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304B1 - Apparatus for separating coa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parating co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304B1
KR101463304B1 KR1020120124892A KR20120124892A KR101463304B1 KR 101463304 B1 KR101463304 B1 KR 101463304B1 KR 1020120124892 A KR1020120124892 A KR 1020120124892A KR 20120124892 A KR20120124892 A KR 20120124892A KR 101463304 B1 KR101463304 B1 KR 101463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er
raw material
sorting
coa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8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8178A (en
Inventor
김현수
김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24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304B1/en
Publication of KR20140058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1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3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8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지 빈(surge bin)에서 분출되는 원료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여 파쇄기 또는 파쇄기에서 배출되는 원료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원료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for sorting raw materials ejected from a surge bin into a crusher or a conveyor for conveying a raw material discharged from a crusher .

Description

원료 선별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COAL}[0001] APPARATUS FOR SEPARATING COAL [0002]

본 발명은 원료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지 빈(surge bin)에서 분출되는 원료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여 파쇄기 또는 파쇄기에서 배출되는 원료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원료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for sorting raw materials ejected from a surge bin into a crusher or a conveyor for conveying a raw material discharged from a crusher .

일반적으로 코크스(Coke) 제조과정은 크게 선탄공정, 코크스 오븐공정 그리고 화성공정으로 구분되는데, 선탄공정은 코크스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원료탄을 전처리하는 공정이다.Generally, the coke production process is divided into a shipbuilding process, a coke oven process, and a conversion process. The pre-process is a process for pretreating coking coal used for coke production.

도 1은 일반적인 선탄공정을 보여주는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탄공정은 수입 적치된 여러 종류의 석탄(C)을 리크레이머(Reclaimer, 10)로 불출하여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 20)로 석탄을 수송하여 서지 빈(Surge Bin, 30)을 거쳐 파쇄기(Crusher, 40)에 입조시킨다. As shown in FIG. 1, in the shipbuilding process, various types of coal (C) having an import level are delivered to a reclaimer (10), and a belt conveyor The coal is transported to a crusher 40 through a surge bin 30.

파쇄기(40)에서는 탄종별 파쇄특성을 고려하여 코크스를 제조하기에 가장 적절한 입도로 파쇄한 다음 벨트 컨베이어(50)를 이용하여 브랜딩 빈(Blending Bin, 60)으로 석탄을 수송한다.In the crusher 40, the coal is crushed to the most suitable size for producing the coke in consideration of the crushing property of the coal, and then the coal is transported to the branding bin 60 by using the belt conveyor 50.

도 2는 일반적인 선탄공정에서 파쇄기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기(40)의 상부에는 서지 빈(30)에서 분출된 석탄(C)이 분출되는 슈트(31)가 연결되고, 파쇄기(40)의 하부에는 파쇄된 석탄(C)을 이송시키는 벨트 컨베이어(50)가 구비된다. 그래서 서지 빈(30)에서 분출된 석탄(C)이 입도에 상관없이 모두 파쇄기(40)로 투입되고, 파쇄기(40)에서는 공급되는 모든 석탄(C)을 파쇄하여 하부의 벨트 컨베이어(50)로 배출시킨다.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rusher in a general shipbuilding process. As shown in FIG. 2, a chute 31 from which coal (C) ejected from a surge bin 30 is ejected is provided on a crusher 40 And a belt conveyor 50 for conveying the crushed coal C to the lower part of the crusher 40 is provided. Thus, the coal C discharged from the surge bin 30 is supplied to the crusher 40 regardless of the grain size, and all the coal C supplied from the crusher 40 is crushed and transferred to the lower belt conveyor 50 .

하지만, 서지 빈(30)에서 분출되는 석탄(C)은 입도가 다양하고, 석탄(C) 중에는 파쇄가 불필요할 만큼 입도가 작은 미립의 석탄도 함께 혼합되어 있다. 이렇게 입도가 큰 대립의 석탄과 입도가 작은 미립의 석탄이 함께 혼합되어 파쇄기(40)로 공급되면 파쇄기(40)에 공급되는 석탄(C)의 양이 많아 파쇄기(40)의 작업능률이 저하된다.However, the coal (C) ejected from the surge bin (30) has various particle sizes, and the coal (C) is also mixed with fine coal having small particle size so that the crushing is unnecessary. When the coarse coal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and the fine coal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are mixed together and supplied to the crusher 40, the amount of coal C supplied to the crusher 40 is large, so that the working efficiency of the crusher 40 is reduced .

또한, 미립의 석탄이 대립의 석탄과 혼합되어 파쇄기(40)로 공급되면 미립의 석탄이 파쇄기(40)의 크러셔 헤머나 파쇄기(40)의 내벽에 부착되어 파쇄기(40)에 부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fine coal is mixed with the opposite coal and supplied to the crusher 40, the fine coal is attached to the crusher hammer of the crusher 40 or the inner wall of the crusher 40 to generate a load on the crusher 40 .

그래서, 일반적인 스크린 타입의 선별망을 이용하여 파쇄기로 공급되는 석탄의 입도를 선별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이러한 선별망도 석탄 중에 혼합되어 있는 미립의 석탄이 선별망에 부착되면서 선별 효율이 낮아지는 한편, 파쇄기로 공급되는 석탄의 흐름에도 악영향을 초래하여 파쇄기의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Thus, a method of selectively controlling the particle size of the coal supplied to the crusher using a general screen type screening network has been proposed. However, as the fine coal mixed in the coal screen is attached to the screening network, But also has an adverse effect on the flow of coal supplied to the crusher, thus lowering the working efficiency of the crusher.

그래서 근래에는 파쇄기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서지 빈에서 분출된 석탄을 공급하는 슈트가 분기되도록 구비한 다음 각각의 분기 슈트에 파쇄기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슈트에서 분출되는 석탄을 분기하여 각각의 파쇄기로 공급함에 따라 각 파쇄기의 부하를 줄여줌으로써 파쇄기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한편 파쇄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였다.Rec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of the crusher, a chute for supplying coal discharged from the surge bin is branched, and then a crusher is installed in each branch chute. In addition, the coal discharged from the chute is branched and supplied to the respective crushers,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each crusher, there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crusher and preventing the crusher from being damaged.

이렇게 슈트를 분기하여 다수의 파쇄기에서 석탄을 파쇄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원료 파쇄 장치(특허문헌 1: 공개특허 10-2012-0116712)" 등에서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A technique of breaking down chutes in a plurality of crushers by branching the chutes is specifically known in, for example, "raw material crushing device (patent document 1: patent 10-2012-0116712) ".

하지만 특허문헌 1과 같은 기술은 파쇄기를 복수개로 설치함에 따른 설비 추가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석탄의 공급량이 많아지면 전술된 미립의 석탄에 의해 각각의 파쇄기에 부하가 발생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However, according to the technology of Patent Document 1, the facility addition cost is excessively increased due to the installation of a plurality of crushers, and when the supply amount of coal is increased, the load on each crusher is generated by the above-mentioned fine coal, The problem was not fundamentally resolved.

공개특허 10-2012-0116712 (2012. 10. 23)Patent No. 10-2012-0116712 (October 23, 2012)

본 발명은 서지 빈에서 배출되는 석탄을 입도별로 선별하고 선택적으로 파쇄기로 공급하여 파쇄기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료 선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capable of sorting coal discharged from a surge bin by particle size and selectively supplying the same to a crusher to improve work efficiency of the crusher.

또한, 파쇄기로 공급되는 석탄 중 파쇄기 설비에 부착될 수 있는 미립의 석탄을 선별하여 파쇄기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파쇄기의 부하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파쇄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료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crusher from being damaged by preventing the crusher from being loaded with the fine coal that can be attached to the crusher facility among the coal supplied to the crusher, .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원료 선별장치는 서지 빈(surge bin)에서 분출되는 원료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여 파쇄기로 공급하는 선별장치로서, 상기 서지 빈에서 분출된 원료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면서 측벽 및 하부에는 선별된 원료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구 및 제 2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과; 선별된 원료 중 일부가 상기 제 1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별된 원료 중 나머지가 상기 제 2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회전봉을 포함하는 선별유닛과; 상기 제 1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선별유닛에 의해 선별된 원료를 파쇄기로 공급하는 제 1 공급슈트와; 상기 제 2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선별유닛에 의해 선별된 원료를 파쇄기에서 배출되는 원료를 이송시키는 벨트 컨베이어로 직접 공급하는 제 2 공급슈트를 포함한다.A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rting apparatus for sorting raw materials ejected from a surge bin into crushers according to their grain sizes, and a feeding port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 ejected from the surge bin is formed A housing having a first outlet and a second outlet, through which the selected raw material is discharged, are formed on the side wall and the lower portion, respectively, while being hollow; A plurality of rotating rods that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so that some of the selected raw materials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utlet and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remainder of the selected raw materials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utlet A sorting unit including; A first supply chute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to supply the raw material selected by the sorting unit to the crusher; And a second supply chute connected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to directly supply the raw material selected by the sorting unit to a belt conveyor for transferring the raw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crusher.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선별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구는 선별유닛보다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배출구는 상기 선별유닛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되 상기 공급구가 형성된 위치의 반대편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배출구는 상기 선별유닛보다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first outlet is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orting unit and is formed on a side wall opposite to a position where the supply port is formed, And the second outlet is formed below the sorting unit.

상기 선별유닛은 상기 공급구에서 상기 제 1 배출구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수의 상기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선별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봉 중 홀수열에 배치되는 회전봉의 선별치와 짝수열에 배치되는 회전봉의 선별치는 상기 회전봉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어 상기 홀수열 회전봉의 선별치와 짝수열 회전봉의 선별치가 서로 엇갈려 만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orting unit comprises: a plurality of swiveling rods arranged in paralle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pply por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orting teeth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wherein the sorting value of the rotating rod disposed in the odd numbered rows and the sorting value of the rotating rod disposed in the even numbered rows, And the selection values of the odd-numbered rotation rods and the even-numbered rotation rods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and do not meet.

상기 회전봉은 원주방향으로 선별치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구비되도록 다수개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rotation ba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tion bars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intervals of the selection valu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회전봉은 인접되는 다른 회전봉과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gap between the rotation bar and the other adjacent rotation bar is adjusted.

상기 각각의 회전봉의 중심에는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지지하는 베어링 박스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측벽 외부에는 상기 베어링 박스가 설치되는 축고정블록이 설치되되, 상기 축고정블록에는 상기 회전봉의 설치 위치에 평행하게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박스가 상기 가이드공에서 위치가 조절되어 다른 회전봉과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bearing box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tary shaft, and a bearing box is provided at an outer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A guide hole is formed in the shaft fixing block in parallel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otation bar and the bearing box is adjusted in position in the guide hole to adjust the gap with the other rotation bar .

상기 다수의 회전봉은 상기 공급구에서 상기 제 1 배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plurality of rotating rods are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utlet from the supply po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지 빈에서 배출되는 석탄을 입도별로 선별하여 파쇄가 필요한 입도를 갖는 석탄만 선택적으로 파쇄기로 공급하여 파쇄기에서의 파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l discharged from the surge bins can be selectively sorted by particle size, and only coal having a particle size required for crushing can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crusher to improve the crushing efficiency in the crusher.

또한, 서지 빈에서 배출되는 석탄 중 파쇄가 불필요한 입도를 갖는 석탄은 선별하여 파쇄기를 거치지 않고 파쇄기에서 파쇄된 석탄이 배출되는 벨트 컨베이어로 직접 배출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파쇄기에 미립의 석탄이 부착되어 파쇄기에 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mong the coal discharged from the surge bins, coal having a particle size that does not require crushing is selected and discharged directly to a belt conveyor through which pulverized coal is discharged from a crusher without passing through a crusher, So that a loa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in the crusher.

도 1은 일반적인 선탄공정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선탄공정에서 파쇄기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선별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선별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선별장치의 수직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선별장치의 수평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선별장치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general shipbuilding process
2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crusher in a general shipbuilding process,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materi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rizontal section of the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선별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선별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선별장치의 수직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선별장치의 수평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horizontal section of a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선별장치는 서지 빈(surge bin, 30)과 파쇄기(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서지 빈(30)에서 분출되는 원료(예를 들어 석탄(C), 이하에서는 석탄을 예로 하여 설명함)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여 파쇄기(40) 또는 파쇄기(40)에서 파쇄된 후 배출되는 석탄(C)을 이송시키는 벨트 컨베이어(50)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크게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선별유닛(200), 선별유닛(200)에 의해 입도별로 선별된 석탄(C)을 파쇄기(40) 또는 벨트 컨베이어(50)로 공급하는 제 1 공급슈트(300) 및 제 2 공급슈트(400)를 포함한다.3, the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w material disposed between a surge bin 30 and a crusher 40 to be ejected from the surge bin 30 (C),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al) will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grain size and supplied to the belt conveyor 50 for conveying the coal C discharged after being crushed in the crusher 40 or the crusher 40 The apparatus includes a housing 100, a sorting unit 20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a sorting unit 200. The sorting unit 200 separates coal C sorted by particle size into a crusher 40 or a belt conveyor 50 A first supply chute 300 and a second supply chute 400 for supplying the first supply chute 300 and the second supply chute 4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선별유닛(200)이 설치되어 상기 서지 빈(30)에서 분출된 석탄(C)을 입도별로 선별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대략적으로 내부가 중공된 함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서지 빈(30)에서 분출된 원료가 공급되는 공급구(110)가 형성되고, 전방방향의 측벽에는 선별된 석탄(C)을 파쇄기로 배출하는 제 1 배출구(120)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선별된 석탄(C)을 벨트 컨베이어(50)로 배출하는 제 2 배출구(13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sorting the coal (C) ejected from the surge bin (30) A supply port 110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 ejected from the surge bin 30 is suppli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a selected coal C is discharged through a crusher on the side wall in the forward direction A first outlet 120 is formed and a second outlet 130 for discharging the selected coal C to the belt conveyor 50 is formed at the lower end.

이때 상기 공급구(110)는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선별유닛(200)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100)에서 상기 선별유닛(200)보다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배출구(120)는 상기 선별유닛(200)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되 상기 공급구(110)가 형성된 위치의 반대편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배출구(130)는 상기 선별유닛(200)보다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upply port 1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above the sorting unit 200 on the basis of the sorting unit 200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120 Is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orting unit 200 and formed on a side wall opposite to a position where the supply port 110 is formed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30 is formed below the sorting unit 200 .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는 원활한 석탄(C)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 2 배출구(130)를 향하여 점점 단면이 좁아지도록 경사지는 형상, 예를 들어 깔때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to have a sloping shape such as a funnel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second discharge port 130 in order to discharge the coal (C) smoothly.

상기 선별유닛(2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구(110)로 공급되는 석탄(C)을 입도에 따라 상기 제 1 배출구(120) 또는 제 2 배출구(130)로 선별하여 이동시키는 유닛으로서, 다수의 회전봉(210)과, 상기 회전봉(21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선별치(220)를 포함한다.The sorting unit 200 is arranged inside the housing 100 to sort the coal C supplied to the supply port 110 into the first discharge port 120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130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otating rods 210 and sorting teeth 220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s 21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회전봉(210)은 각각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회전축(211)이 형성되어 회전축(21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수단으로서, 상기 공급구(110)에서 상기 제 1 배출구(120)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회전봉(210)은 각각 별도의 구동 모터(미도시)에 체인(미도시)으로 연결되어 구동 모터의 작동에 의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5, each of the plurality of rotation bars 210 has a rotation axis 211 formed at its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axis 211, 1 discharge port 120. The discharge ports 120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rotation bars 210 are connected to separate drive motors (not shown) through chains (not shown) and are all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특히 상기 회전봉(210)은 서로 인접되는 회전봉(210)끼리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인접되는 다른 회전봉(210)과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Particularly, the rotation bar 210 is spaced apart from the adjacent rotation bar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adjacent rotation bar 210 and the adjacent rotation bar 210 is adjustable.

예를 들어 상기 회전봉(210)의 회전축(211)은 상기 하우징(100)의 양측방향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회전축(211)의 양단에는 상기 회전축(211)을 회전지지하는 베어링 박스(230)가 구비된다.For example, the rotation shaft 211 of the rotation bar 21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both side walls of the housing 100, and at both ends of the rotation bar 211, (Not shown).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양측방향 측벽 외부에는 상기 베어링 박스(230)가 설치되는 한 쌍의 축고정블록(240)이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축고정블록(240)에는 상기 회전봉(210)의 설치 위치에 평행하게 가이드공(241)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베어링 박스(230)가 상기 가이드공(241)에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회전봉(210)끼리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때 간격이 조절되는 베어링 박스(230)는 축고정블록(240)에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고정너트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 pair of shaft fixing blocks 240 are installed outside the sidewalls of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bearing box 230 is installed. A guide hole 241 is formed parallel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refore, the interval between the rotation bars 210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where the bearing box 230 is installed in the guide hole 24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controlled bearing box 230 is fixed to the shaft fixing block 240 by various means, for example, a fixing nut.

이렇게 회전봉(210)끼리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석탄(C)의 입도 선별 기준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회전봉(210)끼리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식은 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봉(210)끼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 및 방식으로 변경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ng rods 210, it is possible to variously change the selection criterion of the particle size of the coal C. Of course, the method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ng rods 21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but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eans and methods that can control the intervals between the rotating rods 210.

한편, 상기 선별치(220)는 서로 인접되는 선별치(220) 사이의 간격에 의해 석탄(C)을 입도별로 분류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선별된 석탄(C)을 제 1 배출구(12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회전봉(2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선별치는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서 입설되는 돌기이다.Meanwhile, the sorting teeth 220 sort the coal C by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sorting teeth 220 and sort the sorted coal C toward the first discharge port 120 A plurality of the rotating rods 210 are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ar 2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orting value is a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ar.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봉(210) 중 홀수열에 배치되는 회전봉(210)의 선별치(220)와 짝수열에 배치되는 회전봉(210)의 선별치(220)는 상기 회전봉(2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된다. 그래서 회전봉(210)의 회전시 상기 홀수열 회전봉(210)의 선별치(220)와 짝수열 회전봉(210)의 선별치(220)가 서로 엇갈려 만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된다.6, the selection value 220 of the rotation bar 210 disposed in the odd numbered rows and the selection value 220 of the rotation bar 210 disposed in the even numbered columns are disposed on the rotation bar 210, Are alternately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Therefore, the selection value 220 of the odd numbered rotation bar 210 and the selection value 220 of the even numbered rotation bar 210 are smoothly rotated without being staggered from each other when the rotation bar 210 is rotated.

한편, 상기 회전봉(210)은 원주방향으로 선별치(220)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구비되도록 다수개가 구비되어 석탄(C)의 종류에 따라 선별 입도를 변경하고자 할 때 원하는 선별치(220) 간격을 가지는 회전봉(210)을 선택한 다음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하여 사용된다.The rotary rods 21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tances between the sorting teeth 22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desired sorting teeth 220 are spaced apart when the sorting granularit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al C. The swash plate 210 is used to mount the swash plate 210 on the housing 100.

또한, 상기 다수의 회전봉(210)은 상기 공급구(110)에서 상기 제 1 배출구(1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래서 회전봉(2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봉(210) 사이를 통과한 석탄(C)은 제 2 배출구(130)로 배출되고, 회전봉(210) 사이를 통과하지 못한 석탄(C)은 회전봉(210)의 경사 및 회전봉(210)의 회전에 의한 선별치(220)의 움직임에 의해 제 1 배출구(120) 방향으로 이동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winging rods 210 are sloped downward from the supply port 110 toward the first discharge port 120. The coal C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otating bar 210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ar 210 is discharged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130 and the coal C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rotating bar 210 passes through the rotating bar 210, And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0 by the movement of the sorting tooth 220 by the rotation of the swinging rod 210.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제 1 배출구(120)에는 상기 선별유닛(200)에 의해 선별된 원료, 부연하자면 회전봉(210) 사이의 간격 및 선별치(220) 사이의 간격보다 입도가 커서 회전봉(210)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제 1 배출구(120)로 이동된 석탄(C)을 파쇄기(40)로 공급하는 제 1 공급슈트(300)가 연결된다.The first discharge port 120 of the housing 100 is larger in particle size than the gap between the rotary shaft 210 and the sorting teeth 220 selected by the sorting unit 200, The first supply chute 300 which does not pass between the first discharge port 210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120 and supplies the coal C to the crusher 40 is connected.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제 2 배출구(130)에는 회전봉(210) 사이의 간격 및 선별치(220) 사이의 간격보다 작아서 회전봉(210) 사이를 통과하여 제 2 배출구(130)로 이동된 석탄(C)을 벨트 컨베이어(50)로 직접 공급하는 제 2 공급슈트(400)가 연결된다.The second outlet 130 of the housing 100 is small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rotary bar 210 and the selector 220 so that the second outlet 130 is moved between the rotary bar 210 and the second outlet 130 A second supply chute 400 for directly supplying coal C to the belt conveyor 50 is connected.

이때 상기 제 1 공급슈트(300)는 하우징(100)의 전방방향의 측벽에 연결되어 파쇄기(40)의 상부로 이어지기 위하여 하향 경사지거나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급슈트(400)는 석탄(C)의 자중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50)로 낙하하도록 하방을 향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supply chute 300 i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wall of the housing 100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or bent to connec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rusher 40. The second supply chute 400 is formed of a metal such as coal, And is vertically formed so as to fall downward to fall down on the belt conveyor 50 by the own weight of the conveyor belt (C).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선별장치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선별장치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회전봉(210)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에 서지 빈(30)에서 분출되는 석탄(C)이 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된 공급구(110)로 공급된다. 그리면 공급된 석탄(C) 중 입도가 상대적으로 작아 회전봉(210) 사이의 간격 및 선별치(220)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는 미립의 석탄(C1)은 파쇄기(40)로 공급되지 않고 제 2 배출구(130) 및 제 2 공급슈트(400)를 통하여 벨트 컨베이어(50)로 직접 공급된다.The coal C ejected from the surge bin 30 is supplied to the supply port 110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while the plurality of rotation bars 210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shown in FIG. The fine coal C1 passing through the interval between the rotary rods 210 and the sorting teeth 220 is not supplied to the crusher 40 and the second coal Is directly supplied to the belt conveyor (50) through the first supply chute (130) and the second supply chute (400).

반면에, 공급된 석탄(C) 중 입도가 상대적으로 커서 회전봉(210) 사이의 간격 및 선별치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지 못한 대립의 석탄(C2)은 회전봉(210)의 경사 및 회전봉(210)의 회전에 의한 선별치(220)의 움직임에 의해 제 1 배출구(120) 방향으로 이동된 다음 자중에 의해 제 1 배출구(120) 및 제 1 공급슈트(300)를 통하여 파쇄기(40)로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arse coal C2, which has a relatively large particle size among the supplied coal (C) and does not pass the gap between the rotary rods 210 and the clearance teeth, Is moved toward the first discharge port 120 by the movement of the sorting tooth 220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0 and then supplied to the crusher 40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120 and the first supply chute 300 .

이렇게 파쇄기(40)에는 상대적으로 입도가 큰 대립의 석탄(C2)만이 공급되어 파쇄기(40)의 석탄 파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대적으로 입도가 작은 미립의 석탄(C1)은 파쇄기(40)를 거치지 않고 직접 벨트 컨베이어(50)로 공급되기 때문에 공정 소요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미립의 석탄(C1)이 파쇄기(40)에 부착되어 파쇄기(4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only the coarse coal C2 having a relatively large particle size is supplied to the crusher 40 to improve the crushing efficiency of the crusher 40, and the fine coal C1 having a relatively small particle size is supplied to the crusher 4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by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ss and to prevent the crusher 40 from being damaged by attaching the fine coal C1 to the crusher 40 have.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limited by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C, C1, C2: 석탄 20, 50: 벨트 컨베이어
30: 서지 빈 40: 파쇄기
60: 브랜딩 빈 100: 하우징
110: 공급구 120: 제 1 배출구
130: 제 2 배출구 200: 선별유닛
210: 회전봉 221: 회전축
220: 선별치 230: 베어링 박스
240: 축고정블록 241: 가이드공
300: 제 1 공급슈트 400: 제 2 공급슈트
C, C1, C2: coal 20, 50: belt conveyor
30: Surge Bin 40: Crusher
60: Branding bin 100: Housing
110: supply port 120: first outlet
130: Second outlet 200: Selection unit
210: rotation rod 221:
220: Selection value 230: Bearing box
240: Axis fixing block 241: Guide ball
300: first supply chute 400: second supply chute

Claims (7)

서지 빈(surge bin)에서 분출되는 원료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여 파쇄기로 공급하는 선별장치로서,
상기 서지 빈에서 분출된 원료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면서 측벽 및 하부에는 선별된 원료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구 및 제 2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과;
선별된 원료 중 일부가 상기 제 1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별된 원료 중 나머지가 상기 제 2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회전봉을 포함하는 선별유닛과;
상기 제 1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선별유닛에 의해 선별된 원료를 파쇄기로 공급하는 제 1 공급슈트와;
상기 제 2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선별유닛에 의해 선별된 원료를 파쇄기에서 배출되는 원료를 이송시키는 벨트 컨베이어로 직접 공급하는 제 2 공급슈트를 포함하는 원료 선별장치.
A sorting device for sorting raw materials ejected from a surge bin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and supplying the same to a crusher,
A housing having a first outlet port and a second outlet port, through which a raw material ejected from the surge bin is supplied;
A plurality of rotating rods that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so that some of the selected raw materials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utlet and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remainder of the selected raw materials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utlet A sorting unit including;
A first supply chute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to supply the raw material selected by the sorting unit to the crusher;
And a second supply chute connected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directly supplying the raw material selected by the sorting unit to a belt conveyor for transferring the raw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crus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선별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구는 선별유닛보다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배출구는 상기 선별유닛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되 상기 공급구가 형성된 위치의 반대편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배출구는 상기 선별유닛보다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선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outlet is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orting unit and is formed on a side wall opposite to a position where the supply port is formed, And the second outlet is formed below the sorting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유닛은
상기 공급구에서 상기 제 1 배출구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수의 상기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선별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봉 중 홀수열에 배치되는 회전봉의 선별치와 짝수열에 배치되는 회전봉의 선별치는 상기 회전봉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어 상기 홀수열 회전봉의 선별치와 짝수열 회전봉의 선별치가 서로 엇갈려 만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선별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rting unit
A plurality of rotation bars arranged in parallel to the supply por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orting teeth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lectable values of the rotating rods disposed in the odd-numbered rows and the selectable values of the rotating rods disposed in the even-numbered rows of the rotating rod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s so that the screened values of the odd-numbered rotating rods and the even- A raw material sorting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은 원주방향으로 선별치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구비되도록 다수개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otary ba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rotary rod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selectively mounted to the housing.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은 인접되는 다른 회전봉과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otation bar is adjusted in spacing with another adjacent rotation ba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회전봉의 중심에는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지지하는 베어링 박스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측벽 외부에는 상기 베어링 박스가 설치되는 축고정블록이 설치되되,
상기 축고정블록에는 상기 회전봉의 설치 위치에 평행하게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박스가 상기 가이드공에서 위치가 조절되어 다른 회전봉과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center of each of the rotation rods is provided with a rotation axis through which both ends of the rotation rods pass through a side wall of the housing and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both ends of the rotation axis are provided with bearing boxes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on axis,
A shaft fixing block for mounting the bearing box is provided outside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Wherein a guide hole is formed in the shaft fixing block in parallel to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otation bar, and the bearing box is adjusted in position in the guide hole to adjust the gap with the other rotation ba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회전봉은 상기 공급구에서 상기 제 1 배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rotating rods are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supply port toward the first discharge port.
KR1020120124892A 2012-11-06 2012-11-06 Apparatus for separating coal KR1014633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892A KR101463304B1 (en) 2012-11-06 2012-11-06 Apparatus for separating co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892A KR101463304B1 (en) 2012-11-06 2012-11-06 Apparatus for separating co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178A KR20140058178A (en) 2014-05-14
KR101463304B1 true KR101463304B1 (en) 2014-11-18

Family

ID=5088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892A KR101463304B1 (en) 2012-11-06 2012-11-06 Apparatus for separating co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30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951A (en)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포스코 A gangue separator of coal for coke mak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875Y1 (en) * 1996-12-19 1999-08-02 이경운 Separation, sorting apparatus of mixture
KR100760476B1 (en) * 2006-10-19 2007-10-04 주식회사 씨.에스 Apparatus for sorting waste
KR100918710B1 (en) * 2009-01-30 2009-09-22 한빛테크원 (주) Crusher for food garbage reutilitization
KR20110133340A (en) * 2010-06-04 2011-12-1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ocessing sal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875Y1 (en) * 1996-12-19 1999-08-02 이경운 Separation, sorting apparatus of mixture
KR100760476B1 (en) * 2006-10-19 2007-10-04 주식회사 씨.에스 Apparatus for sorting waste
KR100918710B1 (en) * 2009-01-30 2009-09-22 한빛테크원 (주) Crusher for food garbage reutilitization
KR20110133340A (en) * 2010-06-04 2011-12-1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ocessing sal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951A (en)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포스코 A gangue separator of coal for coke ma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178A (en)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69042B (en) Single-section hammer crusher system
CN105750205A (en) Construction waste throwing and heavy separation crushing device and method
CN109663637A (en) A kind of sandstone material multi sieving approach method
US7469847B2 (en) Process for control of rotary breakers
CN208377528U (en) A kind of run coal bin automatic block clearing device
KR100890580B1 (en) Apparatus for sorting out earth and sand from crushing aggregate for construct ion wastes
JP2019505661A (en) Stock house equipment for blast furnaces
CN209465120U (en) A kind of multi-stage screening crusher
CN109225554B (en) Feed crusher with reduced powder generation
KR101463304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coal
RU2363552C2 (en) Crushing-and-sorting complex "дска-4м"
CN104084369B (en) A kind of screening plant of tilt adjustable
CN103357569A (en) Cashew nut grader
CN216224610U (en) Asphalt reclaimed material crushing and screening production line
CN109482285A (en) A kind of multi-stage screening crusher
CN213377661U (en) Crossed roller screen and crossed roller type impurity removing machine
CN112427291B (en) Material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e mine grading vibrating screen equipment
CN107470135A (en) A kind of sand sieving machine for building
CN108636754B (en) Large screening surface screening machine
CN207709342U (en) A kind of sand sieving machine for building
CN208976042U (en) One kind removing mud feeder
CN104437808A (en) Super-wet coal gangue and loesscombinedpre-treatment facility and super-wet coal gangue and loess combinedpre-treatment facility process
CN219985380U (en) Stone feeder with screening function
KR20040089373A (en) Adhesion mineral removal apparatus of on the screen
CN211756804U (en) Feeding and discharging structure on vibrating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