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406B1 -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이용 - Google Patents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406B1
KR101464406B1 KR1020120097091A KR20120097091A KR101464406B1 KR 101464406 B1 KR101464406 B1 KR 101464406B1 KR 1020120097091 A KR1020120097091 A KR 1020120097091A KR 20120097091 A KR20120097091 A KR 20120097091A KR 101464406 B1 KR101464406 B1 KR 101464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ng
active ingredient
fraction
extract
mulberry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0655A (ko
Inventor
이남호
김수영
김상숙
오태헌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7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40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0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뽕잎피나무(Tilia taquetii SCHNEID)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이용{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R FRACTIONS OF TILIA TAQUETII SCHNEID AS AN ACTIVE INGREDIENT AND ITS USE}
본 발명은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천연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질병에 대한 치료 및 예방제 또는 건강보조제로서 식물 자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피부 노화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기관과 동반하여 피부의 구조와 기능이 지속적으로 감퇴되어지는 내인성 노화와 장기간에 걸친 태양 광선의 노출로 인한 피부 조직의 변화인 외인성 노화가 있다. 이러한 노화 과정으로 피부가 건조해지며, 주름이 생기고 피부는 탄력을 잃게 된다.
피부 노화에 관한 연구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것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과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이다. 이들은 자연적으로 생체 내에서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공해, 태양 자외선, 화학 산화제 및 미생물 등에 의해 발생된다. 이 때 발생된 자유 전자기나 활성 산소종은 피부 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가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생긴 물질은 멜라닌과 주름 생성의 원인물질로 여겨진다.
이때 발생되어진 자유 전자나 활성 산소종은 피부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가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생긴 물질은 멜라닌과 주름 생성의 원인 물질로 여겨진다.
이들 활성 산소종은 효소적, 비효소적 항산화제로 이루어진 피부 항산화 방어막을 붕괴시키고 생체 분자의 산화적 변형, 피부 장벽의 손상과 결합 조직인 콜라겐, 히아루론산 등의 사슬 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에 의한 주름생성 등 피부 노화를 가속시킨다.
결과적으로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해서는 과잉의 활성 산소종 생성을 억제하고 또한 생성된 활성 산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피부 주름을 일으키는 효소들의 억제와 색소 침착을 진행하는 효소 활성 억제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74115호는, 항산화 효과, 피부 노화 방지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 미백 효과를 갖는 백리향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93166호는, 느릅나무 추출물이 멜라닌 고분자로 변화되는 도파크롬(dopachrome)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미백 효과를 나타내고, 과산화 자유 라디칼(peroxyradical)과 반응하여 자유 라디칼을 소거시킴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증식시킬 수 있어 주름 개선 효과도 나타난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여러 식물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뽕잎피나무 잎을 이용한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시행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뽕잎피나무 잎을 이용한 연구를 수행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74115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9316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뽕잎피나무(Tilia taquetii SCHNEID) 잎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뽕잎피나무(Tilia taquetii SCHNEID) 잎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뽕잎피나무(Tilia taquetii SCHNEID) 잎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건강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뽕잎피나무(Tilia taquetii SCHNEID)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뽕잎피나무(Tilia taquetii SCHNEID)는 뽕피나무라고도 하며 원산지가 한국이다. 강원, 전남 제주에 분포한다. 높이 5m에 이르는 피나무과의 아욱목으로 어린 가지에 갈색 털이 빽빽이 나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끝은 갑자기 길어져 뾰족하고 밑은 심장밑 모양이다. 잎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뒷면 맥액에는 갈색 털이 빽빽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7~45 mm로 털이 엎거나 갈색 털이 있다.
꽃은 6월에 피고 양성으로 산방상 취산꽃차례에 달리며 밑에 주걱처럼 생긴 포가 있다. 포의 길이 2~3 mm이고, 뒤편에는 털이 드문드문 돋는다. 꽃자루는 길이 4~5 mm로 털이 없는 것도 있으며 3~5개의 꽃이 달린다. 열매는 긴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으로 짧은 털이 빽빽이 나고 10월에 익는다.
본 발명의 뽕잎피나무 잎 추출 방법은 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뽕잎피나무 중량의 약 20 ~ 30 배 부피의 용매를 사용하여 에탄올추출 등의 방법에 의해 2 ~ 3회 반복 추출하고, 여과한 후 이 여액을 감압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한다.
본 발명은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분리된 활성 화합물인 파이톨(Phytol), 클로로필 c2(Chlorophyll c2),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 2,23-디하이드록시올레아-12엔-28오익산( 2,23-dihydroxyolea-12en-28oic acid), 도코스테롤(Daucosterol) 및 이소퀘르시틴(Isoquercitr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활성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70899314-pat00001
Figure 112012070899314-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효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0.00001 내지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 미만인 경우에는 항노화 활성 및 함염 활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10 중량 % 이상인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할 수 있고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파운데이션, 젤, 연고 또는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 화합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노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또는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정제, 캅셀제, 산제, 과립제, 현탁제, 유제, 시럽제, 기타 액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제형, 예를 들면 정체, 트로치제(troches), 로젠지(lozenge), 수용성 또는 우성현탁액, 조제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하드 또는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elixirs)로 제제화된다.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제하기 위해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롤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유가 함유된다. 캡슐제형의 경우는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경구 투여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체중 1 ㎏당 본 발명의 추출물을 0.0001 ~ 500 ㎎의 양으로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0.001 ~ 100 ㎎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또는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건강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 화합물은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므로 건강 식품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 화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 화합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 화합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 화합물은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에서 분리된 활성 화합물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뽕잎피나무 추출물 제조
1-1: 뽕잎피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제조
뽕잎피나무(Tilia taquetii SCHNEID) 잎은 제주 한라수목원에서 제공받아 준비하였다. 준비한 뽕잎피나무 잎을 건조시킨 후 건조된 뽕잎피나무 잎 545.8 g을 분쇄한 후, 이를 70% 에탄올 10 L에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침출하였다. 상기 침출시킨 시료를 감압 흡입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액만 취하였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한 잔사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2회 더 반복 실시하였다. 이렇게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은 40℃ 이하의 수욕상-항온조에서 진공농축기(rotary vaccum evaporator)로 농축하여 뽕잎피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106.04 g을 얻어 준비하였다.
1-2: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을 물 1 L에 현탁시키고 극성 순서에 따라 헥산(n-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n-butanol), 물(water)을 넣고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생성된 분획 추출물 중 헥산 분획물을 감압 건조하여 분말 형태인 뽕잎피나무 헥산 분획물을 준비하였다.
1-3: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제조
분획 추출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감압 건조하여 분말 형태인 뽕잎피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1-4: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 제조
분획 추출물 중 부탄올 분획물을 감압 건조하여 분말 형태인 뽕잎피나무 부탄올 분획물을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1-5: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의 물 추출물 제조
분획 추출물 중 물 분획물을 감압 건조하여 분말 형태인 뽕잎피나무 물 분획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2: DPPH법을 이용한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자유라디칼은 노화, 특히 피부 노화의 원인 물질로 알려진 것이다.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을 위해 0.2 mM DPPH를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각 시료를 농도별로 준비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0.2 mM DPPH 용액 0.18 mL와 시료 용액 0.02 mL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스펙트로포토메터(spectrophotometer)로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소거 능력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로 계산되었고, 각 시료의 SC50(DPPH의 농도가 50% 감소되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 scavenging concentration) 값을 구하였다. 대조군은 비타민 C(SC50 = 7.7 μg/mL)를 사용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radical scavenging activity, %)
= [ 1 - (Abssample - Absblank) / Abscontrol ] × 100
여기서 Abssample은 시료 반응액의 흡광도이고, Absblank는 시료만의 흡광도, Abscontrol은 DPPH 용액의 흡광도이다.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는 도 1 및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뽕잎피 나무(잎) SC50(μg/mL)
실시예 1-1(EtOH) 52.8
실시예 1-2(Hex) 137.51
실시예 1-3(EtOAc) 24.6
실시예 1-4(BuOH) 34.4
실시예 1-5(Water) 205.02
상기 도 1과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의 추출물 모두에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소거활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에탄올, 에틸아세이트와 부탄올 분획물에서 상대적으로 더 좋은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NO(Nitric oxide)저해 효과 측정
염증 유발 인자인 NO(Nitric oxide)저해 효과를 RAW 264.7 세포배양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4 웰 플레이트에 3 ×105 cells/mL이 되도록 세포를 분주하고, 37℃의 5% CO2 조건 하에서 18 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D-PBS(D-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세척한 후 1μM LPS를 포함하는 배지로 교환 후 시료 추출물(실시예 1-1,1-2,1-3,1-4, 및 1-5)을 농도별로 각각 첨가하여 1일간 배양하였다. 1일 동안 배양 후 배지 100 μL에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100 μL를 넣어 NO(Nitric oxide)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상기 시료 추출물을 용매(DMSO:EtOH=1:1)에 녹인 것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3에 나타내었다.
처리농도
(㎍/ml)
NO 저해율
(%)
대조군 100 0
실시예 1-1(EtOH) 100 19.09
실시예 1-2(Hex) 100 35.14
실시예 1-3(EtOAc) 100 66.96
실시예 1-4(BuOH) 100 1.38
실시예 1-5(water) 100 2.49
처리농도
(㎍/ml)
NO 저해율
(%)
대조군 100 0
실시예 1-3(EtOAc) 12.5
25
50
100
200
300
18.54
32.10
40.95
69.18
74.43
78.03
상기 표 2 및 3에 나타나 있듯이, RAW 264.7 세포에서의 NO(Nitric oxide)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특히 실시예 1-3의 추출물(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에서 NO저해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세포 독성 평가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MTT 방법을 수행하였다. 인간 섬유아세포(normal human fibroblaste, NHF)를 24 시간 배양 후 시료 추출물(실시예 1-1,1-2,1-3,1-4, 및 1-5)을 처리하고 2일간 배양한 후 500 μg/ml MTT (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를 웰당 20 μL 첨가하였다. 37℃에서 4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MTT 용액을 제거하고 웰당 DMSO 200 μL 첨가하였다. 살아있는 세포와 반응하여 생긴 포르마잔(formazan) 침전물을 용해시킨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상기 시료 추출물을 용매(DMSO:EtOH=1:1)에 녹인 것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처리농도
(㎍/ml)
NHF 세포 생존율
(%)
대조군 100 100
실시예 1-1(EtOH) 100 113.55
실시예 1-2(Hex) 100 67.85
실시예 1-3(EtOAc) 100 136.61
실시예 1-4(BuOH) 100 145.70
실시예 1-5(water) 100 115.94
상기 표 4에 나타나 있듯이 인간 섬유아세포(Normal human fibroblast, NHF)에서의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의 용매 분획물로부터 화합물의 분리 및 구조 동정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의 활성 원인이 되는 성분의 분리를 위해 에틸아세테이트 층(실시예 1-3)을 선택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VLC와 실리카겔 CC, 세파덱스(Sephadex) LH-20 CC를 사용하여 활성 성분인 6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는 NMR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문헌치와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실시예 1-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일부인 3.00 g을 Hex-EtOAc-MeOH 그래디언트 용매로 VLC를 하여 40개의 분획을 얻었다 (Fr. V1~V40). 그 중, Fr. V5(23.8 mg)은 화합물 1로 동정하였다. 또한, Fr. V9(37.5 mg)은 화합물 2로 동정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의 일부인 4.90 g을 Hex-EtOAc-MeOH 그래디언트 용매로 2차 VLC를 하여 40개의 분획을 얻었다(Fr. V1~V40). 얻어진 40개의 분획물 중 Fr. V8(306.2 mg)을 감압 농축한 후 MeOH을 첨가하였을 때 녹지 않고 바이얼 바닥에 가라앉는 파우더가 생성되었다. 이를 MeOH로 여러 차례 재결정하여 8.5 mg의 화합물 3을 얻었다. 이와 같은 재결정법으로 Fr. v22(140.3 mg)으로부터 2.1 mg의 화합물 5를 얻었다. MeOH에 녹은 부분(123.4 mg)을 CHCl3/EtOAc/MeOH =25/2/1의 용매 조건으로 실리카겔 CC을 수행하여 분획물 v8-np3, v8-np5, v8-np9에서 화합물 3(54.6 mg)을 얻었다.
또한, Fr. V18(110.3 mg)을 CHCl3/EtOAc/MeOH/H2O =2/2/1/0.1의 용매조건으로 세파덱스 LH-20을 수행하여 화합물 4(9.3 mg)을 얻었다. Fr. V24(363.3 mg)을 CHCl3/EtOAc/MeOH =5:4:4의 용매 조건으로 세파덱스 LH-20을 수행하여 얻어진, V24-4 fr. (97.1 mg)을 다시 CHCl3/EtOAc/MeOH =4:4:2의 용매조건으로 세파덱스 LH-20을 수행하여 화합물 6(9.2 mg)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분리된 6개의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70899314-pat00003
Figure 112012070899314-pat00004

화합물 1은 문헌(Philippine Journal of Science 132 (1): 21-25, June 2003 ISSN 0031 - 7683)와 비교하여 파이톨(Phytol) 으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2는 문헌(X.-F. Wang et al. / Chemical Physics Letters 447 (2007) 79-85)와 비교하여 클로로필 c2(Chlorophyll c2)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3은 문헌(Gohari A.R., Saeidnia S., Haji AkhoundiI A., Abd Elahi M., Nezafati M. (2009), Isolation and Quantificative Analysis of oleanolic Acid from Satureja mutica Fisch. & C. A. Mey., Medical Plants, 8(5), 65-69.)과 비교하여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으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4는 문헌(Journal of Medicinal Plants Research Vol. 3(11), pp. 914-920, November, 2009)와 비교하여 2,23-디하이드록시올레아-12엔-28오익산(2,23-dihydroxyolea-12en-28oic acid)으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5는 문헌(Muhammad Shaiq Ali, Muhammad Saleem, Waqar Ahmad, Masood Parvez, Raghav Yamdagni (2002), A chlorinated monoterpene keton, acylated β-sitosterol glycosides and a flavanone glycoside from Mentha longifolia(Lamiaceae), Phytochemistry, 59(8), 889-895.)과 비교하여 도코스테롤(Daucosterol)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6은 문헌(Ju Yeon Ban; So-Young Jeon; KiWhan Bae; Kyung-Sik Song; Yeon Hee Seong "Catechin and epicatechin from Smilacis chinae rhizome protect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against amyloid β protein (25-35)-induced neurotoxcity through inbihition of cytosolic calcium elevation" Life Sciences, 2006, 79, 2251-2259.)과 비교하여 이소퀘르시틴(Isoquercitrin)으로 동정하였다.
실시예 6: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에서 분리된 활성 화합물에 대한 항노화 및 항염증 실험
실시예 2, 3 및 4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 6과 도 2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화합물 명칭 SC50
(㎍/㎖)
대조군 비타민 C 5.71
1 파이톨 >100
2 클로로필 c2 >100
3 올레아놀릭산 >100
4 2,23-디하이드록시올레아-12엔-28오익산 >100
5 도코스테롤 >100
6 이소퀘르시틴 12.42
처리농도
(㎍/ml)
NO 저해율
(%)
세포 생존율
(%)
대조군 100 0 100
화합물 5 25
50
100
200
84.91
66.89
43.07
10.69
93.42
95.72
113.95
114.78
그 결과, 항노화활성 실험에서는 표 5와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실험한 모든 화합물 가운데, 화합물 6(SC50 = 12.42 μg/mL)이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대조군인 Vitamin C(SC50 = 5.71 μg/mL)와 유사한 활성을 가졌음을 알 수 있었다. 나머지 화합물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항염 활성 실험에서는 표 6에 나타나 있듯이, 실험한 모든 화합물 가운데, 화합물 5가 농도 의존적으로 NO 저해 효과가 우수했고, 세포 독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7: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함유한 크림의 제조예는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아민, 글리콜(1,3-Propanediol)을 70℃로 가열하고 용해시키고, 여기에 유상인 지방산, 유성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하여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킨다. 유화가 완료된 후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키고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향을 첨가하고 분산시킨 다음 30℃로 냉각한다.
성분 함량 (중량%)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10
호호바 오일 5.00
유동파라핀 7.00
세틸아릴 알코올 2.00
폴리글리세릴-3 메칠 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 2.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0
스쿠알란 3.00
프로필렌글리콜 4.00
글리세린 5.00
트리에탄올 아민 0.30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3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20
프로필파라벤 및 인공향료 및 황색 4호 0.10
정제수 65.5
합계 100
실시예 8: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이 함유된 약제 제조
상기 실시예 1-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시럽제의 제조예는 하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구성 성분 함량(중량%)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2
사카린 0.8
25.4
글리세린 8
향미료 0.04
에탄올 4
소르브산 0.4
증류수 59.36
실시예 9: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이 함유된 건강 식품 제조
상기 실시예 1-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0)

  1. 뽕잎피나무(Tilia taquetii SCHNEID)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인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따른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인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6.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분리된 활성 화합물인 파이톨(Phytol), 클로로필 c2(Chlorophyll c2),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 2,23-디하이드록시올레아-12엔-28오익산( 2,23-dihydroxyolea-12en-28oic acid), 도코스테롤(Daucosterol) 및 이소퀘르시틴(Isoquercitr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파운데이션, 젤, 연고 또는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인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97091A 2012-09-03 2012-09-03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101464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091A KR101464406B1 (ko) 2012-09-03 2012-09-03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이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091A KR101464406B1 (ko) 2012-09-03 2012-09-03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이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655A KR20140030655A (ko) 2014-03-12
KR101464406B1 true KR101464406B1 (ko) 2014-11-27

Family

ID=5064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091A KR101464406B1 (ko) 2012-09-03 2012-09-03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이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678A (ko) 2019-10-24 2021-05-04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찰피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172A (ko) * 1999-03-24 2000-10-16 임병철 단풍이 든 잎의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65095A (ko) * 2002-01-29 2003-08-06 오세군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2955A (ko) * 2008-04-25 2009-10-2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갖는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KR20110036317A (ko) * 2009-10-01 2011-04-07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항염증성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172A (ko) * 1999-03-24 2000-10-16 임병철 단풍이 든 잎의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65095A (ko) * 2002-01-29 2003-08-06 오세군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2955A (ko) * 2008-04-25 2009-10-2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갖는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KR20110036317A (ko) * 2009-10-01 2011-04-07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항염증성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678A (ko) 2019-10-24 2021-05-04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찰피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655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033B1 (ko) 감귤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936294B1 (ko) 애기수영 또는 산수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10085758A (ko) 새싹보리 유래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3200B1 (ko) 상동나무 열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295368B1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125225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197531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125224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조성물
KR102070789B1 (ko) 곰보배추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64406B1 (ko)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101449802B1 (ko) 병개암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10257752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685829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겨우살이 추출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89209B1 (ko) 구아이아콜, 피톨 및 카바크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2366B1 (ko)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415170B1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97843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2644047B1 (ko)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45679B1 (ko) 누에 번데기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313083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534818B1 (ko)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2163882B1 (ko) 인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646B1 (ko) 골담초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55138B1 (ko)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