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784B1 -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pouch for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pouch for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784B1
KR101453784B1 KR1020110139247A KR20110139247A KR101453784B1 KR 101453784 B1 KR101453784 B1 KR 101453784B1 KR 1020110139247 A KR1020110139247 A KR 1020110139247A KR 20110139247 A KR20110139247 A KR 20110139247A KR 101453784 B1 KR101453784 B1 KR 101453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sealing
removing unit
foreign matter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2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71813A (en
Inventor
김성용
이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10139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784B1/en
Publication of KR20130071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8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7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91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Cleaning battery or cell ca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실링 시 실링 부위에 존재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실링이 보다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파우치 실링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는, 상부 파우치와 하부 파우치로 이루어져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를 실링하는 장치로서, 상기 상부 파우치와 상기 하부 파우치의 실링부 사이에 삽입 후 인출되어, 상기 실링부 사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유닛; 및 상기 상부 파우치와 상기 하부 파우치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실링 유닛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ouch sea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wing a seal to be more completely formed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at may exist at a sealing portion when a pouch for a secondary battery is sealed. A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sealing a pouch for a secondary battery, which comprises an upper pouch and a lower pouch and accommodates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lyte,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pouch and a sealing part of the lower pouch,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for adsorb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existing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And a sealing unit sealing the sealing portion of the upper pouch and the lower pouch.

Description

이차전지용 파우치의 실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pouch for secondary battery}[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pouch for secondary battery [

본 발명은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실링 시 실링 부위에 존재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실링이 보다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파우치 실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uch sea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a pouch for a secondary battery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demand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notebook computers, video cameras, and portable telephones has been rapidly increased, and electric vehicles, storage batteries for energy storage, robots, and satellites have been developed in earnest. Are being studied actively.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이차 전지는 외장이나 적용 형태에 따라 캔형 이차 전지와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구분될 수 있다.The secondary rechargeable batteries are nickel-cadmium batteries, nickel-hydrogen batteries, nickel-zinc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mong them,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almost no memory effect compared to nickel- It is very popular because of its low self-discharge rate and high energy density. Generally, such a secondary battery can be classified into a can-type secondary battery and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depending on the external appearance and application form.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결합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양극 집전체, 세퍼레이터, 음극 집전체를 기본 구조로 가지고 상기 양극 집전체로부터 연장된 양극탭, 상기 음극 집전체로부터 연장된 음극탭이 구비된 전극 조립체(20)와 상기 전극 조립체(20)를 수용하는 파우치 외장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FIG. 2 is a combined view of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of FIG. 1,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separator, and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positive electrode tab extending from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negative electrode tab extending from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20) and the pouch exterior member for housing the electrode assembly (2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파우치(11)와 하부 파우치(12)를 포함하는 파우치(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상기 전극 조립체(20)가 수용된 후, 상부 파우치(11)와 하부 파우치(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실링부가 서로 접착되게 된다. 이때, 전극 조립체(20)와 파우치(10)가 결합되는 경우, 외부 단자 또는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 등을 위하여 상기 양극탭에서 연장된 양극 리드(21)와 상기 음극탭에서 연장된 음극 리드(22)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결합된다. 이와 관련하여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전극 리드의 파우치(10)에 대한 부착 내지 접착을 위하여 접착 필름이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1 and 2, after the electrode assembly 20 is received in a space defined by the pouch 10 including the upper pouch 11 and the lower pouch 12, the upper pouch 11 and the lower pouch 12, The sealing portion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12 are bonded to each other. When the electrode assembly 20 and the pouch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positive electrode lead 21 extende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22 extended from the negative electrode tab, ) Are joined in a form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regard, an adhesive film may be additionally used for attaching or adhering the electrode lead to the pouch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한편, 이차 전지 제조 공정에는 디개싱(degasing)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디개싱 공정은 활성화 공정을 비롯한 이차 전지 제조 공정 중 발생한 가스를 이차 전지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정이다. 이러한 디개싱 공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10) 외주면을 따라 실링부가 4개인 경우, 즉 실링될 파우치(10) 변이 4개인 경우, 3개의 실링부에 대한 실링 공정이 수행된 이후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남겨진 1개의 실링부는 가스 배출을 위해 남겨졌다가, 디개싱 공정이 수행된 이후 실링될 수 있다.Meanwhile, a degassing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The degassing process is a process for discharging gas genera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condary cell including the activation process to the outside of the secondary cell. Such a degassing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e case where there are four sealing portion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uch 10 as shown in FIGS. 1 and 2, that is, when there are four sides of the pouch 10 to be sealed, And may be performed after it has been performed. Then, the remaining one sealing portion is left for gas discharge, and can be sealed after the degassing process is performed.

이처럼, 이차 전지 제조 공정에는 한 번 이상의 실링 공정이 포함될 수 있는데, 파우치(10)를 실링하는데 있어, 파우치(10)의 실링부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파우치(10)의 실링부는 완전하게 실링되기 어렵다. 이러한 이물질의 대표적인 예가 전해액이다. 전해액은 파우치(10) 내부에 반드시 수용되는 물질이고, 액체로서 유동성이 있기 때문에 파우치(10)의 실링부에 묻는 경우가 많다. 특히, 디개싱 공정 중 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실링부에 전해액이 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may include one or more sealing processes. When the pouch 10 is sealed, if the foreign substance exists in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is completely sealed it's difficult.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 foreign substance is an electrolytic solution. The electrolytic solution is a substance that is necessarily contained in the pouch 10, and is often attached to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because of its fluidity as a liquid. Particularly, during the degassing process, the electrolyte may be deposited on the sealing part.

이와 같이, 전해액을 비롯한 이물질이 파우치(10)의 실링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파우치(10)를 실링하는 경우, 파우치(10)의 실링 품질을 제대로 확보하기 어렵다. 파우치(10)의 실링 품질은 파우치(10)의 절연성을 확보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실링부의 이물질로 인한 파우치(10)의 실링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이차 전지의 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음은 물론, 이차 전지의 발화나 폭발, 감전 사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pouch 10 is sealed in the state that the foreign substance such as the electrolyte exists in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sealing quality of the pouch 10 properly. Since the sealing quality of the pouch 10 is an important factor in securing the insulation of the pouch 10,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degraded if the sealing quality of the pouch 10 is deteriorated due to foreign substances in the sealing part Of course, this can lead to ignition, explosion, electric shock, and the like of the secondary batter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파우치의 실링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파우치의 실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우치 실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제조 장치, 그리고 파우치 실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uch sealing apparatus, a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pouch sealing apparatus, which can improve the sealing quality of a pouch by removing foreign matters existing in a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And to provide a pouch sealing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는, 상부 파우치와 하부 파우치로 이루어져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를 실링하는 장치로서, 상기 상부 파우치와 상기 하부 파우치의 실링부 사이에 삽입 후 인출되어, 상기 실링부 사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유닛; 및 상기 상부 파우치와 상기 하부 파우치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실링 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ealing a pouch for a secondary battery, the upper pouch and the lower pouch includ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lyte,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which is drawn out after being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and absorbs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existing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And a sealing unit sealing the sealing portion of the upper pouch and the lower pouch.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은 이물질로서 전해액을 흡착하여 제거한다.Preferably,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adsorbs and removes the electrolyte as a foreign substanc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된 파우치를 내부에 수용하여 감압 상태를 형성하는 감압 챔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ecompression chamber that receives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pouch containing the electrolyte therein to form a reduced pressure stat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이 상기 실링부 사이에 삽입된 경우, 상기 실링부를 가압하는 가압 유닛을 더 포함한다.Still 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ressing unit that presses the sealing portion whe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is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제조 장치는, 상술한 파우치 실링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pouch sealing apparatus.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실링 방법은, 상부 파우치와 하부 파우치로 이루어져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를 실링하는 방법으로서, 이물질의 흡착이 가능한 이물질 제거 유닛을 상기 파우치와 상기 하부 파우치의 실링부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을 상기 상부 파우치와 상기 하부 파우치의 실링부 사이에서 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파우치와 상기 하부 파우치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ealing a pouch for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n upper pouch and a lower pouch to accommodate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lyte, Inserting between the sealing portion of the lower pouch and the pouch; Withdrawing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between the upper pouch and the sealing portion of the lower pouch; And sealing the sealing portion of the upper pouch and the lower pouch.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은 이물질로서 전해액의 흡착이 가능하다.Preferably,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is capable of adsorbing the electrolytic solution as foreign matter.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의 삽입 단계,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의 인출 단계 및 상기 실링 단계는, 상압 상태보다 감압된 상태에서 수행된다.Also preferably, the inserting step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the withdrawing step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and the sealing step are performed under a reduced pressure than the normal pressure stat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의 삽입 단계 이후, 상기 실링부를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Further preferably, after the inserting step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pressing the sealing part is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의하면, 파우치형 이차 전지 제조시, 파우치의 실링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디개싱 공정 중 파우치의 실링부에 묻을 수 있는 전해액을 확실하게 제거함으로써, 이후의 실링 공정에서 파우치의 실링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existing in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when manufacturing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reliably seal the pouch in the subsequent sealing process by surely removing the electrolyte that can adhere to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during the degassing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우치의 실링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실링 불량으로 인한 파우치의 절연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는 이차 전지의 성능 및 수율을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aling quality of the pouch can be ensured, the insulation breakdown of the pouch due to the sealing failure can be prevented. As a result, the performance and yield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and safety can be improv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결합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의 이물질 제거 유닛이 파우치의 실링부 사이에 삽입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에 대한 단면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의 이물질 제거 유닛이 파우치의 실링부에 삽입 및 인출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이물질 제거 유닛이 파우치의 실링부에 삽입 및 인출되는 과정의 다른 예들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의 실링 유닛이 파우치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에서 가압 유닛에 의해 실링부가 가압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실링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below,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ouch-type secondary battery.
Fig. 2 is a combined view of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of Fig. 1.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of a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between sealing portions of a pouch.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of a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nd pulled out from a sealing portion of a pouch.
8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other examples of a process in which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shown in FIG. 7 is inserted into and pulled out from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aling unit of a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als a sealing portion of a pouch.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aling portion is pressed by a pressurizing unit in a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uch sea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의 사시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는, 이물질 제거 유닛(100) 및 실링 유닛(200)을 포함한다.3 and 4, the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00 and a sealing unit 200.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상부 파우치(11)와 하부 파우치(12)의 실링부에 사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착함으로써 제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이물질로서 전해액을 흡착하여 제거한다. 이러한 이물질 제거를 위해,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상부 파우치(11)와 하부 파우치(12)의 실링부 사이에 삽입된 후, 인출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10)의 실링부 중 실링 유닛(200)에 의해 실링될 부분(변)과 대향되게 그 앞쪽에 위치한 후,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실링부 사이에 삽입된다.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00 removes foreign substances existing between the upper pouch 11 and the sealing part of the lower pouch 12 by suction. Preferably,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00 adsorbs and removes the electrolytic solution as a foreign substance. For this foreign object removal,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00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pouch 11 and the sealing portion of the lower pouch 12, and then performs the operation of being pulled out.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0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opposite to the portion (side) to be sealed by the sealing unit 200, They move in the same direction and are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의 이물질 제거 유닛(100)이 파우치(10)의 실링부 사이에 삽입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에 대한 단면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00 of the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of the pouch 10, Fig. 6 is a cross- Quot; line in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물질 제거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 파우치(11)와 하부 파우치(12)의 실링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이물질 제거 장치가 파우치(10)의 실링부 사이에 삽입되면, 파우치(10)의 실링부 사이에 존재하는 이물질, 특히 전해액이 이물질 제거 장치의 삽입된 부분에 흡착될 수 있다.5 and 6, at least a part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 can be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of the upper pouch 11 and the lower pouch 12. [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 is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of the pouch 10, the foreign substances, particularly, the electrolyte existing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of the pouch 10 can be adsorbed to the inserted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또는 하부에 이물질 흡착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물질 제거 유닛(100) 전체가 아닌 이물질 흡착부(110) 부분만 상부 파우치(11)와 하부 파우치(12)의 실링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흡착부(110)는 천과 같은 직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직물 재질에는 직포, 부직포, 편성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직물 재질은 이물질은 물론, 특히 전해액을 흡착시키는데 용이하므로, 이물질 흡착부(110)에 사용되는데 있어 유리하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이물질 제거 유닛(100)의 특정 재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4 and 6,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00 may include a foreign matter adsorbing part 110 at an upper portion and / or a lower portion thereof. In this case, only the foreign matter adsorbing portion 110 can be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pouch 11 and the sealing portion of the lower pouch 12, not the entire foreign body removing unit 100. Here, the foreign matter adsorption unit 110 may be made of a fabric material such as cloth. Here, the fabric material may include woven fabric, nonwoven fabric, knitted fabric, and the like. Such a fabric material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used in the foreign matter adsorbing portion 110 because it is easy to adsorb foreign matter as well as electrolytic solu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articular material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00.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도 6의 B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10)의 실링부에 삽입되는 단부가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파우치(10)의 실링부에 가장 먼저 삽입되는 부분일수록 점차 가늘어지는 형태, 이를테면 끝이 뾰족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물질 제거 유닛(100)이 파우치(10)의 실링부에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thickness of the end portion inserted into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becomes thinner toward the end, as shown in portion B of FIG. In other words,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00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gradually tapered as the portion to be inserted first in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such as a pointed en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more easily.

이처럼, 파우치(10)의 실링부 사이에 삽입된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다시 파우치(10)의 실링부 사이를 벗어나도록 인출된다. 이와 같은 이물질 제거 유닛(100)의 인출로, 이물질이 파우치(10)의 실링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즉, 이물질 제거 유닛(100)이 파우치(10)의 실링부 사이에 삽입되면, 실링부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액과 같은 이물질이 이물질 제거 유닛(100)에 흡착되고, 이물질 제거 유닛(100)이 파우치(10)의 실링부로부터 빼내지게 되면, 이물질 제거 유닛(100)에 흡착된 이물질도 파우치(10)의 실링부로부터 빼내지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 제거 유닛(100)에 의한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00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of the pouch 10 is pulled out again from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again. The foreign object can be removed from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by the drawing-out path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00. That is, when the foreign body removing unit 100 is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of the pouch 10, foreign substances such as electrolytic solution existing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are adsorbed to the foreign body removing unit 100, The foreign matter adsorbed by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00 is also pulled out of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 Therefore, foreign matters can be removed by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00. [

이때,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전후 이동을 통해 상기 이물질의 흡착 및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4의 실시예에서,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전진하여 파우치(10)의 실링부 사이에 삽입되어 이물질을 흡착한 후, 삽입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후진함으로써 파우치(10)의 실링부 사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 제거 유닛(100)의 좌우 길이, 즉 화살표 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의 길이는 실링부의 길이와 유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물질 제거 유닛(100)의 전후 이동만으로도 파우치(10)의 실링부 전체 부분에 대한 이물질의 흡착 및 제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00 can perform adsorption and removal of the foreign matter through back and forth movement. 4,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00 advances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and is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of the pouch 10 to adsorb the foreign substances, and the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serted direction Foreign materials existing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of the pouch 10 can be removed. Here,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00, that is, the lengt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rrow direction may be similar to the length of the sealing portion. In this case, foreign matter can be adsorbed and removed from the entir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only by moving the foreign body removing unit 100 back and forth.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100)의 전후 이동은 한 차례만 수행될 수 있으나, 두 차례 이상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파우치(10)의 실링부 사이에 삽입되었다가 인출된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다시 실링부 사이에 삽입된 후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2회 이상의 흡착 과정으로, 이물질의 흡착 및 제거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ack-and-forth movement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00 may be performed only once, but may be performed more than once. For example, the foreign body removing unit 100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of the pouch 10 and drawn out can be drawn out after being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agai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dsorption and removal of foreign matter can be more reliably performed by two or more adsorption processes.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물질 제거 유닛(100)이 전후 이동, 즉 전진 및 후진만을 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전후 이동뿐만 아니라, 좌우 이동까지 함으로써 이물질의 흡착 및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0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that i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is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00 can perform not only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ut also left and right movement, thereby performing adsorption and removal of foreign matter.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의 이물질 제거 유닛(100)이 파우치(10)의 실링부에 삽입 및 인출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nd removing a foreign body removing unit 100 of a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도 7을 참조하면, 파우치 실링 장치의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파우치(10)의 실링부에 비해 그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파우치(10)의 실링부 일단에서 삽입된 후, 파우치(10)의 실링부 타단으로 이동하다가, 파우치(10)의 실링부 타단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물질 제거 유닛(100)의 길이가 파우치(10)의 실링부 길이보다 짧더라도 파우치(10)의 실링부 전체 길이에 대한 이물질의 흡착 및 제거가 가능하다. 더욱이, 파우치(10)의 크기는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이물질 제거 유닛(100)으로 다양한 크기의 파우치(10)에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파우치(10)의 실링부 사이에서 이물질 제거 유닛(100)이 이동하면 마찰력 등으로 인해 이물질 흡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00 of the pouch sealing device may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7, the foreign body removing unit 100 is inserted at one end of the sealing part of the pouch 10, then moved to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part of the pouch 10, It can be drawn out from the other en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ven if the length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0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foreign matter can be adsorbed and removed with respect to the entire length of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In addition, the size of the pouch 10 may var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n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00 can be utilized for the pouches 10 of various sizes. In addition, when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00 moves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of the pouch 10, foreign matter can be more easily absorbed due to frictional force or the like.

한편,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이물질 제거 유닛(100)의 전진 이동,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 및 후진 이동을 통해 이물질의 흡착 및 제거 과정이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화살표는, 이물질 제거 유닛(100)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7, the process of adsorb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s performed through the forward movement, the leftward movement, and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100. However, But is not limited to examples. Arrows in FIGS. 8 to 10 indicat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00.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이물질 제거 유닛(100)이 파우치(10)의 실링부에 삽입 및 인출되는 과정의 다른 예들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8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other examples of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withdrawing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00 shown in FIG. 7 into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파우치(10)의 실링부 일단에 삽입된 후 좌우 방향으로 2회 이상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10) 실링부에 대하여 삽입된 부분의 반대 측에서 인출될 수도 있고, 삽입된 부분 측에서 인출될 수도 있다.First, as shown in FIG. 8, the foreign body removing unit 100 can be moved at least twic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fter being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8,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00 may be pulled out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pouch 10 sealing portion, or may be pulled out from the inserted portion side.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파우치(10)의 실링부 일단에 삽입된 후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파우치(10)의 실링부 타단에 이르러 인출되고, 인출된 부분에 다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파우치(10)의 실링부 사이에서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파우치(10)의 실링부 단부에 이르게 되어 인출될 수 있다.9, the foreign body removing unit 100 moves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after being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ealing part of the pouch 10, reaches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part of the pouch 10, Can be reinserted into the area where the < RTI ID = In this case,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00 moves from right to left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of the pouch 10, and reaches the sealing end portion of the pouch 10 and can be drawn out.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파우치(10)의 실링부 일단에 삽입된 후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파우치(10)의 실링부 타단에 이르러 인출되고, 파우치(10) 외부에서 최초 삽입된 부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최초 삽입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서 다시 파우치(10)의 실링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10, the foreign body removing unit 100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then moves from the left to the right, reaches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And can be moved from the outside to the first inserted part. In this case,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00 can be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and the same portion as the originally inserted portion.

이러한 실시예들 이외에도, 이물질 제거 유닛(100)의 삽입 및 인출 동작은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se embodiments, the inserting and extracting operations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00 can be performed in various form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리드(21) 및 음극 리드(22)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파우치형 이차 전지에도 적용될 수 있고,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리드(21) 및 음극 리드(22)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파우치형 이차 전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는, 양극 리드(21) 및 음극 리드(22)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파우치형 이차 전지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4 to 6,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lead 21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22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lead 21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22 protrude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lead 21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22 are protruded in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물질 제거 유닛(100)의 좌우 방향 길이가 일정한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좌우 방향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파우치(10)의 길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이물질 제거 유닛(100)으로 다양한 크기의 파우치(10)에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lengths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00 are shown as being constant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00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at is,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ouch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n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00 can be applied to the pouches 10 of various sizes.

상기 실링 유닛(200)은, 상부 파우치(11)와 하부 파우치(12)의 실링부를 실링한다. 즉, 이물질 제거 유닛(100)에 의해 파우치(10)의 실링부 사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제거 공정이 수행된 후, 실링 유닛(200)에 의한 실링 공정이 수행된다.The sealing unit 200 seals a sealing portion of the upper pouch 11 and the lower pouch 12. That is, after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00 removes the foreign substances existing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of the pouch 10, the sealing process by the sealing unit 200 is perform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의 실링 유닛(200)이 파우치(10)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aling unit 200 of a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als a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FIG.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 유닛(100)이 파우치(10)의 실링부 사이에서 인출되면, 실링 유닛(200)이 파우치(10)의 실링부 상부에 위치하여, 파우치(10)의 실링부를 실링한다. 이때, 실링 유닛(200)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파우치(10)의 실링부를 실링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링 유닛(200)의 특정 실링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11, when the foreign body removing unit 100 is drawn out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of the pouch 10, the sealing unit 200 is positioned above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Seal the sealing part. At this time, the sealing unit 200 can seal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in various ways know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sealing method of the sealing unit 200.

또한, 도 11에서는 실링 유닛(200)이 파우치(10)의 실링부 상부로 이동하여 파우치(10)의 실링 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실링 유닛(200)은 파우치(10)의 실링부 하부에서 파우치(10) 실링을 수행하거나, 파우치(10)의 실링부 상부 및 하부 모두에서 파우치 실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11, the sealing unit 200 mov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to perform the sealing process of the pouch 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sealing unit 200 may perform pouch sealing at the bottom of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or may perform pouch sealing at both the top and bottom of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는, 감압 챔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compression chamber 300.

상기 감압 챔버(300)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여, 그러한 내부 공간에 이물질 제거 유닛(100), 실링 유닛(200), 그리고 전극 조립체(20)와 전해액이 수용된 파우치(10)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감압 챔버(300)는 내부 공간이 감압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감압 상태는, 상압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진공 상태를 포함한다.The decompression chamber 300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00, a sealing unit 200 and an electrode assembly 20 and a pouch 10 containing an electrolyte are accommodated have. The decompression chamber 300 may be configured to reduce the internal space. Here, the reduced pressure state refers to a state having a pressure lower than normal pressure, and includes a vacuum state.

특히, 이러한 감압 챔버(300)는 이차 전지의 제조 공정 중 디개싱 공정에 활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활성화 공정 등을 거친 이차 전지에 대하여 그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디개싱 공정은, 진공 상태와 같은 감압 상태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 제거 공정 및 파우치 실링 공정 또한 감압 상태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파우치 실링 장치에 감압 챔버(300)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감압 챔버(300) 내에서 디개싱 공정이 수행된 후, 곧바로 파우치 실링부에 대한 이물질 제거 공정 및 파우치 실링 공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디개싱 공정, 이물질 제거 공정 및 파우치 실링 공정이 하나의 챔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decompression chamber 300 may be utilized in a digging proces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condary battery. That is, the degassing process for discharging the gas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through the activation process or the like to the outside can be performed under a reduced pressure state such as a vacuum state. Further,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process and the pouch sealing process can also be performed under a reduced pressur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ecompression chamber 300 is included in the pouch sealing apparatus, so that the degass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decompression chamber 300, and then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process and the pouch sealing process for the pouch sealing unit are performed . Therefore, the degassing process,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process, and the pouch sealing process can be performed in one chamber.

여기서, 감압 챔버(300)는, 파우치(10)의 실링 공정 이후 감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감압 챔버(300) 내에서 실링 유닛(200)에 의해 파우치(10)의 실링이 완료되면, 감압 챔버(300)는 그 내부 공간의 압력을 감압 상태에서 상압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Here, the decompression chamber 300 can release the decompressed state after the sealing process of the pouch 10. That is, when sealing of the pouch 10 is completed by the sealing unit 200 in the decompression chamber 300, the pressure in the decompression chamber 300 can be changed from the reduced pressure state to the normal pressure state.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는, 가압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preferably, the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izing unit (400).

상기 가압 유닛(400)은, 파우치(10)의 실링부를 가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압 유닛(400)은, 이물질 제거 유닛(100)이 실링부 사이에 삽입된 경우 실링부를 가압할 수 있다.The pressing unit 400 can press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Particularly, the pressing unit 400 can press the sealing part when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00 is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arts.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에서 가압 유닛(400)에 의해 실링부가 가압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aling portion is pressed by a pressing unit 400 in a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상부 파우치(11)와 하부 파우치(12)의 실링부 사이에 이물질 제거 유닛(100)이 삽입되면, 가압 유닛(400)이 이물질 제거 유닛(100)이 삽입된 실링부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하부 및 상부 방향으로 실링부를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압 유닛(400)에 의한 가압 공정은, 이물질 제거 유닛(100)이 실링부 사이로부터 인출된 이후에 종료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실링부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액과 같은 이물질이, 이물질 제거 유닛(100)에 보다 잘 흡착될 수 있어, 파우치 실링부에 대한 이물질 제거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12, when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00 is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of the upper pouch 11 and the lower pouch 12, the pressing unit 400 moves the upper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into which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00 is inserted, And in the lower and upper directions respectively in the lower part. The pressing process by the pressing unit 400 can be terminated after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00 is pulled out from between the sealing part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electrolytic solution existing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can be adsorbed to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00 better, and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effect on the pouch sealing portion can be improved.

한편,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가압 유닛(400)이 파우치 실링부의 상부 및 하부를 모두 가압하는 구성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일례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가압 유닛(400)은 파우치 실링부의 상부나 하부 중 어느 한 부위만 가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Fig. 12, the pressing unit 400 is shown to press both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ouch sealing portion, but this configura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example, the pressurizing unit 400 may press only one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ouch seal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제조 장치는, 상술한 파우치 실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제조 장치는, 이물질 제거 유닛(100) 및 실링 유닛(200)을 구비하여 이차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제조 장치는, 감압 챔버(300)나 가압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pouch sealing apparatus. Therefore,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00 and the sealing unit 200 to manufacture the secondary batter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compression chamber 300 and a pressure unit 400.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실링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3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uch sea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이물질의 흡착이 가능한 이물질 제거 유닛(100)이 상부 파우치(11)와 하부 파우치(12)의 실링부 사이에 삽입된다(S110). 이러한 단계에서, 이물질 제거 유닛(100)이 실링부 사이에 삽입된 구성은 도 6과 같이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이물질 흡착부(110)를 구비할 수 있고, 이물질 제거 유닛(100)의 삽입 및 인출 단계는, 이러한 이물질 흡착부(110)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이물질 흡착부(110)는 직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00 capable of adsorbing foreign matter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pouch 11 and the sealing portion of the lower pouch 12 (S110). At this stag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00 is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can be shown as in Fi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00 may include the foreign substance absorbing unit 110 and the inserting and extracting steps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00 may be performed on the foreign substance absorbing unit 110 Same as. The foreign matter adsorbing unit 110 may be made of a fabric material.

그리고 나서, 이물질 제거 유닛(100)은 파우치 실링부 사이에서 인출되는데(S140), 이로써 파우치 실링부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액 등이 제거될 수 있다. 이처럼, 이물질 제거 유닛(100)의 삽입 및 인출로 파우치 실링부의 이물질이 제거되면, 파우치 실링부에 대한 실링 공정이 수행된다(S150).Then,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00 is drawn out between the pouch sealing portions (S140), whereby the electrolyte or the like existing between the pouch sealing portions can be removed. When the foreign substance in the pouch sealing portion is removed by inserting and pulling out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00, a sealing process for the pouch sealing portion is performed (S150).

바람직하게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110 단계와 상기 S140 단계 사이에, 이물질 제거 유닛(100)이 실링부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S130). 이때, 이물질 제거 유닛(100)의 이동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Preferably, as shown in FIG. 13, a step of moving the foreign body removing unit 100 between the sealing parts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step S110 and step S140 (step S130).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00 may be performed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S.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110 단계 이후 파우치(10)의 실링부를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20).Also, preferably, as shown in FIG. 13, the step S110 may further include pressing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10 (S120).

한편, 상기 S110 단계, S140 단계 및 S150 단계는, 진공 상태와 같은 감압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감압 상태는 상기 S150 단계 이후에 해제될 수 있다.
Meanwhile, steps S110, S140, and S150 may be performed in a reduced pressure state such as a vacuum state. In this case, the reduced pressure state can be released after step S15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이물질 제거 유닛', '실링 유닛', '가압 유닛' 등과 같이 '유닛'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야 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unit' such as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a 'sealing unit', a 'pressurizing unit', or the like is used, but it is a logical constituent unit and must be physically separated or physically separated It is to be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 파우치
11: 상부 파우치
12: 하부 파우치
21: 양극 리드
22: 음극 리드
100: 이물질 제거 유닛
110: 이물질 흡착부
200: 실링 유닛
10: Pouch
11: Upper pouch
12: Lower pouch
21: cathode lead
22: cathode lead
100: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10: foreign matter adsorbing portion
200: sealing unit

Claims (19)

상부 파우치와 하부 파우치로 이루어져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를 실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된 파우치를 내부에 수용하여 감압 상태를 형성하는 감압 챔버;
상기 감압 챔버에 의해 상압 상태보다 감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파우치와 상기 하부 파우치의 실링부 사이에 삽입 후 인출되어, 상기 실링부 사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유닛; 및
상기 감압 챔버에 의해 상압 상태보다 감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파우치와 상기 하부 파우치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실링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실링 장치.
An apparatus for sealing a pouch for a secondary battery, which comprises an upper pouch and a lower pouch and accommodates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lyte,
A decompression chamber for receiv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pouch containing the electrolyte therein to form a depressurized state;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that is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 of the upper pouch and the sealing portion of the lower pouch after being depressurized from the normal pressure state by the decompression chamber and sucks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existing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And
And a sealing unit for sealing the sealing portion of the upper pouch and the lower pouch in a state of being reduced in pressure from the normal pressure state by the decompression chamber,
Wherein the pouch sealing devic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은, 이물질로서 전해액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실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adsorbs and removes the electrolytic solution as a foreign sub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은 이물질 흡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이물질 흡착부가 상기 파우치의 실링부 사이에 삽입되었다가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실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includes a foreign matter adsorbing portion, and the foreign matter adsorbing portion is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of the pouch and then drawn ou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흡착부는, 직물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실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oreign matter adsorbing portion is made of a fabric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은, 상기 파우치의 실링부에 삽입되는 단부가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실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has a thickness that becomes thinner toward an end of the end portion inserted into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은, 전후 이동을 통해 상기 이물질의 흡착 및 제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실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performs adsorption and removal of the foreign matter through back and forth mov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은, 전후 이동 및 좌우 이동을 통해 상기 이물질의 흡착 및 제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실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performs adsorption and removal of the foreign matter through back and forth movement and lateral movem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챔버는, 상기 실링 유닛에 의해 상기 파우치의 실링이 완료된 경우, 내부 압력을 감압 상태에서 상압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실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compression chamber changes the internal pressure from a reduced pressure state to a normal pressure state when sealing of the pouch is completed by the seal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이 상기 실링부 사이에 삽입된 경우, 상기 실링부를 가압하는 가압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실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essing unit that presses the sealing portion when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is insert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제1항에 따른 파우치 실링 장치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제조 장치.A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pouch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상부 파우치와 하부 파우치로 이루어져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를 실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물질의 흡착이 가능한 이물질 제거 유닛을 상기 파우치와 상기 하부 파우치의 실링부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을 상기 상부 파우치와 상기 하부 파우치의 실링부 사이에서 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파우치와 상기 하부 파우치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의 삽입 단계,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의 인출 단계 및 상기 실링 단계는, 상압 상태보다 감압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실링 방법.
A method for sealing a pouch for a secondary battery, which comprises an upper pouch and a lower pouch and accommodates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lyte,
Inserting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capable of adsorbing foreign matter between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and the lower pouch;
Withdrawing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between the upper pouch and the sealing portion of the lower pouch; And
Sealing the sealing portion of the upper pouch and the lower pouch
, ≪ / RTI &
Wherein the inserting step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the withdrawing step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and the sealing step are performed under a reduced pressure than the normal pressure sta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은 이물질로서 전해액의 흡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실링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is capable of adsorbing an electrolytic solution as foreign matt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은 이물질 흡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의 삽입 및 인출 단계는, 상기 이물질 흡착부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실링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includes a foreign matter adsorbing portion,
Wherein the inserting and withdrawing step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is performed on the foreign substance absorbing un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흡착부는, 직물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실링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oreign matter adsorbing portion is made of a fabric materi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의 삽입 단계와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의 인출 단계 사이에,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을 상기 실링부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실링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Between the inserting step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and the withdrawing step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And moving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단계 이후, 상기 감압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실링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fter the sealing step, the reduced pressure state is releas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의 삽입 단계 이후, 상기 실링부를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실링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essing the sealing portion after the inserting step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KR1020110139247A 2011-12-21 2011-12-21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pouch for secondary battery KR1014537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247A KR101453784B1 (en) 2011-12-21 2011-12-21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pouch for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247A KR101453784B1 (en) 2011-12-21 2011-12-21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pouch for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813A KR20130071813A (en) 2013-07-01
KR101453784B1 true KR101453784B1 (en) 2014-10-23

Family

ID=4898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247A KR101453784B1 (en) 2011-12-21 2011-12-21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pouch for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78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135B1 (en) 2020-01-23 2020-05-20 김덕군 Heating device for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of sealing part
KR102113136B1 (en) 2020-01-23 2020-05-20 김덕군 Fixing device for self cooling heat source
KR20210012330A (en) 2019-07-24 2021-02-03 정종홍 Heater for sealing secondary battery
KR20210012986A (en) 2020-10-20 2021-02-03 정종홍 Heater for sealing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980B1 (en) 2013-08-30 2017-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Sealiing tool of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30735A (en) * 1996-06-07 1997-12-22 Toshiba Batter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device therefor, and electrode evaluating method
JPH11149910A (en) * 1997-11-18 1999-06-02 Sanyo Electric Co Ltd Sealing method for thin type battery
JP2002164040A (en) * 2000-11-22 2002-06-07 Sony Corp Electrolyte removing method and electrolyte removing device
KR20060087333A (en) * 2005-01-29 2006-08-02 브이케이 주식회사 Fabrication proces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apply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30735A (en) * 1996-06-07 1997-12-22 Toshiba Batter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device therefor, and electrode evaluating method
JPH11149910A (en) * 1997-11-18 1999-06-02 Sanyo Electric Co Ltd Sealing method for thin type battery
JP2002164040A (en) * 2000-11-22 2002-06-07 Sony Corp Electrolyte removing method and electrolyte removing device
KR20060087333A (en) * 2005-01-29 2006-08-02 브이케이 주식회사 Fabrication proces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apply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330A (en) 2019-07-24 2021-02-03 정종홍 Heater for sealing secondary battery
KR102113135B1 (en) 2020-01-23 2020-05-20 김덕군 Heating device for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of sealing part
KR102113136B1 (en) 2020-01-23 2020-05-20 김덕군 Fixing device for self cooling heat source
KR20210012986A (en) 2020-10-20 2021-02-03 정종홍 Heater for sealing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813A (en)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7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pouch for secondary battery
US10873065B2 (en) Battery cell degassing apparatus
TWI447988B (en) Degassing method of secondary battery using centrifugal force
KR10174836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uch secondary battery
JP5899316B2 (en)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JP6877041B2 (en) Vertical constraints for energy storage devices
KR101713068B1 (en) Device for Eliminating Gas from Activated Batte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Cell
US10741870B2 (en) Battery cell degassing apparatus
KR10239449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secondary battery
KR10165085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Cell and Device for Eliminating Gas from Battery Cell
JP6191882B2 (en) Sealed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10367306A1 (en) Degassing apparatus of pouch for secondary battery and degass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6935742B (en) Secondary cel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00033665A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 gas discharge tab and Degassing apparaus for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CN109755652B (en) Method for pressurizing film-covered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lm-covered battery
WO2010052542A1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vehicle carrying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battery-carry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179153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Cell by Device for Eliminating Gas from Battery Cell
KR1021778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prismatic secondary battery
KR20190055595A (e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The Apparatus For Degassing Secondary Battery
KR102326441B1 (en) Sealing device and sealing method of pouch for secondary battery
JP4880811B2 (en)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KR201300369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pouch case for secondary battery
JP2015115161A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secondary battery
KR102436643B1 (en) Secondary battery non-chamber degassing device
JP200810324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