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685B1 - 슬라이딩 탈착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685B1
KR101459685B1 KR1020130060877A KR20130060877A KR101459685B1 KR 101459685 B1 KR101459685 B1 KR 101459685B1 KR 1020130060877 A KR1020130060877 A KR 1020130060877A KR 20130060877 A KR20130060877 A KR 20130060877A KR 101459685 B1 KR101459685 B1 KR 101459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side wall
sliding
guide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준
서지애
Original Assignee
안성준
서지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준, 서지애 filed Critical 안성준
Priority to KR1020130060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685B1/ko
Priority to PCT/KR2013/005960 priority patent/WO201419302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4Ornamental buckles;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out fasten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1Ornamental buck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9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 A44B11/259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the movement being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p or chain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는, 대상물에 장착되는 제1 체결부재; 상기 제1 체결부재에 대해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재에 장착되는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 사이에 게재되어 체결되며, 상기 대상물에 탈부착되는 피대상물이 장착되는 제3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장식용 패션 제품 등을 쉽고 용이하게 결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탈착장치{SLIDING TYPE DEVIC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본 발명은 슬라이딩 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두, 장신구, 액세서리, 가방 등 다양한 패션용품 또는 생활용품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딩 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여성들은 패션에 관심을 더 가지게 되었고, 여성들 뿐만 아니라 남성들도 패션과 패션 용품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패션과 소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남녀 불문하고 패션 뿐만 아니라 구두, 가방, 모자 등 모든 패션용품에 대해서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미적 효과 또는 자기만의 연출을 하고 싶어하는 욕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여성용 하이힐의 경우 발등 부분에 위치하는 스트랩의 모양 또는 무늬를 한 가지로 국한하지 않고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하이힐에 대한 요구가 있을 수 있다.
여성용 폴딩 슈즈(folding shoes, 신발의 앞꿈치와 뒤꿈치를 서로 연결하여 접어서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는 여성용 신발)의 경우에는 앞꿈치와 뒤꿈치를 서로 연결하는 부품에 장식미를 부가하여 폴딩 슈즈의 장식성을 높이고자 하는 요구도 있다.
장식용 브로치의 경우에도 브로치의 모양을 다양하게 바꿀 수 있는 브로치에 대한 요구도 있다.
이와 같이, 신발, 가방 또는 브로치 등 다양한 장식 용품 또는 패션 용품 등에 사용되는 탈착장치로서, 고유의 탈착기능 외에 장식기능까지 부가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장식 용품을 쉽게 붙였다가 떼거나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탈착장치에 대한 관심이 점차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양한 소품 또는 패션 용품에 적용될 수 있는 슬라이딩 탈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장식용 부품을 쉽게 교체하거나 떼었다 붙일 수 있는 슬라이딩 탈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탈착 방향을 바꿀 수 없게 하여 장식용 부품이 잘못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탈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는, 대상물에 장착되는 제1 체결부재; 상기 제1 체결부재에 대해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재에 장착되는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 사이에 게재되어 체결되며, 상기 대상물에 탈부착되는 피대상물이 장착되는 제3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장식용 패션 제품 또는 생활용품 등을 쉽고 용이하게 결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3 체결부재는 상기 제2 체결부재에 적재된 상태로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3 체결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재에 대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를 슬라이딩 운동시키면서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3 체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2 체결부재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제1 체결부재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재에는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제1 체결부재의 양 가이드 측벽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운동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측벽의 일단에는 스토퍼 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측벽에는 상기 제3 체결부재의 일단이 삽입되는 안착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구에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측벽의 내면에는 연결부재의 일단이 장착되는 제1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제3 체결부재가 안착되는 탑재부 및 상기 탑재부의 운동방향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와 형합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재부는 상기 슬라이딩부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단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의 운동방향 일단에는 슬라이딩 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측벽은 상기 가이드 측벽의 일단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측벽의 폭 방향 양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측벽과 마주 보는 상기 슬라이딩 측벽의 내면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이 장착되는 제2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측벽의 상부에는 상기 제3 체결부재의 후단이 걸리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운동방향을 따라 상기 탑재부와 나란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체결부재는 상기 스토퍼 측벽의 안착구에 삽입되는 전단;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끼워지는 후단; 및 상기 전단과 상기 후단 사이에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탑재부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단의 상면에는 상기 테이퍼 홈에 형합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전단에서부터 상기 본체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단의 폭은 상기 전단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후단의 양단은 상기 가이드 측벽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본체와 상기 후단 사이에는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단은 상기 후단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는 다양한 소품 또는 패션 용품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제품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는 장식용 부품을 쉽게 교체하거나 떼었다 붙일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는 탈착 방향을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장식용 부품이 잘못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는 부착된 경우에는 높은 견고함을 유지하기 때문에 가방 등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분실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귀중품 도난 등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탈착장치의 제1 체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탈착장치의 제2 체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탈착장치의 제3 체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제2 체결부재와 도 3에 따른 제2 체결부재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에 따른 탈착장치의 제3 체결부재를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 사이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가 적용된 여성용 하이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탈착장치의 제1 체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탈착장치의 제2 체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탈착장치의 제3 체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따른 제2 체결부재와 도 3에 따른 제2 체결부재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1에 따른 탈착장치의 제3 체결부재를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 사이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가 적용된 여성용 하이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100)는, 대상물에 장착되는 제1 체결부재(110), 제1 체결부재(110)에 대해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1 체결부재(110)에 장착되는 제2 체결부재(130) 및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 사이에 게재되어 체결되며 상기 대상물에 탈부착되는 피대상물이 장착되는 제3 체결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100)는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가 대상물에 장착되고, 제3 체결부재(150)가 피대상물에 장착되며,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서 제3 체결부재(150)를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 사이에 끼움으로써 대상물과 피대상물을 서로 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3 체결부재(150)는 제2 체결부재(130)에 적재 또는 거치되거나 놓인 상태로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제3 체결부재(150)는 제1 체결부재(110)에 대해서 제2 체결부재(130)를 슬라이딩 운동시키면서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재(110)에 대해서 제2 체결부재(130)가 상대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한 상태에서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 사이에 제3 체결부재(150)가 끼워질 수 있다.
제3 체결부재(150)의 일단은 제2 체결부재(130)에 끼워지고 타단은 제1 체결부재(110)에 끼워질 수 있다. 제1 체결부재(110)를 향해 움직이는 제3 체결부재(150)의 슬라이딩 운동방향에 대해서 제3 체결부재(150)의 전단은 제1 체결부재(110)에 끼워지고 후단은 제2 체결부재(130)에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100)는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서 제3 체결부재(150)가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 사이에 부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130)를 상대 슬라이딩 운동시키면서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 사이에 제3 체결부재(150)를 장착하고, 제2 체결부재(130)를 상대 슬라이딩 운동시키면서 제3 체결부재(150)를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10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제1 체결부재(11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체결부재(110)는 대상물에 장착되는 부재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체결부재는 대략적으로 책상 서랍과 비슷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제1 체결부재(110)는 제2 체결부재(13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된 마주 보는 2개의 가이드 측벽(111) 및 2개의 가이드 측벽(111) 일단에 양단이 부착되도록 형성된 스토퍼 측벽(11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측벽(113)과 마주 보는 가이드 측벽(111)의 타단은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측벽(111) 타단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제2 체결부재(130)가 움직일 수 있다. 다만, 가이드 측벽(111)의 타단 사이가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측벽(111)의 타단의 하단부에 지지부재(119)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19)는 가이드 측벽(111)의 타단과 연결되어 가이드 측벽(111)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면서도 제2 체결부재(130)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줄 수 있다.
제1 체결부재(110)에는 제2 체결부재(130)가 슬라이딩(sliding) 운동하도록 가이드부(112)가 형성되고, 가이드부(112)는 제2 체결부재(130)의 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체결부재(110)의 양 가이드 측벽(111)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12)는 후술하는 제2 체결부재(130)의 슬라이딩부(133)와 형합하는 형태를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12)은 제2 체결부재(130)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제2 체결부재(130)가 제1 체결부재(110)에서 분리되거나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를 가져야 한다.
도 2에는 가이드부(112)가 오목한 홈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된 형태 또는 레일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가이드부(112)의 형태는 슬라이딩부(133)와 형합하는 형태를 가져야 한다. 가이드부(112)는 가이드 측벽(11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측벽(111)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체결부재(130)가 가이드부(111)로 진입하는 가이드 측벽(111)의 타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체결부재(130)의 슬라이딩 운동방향을 따라 가이드 측벽(111)의 일단에는 스토퍼 측벽(113)이 형성되며, 스토퍼 측벽(113)에는 제3 체결부재(150)의 일단이 삽입되는 안착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측벽(113)은 제2 체결부재(130)의 슬라이딩 운동을 멈추게 하는 벽이다. 즉, 스토퍼 측벽(113)에 제2 체결부재(130)의 전단이 부딪히면서 제2 체결부재(130)의 슬라이딩 운동이 멈추게 된다.
스토퍼 측벽(113)에 형성된 안착구(115)에 제3 체결부재(150)의 전단(front end)이 삽입될 있다. 제3 체결부재(150)의 전단(154)이 안착구(115)에 삽입되기 때문에 제3 체결부재(150)가 제1 체결부재(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구(115)의 모양은 도시된 바와 같은 긴 구멍 또는 긴 슬롯(slot) 모양에 국한되지 않는다.
안착구(115)에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 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 홈(114)은 후술하는 제3 체결부재(15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55)와 형합하는 부분이다. 테이퍼 홈(114)은 스토퍼 측벽(113)의 내면 쪽 보다 외면 쪽이 작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 측벽(113)의 내면에는 연결부재(170, 도 6 참조)의 일단이 장착되는 제1 연결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70)는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부재로서,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170)는 인장스프링, 고무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부재(150)를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 사이에 끼우기 위해 제2 체결부재(130)를 뒤로 당기면 연결부재(170)가 늘어나게 되고, 제3 체결부재(150)를 제2 체결부재(130) 위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2 체결부재(130)를 뒤로 당기던 힘을 없애면 연결부재(1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 체결부재(130)와 제3 체결부재(150)가 제1 체결부재(110)의 스토퍼 측벽(113) 쪽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게 된다.
한편, 연결부재(170)는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의 둘레를 감싸서 압박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의 측부 외면에 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 사이가 벌어졌을 때 연결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2 체결부재(130)와 제1 체결부재(110)가 밀착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재는 상기 홈에 위치하는 링모양 또는 폐곡선 모양(즉, 고무밴드와 유사한 형태)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연결부재의 형태,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스토퍼 측벽(113)의 내면에는 연결부재(170)의 일단을 장착하거나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70)를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제1 연결부(116)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연결부(116)의 일단은 스토퍼 측벽(113)에 붙은 상태이지만 타단(117, 도 5 참조)은 스토퍼 측벽(113)의 내면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단(117)과 스토퍼 측벽(113)의 내면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통해서 연결부재(170)의 일단을 제1 연결부(116)에 쉽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도 3에는 제2 체결부재(130)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체결부재(130)는 연결부재(170)에 의해서 제1 체결부재(110)에 대해서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부재이다. 또한, 제2 체결부재(130)는 제3 체결부재(150)를 적재하고 이동시키는 부재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체결부재(130)는 제3 체결부재(150)가 안착되는 탑재부(134) 및 탑재부(134)의 운동방향 양측면에 형성되어 가이드부(112)와 형합하는 슬라이딩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133)는 제1 체결부재(110)의 가이드부(112)에 형합한 상태로 가이드부(112)를 따라 앞뒤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접촉부위이다. 양쪽의 슬라이딩부(133) 사이에는 탑재부(134)가 형성되는데, 탑재부(134)는 제3 체결부재(150)를 적재할 수 있도록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부(134)는 슬라이딩부(133)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단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부(133)의 하단과 탑재부(134)의 하단이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부(133)가 탑재부(134) 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슬라이딩부(133)와 탑재부(134) 사이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서 제3 체결부재(150)가 슬라이딩 운동할 때 탑재부(13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133)의 운동방향 일단에는 슬라이딩 측벽(13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부(133)의 후단에 슬라이딩 측벽(131)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측벽(131)은 제1 체결부재(110)에 대해서 제2 체결부재(130)를 뒤쪽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제2 체결부재(130)가 앞쪽으로 슬라이딩 운동할 때 제1 체결부재(110)와 접촉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슬라이딩 측벽(131)은 가이드 측벽(111)의 일단(즉, 후단)과 접촉할 수 있다.
탑재부(134) 및 슬라이딩부(133)는 슬라이딩 측벽(131)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체결부재(13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탑재부(134) 또는 슬라이딩부(133)와 슬라이딩 측벽(131)은 수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측벽(131)의 폭 방향 양단에는 경사면(137)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측벽(131)의 폭 방향 양단 즉, 모서리 쪽에 형성된 경사면(137)은 가이드 측벽(111)의 후단에 형성된 경사면과 형합하게 된다.
제1 체결부재(110)의 스토퍼 측벽(113)과 마주 보는 슬라이딩 측벽(131)의 내면에는 연결부재(170)의 타단이 장착되는 제2 연결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35)는 제1 연결부(116)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70)를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제2 연결부(135)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연결부(135)의 일단은 슬라이딩 측벽(131)에 붙은 상태이지만 타단(136)은 슬라이딩 측벽(131)의 내면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단(136)과 슬라이딩 측벽(131)의 내면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통해서 연결부재(170)의 타단을 제2 연결부(135)에 쉽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116)와 제2 연결부(135)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결부(116)와 제2 연결부(135)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지 않으면, 연결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2 체결부재(130)가 제1 체결부재(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슬라이딩 측벽(131)의 상부에는 제3 체결부재(150)의 후단이 걸리는 연장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32)는 슬라이딩 측벽(131)의 상단 또는 상부 어느 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132)는 제2 체결부재(130)의 슬라이딩 운동방향을 따라 탑재부(134)와 나란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부(132)는 탑재부(134)와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슬라이딩 측벽(131)에서 스토퍼 측벽(113)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부재(150)의 후단은 연장부(132)와 탑재부(134)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면서 제2 체결부재(130)에 제3 체결부재(150)가 끼워지거나 탑재될 수 있다.
제3 체결부재(150)의 후단을 연장부(132) 아래쪽에 끼우기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체결부재(150)를 기울이게 되는데, 연장부(132)의 돌출 길이가 너무 길면 제3 체결부재(150)를 기울인 상태에서 제3 체결부재(150)의 후단이 연장부(132) 밑으로 들어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연장부(132)는 제3 체결부재(150)를 기울인 상태에서 제3 체결부재(150)의 후단을 쉽게 끼울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제3 체결부재(15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체결부재(150)는 피대상물과 연결된 상태로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부재이다. 제3 체결부재(150)는 제2 체결부재(130)에 탑재(적재)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전진하여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 체결부재(150)는 스토퍼 측벽(113)의 안착구(115)에 삽입되는 전단(154, front end), 연장부(132)의 하부에 끼워지는 후단(153, rear end) 및 전단(154)과 후단(153) 사이에 형성된 본체(1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체결부재(150)의 전단(154)은 안착구(115)에 삽입되는 일단이며, 후단(153)은 연장부(132)와 탑재부(134) 사이에 게재되는 타단이다.
본체(151), 후단(153) 및 전단(15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체결부재(150)는 판(plate)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51)는 탑재부(134)에 거치될 수 있다. 본체(151)는 탑재부(134)에 안정적으로 놓이거나 거치될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단(154)의 상면에는 테이퍼 홈(114)에 형합하는 가이드 돌기(155)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55)는 전단(154)에서부터 본체(151)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55)는 전단(154)이 안착구(115)에 잘 삽입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3 체결부재(150)의 전단(154)과 후단(153)이 바뀐 상태로 제3 체결부재(150)가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단(154)에 가이드 돌기(15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단(154)과 가이드 돌기(155) 전체의 두께가 연장부(132)와 탑재부(134) 사이의 간격 보다 크다. 따라서, 전단(154)을 연장부(132) 아래에 끼우려고 하면, 가이드 돌기(155)에 의해 제3 체결부재(150)가 끼워지지 않게 된다. 결국, 가이드 돌기(155)를 형성함으로써, 제3 체결부재(150)의 전단(154)과 후단(153)이 잘못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단(154)은 후단(153) 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전단(154)이 두껍게 되면 연장부(132) 아래에 전단(154)이 끼워지지 않기 때문에 제3 체결부재(150)의 전단(154)과 후단(153)이 잘못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3 체결부재(150)의 후단(153)의 폭은 전단(154)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후단(153)의 양단(153a)은 가이드 측벽(111)과 접촉할 수 있다. 후단(153)의 양측에 돌출된 양단(153a)은 제3 체결부재(150)가 슬라이딩 운동하는 동안 가이드 측벽(111)의 내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제3 체결부재(150)가 직선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전단(154)의 앞쪽 모서리(156a)와 측면 모서리(156b)에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전단(154)이 안착구(115)에 삽입될 때 전단(154) 또는 안착구(115)가 접촉에 의해서 마모되는 것을 줄일 수 있고, 삽입시 충격도 줄일 수 있다.
본체(151)의 폭방향 양측면(157)은 전단(154) 보다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본체(151)의 폭방향 양측면(157)은 슬라이딩부(133)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움직일 수 있다.
본체(151)와 후단(153) 사이에는 곡면부(158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b)를 참조하면, 본체(151)의 운동 방향 후단은 상부는 평면부(158b)로 형성되고, 하부는 곡면부(158b)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곡면부(158b)는 평면부(158b) 보다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130)의 연장부(132) 일단이 곡면으로 형성되는데, 곡면부(158b)는 연장부(132)의 곡면과 접촉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체결부재(150)의 후단(153)을 제2 체결부재(130)의 연장부(132)에 끼울 때 제3 체결부재(150)를 기울인 상태에서도 후단(153)을 연장부(132)에 쉽게 끼울 수 있도록 곡면부(158b)를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51)에는 제4 체결부재(160)를 장착하기 위한 체결공(15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체결부재(160)의 가운데 부분에는 피대상물이 연결되거나 장착되는 통공(162)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체결부재(150)와 제4 체결부재(160)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제3 체결부재(150)와 제4 체결부재(160)가 일체로 즉,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제3 체결부재(150)를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 사이에 연결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체결부재(150)의 후단(153)을 연장부(132) 아래에 끼운 후(화살표 A2 참조) 제3 체결부재(150)를 뒤로 당기면(화살표 A1 참조),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본체(151)를 탑재부(134)에 놓이게 하고 제3 체결부재(150)를 뒤로 당기던 힘을 없애면, 연결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체결부재(130)는 제3 체결부재(150)를 적재한 상태로 스토퍼 측벽(113)을 향해 슬라이딩 운동하게 된다(도 8의 화살표 A3 및 A4 참조).
제3 체결부재(150)의 전단(154)이 안착구(115)에 삽입되면 슬라이딩 운동이 멈추게 된다. 슬라이딩 운동이 멈추면, 연결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는 밀착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제3 체결부재(150)의 전단(154)은 안착구(115)에 걸리고 후단(153)은 연장부(132)에 걸리면서 제3 체결부재(150)가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100)가 여성용 하이힐에 적용된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100)는 여성용 하이힐(200)의 장식용 스트랩을 탈착하거나 교환하는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장식용 스트랩은 하이힐(200) 중 발등이 걸리는 부분에 위치하며, 기능적 뿐만 아니라 장식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스트랩이 장식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스트랩을 쉽게 떼었다가 붙였다 반복할 수 있다면, 하나의 하이힐로 여러 개의 하이힐을 신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발등을 감싸도록 하이힐(200)의 바닥(220)에 연결된 스트랩(230)에 제1 체결부재(110)가 장착되고, 제1 체결부재(110)에 제2 체결부재(13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스트랩(230)이 대상물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체결부재(150) 또는 제4 체결부재(160)는 장식용 스트랩(24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장식용 스트랩(240)이 피대상물이 된다. 여기서, 스트랩(230)은 고정되어 있고 바꾸거나 제거할 수 없는 반면에, 장식용 스트랩(240)은 스트랩(230)에서 쉽게 탈착하거나 다른 것으로 바꿔 장착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100)를 하이힐(200)에 적용한 결과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장식용 스트랩(240)의 일단은 탈착 고리(245)가 형성되고, 탈착고리(245)는 하이힐(200)의 바닥(220)에 형성된 고정부재(225)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식용 스트랩(240)의 타단에 슬라이딩 탈착장치(100)가 장착될 수 있다. 장식용 스트랩(240)의 일단에 형성된 탈착 고리(245)를 하이힐(200)의 고정부재(225)에 끼운 후, 장식용 스트랩(240)의 타단에 장착된 제3 체결부재(150)를 스트랩(230)에 형성된 제1 체결부재(110)와 제2 체결부재(130) 사이에 끼움으로써, 스트랩(230) 위에 여러 종류의 장식용 스트랩(240)을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100)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체결부재(110,130)가 가방의 입구쪽에 장착되고, 제3 체결부재(150)가 가방을 개폐하는 부재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면, 슬라이딩 탈착장치(100)가 가방의 개폐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100)는 폴딩 슈즈의 앞꿈치와 뒤꿈치를 연결하는데 사용되거나, 폴딩 슈즈의 발등 쪽에 장착되어 장식용 재료를 탈착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100)는 장식용 재료를 손쉽게 교체하거나 탈착되는 브로치에 사용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100)는 기존의 똑딱이 단추 등과 같은 부재를 대체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탈착장치(100)는 구두, 하이힐 등 다양한 패션 아이템, 장식용 제품, 패션 소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활용품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슬라이딩 탈착장치 110: 제1 체결부재
111: 가이드 측벽 112: 가이드부
113: 스토퍼 측벽 114: 테이퍼 홈
115: 안착구 116: 제1 연결부
130: 제2 체결부재 131: 슬라이딩 측벽
132: 연장부 133: 슬라이딩부
134: 탑재부 135: 제2 연결부
150: 제3 체결부재 151: 본체
153: 후단 154: 전단
155: 가이드 돌기 160: 제4 체결부재

Claims (20)

  1. 대상물에 장착되는 제1 체결부재;
    상기 제1 체결부재에 대해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재에 장착되는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 사이에 게재되어 체결되며, 상기 대상물에 탈부착되는 피대상물이 장착되는 제3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3 체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2 체결부재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제1 체결부재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체결부재는 상기 제2 체결부재에 적재된 상태로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체결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재에 대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를 슬라이딩 운동시키면서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에는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제1 체결부재의 양 가이드 측벽의 내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운동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측벽의 일단에는 스토퍼 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측벽에는 상기 제3 체결부재의 일단이 삽입되는 안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구에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측벽의 내면에는 연결부재의 일단이 장착되는 제1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제3 체결부재가 안착되는 탑재부 및 상기 탑재부의 운동방향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와 형합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는 상기 슬라이딩부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단차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운동방향 일단에는 슬라이딩 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측벽은 상기 가이드 측벽의 일단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측벽의 폭 방향 양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측벽과 마주 보는 상기 슬라이딩 측벽의 내면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이 장착되는 제2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측벽의 상부에는 상기 제3 체결부재의 후단이 걸리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운동방향을 따라 상기 탑재부와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체결부재는,
    상기 스토퍼 측벽의 안착구에 삽입되는 전단;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끼워지는 후단; 및
    상기 전단과 상기 후단 사이에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탑재부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의 상면에는 상기 테이퍼 홈에 형합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전단에서부터 상기 본체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의 폭은 상기 전단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후단의 양단은 상기 가이드 측벽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후단 사이에는 곡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은 상기 후단 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탈착장치.
KR1020130060877A 2013-05-29 2013-05-29 슬라이딩 탈착장치 KR101459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877A KR101459685B1 (ko) 2013-05-29 2013-05-29 슬라이딩 탈착장치
PCT/KR2013/005960 WO2014193028A1 (ko) 2013-05-29 2013-07-04 슬라이딩 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877A KR101459685B1 (ko) 2013-05-29 2013-05-29 슬라이딩 탈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685B1 true KR101459685B1 (ko) 2014-11-12

Family

ID=5198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877A KR101459685B1 (ko) 2013-05-29 2013-05-29 슬라이딩 탈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9685B1 (ko)
WO (1) WO2014193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5799B1 (de) * 2022-08-04 2023-08-15 Patrick Jobst Vorrichtung zum Schmücken von Schnürsenkel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718Y1 (ko) * 2003-09-09 2003-12-11 이연우 교체가능한 액세사리 취부구조
KR20090121570A (ko) * 2008-05-22 2009-11-26 남충식 바지의 허리 사이즈를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크장치
KR100935470B1 (ko) * 2007-10-23 2010-01-06 김창현 손발톱용 장신구
KR20110011726A (ko) * 2011-01-11 2011-02-08 (주)슈추어 신발용 장식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566Y1 (ko) * 2002-11-25 2004-01-16 정상민 의류 호환형 시스템 쥬얼리
KR20090000517U (ko) * 2007-07-13 2009-01-16 박숙남 탈부착식 보조장식구를 갖는 장신용 장식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718Y1 (ko) * 2003-09-09 2003-12-11 이연우 교체가능한 액세사리 취부구조
KR100935470B1 (ko) * 2007-10-23 2010-01-06 김창현 손발톱용 장신구
KR20090121570A (ko) * 2008-05-22 2009-11-26 남충식 바지의 허리 사이즈를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크장치
KR20110011726A (ko) * 2011-01-11 2011-02-08 (주)슈추어 신발용 장식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93028A1 (ko)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410Y1 (ko) 버클
EP3165117B1 (en) Buckle
KR101777109B1 (ko) 버클
US20080115334A1 (en) Drawstring toggle
US9801432B2 (en) Buckle
KR101426023B1 (ko) 장신구의 탄성식 연결기구
US9591895B2 (en) Buckle
KR20130124580A (ko)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구비된 슬라이드 파스너
JP2005261927A (ja) バックル
TW201325493A (zh) 繩索扣
US6668432B2 (en) Belt guide for clothing articles
KR100756277B1 (ko) 버클
USD610486S1 (en) Pull tab of slider for slide fastener
CN105530832A (zh) 多样式背包
KR101459685B1 (ko) 슬라이딩 탈착장치
USD601448S1 (en) Longhorn style ornament
KR200471390Y1 (ko) 액세서리 연결고리
USD671864S1 (en) Slider for a slide fastener
KR102077916B1 (ko)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KR20130131575A (ko) 버클
KR102197754B1 (ko) 2단 잠금 구조를 갖는 팔찌용 체결구
USD691806S1 (en) Handbag
USD691919S1 (en) Pull tab of slider for slide fastener
USD843265S1 (en) Zipper pull tab
KR200268089Y1 (ko)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