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378B1 - Wheelchair with lift - Google Patents

Wheelchair with li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378B1
KR101462378B1 KR20140043135A KR20140043135A KR101462378B1 KR 101462378 B1 KR101462378 B1 KR 101462378B1 KR 20140043135 A KR20140043135 A KR 20140043135A KR 20140043135 A KR20140043135 A KR 20140043135A KR 101462378 B1 KR101462378 B1 KR 101462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heelchair
rail
support fram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31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윤택
Original Assignee
임윤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윤택 filed Critical 임윤택
Priority to KR20140043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3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3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lift, which allows a patient to easily get on the wheelchair while being laid or sitting by providing a seat moving up and down, and to easily urinate by providing a rotary seat unit which helps positioning on a lavatory bowl. The wheelchair equipped with a lift includes a wheelchair frame having front wheels at the front and rear wheels at the rear and being assembled into a chair by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nd horizontal frames; a base frame; a first supporting frame; a seat member; a second supporting frame; an arm member; and an adjusting rod member.

Description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WHEELCHAIR WITH LIFT}WHEELCHAIR WITH LIFT < RTI ID = 0.0 >

본 발명은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석이 상, 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누워있거나 앉은 상태에서 휠체어 손쉽게 올라탈 수 있고, 좌석부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양변기 상에 위치시킬 수 있어 용변이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having a lif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eelchair which can be lifted up and down so that a patient who is uncomfortable to move can easily climb up a wheelchair in a lying or sitting st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lift which can be placed on a toilet seat while being seated on a wheelchair so that the toilet can be easily handled.

침대나 바닥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이동시 휠체어를 필요로 하는 신체장애인, 중병 환자들은 병원 또는 그와 유사한 시설, 가정 내에서 휠체어로 이동할 경우에는 반드시 간병인으로부터 안전한 도움을 받아야 한다. 또한 배변이나 배뇨시 화장실로의 이동키 위해서도 마찬가지로 반드시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한 불편함이 있었다.Persons with physical or mental illness who need a wheelchair when moving in bed or on the floor should receive safe help from their caregiver if they move to a wheelchair in a hospital or similar facility or home. In addition,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the caregiver had to be assisted to move to the toilet in case of bowel movement or urination.

따라서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로 환자의 엉덩이 부분에 간이변기를 대고 용변을 보게하는 방법이 사용되지만, 환자에게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뒷처리도 쉽지 않고 무엇보다 환자나 보호자는 물론 주변 사람들에게 까지 용변 냄새가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although the patient is lying on the buttocks of the patient, a method of letting the toilet pass the toilet is used, but it is not only inconvenient to the patient but also easy to handle, and it is not easy for the patient or the caregiver, I had an issue.

따라서 휠체어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도 정신적, 육체적 고통 때문에 불편을 겪게 되는바 이는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며, 또 간병인의 수발드는 시간도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사회문제의 조속한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Therefore, those who need a wheelchair experience discomfort due to mental and physical pain, which is a big problem in society. Moreover, since the time for caregivers is limited, the rapid improvement of such social problems is required have.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01101호(2005.07.05)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01101 (2005.07.05)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43984호(2001.08.10)2.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3984 (Aug. 10, 2001)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031622호(2014.03.13)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31622 (Apr. 13, 201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좌석이 상, 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누워있거나 앉은 상태에서 휠체어 손쉽게 올라탈 수 있고, 좌석부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양변기 상에 위치시킬 수 있어 용변이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ilet seat which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so that a patient who is uncomfortable to move can easily ascend and descend in a state of being laid or sitting,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andle the toilet.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에 전륜바퀴가 구비되고 후방에 후륜바퀴가 구비되며 다수의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에 의해 의자 형상으로 조립되는 휠체어 프레임과,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하부 양측 구비되고 내측에 제 1 레일이 마련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 1 레일에 그 하단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엑스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 여부에 따라 그 높이가 조절되는 제 1 지지프레임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의 상단이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 되는 나사봉이 마련되되 상기 나사봉의 전방에는 웜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의 높이조절 여부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승, 하강 되는 좌석부재와, 상기 나사봉에 설치된 상기 제 1 지지프레임과 그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지지프레임과 동일한 엑스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의 이동 및 높이조절 여부에 따라 연동되며 그 높이가 조절되는 제 2 지지프레임과,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내주면에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의 상단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레일이 마련되어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의 높이 조절 여부에 따라 상기 좌석부재 상에서 승, 하강 되는 팔걸이부재와, 상기 좌석부재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웜기어와 치합되어 그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나사봉을 회전시켜 상기 나사봉에 그 상, 하단이 각각 결합 된 상기 제 1 지지프레임과 제 2 지지프레임의 높이 조절이 제어되게 하는 조절봉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frame having a front wheel on the front side and a rear wheel on the rear side and assembled in a chair shape by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nd horizontal frames, A first support frame provided on the first rail so as to be movable in a lower end thereof and formed in an X-like shape, the height of which is adjusted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frame; A seat member having a screw rod to which an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is movably screwed, a worm gear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screw rod, a seat member being lifted and lowered on the base frame according to a height adjustment of the first support frame, The first supporting frame provided on the threaded ro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thereof, A second support frame formed in the same X-shape and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and height adjustment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adjusted in height, a second support frame formed in a "C" shape, An armrest member provided with a second rail movably coupled at an upper end thereof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on the seat member according to whether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frame is adjusted and an armrest member rotatably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at member, And a control rod which rotates the screw ro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crew rod so as to control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coupled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crew rod,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providing a wheelchair provided with a lift for lift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휠체어 프레임은 전방의 제 1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 1 수직프레임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후방의 제 2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 1 수직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제 2 수직프레임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양측의 제 1 수평프레임과, 상기 제 1 수평프레임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수평프레임과, 상기 제 1 수직프레임 및 제 2 수직프레임의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양측의 제 3 수평프레임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wheelchair frame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at the front, a second vertical frame at the rear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having a handle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A first horizontal frame connected to the upper end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a second horizontal fram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a second horizontal frame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a third horizontal frame on both sides connecting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좌석부재의 후방에는 제 3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제 3 레일의 수직방향 상부에 위치된 상기 팔걸이부재 측에는 제 4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제 3 레일 및 제 4 레일에는 그 하단과 상단이 각각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엑스자 형상의 제 3 지지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rail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above-described seat member, a fourth rail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armrest member positioned above the third rai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hird and fourth rails And a third support frame having an X-letter shape in which a lower end and an upper end of the third support frame are movably connec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좌석부재는, 하부에 위치되며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된 하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 상에 회동 가능하게 적층 설치되며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관통구가 개폐되는 상부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seat member includes a lower seat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and formed with a through hole at the center thereof, an upper seat rotatably stacked on the lower seat, .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양측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일측은 상기 제 3 수평프레임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 3 수평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2 수평프레임 중 일측은 상기 제 1 수평프레임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 1 수평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base frame on both sides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hird horizontal frame and the other side is hinged to be pivotably coupled with the third horizontal fram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other is hinged to be rotatable with the first horizontal fram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양측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는 보조 프레임이 더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frame is further connected between the base frames on both sid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에 따르면 첫째, 좌석이 상, 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누워있거나 앉은 상태에서 휠체어 손쉽게 올라탈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wheelchair provided with the lif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so that the patient can easily climb the wheelchair in a sitting or lying state.

또한 둘째, 좌석부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양변기 상에 위치시킬 수 있어 용변이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ly, the seat can be rotated so that it can be positioned on the toilet seat while sitting on the wheelchair, so that the toilet can be easily hand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가 구비된 휠체어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가 구비된 휠체어의 작동도.
도 5a 내지 도 6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가 구비된 휠체어의 사용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chair provided with a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4 are views illustrating operation of a wheelchair provided with a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and 6B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a wheelchair provided with a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가 구비된 휠체어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a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가 구비된 휠체어의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5a 내지 도 6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가 구비된 휠체어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chair with a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to 4 illustrate operation of a wheelchair with a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wheelchair provided with a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는 전방에 전륜바퀴가 구비되고 후방에 후륜바퀴가 구비되며 다수의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에 의해 의자 형상으로 조립되는 휠체어 프레임과,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하부 양측 구비되고 내측에 제 1 레일이 마련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 1 레일에 그 하단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엑스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 여부에 따라 그 높이가 조절되는 제 1 지지프레임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의 상단이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 되는 나사봉이 마련되되 상기 나사봉의 전방에는 웜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의 높이조절 여부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승, 하강 되는 좌석부재와, 상기 나사봉에 설치된 상기 제 1 지지프레임과 그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지지프레임과 동일한 엑스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의 이동 및 높이조절 여부에 따라 연동되며 그 높이가 조절되는 제 2 지지프레임과,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내주면에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의 상단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레일이 마련되어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의 높이 조절 여부에 따라 상기 좌석부재 상에서 승, 하강 되는 팔걸이부재와, 상기 좌석부재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웜기어와 치합되어 그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나사봉을 회전시켜 상기 나사봉에 그 상, 하단이 각각 결합된 상기 제 1 지지프레임과 제 2 지지프레임의 높이 조절이 제어되게 하는 조절봉부재가 포함된다.
A wheelchair having a lif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heelchair frame having a front wheel on the front side and a rear wheel on the rear side and being assembled into a chair by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nd horizontal frames, A first support frame having a lower end movably provided on the first rail and formed in an X-like shape and having a height adjusted according to movement; A worm gear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screw rod, and a worm gear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worm gear so that the worm gear is provided on the base frame A first supporting frame provided on the screw rod, A second support fram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and formed in the same X-shape as the first support frame and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and height adjustment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adjusted in height, And a second rail on which an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is movably engaged is provided on bo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frames, the armrest member being lifted and lowered on the seat member according to whether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frame is adjusted, And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crew rod, is controlled by rotating the screw rod according to whether the worm gear is rotated And a control rod member.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1)의 구성부재 및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stituent members of the wheel chair 1 equipped with the lif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여기서 휠체어 프레임(100)은 다수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에 의해 휠체어 형상으로 조립 형성되고, 전방과 후방에 이동 가능한 전륜바퀴(110) 및 후륜바퀴(120)가 각각 구비되며,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wheelchair frame 100 includes a front wheel 110 and a rear wheel 120 that are assembled in a wheelchair shape by a plurality of vertical and horizontal frames and are movable forward and rearward, Are installed to be operable.

이와 같은 휠체어 프레임(100)은 전방 양측에 위치되는 제 1 수직프레임(130)과, 제 1 수직프레임(130) 후방에 위치되며 상부에 손잡이(141)가 구비된 후방의 제 2 수직프레임(140)과, 제 1 수직프레임(130)의 상단 및 제 2 수직프레임(140)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양측의 제 1 수평프레임(150)과, 제 1 수평프레임(150)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수평프레임(160)과, 제 1 수직프레임(130) 및 제 2 수직프레임(140)의 하단을 각각 11자 형상으로 연결하는 양측의 제 3 수평프레임(170)이 포함된다.The wheelchair frame 100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130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and a second vertical frame 140 positioned behind the first vertical frame 130 and having a knob 141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first horizontal frame 15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30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140 and a second horizontal frame 150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50, Two horizontal frames 160 and a third horizontal frame 170 on both sides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3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140 in an 11-letter shape.

그리고 전술한 제 2 수평프레임(160) 중 일측은 제 1 수평프레임(15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제 1 수평프레임(150)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때 회동되는 방향은 추후에 설명될 베이스 프레임(200)과 동일한 방향인 것으로 한다. 또한 탈착 가능한 결합방법은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체결나사에 의한 탈착이 될 수도 있으나, 종래기술에 따른 다양한 탈착 방법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회동방법은 힌지 체결에 의한 것으로 하되, 이는 추후에 설명될 베이스 프레임(200)의 회동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6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150 and the other side is pivotally hinged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150.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base frame 20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although the detachable coupling method may be a detachment by a fastening screw as shown in the drawing, one of various detachment methods according to the prior art may be selectively used, and the method of rotation may be a hinge fastening, The same applies to the rotation of the base frame 200 to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은 휠체어 프레임(100)은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일정 강도 이상을 갖되 이동이 용이하도록 경량화가 가능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heelchair frame 10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certain strength or more enough to support the user's body weight and lightweight so as to facilitate movement.

또한 이와 같은 휠체어 프레임(100)은 후륜바퀴(120) 외측에 구비된 링 부재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될 수도 있고, 별도의 전동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The wheelchair frame 100 may be manually moved by a ring member provided outside the rear wheel 120, or may be automatically moved by a separate driving means (not shown).

한편, 전술한 휠체어 프레임(100)의 하부 양측에는 베이스 프레임(200)이 구비되는데, 이 베이스 프레임(200)은 추후에 설명될 제 1 지지프레임(300)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그 내측에 제 1 레일(210)이 마련된다.Meanwhile, a base frame 2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chair frame 100. The base frame 200 serves to move the first support frame 300 to be described later A first rail 210 is provided on the inside thereof.

이와 같은 양측의 베이스 프레임(200) 중 그 일측은 제 3 수평프레임(17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제 3 수평프레임(170)과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데, 이는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1)를 보관 또는 운반하기 위해 휠체어 프레임(100)을 접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술한 베이스 프레임(200) 사이에는 양측을 지지해 줄 수 있는 보조 프레임(220)이 한 개 이상 더 구비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base frame 200 on both sides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hird horizontal frame 170 and the other side is hinged to the third horizontal frame 170 in a rotatable manner, In order to allow the wheelchair frame 100 to be folded to store or carry the body 1. In addition, one or more auxiliary frames 2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ase frames 200 to support both sides.

전술한 베이스 프레임(200)에 구비된 제 1 레일(210)에는 제 1 지지프레임(300)의 하단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제 1 지지프레임(300)은 추후에 설명될 좌석부재(400)를 승,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300 is movably installed on the first rail 210 provided on the base frame 200. The first support frame 300 includes a seat member 400 ) To increase and decrease.

이와 같은 제 1 지지프레임(300)은 선형의 프레임 두 개가 엑스자 형상으로 교차되고 그 교차지점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 되는데, 이는 추후에 설명될 제 2 지지프레임(500)과 제 3 지지프레임(800)에 동일하게 적용된다.In this first support frame 300, two linear frames are crossed in an X-like shape and their intersection points are pivotally hinged to each other. This is hinged to a second support frame 500 and a third support frame 800).

또한 전술한 제 1 지지프레임(300)은 물론 제 2 지지프레임(500)과 제 3 지지프레임(800)은 좌석부재(400)의 승, 하강 높이와 레일 그리고 나사봉(410)의 길이를 고려하여 그 크기가 결정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좌석부재(400)가 제 1 수평프레임(150) 및 제 2 수평프레임(160)의 높이까지 승강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설거지 등의 작업을 위해 더 높은 위치까지 승강 가능하게 설계될 수도 있다.The second supporting frame 500 and the third supporting frame 800 as well as the first supporting frame 300 described above consider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heights of the seat member 400 and the length of the rail and the screw rod 410 The seat member 400 is elevated up to the height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50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60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designed to be elevated to a high position.

또한 전술한 제 1 지지프레임(300)은 그 상단에 지지되는 추후에 설명될 좌석부재(400)와 좌석부재(400)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견고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support frame 300 is preferably made of a rigid metal material so a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ser who is seated on the seat member 400 and the seat member 400 to be described later .

한편, 전술한 제 1 지지프레임(300)의 상단에는 좌석부재(400)가 연결 위치되는데 이 좌석부재(400)는 휠체어 사용자가 착석함은 물론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용변을 해결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Meanwhile, a seat member 40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300. The seat member 400 serves to enable the user of the wheelchair to sit on the wheelchair, .

이와 같은 좌석부재(4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전술한 제 1 지지프레임(300)의 상단이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나사봉(410)이 마련되되 이 나사봉(410)의 전방에는 웜기어(420)가 구비되며, 제 1 지지프레임(300)의 높이조절 여부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200) 상에서 승, 하강이 이루어진다.The seat member 4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provided at both sides thereof with a screw rod 410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300 is movably screwed, The worm gear 420 is provided and the worm gear 420 is lifted and lowered on the base frame 200 according to whether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frame 300 is adjusted.

그리고 전술한 좌석부재(400)는, 하부에 위치되며 중앙에 관통구(431)가 형성된 하부시트(430)와, 이 하부시트(430) 상에 회동 가능하게 적층 설치되며 회동 여부에 따라 관통구(431)가 개폐되는 상부시트(440)로 이루어진다.The seat member 400 includes a lower seat 430 having a through hole 431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nd a pivot hole 43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at member 400. The seat member 400 is rotatably stacked on the lower seat 430, And an upper sheet 440 which is opened and closed.

따라서 사용자가 착석할 시에는 상부시트(440)가 회동되지 않은 상태, 즉 하부시트(430) 상에 상부시트(440)가 겹쳐진 상태에서 사용되고, 용변을 볼 때에는 상부시트(440)가 회동 된 상태에서 관통구(431) 하부에 양변기가 위치될 수 있도록 양변기 측에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1)를 진입시킨다.Accordingly, when the user is seated, the upper sheet 440 is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heet 440 is not rotated, that is, the upper sheet 440 is overlapped on the lower sheet 430, A wheelchair 1 having a lif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toilet so that the toilet can be positioned under the through-hole 431.

이때 상부시트(440)의 전방에는 걸이구(441)가 구비되고 추후에 설명될 팔걸이부재(600)에는 고정구(630)가 구비되어 상부시트(440)가 회동 된 상태에서 걸이구(441)를 고정구(630) 측에 고정시켜 회동 된 상부덮개가 임의로 원위치 되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a hooking hole 441 is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sheet 440 and a fixing hole 630 is provided in the armrest member 6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hooking hole 441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heet 440 is rotated And is fixed to the fixture 630 side to prevent the rotated top cover from being displaced arbitrarily.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시트(440)의 저면에는 상부시트(440)가 회동된 상태에서 착석자의 등 부위가 지지 될 수 있도록 쿠션감 있는 시트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전술한 시트는 관통구(4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시트(440)가 하부시트(430) 측으로 원위치 될 때 관통구(431) 내로 삽입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though not shown, a cushioning sheet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heet 440 so that the back part of the seated person can be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heet 440 is rotated. In this case, 431 a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31 when the upper sheet 440 is retracted toward the lower sheet 430.

한편, 전술한 나사봉(410)에 설치된 제 1 지지프레임(300)에는 제 2 지지프레임(500)의 하단이 연결되는데, 이 제 2 지지프레임(500)은 추후에 설명될 팔걸이부재(600)를 좌석부재(400) 상에서 상, 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제 1 지지프레임(300)과 동일한 엑스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지지프레임(300)의 이동 및 높이조절 여부에 따라 연동되며 그 높이가 조절된다.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500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300 provided on the screw rod 410. The second support frame 500 is connected to the arm member 600, The first supporting frame 300 is formed in the same X-shape as the first supporting frame 300 to move up and down the first supporting frame 300, And the height thereof is adjusted.

그리고 전술한 제 2 지지프레임(500)의 상단에는 팔걸이부재(600)가 연결되는데, 이 팔걸이부재(600)는 착석자의 팔이 거치되고 상부시트(440)가 회동되지 않을 시에 등 부위를 지지해 줌으로써 좌, 우 방향 또는 후방으로 쓰러지지 않게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An armrest member 60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500. The armrest member 600 supports the seat back when the arm of the seated person is seated and the upper seat 440 is not rotated And protects it from collapsing to left, right or rear.

이와 같은 팔걸이부재(60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내주면에 제 2 지지프레임(500)의 상단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레일(610)이 마련되어 제 2 지지프레임(500)의 높이 조절 여부에 따라 좌석부재(400) 상에서 승, 하강시키게 된다.The armrest member 600 is formed in a shape of a letter C and has a second rail 610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n both sides of whic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500 is movably engaged, And is raised and lowered on the seat member 400 according to the height adjustment.

이때 전술한 팔걸이부재(600)는 좌석부재(400) 및 베이스 프레임(200) 측으로 하강 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회동 될 수 있도록 그 외측 가장자리가 좌석부재(400) 및 베이스 프레임(200)의 그것에 비해 내측으로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er edge of the armrest member 600 is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at member 400 and the base frame 200 so as to be smoothly rotated in a state of being lowered toward the seat member 400 and the base frame 200. [ As shown in Fig.

한편, 전술한 좌석부재(400)의 후방과 그 수직 상부의 팔걸이부재(600)에는 제 3 지지프레임(800)이 더 설치되는데, 이 제 3 지지프레임(800)은 전술한 좌석부재(400)와 팔걸이부재(6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승, 하강 될 수 있게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third support frame 800 is further provided on the rear of the seat member 400 and on the upper right portion of the armrest member 600. The third support frame 800 includes the above- And the armrest member 600 can be more stably raised and lowered.

이를 위해 전술한 좌석부재(400)의 후방에는 제 3 레일(161)이 마련되고, 제 3 레일(161)의 수직방향 상부에 위치된 팔걸이부재(600) 측에는 제 4 레일(620)이 마련되며, 이 제 3 레일(161) 및 제 4 레일(620)에는 그 하단과 상단이 각각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엑스자 형상의 제 3 지지프레임(800)이 설치된다.
A third rail 161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eat member 400 and a fourth rail 62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armrest member 600 locat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third rail 16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third support frame 800 having an X-shaped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third support frame 800 are movably connected to the third rail 161 and the fourth rail 620, respectively.

그리고 전술한 좌석부재(400)에는 조절봉부재(700)가 위치되는데 이 조절봉부재(700)는 그 회전 여부에 따라 제 1 지지프레임(300), 제 2 지지프레임(500)의 높이조절이 제어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the seat member 400 described above, the adjusting rod member 700 is positioned so that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ing frame 300 and the second supporting frame 50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adjusting rod member 700 To be controlled.

이와 같은 조절봉부재(700)는 좌석부재(400)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술한 나사봉(410) 측의 웜기어(420)와 치합되어 그 회전 여부에 따라 나사봉(410)을 회전시키고, 나사봉(410)에 나사결합된 제 1 지지프레임(300)과 제 2 지지프레임(500)의 높이 조절이 제어되면서 좌석부재(400) 및 팔걸이부재(600)의 승, 하강이 연속적으로 제어된다.
The adjusting rod member 700 is rotat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seat member 400 and is engaged with the worm gear 420 on the side of the screw rod 410 to rotate the screw rod 410 And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first support frame 30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500 screwed to the screw rod 410 is controlled so that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seat member 400 and the armrest member 600 are continuously Respectively.

이하에는 도 5a 내지 도 6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wheelchair 1 having a lif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6B.

침대나 바닥에 누워있는 사용자를 좌석부재(400)에 앉히기 위해서 먼저 관통구(431)가 폐쇄되도록 상부시트(440)를 하부시트(430) 상으로 적층 위치시키고 좌석부재(400) 및 팔걸이부재(600)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조절봉부재(700)를 회전시킨다.The upper seat 440 is stacked on the lower seat 430 so that the through hole 431 is closed so that the user lying on the bed or the floor is seated on the seat member 400. The seat member 400 and the armrest member 600 are lowered.

조절봉부재(700)를 회전시키면 이에 치합 된 웜기어(420)가 회전되며 동시에 좌석부재(400) 양측의 나사봉(410)이 회전되면서 나사봉(410)에 나사결합된 제 1 지지프레임(300)과 제 2 지지프레임(500)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된다.The worm gear 420 engaged with the worm gear 420 is rotated while the screw rod 410 on both sides of the seat member 400 is rotated and the first support frame 300 screwed to the screw rod 4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500 are opened to both sides.

환자가 앉을 수 있는 높이까지 좌석부재(400)와 팔걸이부재(600)의 하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스스로 좌석부재(400)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lowering of the seat member 400 and the armrest member 600 is completed to the height at which the patient can sit, the user can move to the seat member 400 by himself.

좌석부재(400)로 이동한 후에는 양측으로 벌어진 제 1 지지프레임(300)과 제 2 지지프레임(500)이 모아지도록 조절봉부재(70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좌석부재(400) 및 팔걸이부재(600)를 적절한 높이까지 승강시킨다.
After the seat member 400 is moved to the seat member 400, the adjustment rod member 70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support frame 30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500, The member 600 is lifted to an appropriate height.

또한, 용변을 보기 위해서는 먼저 관통구(431)가 개방되도록 상부시트(440)를 하부시트(430)로부터 회동시키고 걸이구(441) 및 고정구(630)를 이용해 팔걸이부재(600) 측에 위치고정시킨다.The upper seat 440 is rotated from the lower seat 430 so that the through hole 431 is opened and the lower seat 430 is fixed to the armrest member 600 side by using the hooking holes 441 and the fixing holes 630. [ .

그런 다음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좌석부재(400) 측에 착석한 뒤, 관통구(431)의 하부에 양변기가 위치되도록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1)를 양변기 측으로 진입시켜 용변을 해결한다.
Then, after sitting on the side of the seat member 400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wheelchair 1 having the lift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toilet so that the toilet can be positioned below the through hole 431.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not limited.

1 :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100 : 휠체어 프레임
110 : 전륜바퀴 120 : 후륜바퀴
130 : 제 1 수직프레임 140 : 제 2 수직프레임
141 : 손잡이 150 : 제 1 수평프레임
160 : 제 2 수평프레임 161 : 제 3 레일
170 : 제 3 수평프레임 200 : 베이스 프레임
210 : 제 1 레일 220 : 보조 프레임
300 : 제 1 지지프레임 400 : 좌석부재
410 : 나사봉 420 : 웜기어
430 : 하부시트 431 : 관통구
440 : 상부시트 441 : 걸이구
500 : 제 2 지지프레임 600 : 팔걸이부재
610 : 제 2 레일 620 : 제 4 레일
630 : 고정구 700 : 조절봉부재
800 : 제 3 지지프레임
1: a wheelchair with a lift 100: a wheelchair frame
110: front wheel 120: rear wheel
130: first vertical frame 140: second vertical frame
141: handle 150: first horizontal frame
160: second horizontal frame 161: third rail
170: third horizontal frame 200: base frame
210: first rail 220: auxiliary frame
300: first support frame 400: seat member
410: NASA rod 420: Worm gear
430: lower sheet 431: through hole
440: upper sheet 441:
500: second support frame 600: armrest member
610: second rail 620: fourth rail
630: fixture 700: adjustable rod member
800: third support frame

Claims (6)

전방에 전륜바퀴가 구비되고 후방에 후륜바퀴가 구비되며 다수의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에 의해 의자 형상으로 조립되는 휠체어 프레임;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하부 양측 구비되고 내측에 제 1 레일이 마련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 1 레일에 그 하단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엑스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 여부에 따라 그 높이가 조절되는 제 1 지지프레임;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의 상단이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 되는 나사봉이 마련되되 상기 나사봉의 전방에는 웜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의 높이조절 여부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승, 하강 되는 좌석부재;
상기 나사봉에 설치된 상기 제 1 지지프레임과 그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지지프레임과 동일한 엑스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의 이동 및 높이조절 여부에 따라 연동되며 그 높이가 조절되는 제 2 지지프레임;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내주면에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의 상단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레일이 마련되어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의 높이 조절 여부에 따라 상기 좌석부재 상에서 승, 하강 되는 팔걸이부재; 및
상기 좌석부재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웜기어와 치합되어 그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나사봉을 회전시켜 상기 나사봉에 그 상, 하단이 각각 결합된 상기 제 1 지지프레임과 제 2 지지프레임의 높이 조절이 제어되게 하는 조절봉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A wheelchair frame having a front wheel on the front side and a rear wheel on the rear side and assembled in a chair shape by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nd horizontal frames;
A base fram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chair frame and having a first rail on the inner side thereof;
A first support frame having a lower end movably installed on the first rail and formed in an X-like shape, the height of which is adjusted according to movement;
And a worm gear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crew rod, and a worm gear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crew rod so that the worm gear is worn on the base frame according to whether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frame is adjusted. A lowered seat member;
The first supporting frame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ing frame and is formed in the same X-shape as the first supporting frame.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ing frame is adjusted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supporting frame is moved or height- 2 support frame;
A second rail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is movably engaged with the second support frame, ; And
A first support frame rotatably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at member and engaged with the worm gear to rotate the screw rod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worm gear, And a control rod member for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wheelchai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프레임은 전방의 제 1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 1 수직프레임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후방의 제 2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 1 수직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제 2 수직프레임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양측의 제 1 수평프레임과, 상기 제 1 수평프레임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수평프레임과, 상기 제 1 수직프레임 및 제 2 수직프레임의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양측의 제 3 수평프레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heelchair frame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at the front, a second vertical frame at the rear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having a knob at the top, and a second vertical frame at the rear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 second horizontal fram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a second horizontal fram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Wherein the frame is included in the wheelchai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재의 후방에는 제 3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제 3 레일의 수직방향 상부에 위치된 상기 팔걸이부재 측에는 제 4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제 3 레일 및 제 4 레일에는 그 하단과 상단이 각각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엑스자 형상의 제 3 지지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2,
A third rail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eat member and a fourth rail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armrest member position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third rai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third rail are movable And a third support frame having an X-shape connected to the third supporting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재는, 하부에 위치되며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된 하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 상에 회동 가능하게 적층 설치되며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관통구가 개폐되는 상부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 member comprises a lower seat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and formed with a through hole at the center thereof and an upper seat rotatably stacked on the lower seat and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whether the seating member is rotated, A wheelchair equipped.
청구항 2에 있어서,
양측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일측은 상기 제 3 수평프레임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 3 수평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2 수평프레임 중 일측은 상기 제 1 수평프레임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 1 수평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one side of the base frame on both sides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hird horizontal frame and the other side is hingedly coupled to the third horizontal frame so that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is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other side is pivotably hinged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측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는 보조 프레임이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an auxiliary frame is further connected between the base frames on both sides.
KR20140043135A 2014-04-10 2014-04-10 Wheelchair with lift KR1014623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3135A KR101462378B1 (en) 2014-04-10 2014-04-10 Wheelchair with li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3135A KR101462378B1 (en) 2014-04-10 2014-04-10 Wheelchair with lif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378B1 true KR101462378B1 (en) 2014-11-17

Family

ID=5229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3135A KR101462378B1 (en) 2014-04-10 2014-04-10 Wheelchair with lif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37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84A (en) * 2017-12-05 2019-06-13 박종현 Assistance Apparatus for Seating on Wheelchair
KR102361691B1 (en) 2021-10-29 2022-02-14 이용욱 Bed convertible wheelchair
CN114452132A (en) * 2022-03-07 2022-05-10 郑州大学 Lung cancer patient postoperative thorax closed drainage bottle holds shallow
KR20230082892A (en) * 2021-12-02 2023-06-09 근로복지공단 electric wheelchair seat lift mechanis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344A (en) * 1994-05-16 1995-11-28 Makoto Nagamine Legless chair with lifting function
KR19990030814U (en) * 1997-12-30 1999-07-26 윤종용 Chair arm height adjustment
KR100458790B1 (en) 2002-05-28 2004-12-03 강대윤 Wheel chair
KR101191139B1 (en) 2010-02-11 2012-10-15 김한주 The multi-functional electric ch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344A (en) * 1994-05-16 1995-11-28 Makoto Nagamine Legless chair with lifting function
KR19990030814U (en) * 1997-12-30 1999-07-26 윤종용 Chair arm height adjustment
KR100458790B1 (en) 2002-05-28 2004-12-03 강대윤 Wheel chair
KR101191139B1 (en) 2010-02-11 2012-10-15 김한주 The multi-functional electric chai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84A (en) * 2017-12-05 2019-06-13 박종현 Assistance Apparatus for Seating on Wheelchair
KR102047041B1 (en) * 2017-12-05 2019-11-20 박종현 Assistance Apparatus for Seating on Wheelchair
KR102361691B1 (en) 2021-10-29 2022-02-14 이용욱 Bed convertible wheelchair
KR20230082892A (en) * 2021-12-02 2023-06-09 근로복지공단 electric wheelchair seat lift mechanism
KR102635726B1 (en) 2021-12-02 2024-02-14 근로복지공단 electric wheelchair with seat lift mechanism
CN114452132A (en) * 2022-03-07 2022-05-10 郑州大学 Lung cancer patient postoperative thorax closed drainage bottle holds shall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9171B2 (en) Versatile, versatile and reassembleable reclining chair combined bed
WO2016169440A1 (en) Multifunctional critical car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6014497B2 (en) Furnishings (positionable chairs)
JP2021520284A (en) Multi-function wheelchair
US6880186B2 (en) Arrangement in a bed for a disabled person, and a bed provided with the said arrangement
WO2012057154A1 (en) Bed for nursing care
US20130212807A1 (en) Bed chair
KR101462378B1 (en) Wheelchair with lift
KR20170124398A (en) Bed chair
KR20200068846A (en) Electric wheelchair with multiple mode type changes
RU2651228C2 (en) Multi-functional wheel chair
US8876138B2 (en) Height adjustable wheelchair seat
JP2015208498A (en) Wheelchair with sliding plate
KR101522929B1 (en) Bed chair for patient convertible into bed or wheel chair with stool function
JP6227398B2 (en) wheelchair
KR20100112382A (en) A wheelchair with detachable chair
KR101588698B1 (en) Electrical shower trolley
KR102423485B1 (en) Auto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parapiegic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JP2561199B2 (en) Electric wheelchair
KR20150121908A (en) Folding type toilet for bedridden patients
KR200450271Y1 (en) Standing Lift
JP6856848B1 (en) Nursing care U-shaped auxiliary stand
TWI783431B (en) A wheelchair capable of moving a position of a user freely
KR20130037603A (en) Chair linking up with cabinet for patient
KR20190092826A (en) Toilet seat using help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