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971B1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971B1
KR101464971B1 KR1020130032672A KR20130032672A KR101464971B1 KR 101464971 B1 KR101464971 B1 KR 101464971B1 KR 1020130032672 A KR1020130032672 A KR 1020130032672A KR 20130032672 A KR20130032672 A KR 20130032672A KR 101464971 B1 KR101464971 B1 KR 101464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beam
mounting portion
stay
rear end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6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7850A (en
Inventor
하상진
이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30032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971B1/en
Publication of KR20140117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8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9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21D39/028Reinforcing the connection otherwise than by deforming, e.g.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2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범퍼빔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은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단부 중, 일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범퍼빔; 상기 범퍼빔의 후방 타단부에 선단이 장착되며, 후단에 장착되는 플랜지를 통하여 상기 범퍼빔을 차체에 고정하는 스테이; 상기 스테이에 대향하여 상기 범퍼빔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는 후방에 선단이 장착되며, 후단에 장착되는 플랜지를 통하여 상기 범퍼빔을 차체에 연결하는 스테이 부재; 및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상기 스테이 부재에 장착되는 토잉 파이프를 포함한다.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is disclosed.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mper beam disposed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and having a through hole at one end thereof; A stay mounted on a rear end of the rear end of the bumper beam and fixing the bumper beam to the vehicle body through a flange mounted on the rear end; A stay member mounted at a rear en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umper beam so as to face the stay and connecting the bumper beam to the vehicle body through a flange mounted at the rear end; And a toe pipe mounted to the stay member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Description

차량용 범퍼빔 유닛{BUMPER BEAM UNIT FOR VEHICLE}[0001] DESCRIPTION [0002]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범퍼빔과 차체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스테이 부재에 토잉 파이프를 구비하도록 하여 토잉 파이프가 범퍼빔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보행자 충돌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y member for connecting a bumper beam and a front side member of a vehicle body to a towing pipe so as to prevent the towing pipe from protruding outside the bumper beam,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which improves pedestrian collision performance.

일반적으로 차량에서의 범퍼는 자동차가 다른 자동차나 고정체와의 충돌 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전, 후 단부의 소정 부위에 배치되는 완충유닛이다.Generally, a bumper in a vehicle is designed to absorb a shock of a vehicle when it collides with another automobile or a fixed body so as to secure passengers' safety. At the same time, Is a buffer unit to be disposed.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범퍼(100)는 차량의 전, 후방에서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빔(101)의 후방 양측에 스테이(103)가 장착되어 차체 측 사이드 멤버(111)에 장착되는 범퍼빔 유닛(105)과, 상기 범퍼빔(101)의 전방에 배치되어 충격력을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107), 그리고 상기 범퍼빔(101)과 에너지 업소버(107)를 감싸는 범퍼 커버(109)로 이루어진다.1, the bumper 100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bumper beam 101 arrang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ehicle, and the stay 103 is mounted on the vehicle side member 111 An energy absorber 107 disposed in front of the bumper beam 101 and absorbing an impact force and a bumper cover 109 surrounding the bumper beam 101 and the energy absorber 107 ).

여기서, 상기한 종래의 범퍼빔 유닛(105)은 상기 범퍼빔(101)의 후방 양측에 스테이(103)가 별도의 플랜지를 통하여 용접(111)되고, 상기 스테이(103)를 통하여 차체 측의 사이드 멤버(113)에 바로 조립된다.In the conventional bumper beam unit 105 described above, the stays 103 are welded (111) to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bumper beam 101 through separate flanges, and through the stays 103, Assembled directly to the member 113.

이와 같이 차체에 조립되는 범퍼빔 유닛(105)에서 상기 범퍼빔(105)은 최근 차량의 경량화 추세에 맞추어 알루미늄 소재로 압출 성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적용하고 있다.In the bumper beam unit 105 assembled to the vehicle body, the bumper beam 105 is integrally formed by extrusion molding of aluminum material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trend of lightening the vehicle.

또한, 범퍼빔 유닛(105)에는 차량의 구난 또는 견인 시, 케이블을 차체에 연결하거나, 트레일러 혹은 캐리어 등을 연결하여 견인하기 위하여 범퍼빔(101)에 미도시된 토잉 훅을 선택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토잉 파이프가 장착되고 있는 실정이다.The bumper beam unit 105 is also provided with a bumper beam unit 105 for selectively mounting a towing hook (not shown) to the bumper beam 101 for towing or towing a vehicle, connecting a cable to a vehicle body, A separate towing pipe is mounted.

종래의 토잉 파이프는 상기 범퍼빔(101)의 양측 중 일측 사이드에 홀을 가공하고, 이 홀에 삽입된 상태로, 용접 등을 통해 범퍼빔(101)의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된다.The conventional toe pipe is mounted on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bumper beam 101 so as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front side of the bumper beam 101 through welding or the lik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hol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범퍼빔 유닛(105)은 범퍼빔(101)의 후방에 스테이(103)를 용접을 통해 장착해야만 하고, 토잉 파이프를 범퍼빔(101)의 일측 사이드에 홀을 가공한 후, 장착해야만 하는 바, 범퍼빔(101)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강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충돌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umper beam unit 105 described above, the stay 103 must be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bumper beam 101 by welding, and the toe pipe is formed by machining the hole on one side of the bumper beam 101 The bumper beam 101 can not maintain uniform stiffness as a whole, and the collisio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또한, 토잉 파이프가 범퍼빔(101)의 전방으로 돌출 됨에 따라, 범퍼빔(101)과 범퍼 커버(109) 사이의 갭 확보가 어렵고, 돌출된 토잉 파이프의 길이만큼 범퍼빔(101)을 후방으로 위치시키기에도 설계상의 제약이 발생하며, 보행자 충돌 성능에 불리한 단점도 있다.It is also difficult to secure a gap between the bumper beam 101 and the bumper cover 109 as the towing pipe protrudes forward of the bumper beam 101 and the bumper beam 101 is moved backward There is also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sadvantageous to the collision performance of the pedestrian.

또한, 범퍼빔(101)의 외측으로 돌출된 토잉 파이프를 용접할 경우에는 용가재가 토잉 파이프의 내부에 융착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토잉 파이프에 토잉 훅이 체결되지 못하는 등의 품질불량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the toe pipe protruded outside of the bumper beam 101 is weld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iller material is welded to the inside of the toe pipe. Thus, the quality of the toe pipe can not be secured And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범퍼빔과 차체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스테이 부재에 토잉 파이프를 함께 구비함으로써, 토잉 파이프가 범퍼빔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해 보행자 충돌 성능을 향상시키고, 범퍼빔의 설계 자유도를 확보하는 동시에, 스테이 부재에 안정적으로 토잉 파이프를 장착하여 토잉 파이프의 품질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y member for connecting a bumper beam and a front side member of a vehicle body together with a toe pip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llision performance of the pedestrian by preventing the bumper beam from protruding to the outside, to secure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of the bumper beam, and to stably install the toe pipe on the stay member, Bumper beam uni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은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단부 중, 일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범퍼빔; 상기 범퍼빔의 후방 타단부에 선단이 장착되며, 후단에 장착되는 플랜지를 통하여 상기 범퍼빔을 차체에 고정하는 스테이; 상기 스테이에 대향하여 상기 범퍼빔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는 후방에 선단이 장착되며, 후단에 장착되는 플랜지를 통하여 상기 범퍼빔을 차체에 연결하는 스테이 부재; 및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상기 스테이 부재에 장착되는 토잉 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스테이 부재는 상, 하부 면과 차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 측을 향하는 일면이 각각 폐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상호 대향하는 각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차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의 반대측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된 상태로, 상기 각 지지부를 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토잉 파이프가 장착되는 장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mper beam disposed at a vehicle width direction and having a through hole at one end thereof; A stay mounted on a rear end of the rear end of the bumper beam and fixing the bumper beam to the vehicle body through a flange mounted on the rear end; A stay member mounted at a rear en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umper beam so as to face the stay and connecting the bumper beam to the vehicle body through a flange mounted at the rear end; And a toe pipe attached to the stay member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wherein the stay member has a body portion with one side facing the stay side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he vehicl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A support portion formed by interconnecting mutually opposite corner portions in the body portion; And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toe pipe is mounted, the through hole being formed through the respective supporting portions in a state th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facing the opposite side of the stay is open with respect to the vehicle width direction.

삭제delete

상기 장착부는 단면의 형상이 삼각 형상을 갖는 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groove having a triangular shape in cross section.

상기 토잉 파이프는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홀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장착부에 대응하여 단면이 삼각 형상을 갖는 삼각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oe pipe may be formed as a triangular block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the mounting hole being integral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상기 장착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 하부 일측에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돌기가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may have a locking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상기 토잉 파이프는 상기 각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일면과 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각 걸림돌기가 각각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toe pipe may be formed with a latching groove in which one of the latching protrusions and the other of the latching protrusions are respectively fitted to the one side of the towing pi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토잉 파이프는 상기 장착부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삽입되거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삽입될 경우, 상기 각 걸림돌기가 상기 각 걸림홈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장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상기 장착부에 고정될 수 있다.Wherein when the toe pipe is insert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mounting portion or insert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the respective locking protrusions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locking grooves, respectively, And can be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through welding in a positioned state.

몸체부는 각 모서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so that each corner portion is rounded.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착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대향하는 각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몸체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The supporting portion may form the mounting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opposite corners in the body portion may be interconnecte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body portion.

상기 스테이 부재는 압출 성형을 통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장착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ay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ortio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through extrusion molding.

상기 범퍼빔은 압출 성형을 통해 제작되며, 양단부가 일정 곡률을 갖도록 벤딩 성형될 수 있다.The bumper beam is manufactured through extrusion molding, and the bumper beam can be bent so that both ends have a certain curvatur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의하면, 범퍼빔과 차체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스테이 부재에 토잉 파이프를 함께 구비함으로써, 토잉 파이프가 범퍼빔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범퍼빔과 범퍼 커버 사이에 충분한 갭을 해 보행자 충돌 성능을 향상시키고, 범퍼빔의 설계 자유도를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ay member for connecting the bumper beam and the front side member of the vehicle body together is provided with a toe pipe, Thereby providing a sufficient gap between the bumper beam and the bumper cover to improve the collision performance of the pedestrian and ensure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bumper beam.

또한, 스테이 부재에 안정적으로 토잉 파이프를 장착함으로써, 용접 작업 시, 용융풀이나 용가재 등이 토잉 파이프의 내부로 흘러 들어가 융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토잉 파이프의 품질불량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stably mounting the toe pipe on the stay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elting pool or the filler material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toe pipe during the welding operation, thereby preventing the faulty quality of the toe pip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범퍼빔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적용되는 스테이와 토잉 파이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적용되는 스테이와 토잉 파이프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automotive bumper beam uni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of a stay and a toe pipe applied to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state of a stay and a toe pipe applied to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의 사시도 및 측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적용되는 스테이와 토잉 파이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적용되는 스테이와 토잉 파이프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and 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tay and a towing pipe are applied to a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a stay and a towing pipe applied to a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1)은 범퍼빔)과 차체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미도시)를 연결하는 스테이 부재(10)에 토잉 파이프(20)를 함께 구비함으로써, 토잉 파이프(20)가 범퍼빔(3)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해 보행자 충돌 성능을 향상시키고, 범퍼빔(3)의 설계 자유도를 확보하는 동시에, 스테이 부재(10)에 안정적으로 토잉 파이프(20)를 장착하여 토잉 파이프(20)의 품질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bumper beam unit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wing pipe 20 together with a stay member 10 connecting a front side member (not shown) of a vehicle body with a bumper bea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oe pipe 20 from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bumper beam 3 to improve the collision performance of the pedestrian and ensure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bumper beam 3, The pipe 20 may be mounted to prevent the quality of the toe pipe 20 from being incurr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1)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범퍼빔(3), 스테이(7), 스테이 부재(10), 및 토잉 파이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o 4, the bumper beam unit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mper beam 3, a stay 7, a stay member 10, (20).

먼저, 상기 범퍼빔(3)은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단부 중, 일단부에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여 미도시된 토잉 훅이 삽입되는 관통홀(5)이 일체로 형성된다.First, the bumper beam 3 is arrang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bumper beam 3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thereof with a through hole 5 through which the toe hook is insert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이러한 범퍼빔(3)은 압출 성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양단부가 일정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도록 벤딩 성형될 수 있다.The bumper beam 3 is integrally formed through extrusion molding and can be bent and formed so that both ends are rounded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상기 스테이(7)는 상기 범퍼빔(3)의 후방 타단부에 선단이 장착되며, 후단에 장착되는 플랜지(F)를 통하여 상기 범퍼빔(3)의 일측 단부를 차체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미도시)에 고정하게 된다.The stay 7 is mounted at the rear end of the rear end of the bumper beam 3 and has one end of the bumper beam 3 connected to the front side member of the vehicle body through a flange F mounted at the rear end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 부재(10)는 상기 스테이(7)에 대향하여 상기 범퍼빔(3)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5)에 대응하는 후방에 선단이 장착되며, 후단에 장착되는 플랜지(F)를 통하여 상기 범퍼빔(3)의 타측 단부를 차체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미도시)에 연결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ay member 10 is mounted at the rear en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5 formed in the bumper beam 3 so as to face the stay 7, and a flange F of the bumper beam 3 to the front side member (not shown) of the vehicle body.

그리고 상기 토잉 파이프(20)는 상기 관통홀(5)에 대응하여 상기 스테이 부재(10)에 장착되며, 차량의 구난 또는 견인 시, 토잉 훅(미도시)이 장착된다.The towing pipe 20 is mounted on the stay member 10 in correspondence with the through hole 5, and a towing hook (not shown) is mounted when the vehicle is recovered or towed.

여기서, 상기 스테이 부재(10)는 도 5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1), 지지부(13), 및 장착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5 and 6, the stay member 10 includes a body portion 11, a support portion 13, and a mounting portion 15. As shown in FIG.

먼저, 상기 몸체부(11)는 상, 하부 면과 차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7) 측을 향하는 일면이 각각 폐쇄된다.Firs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1 facing the stay 7 side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he vehicle width direction.

이러한 몸체부(11)는 사각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모서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1 may have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each corner portion may be round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13)는 상기 몸체부(11)의 내부에서 상호 대향하는 각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여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13 is formed by mutually connecting the corners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body portion 11.

그리고 상기 장착부(15)는 상기 몸체부(11)에서 차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7)의 반대측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된 상태로, 상기 각 지지부(13)를 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토잉 파이프(20)가 장착된다.The mounting portion 15 is formed through the supporting portions 13 with one side facing the opposite side of the stay 7 open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n the body portion 11, 20 are mounted.

이러한 장착부(15)는 상기 각 지지부(13)가 상기 몸체부(11)의 내부에서 상호 교차됨으로써 단면의 형상이 삼각 형상을 갖는 홈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15 may be formed as a groove having a triangular shape in cross section by mutually intersecting the supporting portions 13 inside the body portion 11. [

한편, 상기 토잉 파이프(20)는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홀(21)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15)에 삽입되도록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장착부(15)에 대응하여 단면이 삼각 형상을 갖는 삼각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다.A mounting hole 21 is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e pipe 20. The mounting hole 15 has a triang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15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15,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지지부(13)는 상기 장착부(15)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몸체부(11)의 내부에서 대향하는 각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몸체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Here, the support part 13 may form the mounting part 15, and at the same time, the opposite corners inside the body part 11 may be interconnecte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body part.

또한, 상기 장착부(15)는 상기 지지부(13)의 상, 하부 일측에 상기 몸체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돌기(17)가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15 may have protruding protrusions 17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1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1.

이러한 각 걸림돌기(17)에 대응하여 상기 토잉 파이프(20)는 상기 각 걸림돌기(17)에 대응하는 일면과 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각 걸림돌기(17)가 각각 끼워지는 걸림홈(23)이 형성될 수 있다.The towing pipe 20 is provided with a hooking protrusion 17 on one sid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ocking protrusions 17 and on one side of the other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ocking protrusions 17, (23) may be formed.

여기서, 상기 토잉 파이프(20)는 상기 장착부(15)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삽입되거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삽입될 경우, 상기 각 걸림돌기(17)가 상기 각 걸림홈(23)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장착부(15)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상기 장착부(15)에 고정될 수 있다.Here, when the toe pipe 20 is insert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mounting portion 15 or when it is insert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the respective locking projections 17 ar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engagement grooves 23 And can be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15 through welding in a state where the mounting portion 15 is properly positioned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5. [

이에 따라, 상기 토잉 파이프(20)는 상기 장착부(15)에 용접 전에 상기 각 걸림돌기(17)가 상기 각 걸림홈(23)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장착부(15)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장착부(15)에 용접되어 상기 스테이 부재(10)에 고정된다.Thus, the toe pipe 20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ounting portion 15 by keeping the engagement protrusions 17 fitted in the respective engagement grooves 23 before welding to the mounting portions 15 , And in this state, it is welded to the mounting portion (15) more stably and fixed to the stay member (10).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스테이 부재(10)는 압출 성형을 통해 상기 몸체부(11)와, 상기 지지부(13)와, 상기 장착부(15)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aple unit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ortion 11, the support portion 13, and the mounting portion 15 through extrusion molding.

즉, 상기 스테이 부재(10)는 상기 관통홀(5)에 상기 토잉 파이프(20)의 장착홀(21)이 정위치되도록 상기 토잉 파이프(20)를 장착부(15)에 장착하게 된다.That is, the stay member 10 mounts the towing pipe 20 on the mounting portion 15 such that the mounting hole 21 of the towing pipe 20 is positioned in the through hole 5.

이에 따라, 상기 토잉 파이프(20)는 범퍼빔(3)의 후방에서 상기 스테이 부재(10)를 통해 장착됨으로써, 상기 범퍼빔(3)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towing pipe 20 is prevented from protruding forward of the bumper beam 3 by being mounted through the stay member 10 at the back of the bumper beam 3. [

또한, 상기 토잉 파이프(20)를 상기 스테이 부재(10)에 용접 할 경우에는 상기 걸림홈(23)에 각 걸림돌기(17)가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토잉 파이프(20)의 상, 하부 양측면을 용접하게 됨으로써, 용융풀이나 용가제가 토잉 파이프(20)의 장착홀(21)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When the towing pipe 20 is welded to the stator 10,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owing pipe 20 are weld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s 17 fitted in the engaging grooves 23, The molten pool or the filler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mounting hole 21 of the toe pipe 20.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1)을 적용하면, 범퍼빔(1)과 차체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스테이 부재(10)의 장착부(15)에 토잉 파이프(20)를 장착함으로써, 토잉 파이프(20)가 범퍼빔(3)의 후방에 위치됨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범퍼빔(3)과 범퍼 커버 사이에 충분한 갭을 해 보행자 충돌 성능을 향상시키고, 범퍼빔(3)의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vehicle bumper beam uni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he mounting portion 15 of the stay member 10 connecting the bumper beam 1 and the front side member of the vehicle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wing pipe 20 from protruding outwardly as the toe pipe 20 is positioned behind the bumper beam 3 and to provide a sufficient gap between the bumper beam 3 and the bumper cover, The collis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bumper beam 3 can be secured.

또한, 토잉 파이프(20)가 각 걸림돌기(17)와 각 걸림홈(23)을 통하여 스테이 부재(20)에 안정적으로 장착됨으로써, 용접 작업 시, 용융풀이나 용가재 등이 토잉 파이프(20)의 장착홀(21) 내부로 흘러 들어가 융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토잉 파이프(20)의 품질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towing pipe 20 is stably mounted to the stay member 20 via the engaging projections 17 and the engaging grooves 23, a molten pool or a filler material, etc., So that it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mounting hole 21 and fused to prevent the quality of the towing pipe 20 from being incurr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범퍼빔 유닛 3 : 범퍼빔
5 : 관통홀 7 : 스테이
10 : 스테이 부재 11 : 몸체부
13 : 지지부 15 : 장착부
17 : 걸림돌기 20 : 토잉 파이프
21 : 장착홀 23 : 걸림홈
F : 플랜지
1: Bumper beam unit 3: Bumper beam
5: Through hole 7: Stay
10: stay member 11:
13: support part 15:
17: Locking device 20: Towing pipe
21: mounting hole 23: latching groove
F: Flange

Claims (18)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단부 중, 일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범퍼빔;
상기 범퍼빔의 후방 타단부에 선단이 장착되며, 후단에 장착되는 플랜지를 통하여 상기 범퍼빔을 차체에 고정하는 스테이;
상기 스테이에 대향하여 상기 범퍼빔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는 후방에 선단이 장착되며, 후단에 장착되는 플랜지를 통하여 상기 범퍼빔을 차체에 연결하는 스테이 부재; 및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상기 스테이 부재에 장착되는 토잉 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스테이 부재는
상, 하부 면과 차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 측을 향하는 일면이 각각 폐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상호 대향하는 각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차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의 반대측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된 상태로, 상기 각 지지부를 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토잉 파이프가 장착되는 장착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A bumper beam dispos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having through holes at one end thereof at both ends;
A stay mounted on a rear end of the rear end of the bumper beam and fixing the bumper beam to the vehicle body through a flange mounted on the rear end;
A stay member mounted at a rear en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umper beam so as to face the stay and connecting the bumper beam to the vehicle body through a flange mounted at the rear end; And
And a toe pipe mounted on the stay member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The stay member
A body portion having a top surface, a bottom surface, and one side facing toward the stay side with respect to a vehicle width direction;
A support portion formed by interconnecting mutually opposite corner portions in the body portion; And
A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toe pipe is mounted, the through hole being formed through the supporting portions in a state th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facing the opposite side of the stay is open with respect to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herein the bumper beam unit compris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단면의 형상이 삼각 형상을 갖는 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is formed as a groove having a triangular sha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잉 파이프는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홀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상기 장착부에 대응하여 단면이 삼각 형상을 갖는 삼각블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The toe pipe
Wherein a mounting hole is integral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and is formed as a triangular block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 하부 일측에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돌기가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And a locking protrusion is integrally form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잉 파이프는
상기 각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일면과 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각 걸림돌기가 각각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oe pipe
Wherein a latching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atching protrusion and at one side of the other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latching protrusions are respectively fit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잉 파이프는
상기 장착부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삽입되거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삽입될 경우, 상기 각 걸림돌기가 상기 각 걸림홈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장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oe pipe
When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s insert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mounting portion or when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s inserted from the rear side toward the front side, the respective locking protrusions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locking recesses, Wherein the bumper beam unit is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through welding.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는
각 모서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And each of the corner portions is formed to be roun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착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대향하는 각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몸체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and the opposite corner portions inside the body portion are interconnecte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 부재는
압출 성형을 통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장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y member
Wherein the body portio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through extrusion molding.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단부 중, 일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범퍼빔;
상기 범퍼빔의 후방 타단부에 선단이 장착되며, 후단에 장착되는 플랜지를 통하여 상기 범퍼빔을 차체에 고정하는 스테이;
상기 스테이에 대향하여 상기 범퍼빔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는 후방에 선단이 장착되며, 후단에 장착되는 플랜지를 통하여 상기 범퍼빔을 차체에 연결하고, 상, 하부 면과 차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 측을 향하는 일면이 각각 폐쇄되며, 각 모서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상호 대향하는 각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차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의 반대측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된 상태로, 상기 각 지지부를 통하여 형성되며, 토잉 파이프가 장착되는 장착부로 구성되는 스테이 부재; 및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상기 스테이 부재의 장착부에 장착되는 토잉 파이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A bumper beam dispos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having through holes at one end thereof at both ends;
A stay mounted on a rear end of the rear end of the bumper beam and fixing the bumper beam to the vehicle body through a flange mounted on the rear end;
And the bumper beam is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a flange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bumper beam, and the bumper beam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 support portion formed by interconnecting mutually opposing corners inside the body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body portion, A stay member that is formed through the supporting portions and has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toe pipe is mounted, with the one surface facing the opposite side of the stay opened; And
A toe pipe mounted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stay member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nd the bumper beam unit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단면의 형상이 삼각 형상을 갖는 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is formed as a groove having a triangular shap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잉 파이프는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홀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장착부에 대응하여 단면이 삼각 형상을 갖는 삼각블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toe pipe
Wherein a mounting hole is integral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and is formed as a triangular block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 하부 일측에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돌기가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토잉 파이프에는 일면과 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각 걸림돌기가 각각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mounting portion
And a hooking protrus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one of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hooking protrusion is fitted to one side of the toe pip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hooking protrusions and along one side of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is forme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토잉 파이프는
상기 장착부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삽입되거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삽입될 경우, 상기 각 걸림돌기가 상기 각 걸림홈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장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toe pipe
When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s insert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mounting portion or when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s inserted from the rear side toward the front side, the respective locking protrusions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locking recesses, Wherein the bumper beam unit is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through weld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착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대향하는 각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몸체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pport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and the opposite corner portions inside the body portion are interconnecte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body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 부재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장착부가 압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ay member
Wherein the body portio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mount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through extrusion molding.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빔은
압출 성형을 통해 제작되며, 양단부가 일정 곡률을 갖도록 벤딩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1,
The bumper beam
Wherein the bumper beam unit is manufactured by extrusion molding, and the bumper beam unit is formed so that both ends thereof have a certain curvature.
KR1020130032672A 2013-03-27 2013-03-27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KR1014649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672A KR101464971B1 (en) 2013-03-27 2013-03-27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672A KR101464971B1 (en) 2013-03-27 2013-03-27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850A KR20140117850A (en) 2014-10-08
KR101464971B1 true KR101464971B1 (en) 2014-11-25

Family

ID=51990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672A KR101464971B1 (en) 2013-03-27 2013-03-27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97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06224B4 (en) 2018-03-16 2023-02-23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Bumpe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8263A1 (en) * 2004-01-16 2005-07-28 Norsk Hydro Asa Bump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5271859A (en) * 2004-03-26 2005-10-06 Aisin Seiki Co Ltd Bumper reinforcement for vehicle
KR20110011084A (en) * 2009-07-27 2011-02-0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KR20110058469A (en) * 2009-11-26 2011-06-0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Mounting method for towing hook in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8263A1 (en) * 2004-01-16 2005-07-28 Norsk Hydro Asa Bump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5271859A (en) * 2004-03-26 2005-10-06 Aisin Seiki Co Ltd Bumper reinforcement for vehicle
KR20110011084A (en) * 2009-07-27 2011-02-0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KR20110058469A (en) * 2009-11-26 2011-06-0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Mounting method for towing hook in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850A (en)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3197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KR101713724B1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EP1241080B1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EP1211163B1 (en) Radiator support structure of motor vehicle
KR102660344B1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body
KR101755461B1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KR101703596B1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KR102518654B1 (en) The unit of combined front bumper beam and front end module
KR102009795B1 (en) Front bumper integrated stiffner
KR101464971B1 (en)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KR101744911B1 (en) Structure for assembling energy absorber of bumper for car
KR101666985B1 (en) Hybrid bumper beam
KR100946483B1 (en) Mounting structure of bumper back beam for front-end-module
KR102256872B1 (en) Bumper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JP5359164B2 (en) Side air guide and side air guide assembly method
KR101453830B1 (en)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KR101808071B1 (en)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KR101988615B1 (en) Vehicle bumper coupling structure
JP6706433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3624552B2 (en) Front bumper structure of automobile
JP6558929B2 (en) Car front bumper
EP3808606A1 (en) Vehicle front structure, and vehicle
KR102136535B1 (en) Lower stiffener unit for vehicle
KR101301748B1 (en) Front end module carrier
KR101545680B1 (en) A carrier of Front end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