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751B1 - 전력량계, 전력량계 시스템 및 전력량계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전력량계, 전력량계 시스템 및 전력량계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751B1
KR101452751B1 KR1020140015077A KR20140015077A KR101452751B1 KR 101452751 B1 KR101452751 B1 KR 101452751B1 KR 1020140015077 A KR1020140015077 A KR 1020140015077A KR 20140015077 A KR20140015077 A KR 20140015077A KR 101452751 B1 KR101452751 B1 KR 101452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ower
load
signal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준
김진하
조태희
조재형
박상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40015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는 개폐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전력에 기초하여 개폐기를 온 시켜 부하에 전기를 공급시키거나, 오프 시켜 부하에 전기 공급을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량계, 전력량계 시스템 및 전력량계의 동작방법{POWER METER, POWER MET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POWER METER}
본 발명은 전력량계, 전력량계 시스템 및 전력량계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자식 전력량계, 전자식 전력량계 시스템 및 전자식 전력량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수신기와 같은 가전제품에서는 그 회로 구성이 집적회로화되고 신호처리기술이 고정밀화 되어감에 따라, 동작 전원의 안정화가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가전제품의 전원공급장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채택하고 있다.
한편,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계측하기 위하여 설치하게 되는 전력량계는 그 작동 방식이나 구조에 따라 기계식 전력량계와 전자식 전력량계로 구분된다. 특히 전자식 전력량계는 기계적인 가동부가 없기 때문에 기계식 전력량계에 비해 신뢰도가 높고 안정적인 검침값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 회로의 집적화를 통해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전화선, 전용선, 전력선, 광케이블, 무선 등)를 이용한 원격 검침 기능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되므로, 그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례의 전력량계를 이용한 부하 차단 방식은 전력량계의 외부에 부설된 전류제한 장치를 이용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부하에 일정치 이상의 전류가 흐를 경우, 전력량계가 이를 감지하고, 전류제한 장치가 감지된 전류에 기초하여 전기공급을 차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부하제한 값이 변경되면, 변경된 부하제어에 맞는 전류제한 장치로 교체하여야 하였다. 또한 종례의 방식은 전류값에 기초하여, 전기공급을 차단함함에 따라서, 수지상 선로의 배전계통에서는 전력공급원이 같더라도 고객이 수전받는 인입점 위치에 따라 수지상 선로의 배전계통에서는 전력공급원이 같더라도 고객이 수전받는 인입점 위치에 따라, 선로 임피던스의 차이가 발생하여 전압이 상이하여 동일한 소비전력의 부하를 사용하더라도 고객별로 전기공급이 차단되거나, 차단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문헌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28460호(발명의 명칭: 션트 저항을 이용한 3상 전력 시스템의 전력량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하에 인가되는 수전전압에 관계없이, 전기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전력량계 및 전력량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는 개폐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전압 신호 또는 상기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기를 온 시켜 부하에 전기를 공급시키거나, 상기 개폐기를 오프 시켜 부하에 전기 공급을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 시스템은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서버; 상기 제어 신호를 각각의 전력량계로 전달하는 데이터 집중 장치; 및 전력량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량계는 개폐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전압 신호 또는 상기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기를 온 시켜 부하에 전기를 공급시키거나, 상기 개폐기를 오프 시켜 부하에 전기 공급을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 또는 상기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 또는 상기 개폐기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는 전송 받은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기를 온 시켜 부하에 전기를 공급시키거나, 상기 개폐기를 오프 시켜 부하에 전기 공급을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개폐기의 온 신호, 상기 개폐기의 오프 신호, 상기 전압 신호 또는 상기 전류 신호의 측정 시간, 영구차단 조건, 상기 개폐기의 오프 상태 이후 복귀 시간, 구간별 부하제한 프로세스 별도 설명 및 상태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동작방법은 연산부가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산출된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 산출된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지 않은 경우, 내부에 배치된 개폐기를 오프 시키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오프 시킨 횟수를 카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키는 단계; 다시 연산부가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산출된 유효전력이 다음 차단전력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 산출된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개폐기를 다시 오프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키는 단계는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에도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키지 않고,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다음 차단전력은 상기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기가 포함된 전력량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개폐기를 온 또는 오프시켜, 부하에 인가되는 수전전압에 관계없이, 부하에 인가되는 전기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개폐기를 온 오프 시켜, 부하에 인가되는 전기공급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차단전력 및 부하차단 횟수에 기초하여 부하에 인가되는 전기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단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량계 및 전력량계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100)는 검출부(110), 변환부(120), 연산부(130), 제어부(140), 개폐기(150) 및 통신부(160)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전력량계(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은 전력량계(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검출부(110)는 전력량계(100) 외부의 부하에 인가되는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110)에서 추출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는 아날로그(Analog)신호 일 수 있다. 검출부(11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에 인가되는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 검출부(11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의 측정 시간에 기초하여 부하에 인가되는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
변환부(120)는 추출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부(120)는 AC/DC 컨버터(Converter)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부(120)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연산부(130)는 변환부(120)에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을 연산한다.
제어부(140)는 전력량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연산부(130)에서 연산된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개폐기(150)의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소정의 수치 이상인 경우, 개폐기(150)를 오프 시킨다. 제어부(140)는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소정의 수치 미만 경우, 개폐기(150)를 온 시킨다. 또한 제어부(140)는 개폐기(150)가 오프 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개폐기(150)를 온 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이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이벤트 로그로 기록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이벤트 로그를 별도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60)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량계(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검출부(110)를 통해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
개폐기(150)는 온 또는 오프되어 부하로 전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150)는 스위치일 수 있다. 개폐기(150)가 온 되 부하에 전기가 공급된다. 패계기(150)가 오프되면 부하에 전기공급이 차단된다. 개폐기(150)는 제어부(140)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온 또는 오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150)는 전력량계(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통신부(160)는 DCU(데이터 집중 장치, 200)와 통신한다. 통신부(16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통신부(160)는 제어 신호를 DCU(200)를 통해 수신한다. 통신부(160)는 이벤트 로그를 DCU(200)를 통해 서버(300)로 송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 시스템은 전력량계(100), DCU(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전력량계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서버(300), DCU(200) 및 전력량계(100)가 일대 일대 다 관계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부(160)는 검출부(110)에서 검출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DCU(2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60)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DCU(2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60)는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한 부하에서의 유효전력을 DCU(2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60)는 개폐기(150)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DCU(2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DCU(200)는 전력량계(100)에서 받은 각종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한 DCU(200)는 서버(300)에서 송신된 제어 신호를 전력량계(1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신호는 개폐기(150)의 온 하라는 신호, 개폐기(150)를 오프 하라는 신호 또는 부하에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의 측정 시간 또는 개폐기의 오프 상태 이후 복귀 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신호는 영구차단 조건, 구간별 부하제한 프로세스 별도 설명 또는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량계(100)는 서버(3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개폐기(150)를 온 또는 오프 시킨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통신부(160)로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개폐기(150)를 온 또는 오프 시킨다. 제어부(140)는 제어 조건에 기초하여, 부하에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추출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추출부(110)를 통해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 추출 시간에 기초하여, 부하의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추출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단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단방법의 흐름도이다.
검출부(110)는 부하의 전류 또는 전압 신호를 검출한다(S10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110)는 통신부(160)를 통해 전송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의 전류 또는 전압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
변환부(120)는 검출된 전류 신호 및 전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S103).
연산부(130)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유효전력을 산출한다(S105).
제어부(140)는 산출된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개폐기(150)를 온 또는 오프 시킨다(S107). 제어부(140)는 통신부(160)를 통해 전송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개폐기(150)를 온 또는 오프 시킬 수도 있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동작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연산부(130)가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 전력을 산출한다(S201).
제어부(140)가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 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203). 현재의 차단전력은 미리 지정될 수도 있다. 또한 현재의 차단전력은 별도로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이 보다 작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off) 시킨다(S205).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 시킨 횟수를 카운트 한다(S207). 제어부(140)가 개폐기(150)를 오프 시킨 횟수를 카운트 함에 있어서 별도로 구비된 카운터(미도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카운트한 개폐기(150) 오프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209). 만일 카운트한 개폐기(150) 오프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온 시키지 않는다. 즉 카운트한 개폐기(150) 오프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르면 부하차단 횟수는 미리 지정될 수도 있다. 또한 부하차단 횟수는 별도로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
카운트한 개폐기(150) 오프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온 시킨다(S21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르면 소정의 시간은 미리 지정될 수도 있다. 또한 소정의 시간은 별도로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후 연산부(130)는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을 다시 산출한다.
제어부(140)는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다음 차단전력이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다음 차단전력 보다 작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off) 시킨다. 다음 차단전력은 미리 지정될 수도 있다. 또한 다음 차단전력은 별도로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 차단전력은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개폐기(150)를 오프 시키는 기준 유효전력을 점차 낮춘다.
부하단에 체납 고객에 대하여, 첫번째 차단전력을 10kW 두번째 차단전력을 5kW라고 하고, 부하차단 횟수를 2회라고 가정하고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 즉 첫번째 차단전력인 10kW 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일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10kW보다 작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시킨다.
제어부(140)는 이때 개폐기(150)를 오프시킨 횟수를 카운트한다. 이때 개계기(150)는 처음 오프되었으므로, 개폐기(150)를 오프시킨 횟수는 1이 된다.
이후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시킨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 즉 2와 같은지를 판단한다.
개폐기(150)를 오프시킨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가 같지 않으므로,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온 시킨다.
그 후 제어부(140)는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이 다음의 차단전력 즉 두번째 차단전력인 5kW 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
만일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5kW보다 작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시킨다.
제어부(140)는 이때 개폐기(150)를 오프시킨 횟수를 카운트한다. 이때 개계기(150)는 처음 오프되었으므로, 개폐기(150)를 오프시킨 횟수는 2가 된다.
이후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시킨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 즉 2와 같은지를 판단한다.
개폐기(150)를 오프시킨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가 같으므로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 상태로 유지 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전력량계 110: 검출부
120: 변환부 130: 연산부
140: 제어부 150: 개폐기
160: 통신부 200: DCU
300: 서버

Claims (9)

  1. 내부에 배치된 개폐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전압 신호 또는 상기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기를 온 시켜 부하에 전기를 공급시키거나, 상기 개폐기를 오프 시켜 부하에 전기 공급을 차단시키되,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킨 후에 상기 연산부에 의해 다시 산출된 유효전력이 다음 차단전력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 산출된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개폐기를 다시 오프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2.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서버;
    상기 제어 신호를 각각의 전력량계로 전달하는 데이터 집중 장치; 및
    전력량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량계는
    개폐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전압 신호 또는 상기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에 인가된 전력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기를 온 시켜 부하에 전기를 공급시키거나, 상기 개폐기를 오프 시켜 부하에 전기 공급을 차단시키되, 차단시키되,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킨 후에 상기 연산부에 의해 다시 산출된 유효전력이 다음 차단전력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 산출된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개폐기를 다시 오프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 또는 상기 부하에 인가된 전력, 또는 상기 개폐기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량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기를 온 시켜 부하에 전기를 공급시키거나, 상기 개폐기를 오프 시켜 부하에 전기 공급을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개폐기의 온 신호, 상기 개폐기의 오프 신호, 상기 전압 신호 또는 상기 전류 신호의 측정 시간, 영구차단 조건, 상기 개폐기의 오프 상태 이후 복귀 시간, 구간별 부하제한 프로세스 별도 설명 및 상태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력량계 시스템.
  6. 연산부가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산출된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 산출된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지 않은 경우, 내부에 배치된 개폐기를 오프 시키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오프 시킨 횟수를 카운트 하는 단계;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키는 단계;
    다시 상기 연산부가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산출된 유효전력이 다음 차단전력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 산출된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개폐기를 다시 오프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량계의 동작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키는 단계는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에도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키지 않고,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키는 단계인 전력량계의 동작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차단전력은 상기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은 전력량계의 동작방법.
KR1020140015077A 2014-02-10 2014-02-10 전력량계, 전력량계 시스템 및 전력량계의 동작방법 KR101452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077A KR101452751B1 (ko) 2014-02-10 2014-02-10 전력량계, 전력량계 시스템 및 전력량계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077A KR101452751B1 (ko) 2014-02-10 2014-02-10 전력량계, 전력량계 시스템 및 전력량계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751B1 true KR101452751B1 (ko) 2014-10-22

Family

ID=5199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077A KR101452751B1 (ko) 2014-02-10 2014-02-10 전력량계, 전력량계 시스템 및 전력량계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512A1 (ko) * 2018-05-08 2019-11-14 Jeong Yeon Moon 전자식 전력량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437A (ko) * 2003-02-28 2004-02-11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다중 부하용 전자식 전력량계의 부하 제어장치
KR20050047600A (ko) * 2003-11-18 2005-05-23 (주)누리텔레콤 누전 및 과전류 차단기능을 가진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제어방법
KR20050069641A (ko) * 2003-12-31 2005-07-05 주식회사 우림데이시스 전자식 전력량계를 구현한 다기능 전력선통신(plc) 모듈
KR20110024373A (ko) * 2009-09-02 2011-03-09 주식회사 플레넷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 계측기 원격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437A (ko) * 2003-02-28 2004-02-11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다중 부하용 전자식 전력량계의 부하 제어장치
KR20050047600A (ko) * 2003-11-18 2005-05-23 (주)누리텔레콤 누전 및 과전류 차단기능을 가진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제어방법
KR20050069641A (ko) * 2003-12-31 2005-07-05 주식회사 우림데이시스 전자식 전력량계를 구현한 다기능 전력선통신(plc) 모듈
KR20110024373A (ko) * 2009-09-02 2011-03-09 주식회사 플레넷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 계측기 원격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512A1 (ko) * 2018-05-08 2019-11-14 Jeong Yeon Moon 전자식 전력량계
US11493544B2 (en) 2018-05-08 2022-11-08 Yeon Moon Jeong Electronic electricity me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9634B1 (en) Wireless branch circuit energy monitoring system
US88540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current drawn by a protected load in a self-powered electronic protection device
US1002015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cause of a voltage outage load-side from a circuit breaker, auxiliary unit for a circuit breaker, electric system comprising a circuit breaker and one such auxiliary unit
WO2015047383A1 (en) Distributed arc fault protection between outlet and circuit breaker
WO20131545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ranch circuit current
KR20130125184A (ko) 스마트그리드 지원 지능형 절전콘센트
JP2005228732A (ja) 故障検出装置
KR101452751B1 (ko) 전력량계, 전력량계 시스템 및 전력량계의 동작방법
JP2010019680A (ja) 電力量計
JP6509029B2 (ja) 分電盤
KR101362777B1 (ko) 무선 통신 기반 콘센트 장치 및 대기전력 차단 방법
KR20050080950A (ko) 전선용량 과부하 감지회로 및 이를 내장한 전원차단장치
KR20140126934A (ko) 절전 지능형 멀티콘센트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08305595A (ja) 回路遮断器
JP2008277227A (ja) 回路遮断器
KR102006186B1 (ko) 디지털 보호 계전기
CN209562145U (zh) 一种电机用的智能接触器***
US11536754B2 (en) Electricity meter with fault tolerant power supply
RU2791868C2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ключения
JP2007325399A (ja) 分電盤
KR200266349Y1 (ko) 미소 전류 감지 절전기
CN111103535A (zh) 断路器监测装置
GB2586729A (en) Faceplate switch
KR20150033764A (ko)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의하여 차단된 대기 전력의 자동 복구 시스템 및 자동 복구 방법
KR20030038948A (ko) 미소 전류 감지 절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