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715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715B1
KR101460715B1 KR1020080023957A KR20080023957A KR101460715B1 KR 101460715 B1 KR101460715 B1 KR 101460715B1 KR 1020080023957 A KR1020080023957 A KR 1020080023957A KR 20080023957 A KR20080023957 A KR 20080023957A KR 101460715 B1 KR101460715 B1 KR 101460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inion gear
foreign matter
suction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98518A (en
Inventor
박희웅
박내현
박병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3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715B1/en
Publication of KR2009009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7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를 사용자가 실내기에서 탈거하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필터 청소유닛에 의하여 청소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상기 필터 청소유닛을 작동시키므로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filter for purifying indoor air can be automatically cleaned by a filter cleaning unit without removing the user from the indoor unit,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필터, 필터 청소유닛, 이물질 분리유닛, 이물질 흡입부, 이송풀리 A filter cleaning unit, a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a foreign matter suction unit,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의 냉,난방 또는 정화 등 공기 조화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가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자동 청소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air conditioning such as cooling, heating, or purifying indoor 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automatically cleaning a filter while being movably mounted on the body.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Generally, the air conditioner is used to cool or air the room by using a refrigerating cycle of a refrigerant composed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in order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the user. do.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The separate type and the integral type are the same in function but the separate type indoor and outdoor un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oling / heat radi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a heat radiating / cooling and compressing device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To integrate the functions of the house walls and holes in the wall of the house is installed directly by hanging device.

이러한 공기조화기에는 공기조화기 내 부품 보호는 물론 피공조실의 공기 정 화를 위해 공기조화기에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가 설치된다.Such an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 filter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o be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er in order to protect the components in the air conditioner as well as to purify the air in the air conditioner.

상기 필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에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포집하여 필터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필터의 사용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필터에 포집된 이물질량도 많아져서 그 기능이 저하됨은 물론, 상기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방해하여 공기조화기의 기능까지 저하시키게 된다.Since the filter performs the filter function by collecting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er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th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filter increases with the use period of the filter, Thereby interfering with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air conditioner, thereby deteriorating the function of the air conditioner.

따라서, 공기조하기에 구비된 상기 필터는 수시로 교체하여 주거나 상기 필터에 포집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청소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filter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ing should be replaced occasionally or cleaned to remove foreign matter collected on the filter.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필터의 교체나 청소를 위해 상기 필터가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필터의 설치 위치나 설치 방법은 물론, 상기 필터 주변 부품들의 레이 아웃(Lay-out) 설계에 커다란 제약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has to be installed so that the filter can be detached and removed for replacement or cleaning of the filter, Lay-out design problems.

또한, 공기조화기 소비자나 운전자가 상기 필터의 교체나 청소작업을 직접 해야하므로 상기 필터의 교체나 청소작업으로 인한 불편함, 그리고 상기 필터의 오염상태의 지속으로 인한 불쾌감 등으로 인해 감성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consumer or the driver of the air conditioner must directly perform the replacement or cleaning operation of the filter, there is an adverse effect on the sensitivity quality due to inconvenience due to replacement or cleaning of the filter and discomfort due to the persistent contamination of the filter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caused.

또한, 상기 필터가 공기조화기 내부에 설치된 경우 상기 필터의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필터의 교체나 청소작업이 장시간 방치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여 그로 인한 필터나 공기조화기의 기능 저하 등에 의해 감성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상기 필터나 공기조화기가 소손되는 문제점도 지적된다.In addition, when the filter is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it is difficult to easily check the state of the filter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case where the filter replac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is left for a long time is required, and the function of the filter or the air conditioner Deterioration or the like may adversely affect the quality of the sensibility, and further, the filter or the air conditioner may be burned out.

본 발명은,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를 사용자의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필터 청소유닛에 의하여 청소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필터 청소유닛을 구성하는 구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that is configured to perform a cleaning operation by a filter cleaning unit, not by a user's manual, but by a filter cleaning unit, and to minimize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cleaning unit .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필터 청소 시 회전이동되는 환형의 필터와, 각각 상기 필터의 내측 양단이 외주에 감기도록 상기 필터의 내측에 배치되고, 회전구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필터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이송풀리와, 상기 필터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 분리유닛과,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과 연통되는 흡입유닛과, 상기 한 쌍의 이송풀리 중 어느 하나의 이송풀리 및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에 작동력을 동시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유닛을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nular filter rotatably moved during cleaning of a filter, a pair of filters disposed inside the filter such that both inner ends of the filter are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ce, A foreign matter separating unit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filter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s filtered by the filter, a suc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unit, and a pair of conveying pulleys and a pair of conveying pulleys,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n operating force to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이때, 상기 필터에는, 상기 필터의 폭방향 양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이송풀리의 양단부에 감김되는 고무벨트가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lter may be provided with a rubber belt to which both ends of the filter in the width direction are coupled and which is wound around both ends of the conveying pulley.

또한, 상기 이송풀리에 접촉되는 상기 고무벨트의 일면에는 상기 이송풀리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제1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풀리에는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gear portion for increasing frictional force with the conveying pulley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ubber belt contacting the conveying pulley, and a second gear portion for meshing with the first gear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conveying pulley .

또한, 상기 한 쌍의 이송풀리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Further,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pair of conveyance pulleys.

또한,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은, 상기 이송풀리의 외주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이송풀리의 일측에 배치되는 더스트 챔버와, 상기 더스트 챔버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되는 상기 필터에 접촉되면서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아지테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separ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ust chambe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onveying pulley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veying pulley and a dust chamber disposed rotatably inside the dust chamber, And an agitator for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to be filtered.

또한,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이송풀리의 외주에는 상기 필터를 상기 더스트 챔버 측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재가 끼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act member for closely contacting the filter to the dust chamber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ransfer pulley between the first gear portion and the second gear portion.

또한, 상기 동력 전달유닛은, 상기 한 쌍의 이송풀리 중 어느 하나의 이송풀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한 쌍의 이송풀리 중 적어도 하나의 이송풀리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풀리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1피니언기어와, 상기 제1피니언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아지테이터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아지테이터의 양단 중 어느 일단에 연결된 제2피니언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e motor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one of the pair of conveyance pulleys and a drive motor connected to a rotation axis of at least one of the pair of conveyance pulleys, And a second pinion gear connected to either end of the agitator to rotate the agitator in response to a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pinion gear.

또한, 상기 동력 전달유닛은, 상기 제1피니언기어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 및 상기 제2피니언기어와 동시에 치합되면서 상기 이송풀리와 상기 아지테이터의 회전방향을 동일하게 하는 연결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inion gear and the second pinion gear and is engaged with the first pinion gear and the second pinion gear at the same time to rotate the conveyance pulley and the agitator in th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pinion gear that performs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를 필터 청소유닛으로 하여금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됨은 물론, 상기 필터 청소유닛의 구성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공기조화기의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lean the filter cleaning unit for purifying the air, as well as to minimize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cleaning unit,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기준으로 상하방향, 좌우방향, 전후방향을 지시하고, 상하방향은 화살표 Z로, 좌우방향은 화살표 Y로, 전후방향은 화살표 X로 지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1 is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a left-right direction, a front-rear direction, a vertical direction is indicated by an arrow Z, The direction is indicated by the arrow X and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2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흡입구에 배치되는 필터(4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그 내부에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키는 공조부(미도시)가 구비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본체(3)와, 상기 본체(3)에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면패널을 포함한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20 of an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ned, and FIG. 2 shows a filter 40 disposed in the air inlet shown i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1 and 2, an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3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to have an air conditioning unit (not shown) And a front panel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3 forwards.

상기 본체(3)는 실내의 일측 바닥면에 배치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캐비닛(5)을 포함한다.The main body 3 includes a base 10 disposed on one side of a floor of the room and a cabinet 5 extending upwardly and downwardly from the base 10.

상기 캐비닛(5)의 좌/우측면 상부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20)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20)의 각각을 개폐하는 좌/우토출구 패널(25)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5)의 상부면에는 상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상부 공기 토출구(20)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 공기 토출구(20)를 개폐하는 상부 토출구 패널(25)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An air outlet 20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s form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cabinet 5 and a left and right outlet panel 25 for opening and closing each of the side air outlet ports 20 is rotatably installed .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5 is formed with an upper air discharge port 20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upwardly and an upper discharge port panel 2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air discharge port 20 is rotatably installed have.

상기 캐비닛(5)의 좌/우측면 하부에는 각각 상기 캐비닛(5)의 내부 공간으로 실내 측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좌/우측 공기 흡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좌/우측 공기 흡입구의 각각을 개폐하는 좌/우측 흡입구 패널(35)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Left and right air intake openings are formed i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cabinet 5 so that air in the indoor space is suck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binet 5, / Right suction panel 35 is rotatably installed.

상기 좌/우측 공기 흡입구의 내측에는 각각 공기가 흡입되는 상기 공기 흡입구를 형성하는 좌/우측 지지패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우측 지지패널 각각에는 상기 좌/우측 공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좌/우측 흡입필터(40)가 배치된다. 상기 좌/우측 흡입필터(40)는 상기 본체(3)에 구비된 좌/우 필터 청소유닛에 의해 각각 자동 청소된다.A left / right side support panel (not shown) may be disposed inside the left and right air inlets to form the air inlets through which air is sucked, respectively. Each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panels is provided with a left / right suction filter 40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into the left and right air inlets. The left and right suction filters 40 are automatically cleaned by the left and right filter cleaning units provided in the main body 3,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좌측 필터 청소유닛은 상기 좌측 흡입필터(40) 측에 배치되고, 상기 우측 필터 청소유닛은 상기 우측 흡입필터(40) 측에 배치되는 것과 같이, 각각의 상기 필터 청소유닛은 그 설치위치가 다를 뿐 그 구성 및 기능하는 바가 모두 같으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좌측 필터 청소유닛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상기 우측 필터 청소유닛의 설명은 상기 좌측 필터 청소유닛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Here, the left filter cleaning unit is disposed on the left suction filter 40 side, and the right filter cleaning unit is disposed on the right suction filter 40 side. The configuration of the left filter cleaning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eft filter cleaning uni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filter cleaning unit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left filter cleaning unit do.

이하, 상기 좌측 흡입필터(40)를 청소하는 좌측 필터 청소유닛(이하, "필터 청소유닛"이라 약칭함)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필터 청소유닛은, 상기 좌측 흡입필터(40)(이하, "흡입필터(40)"라 약칭함)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흡입필터(40)를 회전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유닛과, 상기 동력 전달유닛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기 흡입필터(4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필터(40)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 분리유닛(60)과,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60)과 연통되어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60)에 의하여 상기 흡입필터(40)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유닛(70)을 포함한다.Hereinafter, a left filter cleaning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lter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left suction filter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ilter cleaning unit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power to the left suction filter 40 (hereinafter, abbreviated as "suction filter 40") to rotate the suction filter 40, A foreign matter separating unit (6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uction filter (40) rotated by the unit and separating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suction filter (40), and a foreign matter separating unit And a suction unit (70) for sucking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suction filter (40) by the unit (60) and discharging the foreign matter to the outside.

일반적으로 상기 흡입필터(40)를 청소하는 방식은 2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하나는 상기 필터 청소유닛을 이용한 필터의 청소 시 상기 흡입필터(40)를 고정시킨 채로 상기 필터 청소유닛을 상기 흡입필터(40)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흡입필터(40)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필터 청소유닛을 고정시킨 채로 상기 흡입필터(40)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흡입필터(40)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후자의 방식을 취한다.Generally, there are two ways of cleaning the suction filter 40. One is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suction filter 40 while moving the filter cleaning unit along the suction filter 40 while the suction filter 40 is fixed at the time of cleaning the filter using the filter cleaning unit And the other is a method of removing foreign matters filtered by the suction filter 40 while moving the suction filter 40 while fixing the filter cleaning uni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ter method is adopted.

상기 후자의 방식에 의한 청소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상기 흡입필터(40)는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이하, "공기 흡입구"라 약칭함)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흡입필터(40)만을 통하여 상기 본체(3)의 내부로 흡입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회전 이동가능하게 그 주변 구성과 긴밀하게 결합되어야 한다.In the case of adopting the cleaning method according to the latter method, the suction filter 40 is disposed in the left air intake po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ir intake port") so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take port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filter 40 to b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air.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필터(40)는, 상기 공기 흡입구 측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되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필터패널(45)에 회전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필터패널(45)의 사이 공간을 제외하고는 상기 한 쌍의 필터패널(45) 외측은 공기가 스며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좌측 지지패널(이하, "지지패널"이라 약칭함)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필터패널(45)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각각 상기 필터패널(45)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이송풀리(50)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패널(45)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이송풀리(50)와 한 쌍의 상기 필터패널(45)이 서로 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패널에 대략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방형의 상기 공기 흡입구를 형성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suction filter 40 is rotatably disposed on a pair of filter panels 45, which are arranged vertically on the air intake port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Except for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filter panels 45, the outside of the pair of filter panels 45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left support pa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pport panel" Lt; / RTI > A feed pulley 50 connecting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filter panel 4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disposed at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pair of filter panels 45, respectively. A pair of the conveying pulleys 50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lter panel 45 and a pair of the filter panels 45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rectangular shape, Thereby forming an air inlet.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흡입필터(40)를 청소하는 필터 청소유닛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흡입필터(40)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이송풀리(50)의 양단부에 각각 감김되도록 고무벨트(55)가 배치된다. 상기 이송풀리(5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상기 고무벨트(55)의 일면에는 상기 이송풀리(50)와의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기어치 형상의 기어부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 고무벨트(55)의 일면에 형성된 기어부를 "제1기어부(56)"라고 칭한다. 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suction filter 40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3 and 4, a rubber belt 55 is dispos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suction filter 40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be wound around both ends of the conveying pulley 50, respectively. A gear portion having a gear tooth shap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ubber belt 55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veying pulley 50 so as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with the conveying pulley 50. Hereinafter, the gear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ubber belt 55 is referred to as a "first gear portion 56 ".

한편, 상기 제1기어부(56)가 접촉되는 상기 이송풀리(50)의 양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부(56)와 치합되는 형상의 기어부(57)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 이송풀리(50)의 양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57)를 "제2기어부(57)"라 칭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gears 57 having a shape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gear portion 56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conveying pulley 50 in contact with the first gear portion 56. Hereinafter, the gear portion 57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both end portions of the conveying pulley 50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gear portion 57 ".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송풀리(50)에 어떠한 경로이든 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이송풀리(50)가 회전되는데, 상기 이송풀리(50)의 외주면에 감김되는 상기 흡입필터(40)에 상기 이송풀리(50)의 회전력을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한 하나의 동력 전달 수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기어부(56)와 제2기어부(57)가 서로 치합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무벨트(55)와 상기 이송풀리(50) 간 마찰력의 정도에 따라 기어치가 형성되지 않은 단순한 벨트에 의한 동력전달 방법도 채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wer is transmitted to the conveying pulley 50 through any path, the conveying pulley 50 is rotated, and the suction filter 40, which is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veying pulley 50, The first gear portion 56 and the second gear portion 57 are meshed with each other as one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smoothl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gear portion 56 and the second gear portion 50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power transmission method using a simple belt in which gear teeth are not formed may be adopt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ubber belt 55 and the conveyance pulley 50 Of course.

상기 한 쌍의 이송풀리(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이물질 분리 유닛이 배치된다.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60)은, 상기 흡입필터(4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필터(40)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60)은, 상기 이송풀리(5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이송풀리(50)의 일측에 배치되는 더스트 챔버(61)와, 상기 더스트 챔버(6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되는 상기 필터(40)에 접촉되면서 상기 필터(40)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아지테이터(65)를 포함한다.A foreign matter separating unit is disposed at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pair of conveying pulleys (50).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60) is disposed outside the suction filter (40) and separates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suction filter (40).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60 includes a dust chamber 61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onveyance pulley 50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veyance pulley 50, And an agitator 65 for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filter 40 while being contacted with the filter 40 to be moved and moved.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기(1)는,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60)과 연통되어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60)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유닛(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흡입유닛(70)은,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60)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60)에 의하여 상기 흡입필터(40)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입유닛(70)은, 일종의 진공청소기와 같은 원리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60) 중 상기 더스트 챔버(61)는 양측이 개방된다. 개방된 상기 더스 트 챔버(61)의 양측 중 일측은 상기 흡입필터(40)가 배치되는 상기 이송풀리(50)의 외주면 일측에 근접되게 배치된다. 또한 개방된 상기 더스트 챔버(61)의 타측은 상기 흡입유닛(70)과 연결 호스(75)에 의하여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유닛(70)이 흡입력을 제공하면 상기 더스트 챔버(61) 내부는 일시적으로 공기가 빠져나가 압력이 낮아지는 상태로 되고, 상기 더스트 챔버(61)의 일측과 상기 흡입필터(40)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더스트 챔버(61)의 내부에 부족한 공기를 채워 넣기 위하여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도 4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화살표 참조). 이 과정 동안 상기 더스트 챔버(61) 내부에는 상기 더스트 챔버(61)의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소정의 공기 유동이 생기게 되는데, 이때 상기 더스트 챔버(61) 내부로 분리되는 이물질이 상기 공기 유동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더스트 챔버(61) 내부에 분리된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상기 흡입유닛(70)에 의하여 흡입되기 위하여는 상기 더스트 챔버(61) 내부에 적절한 흡입력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더스트 챔버(6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인 상기 더스트 챔버(61)의 개방된 일측과 상기 흡입필터(40) 사이의 공간의 이격거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간이 필요 이상으로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이송풀리(50)의 외주에 상기 흡입필터(40)를 상기 더스트 챔버(61) 측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재(52)가 끼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송풀리(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동력 전달유닛이 연결 배치된다. 상기 동력 전달유닛은 상기 흡입필터(40)를 회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흡입필터(4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계적 메커니즘이다. 상기 동력 전달유닛은, 상기 한 쌍의 이송풀리(50) 중 어느 하나 의 이송풀리(5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53)와, 상기 한 쌍의 이송풀리(50) 중 적어도 하나의 이송풀리(50)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풀리(50)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1피니언기어(54)와, 상기 제1피니언기어(5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아지테이터(65)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아지테이터(65)의 양단 중 어느 일단에 연결된 제2피니언기어(68)를 포함한다. 2 and 4, the air conditioner 1 further includes a suction unit 70 communicating with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60 to provide a suction force to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60. The suction unit 70 provides a suction force to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unit 60 to suck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suction filter 40 by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unit 60 and discharge the foreign matter to the outside. The suction unit (70) is constituted on the same principle as a kind of vacuum cleaner.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 the dust chamber 61 of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60 is opened on both sides. One side of the open side of the dust chamber 61 is disposed close to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veyance pulley 50 where the suction filter 40 is disposed. The other side of the opened dust chamber 61 is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unit 70 by the connection hose 75. When the suction unit 70 provides a suction force, air is temporarily released from the dust chamber 61 and the pressure of the dust chamber 61 is lowered. The dust chamber 6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ust chamber 61 and the suction filter 40, Air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dust chamber 61 and the dust chamber 61 to fill in the air. During this process, a predetermined air flow is generated from the open side of the dust chamber 61 to the inside of the dust chamber 61. At this time, foreign matter separated into the dust chamber 61 flows along the air flow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However, in order for the dust chamber 61 to be effectively sucked by the suction unit 70, a proper sucking force must be formed inside the dust chamber 61. For this purpos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open side of the dust chamber 61 and the space between the suction filter 40, which is a portion into which air flows into the dust chamber 61, is very importan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ct member 52 for fitting the suction filter 40 to the dust chamber 61 side may be fit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veying pulley 50 so that the space is not unnecessarily spaced apart from the space. have. A power transmission uni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air of conveyance pulleys (50).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a mechanical mechanism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suction filter 40 for rotationally moving the suction filter 40. The power transmitting unit includes a drive motor 53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one of the pair of conveying pulleys 50 and a pair of conveying pulleys 50 for conveying at least one of the pair of conveying pulleys 50, A first pinion gear 54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pulley 50 and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conveying pulley 50 and a second pinion gear And a second pinion gear 68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pposite ends of the agitator 65 to rotate the second pinion gear 68.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53)와 상기 제1피니언기어(54)는 각각의 상기 이송풀리(50)에 하나씩 연결되어도 무방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력 전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53)와 상기 제1피니언기어(54)가 하나의 상기 이송풀리(50)의 양단에 해당되는 상기 이송풀리(50)의 회전축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이송풀리(50) 중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60)이 배치된 측이 이송풀리(50) 측에 상기 구동모터(53) 및 상기 제1피니언기어(54)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drive motor 53 and the first pinion gear 54 may b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transfer pulleys 50, b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motor 53 and the first pinion gear 54 are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conveying pulley 50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conveying pulley 50,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e motor 53 and the first pinion gear 54 are connected to the transfer pulley 50 side of the pair of transfer pulleys 50 on the side where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60 is disposed Do.

이처럼, 상기 제1피니언기어(54)가 상기 구동모터(53)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되면, 상기 제2피니언기어(68)가 상기 제1피니언기어(5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아지테이터(65)를 상기 더스트 챔버(61) 내부에서 회전시킨다. 상기 아지테이터(65)는 상기 흡입필터(40)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더스트 챔버(61) 내부에 배치되는데, 상기 아지테이터(65)가 회전되면서 상기 흡입필터(40)의 외측면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게 된다. When the first pinion gear 54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53, the second pinion gear 68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pinion gear 54, (65) is rotated inside the dust chamber (61). The agitator 65 is disposed inside the dust chamber 61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uction filter 40. The agitator 65 is rotated to filter the outer surface of the suction filter 40, Thereby separating foreign matter.

여기서, 상기 제1피니언기어(54)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68)가 직접 치합되는 경우 상기 아지테이터(65)의 회전방향과 상기 흡입필터(40)의 회전방향이 서로 다 르게 된다. 그런데, 상기 아지테이터(65)의 회전방향과 상기 흡입필터(40)의 회전방향이 다르면 상기 아지테이터(65)와 상기 흡입필터(4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피니언기어(54)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68)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54) 및 상기 제2피니언기어(68)와 동시에 치합되면서 상기 이송풀리(50)와 상기 아지테이터(65)의 회전방향을 동일하게 하는 연결 피니언기어(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 피니언기어(80)는, 상기 제1피니언기어(54)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68)에 동시에 치합되면서 상기 제1피니언기어(54)의 회전력을 상기 제2피니언기어(68)에 전달하되, 그 회전방향을 서로 동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피니언기어(54)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68)의 회전방향이 동일하게 되면, 상기 아지테이터(65)와 상기 흡입필터(40)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되므로 상기 흡입필터(40)에 걸러지는 이물질이 보다 손쉽게 분리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Here, when the first pinion gear 54 and the second pinion gear 68 are directly engage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gitator 65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uction filter 4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f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agitator 65 and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suction filter 4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agitator 65 and the suction filter 40 is reduced. The first pinion gear 54 and the second pinion gear 68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inion gear 54 and the second pinion gear 68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necting pinion gear 80 which is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68 at the same time and makes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pulley 50 and the agitator 65 the same. The connecting pinion gear 80 is engaged with the first pinion gear 54 and the second pinion gear 68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pinion gear 54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pinion gear 68 And serves to make the directions of rotation equal to each other.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agitator 65 and the suction filter 40 increases to increase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filter 40. Therefore, So that the foreign matter that is filtered by the filter can be more easily separa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일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 리모컨 키 등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 청소유닛을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53)가 회전하면서 상기 한 쌍의 이송풀리(50) 중 하나의 이송풀리(50)를 회전시킨다. First, when the user operates the filter cleaning unit using a remote control key or the like, the driving motor 53 rotates to rotate one of the pair of conveying pulleys 50.

상기 이송풀리(50)가 회전되면 상기 이송풀리(50)의 외주에 감김 배치된 상기 흡입필터(40)가 회전이동을 시작하는 동시에, 상기 이송풀리(50)의 회전축에 연 결된 상기 제1피니언기어(54)가 연동하여 회전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54)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다시 상기 연결피니언기어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68)를 거쳐서 상기 아지테이터(65)에 전달되어 상기 아지테이터(65)를 회전시키게 된다.When the conveying pulley 50 is rotated, the suction filter 40, which is wound around the conveying pulley 50, starts to rotate, and the first pinion 50, which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conveying pulley 50,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first pinion gear 54 is transmitted to the agitator 65 through the connecting pinion gear and the second pinion gear 68, And the data 65 is rotated.

이때, 상기 아지테이터(65)는 상기 연결피니언기어에 의하여 상기 제1피니언기어(54) 즉, 상기 흡입필터(40)의 회전방향과 같게 되므로 상기 아지테이터(65)와 상기 흡입필터(40)의 접촉부위는 마찰력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상기 흡입필터(40)에 걸러진 이물질이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gitator 65 is rotated by the coupling pinion gear to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the first pinion gear 54, that is, the suction filter 40, so that the agitator 65 and the suction filter 40, The frictional force is increased, so that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suction filter 40 can be more easily separated.

한편, 상기 구동모터(53)가 작동되면, 상기 더스트 챔버(61)의 개방된 타측과 연통되는 상기 흡입유닛(70)이 동시에 작동하게 되는데, 상기 흡입유닛(70)이 작동되면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60)에 의하여 상기 흡입필터(40)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상기 흡입유닛(70)의 흡입력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더스트 챔버(61)의 개방된 일측과 상기 흡입필터(40) 사이에 형성된 공간, 즉 상기 밀착부재(52)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공간에 의하여 적절한 흡입력이 형성되는 바 상기 필터(40) 청소유닛의 청소성능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 피니언기어(80)에 의하여 상기 흡입필터(40)의 회전 이동방향과 상기 아지테이터(65)의 회전 이동방향이 동일하게 되므로 상기 흡입필터(40)에 걸러진 이물질이 쉽게 분리되는 이점이 있다.When the driving motor 53 is operated, the suction unit 70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opened side of the dust chamber 61 operates simultaneously. When the suction unit 70 is operated,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suction filter 40 by the suction unit 6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unit 70. At this time, a proper suction force is formed by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pen side of the dust chamber 61 and the suction filter 40, that is, the space formed by the contact member 52,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cleaning performance of the unit. In addition, since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suction filter 40 and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agitator 65 are made equal by the connecting pinion gear 80,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suction filter 40 can be easily separated .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urs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ed stat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흡입구에 배치되는 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disposed in the air inlet port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흡입필터를 청소하는 필터 청소유닛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suction filter shown in Fig. 2,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공기조화기 3: 본체1: air conditioner 3: main body

5: 캐비닛 10: 베이스5: cabinet 10: base

20: 공기 토출구 25: 토출구 패널20: air discharge port 25: discharge port panel

30: 공기 흡입구 35: 흡입구 패널30: air inlet 35: inlet panel

40: 필터 45: 필터 패널40: Filter 45: Filter panel

50: 이송풀리 52: 밀착부재50: feed pulley 52: tight contact member

53: 구동모터 54: 제1피니언기어53: drive motor 54: first pinion gear

55: 고무벨트 56: 제1기어부55: rubber belt 56: first gear portion

60: 이물질 분리유닛 61: 더스트 챔버60: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61: dust chamber

65: 아지테이터 68: 제2피니언기어65: Agitator 68: Second pinion gear

70: 흡입유닛 75: 연결 호스70: Suction unit 75: Connection hose

80: 연결 피니언기어 85: 이물질 수집부80: connecting pinion gear 85: foreign matter collecting part

Claims (8)

필터의 청소 시 회전이동되는 환형의 흡입필터와;An annular suction filter which is rotated when the filter is cleaned; 각각 상기 흡입필터의 내측 양단이 외주에 감기도록 상기 흡입필터의 내측에 배치되고, 회전구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흡입필터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이송풀리와;A pair of transfer pulleys disposed inside the suction filter such that both inner ends of the suction filter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ction filter and move the suction filter in a rotationally driven operation; 상기 흡입필터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필터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 분리유닛과;A foreign matter separating unit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uction filter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suction filter;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과 연통되는 흡입유닛과;A suc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상기 한 쌍의 이송풀리 중 어느 하나의 이송풀리 및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에 작동력을 동시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유닛을 포함하고,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simultaneously transmits operating force to any one of the conveying pulleys and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unit of the pair of conveying pulleys,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은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상기 이송풀리의 외주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이송풀리의 일측에 배치되는 더스트 챔버와;A dust chambe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onveying pulley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veying pulley; 상기 더스트 챔버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되는 상기 필터에 접촉되면서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아지테이터를 포함하며, And an agitator rotatably disposed in the dust chamber and separating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filter while being moved, 상기 동력 전달유닛은The power transmission unit 상기 한 쌍의 이송풀리 중 어느 하나의 이송풀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A driving motor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one of the pair of conveying pulleys; 상기 한 쌍의 이송풀리 중 적어도 하나의 이송풀리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풀리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1피니언기어와;A first pinion gear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of at least one of the pair of conveyance pulleys and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conveyance pulley; 상기 제1피니언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아지테이터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아지테이터의 양단 중 어느 일단에 연결된 제2피니언기어를 포함하며,And a second pinion gear connected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agitator to rotate the agitator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pinion gear, 상기 동력 전달유닛은The power transmission unit 상기 제1피니언기어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 및 상기 제2피니언기어와 동시에 치합되면서 상기 이송풀리와 상기 아지테이터의 회전방향을 동일하게 하는 연결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And a connecting pinion gear disposed between the first pinion gear and the second pinion gear and engaged with the first pinion gear and the second pinion gear at the same time to make the rotating directions of the conveying pulley and the agitator the same Included air conditioner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흡입필터에는, In the suction filter, 상기 흡입필터의 폭방향 양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이송풀리의 양단부에 감김되는 고무벨트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And a rubber belt which is engag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ction filter and wound at both ends of the conveying pulley is disposed.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송풀리에 접촉되는 상기 고무벨트의 일면에는 상기 이송풀리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제1기어부가 형성되고,A first gear portion for increasing a frictional force with the conveying pulley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ubber belt contacting the conveying pulley, 상기 이송풀리에는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And a second gear portion engaging with the first gear portion is formed in the conveying pulley.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한 쌍의 이송풀리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이 배치되는 공기조화기.Wherein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is disposed at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pair of conveyance pulleys. 삭제delete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이송풀리의 외주에는 상기 흡입필터를 상기 더스트 챔버 측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재가 끼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And an adhesion member for fitting the suction filter to the dust chamber side is fitt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veying pulle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80023957A 2008-03-14 2008-03-14 Air conditioner KR1014607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957A KR101460715B1 (en) 2008-03-14 2008-03-14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957A KR101460715B1 (en) 2008-03-14 2008-03-14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518A KR20090098518A (en) 2009-09-17
KR101460715B1 true KR101460715B1 (en) 2014-11-12

Family

ID=4135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957A KR101460715B1 (en) 2008-03-14 2008-03-14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7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7753B2 (en) * 2016-02-26 2020-10-2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Air cleaner
WO2017146353A1 (en) 2016-02-26 201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purifier
CN111156622B (en) 2016-02-26 2022-04-26 Lg电子株式会社 Air cleaner
US10518205B2 (en) 2016-02-26 2019-12-31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EP3211337B1 (en) 2016-02-26 2020-09-23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521A (en) * 1992-08-21 1994-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ir conditioner
KR19980047853U (en)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Antibacterial filter installation structure of car air conditioner
JP2007292399A (en) * 2006-04-26 2007-11-08 Mitsubishi Electric Corp Filter clean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521A (en) * 1992-08-21 1994-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ir conditioner
KR19980047853U (en)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Antibacterial filter installation structure of car air conditioner
JP2007292399A (en) * 2006-04-26 2007-11-08 Mitsubishi Electric Corp Filter clean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518A (en)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715B1 (en) Air conditioner
JP5240960B2 (en) Air conditioner clean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EP2246638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100088637A (en) Air conditioner
KR20100117224A (en) Automatic filter cleaning device for ceiling type air-conditioner
CN215832056U (en) Indoor air conditioner
WO2004079270A1 (en) Air conditioner with indoor unit having automatic air filter-cleaning function
KR100606269B1 (en) Air Conditioner Having The Seperating Type Air Cleaning Device
JP2013057460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80014473A (en) Air conditioner
JP2009079833A (en) Air conditioning device
KR101305326B1 (en) Air conditioner
KR101306127B1 (en) Air conditioner
KR101305322B1 (en) Air conditioner
KR100762275B1 (en) Air conditioner
KR101346831B1 (en) Air conditioner
KR101460716B1 (en) Stand type air conditioner
KR20090082732A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200057943A (en) Cleaner using hvac module
KR100606268B1 (en) Device For Cleaning The Air Of Air Conditioner
WO2018179465A1 (en) Filter clean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KR101345263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WO2021060385A1 (en) Air-conditioning device
KR101305324B1 (en) Air conditioner
KR20080014589A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