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226B1 -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 - Google Patents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226B1
KR101452226B1 KR1020130156055A KR20130156055A KR101452226B1 KR 101452226 B1 KR101452226 B1 KR 101452226B1 KR 1020130156055 A KR1020130156055 A KR 1020130156055A KR 20130156055 A KR20130156055 A KR 20130156055A KR 101452226 B1 KR101452226 B1 KR 101452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ing
equipment
broadcasting equipment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원호
Original Assignee
제일정보통신(주)
송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정보통신(주), 송원호 filed Critical 제일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130156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04H60/8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 H04H60/8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which ar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인터넷을 이용하여 방송장비 제어장치에 접속하여 이동형 방송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인식번호가 각각 부여된 복수 개의 방송 장비와,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상기 방송 장비가 제어되기 위한 제어 신호와 상기 스마트폰에 포함된 마이크에서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신호와 음성 신호를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CDMA, WCDMA, LTE, LTE-A 중 어느 하나의 전송 방식에 의해 수신받고, 상기 방송 장비에 상기 제어 신호와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신호는 제어하고자하는 방송 장비의 인식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방송 장비의 전원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켜지거나 꺼지도록 하는 시간 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 {Smart Phone and Internet Used Broadcas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인터넷을 이용하여 방송장비 제어장치에 접속하여 이동형 방송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등과 같은 전자기기는 리모컨으로 전자제품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의 발전으 인터넷을 통해 집 외부에서 집 내부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방송장비의 종류에는 촬영 장치와, 음성 녹음 장치, 조명 장치, 방송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송 신호 전송 장치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방송장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복수 명의 방송장비 조작 인원이 요구된다.
그러나 소수의 인원으로 방송을 제작하는 스튜디오나 이동식 방송 장비를 사용하는 방송 차량, 개인 방송인 및 개인 방송 제작자 등은 방송장비를 조작할 수 있는 인원이 적어 모든 방송장비를 직접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인 방송인이 방송 장비의 전원을 직접 켜고 방송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에 방송이 시작되고 나서도 개인 방송인이 자리를 잡는 데까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장비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 장비에서 촬영되는 화면이 스마트폰 화면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장비 제어를 위한 음성 명령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장비의 전원이 소정의 시간에 켜지거나 꺼지도록 설정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는, 소정의 인식번호가 각각 부여된 복수 개의 방송 장비와,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상기 방송 장비가 제어되기 위한 제어 신호와 상기 스마트폰에 포함된 마이크에서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신호와 음성 신호를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CDMA, WCDMA, LTE, LTE-A 중 어느 하나의 전송 방식에 의해 수신받고, 상기 방송 장비에 상기 제어 신호와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신호는 제어하고자하는 방송 장비의 인식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방송 장비의 전원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켜지거나 꺼지도록 하는 시간 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상기 신호 송수신기는 상기 방송 장비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적외선 통신 또는 유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상기 신호 송수신기는 상기 스마트폰에 결합 되어 유선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스마트폰의 마이크에서 입력받아 상기 제어 신호로 바꾸는 음성 인식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방송장비의 전원 상태와 제어 상태 또는 방송 장비에서 촬영되는 화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스마트폰 내에 저장된 음악 파일이나 상기 방송장비 중에 저장된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방송에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에 의하면 방송장비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방송장비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에 의하면 음성명령으로 방송장비를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에 의하면 스마트폰에 포함되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방송장비가 더욱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신호 송수신기를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인터넷을 이용하여 방송장비 제어장치에 접속하여 이동형 방송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신호 송수신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는 소정의 인식번호가 각각 부여된 복수 개의 방송 장비(100)와,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상기 방송 장비가 제어되기 위한 제어 신호와 상기 스마트폰에 포함된 마이크에서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200)과,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신호와 음성 신호를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CDMA, WCDMA, LTE, LTE-A 중 어느 하나의 전송 방식에 의해 수신받고, 상기 방송 장비에 상기 제어 신호와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수신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신호는 제어하고자하는 방송 장비의 인식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방송 장비의 전원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켜지거나 꺼지도록 하는 시간 설정 기능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방송 장비(100)는 제어 신호를 구분하여 수신하기 위한 소정의 인식번호가 방송 장비마다 각각 부여되어 있다.
방송을 위해 필요한 장비의 종류에는 촬영 장비, 음향 장비, 조명 장비, 방송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 장비, 상기 방송 장비들을 컨트롤하기 위한 각종 컨트롤 장비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방송에 필요한 장비는 다양하기 때문에 소정의 인식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방송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제어하려는 방송장비의 인식번호가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인식번호에 대응되는 방송장비에 제어명령이 전송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200)의 제어 신호는 제어하고자 하는 방송 장비의 인식번호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장비의 인식번호는 방송장비마다 고유한 값을 가지도록 지정하며 상기 인식번호를 이용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방송 장비에 제어 신호가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인식번호로 인해 복수 개의 방송장비가 서로 혼동되어 제어되지 않는다.
또한 신호 송수신기가 적외선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송 장비의 인식번호에 대응되는 커스텀 코드가 전송된다. 적외선 통신의 커스텀 코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200)은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방송 장비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며 상기 방송 장비가 제어되기 위한 제어 신호와 상기 스마트폰에 포함된 마이크에서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스마트폰에는 통화를 위한 마이크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것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음성 신호를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CDMA, WCDMA, LTE, LTE-A 중 어느 하나의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 송수신기에 전송하며 상기 신호 송수신기에서는 수신받은 상기 음성 신호를 녹음 장치나 음향 컨트롤 장치 등 상기 음성 신호가 요구되는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스마트폰 내에 저장된 음악 파일이나 상기 방송장비 중에 저장된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방송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중에 필요한 배경음악이나 효과음 등 방송에 필요한 음악 파일이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음악 파일이 신호 송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방송장비에 포함될 수 있는 음향장비에 전송된다.
또한 방송 중에 필요한 배경음악이나 효과음 등 방송에 필요한 음악 파일이 상기 방송장비 중에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스마트폰의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음악 파일이 저장된 방송장비에 전송한다.
상기 음악 파일은 스피커를 통해 방송이 진행되는 장소에 직접 재생될 수 있거나 촬영 중인 영상의 필요한 부분에 더해지도록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신호 송수신기(300)는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신호와 음성 신호를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CDMA, WCDMA, LTE, LTE-A 중 어느 하나의 전송 방식에 의해 수신받고, 상기 방송 장비에 상기 제어 신호와 음성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상기 신호 송수신기는 상기 방송 장비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적외선 통신 또는 유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전송한다.
적외선 통신을 위한 적외선 코드는 리드 코드(Lead Code)와 커스텀 코드(Custom Code)와 데이터 코드(Data Code)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드 코드는 코드의 시작을 의미하는 부분이고 커스텀 코드는 장비의 종류를 지정하는 부분이고 데이터 코드는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가지는 부분이다.
상기 커스텀 코드는 장비의 종류와 제조사마다 다른 코드를 갖기 때문에 상기 커스텀 코드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려는 장비가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장비의 전원을 제어하고 볼륨을 조절하는 등의 간단한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 신호는 위와 같은 적외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복잡한 제어 신호와 많은 수의 방송 장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유선 연결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 또는 CDMA, WCDMA, LTE, LTE-A 등 고주파를 이용한 원격 제어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상기 신호 송수신기는 상기 스마트폰에 결합되어 유선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받을 수도 있다.
상기 스마트폰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기 신호 송수신기는 소형으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에 연결되는 형태의 모듈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스마트폰에 내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신호 송수신기가 소형으로 제작되어 스마트폰에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에 결합된 소형의 신호 송수신기가 상기 방송 장비에 유선으로 연결되면 무겁고 불편할 수 있으므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외선 통신은 복잡한 제어 신호의 전송과 많은 수의 방송 장비를 제어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상기 적외선 통신은 상기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상기 음성 신호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CDMA, WCDMA, LTE, LTE-A 중 어느 하나의 전송 방식에 의해 상기 음성 신호가 요구되는 장비에 전송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음성 신호와 상기 방송 장비로 촬영된 영상 신호에는 음성과 영상의 싱크를 맞추기 위한 시간 정보가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스마트폰의 마이크에서 입력받아 상기 제어 신호로 바꾸는 음성 인식 기능을 더 포함한다.
음성 인식 기능이 포함되기 위해서는 미리 수집된 음성모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음성모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음성 신호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것을 선택하고 그것을 디지털 언어로 변환하는 연산장치가 필요하다.
상기 스마트폰에 포함된 음성인식 기능은 상기 스마트폰에 상기 음성모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연산장치가 포함되어 직접 상기 음성인식 기능을 수행하거나, 상기 음성 신호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외부의 데이터센터로 보내져서 분석된 후에 분석된 결과가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된다.
외부에서 음성 분석이 수행되기 때문에 상기 스마트폰 내부에 음성인식을 위한 기능을 보유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통신 속도에 따라 딜레이 시간이 있을 수 있다.
일실시 예로, 개인 방송인 또는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방송 또는 촬영을 진행하다가 방송을 종료하고자 한다면 상기 스마트폰의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보고 방송 장비 전원 종료 기능을 선택해야 하는데 이것은 방송인의 시선 분산을 유도하기 때문에 방송의 흐름이 끊어져서 방송의 집중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 화면을 보지 않고 화면 영역을 터치하여 음성 입력 대기 상태를 유도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 입력 대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을 보지 않고 제어 명령을 음성으로 내려서 방송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 기능은 방송의 자막을 표시하는 데에 이용될 수도 있다. 자막 처리를 쉽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방송 중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 처리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텍스트는 편집과정을 거쳐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 처리하는 기능은 딜레이 시간이 있기 때문에 모든 음성을 텍스트 변환 처리하는 것보다는 상기와 같이 음성 입력 대기 상태를 이용하여 입력받은 음성만 텍스트로 변환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 처리하는 중에 오타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상기 편집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또한 부정확한 발음이나 주변의 잡음 등으로 인해 음성 인식이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 또는 상기 방송장비 중에 포함될 수 있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 실패를 알리고 재인식을 안내하는 음성 또는 경고음을 재생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음성 인식 시작 안내, 음성 인식 중, 음성 인식 완료, 음성 인식 실패 안내 등에 재생할 안내 음성 파일 또는 안내 알림음 파일이 상기 방송 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사용하는 중에는 사용자의 음성이나 안내 음성 또는 안내 알림음이 상기 방송장비에 전송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은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와 음색 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음성을 저장하여 음성 인식의 대상을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사용하는 중에 잡음이나 주변 인물의 음성이 섞이게 되면 음성 인식도가 떨어지거나 상기 방송장비가 잘못 제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지정된 사용자를 제외한 사람이 상기 방송 장비를 함부로 제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방송 장비의 전원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켜지거나 꺼지도록 하는 시간 설정 기능을 포함한다.
정확한 시간에 방송이 시작되고 종료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방송인이 촬영이 진행되는 장소에서 준비를 마치고 제자리에 섰을 때 마지막 준비를 마치고 방송을 시작할 수 있도록 몇 초의 여유를 주는 상기 시간 설정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소규모 방송 제작자나 개인 방송 제작자 또는 방송인 등은 모든 방송 장비의 설정을 원하는 데로 설정하여 방송 대기 상태에 있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에 모든 방송 장비의 전원이 켜지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방송의 종료에 있어서도 상기 모든 방송 장비가 설정된 시간에 동작이 중지되고 방송 제작 또는 방송 신호 송신 작업 등이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 예로, 사용자는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제어할 수 있는 방송장비의 목록을 제공받고 상기 방송장비의 목록에서 각각의 방송장비를 선택하여 제어될 순서와 제어될 시간, 제어될 기능과 방식 등을 미리 세팅하면, 이후에 방송을 진행하는 데 있어 상기 미리 세팅한 제어 값에 따라 상기 방송장비가 자동으로 작동하게 된다.
또한 미리 세팅한 제어 값은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경우 제공되어 다른 방송을 진행하는 데 다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장비를 세팅한 값에 방송의 종류나 방송의 제목 등과 같은 태그를 기재할 수 있어 다시 사용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장비가 제어될 시간을 정확하게 지정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리허설 방송을 진행하면서 상기 방송장비를 직접 또는 원격에서 제어하고 상기 리허설 방송을 진행하면서 방송장비를 제어한 순서와 제어한 시간, 제어한 기능과 방식 등이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리허설 방송이 종료된 후에 상기에서 저장된 방송장비의 세팅 값을 실제 방송이 실행될 때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시작 시각 또는 방송 종료 시각 등을 설정했을 경우에 사용자가 설정한 시각이 되면 상기 스마트폰이 진동하여 화면을 보고 있지 않아도 알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화면을 보고 있지 않아도 정확한 설정 시각 순간을 알아야 한다면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시각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스마트폰이 진동하는 간격이 점차 짧아지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스마트폰이 일정한 횟수만큼 진동(예를 들면 1초당 3번)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방송장비의 전원 상태와 제어 상태 또는 촬영되는 화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한다.
상기 방송장비의 전원 상태, 즉 전원이 켜지거나 꺼진 상태를 표시하고 볼륨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시간 설정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방송이 시작되는 시간 또는 방송이 종료되는 시간까지 남아 있는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촬영되고 있는 화면이 상기 스마트폰의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방송인이 직접 촬영 장비에 가서 촬영 상태를 확인할 필요없이 방송이 진행되는 자리에 서서 상기 스마트폰의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상기 촬영되고 있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어 방송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동작 순서는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S1)하고 제어하려는 방송장비를 선택하여 동작을 선택(S2)한다.
상기 방송장비의 제어할 수 있는 동작에는 상기 방송장비의 전원을 켜거나 끄는 전원 제어, 음성 볼륨이나 배경 음악의 볼륨을 제어하고 촬영 화면의 명암이나 색감의 정도, 조명 장치의 출력 등을 제어하는 볼륨 제어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장비를 선택하고 제어하려는 동작을 선택하여 신호 송수신기에 제어 신호를 전송(S3)한다.
상기 신호 송수신기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CDMA, WCDMA, LTE, LTE-A 등의 무선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제어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받거나, 상기 신호 송수신기가 소형으로 제작되어 상기 스마트폰에 장착되어 유선으로 제어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신호 송수신기가 소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송하는 방식보다는 적외선 통신으로 방송 장비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또한 제어 신호에 포함된 인식번호에 대응되는 방송장비에 스마트폰의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받은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방송장비가 제어(S5)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의 신호 송수신기의 일실시 예는 신호 분석 장치(310)와 신호 연산 처리 장치(320)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330)를 포함한다.
신호 분석 장치(310)는 상기 스마트폰의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어하려는 방송장비의 인식번호가 포함된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 신호에서 상기 방송장비의 인식번호를 분리하여 제어하려는 방송장비의 종류와 제어하려는 동작을 분석한다.
신호 연산 처리 장치(320)에서는 신호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의 처리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출력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30)는 상기 신호 연산 처리 장치에 우선 순위를 처리하라는 명령을 내리며 상기 신호 연산 처리 장치에서 입력받은 제어 신호 및 음성 신호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인식번호에 대응되는 방송장비에 전송한다.
상기 방송장비의 신호 수신부(미도시)에서 제어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받아 방송장비 컨트롤러(110)에 전송하면 상기 방송장비 컨트롤러를 통해 방송장비를 컨트롤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방송장비 컨트롤러에는 전원 컨트롤러, 볼륨 컨트롤러, 화면 컨트롤러, 출력 컨트롤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복수 개의 방송장비
110 : 방송장비 컨트롤러
200 :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
300 : 신호 송수신기
310 : 신호 분석 장치
320 : 신호 연산 처리 장치
330 : 마이크로 컨트롤러
S1 :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
S2 : 제어하려는 방송장비 및 동작 선택
S3 : 신호 송수신기에 제어 신호 전송
S4 : 제어 신호의 인식번호에 따른 방송장비에 제어 신호 전송
S5 : 방송장비 제어

Claims (6)

  1. 소정의 인식번호가 각각 부여된 복수 개의 방송 장비와;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상기 방송 장비가 제어되기 위한 제어 신호와 상기 스마트폰에 포함된 마이크에서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신호와 음성 신호를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CDMA, WCDMA, LTE, LTE-A 중 어느 하나의 전송 방식에 의해 수신받고, 상기 방송 장비에 상기 제어 신호와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신호는 제어하고자하는 방송 장비의 인식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방송 장비의 전원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켜지거나 꺼지도록 하는 시간 설정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송수신기는 상기 방송 장비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적외선 통신 또는 유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전송하며,
    상기 적외선 통신을 위한 적외선 코드는 리드 코드와 커스텀 코드와 데이터 코드로 구성되며,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스마트폰의 마이크에서 입력받아 상기 제어신호로 바꾸는 음성인식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음성인식 기능은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와 음색을 분석하여 음성 인식의 대상을 지정하며
    상기 방송장비가 제어될 시간은 리허설 방송을 진행하면서 방송장비를 제어한 순서와 제어한 시간이 저장되어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수신기는 상기 스마트폰에 결합 되어 유선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스마트폰의 마이크에서 입력받아 상기 제어 신호로 바꾸는 음성 인식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방송장비의 전원 상태와 제어 상태 또는 방송 장비에서 촬영되는 화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장비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스마트폰 내에 저장된 음악 파일이나 상기 방송장비 중에 저장된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방송에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


KR1020130156055A 2013-12-16 2013-12-16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 KR101452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055A KR101452226B1 (ko) 2013-12-16 2013-12-16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055A KR101452226B1 (ko) 2013-12-16 2013-12-16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226B1 true KR101452226B1 (ko) 2014-11-07

Family

ID=5228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055A KR101452226B1 (ko) 2013-12-16 2013-12-16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2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7563A (zh) * 2015-03-19 2015-07-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收集方法及装置
KR102177131B1 (ko) * 2020-05-18 2020-11-11 아카데미정보통신(주)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008B1 (ko) * 2004-11-08 2005-06-23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Pda를 이용한 방송장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1082845B1 (ko) * 2011-07-05 2011-11-11 (주)씨앤에스아이 Ip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폰 영상 제공 시스템
KR101209108B1 (ko) * 2012-03-14 2012-12-06 동화전자산업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마이크 방송시스템
KR20130083503A (ko) * 2012-01-13 2013-07-23 허주일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008B1 (ko) * 2004-11-08 2005-06-23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Pda를 이용한 방송장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1082845B1 (ko) * 2011-07-05 2011-11-11 (주)씨앤에스아이 Ip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폰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30083503A (ko) * 2012-01-13 2013-07-23 허주일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KR101209108B1 (ko) * 2012-03-14 2012-12-06 동화전자산업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마이크 방송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7563A (zh) * 2015-03-19 2015-07-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收集方法及装置
KR102177131B1 (ko) * 2020-05-18 2020-11-11 아카데미정보통신(주)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3304B2 (en) Picture display device, and setting modification method and setting modification program therefor
US10254937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data transfer methods in a controlling device
US9219949B2 (en) Display apparatus, interactiv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response information
WO201603593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60063894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voice guidance function, a system having the same, and a corresponding voice guidance method
CN105659318B (zh) 声音识别处理装置、声音识别处理方法以及显示装置
US9520132B2 (en) Voice recognition device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KR102444603B1 (ko)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및 원격제어시스템
KR201501461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31896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20150144547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4008771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6254913A (zh) 多媒体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CN106453032B (zh) 信息推送方法及装置、***
EP3324379B1 (en) Display device, and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setting method and system for same
KR101452226B1 (ko)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
CN104244132A (zh) 一种智能耳机***及其控制方法
US1146221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171307A1 (en) Media playback system with real-time camera image display and method thereof
JP2002247666A (ja) 機器制御方法および機器制御システム
US2013034371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yback of media player
US201603500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peration screen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2243588B (zh) 电子设备、非易失性存储介质及声音识别方法
KR20210015986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음성 인식 방법
JP2013153343A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映像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