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330B1 -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330B1
KR101461330B1 KR20130078886A KR20130078886A KR101461330B1 KR 101461330 B1 KR101461330 B1 KR 101461330B1 KR 20130078886 A KR20130078886 A KR 20130078886A KR 20130078886 A KR20130078886 A KR 20130078886A KR 101461330 B1 KR101461330 B1 KR 101461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ortable terminal
vehicle
roof fram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훈
윤준식
김영록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78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60J5/0494Rain covers deployed upon opening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상부에 위치한 루프 프레임의 측면에 매립 장착되고,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 차량에 승하차하는 사용자가 비에 젖지 않게 루프 프레임의 외측을 향해 차양 막이 펼쳐지는 차양 모듈과, 상기 차양 모듈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차양 모듈의 작동상태 확인 및 제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페어링(pairing) 과정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양 모듈의 동작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차양 모듈의 작동상태 확인을 위한 상태확인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Umbrella of the vehicle for controlled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차량에 승차하거나 하차할 때 비에 젖지 않도록 차양의 도어 상부에 위치한 루프 프레임에 차양 막을 설치한 차양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차양 모듈은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기에 의해 작동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 우산을 든 운전자 혹은 탑승객이 차량에 승차하거나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혹은 탑승객이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려는 경우 불가피하게 비에 젖게 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우천시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하기 위해서는 운전석의 도어를 열고 손에 든 우선을 접은 상태로 운전석에 착석하거나 또는 먼저 운전석에 착석한 뒤 우선을 접은 후 운전석의 도어를 닫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빗물에 운전자가 노출되어 빗물에 젖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실용신안공개 제20-1998-046314호(선행기술 1)의 "승하차시 자동으로 작동되는 자동차 우산 장치" 및 특허공개 제10-2010-0041665호(선행기술 2)의 "자동차 우산"이 있다.
선행기술 1의 자동차 우산은 접철식 부채우산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도어의 상단부와 자동차의 천장 상단부에 고정되어 도어의 개방에 따라 접철식 부채우산이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비나 눈을 막아주게 된다.
또한, 선행기술 2의 자동차 우산은 미닫이 도어를 갖는 자동차의 차체 지붕에 권선된 차단막이 내설된 하우징을 설치하여 미닫이 도어를 개방하는 것에 따라 하우징에서 차단막이 인출되어 승객이 비에 젖지 않도록 막아주게 된다.
그러나, 선행기술 1과 선행기술 2는 비가 내리지 않는 상황에서도 도어가 열릴 때마다 부채우산 또는 차단막이 펼쳐지거나 인출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비를 막기 위한 부채우산 또는 차단막을 수납하는 부분이 모두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자동차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해 소비자의 미적 감성을 충족시키기 어렵고,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할 때 바람이 부채우산 또는 차단막을 수납하는 부분에 부딪혀 풍절음과 같은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실용신안공개 20-1998-0046314(1998.09.25) 한국 특허공개 10-2010-0041665(2010.04.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천시 차량에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승차 혹은 하차할 때 비에 젖지 않도록 비를 막아주는 우산이 차량의 루프 프레임에 내장되어 필요에 따라 우산을 인출시켜 사용함으로써, 차량의 미관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차량의 주행 시 풍절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운전자의 휴대 단말기와 연동시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루프 프레임에 내장된 우산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차량의 도어 상부에 위치한 루프 프레임의 측면에 매립 장착되고,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 차량에 승하차하는 사용자가 비에 젖지 않게 루프 프레임의 외측을 향해 차양 막이 펼쳐지는 차양 모듈과, 상기 차양 모듈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차양 모듈의 작동상태 확인 및 제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페어링(pairing) 과정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양 모듈의 동작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차양 모듈의 작동상태 확인을 위한 상태확인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양 모듈은 상기 차량의 루프 프레임 외측면을 향하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설치된 매립 홈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부채의 형상으로 펼쳐지게 접철된 차양 막과, 상기 차양 막을 매립 홈의 입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거나 케이스 내부로 인입시키는 슬라이딩 유닛 및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양 막의 선단을 루프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접철된 차양 막을 펼치는 회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매립 홈의 입구를 향해 직선이동하고, 상면에 차양 막의 기단을 고정하는 고정블록이 형성된 이송 판 및 상기 이송 판의 저면에 형성된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인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이송 판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스텝 모터 및 상기 스텝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차양 막의 선단과 고정되는 회전 런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양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통신부와, 상기 차양 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와, 상기 차양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페어링을 수행하거나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에 의하면, 차량의 도어 상부에 위치한 루프 프레임 차양 모듈이 매립 장착되고, 상기 차양 모듈에는 차양 막이 설치되어 우천 시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기에 의해 차양 막이 펼쳐지거 접철되어 운전자가 비에 젖지 않게 비를 막아 사용이 편리하다.
특히, 상기와 같이 차양 모듈이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기와 무선통신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차량의 운전석 전방에 위치한 대시 보드에 차양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버튼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격으로 차양 모듈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차양 모듈이 차량의 도어 상부에 위치한 루프 프레임에 내장되어 차량의 미관에 영향을 주지 않아 소비자의 미적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이 고속주행하더라도 차양 모듈에 의한 풍절음을 발생시키지 않아 차량의 정숙성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양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양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차양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은 차량의 도어 상부에 위치한 루프 프레임(10)에 매립 장착되는 차양 모듈(100)과 상기 차양 모듈(100)을 제어하는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기(200) 및 상기 휴대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차양 모듈(100)을 휴대 단말기(200)로 제어하는 차양 제어부(30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차양 모듈(100)은 차량의 도어 상부에 위치한 루프 프레임(10)에 매립 장착되는 것으로,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하는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비에 젖지 않도록 탑승하는 위치의 도어 상부에서 차양 막(120)을 펼쳐 사용자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200)는 차량의 운전자가 소지하는 것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고, 상기 휴대 단말기(200)에 차양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210)이 설치되어 차양 모듈(100)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차양 모듈(100)의 상태를 운전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무선통신하게 된다.
이렇게, 휴대 단말기(200)를 통해 차양 모듈(100)의 제어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차양 모듈(100)에는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기(20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차양 제어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차양 제어부(300)는 차양 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작동하는 차양 모듈(100)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호 통신하게 된다.
즉, 상기 차양 제어부(300)는 휴대 단말기(200)와의 페어링 과정을 통해 휴대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양 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차양 제어부(30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와 무선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통신부(310), 상기 차양 모듈(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320), 상기 차양 모듈(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30) 및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페어링을 수행하거나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부(340)로 구성되어 차양 모듈(100)의 작동를 제어하고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신부(310)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여 다양한 무선통신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10)의 블루투스 모듈은 식별을 위한 블루투스 주소가 정해져 있으며, 장치이름 또는 시리얼 번호 등을 지정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320)는 상기 차양 모듈(100)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원부(33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리셋부(3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전원부(330)는 전원공급을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사용되는 전원을 일정레벨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차량 모듈의 통신부(310), 메인 제어부(320), 리셋부(340) 등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리셋부(34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와의 보안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거나 리셋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하면, 여러개의 장치가 검색된다.
즉,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하게 되면, 차량의 루프 프레임(10)에 설치된 차양 모듈(100) 이외에도 차양에 탑재된 다른 장치들, 예를 들어 편의를 위한 핸즈프리장치, 스피커, 등이 검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모든 장치가 검색되므로, 보안 페어링이 필요하며 따라서 상기 리셋부(340)가 필요하게 된다. 리셋부(340)는 페어링을 위한 페어링 버튼이 휴대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210)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페어링 버튼을 누름으로써 휴대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200)와 차양 모듈(100)의 무선통신 연결은 페어링 버튼을 이용해 등록이 가능해진다. 이때, 차양 모듈(100)의 등록의 해제나 변경을 위해서는 상기 페어링 버튼을 수초 이상 눌러 초기화하고 다시 등록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페어링 방법으로는, 휴대 단말기(200)를 블루투스 장치에 근접시켜 무선신호의 강도가 일정레벨이상 강하게 인식되는 차양 모듈(100)을 등록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페어링 방법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200)와 차양 모듈(100)이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때에는 비밀번호를 전송하여 등록하고 제어권이 없는 다른 휴대 단말기의 등록은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양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는 차량 모듈(100)은 케이스(110), 차양 막(120), 슬라이딩 유닛(130), 회전 유닛(140)으로 구성된다. 이를 도 2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차양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차양 모듈(100)은 차량의 도어 상부에 위치한 루프 프레임(10)에 형성된 매립 홈(11)에 장착된다.
상기 매립 홈(11)은 루프 프레임(10)의 외측면에서 내부를 향하도록 함몰 형성되며, 매립 홈(11)의 입구에 힌지에 의해 회동하여 매립 홈(11)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12)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12)는 차량의 루프 프레임(10)의 외형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으며 양측단이 매립 홈(11)과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커버(12)가 회전하여 매립 홈(11)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의 양측단 상부에는 힌지블록(13)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블록(13)은 매립 홈(11)의 입구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미도시)와 결합된다.
이때, 돌기에는 토션 스프링(14)이 장착되어 토션 스프링(14)에서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외력이 없을 시 커버(12)가 매립 홈(11)의 입구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이물질이 매립 홈(11)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매립 홈(11)의 입구에 설치된 커버(12)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슬라이딩 유닛(130)의 이송 판(131)이 루프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인출될 때 이송 판(131)에 밀려 매립 홈(11)을 개방하게 되며, 이와는 반대로 이송 판(131)이 매립 홈(11)의 내부로 인입될 때에는 토션 스프링에서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커버(12)가 매립 홈(11)의 입구를 폐쇄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매립 홈(11)의 입구에 대한 개폐는 앞서 설명한 힌지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매립 홈(11)의 입구에 루프 프레임(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 커버가 설치되어 매립 홈(11)의 개폐를 위해 커버가 루프 프레임(10)의 내부에서 매립 홈(11)을 향해 슬라이딩하여 매립 홈(11)이 폐쇄되거나 또는 이와는 반대로 매립 홈(11)에 위치한 커버가 루프 프레임(10)의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매립 홈(11)이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루프 프레임(10)에 형성된 매립 홈(11)에는 케이스(110)가 장착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 홈(11)의 입구를 향해 개구된 박스의 형태를 갖으며, 케이스(110)의 내부에 차양 막(120)이 부채의 형상으로 접혀진 상태로 보관된다.
즉, 상기 차양 막(120)은 그 표면이 방수 코팅된 직물지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차양 막(120)은 펼쳐졌을 때 부채꼴의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차양 막(120)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접철되는데, 차양 막(120)의 접철은 연속적인 지그재그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양 막(120)은 슬라이딩 유닛(130)에 의해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매립 홈(11)의 입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거나 또는 인입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유닛(130)은 케이스(110)의 내측벽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2)에 안내되어 매립 홈(11)의 입구를 향해 직선이동하고, 상면에 차양 막(120)의 기단을 고정하는 고정블록(132)이 형성된 이송 판(131) 및 상기 이송 판(131)의 저면에 형성된 래크(133)와 맞물리는 피니언(134)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인출 모터(135)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인출 모터(135)는 차양 제어부(300)의 메인 제어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출 모터(135)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송 판(131)을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매립 홈(11)의 입구를 통해 인출시키거나 또는 인출된 이송 판(131)을 케이스(110)의 내부로 인입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 판(131)의 양 측면에는 케이스(110)의 내측벽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2)에 개재되는 스토퍼(136)가 형성되어 이송 판(131)이 무리하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송 판(131)이 수평하게 직선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판(131)의 저면에는 인출 모터(135)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134)과 맞물리는 래크(133)가 형성되어 피니언(13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이송 판(131)을 케이스 내부에서 수평하게 직선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인출 모터(135) 및 피니언(134)은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 인출 모터(135) 및 피니언(134)은 케이스(110)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설치된다. 그리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인출 모터(135) 및 피니언(134)과 연계하여 이송 판(131)의 저면에 한 쌍의 래크(133)가 형성되어 이송 판(131)의 직선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유닛(130)에 의해 매립 홈(11)의 입구를 향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차양 막(120)은 회전 유닛(140)에 의해 이송 판(131)의 상부에서 펼쳐지게 된다. 즉, 상기 회전 유닛(140)은 슬라이딩 유닛(13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양 막(120)의 선단을 루프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접철된 차양 막(120)을 펼치게 된다.
이러한 회전 유닛(140)은 상기 이송 판(131)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스텝 모터(141)와, 상기 스텝 모터(141)에 의해 회전되고 차양 막(120)의 선단과 고정되는 회전 런너(14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텝 모터(141)는 차양 제어부(300)의 메인 제어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텝 모터(14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 런너(142)를 루프 프레임(10)의 외측으로 회전시켜 접철된 차양 막(120)을 펼치게 된다.
상기 스텝 모터(141)에 의해 회전하여 차양 막(120)을 펼치게 되는 회전 런너(142)는 기단에 스텝 모터(141)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고정부(142a)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고정부(142a)와 일체로 로드(142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로드(142b)는 스텝 모터(141)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서, 스텝 모터(141)의 작동에 따라 회전 런너(142)가 케이스(110)의 내측에서 루프 프레임(10)의 외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 런너(142)가 케이스(110)의 내측에서 루프 프레임(10)의 외측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케이스(110) 내부에 위치한 접철된 차양 막(120)이 회전 런너(142)의 로드(142b)에 이끌려 전개되어 사용자가 비에 젖지 않게 루프 프레임(10)의 외측을 향해 차양 막(120)이 펼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의 작동을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차양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거나 또는 차량의 운전석에서 차량의 외부로 나오려는 경우 운전자는 휴대 단말기(200)에 설치된 차양 모듈(100)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210)을 실행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차양 제어부(300)와 페어링 과정을 통해 휴대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210)을 실행시켜 차량의 도어 상부에 위치한 루프 프레임(10)의 측면에 매립 장착된 차양 모듈(100)을 작동시키게 된다.
즉, 휴대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210)에서 차양 모듈(100)의 차양 막(120)이 펼쳐지게 명령을 실행시키게 되면, 휴대 단말기(200)와 차양 제어부(300)가 무선통신하여 메인 제어부(320)에서 인출 모터(135)를 작동시켜 이송 판(131)을 케이스 외측으로 인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한 이송 판(131)이 인출 모터(135)의 작동에 따라 케이스(110)의 외부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송 판(131)이 매립 홈(11)의 입구에 설치된 커버(12)를 밀어 올리면서 케이스(110)의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이송 판(131)이 케이스(110)의 외부로 인출된 후에는 메인 제어부(320)가 스텝 모터(141)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스텝 모터(141)가 작동하게 되면 이송 판(131)의 상부에 위치한 회전 런너(142)가 스텝 모터(14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접철된 차양 막(120)을 펼치게 되고, 운전자가 비에 젖지 않게 차량의 도어 상부에 비를 막아주는 차양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운전자가 차량에 완전히 탑승하거나 차량에서 벗어나 비에 젖지 않게 되는 상태가 되면 펼쳐졌던 차양 막(120)이 접혀져 케이스(110) 내부로 인입되도록 운전자는 어플리케이션(210)을 실행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서, 스텝 모터(141)는 펼쳐진 차양 막(120)이 이송 판(131)의 상부에서 접철된 상태가 되도록 스텝 모터(141)가 작동하게 되며, 차양 막(120)이 완전히 접철된 상태가 되면 인출 모터(135)가 작동하여 케이스(110)의 전방으로 인출된 이송 판(131)이 케이스(11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때, 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한 이송 판(131)이 케이스(110)의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케이스(110)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동작감지센서(미도시)가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차양 막(120)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것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가 이송 판(131)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유닛(130)과 회전 유닛(140)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에 의하면, 차량의 도어 상부에 위치한 루프 프레임(10) 차양 모듈(100)이 매립 장착되고, 상기 차양 모듈(100)에는 차양 막(120)이 설치되어 우천 시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기(200)에 의해 차양 막(120)이 펼쳐지거 접철되어 운전자가 비에 젖지 않게 비를 막아 사용이 편리하다.
특히, 상기와 같이 차양 모듈(100)이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기(200)와 무선통신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차량의 운전석 전방에 위치한 대시 보드에 차양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버튼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격으로 차양 모듈(100)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차양 모듈(100)이 차량의 도어 상부에 위치한 루프 프레임(10)에 내장되어 차량의 미관에 영향을 주지 않아 소비자의 미적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이 고속주행하더라도 차양 모듈(100)에 의한 풍절음을 발생시키지 않아 차량의 정숙성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앞선 설명 및 도면에서는 차양 모듈(100)이 운전자가 출입하는 운전석 도어의 상부에 위치한 루프 프레임(10)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조수석, 운전석 뒷자리, 조수석 뒷자리로 향하는 도어 상부에 위치한 루프 프레임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렇게 운전석, 조수석, 운전석 뒷자리, 조수석 뒷자리로 향하는 도어 상부에 위치한 루프 프레임(10)에 각각 설치되는 차양 모듈(100)의 작동은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각기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차량의 도어 상부에 위치한 루프 프레임(10)에 매립 장착된 차양 모듈(100)의 주변에 사람이 위치하는 지를 감지하는 모션 센서(350)가 설치되어 차양 막(120)이 전개되는 범위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 차양 모듈(100)이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차양 막(120)의 전개에 따라 사람이 차양 막(120)에 부딪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 : 루프 프레임 11 : 매립 홈
12 : 커버 13 : 힌지블록
14 : 토션 스프링 100 : 차양 모듈
110 : 케이스 112 : 가이드레일
120 : 차양 막 130 : 슬라이딩 유닛
131 : 이송 판 132 : 고정블록
133 : 래크 134 : 피니언
135 : 인출 모터 140 : 회전 유닛
141 : 스텝 모터 142 : 회전 런너
142a : 고정부 142b : 로드
200 : 휴대 단말기 210 : 어플리케이션
300 : 차양 제어부 310 : 통신부
320 : 메인 제어부 330 : 전원부
340 : 리셋부 350 : 모션 센서

Claims (5)

  1. 차량의 도어 상부에 위치한 루프 프레임의 측면에 매립 장착되고,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 차량에 승하차하는 사용자가 비에 젖지 않게 루프 프레임의 외측을 향해 차양 막이 펼쳐지는 차양 모듈; 상기 차양 모듈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차양 모듈의 작동상태 확인 및 제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페어링(pairing) 과정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양 모듈의 동작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차양 모듈의 작동상태 확인을 위한 상태확인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양 모듈은, 상기 차량의 루프 프레임 외측면을 향하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설치된 매립 홈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부채의 형상으로 펼쳐지게 접철된 차양 막; 상기 차양 막을 매립 홈의 입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거나 케이스 내부로 인입시키는 슬라이딩 유닛; 및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양 막의 선단을 루프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접철된 차양 막을 펼치는 회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매립 홈의 입구를 향해 직선이동하고, 상면에 차양 막의 기단을 고정하는 고정블록이 형성된 이송 판; 및
    상기 이송 판의 저면에 형성된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인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이송 판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스텝 모터; 및
    상기 스텝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차양 막의 선단과 고정되는 회전 런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양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통신부;
    상기 차양 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차양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페어링을 수행하거나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
KR20130078886A 2013-07-05 2013-07-05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 KR101461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8886A KR101461330B1 (ko) 2013-07-05 2013-07-05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8886A KR101461330B1 (ko) 2013-07-05 2013-07-05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330B1 true KR101461330B1 (ko) 2014-11-13

Family

ID=5229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8886A KR101461330B1 (ko) 2013-07-05 2013-07-05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33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823B1 (ko) * 2017-06-07 2018-12-04 (주)엠케이산업 차량 지붕용 우수 차단장치
KR101928653B1 (ko) 2017-05-24 2018-12-12 유지현 차량용 자동 우산 장치
KR102001099B1 (ko) * 2018-12-26 2019-07-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비막이 장치 및 그 시스템
CN110626155A (zh) * 2019-10-25 2019-12-31 江苏汇鑫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防雨装置
KR102087730B1 (ko) * 2018-10-15 2020-03-11 선명한 자동차용 우산
KR102089528B1 (ko) * 2018-10-15 2020-03-16 선명한 자동차용 에어분사장치
KR20210023218A (ko) * 2019-08-22 2021-03-04 채일수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US20220297516A1 (en) * 2021-03-18 2022-09-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losure panel with increased weather-blocking capac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700Y1 (ko) * 2005-02-01 2005-05-17 이용우 자동차 천정에 장착된 차단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700Y1 (ko) * 2005-02-01 2005-05-17 이용우 자동차 천정에 장착된 차단막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653B1 (ko) 2017-05-24 2018-12-12 유지현 차량용 자동 우산 장치
KR101924823B1 (ko) * 2017-06-07 2018-12-04 (주)엠케이산업 차량 지붕용 우수 차단장치
KR102087730B1 (ko) * 2018-10-15 2020-03-11 선명한 자동차용 우산
KR102089528B1 (ko) * 2018-10-15 2020-03-16 선명한 자동차용 에어분사장치
KR102001099B1 (ko) * 2018-12-26 2019-07-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비막이 장치 및 그 시스템
KR20210023218A (ko) * 2019-08-22 2021-03-04 채일수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KR102304457B1 (ko) 2019-08-22 2021-09-17 채일수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CN110626155A (zh) * 2019-10-25 2019-12-31 江苏汇鑫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防雨装置
US20220297516A1 (en) * 2021-03-18 2022-09-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losure panel with increased weather-blocking capacity
US11535091B2 (en) * 2021-03-18 2022-1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losure panel with increased weather-blocking capac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330B1 (ko)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
US7108301B2 (en) Door handle equipped with an automatic retractable flap
US9623740B1 (en) Vehicle sunshade
JP6207089B2 (ja) 車両ドア制御装置
KR102279665B1 (ko) 차량용 확장 모듈 장치
KR102001099B1 (ko) 차량용 비막이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384696B1 (ko) 차량 장착용 텐트
JP6112292B2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KR20160057701A (ko) 차량용 비막이 장치
CN208484516U (zh) 汽车自动遮雨装置
KR20120011152A (ko) 차량용 빗물 차단막
KR20200020531A (ko) 차량의 도어 자동 개폐 시스템
JP2008285878A (ja) 駐車場開閉システム
KR101402298B1 (ko) 자동차유리 차광용 롤블라인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환기장치
KR101472928B1 (ko) 자동차의 빗물가리개
KR101357476B1 (ko) 차량용 빗물 차단장치
KR100595843B1 (ko) 차량용 비 차단장치
CN108215736A (zh) 汽车
US11214131B2 (en) Vehicle integrated rain guard
KR20160116709A (ko)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KR20220096287A (ko) 차량용 스마트 우산 인출장치
JP2009215747A (ja) 建物
JP5044278B2 (ja) 車両乗降補助装置
KR101605669B1 (ko)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CN109696924A (zh) 智能行李车及控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