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916B1 - Floss holders - Google Patents

Floss hold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916B1
KR101462916B1 KR1020130140639A KR20130140639A KR101462916B1 KR 101462916 B1 KR101462916 B1 KR 101462916B1 KR 1020130140639 A KR1020130140639 A KR 1020130140639A KR 20130140639 A KR20130140639 A KR 20130140639A KR 101462916 B1 KR101462916 B1 KR 101462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ss
guide
dental
interdental
inser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현성
Original Assignee
조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성 filed Critical 조현성
Priority to KR102013014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9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9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ss holder, which can allow a floss to move in a state that the floss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prevent the floss from being contaminated and excessively consumed by allowing only the floss for the interdental cleansing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maintain the tension of the floss without using a finger, and does not require an additional sanitary cover. The floss holder includes a body having a container part to receive a bundle of flosses, an elastic support extending from the container part, and a pair of interdental 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expose the floss at an end of the elastic support; a floss supply guide and a floss retrieve guide which are open to allow the floss supplied from the bundle of flosses to be retrieved in a receiving space through the interdental rings; a locking unit to selectively control the floss supplied to the interdental rings; and a tension adjusting unit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floss, which is exposed between the interdental rings, by pulling the floss.

Description

치실 홀더{Floss holders}Floss holders

본 발명은 치실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실의 이동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치간의 프로씽이 가능한 치실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치실의 오염 및 과다소비를 방지하고,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고도 치실의 장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별도의 위생 덮개가 필요치 않는 치실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floss holder,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floss holder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dental floss is performed in a state of being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only the dental floss capable of prosessing the teeth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prevent contamination and excessive consumption of the dental flo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ss holder in which the tension of the floss can be easily made without using a finger and a separate sanitary cover is not required.

일반적으로 치아를 항상 건강하고 튼튼하게 유지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기도 하면서 어떤 면으로는 힘든 일이기도 하다. 치아의 건강을 위해 양치질을 통한 치아 및 치아주변(잇몸)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치아 사이에 끼어 존재하는 음식물 찌꺼기의 제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In general, keeping your teeth healthy and strong at all times is a very important task, and in some ways it can be difficult. There is considerable difficulty in removing the food waste that exists between the teeth, although the teeth and surrounding teeth (gums) are kept clean through teeth brushing for the health of the teeth.

상기 음식물 찌꺼기는 그대로 방치될 경우 충치질환의 주원인이 되는 플라그 및 유해 박테리아를 발생시켜 치아에 상당한 악 영향을 초래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치실을 이용한 프로씽(치실로서 치간의 이물질이나 프라그등을 제거하는 행위)을 통해 제거되어왔다.If the food waste is left as it is, plaque and harmful bacteria, which are the main cause of dental caries disease, are generated to cause a considerable adverse effect on the teeth. Therefore, prosing using a separate floss (removal of foreign materials such as dental floss and plaque ). ≪ / RTI >

치실은 치아 사이로 삽입되어 양치질 또는 이쑤시개로 제거할 수 없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일반적인 사용법은 치실통에 권취된 치실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양손으로 치실을 잡고 치간 사이로 치실을 삽입하여 치간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Dental floss is inserted between teeth and used to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that can not be removed with toothpaste or toothpick. In general usage, dental floss wrapped in dental floss is cut to appropriate length, floss is held with both hands, Remove any foreign material from the teeth.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치실을 잡은 상태에서 어금니까지 구석구석 프로씽을 닦는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고, 오염된 손에 의한 치실의 오염을 유발하며, 아동, 노약자 또는 환자 등과 같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는 프로씽이 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above method has many difficulties in wiping corners from the dental floss to the molar, causing contamination of dental floss by contaminated hands, and requiring a person such as a child, elderly person or patient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for professionalism.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9860호에는 Y자 모양의 선단부와, 치실의 실패가 장착된 후단부와, 상기 선단부와 상기 후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치실의 고정을 위한 돌출부로 구성된 치실 고정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의 양측 끝단에는 상부 표면으로부터 파진 구협내광형 걸림홈과 반대편에 단턱진 돌기가 각각 형성된 치실 고정 지지대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59860 discloses a flap having a Y-shaped tip portion, a rear end portion to which a dental floss is attached, and a rear end portion for connecting the tip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A dental fixation support comprising a protruding portion, wherein both end portions of the distal end portion are provided with a tapere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and a tapered protrud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apered end portion, respectively.

그러나 상기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9860호의 치실 고정 지지대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선단부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구협내광형 걸림홈에 치실을 감아 장력을 유지시켜 어금니까지 프로씽이 가능하며, 탈부착 가능한 치실 위생 덮개를 통해 공기 중으로 노출되는 치실의 위생을 담보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갖는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Korean Patent No. 10-1059860, the dental fixation support of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No. 10-1059860 is capable of proxing the molar teeth by maintaining the tension by wrapping the dental floss in the durable light-receiving engagement grooves respectively formed at the ends of the tip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lthough the hygiene of the dental floss exposed to the air through the sanitary cover is secured, i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치실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치실을 파지한 상태에서 선단부의 구협내광형 걸림홈과 돌출부에 치실을 감아야 하기 때문에 손가락에 의해 치실이 오염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First, in order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floss, there is a fatal problem that the dental floss is contaminated by the fingers because the user must hold the floss with the fingers and wrap the floss around the tip of the tip end.

둘째, 치실이 고정되는 방식이 선단부의 제1,2 실 안내홈에 안착된 상태로 안내되면서 구협내광형 걸림홈에 일차적으로 감겨지고, 마지막으로 돌출부에 감겨져 고정됨에 따라 한번의 프로씽을 위해 많은 양의 치실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Second, the method of fixing the floss is guided in a state of being seated in the first and second thread guide grooves of the distal end portion, and is firstly wound on the guiding light fastening type engaging groove, and finally wound and fixed to the protruding por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positive floss is consumed.

셋째, 치실의 노출되는 양이 많기 때문에 반드시 치실의 위생을 담보하는 치실 위생 덮개가 필요하다.Third, since the amount of exposed floss is large, a floss hygiene cover that guarantees the hygiene of the floss is necessar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9860호(공고일 2011년 08월 29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59860 (Published on Aug. 29, 20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1950호(공고일 2012년 03월 09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21950 (Published on March 09, 20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치실의 이동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치간의 프로씽이 가능한 치실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치실의 오염 및 과다소비를 방지하고,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고도 치실의 장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별도의 위생 덮개가 필요치 않는 치실 홀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echnical prejudi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ntal floss for dental flos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ss holder which can prevent excessive consumption and can easily achieve the tension of the floss without using a finger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anitary li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실 홀더는,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치실타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탄성지지대와, 상기 탄성지지대의 단부로부터 곡률지게 밴딩 형성되며 치실이 치간 사이로 삽입될 수 있게 치실이 노출된 상태로 걸쳐지도록 하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치간고리로 구성된 본체와;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탄성지지대를 거쳐 상기 각 치간고리의 단부까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치실타래로부터 공급되는 치실이 상기 한 쌍의 치간고리를 거쳐 수납공간 측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개방된 치실공급가이드 및 치실회수가이드와; 상기 치실공급가이드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치간고리 측으로 공급되는 상기 치실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잠금수단; 및 상기 치실회수가이드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치실을 당겨 상기 한 쌍의 치간고리 사이로 노출된 상기 치실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 toothbrush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oothbrush is formed by bending curvedly from the end of the elastic supporter, A pair of interdigital loop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dental flosses formed to extend from the tooth threads to the ends of the interdental loops through the elastic support in a state of being communicated with the storage space, A supply guide and a floss retrieval guide; A locking means rotatably installed on the dental supply guid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supply of the dental floss supplied to the interdental loop side; And tension adjusting mean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loss collecting guide and pulling the floss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dental floss exposed between the pair of interdental loops.

이때,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치실공급가이드 상에 상기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제1삽입구와; 상기 제1삽입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에는 상기 치실공급가이드로 공급되는 상기 치실을 수용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된 제1삽입봉과, 상기 제1삽입봉의 상측에 구비되며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삽입봉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1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치실이 상기 제1삽입봉의 외주면에 감아지거나 또는 풀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치실의 공급 또는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잠금레버;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ocking means includes: a first insertion port formed on the floss supply guide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A first insertion ro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insertion port and provided at a lower side thereof with a first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dental floss supplied to the dental supply guide;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insertion rod, And a locking lever which rotates the insertion ro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o cause the dental floss receiv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to be wound or un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insertion rod to supply or cut off the dental floss .

또한,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치실회수가이드 상에 상기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제2삽입구와; 상기 제2삽입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에는 상기 치실회수가이드로 회수되는 상기 치실을 수용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된 제2삽입봉과, 상기 제2삽입봉의 상측에 구비되며 조작에 따라 상기 제2삽입봉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2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치실이 상기 제1삽입봉의 외주면에 감아지거나 또는 풀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치실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레버;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ension adjusting means may include: a second insertion port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on the floss collecting guide; A second insertion rod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insertion port and provided at a lower side thereof with a second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dental floss recovered by the floss collecting guide; and a second insertion rod provided above the second insertion rod, And a tension lever which rotates the insertion ro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hile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dental floss by winding or loosening the dental floss receiv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insertion rod.

더하여, 상기 치실공급가이드 및 상기 치실회수가이드의 내부는 공급 및 회수되는 상기 치실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실리콘 재질의 차폐부재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ide of the floss supply guide and the floss collecting guide are blocked by a shielding member made of silicon so that the dental floss supplied and recovered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이때, 상기 한 쌍의 치간고리 중 상기 치실공급가이드가 형성된 상기 치간고리의 단부에는 상기 치실공급가이드와 연통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치실회수가이드가 형성된 상기 치간고리의 단부에는 상기 치실회수가이드와 연통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 사이를 통해 상기 치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first through-hole communicating with the dental supply guide is formed at an end of the interdental loop where the dental supply guide is formed in the pair of interdental loops. At the end of the interdental loop where the dental delivery guide is formed, And a second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is formed so that the dental floss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마지막으로, 상기 본체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치실회수가이드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치실의 컷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터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Finally, it is preferable that a cutter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cut the dental floss discharged through the dental floss guid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치실 홀더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floss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치실의 이동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치간의 프로씽이 가능한 치실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치실의 오염 및 과다소비를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So that the floss can be moved in the state of being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only the floss capable of prothesising between the teeth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pollution and excessive consumption of the floss.

또한, 간단한 조작만으로 치실의 팽팽한 장력을 유지시키거나 또는 해제가 가능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손가락을 사용하여 치실을 고정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치실의 위생이 안정적으로 담보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nsion of the dental floss can be maintained or released by a simple ope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fix the dental floss using the fingers as in the prior art,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hygiene of the dental floss is stably ensured.

또한, 치실이 치실 홀더 내부를 통해 이동함에 따라 별도의 위생 덮개가 필요치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floss moves through the inside of the floss hold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 separate sanitary lid is nee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의 치실공급가이드를 요부절개한 요부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의 치실회수가이드를 요부절개한 요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에서 잠금수단 및 장력조절수단을 통해 치실의 장력이 고정되는 순서를 나타낸 작용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ss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Fig.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floss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floss holder of a floss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opera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the tension of the dental floss is fixed through the locking means and the tension adjusting means in the floss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의 치실공급가이드를 요부절개한 요부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의 치실회수가이드를 요부절개한 요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에서 잠금수단 및 장력조절수단을 통해 치실의 장력이 고정되는 순서를 나타낸 작용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oss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Fig. 1, Fig. 4 is a cross-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floss holder of a floss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oss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실 홀더(10)는 크게 본체(100)와, 치실공급가이드(210) 및 치실회수가이드(230)와, 잠금수단(410) 및 장력조절수단(450)으로 구성되어 있다.1 to 6, the floss hold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floss supply guide 210 and a floss collecting guide 230, a locking means 410 and a tension adjusting means 450).

본체(100)는 치실타래(14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111)이 형성된 수납부(110)와, 수납부(110)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탄성지지대(120)와, 탄성지지대(120)의 단부로부터 곡률지게 밴딩 형성되며 치실(143)이 치간 사이로 삽입될 수 있게 치실(143)이 노출된 상태로 걸쳐지도록 하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치간고리(130)로 구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100 includes a housing 110 having a housing space 111 in which the toothed threads 140 are housed, an elastic support 120 extending from the housing 110 for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air of interdental loops 1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 dental floss 143 is exposed so that the dental floss 143 can be inserted between the teeth.

수납부(110)는 본체(100)의 일측에 원통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치실(143)이 감겨진 치실타래(14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111)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110)의 수납공간(111)은 커버(117)에 의해 외부와 폐쇄된다.The storage part 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has a storage space 111 in which a tooth thread thread 140 wound with a floss 143 is stored is provided, The housing space 111 of the housing 110 is closed by the cover 117 with the outside.

이때, 치실타래(140)가 수납공간(111)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면서 커버(117)와 수납부(110)가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커버(117)의 저면에는 치실타래(14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끼움구(119)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공간(111)의 바닥면에는 치실타래(140)의 중심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끼움구(119)와 결합되는 결합구(11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a tooth thread 14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117 so that the tooth thread 140 is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storage space 111 so that the cover 117 and the storage part 110 can be stably engaged. A coupling hole 113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1 so as to penetrate the central portion of the toothed portion 140 and to be coupled with the fitting hole 119, As shown in Fig.

따라서, 치실타래(140)는 수납공간(111)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Therefore, the tooth thread 140 is rotatably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111. [

더하여, 상기 수납공간(111)의 내측 상부테두리에는 상기 커버(117)가 안착되는 탄턱(1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탄턱(115)은 상기 커버(117)가 수납공간(111)의 내측으로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커버(117)의 상부표면과 수납부(110)의 상부표면이 일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치실 홀더(10)를 파지시 돌출에 의한 파지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 rim 115, on which the cover 117 is seated,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rim of the storage space 111. The rim 115 of the storage compartment 111 is positioned inside the storage space 111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117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are aligned with each other so as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gripping by projection when the user grasps the floss holder 10. [

탄성지지대(120)는 수납부(110)의 외주면 어느 일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소정을 길이를 갖는 상태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는 후술하게 되는 치간고리(130)가 형성되어 있다.The elastic supporter 120 extend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one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10, and an interdental ring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at an end of the elastic supporter 120.

즉, 탄성지지대(120)는 상기 치간고리(130)를 통해 프로씽(치실로서 치간의 이물질이나 프라그등을 제거하는 행위)하는 과정에서 치실(143)을 치간 사이로 삽입할 때 치간고리(130)에 가해지는 힘의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치실(143)이 치간 사이의 잇몸을 과하게 누르는 것이 방지하는 것이다.That is, the resilient supporter 120 is inserted into the interdental loop 130 when the dental floss 143 is inserted into the interdental spaces in the course of prosing (action to remove foreign objects such as teeth, prags, etc.) through the interdental loop 130, Thereby preventing the dental floss 143 from over-pressing the gums between the teeth.

치간고리(130)는 수납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치실(143)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으로, 탄성지지대(120)의 단부로부터 어느 일방향의 곡률을 갖는 상태로 밴딩되어 있으며,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격되게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interdental loop 130 exposes the dental floss 143 supplied from the storage unit 110 to the outside and is bent in a state having a curvature in one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elastic support strip 12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즉, 한 쌍의 치간고리(130) 사이로 치실(143)이 노출된 상태로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치실(143)이 치간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는 것이다.That is, the teeth 143 are ex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teeth 143 are exposed between the pair of interdental loops 130, thereby forming a condition that the teeth 143 can be inserted between the teeth.

이를 위해, 한 쌍의 치간고리(130) 중 후술하게 되는 치실공급가이드(210)가 형성된 치간고리(130)의 단부에는 치실공급가이드(210)와 연통하는 제1관통공(133)이 형성되고, 치실회수가이드(230)가 형성된 치간고리(130)의 단부에는 치실회수가이드(230)와 연통하는 제2관통공(135)이 형성되어 제1관통공(133)과 제2관통공(135) 사이를 통해 치실(143)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A first through hole 133 communicating with the floss supply guide 210 is formed at an end of the interdental loop 130 in which a dental floss guide 21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among a pair of interdental loops 130 A second through hole 135 communicating with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terdental loop 130 where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is formed so that the first through hole 133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35 So that the dental floss 143 is exposed to the outside.

다음으로, 치실공급가이드(210) 및 치실회수가이드(230)는 수납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치실(143)이 한 쌍의 치간고리(130)를 거쳐 수납공간(111) 측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치실(143)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본체(100)의 상면 방향으로 개방된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floss supply guide 210 and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are arranged such that the dental floss 143 supplied from the storage part 110 can be recovered to the storage space 111 side via the pair of interdental loops 130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floss 143. The floss 143 is formed as a groove that opens in the top surfac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

치실공급가이드(210)는 치실타래(140)가 회전가능하게 수납된 수납공간(111)과 연통된 상태로 탄성지지대(120)를 거쳐 한 쌍의 치간고리(130) 중 앞서 서술한 제1관통공(133)이 형성된 치간고리(130)의 단부까지 형성되어 제1관통공(133)과 연통되어 있다.The dental floss supply guide 210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111 in which the tooth thread 140 is rotatably housed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through- And is formed to the end of the interdigital ring 130 in which the hole 133 is formed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through hole 133.

즉, 치실공급가이드(210)는 치실타래(140)로부터 공급되는 치실(143)을 제1관통공(133)까지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at is, the dental supply guide 210 serves to guide the dental floss 143 supplied from the tooth thread 140 to the first through hole 133.

치실회수가이드(230)는 상기 치실공급가이드(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공간(111)과 연통된 상태로 탄성지지대(120)를 거쳐 한 쌍의 치간고리(130) 중 앞서 서술한 제2관통공(135)이 형성된 치간고리(130)의 단부까지 형성되어 제2관통공(135)과 연통되어 있다.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loss supply guide 210.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111 through the elastic support 120, And extends to an end of the interdigital ring 130 formed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135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135.

즉, 치실회수가이드(230)는 한 쌍의 치간고리(130) 사이로 노출되어 프로씽 작업을 완료한 치실(143)이 회수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111)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at is, the floss collection guide 230 serves to guide the floss 143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space 111 so that the floss 143, which has been exposed through the pair of interdental loops 130 and completed the prosing operation, can be recovered.

이때, 본체(100)의 상면방향으로 개방된 치실공급가이드(210) 및 치실회수가이드(230)의 내부는 공급 및 회수되는 치실(143)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차폐부재(300)에 의해 차단된다.The inside of the floss supply guide 210 and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s shielded by a shielding member made of silicone having elasticity so that the dental floss 143, 300).

이는, 치실(143)이 외부환경으로부터 원천적으로 차단됨에 따라, 공급되는 치실(143)의 사전 오염이 방지됨과 더불어 사용 완료된 치실(143)에 의해 손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This is to prevent pre-contamination of the supplied dental floss 143 as well as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hand by the used dental floss 143 as the dental floss 143 is intrinsically block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치실공급가이드(210)와 치실회수가이드(230)에는 치실(143)의 공급과 회수 및 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잠금수단(410) 및 장력조절수단(450)이 구비되어 있다.The floss supply guide 210 and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are provided with a locking means 410 and a tension adjusting means 450 for generating supply, recovery and tension of the floss 143.

잠금수단(410)은 치실공급가이드(2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치간고리(130) 측으로 공급되는 치실(143)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The locking means 41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dental supply guide 210 and selectively controls the supply of the dental floss 143 supplied to the interdental loop 130 side.

상기 잠금수단(410)은, 치실공급가이드(210) 상에 본체(10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제1삽입구(411)와; 제1삽입구(4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에는 치실공급가이드(210)로 공급되는 치실(143)을 수용하는 제1수용홈(415a)이 형성된 제1삽입봉(415)과, 제1삽입봉(415)의 상측에 구비되며 조작에 따라 제1삽입봉(415)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면서 제1수용홈(415a)에 수용된 치실(143)이 제1삽입봉(415)의 외주면에 감아지거나 또는 풀어지게 함으로써 치실(143)의 공급 또는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잠금레버(413);로 구성되어 있다.The locking means 410 includes a first insertion port 411 formed on the floss supply guide 210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 first insertion rod 415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insertion port 411 and formed at a lower side thereof with a first receiving groove 415a for receiving the floss 143 supplied to the floss supply guide 210, The dental floss 143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5a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rod 415 and the first insertion rod 415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a locking lever 413 for allowing the floss 143 to be supplied or cut off by being wound or loosened.

이때, 제1삽입구(4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공급가이드(210)를 가로지르면서 치실공급가이드(210)의 바닥면보다 좀 더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치실(143) 공급을 차단하기 전 삽입된 제1삽입봉(415)의 제1수용홈(415a)에 치실(143)이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치실(143)의 공급 차단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삽입봉(415)의 외주면에 치실(143)이 감아지도록 제1삽입봉(415)의 회전을 위한 여분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4,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insertion port 411 is formed deep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ss supply guide 210 while crossing the floss supply guide 210, The first insertion groove 415a of the inserted insertion bar 415 is inserted before the floss 14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15a of the first insertion rod 415. When the insertion of the floss 143 is interrupted, So that an extra space for rotation of the first insertion rod 415 is secured so that the floss 143 is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rod 415.

따라서, 잠금수단(410)은 잠금레버(413)의 회전과 연동하는 제1삽입봉(415)의 정.역회전에 의해 제1삽입봉(415)의 외주면으로 치실(143)이 감아지거나 또는 풀어지게 함으로써 치실(143)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다(도 6 참조).The locking means 410 is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insertion rod 415 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first insertion rod 415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lock lever 413, Thereby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dental floss 143 (see Fig. 6).

본 실시예에서는 치실(143)이 제1삽입봉(415)의 외주면에 감아지도록 하여 치실(143)의 공급을 제어하고 있지만, 치실공급가이드(210) 상에서 치실(143)의 공급을 제어하는 구조라면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supply of the dental clips 143 is controlled by winding the dental clips 143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insertion rod 415.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장력조절수단(450)은 치실회수가이드(23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치실(143)을 당겨 한 쌍의 치간고리(130) 사이로 노출된 치실(143)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것이다.The tension adjusting means 45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and pulls the floss 143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dental floss 143 exposed between the pair of interdental loops 130.

상기 장력조절수단(450)은, 치실회수가이드(230) 상에 본체(10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제2삽입구(451)와; 제2삽입구(45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에는 치실회수가이드(230)로 회수되는 치실(143)을 수용하는 제2수용홈(455a)이 형성된 제2삽입봉(455)과, 제2삽입봉(455)의 상측에 구비되며 조작에 따라 제2삽입봉(455)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면서 제2수용홈(455a)에 수용된 치실(143)이 제1삽입봉(415)의 외주면에 감아지거나 또는 풀어지게 함으로써 치실(143)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레버(453);로 구성되어 있다.The tension adjusting means 450 includes a second insertion port 451 formed on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 second insertion rod 455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insertion port 451 and formed at a lower side thereof with a second receiving groove 455a for receiving the floss 143 recovered by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The dental clips 143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55a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rod 455 and the second insertion rod 455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a tension lever 453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dental floss 143 by being rolled or loosened.

이때, 제2삽입구(45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회수가이드(230)를 가로지르면서 치실회수가이드(230)의 바닥면보다 좀 더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한 쌍의 치간고리(130) 사이로 노출된 치실(143)이 팽팽한 장력을 갖도록 장력레버(453)와 함께 연동 회전하는 제2삽입봉(455)의 회전을 위한 여분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치실(143)의 회수를 위한 이동을 위해 제2삽입봉(455)의 제2수용홈(455a)에 치실(143)이 수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insertion port 451 is formed deep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while crossing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as shown in FIG. 5, So as to secure an extra space for rotation of the second insertion rod 455 which rotates together with the tension lever 453 so that the exposed dental floss 143 has a tight tension, So that the state in which the floss 143 is receiv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55a of the second insertion bar 455 is maintained.

즉, 제2삽입봉(455)은 제2수용홈(455a)에 치실(143)이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과 동시에 제2삽입봉(455)의 외주면으로 치실(143)이 당겨지면서 감겨지게 되고, 이로 이해 치간고리(130) 사이로 노출된 치실(143)은 팽팽한 장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도 6 참조).That is, since the second insertion rod 455 rotates in a state where the floss 143 is receiv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55a, the floss 143 is pul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on rod 455 at the same time as the rotation So that the dental floss 143 exposed between the interdental loops 130 maintains a tight tension (see FIG. 6).

더하여, 치실 홀더(10)의 사용중 치실(143)의 장력을 더 팽팽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 제2삽입공을 더 회전시키는 것은 물론일 것이며, 반대로 노출된 치실(143)의 교체를 이루기 위해 치실(143)의 장력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장력레버(453)를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켜 치실회수가이드(230)와 제2삽입봉(455)의 제2수용홈(455a)을 일치시키면 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tighten the tension of the floss 143 during use of the floss holder 10, it would of course be necessary to further rotate the second insertion hole and, conversely, floss 143 The tension lever 453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and the floss withdrawal guide 230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55a of the second insertion bar 455 are aligned with each other.

따라서, 장력조절수단(450)은 장력레버(453)의 회전과 연동하는 제2삽입봉(455)의 정.역회전에 의해 제2삽입봉(455)의 외주면으로 치실(143)이 감아지거나 또는 풀어지게 함으로써 치실(143)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함과 더불어 사용된 치실(143)의 폐기를 위한 치실(143)의 회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nsion adjusting means 45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loss 143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on rod 455 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second insertion rod 455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tension lever 453 So that the tension of the floss 143 is maintained and the floss 143 for the disposal of the used floss 143 is recovered.

본 실시예에서는 제2삽입봉(455)의 외주면에 치실(143)이 감아지도록 하여 치실(143)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고 있지만, 치실회수가이드(230) 상에서 치실(143)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구조를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tension of the floss 143 may be maintained by winding the floss 143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on rod 455. In this case, the tension of the floss 143 may be maintained on the floss recovery guide 230 The structur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잠금수단(410) 및 장력조절수단(450)은 치실(143)을 공급 또는 회수(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잠금레버(413) 및 장력레버(453)가 도 6a와 같이 초기 위치로 셋팅되고, 제2삽입봉(455)의 제2수용홈(455a)을 거친 회수될 치실(14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111)과 연통되게 형성된 치실회수가이드(230)의 개방된 쪽으로 회수되어 사용자의 당김에 의해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locking means 410 and the tension adjusting means 45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dental clamper 143 is to be supplied or recovered (moved), the locking lever 413 and the tension lever 453, And the dental floss 143 to be recovered through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55a of the second insertion rod 455 is set to the position of the floss collection guide 230 (see FIG. 5)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torage space 111,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by pulling the user.

또한, 잠금수단(410)의 제1삽입봉(415)과 제1삽입구(411) 및 장력조절수단(450)의 제2삽입봉(455)과 제2삽입구(451)는 서로 나사결합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The first insertion rod 415 of the locking means 410 and the second insertion rod 455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451 of the first insertion opening 411 and the tension adjusting means 450 are screwed together And is rotatably coupled, and is shown as being threaded in this embodiment.

그러나, 상기의 나사결합을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호 압입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도 이룰 수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screwing is not necessarily limited, and a structure can be obtained by being coupled by press-fitting.

한편, 본체(100)의 외면 일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회수가이드(230)를 통해 배출되는 치실(143)의 컷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터(C)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치실(143)이 배출됨과 동시에 컷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된 치실(143)의 위생문제가 바로 해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1 and 2, a cutter C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cut the dental floss 143 discharged through the dental floss guide 230 This is to ensure that the sanitary problem of the used dental floss 143 is solved immediately by allowing the dental floss 143 to be discharged and at the same time to be cut.

본 실시예에서는 커터(C)를 치실회수가이드(230)와 인접한 본체(100)의 일측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그 위치를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Although the cutter C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adjacent to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in the present embodiment, its posi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이하, 도 6을 차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10)에 치실(143)이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ocess of fixing the floss 143 to the floss hold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aintaining tens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s follows.

먼저, 치실 홀더(10)에 치실(143)을 장착하기 위해서는,First, in order to mount the floss 143 on the floss holder 10,

본체(100) 수납부(110)의 수납공간(111)을 폐쇄하는 커버(117)를 열어 수납공간(111)을 개방시킨다.The cover 117 for closing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storage unit 110 of the main body 100 is opened to open the storage space 111. [

이후, 치실(143)이 감겨진 치실타래(140)를 수납공간(111)의 결합구(113)에 끼워 수납공간(111)에 수납한 상태에서 치실타래(140)로부터 치실(143)을 풀어 치실공급가이드(210)에 수용시키고, 이 상태에서 치실(143)을 치간고리(130)의 제1관통공(133)으로 관통시킨다.Thereafter, the tooth thread 143 is loosened from the tooth thread 140 in a state where the tooth thread 140 wound with the tooth thread 143 is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113 of the receiving space 111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11 The dental floss is accommodated in the floss supply guide 210 and the floss 143 is pass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33 of the interdental loop 130 in this state.

이때, 치실공급가이드(210) 및 치실회수가이드(230)에 결합된 차폐부재(300)는 치실(143)이 수용되도록 이미 분리된 상태임은 당연하다.At this tim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hielding member 300 coupled to the floss supply guide 210 and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has already been separated so as to receive the floss 143.

제1관통공(133)을 관통한 치실(143)은 계속해서 치실회수가이드(230)가 형성된 치간고리(130)의 제2관통공(135)을 관통하면서 치실회수가이드(230)에 수용된다. 이러게 되면 치실(143)의 선단은 도 1과 같이 수납공간(111)과 연통하는 치실회수가이드(230) 상부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The dental floss 143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33 is accommodated in the floss collection guide 230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35 of the interdental loop 130 where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is formed . As a result, the tip of the floss 143 is positioned above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that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space 111 as shown in FIG.

상기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치실(143)을 잡고 당기게 되면 치실(143)은 당기는 힘에 의해 이동하게 될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holds the dental floss 143 and pulls it, the dental floss 143 will be moved by the pulling force.

한편, 치실(143)이 치실공급가이드(210) 및 치실회수가이드(230)에 수용될 때 잠금수단(410)은 제1삽입구(41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이고, 장력조절수단(450) 또한 제2삽입구(45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이다.When the floss 143 is received in the floss supply guide 210 and the floss collection guide 230, the locking means 410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 411 and the tension adjusting means 450 ) Is also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ort 451. [

이때, 잠금수단(410)의 제1수용홈(415a)에 삽입된 치실(143) 및 장력조절수단(450)의 제2수용홈(455a)에 삽입된 치실(143)의 초기 형태는 도 6a를 참조하면 쉽게 이해가능 할 것이다.The initial shape of the floss 143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5a of the locking means 410 and the floss 143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55a of the tension adjusting means 450 is shown in Fig. Which will be easily understood.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치실 홀더(10)에 치실(143)이 장착되면, 사용자는 한 쌍의 치간고리(130) 사이로 노출된 치실(143)의 장력을 절절하게 유지시켜 프로씽을 하게 된다.When the floss 143 is attached to the floss holder 1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keeps the tension of the dental floss 143 exposed between the pair of interdental loops 130, thereby prosing.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143)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잠금수단(410)을 어느 일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선택하여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제1삽입봉(415)의 회전에 의해 치실(143)이 체1삽입봉의 외주면에 감기게 되고 이로 인해 치실공급가이드(210) 측으로 치실(143)이 더 이상의 공급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First, as shown in FIG. 6A, the locking means 41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rrow direction)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dental floss 143. As a result, the first insertion rod 415 rotates the dental floss 143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1 insertion rod, and the dental floss 143 can no longer be supplied to the dental floss guide 210 side .

이후, 도 6a와 같이 장력조절수단(450)을 앞서 서술한 잠금수단(410)과 동일한 방법으로 회전시키면, 치실(143)이 제2삽입봉(455)의 회전과 함께 제2삽입봉(455)의 외주면에 감겨짐과 동시에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해 공급이 제어된 상태의 치실(143) 전체가 팽팽한 상태의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6A, when the tension adjusting means 450 is rot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locking means 410 described above, the dental floss 143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insertion rod 455, So that the entire dental floss 143 in a state where the supply is controlled can maintain the tension in the tight state.

즉, 도 6b와 같이 잠금수단(410) 및 장력조절수단(450)의 회전 완료에 의해 치실(143)의 장력이 유지되면, 결국 한 쌍의 치간고리(130) 사이로 노출된 치실(143) 또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6B, when the tension of the dental floss 143 is maintained by the completion of the rotation of the locking means 410 and the tension adjusting means 450, the dental floss 143 exposed between the interdental loops 130 It will remain tight.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치실 홀더(10)를 파지하면서 치간 사이의 프로씽을 수행하면 된다. 만일, 프로씽 중 치실(143)의 장력이 약화되면 장력레버(453)를 더 회전시켜 치실(143)의 장력을 유지시키면 된다.In such a state, the user may perform prosing between the teeth while grasping the tooth holder 10. If the tension of the dental floss 143 is weakened during prosing, the tension lever 453 may be further rotated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dental floss 143.

이후, 치간고리(130) 사이의 치실(143)의 교체를 하고자 하는 경우, 잠금수단(410)과 장력조절수단(450)을 최초의 상태 즉 도 6a와 같은 상태로 제1수용홈(415a)과 치실공급가이드(210) 및 제2수용홈(455a)과 치실회수가이드(230)를 일치시킨다.The locking means 410 and the tension adjusting means 45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5a in the initial state, And the floss supply guide 210,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55a, and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are aligned.

그 다음, 사용자가 도 1과 같이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된 치실(143)의 단부를 잡고 당기면, 새로운 치실(143)은 치실공급가이드(210)를 통해 공급됨과 동시에 사용된 치실(143)은 치실회수가이드(230)를 통해 외부로 회수된다.1, a new dental floss 143 is supplied through the dental floss guide 210, and at the same time, the dental floss 143 (Fig. Is withdrawn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oss collection guide 230.

사용된 치실(143)의 회수가 완료되면 앞서 서술된 방법을 다시 수행하면서 치실(143)의 장력을 유지시키면 된다.When the recovery of the used floss 143 is completed, the tension of the floss 143 may be maintained while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again.

이후, 회수된 치실(143)은 커터(C)를 통해 컷팅하여 폐기하면 된다.Thereafter, the recovered floss 143 is cut through the cutter C and discarded.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실 홀더는,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치실의 이동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치간의 프로씽이 가능한 치실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치실의 오염 및 과다소비를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So that the floss can be moved in the state of being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only the floss capable of prothesising between the teeth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pollution and excessive consumption of the floss.

또한, 간단한 조작만으로 치실의 팽팽한 장력을 유지시키거나 또는 해제가 가능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손가락을 사용하여 치실을 고정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치실의 위생이 안정적으로 담보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nsion of the dental floss can be maintained or released by a simple ope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fix the dental floss using the fingers as in the prior art,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hygiene of the dental floss is stably ensured.

또한, 치실이 치실 홀더 내부를 통해 이동함에 따라 별도의 위생 덮개가 필요치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floss moves through the inside of the floss hold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 separate sanitary lid is needed.

이상, 본 발명의 치실 홀더를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 is no doubt that it is within.

10 : 치실 홀더 100 : 본체
110 : 수납부 111 : 수납공간
113 : 결합구 115 : 단턱
117 : 커버 119 : 끼움구
120 : 탄성지지대 130 : 치간고리
133 : 제1관통공 135 : 제2관통공
140 : 치실타래 143 : 치실
210 : 치실공급가이드 230 : 치실회수가이드
300 : 차폐부재 410 : 잠금수단
411 : 제1삽입구 413 : 잠금레버
415 : 제1삽입봉 415a : 제1수용홈
450 : 장력조절장치 451 : 제2삽입구
453 : 장력레버 455 : 제2삽입봉
455a : 제2수용홈 C : 커터
10: Floss holder 100: Body
110: storage compartment 111: storage compartment
113: Coupling port 115:
117: cover 119:
120: elastic support 130: interdental ring
133: first through hole 135: second through hole
140: chew thread 143: floss
210: Floss supply guide 230: Floss withdrawal guide
300: shielding member 410: locking means
411: first insertion port 413: lock lever
415: first insertion rod 415a: first receiving groove
450: tension adjusting device 451: second insertion hole
453: tension lever 455: second insertion rod
455a: second receiving groove C: cutter

Claims (6)

치실타래(14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111)이 형성된 수납부(110)와, 상기 수납부(110)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탄성지지대(120)와, 상기 탄성지지대(120)의 단부로부터 곡률지게 밴딩 형성되며 치실(143)이 치간 사이로 삽입될 수 있게 치실(143)이 노출된 상태로 걸쳐지도록 하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치간고리(130)로 구성된 본체(100)와;
상기 수납공간(11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탄성지지대(120)를 거쳐 상기 각 치간고리(130)의 단부까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치실타래(140)로부터 공급되는 치실(143)이 상기 한 쌍의 치간고리(130)를 거쳐 수납공간(111) 측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개방된 치실공급가이드(210) 및 치실회수가이드(230)와;
상기 치실공급가이드(2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치간고리(130) 측으로 공급되는 상기 치실(143)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잠금수단(410); 및
상기 치실회수가이드(23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치실(143)을 당겨 상기 한 쌍의 치간고리(130) 사이로 노출된 상기 치실(143)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조절수단(4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
A receiving portion 110 having a receiving space 111 in which the toothed thread 140 is received, an elastic supporting bar 120 extend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110 to a predetermined length, A main body 100 composed of a pair of interdental rings 130 spaced from each other so as to be curved in a curved shape and to spread the dental floss 143 in an exposed state so that the dental floss 143 can be inserted between the teeth;
The teeth 143 are formed from the tooth threads 140 to the ends of the interdental loops 130 via the elastic supporters 120 in a state of being communicated with the storage space 111, A floss supply guide 210 and a floss collection guide 230 that are opened to be returned to the storage space 111 side through the interdental loop 130 of the floss 130;
A locking means (410) rotatably installed on the floss supply guide (210) and selectively controlling supply of the floss (143) supplied to the interdental loop (130) side; And
A tension adjusting means 450 rotatably installed on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and pulling the floss 143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floss 143 exposed between the pair of interdental loops 130; And a plurality of floss hold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410)은,
상기 치실공급가이드(210) 상에 상기 본체(10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제1삽입구(411)와;
상기 제1삽입구(4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에는 상기 치실공급가이드(210)로 공급되는 상기 치실(143)을 수용하는 제1수용홈(415a)이 형성된 제1삽입봉(415)과, 상기 제1삽입봉(415)의 상측에 구비되며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삽입봉(415)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1수용홈(415a)에 수용된 상기 치실(143)이 상기 제1삽입봉(415)의 외주면에 감아지거나 또는 풀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치실(143)의 공급 또는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잠금레버(4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means (410)
A first insertion port 411 form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on the floss supply guide 210;
A first insertion rod 415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insertion port 411 and formed at a lower side thereof with a first receiving groove 415a for receiving the floss 143 supplied to the floss feeding guide 210, The first insertion rod 415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insertion rod 415 and the first insertion rod 415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a lock lever (413) for allowing the floss (143) to be supplied or cut off by being rolled or loosen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rod (4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450)은,
상기 치실회수가이드(230) 상에 상기 본체(10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제2삽입구(451)와;
상기 제2삽입구(45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에는 상기 치실회수가이드(230)로 회수되는 상기 치실(143)을 수용하는 제2수용홈(455a)이 형성된 제2삽입봉(455)과, 상기 제2삽입봉(455)의 상측에 구비되며 조작에 따라 상기 제2삽입봉(455)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2수용홈(455a)에 수용된 상기 치실(143)이 상기 제1삽입봉(415)의 외주면에 감아지거나 또는 풀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치실(143)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레버(4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ension adjusting means (450)
A second insertion port 451 formed on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 second insertion rod 455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insertion port 451 and formed at a lower side thereof with a second receiving groove 455a for receiving the floss 143 recovered by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 The dental floss (143) provid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55a)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insertion rod (455) and the second insertion rod (455) And a tension lever (453) for holding the tension of the dental closure (143) by being rolled or loosen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rod (415).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공급가이드(210) 및 상기 치실회수가이드(230)의 내부는 공급 및 회수되는 상기 치실(143)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실리콘 재질의 차폐부재(300)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inside of the floss supply guide (210) and the floss collection guide (230) is blocked by a shielding member (300) made of silicon so that the floss (143) supplied and recovered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치간고리(130) 중 상기 치실공급가이드(210)가 형성된 상기 치간고리(130)의 단부에는 상기 치실공급가이드(210)와 연통하는 제1관통공(133)이 형성되고, 상기 치실회수가이드(230)가 형성된 상기 치간고리(130)의 단부에는 상기 치실회수가이드(230)와 연통하는 제2관통공(135)이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133)과 제2관통공(135) 사이를 통해 상기 치실(143)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
5. The method of claim 4,
A first through hole 133 communicating with the dental supply guide 21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terdental loop 130 in which the dental supply guide 210 is formed in the pair of interdental loops 130, A second through hole 135 communicating with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terdental loop 130 where the floss collecting guide 230 is formed to connect the first through hole 133 and the second through- (135) to expose the floss (143) external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치실회수가이드(23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치실(143)의 컷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터(C)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cutter (C)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cut the dental floss (143) discharged through the dental flap guide (230).








KR1020130140639A 2013-11-19 2013-11-19 Floss holders KR1014629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639A KR101462916B1 (en) 2013-11-19 2013-11-19 Floss hold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639A KR101462916B1 (en) 2013-11-19 2013-11-19 Floss hold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916B1 true KR101462916B1 (en) 2014-11-19

Family

ID=5229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639A KR101462916B1 (en) 2013-11-19 2013-11-19 Floss hold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91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973B1 (en) * 2016-10-12 2017-02-15 김상한 Dental Floss Holder which can control the tention
KR102009230B1 (en) 2018-02-01 2019-08-09 윤석만 Support apparatus for fixing dental floss
KR102394678B1 (en) 2021-08-11 2022-05-09 장지일 floss holder
KR20240022368A (en) 2022-08-11 2024-02-20 황준서 dental floss hol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426Y1 (en) * 2005-07-13 2005-10-12 이상숙 Interdental cleaning tool
KR101121950B1 (en) * 2011-07-29 2012-03-09 김상한 Dental floss holder which can control the tention
KR20130068916A (en) * 2011-12-16 2013-06-26 주식회사 치아랑 Dental floss holder for the user using orthodontic appliance
KR101307589B1 (en) * 2011-11-25 2013-09-12 강맹수 Dental Floss Holder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426Y1 (en) * 2005-07-13 2005-10-12 이상숙 Interdental cleaning tool
KR101121950B1 (en) * 2011-07-29 2012-03-09 김상한 Dental floss holder which can control the tention
KR101307589B1 (en) * 2011-11-25 2013-09-12 강맹수 Dental Floss Holder Apparatus
KR20130068916A (en) * 2011-12-16 2013-06-26 주식회사 치아랑 Dental floss holder for the user using orthodontic applian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973B1 (en) * 2016-10-12 2017-02-15 김상한 Dental Floss Holder which can control the tention
WO2018070625A1 (en) * 2016-10-12 2018-04-19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Dental floss holder capable of adjusting tension
US20190110874A1 (en) * 2016-10-12 2019-04-18 Sang Han Kim Dental floss holder capable of controlling tension
US11246691B2 (en) * 2016-10-12 2022-02-15 Dongseo Medicare Co., Ltd Dental floss holder capable of controlling tension
KR102009230B1 (en) 2018-02-01 2019-08-09 윤석만 Support apparatus for fixing dental floss
KR102394678B1 (en) 2021-08-11 2022-05-09 장지일 floss holder
KR20240022368A (en) 2022-08-11 2024-02-20 황준서 dental floss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916B1 (en) Floss holders
US3534745A (en) Dental tape holder for power driven tooth cleaning devices
JP3742611B2 (en) Interdental toothbrush
US10743971B2 (en) Dental implem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423338A (en) Dental flossing tool
US9510921B1 (en) High-speed automatic dental flosser
US20060011211A1 (en) Dental floss dispensing and tensioning device
KR101760437B1 (en) Interdental cleaning apparatus using both hands
EP0661953B1 (en) Multiple lock dental floss holder and spool enclosure assembly therefor
US5899214A (en) Dental floss dispenser and applicator used in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KR200246271Y1 (en) Proxabrush including gargle fluid
JP2016150246A (en) Interdental washer used by both hands
KR100756832B1 (en) Interdental cleaning tool
US11331175B2 (en) Dental floss insertion device
US3747612A (en) Dental instrument
KR101813975B1 (en) Available interdental cleaner with both hands
KR101284256B1 (en) Cut Maid take out removable interdental brush
EP4226895A1 (en) Dental floss holder
KR20240022368A (en) dental floss holder
KR102365548B1 (en) Dental floss apparatus having sliding dental floss holder
KR101020097B1 (en) Disposable apparatus for dental cleaning
KR100462903B1 (en) proxa brush including gargle fluid and disinfectant
JP2645353B2 (en) Dental floss holder
KR20090010987U (en) Dental floss holder
WO2002028310A1 (en) A flo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