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893B1 -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893B1
KR101457893B1 KR1020070121397A KR20070121397A KR101457893B1 KR 101457893 B1 KR101457893 B1 KR 101457893B1 KR 1020070121397 A KR1020070121397 A KR 1020070121397A KR 20070121397 A KR20070121397 A KR 20070121397A KR 101457893 B1 KR101457893 B1 KR 101457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tion
vector
fatigue
size
dimensio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270A (ko
Inventor
김용태
김재승
구재필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178,217 priority Critical patent/US8390674B2/en
Publication of KR20090037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270A/ko
Priority to US13/762,936 priority patent/US878017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2013/0074Stereoscopic image analysis
    • H04N2013/0081Depth or disparity estimation from stereoscopic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2Eyestrain reduction by processing stereoscopic signals or controlling stereoscop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은, 수신된 3차원 영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한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고, 3차원 영상의 각각의 프레임에 대한 변이 벡터 정보를 획득하여, 3차원 영상에 대한 변이의 최소 한계치 및 최대 한계치인 변이 한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변이 한계치와 획득된 변이 벡터 정보를 비교하여, 3차원 영상의 변이를 조절함으로써 3차원 영상을 시청할 때 발생하는 피로도를 효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3차원 영상, 시청 피로도, 변이 추정, 변이 조절

Description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atigue resulting from three dimensional displa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ata stream for low-fatigue three dimensional images}
본 발명은 3차원 영상을 시청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피로도를 감소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3차원 영상의 변이 벡터의 범위가 시청자에게 피로도를 유발하지 않도록 변이를 조절함으로써 피로도를 감소하는 방법 및 장치와, 피로도를 감소하기 위한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성능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고속 통신 환경이 뒷받침되면서 3차원 영상 시스템(3-dimensional display system)의 상용화가 기대되고 있다. 다만, 3차원 영상 시청시 사용자가 느끼는 피로도가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영상깊이는 3차원 입체영상의 입체감을 표현하기 위하여 인공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같은 영상깊이라 하더라도 사용자에 따라서 편안하게 입체감을 느끼는가 하면 어지럽고 눈의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현상이 관찰자에 따라 다르 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체영상을 관찰할 때, 영상깊이가 사용자와 맞지 않을 경우, 어지럽거나 눈의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3차원 입체 영상을 시청할 때 사용자가 느끼는 전반적인 피로도로는 시각 피로도 뿐만 아니라 어지러움, 구토 등의 생리적인 피로도 기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의 저변 확대에 지장을 주는 큰 요소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3차원 영상을 시청할 때 피로도를 유발시킬 수 있는 변이의 한계치를 측정하여, 3차원 영상의 변이 벡터의 범위가 변이의 한계치를 넘지 않도록 변이를 조절함으로써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3차원 영상 시청시 유발될 수 있는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는데 있다.
상기 해결하고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은, 수신된 3차원 영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한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3차원 영상의 각각의 프레임에 대한 변이 벡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3차원 영상에 대한 변이의 최소 한계치 및 최대 한계치인 변이 한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변이 한계치와 상기 획득된 변이 벡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3차원 영상의 변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상기 변이 벡터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로부터 상기 변이 벡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이 벡터 정보는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소값 및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대값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의 상기 변이 벡터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수신된 3차원 영상에 대해 변이 추정 기법을 수행하여,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소값 및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대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상기 변이 한계치 결정 단계는, 시청 거리 및 눈간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청 거리 및 상기 눈간 거리를 이용하여 양안 시차각을 결정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크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크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크기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양안 시차각,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크기값, 상기 눈간 거리 및 상기 시청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변이의 최소 한계치 및 최대 한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상기 변이 한계치 결정 단계는, 상기 시청 거리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크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의 상기 변이 한계치 결정 단계는, 상기 추출된 시청 거리가 실제 시청 거리와 상이하고, 상기 추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크기 및 상기 추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크기를 이용하여 결정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크기값이 실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크기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실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크기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안 시차각, 상기 변이의 최대 한계치 및 최소 한계치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의 상기 변이 조절 단계는, 상기 변이의 한계치 범위와 상기 획득 된 변이 벡터 범위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이의 한계치 범위는 상기 변이의 최소 한계치 및 최대 한계치 사이의 범위이고, 상기 변이 벡터 범위는 상기 획득된 변이 벡터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의 상기 변이 조절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변이의 한계치의 범위를 상기 변이 벡터의 범위가 소정 방향으로 N 픽셀만큼 벗어나는 경우,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소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N 픽셀만큼 평행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의 상기 변이 조절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변이 벡터의 범위의 크기가 상기 변이의 한계치 범위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변이 벡터의 범위의 크기가 상기 변이의 한계치 범위의 크기 이하의 크기로 축소되도록 하는 비율이 k 일 때, 상기 3차원 영상의 크기를 비율 k 만큼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이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인 경우, 상기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으로부터 추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은 moov 박스, mdat 박스 및 meta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변이 벡터 정보를 포함하는 변이 조절을 위한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meta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상기 moov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상기 moov 박스의 하위 레벨인 trak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상기 trak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및 상기 trak 박스의 하위 레벨인 meta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다.
일 실시예의 3차원 영상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은, 상기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 측에 의해 설정된 상기 3차원 영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3차원 영상 재생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상기 서비스 서버 측에 의해 설정된 상기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 정보와 상기 3차원 영상을 재생할 실제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가 동일한 경우, 상기 3차원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는, 상기 검색 결과, 상기 서비스 서버 측에 의해 설정된 상기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 정보와 상기 3차원 영상을 재생할 실제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가 상이한 경우,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로부터, 시청 피로도 감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피로도 감소 작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이 한계치 결정 단계는, 상기 피로도 감소 작업 정보에 의해, 시청 피로도 감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변이 한계치를 결정하고, 상기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고 감소 방법은, 상기 피로도 감소 작업 정보에 의해 시청 피로도 감소 작업을 수행할 수 없음이 확인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상기 3차원 영상의 재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장치는, 수신된 3차원 영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한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는 저피로 도 파라미터 정보 획득부; 상기 3차원 영상의 각각의 프레임에 대한 변이 벡터 정보를 획득하는 변이 벡터 정보 획득부; 상기 3차원 영상에 대한 변이의 최소 한계치 및 최대 한계치인 변이 한계치를 결정하는 변이 한계치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변이 한계치와 상기 획득된 변이 벡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3차원 영상의 변이를 조절하는 변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3차원 영상의 프레임에 대해 변이 추정을 수행하여 변이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의 페이로드 영역에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의 헤더 영역에, 상기 3차원 영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한 파라미터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크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크기, 시청 거리, 상기 결정된 변이 벡터에 대한 정보, 시청 피로도 감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피로도 감소 작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저피로도 파라미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 기록 단계는, 상기 결정된 변이 벡터에 대한 정보가, 상기 결정된 변이 벡터 중에서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소값인 변이 최소값 및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대값인 변이 최대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 기록 단계는,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이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인 경우, 상기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에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기록한다.
다른 실시예의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 기록 단계는, 상기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은 moov 박스, mdat 박스 및 meta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meta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상기 moov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상기 moov 박스의 하위 레벨인 trak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상기 trak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및 상기 trak 박스의 하위 레벨인 meta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기록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는 장치는, 상기 3차원 영상의 프레임에 대해 변이 추정을 수행하여 변이 벡터를 결정하는 변이 벡터 결정부;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의 페이로드 영역에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기록부; 및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의 헤더 영역에, 상기 3차원 영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한 파라미터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크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크기, 시청 거리, 상기 결정된 변이 벡터에 대한 정보, 시청 피로도 감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피로도 감소 작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저피로도 파라미터를 기록하는 저피로도 파라미터 기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한 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는, 시청 거리, 눈간 거리, 디스틀레이 장치의 크기 및 해상도를 고려하여 3차원 영상을 시청할 때 피로도를 유발시킬 수 있는 변이의 한계치를 측정하고, 3차원 영상의 변이 벡터의 범위가 변이의 한계치를 넘지 않도록 변이를 조절함으로써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간을 고려하여 프레임 구간 단위로 개별적으로 설정된 저피로도 파라미터를 통해 각각의 3차원 영상에 대한 저피로도 파라미터의 정보가 세밀하게 표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의 헤더 영역에, 3차원 영상 시청시 유발될 수 있는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피로도가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3차원 영상의 장시간 감상도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을 위한 시청 피로도 감소 장치(100)는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 획득부(110), 변이 벡터 정보 획득부(120), 변이 한계치 결정부(130) 및 변이 조절부(140)를 포함한다.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 획득부(110)는, 수신된 3차원 영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한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고,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변이 벡터 정보 획득부(120) 및 변이 한계치 결정부(130)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저피로도 파라미터란 3차원 영상 컨텐츠를 시청할 때 피로도 발생 정도를 예측하는데 사용되거나 도움이되는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시청 거리, 컨텐츠 내의 변이의 최대, 최소값 등을 저피로도 파라미터라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 별로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구간이 모든 프레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모든 프레임에 대해 동일한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가 적용되지만, 일부 프레임마다 다른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변이 벡터 정보 획득부(120)는,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 획득부(110)로부터 입력된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 및 수신된 3차원 영상로부터, 3차원 영상의 변이 벡터 정보를 획득하고, 변이 벡터 정보를 변이 조절부(140)로 출력한다.
일 실시예의 변이 벡터 정보 획득부(120)는 저피로도 파라미터로부터 변이 벡터 정보를 추출한다. 변이 벡터 정보는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소값 및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대값을 포함한다. 모든 프레임 구간에 대해 동일한 저피로도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경우, 변이 벡터 정보의 일 실시예는 모든 프레임의 변이 벡터의 최소값들의 평균값 및 최대값의 평균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의 변이 벡터 정보 획득부(120)는 수신된 3차원 영상에 대해 변이 추정 기법을 수행하여,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의 최소값 및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의 최대값을 결정할 수 있다. 모든 프레임 구간에 대해 동일한 저피로도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경우, 변이 벡터 정보의 일 실시예는 모든 프레임의 변이 벡터의 최소값들의 평균값 및 최대값의 평균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변이 한계치 결정부(130)는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 획득부(110)로부터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입력받아, 3차원 영상에 대한 변이의 최소 한계치 및 최대 한계치인 변이 한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변이 한계치를 변이 조절부(140)로 출력한다.
일 실시예의 변이 한계치 결정부(130)는 시청 거리 및 눈간 거리를 결정하고, 시청 거리, 눈간 거리를 이용하여 양안 시차각을 결정한다. 또한, 일 실시예의 변이 한계치 결정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크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크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크기값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의 변이 한계치 결정부(130)는 양안 시차각, 눈간 거리 및 시청 거리,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크기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변이의 최소 한계치 및 최대 한계치를 결정한다. 변이의 최소 한계치 및 최대 한계치 에 해당하는 변이 한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도 3을 참고하여 후술된다.
일 실시예의 변이 한계치 결정부(130)는 시청 거리,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크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저피로도 파라미터로부터 추출한다.
다른 실시예의 변이 한계치 결정부(130)는, 추출된 시청 거리가 실제 시청 거리와 상이하고, 추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크기 및 추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크기를 이용하여 결정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크기값이 실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크기값과 상이한 경우, 실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크기값을 이용하여 양안 시차각, 변이의 최대 한계치 및 최소 한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변이 조절부(140)는 변이 한계치 결정부(130)로부터 변이 한계치를 입력받아, 변이 한계치와 변이 벡터 정보를 비교하여, 3차원 영상의 변이를 조절한다.
변이 조절부(140)의 일 실시예는, 변이의 한계치 범위와 변이 벡터의 평균치 범위를 비교한다. 변이의 한계치 범위는 변이의 최소 한계치 및 최대 한계치 사이의 범위를 나타내며, 변이 벡터의 평균치 범위는 획득된 변이 벡터의 최소값의 평균치 및 최대값의 평균치 사이의 범위를 나타낸다.
변이 조절부(140)의 일 실시예는, 변이 한계치 범위와 변이 벡터의 평균치 범위의 비교 결과, 변이의 한계치의 범위를 변이 벡터의 평균치의 범위가 소정 방향으로 N 픽셀 만큼 벗어나는 경우, 3차원 영상을 소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N 픽셀만큼 평행 이동시킨다.
또한 변이 조절부(140)의 일 실시예는, 변이 벡터의 평균치 범위의 크기가 변이의 한계치 범위의 크기보다 큰 경우, 변이 벡터의 평균치 범위의 크기가 변이의 한계치 범위의 크기 이하의 크기로 축소되도록 하는 비율이 k 일 때, 3차원 영상의 크기를 비율 k 만큼 축소한다.
시청 피로도 감소 장치(100)의 일 실시예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이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인 경우,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으로부터 저피로도 파라미터가 추출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이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인 경우,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은 moov 박스, mdat 박스 및 meta 박스를 포함한다. 변이 벡터 정보를 포함하는 변이 조절을 위한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는, meta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moov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moov 박스의 하위 레벨인 trak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trak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및 trak 박스의 하위 레벨인 meta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장치(200)는 변이 벡터 결정부(210), 3차원 영상 데이터 기록부(220) 및 저피로도 파라미터 기록부(230)를 포함한다.
변이 벡터 결정부(210)는 3차원 영상에 대해 변이 추정 기법을 수행함으로서 변이 벡터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변이 추정 기법은 종래의 변이 추정 기법으로써, 여기서 설명되지 않는다.
3차원 영상 데이터 기록부(220)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의 페이로드 영역에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저피로도 파라미터 기록부(230)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의 헤더 영역에, 3차원 영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한 파라미터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크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크기, 시청 거리, 상기 결정된 변이 벡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저피로도 파라미터를 기록한다.
저피로도 파라미터 기록부(230)의 일 실시예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이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인 경우,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에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저피로도 파라미터 기록부(230)의 다른 실시예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이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인 경우,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이 moov 박스, mdat 박스 및 meta 박스를 포함한다. 다시점 카메라 파라미터 정보는 meta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moov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moov 박스의 하위 레벨인 trak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trak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및 trak 박스의 하위 레벨인 meta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록될 수 있다.
도 3 은 변이의 최대 한계치 및 최소 한계치를 계산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 을 참고하여, 변이 한계치 결정부(130)의 작동 방법이 상술된다.
3차원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피로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본 3D 컨 소시엄에서 제안한 안전 규격은 스크린 변이에 의한 시차각의 범위가 ±1°이내일 것을 제안하였다. 시차각은 조절각(α) 및 폭주각(β, γ)의 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차각의 범위를 ±1°로 한다.
시차각에 의한 변이는 디스플레이 화면(300)에서 픽셀 단위로 표현되므로, 변이의 한계치 범위는 디스플레이 화면(300)의 픽셀 크기에 의해 결정되고, 픽셀 크기는 디스플레이 화면(300)의 크기 및 해상도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시청각을 알기 위해서는, 시청 거리(310), 눈간 거리(320)가 필요하다. 즉, 시청 거리 및 눈간 거리를 이용한 삼각법에 의해 조절각 α(330)를 구할 수 있다. 시차각이 ±1°이 되도록 하는 폭주각 β(340) 및 폭주각 γ(350)은 각각 조절각 α(330)와 -1° 및 +1°의 차이가 나도록 설정된다.
이하, 일 실시예를 들어 변이의 한계치가 계산되는 과정이 상술된다.
디스플레이 화면(300)이 2.5인치의 크기에 320×240의 해상도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300)의 픽셀 크기는 0.159 밀리미터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300)으로부터 시청자까지의 시청 거리(310)는 300밀리미터(mm)이며, 시청자의 눈간 거리(320)는 65밀리미터(mm)로 설정된다. 시청 거리(310) 및 눈간 거리(320)를 이용하여 삼각법에 의하면 조절각 α(330)은 12.37°가 된다. 따라서 폭주각 β(340)는 11.37°, 폭주각 γ(350)는 13.37°가 된다.
눈간 거리를 이용한 삼각법을 의하면, 폭주각 β(340)에 의해 발생되는 변이(345)는 5.73 밀리미터이며, 폭주각 γ(350)에 의해 발생되는 변이(355)는 5.32 밀리미터이다. 변이(345, 355)를 픽셀 단위로 표현하면, 변이의 한계치는 +36 픽 셀, -33 픽셀로 결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화면(300)의 크기가 3.5인치인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300)의 픽셀 크기가 0.219 밀리미터이므로, 2.5인치 크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픽셀 단위의 변이의 한계치는 26 픽셀, -24 픽셀로 결정된다.
전술된 변이의 한계치를 계산함으로써 같은 3차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면, 3차원 디스플레이 화면의 사이즈가 변할 경우 변이의 한계치도 변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된다. 작은 3차원 디스플레이 화면에서는 3차원 컨텐츠의 변이가 커도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가 적지만 큰 디스플레이 화면의 경우 같은 컨텐츠라 해도 피로도가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텐츠 제작업자가 3차원 컨텐츠를 제작할 때 해당 컨텐츠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에서 컨텐츠를 검색하여 시청 피로도가 적은 영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재생하려는 컨텐츠의 최적 사이즈와 단말의 사이즈가 다른 경우를 확인하여 피로도 감소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또는 기록 매체 등이 있으면 그 방법을 수행하고, 없으면 경고 메시지를 띄워 사용자에게 재생 여부를 묻는다.
도 4 는 이상적인 변이 벡터의 분포를 도시한다.
3차원 영상의 변이 벡터의 최소값(450) 및 최대값(460)이, 변이의 최소 한계치(410) 및 변이의 최대 한계치(420)의 사이 범위에 속하고, 변이 벡터의 범위 크 기(470)가 변이의 한계치 범위의 크기(430)보다 크지 않은 경우의 변이 벡터의 범위가 이상적이다. 이 경우, 변이 조절을 위한 후처리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변이 벡터를 구하기 위해, 수신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의 헤더 정보로부터 변이 벡터 정보를 추출한다. 다른 실시예는, 수신된 3차원 영상에 대해 변이 추정 기법을 수행하여 변이 벡터를 직접 결정한다.
도 5a 는 변이 벡터의 분포가 양(+)의 방향으로 치우친 경우를 도시한다.
도 5a는, 변이 벡터의 범위 크기(530)가 변이의 한계치 범위의 크기(430)보다 크지 않으면서, 변이 벡터의 최소값(510)은 변이의 한계치 범위(410과 420 사이)에 속하지만 변이 벡터의 최대값(520)이 변이의 한계치 범위(410과 420 사이)를 벗어나 변이 벡터의 범위가 변이의 한계치 범위에 비해 양(+)의 방향으로 N 픽셀만큼 벗어나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변이 벡터의 최소값(510) 및 변이 벡터의 최대값(520)을 변이의 한계치 범위(410과 420 사이)에 포함하도록, 변이 벡터의 범위를 음(-)의 방향으로 N 픽셀만큼 이동시켜 변이 벡터의 조절된 최소값(550) 및 조절된 최대값(560)으로 변이를 조절한다.
도 5b 는 변이 벡터의 분포가 양(+)의 방향으로 치우친 경우, 변이 조절 방법을 도시한다.
변이 조절부(140)의 일 실시예는, 3차원 영상의 좌시점 영상(570) 및 우시점 영상(575)의 변이 벡터가 변이의 한계치 범위에 비해, 양(+)의 방향으로 N 픽셀만큼 치우쳐 있는 경우이므로, 두 영상을 음(-)의 방향으로 N 픽셀만큼 이동시킴으로 써 변이를 조절한다. 따라서, 변이 조절부(140)는 좌시점 영상(570) 및 우시점 영상(575)를 음(-)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각각 변이 조절된 좌시점 영상(580) 및 변이 조절된 우시점 영상(585)을 생성시킬 수 있다.
도 6a 는 변이 벡터의 분포가 음(-)의 방향으로 치우친 경우를 도시한다.
도 6a는, 변이 벡터의 범위 크기(630)가 변이의 한계치 범위의 크기(430)보다 크지 않으면서, 변이 벡터의 최소값(610)은 변이의 한계치 범위(410과 420 사이)에 속하지만 변이 벡터의 최대값(620)이 변이의 한계치 범위(410과 420 사이)를 벗어나 변이 벡터의 범위가 변이의 한계치 범위에 비해 음(-)의 방향으로 N 픽셀만큼 벗어나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변이 벡터의 최소값(610) 및 변이 벡터의 최대값(620)을 변이의 한계치 범위(410과 420 사이)에 포함하도록, 변이 벡터의 범위를 양(+)의 방향으로 N 픽셀만큼 이동시켜 변이 벡터의 조절된 최소값(650) 및 조절된 최대값(660)으로 변이를 조절한다.
도 6b 는 변이 벡터의 분포가 음(-)의 방향으로 치우친 경우, 변이 조절 방법을 도시한다.
변이 조절부(140)의 일 실시예는, 3차원 영상의 좌시점 영상(670) 및 우시점 영상(675)의 변이 벡터가 변이의 한계치 범위에 비해, 음(-)의 방향으로 N 픽셀만큼 치우쳐 있는 경우이므로, 두 영상을 양(+)의 방향으로 N 픽셀만큼 이동시킴으로써 변이를 조절한다. 따라서, 변이 조절부(140)는 좌시점 영상(670) 및 우시점 영상(675)를 양(+)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각각 변이 조절된 좌시점 영상(680) 및 변이 조절된 우시점 영상(685)을 생성시킬 수 있다.
도 7a 는 변이 벡터의 범위의 크기가 변이 한계치의 범위의 크기보다 큰 경우를 도시한다.
도 7a는, 변이 벡터의 범위 크기(730)가 변이의 한계치 범위의 크기(430)보다 크면서, 변이 벡터의 최소값(710)이 변이의 한계치 범위(410과 420 사이)에 속하지 않고 변이 벡터의 최대값(720)도 변이의 한계치 범위(410과 420 사이)를 벗어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는 변이 벡터를 평행 이동시키는 방법만으로는 변이 벡터 범위(710과 720 사이)를 변이 한계치 범위(410과 420 사이)에 속하도록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변이 벡터 범위의 크기(730)를 변이 한계치 범위의 크기(430)보다 크지 않도록 축소함으로써 변이를 조절한다.
즉 변이 벡터 범위의 크기(730)가 a라고 하고 조절된 변이 벡터 범위의 크기(770)를 라고 할 때, 변이 벡터 범위의 크기(730)를 a:b로 축소하여, 변이 벡터의 최소값(710) 및 변이 벡터의 최대값(720)이 조절된 변이 벡터 최소값(750) 및 조절된 변이 벡터 최대값(760)이 되도록 변이가 조절된다.
도 7b 는 변이 벡터의 범위의 크기가 변이 한계치의 범위의 크기보다 큰 경우, 변이 조절 방법을 도시한다.
변이 조절부(140)의 일 실시예는, 3차원 영상의 좌시점 영상(780) 및 우시점 영상(785)의 변이 벡터 범위가 변이의 한계치 범위에 비해 큰 경우이므로, 두 영상을 축소시켜 변이 벡터 범위를 변이의 한계치 범위보다 작아지도록 변이를 조절한 다. 따라서, 변이 조절부(140)는 좌시점 영상(780) 및 우시점 영상(785)를 a:b로 축소시켜서, 각각 변이 조절된 좌시점 영상(790) 및 변이 조절된 우시점 영상(795)을 생성시킬 수 있다.
도 8 는 국제 표준 기관(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을 도시한다.
도 8 를 참고하여,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의 기본 구조가 설명된다. ISO 파일 박스(800)는 moov 박스(810) 및 mdat 박스(820)를 포함한다.
moov 박스(810)는 영상(video trak) 또는 음성(audio trak) 정보에 대한 기본적인 헤더 정보들을 포함하고, mdat 박스(820)는 실질적인 영상 데이터들 또는 음성 데이터들을 포함하고 있다. mdat 박스(820)의 일 실시예는, 인터리브드 타임 순서로(interleaved time-ordered) 영상 또는 음성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제 표준 기관(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의 박스 리스트를 도시한다.
ftyp 박스(910)는 파일 형식 및 호환성(file type and compatibility)을 나타내고 해당 파일의 주된 종류(major_bran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해당 파일이 3차원 스테레오 영상임을 나타내기 위해 "ssav"로 설정한다. 여기서 ssav는 스테레오스코픽 AV(stereoscopic audio-video)의 약어를 나타낸다.
moov 박스(920)는 타임드 리소스(timed resources)의 모든 메타데이터를 위한 공간이다. 도 8 를 참조하여서 전술한 바와 같이, moov 박스는 mdat 박스(930) 에 포함되어 있는 실질 미디어 데이터를 위한 헤더 정보 또는 메타데이터들이 포함되어 있다.
mdat 박스(930)는 도 8 를 참고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 데이터를 위한 공간이다.
meta 박스(940)도 moov 박스(920) 이외의 메타데이터를 위한 공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3차원 영상을 위한 저피로도 파라미터를 위한 공간으로써 saif(Safety Information) 박스(950)를 meta 박스(940)의 하위 레벨에 포함시킨다.
moov 박스(920)의 하위 레벨인 trak 박스는 메인 AV 데이터 또는 보조 데이터에 대한 각각의 독립적인 트랙 또는 스트림을 위한 공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3차원 영상을 위한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위한 공간으로써 saif 박스(950)를 trak 박스 이하(670)의 다른 meta 박스의 하위 레벨에 포함시킨다.
도 9에 모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3차원 영상을 위한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위한 공간이 meta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moov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moov 박스의 하위 레벨인 trak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trak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및 trak 박스의 하위 레벨인 meta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변이 벡터 정보 획득부(120)의 일 실시예는 도 9를 참고하여 전술된 saif 박스로부터 추출된 저피로도 파라미터로부터 변이 벡터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저피로도 파라미터 기록부(230)의 일 실시예는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의 헤더 영역의 snmi 박스에 저피로도 파라미터를 기록한다.
도 10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저피로도 파라미터의 구조를 도시한다.
3DParams(1010)는 3차원 영상을 위한 저피로도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OptimalDisplayHorizontalSize(1020)는 제공되는 3차원 영상 데이터에 대한 최적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가로 크기를 나타낸다.
OptimalDisplayVerticalSize(1025)는 제공되는 3차원 영상 데이터에 대한 최적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세로 크기를 나타낸다.
OptimalViewDistance(1030)는 제공되는 3차원 영상 데이터에 대한 최적의 시청 거리를 나타낸다.
MinDisparity(1040)는 3차원 영상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소값를 나타낸다.
MaxDisparity(1050)는 3차원 영상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대값를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변이 한계치 결정부(130)는 3차원 영상에 대해 최적의 시청 거리 및 최적의 디스플레이 화면 크기를 이용하여 변이 한계치를 결정하고, 시청 거리 또는 디스플레이 화면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최적의 시청 거리 또는 최적의 디스플레이 화면 크기를 이용한 삼각법을 통해 변이 한계치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변이 조절부(140)의 일 실시예는, 변이 벡터 정보를 저피로도 파라미터로부터 획득하는 경우, MinDisparity(1040)를 변이 벡터의 최소값으로 설정하고, MaxDisparity(1050)를 변이 벡터의 최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1a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제 표준 기관(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에서의 3차원 저피로도 파라미터의 표현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a 에서 도시된 저피로도 파라미터의 표현 기술(Syntax)은, 도 9 를 참고하여 전술된 일 실시예에서, 3차원 다시점 카메라 파라미터를 위한 saif 박스(950)(Box type : ' saif ')에 해당한다.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에서 저피로도 파라미터의 구비 여부는 필수가 아니며(Mandatory : No), 파라미터의 양은 0 또는 1 (Quantity : Zero or one)이다. 각각의 변수들의 정의는 도 10 에서 전술된 바와 동일하다.
도 11a 에서 도시된 저피로도 파라미터의 일 실시예는, 영상 데이터스트림의 모든 프레임을 프레임 구간으로 하는 경우에 대한 예로써, 저피로도 파라미터(1110)가 모든 프레임에 대해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11b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국제 표준 기관(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에서의 3차원 저피로도 파라미터의 표현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저피로도 파라미터는 시간축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되며, 그 일 실시예로써 도 9b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 별로 저피로도 파라미터가 개별적으로 설정된 경우를 도시한다.
for문(1120)을 통해 각각의 프레임 구간마다 개별적으로 저피로도 파라미터가 정의된다. 즉, 각각의 프레임 구간마다 현재 기초 스트림의 식별 정보(ES_ID, 1130), 현재 기초 스트림에서의 시작 프레임 위치 정보(offset, 1140), 현재 프레 임 구간에서의 프레임 수(length, 1150)가 정의됨으로써, 현재 기초 스트림 및 현재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정보가 설정되며, 각각의 프레임 구간마다 개별적인 저피로도 파라미터(1160)가 설정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1210에서, 수신된 3차원 영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한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가 획득된다.
단계 1220에서, 3차원 영상의 각각의 프레임에 대한 변이 벡터 정보가 획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피로도 파라미터부터 변이 벡터 정보가 추출될 수도 있으며, 3차원 영상에 대해 변이 추정을 수행함으로써 변이 벡터 정보가 직접 구해질 수도 있다.
단계 1230에서, 3차원 영상에 대한 변이의 최소 한계치 및 최대 한계치인 변이 한계치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시청 거리, 눈간 거리, 디스플레이 화면의 가로 크기, 세로 크기, 해상도 등을 이용한 삼각법에 의해 변이 한계치가 결정된다.
단계 1240에서, 변이 한계치와 변이 벡터 정보를 비교하여, 3차원 영상의 변이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변이 벡터 범위의 크기가 변이 한계치 범위의 크기보다 작으면서 변이 벡터 범위가 변이 한계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평행 이동 을 통해 변이가 조절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변이 벡터 범위의 크기가 변이 한계치 범위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영상을 축소함으로써 변이가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서, 서비스 서버 측에 의해 설정된 3차원 영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재생 정보가 검색된다. 검색 결과, 서비스 서버 측에 의해 설정된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 정보와 3차원 영상을 재생할 실제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가 동일한 경우, 해당 3차원 영상이 선택된다.
만약 검색 결과 서비스 서버 측에 의해 설정된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 정보와 3차원 영상을 재생할 실제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가 상이하다면,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로부터, 시청 피로도 감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피로도 감소 작업 정보가 획득된다.
피로도 감소 작업 정보에 의해, 시청 피로도 감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이 확인되면, 변이 한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작업이 수행된다. 반면에, 피로도 감소 작업 정보에 의해 시청 피로도 감소 작업을 수행할 수 없음이 확인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해당 3차원 영상의 재생 여부를 확인한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1310에서, 3차원 영상의 프레임에 대해 변이 추정을 수행하여 변이 벡터가 결정된다.
단계 1320에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의 페이로드 영역에 3차원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단계 1330에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의 헤더 영역에 3차원 영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한 파라미터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크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크기, 시청 거리, 결정된 변이 벡터에 대한 정보, 시청 피로도 감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피로도 감소 작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저피로도 파라미터가 기록된다.
일 실시예에서 변이 벡터에 대한 정보는, 변이 벡터 중에서 모든 프레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소값들의 평균치인 변이 최소값 및 모든 프레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대값들의 평균치인 변이 최대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변이의 최대 한계치 및 최소 한계치를 계산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4 는 이상적인 변이 벡터의 분포를 도시한다.
도 5a 는 변이 벡터의 분포가 양(+)의 방향으로 치우친 경우를 도시한다.
도 5b 는 변이 벡터의 분포가 양(+)의 방향으로 치우친 경우, 변이 조절 방법을 도시한다.
도 6a 는 변이 벡터의 분포가 음(-)의 방향으로 치우친 경우를 도시한다.
도 6b 는 변이 벡터의 분포가 음(-)의 방향으로 치우친 경우, 변이 조절 방법을 도시한다.
도 7a 는 변이 벡터의 범위의 크기가 변이 한계치의 범위의 크기보다 큰 경우를 도시한다.
도 7b 는 변이 벡터의 범위의 크기가 변이 한계치의 범위의 크기보다 큰 경우, 변이 조절 방법을 도시한다.
도 8 는 국제 표준 기관(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을 도시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제 표준 기관(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의 박스 리스트를 도시한다.
도 10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저피로도 파라미터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1a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제 표준 기관(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에서의 3차원 저피로도 파라미터의 표현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b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국제 표준 기관(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에서의 3차원 저피로도 파라미터의 표현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Claims (26)

  1. 수신된 3차원 영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한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3차원 영상의 각각의 프레임에 대한 변이 벡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3차원 영상에 대한 변이의 최소 한계치 및 최대 한계치인 변이 한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변이 한계치와 상기 획득된 변이 벡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3차원 영상의 변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벡터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로부터 상기 변이 벡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이 벡터 정보는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소값 및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대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벡터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3차원 영상에 대해 변이 추정 기법 을 수행하여,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소값 및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대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한계치 결정 단계는,
    시청 거리 및 눈간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청 거리 및 상기 눈간 거리를 이용하여 양안 시차각을 결정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크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크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크기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양안 시차각,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크기값, 상기 눈간 거리 및 상기 시청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변이의 최소 한계치 및 최대 한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한계치 결정 단계는,
    상기 시청 거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크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한계치 결정 단계는,
    상기 추출된 시청 거리가 실제 시청 거리와 상이하고, 상기 추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크기 및 상기 추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크기를 이용하여 결정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크기값이 실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크기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실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크기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안 시차각, 상기 변이의 최대 한계치 및 최소 한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조절 단계는, 상기 변이의 한계치 범위와 상기 획득된 변이 벡터의 범위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이의 한계치 범위는 상기 변이의 최소 한계치 및 최대 한계치 사이의 범위이고,
    상기 변이 벡터의 범위는 상기 획득된 변이 벡터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조절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변이의 한계치의 범위를 상기 변이 벡터의 범위가 소정 방향으로 N 픽셀 만큼 벗어나는 경우,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소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N 픽셀만큼 평행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조절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변이 벡터의 범위의 크기가 상기 변이의 한계치 범위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변이 벡터의 범위의 크기가 상기 변이의 한계치 범위의 크기 이하의 크기로 축소되도록 하는 비율이 k 일 때, 상기 3차원 영상의 크기를 비율 k 만큼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이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인 경우, 상기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은 moov 박스, mdat 박스 및 meta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meta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상기 moov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상기 moov 박스의 하위 레벨인 trak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상기 trak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및 상기 trak 박스의 하위 레벨인 meta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 측에 의해 설정된 상기 3차원 영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3차원 영상 재생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상기 서비스 서버 측에 의해 설정된 상기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 정보와 상기 3차원 영상을 재생할 실제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가 동일한 경우, 상기 3차원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상기 서비스 서버 측에 의해 설정된 상기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 정보와 상기 3차원 영상을 재생할 실제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가 상이한 경우,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로부터, 시청 피로도 감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피로도 감소 작업 정 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이 한계치 결정 단계는, 상기 피로도 감소 작업 정보에 의해, 시청 피로도 감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변이 계치를 결정하고,
    상기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고 감소 방법은, 상기 피로도 감소 작업 정보에 의해 시청 피로도 감소 작업을 수행할 수 없음이 확인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상기 3차원 영상의 재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
  14. 수신된 3차원 영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한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는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 획득부;
    상기 3차원 영상의 각각의 프레임에 대한 변이 벡터 정보를 획득하는 변이 벡터 정보 획득부;
    상기 3차원 영상에 대한 변이의 최소 한계치 및 최대 한계치인 변이 한계치를 결정하는 변이 한계치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변이 한계치와 상기 획득된 변이 벡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3차원 영상의 변이를 조절하는 변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벡터 정보 획득부는,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로부터 상기 변이 벡 터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변이 벡터 정보는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소값 및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대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벡터 정보 획득부는, 상기 3차원 영상에 대해 변이 추정 기법을 수행하여,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소값 및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대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한계치 결정부는,
    시청 거리 및 눈간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시청 거리 및 상기 눈간 거리를 이용하여 양안 시차각을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크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크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크기값을 결정하고,
    상기 양안 시차각,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크기값, 상기 눈간 거리 및 상기 시청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변이의 최소 한계치 및 최대 한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조절부는, 상기 변이의 한계치 범위와 상기 획득된 변이 벡터의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변이의 한계치 범위를 상기 변이 벡터의 범위가 소정 방향으로 N 픽셀만큼 벗어나는 경우,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소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N 픽셀만큼 평행 이동하고;
    상기 변이 벡터의 범위의 크기가 상기 변이의 한계치 범위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변이 벡터의 범위의 크기가 상기 변이의 한계치 범위의 크기 이하의 크기로 축소되도록 하는 비율이 k 일 때, 상기 3차원 영상의 크기를 비율 k 만큼 축소하며,
    상기 변이의 한계치 범위는 상기 변이의 최소 한계치 및 최대 한계치 사이의 범위이고, 상기 변이 벡터의 범위는 상기 획득된 변이 벡터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장치.
  19. 3차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의 미디어 데이터 영역에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의 헤더 영역에, 상기 3차원 영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한 파라미터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크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크기, 시청 거리, 변이 벡터에 대한 정보, 시청 피로도 감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피로도 감소 작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저피로도 파라미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이 벡터에 대한 정보가,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소값인 변이 최소값 및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대값인 변이 최대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20. 삭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 기록 단계는,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이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인 경우, 상기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에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 기록 단계는,
    상기 ISO 기반의 미디어 파일 포맷은 moov 박스, mdat 박스 및 meta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meta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상기 moov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상기 moov 박스의 하위 레벨인 trak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상기 trak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및 상기 trak 박스의 하위 레벨인 meta 박스의 하위 레벨 박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저피로도 파라미터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23. 3차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의 프레임에 대해 변이 추정을 수행하여 변이 벡터를 결정하는 변이 벡터 결정부;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의 미디어 데이터 영역에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기록부; 및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의 헤더 영역에, 상기 3차원 영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한 파라미터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크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크기, 시청 거리, 상기 결정된 변이 벡터에 대한 정보, 시청 피로도 감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피로도 감소 작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저피로도 파라미터를 기록하는 저피로도 파라미터 기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변이 벡터에 대한 정보가, 상기 결정된 변이 벡터 중에서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소값인 변이 최소값 및 상기 프레임 구간에 대한 변이 벡터의 최대값인 변이 최대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장치.
  24. 삭제
  2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하나의 3차원 영상의 시청 피로도 감소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6. 제 19 항, 제 21항 및 제 22 항 중 어느 하나의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70121397A 2007-10-10 2007-11-27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장치 KR101457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78,217 US8390674B2 (en) 2007-10-10 2008-07-23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atigue resulting from viewing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ata stream of low visual fatigue three-dimensional image
US13/762,936 US8780173B2 (en) 2007-10-10 2013-02-08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atigue resulting from viewing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ata stream of low visual fatigue three-dimensional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7880907P 2007-10-10 2007-10-10
US60/978,809 2007-10-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476A Division KR101396356B1 (ko) 2007-10-10 2008-11-03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080108475A Division KR101396332B1 (ko) 2007-10-10 2008-11-03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080108472A Division KR101439850B1 (ko) 2007-10-10 2008-11-03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080108473A Division KR101396327B1 (ko) 2007-10-10 2008-11-03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270A KR20090037270A (ko) 2009-04-15
KR101457893B1 true KR101457893B1 (ko) 2014-11-04

Family

ID=40762050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397A KR101457893B1 (ko) 2007-10-10 2007-11-27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장치
KR1020080108473A KR101396327B1 (ko) 2007-10-10 2008-11-03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080108472A KR101439850B1 (ko) 2007-10-10 2008-11-03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080108476A KR101396356B1 (ko) 2007-10-10 2008-11-03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080108475A KR101396332B1 (ko) 2007-10-10 2008-11-03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473A KR101396327B1 (ko) 2007-10-10 2008-11-03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080108472A KR101439850B1 (ko) 2007-10-10 2008-11-03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080108476A KR101396356B1 (ko) 2007-10-10 2008-11-03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080108475A KR101396332B1 (ko) 2007-10-10 2008-11-03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1457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8836B2 (en) 2008-02-29 2014-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datastream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multiview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datastream by using the same
KR101699920B1 (ko) 2009-10-07 2017-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깊이 조절 방법 및 장치
US9699434B2 (en) 2009-10-07 2017-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depth
KR101682205B1 (ko) * 2010-05-03 201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영상의 시청피로를 저감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02967B1 (ko) * 2010-09-13 201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82208B1 (ko) * 2010-10-22 2016-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587623B1 (ko) * 2010-12-09 2016-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각적 피로 최소화를 지원하는 입체영상 제작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0844B1 (ko) 2011-11-01 2019-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291011B1 (ko) * 2011-12-27 2013-07-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영상 입체감 조절 장치 및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
KR101348930B1 (ko) * 2012-07-11 2014-01-0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레오 3차원 영상의 시청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 요인 추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140A (ko) * 2001-11-02 2003-05-12 전자부품연구원 검색기능을 포함한 3차원 입체영상을 위한 다시점영상통신 시스템
KR20050053703A (ko) * 2002-09-27 2005-06-0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입체화상 표시장치, 입체화상 기록장치 및 입체화상기록방법
KR100576550B1 (ko) 2004-08-03 2006-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평시차 조절 장치와 그를 이용한 자동 주시거리 조절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16142B1 (ko) 2006-09-04 2007-05-11 주식회사 이시티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데이터의 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961B1 (ko) * 2005-06-14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수신장치
KR100828358B1 (ko) * 2005-06-14 2008-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140A (ko) * 2001-11-02 2003-05-12 전자부품연구원 검색기능을 포함한 3차원 입체영상을 위한 다시점영상통신 시스템
KR20050053703A (ko) * 2002-09-27 2005-06-0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입체화상 표시장치, 입체화상 기록장치 및 입체화상기록방법
KR100576550B1 (ko) 2004-08-03 2006-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평시차 조절 장치와 그를 이용한 자동 주시거리 조절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16142B1 (ko) 2006-09-04 2007-05-11 주식회사 이시티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데이터의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356B1 (ko) 2014-05-16
KR20090037372A (ko) 2009-04-15
KR20090037371A (ko) 2009-04-15
KR20090037270A (ko) 2009-04-15
KR20090037370A (ko) 2009-04-15
KR20090037373A (ko) 2009-04-15
KR101396332B1 (ko) 2014-05-16
KR101396327B1 (ko) 2014-05-16
KR101439850B1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893B1 (ko)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장치
US87801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atigue resulting from viewing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ata stream of low visual fatigue three-dimensional image
RU2554465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ие 3d видео и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данных
JP5221227B2 (ja) ステレオスコピック映像の部分データ区間の再生のためのステレオスコピック映像データストリーム生成方法及び装置、ステレオスコピック映像の部分データ区間の再生方法及び装置
KR101185870B1 (ko) 3d 입체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2598683B (zh) 立体影像制作装置以及立体影像制作方法
JP5519647B2 (ja) カメラ・パラメータを利用したステレオスコピック映像データ・ストリーム生成方法及びその装置、
US909465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US88788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datastream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multiview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datastream by using the same
JP2014103689A (ja) 立体映像エラー改善方法及び装置
JP2012500549A (ja) 二次元/三次元再生モード決定方法及び装置
JP2013527646A5 (ko)
KR101390811B1 (ko) 3차원 영상을 위한 다시점 카메라 파라미터 수신 방법 및그 장치, 그리고 다시점 카메라 파라미터 전송 방법 및 그장치
US20130272677A1 (en) Image file generation device, image file reproduction device, and image file generation method
Lin et al. A stereoscopic video conversion scheme based on spatio-temporal analysis of MPEG videos
KR101396350B1 (ko) 다시점 영상 데이터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와 다시점영상 데이터스트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5604173B2 (ja) 再生装置、表示装置、記録装置及び格納媒体
KR20090093734A (ko) 다시점 영상을 위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스트림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데이터스트림복호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