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480B1 -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 - Google Patents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480B1
KR101453480B1 KR1020140114901A KR20140114901A KR101453480B1 KR 101453480 B1 KR101453480 B1 KR 101453480B1 KR 1020140114901 A KR1020140114901 A KR 1020140114901A KR 20140114901 A KR20140114901 A KR 20140114901A KR 101453480 B1 KR101453480 B1 KR 101453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one
sound
button
key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갑수
Original Assignee
남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갑수 filed Critical 남갑수
Priority to KR102014011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480B1/ko
Priority to CN201410815319.XA priority patent/CN105374342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목관 악기가 낼 수 있는 가장 높은 음보다 반음 높은 음과, 가장 낮은 음보다 반음 낮은 음을 낼 수 있게 각각 톤 홀을 형성하고, 이들 각 톤 홀을 여닫는 키를 기존의 목관 악기에 있는 각 키 버튼과 함께 누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기존 목관 악기와 비교하여 한 음을 더 낼 수 있어 이를 통해 더 넓은 음악적인 표현을 할 수 있게 한 목관 악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색소폰과 같이, 운지(Fingering)에 한계가 있는 목관 악기에서 이처럼 반음 올림과 반음 내림을 통해 한 음을 더 낼 수 있게 하고, 이 음을 기존 키 버튼과 함께 누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운지의 한계를 뛰어넘어 음악적인 표현을 더욱 넓게 표현할 수 있게 한 목관 악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WOODWIND INSTRUMENT WITH WIDE REGISTER}
본 발명은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음을 내기 위한 톤 홀을 형성한 보디 양단부에 각각 가장 높은 음보다 반음 높은 음을 내고 가장 낮은 음보다 반음 낮은 음을 낼 수 있게 구성하고, 이들을 기존 보디에 있는 내는 키 버튼을 이용하려 실음을 낼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의 목관악기가 낼 수 있는 음보다 한 음 더 낼 수 있게 하여 음악적 표현 범위를 상당히 넓힐 수 있게 한 것이다.
목관 악기는 (목)관을 입으로 불어서 그 안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를 말한다. 이러한 목관 악기는 만드는 재료는 나무 이외의 황동이나 플라스틱, 그 밖의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오늘날의 목관 악기는 지공(指孔)에 키 등의 기계장치를 붙여 편하게 연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서, 색소폰의 경우 25개의 톤 홀(Tone Hole)을 형성하고, 양손으로 이들 톤 홀을 막거나 개방하는 방법으로 음을 낸다. 이때 톤 홀은 여러 개의 톤 홀을 한 번에 막거나 열어줄 수 있도록 키 로드(Key lod)로 연결한다.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이처럼 여러 개의 톤 홀을 키 로드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톤 홀을 개방하면서 소리를 내는 관악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악기 자체에 사용되는 재료의 변경, 벨(bell) 형태들의 변경, 공기 유로 튜빙 및/또는 벨 등의 재료 두께의 변경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종종 필요한 광범위한 변경을 하지 않으면서, 악기의 음을 변경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2는 관악기용 에지 링에 관한 것으로, 전협후광 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링 형상의 에지 링을 도파 관의 입구에 체결하여 상기 도파 관으로 유입되는 음파에 압력강하가 일어나게 함으로써 공명을 증강시켜 소리의 울림을 상승시킬 수 있는 관악기용 에지 링에 관한 것이다. 이는 에지 링은, 연주자가 부는 경우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의 도파 관을 따라 음파가 진행되며 공명되는 관악기에서 상기 도파 관의 입구에 체결되는 관악기용 에지 링에 있어서, 상기 에지 링은, 상기 도파 관의 입구에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도파 관으로 유입되는 음파에 압력강하가 발생하도록 전협후광 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은 관악기의 도파 관의 내면에 거칠기를 형성하여 도파 관을 따라 진행되는 음파에서 난반사가 발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관악기의 음색을 중후하게 조절할 수 있는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색소폰과 같은 목관 악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실제로 음을 내기 위해 보디에 형성하는 톤 홀의 개수에 한계가 있다.
(2) 즉, 예를 들어서, 색소폰의 경우 25개의 톤 홀을 형성하고 이들 톤 홀을 운지법(Fingering,運指法)으로 키 버튼을 눌러 실음을 내는 데, 더 이상 손가락으로 키 버튼을 누를 수 없어서 실음(실제로 나는 음)을 내는 데 한계가 있었다.
(3) 이는, 색소폰의 경우, 가장 낮은 음인 "Bb"부터 가장 높은 음인 "F#"까지 밖에 연주할 수 없기 때문에, 색소폰 연주자는 이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자신의 가성(플레절렛)을 내야 한다.
(4) 하지만, 가성의 경우는 초보자에게는 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노련한 연주자에게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리를 내는 목 부분을 상하게 할 우려가 있다.
(5) 이처럼 한정된 음역으로는 낼 수 있는 음역이 한정되므로 음악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범위 또한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22103호 (공개일 : 2011.11.09) 한국등록특허 제1381411호 (등록일 : 2014.03.28)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3940호 (공개일 : 2014.05.28)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기존의 목관 악기가 낼 수 있는 가장 높은 음보다 반음 높은 음과, 가장 낮은 음보다 반음 낮은 음을 낼 수 있게 각각 톤 홀을 형성하고, 이들 각 톤 홀을 여닫는 키를 기존의 목관 악기에 있는 각 키 버튼과 함께 누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기존 목관 악기와 비교하여 한 음을 더 낼 수 있어 이를 통해 더 넓은 음악적인 표현을 할 수 있게 한 목관 악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색소폰과 같이, 운지(Fingering)에 한계가 있는 목관 악기에서 이처럼 반음 올림과 반음 내림을 통해 한 음을 더 낼 수 있게 하고, 이 음을 기존 키 버튼과 함께 누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운지의 한계를 뛰어넘어 음악적인 표현을 더욱 넓게 표현할 수 있게 한 목관 악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위치에 다른 음을 내기 위한 여러 개의 톤 홀, 각 톤 홀을 막기 위한 키(110a~110n), 각 키(110a~110n)를 여닫게 하기 위한 키 버튼(120a~120n)을 포함하는 보디(100)를 갖는 목관 악기에 있어서, 상기 보디(100)에는 입구 측에 가장 높은 음(F#음)을 내는 고음보다 반음 높은 고음을 내는 제1톤 홀을 형성하고 여기에 여닫이가 가능한 제1키(130)를 장착하고, 출구 측에 가장 낮은 음(C음)을 내는 저음보다 반음 낮은 저음을 내는 제2톤 홀을 형성하고 여기에 여닫이가 가능한 제2키(140)를 장착하며;, 상기 제1키(130)를 여닫기 위한 제1키 버튼(131)을 누르면 고음을 내기 위한 버튼(120c)이 함께 눌리며, 상기 제2키(140)를 여닫기 위한 제2키 버튼(141)을 누르면 저음을 내기 위한 키 버튼(120d)이 함께 눌리고;, 상기 제1키 버튼(131)은 2옥타브의 "G"음을 내기 위한 키 버튼이고, 상기 고음의 키 버튼(120c)은 "F#"음을 내기 위한 키 버튼이며, 상기 제2키 버튼(141)은 "A"음을 내기 위한 키 버튼이고, 상기 저음의 키 버튼(120d)은 "C"음을 내기 위한 키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목관 악기에는 벨(400)이 구성되고, 상기 제2키(140)는 벨(400)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디(100)와 벨(400)은 제1키(130)와 제2키(140)를 형성하기 위해 그 길이를 연장하여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목관 악기는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색소폰 또는 바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기존 목관 악기가 낼 수 있는 가장 높은 음보다 반은 높은 음과 가장 낮은 음보다 반음 낮은 음을 낼 수 있다.
(2) 이에 기존의 목관 악기보다 한음 더 넓은 음역을 낼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기존 목관 악기보다 음악적인 표현 영역을 더욱 넓힐 수 있다.
(3) 특히, 본 발명은 음을 연주할 때 톤 홀을 키로 막는 목관 악기, 예를 들어서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색소폰 그리고 바순과 같이 다양한 목관 악기에 적용할 수 있다.
(4) 목관 악기에 이미 구성되어 사용하던 키 버튼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반음 높은 음과 반음 낮은 음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연주자도 이 높은 음과 낮은 음을 쉽게 낼 수 있어 쉽게 적응하여 연주할 수 있다.
(5) 이처럼 본 발명에 따라 한 음만큼 넓어진 음 역역대로 연주자가 억지로 가성(플레절렛)을 내지 않아도 되므로 연주자를 보호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고음을 반음 올리고 저음을 반음 내린 색소폰의 한가지 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고음을 반음 올리는 키 버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의 A-A선으로 자른 것으로 그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저음을 반음 내리는 키 버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의 B-B선으로 자른 것으로 그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는 가장 높은 음을 반음 올리고, 가장 낮은 음을 반음 내려서 연주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목관 악기가 낼 수 있는 음보다 한 음 더 낼 수 있게 하여 연주자가 음을 낼 수 있는 음 영역 대를 넓혀 음악적인 표현 범위를 넓힐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목관 악기의 하나인 색소폰을 예로 들어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된 색소폰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악기의 진동체인 마우스피스를 연결하기 위한 넥(200), 대부분의 톤 홀이 형성되며 상기 넥과 연결한 보디(100), 상기 보디(100)의 다른 한쪽에 연결되며 울림의 반사판 역할을 하는 보우(300), 그리고 보우(300) 끝에 연결하여 실질적으로 소리를 발산하는 벨(4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특히, 색소폰에는 실질적인 음을 얻기 위하여 25개의 톤 홀이 형성되는 데, 대부분 상기 보디(100)와 벨(4000)에 형성된다. 여기서, 톤 홀은 실질적인 구멍을 말하는 것이고, 각 톤 홀에는 이를 여닫을 수 있게 레버와 판으로 구성한 키(110~110n)가 구성되며, 이들 각 키(110~110n)는 연주자가 각각의 키 버튼(120a~120n)을 누름에 따라 키가 열리면서 원하는 음을 내게 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중에서 "110"으로 시작하는 것은 키를, "120"으로 시작하는 것은 키 버튼을 각각 나타내며, 소문자 "a~n"은 이들 여러 개의 키와 키 버튼을 임의로 구분하기 위하여 붙인 것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111"은 키(110a~110n)와 키 버튼(120a~120n)을 연결하여 실제 여닫을 수 있게 연결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키 로드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보디(100)에 기존 목관 악기의 가장 높은 음을 내는 고음보다 반음 높은 고음을 낼 수 있게 제1톤 홀과, 가장 낮은 음을 내는 저음보다 반음 낮은 저음을 낼 수 있게 제2톤 홀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톤 홀과 제2톤 홀에는 각 톤 홀을 여닫을 수 있게 제1키(130)과 제2키(140)를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제1키(130)는 고음을 낼 수 있도록 보디(100)의 입구 측, 즉 넥(200)과 연결하는 쪽에 형성하고, 상기 제2키(140)는 제1키(130)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쪽 끝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키(140)는, 색소폰의 경우, 벨(400)의 측면 바깥쪽에 형성하여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디(100)와 벨(400)은 이처럼 제1키(130)와 제2키(140)를 형성하는 데, 그 길이가 짧거나 공간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이때는 상기 보디(100)의 입구 측을 연장하고 넥을 줄이고, 또한 벨(400)의 크기를 연장하여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장착한 제1키(130)와 상기 제2키(140)는 각각 이들을 여닫을 수 있게 제1키 버튼(131)과 제2키 버튼(141)을 보디(100)에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키(130)와 제1키 버튼(131),그리고 상기 제2키(140)와 제2키 버튼(141)은 각각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키 로드(132,142)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1키 버튼(131)과 제2키 버튼(14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이미 보디(100)에 다른 음을 내기 위해 구성한 고음의 키 버튼(120c)와 저음의 키 버튼(120d)과 함께 손으로 누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이들 키 버튼(120c,120d)을 누르는 것과 같은 운지(Fingering) 작용을 통해 쉽게 반음 높은 음과 반음 낮은 음을 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키 버튼(120c,120d)은 기존의 색소폰을 통해 누를 수 있는 키 버튼(120a~120n) 중에서 고음 중에서 하나를, 그리고 저음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운지 작용 중에 사용을 자주 하지 않는 것이거나 손가락의 움직임이 편리한 곳에 있는 키 버튼(120a~120n) 중에서 선택하여 함께 눌릴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목관 악기로서 색소폰의 경우, 상기 제1키 버튼(131)은 2옥타브의 "G"음을 내기 위한 키 버튼으로, 상기 고음의 키 버튼(120c)은 "F#"음을 내기 위한 키 버튼을 채택하고, 상기 제2키 버튼(141)은 "A"음을 내기 위한 키 버튼으로, 상기 저음의 키 버튼(120d)은 "C"음을 내기 위한 키 버튼을 예시적으로 채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키 버튼(131)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높은 음의 키 버튼(120c)에서 돌출한 돌기 위에 걸쳐지게 형성함으로써, 도 3(a)와 같이 높은 음의 키 버튼(120c)을 누르면 이 버튼만 작동하고, 도 3(b)와 같이 제1키 버튼(131)을 누르면 이들 두 개의 버튼이 함께 눌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키 버튼(141)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높은 음의 키 버튼(120d)에서 돌출한 돌기 위에 걸쳐지게 형성함으로써, 도 5(a)와 같이 높은 음의 키 버튼(120d)을 누르면 이 버튼만 작동하고, 도 5(b)와 같이 제2키 버튼(141)을 누르면 이들 두 개의 버튼이 함께 눌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목관 악기에서 낼 수 있는 고음보다 반음 높은 고음과 저음보다 반음 낮은 저음을 낼 수 있게 키를 더 구성하고, 이들 키가 기존에 구성한 키와 연동하여 구성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이처럼 키를 이용하여 연주하는 목관 악기, 예를 들어서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색소폰 그리고 바순 등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보디
110a~110n : 키
120a~120n : 키 버튼
130 : 제1키
131 : 제1키 버튼
132, 142 : 키 로드
140 : 제2키
141 : 제2키 버튼
400 : 벨

Claims (5)

  1.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위치에 다른 음을 내기 위한 여러 개의 톤 홀, 각 톤 홀을 막기 위한 키(110a~110n), 각 키(110a~110n)를 여닫게 하기 위한 키 버튼(120a~120n)을 포함하는 보디(100)를 갖는 목관 악기에 있어서,
    상기 보디(100)에는 입구 측에 가장 높은 음(F#음)을 내는 고음보다 반음 높은 고음을 내는 제1톤 홀을 형성하고 여기에 여닫이가 가능한 제1키(130)를 장착하고, 출구 측에 가장 낮은 음(C음)을 내는 저음보다 반음 낮은 저음을 내는 제2톤 홀을 형성하고 여기에 여닫이가 가능한 제2키(140)를 장착하며,
    상기 제1키(130)를 여닫기 위한 제1키 버튼(131)을 누르면 고음을 내기 위한 버튼(120c)이 함께 눌리며, 상기 제2키(140)를 여닫기 위한 제2키 버튼(141)을 누르면 저음을 내기 위한 키 버튼(120d)이 함께 눌리고,
    상기 제1키 버튼(131)은 2옥타브의 "G"음을 내기 위한 키 버튼이고, 상기 고음의 키 버튼(120c)은 "F#"음을 내기 위한 키 버튼이며, 상기 제2키 버튼(141)은 "A"음을 내기 위한 키 버튼이고, 상기 저음의 키 버튼(120d)은 "C"음을 내기 위한 키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관 악기에는 벨(400)이 구성되고,
    상기 제2키(140)는 벨(400)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100)와 벨(400)은 제1키(130)와 제2키(140)를 형성하기 위해 그 길이를 연장하여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관 악기는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색소폰 또는 바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
KR1020140114901A 2014-09-01 2014-09-01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 KR101453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901A KR101453480B1 (ko) 2014-09-01 2014-09-01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
CN201410815319.XA CN105374342A (zh) 2014-09-01 2014-12-24 宽音域木管乐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901A KR101453480B1 (ko) 2014-09-01 2014-09-01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480B1 true KR101453480B1 (ko) 2014-10-23

Family

ID=5199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901A KR101453480B1 (ko) 2014-09-01 2014-09-01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3480B1 (ko)
CN (1) CN10537434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092U (ja) * 1992-08-25 1994-03-25 野中貿易株式会社 ソプラノサクソフォン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6302B1 (en) * 2001-05-11 2002-11-05 Jung-Jung Liu Saxophone
CN2715290Y (zh) * 2005-03-04 2005-08-03 陈秋红 低音b音笛尾管
CN201536006U (zh) * 2009-12-01 2010-07-28 马铭新 新曲笛
CN202816337U (zh) * 2012-09-13 2013-03-20 吴丹舟 一种萨克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092U (ja) * 1992-08-25 1994-03-25 野中貿易株式会社 ソプラノサクソフォ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74342A (zh)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24593B (zh) 一种区域划动触控式曲面立体扬声器阵列的数码乐器
US7470844B2 (en) Mouthpiece for musical instruments
US5824927A (en) Keyed free-reed instruments scope
US6696629B1 (en) Keyless plastic saxophone
US4212223A (en) Mouthpiece for woodwind musical instruments
KR101453480B1 (ko)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
US1750051A (en) Wind instrument
CN101833945B (zh) 一种降e超高音唢呐萨克斯管
KR100797656B1 (ko) 음 조절용 키를 갖춘 대피리
Moore The acoustics of brass musical instruments
CN101409069A (zh) 倍低音萨克斯
CN214847693U (zh) 一种管乐器
Bucur et al. Resonant Air Column in Wind Instruments
KR101118544B1 (ko) 가변음정 색소폰
CN201435204Y (zh) 高八度bE调萨克斯管
US11127382B1 (en) Tone-alt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usical wind instruments
KR20200003557A (ko) 쉽게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
KR20120121600A (ko) 관악기
KR101407344B1 (ko)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
Thompson A study of french horn harmonics
KR20220050358A (ko)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Ramsey Introduction to the Instrument Groups
Smith on the subject of loneliness.
KR20080020146A (ko) 운지키를 갖는 오카리나
Ramsey Woodwind Instrument Gro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