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724B1 - 고강도 강선 - Google Patents

고강도 강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724B1
KR101461724B1 KR1020120135519A KR20120135519A KR101461724B1 KR 101461724 B1 KR101461724 B1 KR 101461724B1 KR 1020120135519 A KR1020120135519 A KR 1020120135519A KR 20120135519 A KR20120135519 A KR 20120135519A KR 101461724 B1 KR101461724 B1 KR 101461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ative example
cementite
steel wire
strengt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804A (ko
Inventor
양요셉
석병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3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724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3Cement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선의 성분계 원소 중 세멘타이트 분해를 촉진시키는 원소를 생략하고, 상온 시효를 억제하는 원소를 추가적으로 첨가함으로써, 상온시효 현상이 억제된 고강도 강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고강도 강선{HIGH STRENGTH STEEL WIRE}
본 발명은 고강도 강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타이어 코드는 다음과 같은 가공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선재 → 산세 → 1차 페턴팅 → 건식신선 → 2차 페턴팅 → 황동도금 → 습식신선 → 연선 → 타이어코드 제품
보다 상세하게는, 열간압연을 통해 제조된 선재를 최종 습식 신선의 시작 선경까지 줄이는 사이징 신선을 행한 후, 습식 신선을 위한 페턴팅 열처리를 가한 다음, 타이어 적용시 고무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황동으로 코팅을 한다. 최종 제품은 최종 습식 신선에서 제품의 기계적 특성이 결정되며, 통상적인 타이어 코드 제품의 경우 280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나, 가공량에 한계가 있어 보다 우수한 강도를 부여하는 것은 쉽지 않다.
타이어코드 제품의 강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이유는 타이어 구동체에 적용되는 타이어코드의 중량뿐만 아니라 함께 사용되는 고무 부착량을 줄여 경량화에 따른 차량 연비 향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타이어코드를 고강도화하기 위해서는 합금성분을 증량하여 강도를 높이고 신선가공량을 증가시켜서 가공경화량을 크게 하는 방법이 있으나, 공업적인 생산과정에서 단선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한계점을 극복해야 한다.
강도가 증가된다는 것은 소재 강도 증가, 신선 가공량 증가 즉, 가혹한 조건에서 신선이 진행된다는 것인데, 이러한 조건에서 제조가 됨에 따라 정적 그리고 동적 시효는 필히 발생한다. 최종 신선 후 바로 연선하는 경우, 시효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바로 연선 되지 않고, 창고에 장시간 보관 후 연선 되는 경우, 큰 문제로 작용한다. 그 이유는 시효에 의해 강도가 100-200 MPa상승하는데, 강선은 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연성이 감소되어 연선이 되지 않기 때문에, 타이어 주행 중 파단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본 발명은 강선의 성분계 원소 중 세멘타이트 분해를 촉진시키는 원소를 생략하고, 상온 시효를 억제하는 원소를 추가적으로 첨가함으로써, 상온시효 현상이 억제된 고강도 강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인 고강도 강선은 중량%로, C: 0.9~1.1%, Si: 0.8~1.5%, Cr: 0.1~0.5%, Mo: 0.1~0.2%, P: 0.015% 이하, S: 0.015%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상기 Cr 및 Mo의 합은 0.6~0.7%인 조성을 가진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합금원소의 생략 및 첨가를 함으로써, 상온에서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상온 시효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연선 파단이 발생하지 않아 스크랩 등의 불필요한 작업이 필요로 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제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온 시효를 억제하기 위하여 연구를 행한 결과, 세멘타이트 분해 촉진 원소인 Mn을 생략하고, 상온 시효를 억제하는 원소인 Cr 및 Mo를 추가적으로 첨가함으로써 강도가 높으면서도 장시간 보관을 행한 후 연선하더라도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강선을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측면인 고강도 강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인 고강도 강선은 중량%로, C: 0.9~1.1%, Si: 0.8~1.5%, Cr: 0.1~0.5%, Mo: 0.1~0.2%, P: 0.015% 이하, S: 0.015%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상기 Cr 및 Mo의 합은 0.6~0.7%인 조성을 가진다.
탄소(C): 0.9~1.1 중량%
C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핵심적인 원소이다. 상기 탄소는 고탄소강 선재에서 대부분 세멘타이트의 형태로 존재한다. 세멘타이트는 페라이트와 함께 층상 펄라이트를 형성하는데 페라이트에 비하여 고강도이므로 세멘타이트 분율이 증가할수록 또는 펄라이트 층간간격이 미세할수록 선재의 강도는 증가하게 된다. 상기 탄소 함량을 증가할수록 세멘타이트 분율이 증가하고, 층상간격이 미세해지므로 선재의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탄소가 너무 다량 첨가될 경우에는 선재 생산시 초석 세멘타이트 제어가 어렵고 오스테나이트와 세멘타이트의 자유에너지 차이가 심해져서 변태 제어가 어려워짐으로, 그 상한을 1.1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탄소의 함량이 너무 낮을 경우에는 강도가 감소하므로 그 하한은 0.9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C는 0.9~1.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Si): 0.8~1.5 중량%
실리콘은 페라이트 기지 내 고용되어 고용강화 효과로 강도를 상승시키며, 페라이트 입내, 페라이트/세멘타이트 입계에 존재하며, 세멘타이트 내 일반형자리나 특별형 자리의 Fe 원자와는 치환하지 못해 세멘타이트 내 고용도는 극히 낮은 원소이다. 또한, 과공석강에서 초석 세멘타이트의 형성을 억제한다. 중간 열처리 후 C, V, Cr 등에 비하면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는 적지만, 동일함량 첨가 시 Mn에 비해 약 2~2.5배(14kg/mm2) 크다. 또한, 습식 또는 건식 신선시 발생하는 세멘타이트 분해를 억제하는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0.8 중량%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리콘의 함량이 다량 첨가될 경우에는 표면 탈탄층 및 스케일 형성으로 인한 손실(loss)이 발생함으로, 그 상한을 1.5 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롬(Cr): 0.1~0.5 중량%
크롬은 C, V 다음으로 강도를 크게 증가시키고 세멘타이트를 미세화하고 세멘타이트를 안정화시켜서 열처리 강도증가와 가공경화율 증가, 신선 한계 가공량 증가 등에 효과적인 원소이다. 이는 Cr이 세멘타이트 내 일반형자리(general site)에 쉽게 위치할 수 있는 치환형 원소이기 때문에 Fe와 쉽게 치환되어 세멘타이트 두께를 미세화 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세멘타이트 내 탄소와 결합이 좋기 때문에, 세멘타이트 분해를 억제하며, 상온 시효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0.1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Cr의 함량이 다량 첨가될 경우에는 변태 종료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Cr을 0.5%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리브덴(Mo): 0.1~0.2 중량%
Mo는 담금질 향상 효과에 의하여 또는 이를 통한 펄라이트 층간간격 감소로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화물 안정 원소이기 때문에, 세멘타이트 내 탄소의 분해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몰리브덴의 함량이 0.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베이나이트 등의 저온조직 발생이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몰리브덴의 함량은 0.2중량%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몰리브덴의 함량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본 발명이 의도하고자 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그 하한을 0.1중량%로 한정한다.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다만, 그 중 인 및 황은 일반적으로 많이 언급되는 불순물이기 때문에 이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P): 0.015중량% 이하
상기 인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써, 주로 강편의 중심부에 편석되어 인성을 저하하고 용접성이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에 후물재의 중심부 저온충격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낮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상 인의 함량은 0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유리하나, 제조공정상 필연적으로 함유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한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 함량의 상한은 0.015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S): 0.015중량% 이하
황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서, Mn등과 결합하여 비금속 개재물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강의 연성, 충격인성 및 용접성에 크게 손상시키기 때문에 그 함량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상의 황의 함량은 0%로 제한하는 것이 유리하나, 제조공정상 필연적으로 함유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한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황 함량의 상한은 0.015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선의 조성은 상술한 조건에 추가하여 상기 Mo와 Cr의 합이 0.6~0.7중량%으로 제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Mo와 Cr의 합을 제어함으로써, 세멘타이트 분해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0.6%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Cr과 Mo의 합이 0.7%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변태 종료 시간이 길어져 조업에 부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성분계 및 성분관계를 만족함으로써, 상온시효가 우수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의도하는 보다 더 바람직한 강선을 제공하기 위하여, Mo/Cr를 0.2~0.5의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Cr가 0.2 미만인 경우에는 세멘타이트를 분해를 억제하지 못하고, 0.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강선의 미세조직은 세멘타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멘타이트 조직은 철강 재료의 금속 조직중에서 신장선 가공성에 우수하고 고강도이면서, 고인성 고연성을 확보하는 데 용이하다.
상기 세멘타이트는 면적분율%로, 13~16%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멘타이트의 면적분율이 13% 미만인 경우에는 세멘타이트의 탄소가 부족하여, 연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반면에, 세멘타이트의 면적분율이 16%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도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딜라미네이션(delamination)의 균열 발생 기점이 표면이기 때문에, 표면에서 세멘타이트의 분해가 활발히 작용하면, 조직의 불균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강선의 표면에서 중심방향으로 100㎛까지 세멘타이트 내에 존재하는 탄소의 함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표면에서 중심방향으로 100㎛까지 영역에서 탄소의 함량은 19.1~20.1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의 함량이 19.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페라이트에 고용된 탄소가 많으므로 연성이 부족하다. 반면에, 세멘타이트의 분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최대 20.1중량%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강선을 상온에서 26~30일 유지 후 처음 신선된 강선의 인장강도와의 차이가 36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선의 인장강도는 4000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강을 주조하여 통상적인 조건으로 가열하고, 압연하여 5.5 mmf의 직경을 갖게 한 후 세멘타이트가 발생하지 않는 냉각속도로 냉각하여 선재를 제조하였다. 그 후, 신선을 통해 다운사이징(downsizing) 한 후 중간 열처리 (오스테나이징→LP 550℃)하여 연성을 부여한 후 신선가공량(ε) 3.2까지 신선하여 0.2 mmmf 강선을 제조하였다.
그 후, 하기 표 2에 나타나 있는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C
(중량%)
Si
(중량%)
Cr
(중량%)
Mo
(중량%)
Cr+Mo
(중량%)
Mo/Cr
발명예1 0.919 1.213 0.500 0.10 0.601 0.200
발명예2 0.923 1.221 0.500 0.20 0.700 0.400
발명예3 0.921 1.224 0.411 0.20 0.611 0.487
비교예1 0.918 1.239 0.198 0 0.198 0
비교예2 0.921 1.230 0.312 0 0.312 0
비교예3 0.919 1.200 0.401 0 0.401 0
비교예4 0.930 1.230 0.500 0 0.500 0
비교예5 0.921 1.210 0.602 0 0.602 0
비교예6 0.921 1.201 0.502 0.05 0.552 0.100
비교예7 0.918 1.215 0.498 0.01 0.508 0.020
비교예8 0.925 1.228 0.402 0.10 0.502 0.249
비교예9 0.918 1.209 0.419 0.05 0.469 0.119
비교예10 0.917 1.210 0.412 0.01 0.422 0.024
비교예11 0.921 1.211 0.301 0.10 0.401 0.332
비교예12 0.917 1.237 0.302 0.20 0.502 0.662
비교예13 0.921 1.220 0.317 0.05 0.367 0.158
비교예14 0.919 1.201 0.309 0.01 0.319 0.032
비교예15 0.93 1.231 0.211 0.10 0.311 0.474
비교예17 0.929 1.200 0.212 0.20 0.412 0.943
비교예18 0.922 1.210 0.203 0.05 0.253 0.246
비교예19 0.923 1.211 0.209 0.01 0.219 0.047
구분 인장강도(MPa) 상온시효결과(MPa) 강도 차이 (MPa)
선재 강선 1일 7일 14일 28일 b-a c-b d-c e-d e-a
(a) (b) (c) (d) (e)
발명예1 1497 4055 4069 4087 4089 4091 14 18 2 2 36
발명예2 1511 4070 4083 4099 4102 4104 13 16 3 2 34
발명예3 1496 4027 4048 4051 4058 4062 21 3 7 4 35
비교예1 1421 3916 3964 4019 4031 4041 48 55 12 10 125
비교예2 1456 3951 3991 4032 4043 4051 40 41 11 8 100
비교예3 1473 3978 4016 4051 4060 4067 38 35 9 7 89
비교예4 1490 4022 4051 4079 4084 4097 29 28 5 13 75
비교예5 1521 4051 4081 4101 4113 4121 30 20 12 8 70
비교예6 1494 4049 4067 4084 4101 4125 18 17 17 24 76
비교예7 1492 4041 4078 4097 4110 4121 37 19 13 11 80
비교예8 1481 4007 4036 4054 4069 4078 29 18 15 9 71
비교예9 1479 4021 4052 4087 4101 4105 31 35 14 4 84
비교예10 1477 4019 4034 4057 4078 4097 15 23 21 19 78
비교예11 1486 3981 4003 4021 4054 4062 22 18 33 8 81
비교예12 1472 3997 4012 4028 4057 4082 15 16 29 25 85
비교예13 1467 3972 4008 4029 4041 4053 36 21 12 12 81
비교예14 1465 3970 4011 4041 4049 4057 41 30 8 8 87
비교예15 1435 3948 4009 4021 4028 4039 61 12 7 11 91
비교예17 1438 3965 4001 4019 4029 4043 36 18 10 14 78
비교예18 1431 3941 3984 4004 4019 4025 43 20 15 6 84
비교예19 1429 3931 3967 4001 4011 4019 36 34 10 8 88
또한, 하기 표 3에는 발명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19의 표면에서 중심방향으로 100㎛까지 세멘타이트 내에 존재하는 탄소의 함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구분 세멘타이트내에 존재하는 탄소 함량 (중량%)
발명예1 19.1~19.9
발명예2 19.2~20.1
발명예3 19.2~20.0
비교예1 10.2~12.4
비교예2 12.3~14.8
비교예3 15.7~17.2
비교예4 15.1~17.3
비교예5 16.2~17.7
비교예6 11.4~12.5
비교예7 13.9~15.9
비교예8 15.7~17.2
비교예9 14.3~17.1
비교예10 15.1~17.8
비교예11 14.9~18.9
비교예12 15.9~16.8
비교예13 14.4~17.1
비교예14 15.1~18.2
비교예15 14.2~17.8
비교예17 16.5~17.1
비교예18 14.9~17.5
비교예19 15.1~17.9
상기 표 1 내지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28일이 지난 후에도 상온 시효가 36MPa 이하로 적게 발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 내지 4, 6, 7, 9, 10, 12 내지 14 및 17 내지 19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한 성분범위를 만족하나, Mo와 Cr의 합과 Mo/Cr의 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28일이 지난 후의 상온 시효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5와 같이 Mo와 Cr의 합은 만족하나, Mo와 Cr의 비가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28일이 지난 후의 상온 시효가 70MPa로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비교예 8, 11 및 15는 Mo와 Cr의 비는 만족하나, Mo와 Cr의 합이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로서, 이 역시 28일이 지난 후의 상온 시효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중량%로, C: 0.9~1.1%, Si: 0.8~1.5%, Cr: 0.1~0.5%, Mo: 0.1~0.2%, P: 0.015% 이하, S: 0.015%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상기 Cr 및 Mo의 합은 0.6~0.7% 인 조성을 가지는 고강도 강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o과 Cr은 Mo/Cr: 0.2~0.5를 만족하는 고강도 강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의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13~16% 세멘타이트를 포함하는 고강도 강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의 표면에서 중심방향으로 100㎛까지 세멘타이트 내에 존재하는 탄소의 함량이 19.1~20.1중량%인 고강도 강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의 신선가공량은 최대 3.2인 고강도 강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을 상온에서 26~30일 유지 후 인장강도 변화는 36MPa 이하인 고강도 강선.
KR1020120135519A 2012-11-27 2012-11-27 고강도 강선 KR101461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519A KR101461724B1 (ko) 2012-11-27 2012-11-27 고강도 강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519A KR101461724B1 (ko) 2012-11-27 2012-11-27 고강도 강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804A KR20140067804A (ko) 2014-06-05
KR101461724B1 true KR101461724B1 (ko) 2014-11-14

Family

ID=5112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519A KR101461724B1 (ko) 2012-11-27 2012-11-27 고강도 강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7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9607A (ja) * 1998-03-26 1999-10-05 Sumitomo Metal Ind Ltd 伸線強化型高強度鋼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22715A (ko) * 2001-09-10 2003-03-17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고강도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32555A (ko) * 2009-09-23 2011-03-30 주식회사 포스코 연질화 처리 생략이 가능한 고탄소 연질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1093A (ko) * 2010-04-08 2012-05-21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소우 와이어용 소선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9607A (ja) * 1998-03-26 1999-10-05 Sumitomo Metal Ind Ltd 伸線強化型高強度鋼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22715A (ko) * 2001-09-10 2003-03-17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고강도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32555A (ko) * 2009-09-23 2011-03-30 주식회사 포스코 연질화 처리 생략이 가능한 고탄소 연질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1093A (ko) * 2010-04-08 2012-05-21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소우 와이어용 소선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804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006B1 (ko) 강도와 연성이 우수한 신선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48744A (ko) 신선가공성이 우수한 신선용 선재, 초고강도 강선 및 그 제조방법
KR101676109B1 (ko) 신선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고강도 강선과 선재의 제조방법
KR101920973B1 (ko) 표면 특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5927A (ko) 두께 중심부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1724B1 (ko) 고강도 강선
KR101657803B1 (ko) 사우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0157B1 (ko) 피로 특성이 우수한 스프링용 강선, 강선용 고탄소 선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031425B1 (ko) 우수한 ssc 저항 특성을 갖는 고강도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2358B1 (ko) 고강도 고탄소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28338B1 (ko) 신선용 선재 및 열처리재와 고강도 강선
KR101518583B1 (ko) 신선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470032B1 (ko) 강도 및 연신율 특성이 우수한 합금강의 제조방법
KR101676111B1 (ko) 고강도 강선 및 그 제조방법
KR101676130B1 (ko) 고강도 고연성 선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429603B1 (ko)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8320B1 (ko) 고강도를 갖는 과공석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6151A (ko) 피로저항성이 우수한 용접강관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16198B1 (ko) 고연성 선재,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49113B1 (ko) 굽힘 피로 특성 및 연성이 우수한 고탄소 강선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5957A (ko) 고강도 고내식 강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25980A (ko) 강도가 우수한 고탄소 선재 및 강선과 이들의 제조방법
JP6293214B2 (ja) 水素誘起割れ抵抗性に優れた高炭素鋼線材、高炭素鋼鋼線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101676129B1 (ko) 신선용 선재, 비틀림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585725B1 (ko) 고강도 극세 강선용 열처리 선재, 이를 이용한 극세 강선과 이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