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379B1 - A system for cultivating ginsengs and wild ginsengs - Google Patents

A system for cultivating ginsengs and wild ginse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379B1
KR101457379B1 KR1020120114294A KR20120114294A KR101457379B1 KR 101457379 B1 KR101457379 B1 KR 101457379B1 KR 1020120114294 A KR1020120114294 A KR 1020120114294A KR 20120114294 A KR20120114294 A KR 20120114294A KR 101457379 B1 KR101457379 B1 KR 101457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cultivation
light source
temperature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47928A (en
Inventor
차재상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14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379B1/en
Publication of KR2014004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9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3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인삼 또는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이 개시된다. 인삼 또는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은 외부의 자연광이 차단된 재배실, 상기 재배실 내에 배치되고 묘삼이 정식되는 토양이 수용된 재배조, 상기 재배조 위에 배치되어 상기 묘삼의 잎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재배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재배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재배 환경 정보 수집부,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제어하는 광도 제어부, 상기 재배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재배조에 정식된 묘삼을 촬영하는 비디오 카메라,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서버, 및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은 청색 LED 및 적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광도 제어부는 상기 측정 온도가 30℃를 초과하면 상기 광원의 밝기를 6,000lx 내지 8,000lx가 되도록 제어하며, 30℃ 이하에서는 12,000lx 내지 18,000lx가 되도록 상기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로에 의해 촬영된 묘삼의 비디오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A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is disclosed. 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comprises a cultivation room in which natural light outside is blocked, a cultivation tank arranged in the cultivation room and containing soil in which the grape seedling is settled, a light source disposed on the cultivation tank for irradiating light on leaves of the grape seedling, A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disposed in the cultivation room and measuring a temperature inside the cultivation room; a brightness control unit controlling brightness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a server connected to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nected to the video camera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at least one dat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light source comprises at least one of a blue LED and a red LED And the brightness controller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to be 6,000 lx to 8,000 lx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exceeds 30 ° C and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to be 12,000 lx to 18,000 lx at 30 ° C or less , The serv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ideo camera at the request of the client and transmits the video of the seedling taken by the video camera to the client.

Description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A SYSTEM FOR CULTIVATING GINSENGS AND WILD GINSENGS}{A SYSTEM FOR CULTIVATING GINSENGS AND WILD GINSENGS}

본 발명은 인삼 또는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공 광원을 사용하여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생육을 촉진시키고, 인삼 또는 산양산삼이 재배되는 환경에 관한 정보를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소비자 및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재배를 위탁한 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nseng or anchovy ginseng cultivation system, in particular, an artificial light source is used to promote the growth of ginseng or anchovy ginseng, and information on an environment in which ginseng or anchovy ginseng is grown is referred to as a ginse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provided in real time to a person entrusted with the cultivation of the ginseng.

최근 인삼 또는 산양산삼에 포함된 사포닌 등의 성분에 관한 약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활동이 있기 오래전부터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권에서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을 약재로 널리 사용해 왔다.Recently, studies on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ginseng and saponin contained in ginseng or goat ginseng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has been widely used as ginseng or ginseng ginseng in the East Asian region centered on Korea .

최근의 연구에 의해 밝혀진 바에 따르면, 비영양 물질로 알려졌던 사포닌은 항암, 항산화, 콜레스테롤 저하 등 다양한 약리효과를 가진다. 인삼 또는 산양산삼에서 추출된 사포닌을 영양보조식품이나 약품에 사용하면서 이러한 사포닌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saponins, known as non-nutrients, have a variety of pharmacological effects, including anticancer, antioxidant, and cholesterol lowering. Demand for ginseng or ginseng containing large amounts of saponin is also increasing as it is used in dietary supplements and medicines.

그러나, 이러한 뛰어난 효능에도 불구하고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의 증가는 더딘데,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생육 조건이 까다로워 재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인삼 또는 산양산삼은 다년생 식물로, 4~6년간 동일한 장소에서 재배하여야 수확이 가능하므로 파종에서 수확까지 긴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인삼 또는 산양산삼은 광합성 광보상점이 최저 5,000lx 정도에 불과한, 생육에 비교적 낮은 광도의 빛만을 필요로 하는 반음지성식물로서 빛이 가장 중요한 생육제한요소이므로, 생육기간 중 광량의 변화에 따라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품질 및 수확량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인삼 또는 산양산삼은 내병성이 약하고 토양내 과다 수분에 약해 수해나 병충해에 의해 수확량이 대폭 감소될 수 있다. However, in spite of these excellent effects, the increase of the production per unit area of the ginseng or the ginseng ginseng is slow, because the growing condition of the ginseng or the ginseng ginseng is difficult to cultivate. Ginseng or ginseng The ginseng is a perennial plant. It can be harvested after four to six years of cultivation in the same place, so it takes a long time from sowing to harvesting. In addition, ginseng or wild ginseng is a semi-ominous plant requiring only light with a low light intensity for growth, which has a minimum photosynthesis light compensation point of at least 5,000 lx, and light is the most important growth limiting factor. Therefore, Or the quality and yield of the goat ginseng varies. In addition, the ginseng or ginseng ginseng is weakly tolerant to the disease and is vulnerable to excess moisture in the soil, and the yield can be greatly reduced due to insemination and insect damage.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재배 환경의 조절 실패에도 인삼 또는 산양산삼이 생존하는 경우에도 사포닌 함량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어 상품성을 잃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인삼 또는 산양산삼은 재배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힘들며, 재배 후 수확율도 매우 낮은 단점이 있다.Even if ginseng or ginseng ginseng fails to regulate the cultivation environment, the ginseng or ginseng ginseng survives, and the saponin content is rapidly lowered to lose its commercial quality.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ginseng or ginseng ginseng is very difficult and hard to cultivate, and the harvest rate after cultivation is very low.

이와 같은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인삼 또는 산양산삼을 외부 환경의 불확실성으로부터 차단하고 생육 환경을 인공적으로 제어하여 최적의 생육 조건을 조성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growing such ginseng or goat ginseng, techniques for blocking ginseng or ginseng from uncertainty i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artificially controlling the growth environment to develop optimum growth conditions have been developed.

그러한 기술의 예로서, 인삼 또는 산양산삼수경재배장치는 온실의 내부에 묘삼을 정식한 다음, 정식된 묘삼에 각종 영양분이 포함되어 있는 양액을 공급하고, 온실 내부의 온도와 습도와 통풍 및 햇빛량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여 인삼 또는 산양산삼을 재배 방법이다. 인삼 또는 산양산삼수경재배장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생육환경, 즉, 영양분, 온도, 습도, 햇빛량, 통풍 등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줌으로써, 고품질의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수확량을 늘릴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인삼 또는 산양산삼수경재배장치는, 온실로 투사되는 햇빛을 이용하여 인삼 또는 산양산삼을 재배하는 구조이므로, 햇빛이 투사될 수 있는 곳이라야만 인삼 또는 산양산삼을 재배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햇빛이 투사될 수 있는 곳이야라만 인삼 또는 산양산삼을 재배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재배량을 증가시키기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고품질의 인삼 또는 산양산삼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인삼 또는 산양산삼수경재배장치는, 온실로 투사되는 햇빛을 이용하여 인삼 또는 산양산삼을 재배하는 구조이므로, 노지에서 재배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보다 일조량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흐리거나 비가 오는 날이 많을 경우에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성장속도가 오히려 더 늦어지고 내부에 포함된 사포닌 성분이 오히려 더 떨어질 수 있다. As an example of such a technique, a ginseng or a goat ginseng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can prepare a seedling ginseng in a greenhouse and then supply a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various kinds of nutrients to a formal seedling ginseng. The temperature, humidity, ventilation, To optimize the growth of ginseng or ginseng. The ginseng or ginseng ginseng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can make the ginseng or the ginseng ginseng grow in the optimal condition by artificially controlling the growth environment of the ginseng or the ginseng ginseng such as nutrition, temperature, humidity, sunlight amount and ventilation, . Such ginseng or ginseng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ginseng or ginseng can be cultivated only in a place where sunlight can be projected because it is a structure for cultivating ginseng or ginseng ginseng using sunlight projected to a greenhouse. In addition, the place where the sunlight can be projected is a structure that can cultivate a ginseng or ginseng wild ginseng.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re is a limit to increase the cultivation amount of ginseng or the ginseng ginse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mass-produc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ginseng or goat ginseng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ginseng or the ginseng ginseng is grown using the sunlight projected into the greenhouse. In particular, when there are many cloudy or rainy days, the growth rate of ginseng or goat ginseng is rather slower, and the saponin content contained therein may be further lowered.

또한, 국내의 고려인삼 또는 산양산삼에 비해 효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외국산 인삼 또는 산양산삼이 수입되고 있지만, 상당한 양의 외국산 인삼 또는 산양산삼이 원산지를 허위로 표시한 채 국내산으로 유통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불신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원산지 표시에 대한 불신은 인삼 또는 산양산삼을 약재로 사용하는 한의원 또는 건강보조제 제조 업체들에 대한 불신으로 확산되고 있다.
In addition, foreign ginseng or ginseng ginseng, which has significantly lower efficacy than Korean ginseng or ginseng ginseng, is imported, but a considerable amount of foreign ginseng or ginseng ginseng is distributed in domestic market with false indication of the country of origin. Is spreading. These distrust of consumers' representation of origin is spreading to distrust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or health supplement manufacturers using ginseng or ginseng as a medicinal herb.

본 발명은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생육환경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재배시설을 제공함으로써, 노지 및 수경재배 시설에서의 종래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방법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 품질의 불균일성, 외부환경 요소에 따른 수확량의 편차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재배 현황 및 재배시설 내에서 생육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생육 상태를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수요처에 공개함으로써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원산지에 대한 불신을 줄이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ltivation facility capable of optimally controlling the growth environment of ginseng or ginseng ginseng,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ginseng or goat ginseng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methods at the non-ginseng and hydroponic cultivation facilities, And the like, and the lik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distrust of the origin of ginseng or ginseng ginseng by disclosing the cultivation status of ginseng or ginseng ginseng and the growth state of ginseng or ginseng ginseng grown in the ginseng plant to the place of demand of ginseng or ginseng ginseng.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외부의 자연광이 차단된 재배실, 재배실 내에 배치되고 묘삼이 정식되는 토양이 수용된 재배조, 재배조 위에 배치되어 묘삼의 잎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재배실 내에 배치되어 재배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재배 환경 정보 수집부,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제어하는 광도 제어부, 재배실 내부에 배치되어 재배조에 정식된 묘삼을 촬영하는 비디오 카메라,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비디오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서버, 및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광원은 청색 LED 및 적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광도 제어부는 측정 온도가 30℃를 초과하면 광원의 밝기를 6,000lx 내지 8,000lx가 되도록 제어하며, 30℃ 이하에서는 12,000lx 내지 18,000lx가 되도록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고 비디오 카메라로에 의해 촬영된 묘삼의 비디오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ltivation room in which natural light is blocked, a cultivation tank in which cultivated soil is placed in a cultivation room, A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disposed in the cultivation room and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ultivation room,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from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 video camera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cultivation room and captures the grape seedlings set in the cultivation room,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a server connected to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nected to the video camera by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nd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light source comprises at least one of a blue LED and a red LED And the brightness controller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to be 6,000 lx to 8,000 lx when the measurement temperature exceeds 30 ° C and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to be 12,000 lx to 18,000 lx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30 ° C,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ideo camera at the request of the video camera and transmits the video of the seedling taken by the video camera to the client.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재배실 내에 배치된 냉난방부,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재배실 내의 온도를 15℃ 내지 20℃로 유지하도록 냉난방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냉난방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comprises a heating and cooling unit disposed in a cultivation room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cooling and heating unit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 the cultivation room at 15 ° C to 20 ° C And an air condition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은,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는 재배실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에 따라 재배실 내부의 대기를 환기할 수 있도록 재배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재배실 내부로 송풍하는 환풍유닛, 및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에 따라 환풍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환풍유닛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concentr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in the cultivation room, A ventilation unit for venting the air inside the cultivation room to the outside so as to ventilate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room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sensor concentration and blowing outside air into the cultivation room and a ventilation unit for ventilating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room with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a ventilating uni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ng unit according to the sensor concentration.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은 재배조 내의 토양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는 재배조 내의 토양의 상태를 측정하는 토양상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토양상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토양의 상태정보에 따라 양액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양액공급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액 공급부와 토양상태 센서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토양상태 센서는 토양의 산성도(pH) 및 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soil in the cultivation tank.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urther includes a soil condi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soil in the cultivation tank And may further comprise a nutrient suppl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nutrient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soil condi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oil condition sensor. In an embodiment that further comprises a nutrient supply portion and a soil condition sensor, the soil condition sensor may measure at least one of the acidity (pH) and water content of the soil.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재배환경 정보를 기록하고 재배환경 정보 기록을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재배환경 정보는 재배실 내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 및 토양의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에 의해 재배된 인삼 또는 산양산삼을 구매하려는 자 또는 이러한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재배를 위탁한 자는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재배환경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재배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에 대한 신뢰가 확보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is connected to a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by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records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records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in a client Lt; / RTI > In this embodiment,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concentration, and soil condition information in the cultivation roo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person who intends to purchase ginseng or ginseng grown by 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a person entrusted with the cultivation of such ginseng or ginseng ginseng, confirms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rver So that confidence in ginseng or ginseng grown can be secured.

광원은 하나 이상의 황색 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yellow LEDs.

본 발명의 또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외부의 자연광이 차단된 재배실, 재배실 내에 배치되고 묘삼이 정식되는 토양이 수용된 재배조, 재배조 위에 배치되어 묘삼의 잎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제어하는 광도 제어부, 재배실 내부에 배치되어 재배조에 정식된 묘삼을 촬영하는 비디오 카메라,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비디오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서버, 및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광원은 청색 LED 및 적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광도 제어부는 묘삼의 전엽기에는 광원의 밝기를 6,000lx 내지 8,000lx가 되도록 제어하며, 묘삼의 전엽 완료 후에는 6,000lx 내지 18,000lx가 되도록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며 비디오 카메라로에 의해 촬영된 묘삼의 비디오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inseng or goat wild ginseng cultivation system comprises a cultivation room in which natural light is blocked from outside, a cultivation tank in which the soil in which the grape seedling is settled is placed in a cultivation room,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the light to the leaves, a light intensit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 video camera disposed inside the cultivation room for capturing the seedlings sampled in the cultivation tank,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ght sour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blue LED and a red LED, and the brightness controller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to be 6,000 lx to 8,000 lx, 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seedling god, 6,000 lx to 18,000 lx The serv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ideo camera at the request of the client and transmits the video of the seedling taken by the video camera to the client.

또한, 재배실 내에 배치되어 재배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재배 환경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묘삼의 전엽 완료 후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30℃를 초과하면 광원의 밝기를 6,000lx 내지 8,000lx가 되도록 제어하며, 30℃ 이하에서는 12,000lx 내지 18,000lx가 되도록 광원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cultivation room and measuring a temperature inside the cultivation room.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ront lobe of the mother tomato is above 30 캜, 6,000 lx to 8,000 lx, and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can be controlled to be 12,000 lx to 18,000 lx at 30 ° C or less.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재배실 내에 배치된 냉난방부,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묘삼의 전엽기에는 재배실 내의 온도를 15℃ 내지 23℃로 유지하고, 묘삼의 전엽 완료 후에는 재배실 내의 온도를 18℃ 내지 25℃로 유지하도록 냉난방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냉난방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in the cultivation room is kept at 15 to 23 DEG C in the entire sheath of the seedling go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cooling / heating unit and the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cultivation room, And a cooling / heat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 heating unit so as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 the cooling / heating unit at 18 ° C to 25 ° C.

또한,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는 재배실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재배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재배실 내부로 송풍하는 환풍유닛, 및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에 따라 환풍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환풍유닛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in the cultivation room. The concentr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cultivation room to the outside and blow the outside air into the cultivation room The ventilation unit, and the ventilation uni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uni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measured by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concentration sensor.

재배조 내의 토양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는 재배조 내의 토양의 상태를 측정하는 토양상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토양상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토양의 상태정보에 따라 양액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양액공급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토양상태 센서는 토양의 산성도(pH) 및 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oil condi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soil in the remediation tank, and the soil measured by the soil condition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nutrient solution supplying unit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soil in the remediation tank. And a nutrient suppl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nutrient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In this embodiment, the soil condition sensor can measure at least one of the acidity (pH) and water content of the soil.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의 서버는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재배환경 정보를 기록하고 재배환경 정보 기록을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수 있다.The server of 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by wire or wirelessly to record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Lt; RTI ID = 0.0 > client < / RTI >

재배환경 정보는 재배실 내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 및 토양의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concentration, and soil condition information in a cultivation room.

또한 광원은 하나 이상의 황색 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yellow LEDs.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생육환경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재배시설을 제공함으로써, 노지 및 수경재배 시설에서의 종래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방법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 품질의 불균일성, 외부환경 요소에 따른 수확량의 편차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재배 현황 및 재배시설 내에서 생육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생육 상태를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수요처에 공개함으로써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원산지에 대한 불신을 줄임으로써 인삼 또는 산양산삼을 소비하는 소비자 및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재배를 위탁한 자가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품질 및 원산지에 대해 신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facility capable of optimally controlling the growth environment of ginseng or ginseng ginseng, Unevenness in quality of wild ginseng, variation in yield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like can be solved. In addition, by presenting the cultivation status of ginseng or ginseng ginseng and the growth state of ginseng or ginseng ginseng grown in the cultivation facility to consumers of ginseng or ginseng ginseng, it is possible to consume ginseng or ginseng ginseng by reducing distrust of the origin of ginseng or ginseng ginseng Consumers who are entrusted with the cultivation of ginseng or mountain ginseng can trust that the quality and origin of ginseng or ginseng ginseng is reliable.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의 인삼 또는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의 광도 조절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인삼 또는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의 또 다른 광도 조절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통신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서버에 의해 전송된 재배환경 정보가 표시된 도 1의 클라이언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light intensity control of 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of FIG. 1;
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another light intensity control process of 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of FIG.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and the client of FIG.
FIG. 5 is a plan view of the client of FIG. 1 showing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erver of FIG. 1;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보다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징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more complet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onvey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들에 있어서, 각 장치 영역들의 크기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또한 각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다양한 부가 장치들을 구비할 수 있다.In the drawings, the sizes of the respective device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device may have various additional devices not described herei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재배실(100), 재배실(100) 내에 배치되고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를 위한 토양(111)이 담긴 재배조(110), 광원부(120),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130), 광도 제어부(140), 비디오 카메라(150),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400), 서버(200), 클라이언트(300)를 포함한다.The ginseng or goat wild ginseng cultivation system comprises a cultivation room 100 and a cultivation room 110 that is disposed in the cultivation room 100 and contains soil 111 for cultivating ginseng or mountain ginseng, a light source part 120, A brightness control unit 140, a video camera 150,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0, a server 200, and a client 300. As shown in FIG.

재배실(100)은 외부의 자연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The cultivation room 100 is configured to block external natural light.

재배조(110)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를 위한 토양(111)을 수용하고 있으며, 재배실(100) 내부에 배치된다.The cultivation tank 110 houses the soil 111 for growing ginseng or mountain ginseng and is disposed inside the cultivation room 100.

재배조(110)의 상부에는 재배조(110)에 정식된 묘삼(112)의 광합성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는 광원부(120)가 배치된다. 광원부(120)는 다수의 광원(121)을 포함하는데, 광원(121)들은 LED 램프(121)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LED 램프(121)들은, 재배조(110)에 정식된 인삼 또는 산양산삼에 특정 파장의 빛을 조명한다. A light source unit 120 for providing light required for photosynthesis of the grape seedlings 112 formulated in the cultivation tank 110 is disposed above the cultivation tank 110. The light source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21. The light sources 121 are composed of LED lamps 121. The LED lamps 121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redistribution tank 110, To illuminate a specific wavelength of light.

광원(121)들은, 경우에 따라 백열등, 형광등, 기타 다른 조명장치고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LED 램프(121)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The light sources 121 may be composed of incandescent lamps, fluorescent lamps, or other lighting devices, as the case may be. Preferably, it is composed of an LED lamp 121.

더욱 바람직하게는, LED 램프(121)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엽록소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파장(440㎚, 655㎚)과,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광합성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파장(430㎚, 670㎚)과,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신장 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는 파장(780㎚)의 빛을 조명할 수 있는 램프, 즉 청색계열과 적색계열의 LED 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생장속도를 증진시키고,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생장기간을 단축시킨다.More preferably, the LED lamp 121 has a wavelength (440 nm, 655 nm) capable of accelerating the chlorophyll action of ginseng or goat wild ginseng and a wavelength (430 nm) capable of promoting the photosynthesis action of ginseng or ginseng , 670 nm), and a lamp capable of illuminating a light having a wavelength (780 nm) capable of promoting the elongation effect of ginseng or anchovy ginseng, that is, a blue-based and a red-based LED lamp. By using such a light source emitting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the growth rate of ginseng or ginseng ginseng is increased and the growth period of ginseng or ginseng ginseng is shortened.

황색광은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내병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병충해를 줄이기 위해 광원부(120)에 황색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추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Since it is known that yellow light has an effect of enhancing the tolerance of ginseng or ginseng, it is also preferable to add a light source that emits yellow light to the light source unit 120 in order to reduce pests.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130)는 온도센서(131)를 포함한다. 온도센서(131)는 재배실(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3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131. The temperature sensor 131 measure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ultivation room 100.

광도 제어부(140)는 온도센서(131)에서 측정된 온도 정보를 기초로 광원부(120)의 광원(121)의 밝기를 제어한다.The brightness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121 of the light source unit 120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31.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131) 및 광도 제어부(140)가 광원(121)의 밝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121 by the temperature sensor 131 and the brightness controller 14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온도센서(131)가 재배실(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온도값은 광도 제어부(140)에 의해 수신되고, 광도 제어부(140)는 측정된 온도가 30℃를 초과하면 광원(121)의 밝기를 6,000lx 내지 8,000lx가 되도록 제어한다. 만약 측정된 온도가 30℃ 이하인 경우에는 12,000lx 내지 18,000lx가 되도록 광원(121)의 밝기를 제어한다.The temperature sensor 131 measure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ultivation room 100. The measured temperature value is received by the luminosity control unit 140 and the luminosity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121 to be 6,000 lx to 8,000 lx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exceeds 30 ° C.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121 is controlled to be 12,000 lx to 18,000 lx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is 30 ° C or less.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광합성 효율은 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이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호흡량이 증가하여 순광합성량이 포화되는 현상과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낮은 광도에서 순광합성량이 포화되므로, 높은 온도에서는 광원(121)의 광도를 광합성량이 포화되는 정도로 낮춤으로써 재배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재배 시스템은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에 사용되는 광원(121)의 에너지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배실(100) 내부의 온도에 따라 광원(121)의 광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The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ginseng or goat ginseng is closely related to the temperature, which is related to the phenomenon that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higher the respiration rate and saturates the net photosynthesis. In general, when the temperature rises, the net photosynthesis amount is saturated at a low light intensity, so that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cultivation system can be increased by lowering the light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121 to a saturation level at a high temperature. The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luminous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121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side the cultivation room 100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the energy use of the light source 121 used for growing ginseng or goat mountain ginseng Control.

한편, 인삼 또는 산양산삼은 생육 단계에 따라 광합성 효율이 최대가 되는 광도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뇌두 안의 잠아는 줄기, 잎, 꽃의 모든 구조를 갖추고서 출아하여 지상으로 나온 지상부의 줄기가 바로 서고 말려있던 잎이 활짝 전개되어 광합성을 시작할 수 있는 시기인 전엽기에는 광강도 6,000~8,000lx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전엽 완료 후에는 온도에 따라 광강도 6,000~18,000lx의 범위에서 광합성이 최대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ginseng or goat ginseng differs in luminosity at which photosynthesis efficiency is maximized depending on the stage of growth. Generally, the ginseng in the primordium has all the structures of stem, leaf and flower. It is known that the light intensity of 6,000 ~ 8,000lx is suitable for the whole leaf stage, when the leaves that have been developed are open to begin photosynthesis. It is also known that the photosynthesis is maximized in the range of light intensity 6,000 ~ 18,000lx depending on temperature after completion of the front part of ginseng or ginseng ginseng.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재배조(110)에 정식된 묘삼(112)의 생육 단계에 따라 광원(12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세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광원(121)의 제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intensity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21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 of the seedling gins 112 formulated in the cultivation tank 110 . The control of the light source 121 in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묘삼(112)이 전엽기인 경우, 광도 제어부(140)는 광원(121)의 광도를 6,000~8,000lx가 되도록 제어한다. 묘삼(112)이 전엽 완료된 경우, 광도 제어부(140)는 광원(121)의 광도를 6,000~18,000lx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온도센서(131)에 의해 측정된 재배실(100) 내부의 온도가 30℃ 이하이면 12,000~18,000lx가 되도록 광원(121)의 광도를 제어하고, 30℃를 넘으면 6,000~8,000lx가 되도록 제어한다.First, when the grape seedling 112 is a full-leaf stage, the light intensity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light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121 to be 6,000 to 8,000 lx. When the seedling ginseng 112 is completed, the luminosity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light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121 to be 6,000 ~ 18,000 lx. At this time,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ultivation room 100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31 is 30 ° C or less, the light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121 is controlled to be 12,000 to 18,000 lx. If the temperature exceeds 30 ° C, 6,000 to 8,000 lx Respectively.

본 발명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이산화탄소 농도센서(132) 및 토양상태 센서(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132 and a soil condition sensor 133.

이산화탄소 농도센서(132)는 재배실(100) 내부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토양상태 센서(133)는 재배조(110) 내의 토양(111)의 산성도(pH) 및 함수율을 측정한다.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132 measures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inside the cultivation room 100 and the soil condition sensor 133 measures the acidity and the water content of the soil 111 in the cultivation tank 110.

본 발명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재배실(100) 내에 배치된 냉난방부(160) 및 냉난방부(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냉난방 제어부(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and cooling unit 160 disposed in the cultivation room 100 and a heating and cooling control unit 161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and cooling unit 160 .

냉난방부(160)는 에어컨디셔너 또는 온풍기 등의 냉난방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등을 포함한다.The cooling / heating unit 160 may include an air conditioner or a heating / cooling unit such as a hot air fan, and includes a cooling / heating system using geothermal heat.

냉난방 제어부(161)는 온도센서(131)와 연결되어 온도센서(131)로부터 재배실(100) 내부의 온도에 관한 측정값을 수신하고, 측정된 온도에 따라 재배실(100) 내부의 온도롤 조절한다.The cooling and heating control unit 161 is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131 and receives a measurement value related to the temperature inside the cultivation room 100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31. Th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room 100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냉난방 제어부(161)는 묘삼(112)의 전엽기에는 재배실(100) 내의 온도를 15℃ 내지 23℃로 유지하고, 묘삼(112)의 전엽 완료 후에는 재배실(100) 내의 온도를 18℃ 내지 25℃로 유지하도록 냉난방부(160)의 동작을 제어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 heating control unit 161 maintains the temperature in the cultivation room 100 at 15 to 23 ° C in the front row of the grape seedling 112, 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ront row of the grape seedling 112,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 heating unit 160 is controlled so as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 the chamber 100 at 18 [deg.] C to 25 [deg.] C.

본 발명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재배조(110) 내의 토양(111)에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양액공급부(180) 및 양액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양액공급 제어부(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includes a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180 for supplying nutrients necessary for growing ginseng or ginseng to ginseng or soil 111 in a cultivation tank 110, And a nutrient supply control unit 182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nutrient solution.

양액공급부(180)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생육에 필요한 물, 양분 및 토양(111)의 산성도를 조절하기 위한 용액 등이 포함된 양액을 저장하고 있으며, 공급관을 통해 양액을 토양(111)에 공급한다. 공급관에는 양액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181)가 제공된다.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180 stores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water, nutrients, and a solution for controlling the acidity of the soil 111 required for the growth of the ginseng or the goat ginseng and supplies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soil 111 through the supply pipe do. The supply pipe is provided with a valve 181 for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of the nutrient solution.

양액공급 제어부(182)는 토양(111) 상태 센서와 연결되어 토양상태 센서(133)에 의해 측정된 토양(111)의 산성도 및 함수율 등의 정보를 수신한다. 양액공급 제어부(182)는 토양(111)의 산성도 및 함수율 등의 정보를 기초로 밸브(181)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양액의 공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토양(111)의 함수율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토양(111) 내의 인삼 또는 산양산삼 뿌리가 부패할 염려가 있으므로 함수율이 적정치로 떨어질 때까지 양액 공급 밸브(181)를 잠가 양액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The nutrient solution supply controller 182 is connected to the soil condition sensor 111 to receive information such as the acidity and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111 measured by the soil condition sensor 133.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control section 182 controls the supply of the nutrient solution by regul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181 based on the information such as the acidity and water content of the soil 111. [ For example, when the water content of the soil 111 is excessively high, the ginseng root or the ginseng root of the ginseng in the soil 111 may be corrupted,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valve 181 is locked until the water content falls to the appropriate value . ≪ / RTI >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은 이산화탄소 농도센서(132)와 연결된 환기 제어부(171) 및 환기 제어부(171)와 연결된 환기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기부(170)는 재배실(100) 내부의 대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미도시) 및 재배실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교환하는 환풍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환기 제어부(171)는 이산화탄소 농도센서(132)에 의해 측정된 이산화탄소 측정값에 따라 순환팬 및 환풍팬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환기 제어부(171)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광합성에 적당한 이산화탄소 농도 500~1,000ppm을 유지하도록 환기부(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entilation control unit 171 connected to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132 and a ventilation unit 170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control unit 171. The ventilation part 170 may include a circulation fan (not shown) for circulating the atmosphere inside the cultivation room 100 and a ventilation fan (not shown) for exchanging the air inside the cultivation room with the outside air. The ventilation control unit 17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and the ventilation fan according to the carbon dioxide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132. [ For example, the ventilation control unit 171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unit 170 to maintain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500-1,000 ppm suitable for photosynthesis of ginseng or ginseng.

비디오 카메라(150)는 재배조(110) 및 재배조(110)에 정식된 묘삼(112)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The video camera 150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grape seedling 112 can be photographed in the cultivation tank 110 and the cultivation tank 110.

서버(200)는 비디오 카메라(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비디오 카메라(150)의 동작, 예컨대 비디오 카메라(150)의 턴-온, 턴-오프, 줌-인, 줌-아웃 등의 동작을 제어하며, 비디오 카메라(150)가 촬영한 비디오를 수신한다. 서버(200)는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130)와 연결되어 있으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130)에서 수집된 재배환경 정보를 수신한다.The server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deo camera 150 to control operations of the video camera 150 such as turn-on, turn-off, zoom-in, zoom-out, etc. of the video camera 150 And receives the video shot by the video camera 150. The server 200 is connected to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and receives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400)는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임의의 통신 네트워크(400)로, 특히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 가능한 광대역 네트워크, 즉 인터넷 또는 무선 데이터 패킷 통신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다.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0 includes any communication network 400 that supports data communication, particularly a broadband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moving pictures in real time, such as the Internet or a wireless data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클라이언트(300)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에서 재배 중인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현황을 요청하는 고객이 사용하는 통신 장치로서,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또는 무선 데이터 패킷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스마트폰, 태블릿, PDA 등의 모바일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ient 300 is a communication device used by a customer who requests the status of ginseng or ginseng ginseng cultivated in 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0, A computer connected to the Internet, or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ablet, PDA or the like connected to a wireless data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의 서버(200)와 클라이언트(300)의 통신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200 and the client 300 of 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클라이언트(300)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버(200)에 서비스를 요청한다(S100). 서비스 요청을 받은 서버(200)는 비디어 카메라(150)가 재배조(110) 및 재배조(110)에 정식된 묘삼(112)을 촬영하라는 지시를 비디오 카메라(150)에 전달한다(S200). 촬영 개시 지시를 받은 비디오 카메라(150)는 재배조(110) 내의 인삼 또는 산양산삼(112)을 촬영하고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를 서버(200)에 전송한다.(S300). 동시에, 서버(200)는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130)로부터 재배환경 정보를 전송 받는다. 서버(200)는 비디오 카메라(150)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데이터 및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130)로부터 전송된 재배환경 정보를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클라이언트(300)에 전송한다(S400). First, the client 300 requests the server 200 for a service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0 (S100). The server 200 receiving the service request transmits the video camera 150 an instruction to the video camera 150 to shoot the grazing ginseng 112 formalized in the rearrangement 110 and the rearrangement 110 in operation S200, . The video camera 150 receiving the shooting start instruction takes the ginseng or the ginseng wild ginseng 112 in the cultivation tank 110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video data to the server 200 in step S300. At the same time, the server 200 receives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video data transmitted from the video camera 150 and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to the client 30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0 in operation S400.

클라이언트(300)의 사용자는 전송된 비디오 및 재배환경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재배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The user of the client 300 can ascertain the cultivation status of the ginseng or the goat ginseng by confirming the transmitted video and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도 4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클라이언트(300)는 필요한 경우, 예컨대 비디오 카메라(150)의 줌-인, 줌-아웃 등의 추가적 동작이 필요한 경우 이를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서버(200)는 추가적 요청에 응답하여, 예컨대 카메라(150)의 줌-인, 줌-아웃을 제어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client 300 may request the server 200 for additional operations, such as zoom-in, zoom-out, etc., of the video camera 150 if necessary. Server 200 may control zoom-in, zoom-out, e.g., of camera 150 in response to a further request.

도 5는 도 1의 서버에 의해 전송된 재배환경 정보가 표시된 도 1의 클라이언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of the client of FIG. 1 showing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erver of FIG.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및 재배환경 정보는 클라이언트(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클라이언트(300)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및 재배환경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자신이 주문하거나 재배를 위탁한 인삼 또는 산양산삼의 생육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5, the video and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2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client 300, and the user of the client 300 can view the displayed video and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You can check the growth status of ginseng or goat wild ginseng that has been ordered or planted.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an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재배실 110 : 재배조
120 : 광원부 130 :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
140 : 광원 제어부 150 : 비디오 카메라
160 : 냉난방부 170 : 환기부
180 : 양액공급부 200 : 서버
300 : 클라이언트 400 : 데이터통신 네트워크
100: Cultivation room 110: Cultivation room
120: light source unit 130: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40: Light source control unit 150: Video camera
160: cooling / heating unit 170: ventilation unit
180: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200:
300: client 400: data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23)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외부의 자연광이 차단된 재배실;
상기 재배실 내에 배치되고 묘삼이 정식되는 토양이 수용된 재배조;
상기 재배조 위에 배치되어 상기 묘삼의 잎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제어하는 광도 제어부;
상기 재배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재배조에 정식된 묘삼을 촬영하는 비디오 카메라;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서버; 및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은 청색 LED 및 적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광도 제어부는 상기 묘삼의 전엽기에는 상기 광원의 밝기를 6,000lx 내지 8,000lx가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묘삼의 전엽 완료 후에는 6,000lx 내지 18,000lx가 되도록 상기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비디오 카메라로에 의해 촬영된 묘삼의 비디오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A cultivation room where natural light from the outside is blocked;
A cultivation tank arranged in the cultivation room and containing soil in which seedling ginseng is formed;
A light source disposed on the cultivation tank for irradiating light on leaves of the seedling ginseng;
A brightness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 video camera disposed in the cultivation room and photographing the grape seedlings formulated in the cultivation tank;
Data communication network
A server connected to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nected to the video camera by wire or wirelessly; And
At least one client connected to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light sour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blue LED and a red LED, and the brightness controller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to 6,000 lx to 8,000 lx at the front row of the seedling god,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is controlled to be 18,000 lx,
Wherein the serv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ideo camera at the request of the client and transmits the video of the seedling taken by the video camera to the clien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재배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재배 환경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묘삼의 전엽 완료 후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30℃를 초과하면 상기 광원의 밝기를 6,000lx 내지 8,000lx가 되도록 제어하며, 30℃ 이하에서는 12,000lx 내지 18,000lx가 되도록 상기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cultivation room and measuring a temperature inside the cultivation chamber.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fter completion of the front lobe of the seedling ginseng exceeds 30 DEG C, Is controlled to be 6,000 lx to 8,000 lx and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is controlled to be 12,000 lx to 18,000 lx at 30 ° C or below.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실 내에 배치된 냉난방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묘삼의 전엽기에는 상기 재배실 내의 온도를 15℃ 내지 23℃로 유지하고, 상기 묘삼의 전엽 완료 후에는 상기 재배실 내의 온도를 18℃ 내지 25℃로 유지하도록 상기 냉난방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냉난방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A cooling / heating unit disposed in the cultivation room;
The temperature in the cultivation room is maintained at 15 to 23 DEG C in the front row of the seedling go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temperature in the cultivation chamber is maintained at 18 to 25 DEG C Cooling / heat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 heating unit to maintain the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는 상기 재배실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농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cultivation room.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상기 재배실 내부로 송풍하는 환풍유닛; 및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상기 환풍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환풍유닛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A ventilation unit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cultivation room to the outside and blowing outside air into the cultivation room; And
And a ventilation uni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unit according to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조 내의 토양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a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soil in the cultivation tank.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는 상기 재배조 내의 토양의 상태를 측정하는 토양상태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oil condi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soil condition in the cultivation tank.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상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토양의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양액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양액공급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a nutrient suppl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soil condi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oil condition senso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상태 센서는 상기 토양의 산성도 및 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oil condition sensor measures at least one of the acidity and water content of the soi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재배환경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재배환경 정보 기록을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rver records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connected to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transmits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record to the client at the request of the client Features ginseng or goat ginseng cultivation system.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환경 정보는 재배실 내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상기 토양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cultivation room,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soi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하나 이상의 황색 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ight source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yellow LEDs.


KR1020120114294A 2012-10-15 2012-10-15 A system for cultivating ginsengs and wild ginsengs KR1014573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294A KR101457379B1 (en) 2012-10-15 2012-10-15 A system for cultivating ginsengs and wild ginse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294A KR101457379B1 (en) 2012-10-15 2012-10-15 A system for cultivating ginsengs and wild ginsen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928A KR20140047928A (en) 2014-04-23
KR101457379B1 true KR101457379B1 (en) 2014-11-03

Family

ID=50654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294A KR101457379B1 (en) 2012-10-15 2012-10-15 A system for cultivating ginsengs and wild ginse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3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49327C1 (en) * 2014-06-09 2018-04-02 Цумура Энд Ко. Method of cultivation of ginseng
KR20180062018A (en) 2016-11-30 2018-06-08 윤용길 Method for cultivating ginseng seedling using media
GR20170100134A (en) * 2017-03-30 2018-10-31 Τεχνολογικο Εκπαιδευτικο Ιδρυμα Ανατολικης Μακεδονιας Και Θρακης Domestic heated seedbed
KR102231425B1 (en) * 2018-12-31 2021-03-24 주식회사 이콘비즈 Ginseng seedling cultivate system
KR102545541B1 (en) * 2020-09-18 2023-06-20 주식회사 애그유니 Modular soil control device for plant cultivation
KR102547908B1 (en) * 2020-12-30 2023-06-27 주식회사지능디자인 Root plant hydroponic cultivation po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254B1 (en) * 2008-06-27 2010-05-25 대한민국 Method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Fresh Ginseng root and leaves
KR20120028191A (en) * 2009-12-31 2012-03-22 농업회사법인 아이팜 주식회사 Ubiquitous ginseng factory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KR20120064763A (en) * 2010-12-10 2012-06-2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Ubiquitous ginseng cultiv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254B1 (en) * 2008-06-27 2010-05-25 대한민국 Method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Fresh Ginseng root and leaves
KR20120028191A (en) * 2009-12-31 2012-03-22 농업회사법인 아이팜 주식회사 Ubiquitous ginseng factory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KR20120064763A (en) * 2010-12-10 2012-06-2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Ubiquitous ginseng cultiv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928A (en)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379B1 (en) A system for cultivating ginsengs and wild ginsengs
US20160000020A1 (en) Cultivation system, cultivation program, and cultivation method
JP4876439B2 (en) How to provide plant growth information
TW201622556A (en) Cultivating box for plants and cultivating method used by the cultivating box
Gómez et al. Physiological and productivity responses of high-wire tomato as affected by supplemental light source and distribution within the canopy
CN104813857B (en) It is a kind of based on the watermelon seedling cultivation technology without LED plant lamps under the conditions of natural light
Merrill et al. Next evolution of agriculture: A review of innovations in plant factories
KR20130041702A (en) The inside green house strawberry grawing method and system by variable artificial light source
CN103026878A (en) Cultivating method of alfalfa sprouts
KR20150007668A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on of plant-curture factory
CN105830685B (en) A method of cucumber seedling-raising is carried out with LED plant lamp
CN103039332A (en) Chinese toon sprout vegetable cultivation method
Kubota et al. Greenhouse tomato production
CN114980730A (en) Closed-loop, pressurized and sterile, controlled microenvironment cultivation
CN107065797A (en) A kind of plant cultivation system and its cultural method
Singh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n GREENBOX technology: feasibility and performance
CN103650927A (en) Method for promoting grafted seedlings to quickly heal
CN105766506A (en) Rice breeding technology based on LED plant lamp in absence of natural light
CN103210821A (en) Jumble bead sprout stock vegetable culturing method
JP2017077203A (en)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plant cultivation device
Kozai Closed systems for high quality transplants using minimum resources
CN108093932A (en) A kind of intelligent leaf class crops soilless culture production frame
US20230143014A1 (en) Optimizing growing process in a hybrid growing environment using computer vis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Durmanov et al. Application of electrical technologie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cucumber in protected ground structures
CN109601374B (en) Method for carrying out rice cross breeding by using plant whole growth period breeding fac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