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403B1 - 식재료용 타공장치 - Google Patents

식재료용 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403B1
KR101462403B1 KR1020130055710A KR20130055710A KR101462403B1 KR 101462403 B1 KR101462403 B1 KR 101462403B1 KR 1020130055710 A KR1020130055710 A KR 1020130055710A KR 20130055710 A KR20130055710 A KR 20130055710A KR 101462403 B1 KR101462403 B1 KR 101462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ase
food ingredients
driving unit
perfor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종
조규철
Original Assignee
천일식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일식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일식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5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5/00Apparatus for handling baked articles
    • A21C15/04Cutting or slic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aked articles other than brea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재료용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재료용 타공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식재료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 상기 베이스의 일측을 향해 왕복 이동되며, 상기 지지부를 향해 돌출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가 상기 베이스 상에서 이동 시에 상기 구동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상기 베이스 위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고정되어 회전하여 상기 식재료의 내부를 파기 위한 칼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재료용 타공장치{Punching device for cooking bread}
본 발명은 식재료용 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재료의 타공을 위한 타공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편의성을 높이고 타공된 구멍의 모양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한 식재료용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요리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식재료의 내부를 파낸 후에 다른 속재료를 채워 넣는 요리 등도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빵의 속을 파낸 후, 별도로 조리된 요리를 빵 속에 넣어 제공함으로써 특별식으로서의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때, 빵 속에 들어가는 요리로는 다양하게 제공될 수도 있으며, 최근에는 스파게티나 파스타를 요리하여 빵 속에 넣어 제공되는 속칭 "빠네 파스타"의 요리가 패밀리 레스토랑 등을 통해 인기리에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빵 속에 요리를 넣기 위해서는, 빵을 제조한 후 빵의 내부를 파내는 작업이 소요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를 위해, 조리자는 칼 증의 식자재 기구를 이용하여 둥근 형태로 제공된 빵의 내부를 파내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빵의 내부를 파내기 위하여 조리자가 직접 식자재 기구를 이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음식점에서 주문이 밀려올 경우, 빵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파내는 일련의 작업은 매우 번거로운 문제 및 작업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한가한 시간에 빵을 미리 파낼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빵의 신선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설령 빵의 신선도와 무관하더라도 수작업으로 인해 조리자의 작업 만족도를 떨어뜨릴 수 있었던 것이다.
둘째, 빵의 내부를 파내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빵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크기가 모든 빵에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빵 모양에 대한 심미감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빵의 내부에 들어가는 요리의 양을 일정하게 맞추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빵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상기 빵뿐만 아니라 식재료의 내부를 파내어 음식을 조리하여야 하는 경우에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다.
김양수. "TGIF의 특별한 빠네 파스타 맛보세요". 포커스 신문사. 2009.03.0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재료의 내부를 편리하고 깔끔하게 파 내기 위하여 식재료에 대한 타공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식재료용 타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리용 타공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식재료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 상기 베이스의 일측을 향해 왕복 이동되며, 상기 지지부를 향해 돌출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가 상기 베이스 상에서 이동 시에 상기 구동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상기 베이스 위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고정되어 회전하여 상기 식재료의 내부를 파기 위한 칼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 위에 형성된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부는 서로 교차된 형태로 고정된 한 쌍의 회전부재; 상기 한 쌍의 회전부 재 중 제1 회전부재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식재료의 타공 직경을 가이드하는 제1날체;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부재 중 제2 회전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식재료의 내부를 파내는 제2날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제1 회전부재의 양단부 중 상기 제1날체의 후단부에 매끄러운 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칼날부가 회전하여 빵의 내부를 판 후에 상기 식재료로부터 나올 때 상기 식재료의 내부를 매끄럽게 마감하는 제3날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부재는 상기 제2날체가 설치된 수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상기 수평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구동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비틀어지게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상기 제1날체 및 제3날체가 설치된 경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판과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이동판의 위치 복원을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모터의 메인 전원 공급을 on/off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는 구동부의 접근을 감지하여 모터의 동력을 일시적으로 on/off 시키기 위한 위치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식재료의 부스러기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커버가 회전축 측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식재료의 부스러기가 낙하되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식재료를 상,하 방향에서 잡아 지지하는 한 쌍의 클램프; 상기 한 쌍의 클램프 중 상방의 클램프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실린더는 에어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료용 타공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식재료에 대한 타공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단시간에 많은 양의 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멍의 크기가 모든 식재료에 균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식재료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둘째, 각기 다른 역할을 하는 복수의 날체가 제공됨으로써, 식재료에 대한 타공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구멍의 크기를 가이드하는 제1날체와, 식재료의 내부를 파내는 제2날체와, 식재료의 내부를 매끄럽게 마감하는 제3날체로 제공됨으로써, 식재료에 대한 타공작업이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셋째, 복수의 날체가 설치된 회전부재는 서로 교차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경사부재는 수평부재를 기준으로 비틀어진 상태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타공으로 인한 식재료의 부스러기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경사부재의 비틀어진 구성으로 인해, 회전부재의 회전시 회전방향이 나선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회전부재의 진행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식재료의 부스러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넷째, 구동부의 이동판과 베이스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됨으로써, 구동부의 위치 복원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베이스의 타측에 위치센서가 설치되어 위치센서의 감지에 의해 구동부가 원위치 되었을 때에는 회전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식재료를 파내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비산방지커버가 설치됨으로써, 식재료에 대한 타공 작업시 식재료 부스러기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환경을 쾌적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한 쌍의 클램프와 클램프를 승강시키는 에어실린더가 제공됨으로써, 식재료에 대한 지지력을 높여 타공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용 타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용 타공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용 타공장치의 회전부재 및 날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용 타공장치의 회전부재 및 날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용 타공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용 타공장치에 의해 완성된 요리빵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용 타공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식재료 중에서 요리빵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식재료용 타공장치는 식재료 내부에 대한 타공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생산성을 높이고, 각기 다른 역할을 하는 복수의 날체를 통해 타공 작업의 효율성을 높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식재료용 타공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와, 위치센서(200)와, 지지부(300)와, 구동부(400)와, 회전부재(500)와 날체(600)로 이루어진 칼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00)는 타공장치의 각 구성이 설치되는 부위이며, 구동부(400)의 주행 경로를 제공한다.
베이스(100)는 사각 형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베이스(100)의 저면에는 받침다리(100a)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베이스(100)에는 구동부(40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일 예로서 상기 베이스(100) 상의 길이 방향으로 레일(110)이 설치된다.
그리고, 베이스(100)의 일측에는 베이스(100)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배출공(100b)이 형성된다.
배출공(100b)은 요리빵 타공 작업시 빵부스러기가 낙하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통로이다.
그리고, 베이스(100)의 일측에는 스토퍼(120)가 설치된다.
스토퍼(120)는 구동부(400)의 주행시, 베이스(100)의 길이 방향으로 과도한 주행을 구속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위치센서(200)는 구동부(400)의 위치를 감지하여 후술하는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위치센서(200)의 구성으로 인해 구동부(400)가 요리빵에 접근되었을 때에만, 회전축의 회전이 작동되고 요리빵에 대한 타공작업이 끝나고 구동부(400)가 원위치 되었을 때에는 위치센서(200)에 근접되어 회전축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센서(200)는 공지된 기술의 모터 위치 센서임이 바람직하며, 베이스(100)의 타측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지지부(300)는 요리빵을 잡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베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지지부(300)는 베이스(100)의 일측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패널(310)과, 한 쌍의 클램프(320)와, 승강실린더(330)를 포함한다.
수직패널(310)은 클램프(320) 및 승강실린더(330)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그리고, 클램프(320)는 요리빵을 상,하 방향에서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수직패널(310)에 설치된다.
클램프(320)는 한 쌍으로 제공되며, 수직패널(310)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클램프(321)와, 고정클램프(321)를 향해 승강되도록 구성된 승강클램프(322)로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320)는 요리빵을 효과적으로 잡아 지지할 수 있도록 호(arc)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승강실린더(330)는 상기 승강클램프(322)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수직패널(310)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승강실린더(330)는 피스톤로드(331)를 포함하며, 피스톤로드(331)는 승강클램프(320)에 고정된다.
즉, 승강실린더(330)의 피스톤로드(331)가 상,하 방향으로 동작됨에 따라, 승강클램프(320)는 고정클램프(321)를 향해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승강실린더(330)는 에어실린더임이 바람직하며, 수직패널(310)에는 승강실린더(330)에 에어공급을 위한 에어공급장치(340)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구동부(400)는 클램프(320)에 고정된 요리빵을 향해 후술하는 회전부재를 왕복 이동시키고, 회전부재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400)는 베이스(100)의 레일(110)을 따라 이동되며, 이동판(410)과, 모터(420)와, 회전축(430)과, 탄성부재(440)를 포함한다.
이동판(410)은 구동부(400)의 각 구성이 설치되며, 레일(110)에 결합되는 부위이다.
이때, 이동판(410)의 저면에는 레일(11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모터(420)는 회전축(430)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이동판(410)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축(430)은 모터(420)의 동력을 받아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모터(420)로부터 지지부(300)를 향해 설치된다.
그리고, 탄성부재(440)는 구동부(400)의 위치 복원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베이스(100)와 이동판(410) 사이에 설치된다.
즉, 구동부(410)는 요리빵 타공을 위해 지지부(300) 측으로 이동된 후, 타공 작업을 마치고 원위치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440)의 복원력에 의해 원활하게 원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탄성부재(400)는 압축코일 스프링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동판(410)에는 비산방지커버(450)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비산방지커버(450)는 요리빵 타공 작업시 빵부스러기가 외부로 무차별하게 비산되는 것을 막아주어 작업 환경을 깨끗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비산방지커버(450)는 이동판(410)의 회전축(430) 측에 회전축(430)을 포함하는 회전부재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투명 재질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회전부재(500)는 구동부(400)의 동력을 통해 회전되면서 날체(600)로 하여금 요리빵을 타공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전부재(500)는 회전축(430)에 설치되며, 서로 교차된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회전부재(500)는 십(十)자 형태로 이루어지되, 어느 하나의 부재는 다른 하나의 부재를 기준으로 경사지고 비틀어진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부재(500)는 수평부재(510)를 포함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수평부재(510)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되 수평부재(510)의 전,후 방향으로 비틀리게 형성된 경사부재(520)를 포함하는 제2 회전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500)의 형태가 완전히 십(十)자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재(520)의 비틀린 형태로 인해 요리빵을 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빵부스러기가 요리빵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즉, 회전부재(500)의 구성은 스크류의 나선 형태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빵부스러기는 회전부재(500)의 진행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경사부재(520)는 수평부재(510)를 기준으로 5도 정도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날체(600)는 요리빵 타공에 대한 실질적인 역할을 하는 구성이며, 회전부재(500)에 설치된다.
날체(6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며, 제1날체(610)와, 제2날체(620)와, 제3날체(630)로 구성된다.
제1날체(610)는 요리빵 타공 구멍에 대한 직경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경사부재(520)의 양단부로부터 지지부(300)를 향해 각각 돌출되게 설치된다.
즉, 제1날체(610)는 요리빵에 형성되는 구멍의 직경을 정하는 구성으로서, 요리빵에 최초 접촉되는 구성이며, 경사부재(52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제1날체(610) 사이의 거리가 요리빵 구멍의 직경에 해당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날체(620)는 요리빵의 내부를 파내는 역할을 하며, 수평부재(510)에 설치된다.
제2날체(620)는 수평부재(51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의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3날체(630)는 요리빵의 파인 내부를 매끄럽게 마감하는 역할을 하며, 경사부재(520)에 설치된다.
이때, 제3날체(630)는 제1날체(610)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매끄러운 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요리빵의 내부를 타공하기 위한 날체(600)가 복수로 구성되되, 각각 다른 역할을 하는 날체(600)로 구성됨으로써, 한 번의 타공 작업시 요리빵의 내부가 매끄럽고 깔끔하게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구동부(400)의 일측에는 구동부(400)의 전원을 on/off 시키기 위한 컨트롤부(C)가 설치되며, 구동부(400)의 타측에는 구동부(400)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윈한 손잡이(H)가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요리빵 타공장치의 타공작업에 대하여 첨부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타공하고자 하는 요리빵(속칭 "하드롤빵"이라 함)을 지지부(300)에 결합시킨다.
이때, 요리빵의 하단부는 고정클램프(321)에 안착되며, 타공되는 부위는 날체(600)를 향하게 한다.
다음으로, 승강실린더(330)를 작동하여 승강클램프(322)를 요리빵의 상단부에 밀착시킨다.
이때, 에어공급장치(340)로부터 에어가 승강실린더(330)에 공급되며, 승강실린더(330)의 피스톤로드(331)가 하강됨에 따라 승강클램프(322)가 요리빵의 상단부를 밀착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컨트롤부(C)의 스위치를 작동하여 타공장치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이때,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더라도, 최초 상태에서는 구동부(400)의 위치가 위치센서(200)에 근접되어 있으므로, 모터(420)의 동력이 발생하지는 않게 된다.
다음으로, 지지부(300)에 요리빵을 타공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H)를 잡고 구동부(400)를 요리빵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판(410)은 레일(110)을 따라 요리빵으로 이동이 되며 이동판(410)의 이동과 동시에, 구동부(400)가 위치센서(20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모터(420)의 동력으로 인해 회전부재(500)는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이동판(410)이 요리빵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동판(410)과 베이스(100) 사이에 연결된 탄성부재(440)는 늘어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요리빵에 날체(600)가 접촉되도록 손잡이를 잡고 이동판(410)을 서서히 이동시키면, 회전부재(500)의 회전으로 인해 날체(600)들은 요리빵을 타공시키게 된다.
이때, 이동판(410)은 베이스(100) 일측의 스토퍼에(120) 걸려 더 이상의 과도한 이동은 단속된다.
물론, 상기한 스토퍼(120)의 위치는 요리빵 내부의 타공 깊이를 최적화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제1날체(610)는 요리빵의 가장자리를 파내면서 구멍의 직경을 가이드하고, 제2날체(620)는 제1날체(610)에 의해 가이드된 구멍의 내부를 파내게 된다.
이때, 제2날체(620)의 타공 작업시 발생하는 빵부스러기는 경사부재(520)의 나선 방향에 따른 회전에 의해 회전부재(500)의 진행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배출이 된다.
또한, 요리빵의 내부로부터 배출되어 비산되는 빵부스러기는 비산방지커버(450)에 의해 외부로 흩어지지 않고 베이스(100)에 형성된 배출공(100b)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어 배출된다.
다음으로, 요리빵의 타공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손잡이(H)를 잡고 이동판(410)을 베이스(100)의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탄성부재(440)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판(410)의 이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판(410)이 원위치 되는 과정에서 요리빵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제3날체(630)는 매끄러운 면이 요리빵의 내부를 매끄럽게 마감시키게 된다.
이후, 이동판(410)은 원래 위치로 이동이 되고, 베이스(100)의 타측에 설치된 위치센서(200)에 걸려 이동이 멈추게 된다.
이때, 위치센서(200)는 이동판(410)이 근접됨에 따라, 모터(420)의 동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요리빵에 대한 타공 작업이 실시되지 않는 순간에는 회전부재(500)의 회전이 정지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승강실린더(330)를 작동하여 승강클램프(322)를 상방으로 상승시킨 후, 고정클램프(321)로부터 요리빵을 꺼냄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요리빵이 완성된다.
이후,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복수의 요리빵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요리빵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용 타공장치는 타공이 가능한 다양한 식재료에 적용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재료용 타공장치에 의하면 식재료에 대한 타공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각각 다른 역할을 하는 복수의 날체를 구성함에 따라, 한 번 작업으로 요리빵에 대한 타공이 깔끔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베이스 100a : 받침다리
100b : 배출공 120 : 스토퍼
200 : 위치센서 300 : 지지부
310 : 수직패널 320 : 클램프
321 : 고정클램프 322 : 승강클램프
330 : 승강실린더 331 : 피스톤로드
340 : 에어공급장치 400 : 구동부
410 : 이동판 411 : 결합부재
420 : 모터 430 : 회전축
440 : 탄성부재 450 : 비산방지커버
500 : 회전부재 510 : 수평부재
520 : 경사부재 600 : 날체
610 : 제1날체 620 : 제2날체
630 : 제3날체 C : 컨트롤부
H : 손잡이

Claims (12)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식재료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
    상기 베이스의 일측을 향해 왕복 이동되며, 상기 지지부를 향해 돌출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가 상기 베이스 상에서 이동 시에 상기 구동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상기 베이스 위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고정되어 회전하여 상기 식재료의 내부를 파기 위한 칼날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메인 전원 공급을 on/off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는 구동부의 접근을 감지하여 모터의 동력을 일시적으로 on/off 시키기 위한 위치센서가 더 설치되는
    식재료용 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 위에 형성된 레일로 이루어지는,
    식재료용 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서로 교차된 형태로 고정된 한 쌍의 회전부재;
    상기 한 쌍의 회전부 재 중 제1 회전부재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식재료의 타공 직경을 가이드하는 제1날체;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부재 중 제2 회전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식재료의 내부를 파내는 제2날체를 포함하는,
    식재료용 타공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제1 회전부재의 양단부 중 상기 제1날체의 후단부에 매끄러운 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칼날부가 회전하여 빵의 내부를 판 후에 상기 식재료로부터 나올 때 상기 식재료의 내부를 매끄럽게 마감하는 제3날체:를 더 포함하는
    식재료용 타공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는 상기 제2날체가 설치된 수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상기 수평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구동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비틀어지게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상기 제1날체 및 제3날체가 설치된 경사부재를 포함하는,
    식재료용 타공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판과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이동판의 위치 복원을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식재료용 타공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식재료용 타공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는
    식재료용 타공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식재료의 부스러기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커버가 회전축 측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식재료의 부스러기가 낙하되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식재료용 타공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식재료를 상,하 방향에서 잡아 지지하는 한 쌍의 클램프;
    상기 한 쌍의 클램프 중 상방의 클램프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료용 타공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는 에어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료용 타공장치.
KR1020130055710A 2013-05-16 2013-05-16 식재료용 타공장치 KR101462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710A KR101462403B1 (ko) 2013-05-16 2013-05-16 식재료용 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710A KR101462403B1 (ko) 2013-05-16 2013-05-16 식재료용 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403B1 true KR101462403B1 (ko) 2014-11-17

Family

ID=5229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710A KR101462403B1 (ko) 2013-05-16 2013-05-16 식재료용 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4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3946A (ja) * 1993-11-02 1995-05-16 Yamani:Kk 梅製品及びその梅製品の製造方法
KR19980025350A (ko) * 1998-04-15 1998-07-06 김은숙 대추씨 제거방법및 씨없는 대추가공품
KR101145865B1 (ko) * 2011-12-13 2012-06-14 농업회사법인대흥(주) 대추씨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3946A (ja) * 1993-11-02 1995-05-16 Yamani:Kk 梅製品及びその梅製品の製造方法
KR19980025350A (ko) * 1998-04-15 1998-07-06 김은숙 대추씨 제거방법및 씨없는 대추가공품
KR101145865B1 (ko) * 2011-12-13 2012-06-14 농업회사법인대흥(주) 대추씨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0177B2 (ja) 食品の粉砕のための器具
KR20140069161A (ko) 휴대용 주방기구
CN110840220B (zh) 炒食机
US3890707A (en) Kitchen knife
ATE314178T1 (de) Küchengerät zum schneiden von schneidgut
KR20120028617A (ko) 돈까스 편육기
CN105835104A (zh) 一种家用土豆切丝机
KR101747808B1 (ko) 야채가위
KR101462403B1 (ko) 식재료용 타공장치
CN105640374A (zh) 一种厨房用切丝盒
KR101685593B1 (ko) 진공 조리 장치
KR20160059701A (ko)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JP3213847U (ja) キッチン鋏
CN204172072U (zh) 一种自动切菜板
US3004340A (en) Kitchen utensil
CN205735115U (zh) 一种家用土豆切丝机
KR200405892Y1 (ko) 김밥 및 순대 절단기
KR101421068B1 (ko) 소시지 칼집성형기
KR101961212B1 (ko) 꼬치 꼬챙이 절단기
KR20230107100A (ko) 밤호박 가공장치
CN106217458B (zh) 一种厨房用正方形切丝器
CN219948811U (zh) 包覆膜层掀开机构
KR101567009B1 (ko) 식재료 다짐기
KR101646648B1 (ko) 불판용 구이기구
CN209633091U (zh) 一种将食物切成条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