP 34 <601> Apparatus 3(Anderson Cascade Impactor)을 사용하여 유속이 각각 28.3L/min, 60L/min, 75L/min인 조건에서 동적입자크기분포(particle size distribution)를 시험한 후 스테이지(stage) 1에서부터 5까지의 약리활성성분의 함량을 아래의 분석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를 도 9 및 10에 나타내었다.
- 살메테롤 및 플루티카손의 분석조건 -
컬럼 : 안지름 약 4.6 mm 및 길이 15 cm인 스테인레스관에 입경 5 μm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프용 옥타데실실릴화한 실리카겔을 충전한 컬럼
이동상 : 메탄올 : 아세토니트릴 : 물 (50 : 16 : 34, v/v/v)의 혼합액에 초산암모늄을 0.6%(w/v) 첨가한 용액
검출기 : 자외부 흡광 광도계 (측정파장 228 nm)
온도 : 40℃
유속 : 1.0 mL/분
주입량 : 100 μL
도 9 및 10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40')의 너비가 1.8mm 내지 2.6mm(w2,w3)인 경우에는 모든 유속범위에서 유효량에 해당하는 스테이지 1 내지 5 범위의 함량 결과가 모두 살메테롤의 경우 10ug내외, 플루티카손의 경우 60ug내외로 일정하게 측정되었으나, 유속저항값이 0.02
Figure 112014106289577-pat00027
/L/min 내지 0.030
Figure 112014106289577-pat00028
/L/min를 벗어나는 공기 유입구(40')의 너비가 1.3mm 및 4.0mm(w1,w4) 샘플의 경우 유속변화에 의한 유효량변화값의 변화가 컸으며, 유속저항값이 0.02
Figure 112014106289577-pat00029
/L/min 내지 0.030
Figure 112014106289577-pat00030
/L/min이내의 흡입장치(D)에 비해 유효량값이 작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속저항값이 0.02
Figure 112014106289577-pat00031
/L/min 내지 0.030
Figure 112014106289577-pat00032
/L/min의 경우 흡입속도의 변화에 대한 동적입자분포의 변화가 적고, 폐로 흡입되는 약리학적활성물질의 유효량도 최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 동적입자크기분포 ( Aerodynamic Size Distribution ) 측정 II
상기 시험예 2의 표2의 조성물을 공기 유입구(40')의 너비가 2.6mm(w2)인 흡입장치(D)로 하여 USP 34 <601> Apparatus 3(Anderson Cascade Impactor)을 사용하여 유속이 60L/min인 조건에서 동적입자크기분포(particle size distribution)를 시험한 후 스테이지(stage) 0에서부터 7까지의 약리활성성분의 함량을 시험예 2의 분석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를 도 11 및 12에 나타내었다. 비교샘플로서 살메테롤과 플루티카손의 기시판중인 흡입제형 세레타이드디스커스 250(GSK)를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도 11 및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유속 저항값이 0.02
Figure 112014106289577-pat00033
/L/min 내지 0.030
Figure 112014106289577-pat00034
/L/min인 건조분말 흡입장치(1)를 사용할 경우 4 스테이지 이후의 영역에서 기시판품인 세레타이드에 비해 동적입자분포값이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의 유속 저항값이 0.02
Figure 112014106289577-pat00035
/L/min 내지 0.030
Figure 112014106289577-pat00036
/L/min인 건조분말 흡입장치(1)를 사용할 경우 폐 깊은곳으로 약리학적활성 성분이 더 높은 비율로 들어가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속 저항값이 0.02
Figure 112014106289577-pat00037
/L/min 내지 0.030
Figure 112014106289577-pat00038
/L/min인 건조분말 흡입장치(1)를 사용할 경우 목표 부위인 폐로 약리활성성분이 충분히 도달할 수 있으며, 유속변화에 의한 동적입자크기분포의 변화가 작아 환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1 : 건조분말 흡입장치 10 : 본체
11 : 캡슐 수용부 20 : 흡입부
22 : 흡입 덕트 30 : 푸시버튼 어셈블리
31 : 푸시버튼 32 : 탄성부재
33 : 니들 40 : 공기 유입부
50 : 그리드 60 : 캡슐

Claims (6)

  1. 조성물이 내장된 캡슐이 수용되는 캡슐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환자의 흡입 동작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부; 및
    상기 본체에 연통되며,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 및 상기 조성물을 환자에게 안내하는 흡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흡입부의 상기 본체 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페그와, 상기 페그의 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크로스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페그 및 상기 크로스 투스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는 상기 페그 및 상기 크로스 투스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여 상기 본체의 상기 캡슐 수용부를 개방 및 폐쇄 가능하고,
    상기 본체 내부에서의 유속저항값은 0.02
    Figure 112014106289577-pat00039
    /L/min 내지 0.027
    Figure 112014106289577-pat00040
    /L/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분말 흡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호흡기 질환의 치료를 위해, 살메테롤 지나포산염 및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분말 흡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살메테롤 지나포산염 및 상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는 상기 캡슐에 각각 0.0725 mg 및 0.250 mg의 중량으로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분말 흡입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가 상기 캡슐 수용부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본체에 함몰 형성된 래칭 오목부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릿지 및 상기 흡입부에 형성된 후크의 체결에 의해 상기 본체 및 상기 흡입부가 서로에 대하여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분말 흡입장치.

  6. 삭제
KR1020120113174A 2012-10-11 2012-10-11 건조분말 흡입장치 KR101466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174A KR101466616B1 (ko) 2012-10-11 2012-10-11 건조분말 흡입장치
PCT/KR2013/008985 WO2014058208A1 (en) 2012-10-11 2013-10-08 Dry powder inhal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174A KR101466616B1 (ko) 2012-10-11 2012-10-11 건조분말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935A KR20140046935A (ko) 2014-04-21
KR101466616B1 true KR101466616B1 (ko) 2014-11-28

Family

ID=5047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174A KR101466616B1 (ko) 2012-10-11 2012-10-11 건조분말 흡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6616B1 (ko)
WO (1) WO20140582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34586B1 (pl) * 2017-08-31 2020-03-31 Pulinno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Inhalator pojedynczej dawki suchego proszku
JP2020536123A (ja) * 2017-10-02 2020-12-10 ボード・オブ・リージエンツ,ザ・ユニバーシテイ・オブ・テキサス・システム クロファジミンの吸入可能な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10828432B1 (en) 2019-06-24 2020-11-10 De Motu Cordis Pty Ltd Respiratory delivery device and method
US11717621B2 (en) 2019-06-24 2023-08-08 De Motu Cordis Pty Ltd Automatic dispenser for respiratory delivery device
US11793951B2 (en) 2019-06-24 2023-10-24 De Motu Cordis Pty Ltd Automatic dispenser for respiratory delivery device and method
WO2021119055A1 (en) * 2019-12-09 2021-06-17 Genentech, Inc. Inhaler devices, medication formulations used therewith and methods of manufa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704A (ko) * 2002-04-09 2004-12-24 베링거 잉겔하임 파르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티오트로퓸의 흡입성 분말을 포함하는 흡입 키트
JP2007517537A (ja) 2003-06-13 2007-07-05 アドバンスト インハレーション リサーチ,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吸入用低投薬量医薬粉末
JP2009148586A (ja) 1996-04-29 2009-07-09 Quadrant Technologies Ltd 乾燥粉末薬剤の吸入システム
WO2011020554A1 (de) * 2009-08-18 2011-02-24 Gamptec Gmbh Inhalat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inhalation eines wirkstoffs aus einer kapse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0970A1 (en) * 2010-03-12 2011-09-15 Ranbaxy Laboratories Limited Single dose dry powder inhale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8586A (ja) 1996-04-29 2009-07-09 Quadrant Technologies Ltd 乾燥粉末薬剤の吸入システム
KR20040108704A (ko) * 2002-04-09 2004-12-24 베링거 잉겔하임 파르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티오트로퓸의 흡입성 분말을 포함하는 흡입 키트
JP2007517537A (ja) 2003-06-13 2007-07-05 アドバンスト インハレーション リサーチ,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吸入用低投薬量医薬粉末
WO2011020554A1 (de) * 2009-08-18 2011-02-24 Gamptec Gmbh Inhalat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inhalation eines wirkstoffs aus einer kap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935A (ko) 2014-04-21
WO2014058208A1 (en) 201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3052B2 (en) Dry powder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s
KR101466616B1 (ko) 건조분말 흡입장치
KR102428026B1 (ko) 니코틴 분말 흡입기
AU2017228051B2 (en) Nicotine formulation and aerosols
KR101629119B1 (ko) 티오트로피움 함유 조성물을 포함하는 흡입기
DE60131265D1 (de) Pharmazeutische formulierungen für trockenpulverinhalatoren
RU27570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ведения ингаляционных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в виде сухого порошка с дозирующим механизмом сопротивления через сменные насадки
Ariyananda et al. Aerosol delivery systems for bronchial asthma
US20020020412A1 (en) Jet nebulizer assembly for home administration of drugs in aerosols
KR101992171B1 (ko) 건조분말 흡입기
CN111801141A (zh) 通过精密鼻装置的左旋多巴粉末的鼻内递送
KR101728116B1 (ko) 티오트로피움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흡입용 건조분말 조성물
CN109771397B (zh) 通过乳糖微粉预沉积改良肺部吸入用药的设备集成及方法
JP2022504924A (ja) 人工呼吸器を装着している患者に薬物を投与するための装置
CN112955134A (zh) 用于治疗帕金森氏病的左旋多巴和多巴脱羧酶抑制剂的呼吸道递送
CN101548943A (zh) 一种含福莫特罗的吸入喷雾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