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195B1 - 강제 승강 안내부를 갖는 수납장 - Google Patents

강제 승강 안내부를 갖는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195B1
KR101462195B1 KR1020130000938A KR20130000938A KR101462195B1 KR 101462195 B1 KR101462195 B1 KR 101462195B1 KR 1020130000938 A KR1020130000938 A KR 1020130000938A KR 20130000938 A KR20130000938 A KR 20130000938A KR 101462195 B1 KR101462195 B1 KR 101462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rage space
cabinet body
p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9117A (ko
Inventor
진주영
Original Assignee
진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주영 filed Critical 진주영
Priority to KR1020130000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195B1/ko
Publication of KR20140089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7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resilient member, e.g.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37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specially adapted for accommodating various sized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specially adapted to a specific shape of cables, e.g. corrugated cables, twisted pair cables, cables with two screens or hollow cables
    • H01R24/564Corrugated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부가 개구되는 수납장 몸체와; 벤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납장 몸체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 여부에 따라 상기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가 상승되는 경우, 상기 도어부가 상승되는 방향을 따라 탄성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부를 강제 상승시키는 강제 승강 안내부를 포함하는 수납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강제 승강 안내부를 갖는 수납장{KEEPING FACILITIES}
본 발명은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중량을 갖는 상하 개폐식 접철 도어를 상방으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강제 승강 안내부를 갖는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의한 수납장은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이 수납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한다.
통상, 도어는 수납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미닫이식으로 구현된다.
또한, 수납 공간을 개폐 할 수 있도록 여닫이식인 회전식의 개폐 도어로도 구현되기도 한다.
그러나, 수납장의 수납 공간 크기를 확장시키고, 더 많은 수납물을 수납시키도록 하는 경우에 수납장의 크기가 증가된다.
이때, 회전식 도어의 경우 개폐 동작으로 인한 면적이 증가되어 사용이 불편할 수 있고, 미닫이식의 경우 좌우로의 개폐 동작시 도어가 이탈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 도어를 자바라식으로 구현하여 수납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안도 도출되고 있으나, 상하로의 개폐 이유로 상측으로 밀어 올려 개방하는 경우 도어의 자체 하중으로 인해 개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0805호(등록일: 2006년 6월 9일)이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수납장의 도어 개폐 구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중량을 갖는 상하 개폐식 접철 도어를 상방으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장을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부가 개구되는 수납장 몸체와; 벤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납장 몸체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 여부에 따라 상기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가 상승되는 경우, 상기 도어부가 상승되는 방향을 따라 탄성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부를 강제 상승시키는 강제 승강 안내부를 포함하는 수납장을 제공한다.
상기 수납장 몸체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양측부에 직립되도록 설치되며 상단이 상방으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의 후면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판의 후단에 설치되는 커버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도어부의 양측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제 승강 안내부는, 상기 커버판의 외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편과, 일단이 상기 고정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부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편과 상기 도어부의 사이에 탄성을 형성하는 한 쌍의 탄성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판의 외면부에는, 고정편 이동부가 더 설치된다.
상기 고정편 이동부는, 상기 커버판의 외면부에 상하를 따라 형성되는 안내홈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양측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승강바와, 상기 관통홀에 끼워져 양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상기 고정편이 고정 설치되는 수평바를 구비한다.
상기 안내홈의 양측부에 위치되는 상기 커버판의 외면부에는 상기 안내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의 제 1위치 결정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의 양측부에는 상기 제 1위치 결정홀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되는 제 1고정홀을 갖는 한 쌍의 제 1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위치 결정홀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 1고정홀을 체결하는 제 1체결 볼트가 구비된다.
상기 수평바에는 상기 수평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의 제 2위치 결정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 2위치 결정홀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되는 제 2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위치 결정홀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 2고정홀을 체결하는 제 2체결 볼트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수납장 몸체의 전면부 테두리에는, 상기 도어부의 양측가 끼워져 상하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가 형성된다.
상기 강제 승강 안내부는, 상기 수납장의 수납 공간 상단부에 위치되며, 양단이 상기 수납장의 수납 공간의 양측벽에 회전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정된 토션을 제공하는 토션 제공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회전축에 권취되며, 상기 토션 제공기의 설정된 토션에 따라 강제 승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의 일단에는, 금속편이 설치되고, 상기 수납장 몸체의 하단에는 상기 금속편과 자력으로 부착되어 상기 도어부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자석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상기 강제 승강 안내부는, 상기 도어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하방으로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센서와, 상기 수납장 몸체의 수납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을 갖는 회전기와, 상기 회전축과 상기 도어부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도어부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부의 하단과의 거리값을 측정하여 상기 도어부의 개폐 상태를 측정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개폐 감지 센서와, 상기 수납장 몸체의 수납 공간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기준 중량이 설정되고, 상기 개폐 감지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거리값이 기설정되는 개방 거리값에 이르면, 상기 중량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중량이 상기 기준 중량에 이르도록 상기 회전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도어부를 상승시켜 상기 수납장 몸체의 수납 공간을 개방하는 제어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는,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리브와, 상기 다수의 리브를 서로 연결하여 벤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질의 연결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중량을 갖는 상하 개폐식 접철 도어를 상방으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부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에서 후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에서 후면부를 보여주는 다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편 이동부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강제 승강 안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강제 승강 안내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 주는 후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강제 승강 안내부를 갖는 수납장을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부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에서 후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에서 후면부를 보여주는 다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강제 승강 안내부를 갖는 수납장은, 크게 수납장 몸체(100)와, 도어부(200)와, 강제 승강 안내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수납장 몸체(100)는 하판(110)과, 한 쌍의 측판(120)과, 커버판(130)과, 한 쌍의 슬라이딩 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판(110)은 상기 하판(110)의 양측단에서 직립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소정의 높이를 형성한다.
상기 커버판(130)은 상기 하판(110)과 상기 한 쌍의 측판(120)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후면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수납장 몸체(100)의 내부에는 전면부가 개방되는 일정의 수납 공간(a)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장 몸체(100)의 수납 공간(a)에는 다단을 이루도록 층을 형성하는 수납판들(15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수납장 몸체(10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또는 목재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이 서로 혼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측판(120)의 상단은 상방으로 볼록한 형상의 판 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140)는 각각의 측판(120)의 테두리에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140)는 도어부(200)의 양측 테두리가 끼워지며 도어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홈(141)을 갖는다.
여기서,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 도어부(200)는 다수의 리브(210)와, 다수의 연결재들(220)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부(2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리브(210)는 일정 두께 및 폭,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연결재(220)는 각각의 리브(210)를 연결하여, 다수의 리브(210)가 벤딩 또는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부(200)는 자바라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재(22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각각의 리브(210)를 연결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리브(210)의 양단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 부재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도어부(200)의 양측 테두리는 상술한 한 쌍의 슬라이딩 부(14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141)에 끼워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140)는 각각의 측판(120)의 테두리에 형성되되, 수납장 몸체(100)의 전방 테두리 및 상단 테두리, 후단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도어부(200)는 이를 따라 접철 또는 벤딩 되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부(200)의 단부를 승강시킴에 따라 수납장 몸체(100)의 전면부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130)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강제 승강 안내부(300)가 설치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 하면, 상기 강제 승강 안내부(300)는 고정편(310)과, 한 쌍의 탄성 스프링(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편(310)은 상기 커버부(130)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 편(310)의 설치 위치는 커버판(130)의 폭 기준 중앙 경계를 위치 및 상하를 따라 중앙 경계를 이루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편(310)은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상기 커버판(13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탄성 스프링(320)은 상기 고정편(310)과 상술한 도어부(200)의 타단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소정의 탄성력으로 도어부(200)를 당기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각각의 탄성 스프링(320)의 일단은 상기 고정편(310)에 연결된다. 연결의 방식은 탄성 스프링(320)의 일단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편(310)에 형성되는 홀(미도시)에 끼워 걸릴 수 있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탄성 스프링(320)의 타단은 도어부(200)의 타단부의 양측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의 방식 역시 상술한 고리 형상의 걸림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어부(200)의 일단에는 금속편(230)이 설치된다.
또한, 수납장 몸체(100)의 하단에는 상기 금속편(230)과 자력으로 부착되어 상기 도어부(20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자석(240)이 설치된다.
다음은,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수납장의 제 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 하면, 도어부(200)의 일단에 설치되는 금속편(230)이 수납장 몸체(100)의 하단에 설치된 자석(240)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수납장 몸체(100)의 수납 공간(a)이 폐쇄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도어부(200)의 다수의 리브(210)를 펼쳐진 상태를 이룬다.
또한, 도어부(200)의 타단과 고정편(310)을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 스프링(320)은 늘어난 상태를 형성함과 아울러, 자체 탄성 복원력을 갖는 상태를 이룬다.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부(200)를 상방으로 당겨 올리면, 도어부(200)는 수납장 몸체(100)의 양측부 테두리에 형성된 슬라이딩 부(1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승되고, 수납장 몸체(100)의 수납 공간(a)은 점진적으로 개방된다.
이와 동시에, 도 6 및 도 7을 참조 하면, 도어부(200)의 타단과 고정편(310)을 탄성 연결하는 한 쌍의 탄성 스프링(320)의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어부(200)의 타단은 커버판(130) 즉, 도어부(200)의 후면부에서 하방으로 당겨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도어부(200)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F1이라하고, 한 쌍의 탄성 스프링(320)에 의해 도어부(200)의 타단을 당기는 힘을 F2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도어부(20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면, F1과 F2가 동시에 작용함으로써, 도어부(200)는 소정의 상승 위치에서 F2가 작용하는 시점에서 상방으로 당겨지면서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실시예에서, 도어부(200)는 한 쌍의 탄성 스프링(3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용이하게 상승되어 수납장 몸체(100)의 수납 공간(a)을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한 쌍의 탄성 스프링(320)의 타단이 도어부(200)의 타단 양측단에 연결되고 일단이 고정편(310)에 연결되어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Y 형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각각의 탄성 스프링(320)의 탄성 복원력은 도어부(200)의 타단 양측단에서 고정편(310)으로 모아 집중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물론, 한 쌍의 탄성 스프링(320)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탄성 스프링(320)은 도어부(200)의 타단을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당기는 경우 도어부(200)를 안정적으로 당길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탄성 스프링(320)은 고정편(310)과 도어부의 타단과 고리 형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도어부(200)의 중량에 따라 다른 탄성 스프링으로 교체 설치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편 이동부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도 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은 고정편 이동부(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편 이동부(330)는 승강바(331)와, 수평바(3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바(331)는 커버판(130)의 외면부에 상하를 따라 형성되는 안내홈(131)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승강바(331)에는 양측부를 관통하는 관통홀(331a)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바(332)는 상기 관통홀(331a)에 끼워져 양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상기 고정편(310)이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홈(131)의 양측부에 위치되는 상기 커버판(130)의 외면부에는 상기 안내홈(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의 제 1위치 결정홀들(h1)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바(331)의 양측부 또는 일측부에는 상기 제 1위치 결정홀들(h1)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되는 제 1고정홀(H1)을 갖는 한 쌍의 제 1고정부(331b)가 형성된다.
상기 제 1위치 결정홀들(h1)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 1고정홀(H1)을 체결하는 제 1체결 볼트(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평바(332)에는 상기 수평바(3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의 제 2위치 결정홀들(h2)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바(331)에는 상기 관통홀(331a)을 관통하여 상기 제 2위치 결정홀들(h2)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되는 제 2고정홀(H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위치 결정홀들(h2)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 2고정홀(H2)을 체결하는 제 2체결 볼트(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을 참조 하면, 한 쌍의 탄성 스프링(320)의 일단과 연결되는 고정편(310)의 상하 및 좌우 수평으로의 고정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승강바(331)는 커버판(130)에 형성되는 안내홈(131)을 따라 상하로의 위치가 조절되고, 수평바(332)는 승강바(331)에 형성된 관통홀(331a)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좌우 수평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판(130)에서의 고정편(310)의 설치 위치를 변경 설정함으로써, 탄성 스프링들(320)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탄성 복원력이 변경되는 경우, 탄성 스프링들(320)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점의 위치를 가변 시킴으로써 탄성 스프링들(320)의 교체 없이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제 2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강제 승강 안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강제 승강 안내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 하면, 수납장은 전면부가 개방되는 수납 공간(a)이 형성되는 수납장 몸체(101)를 갖는다.
상기 수납장 몸체(101)의 전면부 테두리에는 도어부(200)의 양측부가 끼워져 상하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부(200)의 구성은 제 1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슬라이딩 부(140)를 따라 이동되면서 접철 및 벤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납장 몸체(101)의 수납 공간(a) 상단부에는 강제 승강 안내부(400)가 설치된다.
상기 강제 승강 안내부(400)는 롤러(410)와, 토션 제공기(420)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410)의 양단에는 회전축(41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411)은 수납부 몸체(101)의 수납 공간(a) 양측벽에 회전 지지된다.
상기 토션 제공기(420)는 상기 회전축(411)에 연결되고 소정의 회수로 권취되는 탄성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편(420)은 상기 롤러(410)를 원위치로 회전시켜 위치시킬 수 있는 탄성 회전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롤러(410)에는 도어부(200)의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롤러(410)의 회전에 따라 도어부(200)는 롤러(410)에 권취되거나 풀릴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수납장의 제 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9를 참조 하면, 도어부(200)는 수납부 몸체(101)의 수납 공간(a)을 폐쇄하도록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도어부(200)의 타단은 롤러(410)에 고정된 상태를 형성하고, 탄성편인 토션 제공기(420)는 풀려진 상태로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 회전력을 형성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도어부(200)의 타단은 금속편(230)이 자석(240)에 자력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도어부(200)의 일단은 고정된 상태를 이룬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 하면, 도어부(200)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힘, 즉 F1을 작용시키면, 도어부(200)는 상방을 따라 상승 이동된다.
이때, 토션 제공기(420)는 탄성 회전력을 작용시키면서 다시 권취되고, 이와 동시에 롤러(410) 역시 회전된다. 따라서, 도어부(200)는 롤러(410)에 점진적으로 권취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부(200)를 롤러(410)에 권취시키는 탄성 회전력 또는 토션을 F3이라 한다.
따라서, 도어부(200)는 초기에 F1을 작용시키면, F3에 의해 상방으로 상승되면서, 수납부 몸체(101)의 수납 공간(a)을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제 3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따르는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 주는 후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 하면, 수납장은 전면부가 개방되는 수납 공간(a)이 형성되는 수납장 몸체(100)를 갖는다.
또한, 도어부(200)는 수납장 몸체(100)의 양측단에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 부(140)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따르는 강제 승강 안내부(500)는 중량 센서(510)와, 회전기(520)와, 개폐 감지 센서(530)와, 제어기(5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 센서(510)는 도어부(200)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량 센서(510)는 도어부(200)가 상승됨에 따라 도어부(200)의 중량을 측정하여 제어기(540)로 전송한다.
상기 회전기(520)는 수납장 몸체(101)의 수납 공간(a) 상단에 설치될 수 있고, 제어기(5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미도시)을 구비하는 회전 모터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에는 와이어(521)가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521)는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권취되거나 풀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기(520)는 한 쌍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되며, 각각의 회전기(520)의 회전축에 연결된 와이어(521)는 도어부(200)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521)의 권취 정도에 따라 도어부(200)가 강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상기 개폐 감지 센서(530)는 거리 센서일 수 있다.
상기 개폐 감지 센서(530)는 도어부(200)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개폐 감지 센서(530)는 도어부(200)의 하단과 수납장 몸체(100)의 하단과의 거리값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한 거리값을 제어기(54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기(540)는 상기 수납장 몸체(100)의 수납 공간(a)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기준 중량이 설정되고, 상기 개폐 감지 센서(530)로부터 측정되는 거리값이 기설정되는 개방 거리값에 이르면, 상기 중량 센서(510)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중량이 상기 기준 중량에 이르도록 상기 회전기(5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도어부(200)를 상승시켜 상기 수납장 몸체(100)의 수납 공간(a)을 개방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수납장의 제 3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 하면, 도어부(200)는 하강되어 수납장 몸체(100)의 수납 공간(a)을 폐쇄한 상태를 이룬다.
이때, 금속편(230)은 자석(240)과 자력으로 부착되어 도어부(20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 하면, 도어부(200)를 F1의 외력을 가하여 상방으로 강제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개폐 감지 센서(530)는 측정되는 거리값을 제어기(54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기(540)는 측정한 거리값이 기설정되는 개방 거리값에 이르면, 도어부(200)가 개방됨으로 판단한다.
이와 동시에, 중량 센서(510)는 상승되는 도어부(200)의 중량을 측정하여 제어기(540)로 전송하고, 제어기(540)는 측정된 중량이 기준 중량에 이를 수 있도록 회전기(5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기(540)는 회전기(520)의 회전축(미도시)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여, 와이어(521)를 권취시킬 수 있고, 권취되는 와이어(521)에 연결된 도어부(200)는 상방으로 당겨 올려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540)는 측정되는 중량이 기준 중량에 이를 때까지 회전기(520)의 동작을 제어하여 도어부(200)를 강제 상승시킬 수 있고, 수납장 몸체(100)의 수납 공간(a)은 도어부(200)의 상승에 의해 개방된다.
역으로, 도어부(200)를 하방으로 내릴 수 있도록 외력을 가하면, 중량은 기준 중량 이하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제어기(540)는 회전기(5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와이어(521)를 풀 수 있도록 회전축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도어부(200)는 하방으로 자연 낙하될 수 있다.
그리고, 낙하되는 도어부(200)의 일단에 설치된 금속편(230)은 수납장 몸체(100)의 하단에 설치된 자석(240)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수납장 몸체(100)의 수납 공간(a)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들은 고중량을 갖는 상하 개폐식 접철 도어를 상방으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100, 101 : 수납장 몸체 110 : 하판
120 : 측판 130 : 커버판
131 : 안내홈 140 : 슬라이딩 부
141 : 슬라이딩 홈 200 : 도어부
210 : 리브 220 : 연결재
300, 400, 500 : 강제 승강 안내부 310 : 고정편
320 : 탄성 스프링 330 : 고정편 이동부
331 : 승강바 331a : 관통홀
331b : 제 1고정부 332 : 수평바
410 : 롤러 411 : 회전축
420 : 토션 제공기 510 : 중량 센서
520 : 회전기 530 : 개폐 감지 센서
540 : 제어기

Claims (8)

  1.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부가 개구되는 수납장 몸체;
    벤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납장 몸체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 여부에 따라 상기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가 상승되는 경우, 상기 도어부가 상승되는 방향을 따라 탄성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부를 강제 상승시키는 강제 승강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장 몸체의 전면부 테두리에는, 상기 도어부의 양측가 끼워져 상하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가 형성되고,
    상기 강제 승강 안내부는, 상기 수납장의 수납 공간 상단부에 위치되며, 양단이 상기 수납장의 수납 공간의 양측벽에 회전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정된 토션을 제공하는 토션 제공기를 구비하되,
    상기 도어부는, 상기 회전축에 권취되며, 상기 토션 제공기의 설정된 토션에 따라 강제 승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 몸체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양측부에 직립되도록 설치되며 상단이 상방으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의 후면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판의 후단에 설치되는 커버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도어부의 양측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승강 안내부는,
    상기 커버판의 외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편과,
    일단이 상기 고정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부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편과 상기 도어부의 사이에 탄성을 형성하는 한 쌍의 탄성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의 외면부에는, 고정편 이동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 이동부는,
    상기 커버판의 외면부에 상하를 따라 형성되는 안내홈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양측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승강바와,
    상기 관통홀에 끼워져 양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상기 고정편이 고정 설치되는 수평바를 구비하되,
    상기 안내홈의 양측부에 위치되는 상기 커버판의 외면부에는 상기 안내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의 제 1위치 결정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의 양측부에는 상기 제 1위치 결정홀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되는 제 1고정홀을 갖는 한 쌍의 제 1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위치 결정홀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 1고정홀을 체결하는 제 1체결 볼트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바에는 상기 수평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의 제 2위치 결정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 2위치 결정홀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되는 제 2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위치 결정홀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 2고정홀을 체결하는 제 2체결 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일단에는, 금속편이 설치되고,
    상기 수납장 몸체의 하단에는 상기 금속편과 자력으로 부착되어 상기 도어부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자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승강 안내부는,
    상기 도어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하방으로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센서와,
    상기 수납장 몸체의 수납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을 갖는 회전기와,
    상기 회전축과 상기 도어부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도어부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부의 하단과의 거리값을 측정하여 상기 도어부의 개폐 상태를 측정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개폐 감지 센서와,
    상기 수납장 몸체의 수납 공간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기준 중량이 설정되고, 상기 개폐 감지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거리값이 기설정되는 개방 거리값에 이르면, 상기 중량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중량이 상기 기준 중량에 이르도록 상기 회전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도어부를 상승시켜 상기 수납장 몸체의 수납 공간을 개방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리브와,
    상기 다수의 리브를 서로 연결하여 벤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질의 연결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KR1020130000938A 2013-01-04 2013-01-04 강제 승강 안내부를 갖는 수납장 KR101462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938A KR101462195B1 (ko) 2013-01-04 2013-01-04 강제 승강 안내부를 갖는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938A KR101462195B1 (ko) 2013-01-04 2013-01-04 강제 승강 안내부를 갖는 수납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117A KR20140089117A (ko) 2014-07-14
KR101462195B1 true KR101462195B1 (ko) 2014-11-20

Family

ID=5173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938A KR101462195B1 (ko) 2013-01-04 2013-01-04 강제 승강 안내부를 갖는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1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579B1 (ko) 2016-03-11 2017-08-04 에스에프훼미리 주식회사 싱크대용 분배기 가림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403Y1 (ko) * 2003-04-10 2003-07-10 주식회사에넥스 주방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403Y1 (ko) * 2003-04-10 2003-07-10 주식회사에넥스 주방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579B1 (ko) 2016-03-11 2017-08-04 에스에프훼미리 주식회사 싱크대용 분배기 가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117A (ko) 201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8023B2 (en) Cordless blind assembly
JP6314397B2 (ja) 開口部開閉装置
KR101462195B1 (ko) 강제 승강 안내부를 갖는 수납장
WO2016195746A1 (en) Venetian blinds with single spring loaded lift
JP6595249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中間支持ブラケット
EP1816306A2 (en) A guide groove element for the anchorage of a screen curtain
JP5957261B2 (ja) アコーディオンドア
JP2008184853A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JP4355630B2 (ja) 自然換気窓の施錠装置
WO2014131022A1 (en) System for pivoting a blind slat
JP6101375B2 (ja) 自動降下を可能にした手動昇降式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JP5713496B2 (ja) オーニング装置兼用開閉装置
KR100577616B1 (ko) 셔터조립체
JPWO2016063798A1 (ja) ロールシェード装置
EP1781886B1 (en) Improved rolling mosquito net provided with foldaway guides
KR200486630Y1 (ko) 부분 개폐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장치
JP5926841B1 (ja) 窓サッシ
KR200340806Y1 (ko) 셔터조립체
CN108547532A (zh) 电动式自锁防雨窗
JP6306406B2 (ja) 高さ調整装置及び横型ブラインド
JP2014062382A (ja) ボトムキャップ
JP2013151813A (ja) シャッタ装置
KR200333463Y1 (ko) 프로젝터 리프터
JP5199973B2 (ja) サッシ窓用のシャッター装置およびシャッター装置付きのサッシ窓
JP7170427B2 (ja) 状態提示装置、及び状態提示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