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330B1 -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330B1
KR101455330B1 KR1020130091607A KR20130091607A KR101455330B1 KR 101455330 B1 KR101455330 B1 KR 101455330B1 KR 1020130091607 A KR1020130091607 A KR 1020130091607A KR 20130091607 A KR20130091607 A KR 20130091607A KR 101455330 B1 KR101455330 B1 KR 101455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 spring
link system
side length
join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이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현 filed Critical 이상현
Priority to KR102013009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0Artificial legs or feet or parts thereof
    • A61F2/64Knee joints
    • A61F2/642Polycentric joints, without longitudinal rotation
    • A61F2/644Polycentric joints, without longitudinal rotation of the single-bar or multi-bar linka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06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002/5007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having elastic means different from springs, e.g. including an elastomeric inse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002/5072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having spr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34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two orthogonal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션스프링의 원리를 이용하는바, 토션스프링의 반작용이 작용하는 위치 차이에 따라 바뀌는 점을 이용하여 토션스프링 코일부를 관절부 위에 위치하고 힌지 움직임을 갖는 토션스프링 홀더를 관절부 상하단에 고정하여 인체의 관절부 활동시 활동에너지를 보조하는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는 복잡한 구조를 구성하지 아니하고, 가장 효율적인 인체 관절 활동을 지원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Jointactivityaidsfor the human body}
본 발명은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복잡한 구조의 인체 관절 보조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순하면서 인체 관절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골격을 이루는 뼈와 뼈사이를 관절로서 부드럽게 이어주고, 관절을 중심으로 굽힘(flexion)과 폄(extension) 활동이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인체활동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히 인체의 팔, 다리, 힙의 움직임은 대표적인 관절의 굽힘과 폄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이곳의 관절활동이 원활하지 못한 다양한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종래 개발된 기술을 보면 다리의 관절에 대한 보조기구는 공개되어 있으나, 인체의 모든 관절에 유용하게 응용할 수 있는 도구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
대표적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17672호에는 탄성계수 변동방식의 무릎 관절 보조기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에너지 최적화 방법이 기재되어 탄성수단이 가지는 탄성계수의 변화 성향을 이용하여 사용자 보행시 작용하중이나 노화 또는 병변에 따른 관절력 변화에 따라 탄성계수를 변화시켜 보행시 소모 에너지를 최적화하는 무릎 관절 보조기를 제시하고 있으나, 탄성계수 조절부와 링크부가 별도로 떨어져 있고 보조기 자체의 세부 연결부가 많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또한, 실제로 탄성계수를 변화시키는 현실적인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54434호에는 무릎 관절 보조기구용 각도 조절 장치가 기재되어 굽힘 각도 작동핀에 결합되어진 고정핀이 굽힘각도 조절원판에 형성되어진 고정홈 및 펼침각도 조절원판에 형성되어진 고정홈에 동시에 결합되면서 둘 다 움직임을 단속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인체 관절 활동에 에너지를 보조하는 기능은 가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간편하면서도 인체 관절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션스프링의 원리를 이용한다. 토션스프링의 좌 우측 길이부에 스프링의 반작용이 작용하는 위치가 변동함에 따라 반작용력의 크기가 달라지는 점을 이용하여 토션스프링 코일부를 관절부위에 위치하고 힌지 움직임을 갖는 토션스프링 홀더를 관절부 상하단에 고정하여 인체의 관절부활동시 활동에너지를 보조하는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는 복잡한 구조를 구성하지 아니하고, 가장 효율적인 인체 관절 활동을 지원하는 이점이 있다,
도 1. 토션스프링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도2. 본 발명의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의 단면도
도3. 본 발명의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의 입체도
도4. 본 발명의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의 힌지축 세부도
도5, 본 발명의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를 다리관절용으로 착용한 도면
도6. 본 발명의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를 힙관절용으로 착용한 도면
도7. 본 발명의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를 힙 및 다리관절용으로 착용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는 토션스프링의 기능을 이용한 발명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토션스프링(1)은 탄성을 가지는 토션스프링 코일부(10)와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부(20) 및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부(30)로 구성된다.
이 발명의 기본 원리는 관절의 굽힘(flexion)시 토션스프링에 탄성에너지를 저장했다가 토션스프링(spring)의 복원력을 관절의 폄(extension)에 이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관절의 굽힘(flexion)시 스프링의 저항을 이기기 위해 평상시 보다 더 큰 힘을 가해 줘야 하는데, 이 저항이 너무 크면 굽힘(flexion) 자체가 방해를 받을 수 있다. 그래서 굽힘(flexion)시 스프링을 감기 위해 스프링을 눌러 줘야 하는 지점을 회전축에서 먼 곳에 위치하게 함으로서 적은 힘으로도 굽힘(flexion)이 일어나게 하고 이 때 스프링에 탄성에너지가 저장된다. 그리고 관절의 폄(extension)시 스프링(spring)의 의해 저장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스프링이 풀리고, 그때의 스프링의 풀리는 힘에 의해 관절의 폄(extension)을 도와주는 원리이다.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동작을 보면 굽힘(flexion)은 중력의 도움을 받는 움직임이고, 폄(extension)은 중력을 이겨야 되는 동작이기 때문에, 굽힘(flexion)시 스프링을 감기위한 추가적인 에너지를 소비하고, 이를 힘이 훨씬 더 드는 폄(extension)에 사용하는 것이다.
관절을 굽힐 때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부(30)에서 코일부(10)로부터 멀어지는 지점(30-a)에서는 굽힘(flexion)을 위해 스프링을 눌러줘야 하는 힘이 덜 든다는 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부(30)와 토션 스프링 좌측 길이 홀더부(300)가 힘을 주고 받는 지점을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스프링에 가해 줘야 하는 힘이 적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인체 관절의 활동을 지원하도록 본 발명의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를 도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1)는 토션스프링 코어 회전축(100),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홀더부(200),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 홀더부(300)로 구성되며, 토션스프링 코어 힌지축(100)은 좌측 몸통(102) 둘레에 토션스프링(1)의 코일부(10)를 끼움식으로 고정할 수 있고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축으로 구성된다.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홀더부(200)내에는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부(20)가 내장 고정된다.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홀더부(200) 말단에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홀더부의 홈(203)을 형성하고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부(20)의 끝단을 끼움식으로 고정한다.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 홀더부(300)내에는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부(30)가 내장 고정되며,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 홀더부(300)내에는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유동부 작동홈(406)이 형성되고,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유동부 작동홈(406)내에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부(30)가 내장 되어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유동부(404)를 끼움 장착하고,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유동부 작동홈(406) 내부에서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유동부(404)를 안내하는 경로를 제공하여 왕복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한다.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401)은 토션스프링 링크 시스템 우측 회전 유동 고정부(402),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연결로드(403),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유동부(404) 및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유동부(404)와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연결로드(403)를 결합하는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좌측 회전유동 고정부(405)로 구성된다.
토션스프링 링크 시스템 우측 회전유동 고정부(402)은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홀더부(200)의 내측에 설치되며,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연결로드(403)를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홀더부(200) 중앙 지점에 고정함으로써, 지렛대의 중심 역할을 하게되며, 이를 중심으로 좌측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유동부(404)를 움직여 토션스프링의 굽힘(flexion)시 스프링을 감기 위해 스프링을 눌러 줘야 하는 지점을 회전축에서 먼 곳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굽힘(flexion)이 일어 나게 하고 이때 저장된 탄성에너지가 작용하여 관절의 폄(extension)시 보다 손쉽게 스프링이 풀리고, 그때의 스프링의 풀리는 힘에 의해 폄(extension)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는 좌 우측 토션스프링 길이 홀더부(200,300)가 180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힌지축(100)에 의해 연결되는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 회전 연결부(301)와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회전 연결부(201)가 맞닿아 180도 이상 회전이 되지 않도록 막는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홀더부 막음부(202)와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 홀더부 막음부(302)를 형성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인체 관절 활동 보조구의 입체도를 보여준다. 도 3 도시된 것처럼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 회전 연결부(301)의 사이에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회전 연결부(201)가 끼움식으로 작동하며, 각 회전 연결부의 상단에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홀더부 막음부(202)와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 홀더부 막음부(302)가 맞닿아 180도 이상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 힌지축(100)의 세부도이다. 힌지축은 힌지축 좌측 뚜껑(101), 힌지축 좌측 몸통(102), 힌지축 우측 뚜껑(103), 힌지축 우측 몸통(104)으로 구성되며, 힌지축 좌측 몸통(102)에 힌지축 우측 몸통(104)이 끼움식으로 고정되며, 힌지축 좌측 몸통(102) 주변으로 토션스프링 코일부(2),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회전연결부(201) 및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 회전연결부(301)가 끼워져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기재한 본 발명의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의 작동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토션스프링 우측길이 홀더부(200)에는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401)의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우측 회전 유동 고정부(402)가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홀더부(200)에 유동 결합되며, 이와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연결로드(403)는 좌우측 길이 홀더부(200, 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유동부(404)는 좌우측 길이 홀더부(200, 300)가 힌지축(100)을 중심으로 좁혀져서 좌우측 길이 홀더부(200, 300)가 접근하는 때에 연결로드(403)에 연결된 유동부(404)는 좌측 길이부(30)에 유동 슬라이딩 되도록 연결되어 코일부(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반대로 좌우측 길이 홀더부(200, 300)가 힌지축(100)을 중심으로 펼쳐저 좌우측 길이 홀더부(200, 300)가 멀어지는 경우 즉 최대로 180도에 가까운 각도로 완전히 펼쳐지는 경우, 유동부(404)는 코일부(10)에 가까이 접근하도록 당겨져서 위치한다. 따라서 관절이 굽혀지는 경우 유동부(404)의 이동에 의해 토션스프링의 반작용력의 작용점이 코일부(10)에서 멀게 되어 인체의 굽힘 활동에 에너지가 덜 들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를 다리 관절용으로 착용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축(110)을 다리 관절부위 내외부에 위치시키고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 하단 체결구(501) 및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 상단 체결구(502)를 사용하여 종아리 및 허벅지에 체결함으로서 인체 관절 활동에 도움을 주는 보조기구를 착용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를 힙관절용으로 착용한 도면으로서 힌지축을 힙 관절부위에 위치시키고 상 하단 체결구(501,(502)를 사용하여 허벅지 및 허리부분에 체결함으로서 인체 관절 활동에 도움을 주는 보조기구를 착용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를 힙 및 다리관절용으로 착용한 도면으로서 사용방법의 상기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사항과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의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항이 적용되는 범위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속한다.
(1)토션스프링, (10) 토션스프링코일부, (20)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부, (20-a)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부 코일부로부터 먼 지점, (20-b)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부코일부로부터 가까운 지점, (30)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부, (30-a)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부 코일부로부터 먼 지점, (30-b)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부 코일부로부터 가까운 지점, (100) 토션스프링 힌지축, (101) 토션스프링 힌지축 좌측 뚜껑, (102) 토션스프링 힌지축 좌측 몸통, (103) 토션스프링 힌지축 우측 뚜껑, (104) 토션스프링 힌지축 우측 몸통, (200)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홀더부, (201)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회전연결부, (202)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홀더부의 막음부, (203)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홀더부의 홈, (300)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 홀더부, (301)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 회전연결부, (302)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 홀더부의 막음부, (401)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402)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우측 회전 유동 고정부, (403)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연결로드, (404) 토션스프링 링크 시스템 유동부, (405) 토션스프링 링크 시스템 좌측 회전유동 고정부, (406) 토션스프링 링크 시스템 유동부 작동홈, (501)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 하단 체결구, (502)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 상단 체결구

Claims (1)

  1. 인체관절의 굽힘(flexion)시 토션스프링의 탄성에너지를 저장했다가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을 관절의 폄(extension)에 이용하는 것으로서, 토션스프링 코일부(10),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회전연결부(20) 및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 회전연결부(30)를 힌지축(100)의 좌측몸통(102) 둘레에 끼움식으로 연결하여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하고,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 회전연결부(301) 사이에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회전연결부(201)를 끼움식으로 설치하되 각 연결부를 펼쳤을 때 180도 이상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 회전연결부(201, 301)의 상단에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홀더부 막음부(202)와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 홀더부 막음부(302)를 형성하여 토션스프링 좌 우측 길이 홀더부(200, 300)가 수평상태로 펼쳐졌을때 맞닿도록 하며,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홀더부(200) 내에는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부(20)가 내장되며,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홀더부(200) 내부 말단에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홀더부의 홈(203)을 형성하여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부(20)의 말단을 고정하며,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 홀더부(300) 내에는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부(30)를 내장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 홀더부(300) 내에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유동부 작동홈(406)을 형성하고,동 작동홈(406) 내에서 토션스프링 링크 시스템 유동부(404)를 토션스프링 좌측 길이부(30)에 끼움장착하여 왕복 움직임이 가능하도록하며, 토션스프링 좌 우측 길이 홀더부(200, 300) 사이에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401)을 설치하되,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401)은 토션스프링 우측 길이 홀더부(200) 내측 중앙지점에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연결로드(403)가 회전 유동 고정되는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우측 회전 유동고정부(402) 및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유동부(404)와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연결로드(403)를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좌측 회전 유동 고정부(405)로 고정하여, 관절 굽힘시 토션스프링 좌 우측 길이 홀더부(200, 300)가 접근하면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연결로드(403)가 토션스프링 유동부(404)를 밀어 토션스프링 코어부(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하여 인체 관절 굽힘(flexion)을 쉽게 하고, 반대로 좌 우측 길이 홀더부(200, 300)가 펼쳐지면 토션스프링 링크시스템 유동부(404)는 토션스프링 코어부(10)에 가까이 접근하여 인체관절 폄(extension) 활동을 보조하는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
KR1020130091607A 2013-08-01 2013-08-01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 KR101455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607A KR101455330B1 (ko) 2013-08-01 2013-08-01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607A KR101455330B1 (ko) 2013-08-01 2013-08-01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330B1 true KR101455330B1 (ko) 2014-10-27

Family

ID=5199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607A KR101455330B1 (ko) 2013-08-01 2013-08-01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3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201B1 (ko) * 2015-11-26 2017-09-06 (주)헬스메드 기능성 무릎 보호대
KR20190067972A (ko) * 2017-12-08 2019-06-18 박종완 팔 근력 보조장치
KR20190084450A (ko) * 2018-01-08 2019-07-17 박종완 팔 근력 보조기구
US20210290420A1 (en) * 2020-03-23 2021-09-23 Delsson Singapore Pte Ltd Device for Providing Active Assistance to a Body Joint
CN115634087A (zh) * 2022-12-07 2023-01-24 山东百多安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化关节支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266A (ko) * 2007-08-30 2009-03-04 한창수 복합 관절 운동용 재활기구
JP2009160108A (ja) 2007-12-28 2009-07-23 Panasonic Corp 筋力補助装置
KR20120062375A (ko) * 2010-12-06 2012-06-14 한국과학기술원 탄성 계수 변동 방식의 무릎 관절 보조기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에너지 최적화 방법
KR101267394B1 (ko) 2011-03-11 2013-05-30 (주)헥사시스템즈 휴대용 무릎 관절 재활 운동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266A (ko) * 2007-08-30 2009-03-04 한창수 복합 관절 운동용 재활기구
JP2009160108A (ja) 2007-12-28 2009-07-23 Panasonic Corp 筋力補助装置
KR20120062375A (ko) * 2010-12-06 2012-06-14 한국과학기술원 탄성 계수 변동 방식의 무릎 관절 보조기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에너지 최적화 방법
KR101267394B1 (ko) 2011-03-11 2013-05-30 (주)헥사시스템즈 휴대용 무릎 관절 재활 운동 기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201B1 (ko) * 2015-11-26 2017-09-06 (주)헬스메드 기능성 무릎 보호대
KR20190067972A (ko) * 2017-12-08 2019-06-18 박종완 팔 근력 보조장치
KR102042394B1 (ko) * 2017-12-08 2019-11-07 박종완 팔 근력 보조장치
KR20190084450A (ko) * 2018-01-08 2019-07-17 박종완 팔 근력 보조기구
KR102042393B1 (ko) * 2018-01-08 2019-11-27 박종완 팔 근력 보조기구
US20210290420A1 (en) * 2020-03-23 2021-09-23 Delsson Singapore Pte Ltd Device for Providing Active Assistance to a Body Joint
US11819435B2 (en) * 2020-03-23 2023-11-21 Delsson Singapore Pte Ltd Device for providing active assistance to a body joint
CN115634087A (zh) * 2022-12-07 2023-01-24 山东百多安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化关节支具
CN115634087B (zh) * 2022-12-07 2023-04-07 山东百多安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化关节支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330B1 (ko) 인체 관절 활동 보조기구
KR101073525B1 (ko) 하지근력지원용 착용형 로봇
KR101363834B1 (ko) 족관절 보조장치
CN104546387B (zh) 仿生储能式的截瘫助行外骨骼
JP2009165816A (ja) 膝関節整形用補助器具
KR101184547B1 (ko) 길이 가변형 메커니즘의 슬관절 보조장치
KR101641883B1 (ko) 관절보조기구
KR102072717B1 (ko) 보행보조장치
CN211188112U (zh) 一种可穿戴康复型下肢外骨骼机器人
US20090143869A1 (en) Anti-shock artificial knee joint structure
CN113478466B (zh) 一种兼具负载传导及步行节能的无源下肢外骨骼
KR101283143B1 (ko) 슬관절 보조장치
US10675167B2 (en) Knee orthosis with helicoidal axis and method of design and fabrication thereof
KR101693750B1 (ko) 발목 강성 보조를 위한 신발 결합형 착용기
KR101243140B1 (ko) 착용로봇
CN104523405A (zh) 储能式前置刚性支架截瘫助行外骨骼
JP2015016075A (ja) 移動支援装置
US11357333B2 (en) Wearable chair with truss structure
KR101696771B1 (ko) 발목 추진 보조를 위한 착용형 장비
KR20010055393A (ko) 인공발용 다축 관절장치
KR101932755B1 (ko) 일체식 하지 강성 보조를 위한 가변 강성 방식의 보행 보조 장치
KR101117099B1 (ko) 회전체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무릎 보조기
US11752618B2 (en) Compact device designed to be positioned close to a joint and general system comprising such a compact device
JP2019524263A (ja) ユーザに対して力補助を行う外骨格構造
TWM447230U (zh) 步行輔助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