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171B1 -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 - Google Patents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171B1
KR101452171B1 KR1020130141771A KR20130141771A KR101452171B1 KR 101452171 B1 KR101452171 B1 KR 101452171B1 KR 1020130141771 A KR1020130141771 A KR 1020130141771A KR 20130141771 A KR20130141771 A KR 20130141771A KR 101452171 B1 KR101452171 B1 KR 101452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acceleration
tilt
estimat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웅
이진학
한택희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141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 G01M5/005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by means of external apparatus, e.g. test benches or portable test systems
    • G01M5/005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by means of external apparatus, e.g. test benches or portable test systems of elongated objects, e.g. pipes, masts, towers or railw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은 구조물에 가속도 센서를 부착하여 상기 구조물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측정 단계, 상기 구조물에 기울기 센서를 부착하여 상기 구조물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측정 단계, 상기 가속도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가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의 변위를 산출하는 변위 산출 단계, 상기 변위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변위와 상기 기울기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각각의 1차 모드를 서로 비교하여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보정계수 산출 단계 및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상기 보정계수를 곱하여 상기 구조물의 변위를 추정하는 변위 추정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Method of Estimating Displacement of a Tower Structure}
본 발명은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변위 측정을 원하는 위치의 가속도와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변위를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변위는 구조물의 상태를 직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물리량이다. 하지만, 풍력발전기, 송전탑 및 기상타워와 같은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측정은 상당히 제약된다. 변위 측정을 위한 방법은 크게 직접법과 간접법으로 나눌 수 있다. (Park et al). 직접법은 변위 측정을 위한 장치를 고정점에 설치하고 장치와 풍력발전기의 상대적인 변위를 측정하는 기법이며, LDV (Laser Doppler Vibrometer) (Nassif et al. 2005),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그리고 영상기반 방법 (Lee et al. 2006, Park et al. 2010)등이 있다. 그렇지만 이들 장치는 매우 고가이거나 장기간 외부에 설치가 어려우며 기상환경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간접적인 방법은 가속도, 변형률 및 각도와 같은 물리량을 변위로 변환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물리량들은 측정 시 고정점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직접법에 비해 센서 설치의 위치적 제약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가속도를 통해 변위를 추정할 경우, 측정 잡음으로 인해 저주파 성분이 크게 증폭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Lee et al. (2010)은, FIR (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 기반의 변위추정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철도 교량에 적용하여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Foss and Haugse (1995) 는 구조물의 여러 지점에서 계측된 변형률을 모드형상의 변환을 통해 변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외팔보를 통해 실험적 검증을 수행하였다. Park et al (2013) 은 가속도와 변형률을 통한 변위 추정 방법의 장점을 결합하는 융합식을 제안하였으며, 실제 교량에서의 실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하지만 계측 시 변형률 및 가속도 데이터가 필요하며, 변형률계 설치가 어려운 경우 계측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간단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구조물의 변위를 추정할 수 있는 구조물의 위치 추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은 가속도 측정 단계, 기울기 측정 단계, 변위 산출 단계, 보정계수 산출 단계 및 변위 추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측정 단계에서는 구조물에 가속도 센서를 부착하여 상기 구조물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 측정 단계에서는 상기 구조물에 기울기 센서를 부착하여 상기 구조물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변위 산출 단계에서는 상기 가속도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가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의 변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보정계수 산출 단계에서는 상기 변위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변위와 상기 기울기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각각의 1차 모드를 서로 비교하여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위 추정 단계에서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상기 보정계수를 곱하여 상기 구조물의 변위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상기 변위 추정 단계를 반복하여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를 주기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상기 기울기 센서는 상기 구조물의 최 상단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추정된 변위의 형태 또는 크기를 통해 구조물의 손상이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보정계수는
Figure 112013105796905-pat00001
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위치 추정 방법에 의하면 구조물의 변위와 기울기의 1차 모드를 이용하여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보정계수를 구조물의 기울기에 곱하여 구조물의 변위를 추정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구조물의 변위를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단순화된 풍력 터빈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풍력발전기의 주된 세 가지 고유진동수별 모드 형상;
도 3은 풍력터빈의 추력을 계산하여 얻은 하중의 그래프;
도 4는 센서 융합을 통해 추출된 수치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및
도 5는 확대된 시계열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단순화된 풍력 터빈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워형 구조물(100)이란 지상으로부터 수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지는 구조물(100)로, 이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타워형 구조물(100)이 풍력 터빈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은 가속도 측정 단계, 변위 산출 단계, 기울기 측정 단계, 보정계수 산출 단계 및 변위 추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측정 단계에서는 구조물(100)에 가속도 센서(200)를 부착하여 구조물(100)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200)는 타워형 구조물(100)의 변위 측정이 필요한 일반적으로 최 상단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기울기 측정 단계에서는 구조물(100)에 기울기 센서(300)를 부착하여 타워형 구조물(100)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300)는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기울기 센서(300)가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기울기 센서(300)가 타워형 구조물(100)에 설치된 가속도와 같은 위치인 최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울기 센서(300)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상호 인접한 기울기 센서(300)는 구조물(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변위 산출 단계에서는 가속도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가속도를 이용하여 구조물(100)의 변위를 산출할 수 있다. 가속도를 두 번 적분하면 변위가 되므로 이에 따라 가속도 센서(200)로부터 측정된 구조물(100)의 가속도를 두 번 적분하여 구조물(100)의 변위를 구할 수 있다.
기울기와 변위의 관계는 모드형상을 매개로 다음과 같이 수학식 1과 수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3105796905-pat00002
Figure 112013105796905-pat00003
여기서 φ와 ψ는 각각 변위와 회전각의 모드형상이며, q는 일반화된 좌표이다. 측정된 회전각 정보로부터 수학식 3과 같이 일반화된 좌표를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13105796905-pat00004
여기서 +는 pseudo inverse를 의미한다.
변위는 수학식 1과 수학식 3으로부터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은 형태로 구해지며, 이를 통해 회전각과 변위 사이에 선형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3105796905-pat00005
그러나, 가속도를 적분하는 과정에서 미지수인 적분상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구조물(100)의 정확한 변위를 산출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보정계수 산출 단계에서는 기울기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기울기 및 변위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변위를 각각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각각의 1차 모드를 서로 비교하여 보정계수(α)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계수(α)는 다음의 수학식 5와 같다.
Figure 112013105796905-pat00006
여기서
Figure 112013105796905-pat00007
은 1차 고유진동수이며,
Figure 112013105796905-pat00008
은 가속도의
Figure 112013105796905-pat00009
에서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크기,
Figure 112013105796905-pat00010
은 수학식 4를 통해 기울기로부터 추정된 변위의
Figure 112013105796905-pat00011
에서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크기를 의미한다.
그리고, 변위 추정 단계에서는 아래의 수학식 6과 같이 기울기 센서(300)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보정계수(α)를 곱하여 구조물(100)의 변위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3105796905-pat00012
보정계수(α)는 구조물(100)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한 변하지 않는 값으로, 맨 처음 한 번만 보정계수(α)를 산출하면 이 후에는 기울기 센서(300)로부터 입력된 구조물(100)의 기울기 값에 보정계수(α)를 곱하여 간단하게 구조물(100)의 변위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구조물(100)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여기에 보정계수(α)를 곱하여 구조물(100)의 변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추정된 변위의 형태 또는 크기를 통해 구조물(100)의 손상이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300)를 통해 바로 변위로 복원할 경우, 센서 잡음으로 인해 동적인 변위 측정이 어렵고, 또한 모드형상의 오차로 인해 추정값에 상당한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가속도 센서(200)와 기울기 센서(300)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융합하여 변위를 추정할 수 있다.
두 가지 물리량을 융합하기 위하여 아래의 수학식 7과 같은 최소화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3105796905-pat00013
La는 가중치 대각행렬이며, 처음과 끝에
Figure 112013105796905-pat00014
을 제외하고는 단위행렬을 갖는다. Lc는 미분연산자이며 수학식 8로 표현된다.
Figure 112013105796905-pat00015
λ는 Tikhonov 정규화 상수이며 Lee et al. (2010) 에 의해
Figure 112013105796905-pat00016
로 정의되었으며
Figure 112013105796905-pat00017
는 첫 번째 고유주기에 해당하는 데이터 개수이다. 수학식 7을 u에 대해 미분하여 정리하면 다음의 수학식 9와 같이 가속도와 회전각에 대한 수식을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13105796905-pat00018
여기서,
Figure 112013105796905-pat00019
,
Figure 112013105796905-pat00020
그리고
Figure 112013105796905-pat00021
이다.
상기와 같이 제안된 방법의 수치적 검증을 위해 타워형 구조물로서 다음과 같은 단순화 시킨 풍력 터빈 모형을 대상으로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수치모델은 NREL에서 제안한 바 있는 5MW급 풍력 터빈의 제원을 참고로 하여 도 1 그리고 아래의 표 1과 같이 모델링 하였다. 풍력터빈의 높이는 90m 이며, 고유진동수는 각각 1차 0.33Hz, 2차 3.44Hz 그리고 3차 10.33Hz 이다.
Figure 112013105796905-pat00022
상기 표 1에서 D1은 풍력터빈의 최 상단의 지름이며, D2는 최 하단의 지름이다.
도 2는 도 1의 풍력발전기의 주된 세 가지 고유진동수별 모드 형상이다. 여기서, 기울기의 모드형상은 변위의 모드 형상을 보간하여 미분하여 추출하였다.
풍력터빈의 상부는 블레이드와 나셀의 무게를 모함한 집중질량으로 모델링하였으며, 상부에 작용하는 풍하중은 NREL에서 개발한 풍력터빈 시뮬레이터 FAST (Fatigue, Aerodynamics, Structures, and Turbulence) 를 통해 구하였다.
20m/s 대역의 풍속이 작용하는 5MW급 풍력터빈의 추력을 계산하여 얻은 후, Hanning 윈도우를 적용하여 도 3과 같은 하중을 얻었으며 이를 수치해석에 적용하였다.
수치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총 4가지 경우의 기울기 센서(300) 배치 형태를 고려하였다. 아래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센서를 배치하였으며 모든 경우에 가속도 센서(200)는 변위 계측을 요구하는 풍력터빈의 최상단에 배치하였다.
Figure 112013105796905-pat00023
도 4는 센서 융합을 통해 추출된 수치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는 확대된 시계열 그래프이다.
수치해석의 결과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4는 센서 융합을 통해 추출된 Case1 ~ Case4의 결과와 단순히 기울기 센서(300) 하나만을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를 보여준다. 기울기 센서(300) 하나만 사용하였을 때는 모드형상의 오차를 제대로 보정해 줄 수 없기 때문에 유사 크기가 약간 다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Case 1~ 4의 모든 경우가 참값과 상당히 유사한 형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기울기 센서(300)의 사용이 많아진다고 해서 반드시 결과의 정확도가 향상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3105796905-pat00024
이러한 결과는 상기 표 3에 정량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표 3은 데이터 융합의 경우와 기울기 센서(300)만 사용하였을 경우를 정리하였으며 상관계수와 RMS (Root Mean Square)오차를 통해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RMS 오차는 수학식 10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3105796905-pat00025
기울기 센서(300)만 사용하였을 때는 모든 경우에 대하여 상관계수는 센서융합(fusion)의 경우와 크게 차이가 없었으며 높은 상관계수를 보이고 있다. 즉 기울기 센서(300) 단독으로 추정된 변위는 실제값과 상당히 유사한 파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식 6>에 정의된 오차를 산정해본 결과 실제값과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모드형상의 오차로 인해 변위의 스케일에 오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센서융합을 통한 결과는 가속도와의 융합을 통해 모드형상의 오차를 보정하므로 기울기 센서(300) 단독사용에 비해 상당히 작은 오차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센서의 수가 많아진다고 해서 반드시 정확도의 향상은 기대할 수 없었으며, 센서 하나 (Case1)의 경우만으로도 공학적으로도 매우 유용한 목적으로 충분히 변위를 잘 추정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울기 센서(300)와 가속도 센서(200)를 융합하는 경우 모드형상의 오차를 보정해줄 수 있어 스케일이 맞는 변위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기울기 센서(300) 하나와 가속도 센서(200) 하나만을 이용하여도 변위를 매우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구조물
200: 가속도 센서
300: 기울기 센서

Claims (5)

  1. 구조물에 가속도 센서를 부착하여 상기 구조물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측정 단계;
    상기 구조물에 기울기 센서를 부착하여 상기 구조물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측정 단계;
    상기 가속도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가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의 변위를 산출하는 변위 산출 단계;
    상기 변위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변위와 상기 기울기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각각의 1차 모드를 서로 비교하여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보정계수 산출 단계; 및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상기 보정계수를 곱하여 상기 구조물의 변위를 추정하는 변위 추정 단계;
    를 포함하는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상기 변위 추정 단계를 반복하는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상기 기울기 센서는 상기 구조물의 최 상단에 부착되는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추정된 변위의 형태 또는 크기를 통해 구조물의 손상이나 변화를 예측하는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는,
    Figure 112013105796905-pat00026
    인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
KR1020130141771A 2013-11-20 2013-11-20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 KR101452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771A KR101452171B1 (ko) 2013-11-20 2013-11-20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771A KR101452171B1 (ko) 2013-11-20 2013-11-20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171B1 true KR101452171B1 (ko) 2014-10-22

Family

ID=5199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771A KR101452171B1 (ko) 2013-11-20 2013-11-20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17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959B1 (ko) 2015-06-08 2015-10-23 주식회사 산강이엔씨 변형률 계측 센서와 기울기 계측 센서를 이용한 계측으로 강관의 압입 방향을 감지하는 강관 압입 방법
KR20160072559A (ko) * 2014-12-15 2016-06-23 에스티건설 주식회사 말뚝 및 타워형 구조물의 최 상단 가속도와 각속도를 이용한 손상 추정 방법
KR101751808B1 (ko) * 2015-11-02 2017-06-28 현대건설 주식회사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초고층 건물의 횡변위 계측 시스템 및 방법
KR101754488B1 (ko) * 2015-10-28 2017-07-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속도정보와 회전정보를 이용한 구조물 변위이력 측정방법
KR101816418B1 (ko) * 2016-06-24 2018-01-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변위 및 경사각 계측 데이터를 융합한 구조물의 변형 형상 추정 방법
KR20220053333A (ko) 2020-10-22 2022-04-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가속도와 변형률을 이용한 구조물변위측정시스템 및 변위측정방법
KR20220105947A (ko) 2021-01-21 2022-07-28 한국전력공사 콘크리트 전주 경사도 현장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24798A (ko) 2022-02-18 2023-08-2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구조물 모니터링용 스마트 IoT센서 데이터 전처리 방법, 및 딥러닝 기반 이상치 감지 자동화시스템
KR102579391B1 (ko) 2022-12-29 2023-09-18 주식회사 스펙엔지니어링와이엔피 회전각 계측과 신호처리를 통한 구조물 변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160B1 (ko) 2000-02-15 2003-03-03 홍원기 완성된 건축물의 영구계측관리시스템
JP2009517666A (ja) 2005-12-02 2009-04-30 エー. デニッシュ,リー 形状/加速度測定機器および装置
KR100964004B1 (ko) 2008-04-21 2010-06-15 (주)대우건설 대형 구조물 양중을 위한 통합 자동화 시스템
KR20120139891A (ko) * 2011-06-20 2012-12-28 조동혁 기울기 센서가 설치된 구조물 및 구조물 기울기 원격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160B1 (ko) 2000-02-15 2003-03-03 홍원기 완성된 건축물의 영구계측관리시스템
JP2009517666A (ja) 2005-12-02 2009-04-30 エー. デニッシュ,リー 形状/加速度測定機器および装置
KR100964004B1 (ko) 2008-04-21 2010-06-15 (주)대우건설 대형 구조물 양중을 위한 통합 자동화 시스템
KR20120139891A (ko) * 2011-06-20 2012-12-28 조동혁 기울기 센서가 설치된 구조물 및 구조물 기울기 원격 측정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559A (ko) * 2014-12-15 2016-06-23 에스티건설 주식회사 말뚝 및 타워형 구조물의 최 상단 가속도와 각속도를 이용한 손상 추정 방법
KR101699856B1 (ko) * 2014-12-15 2017-01-25 에스티건설 주식회사 말뚝 및 타워형 구조물의 최 상단 가속도와 각속도를 이용한 손상 추정 방법
KR101562959B1 (ko) 2015-06-08 2015-10-23 주식회사 산강이엔씨 변형률 계측 센서와 기울기 계측 센서를 이용한 계측으로 강관의 압입 방향을 감지하는 강관 압입 방법
KR101754488B1 (ko) * 2015-10-28 2017-07-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속도정보와 회전정보를 이용한 구조물 변위이력 측정방법
KR101751808B1 (ko) * 2015-11-02 2017-06-28 현대건설 주식회사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초고층 건물의 횡변위 계측 시스템 및 방법
KR101816418B1 (ko) * 2016-06-24 2018-01-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변위 및 경사각 계측 데이터를 융합한 구조물의 변형 형상 추정 방법
KR20220053333A (ko) 2020-10-22 2022-04-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가속도와 변형률을 이용한 구조물변위측정시스템 및 변위측정방법
KR20220105947A (ko) 2021-01-21 2022-07-28 한국전력공사 콘크리트 전주 경사도 현장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24798A (ko) 2022-02-18 2023-08-2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구조물 모니터링용 스마트 IoT센서 데이터 전처리 방법, 및 딥러닝 기반 이상치 감지 자동화시스템
KR102579391B1 (ko) 2022-12-29 2023-09-18 주식회사 스펙엔지니어링와이엔피 회전각 계측과 신호처리를 통한 구조물 변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171B1 (ko) 타워형 구조물의 변위 추정 방법
Bajrić et al. Evaluation of damping estimates by automated operational modal analysis for offshore wind turbine tower vibrations
Draycott et al.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to non-linear wave loading on horizontal axis tidal turbines
Chen et al.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modal analysis of the Guangzhou New TV Tower
CN102506986B (zh) 自立式铁塔及大跨越输电塔模态和振动测试***及其方法
Takeuchi et al. Aerodynamic damping properties of two transmission towers estimated by combining several identification methods
KR101740896B1 (ko) 해상 풍력발전기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hen et al. Identification of aerodynamic damping in wind turbines using time-frequency analysis
CN108090614A (zh) 一种基于相关系数的空间风场预测模型建立方法
CN104537251A (zh) 一种风机叶片的冲击载荷识别方法
Pacheco et al. New strategies for optimized structural monitoring of wind farms: experimental campaign
Kwon et al. Revisiting gust averaging time and gust effect factor in ASCE 7
Najafi et al. Operational modal analysis on a VAWT in a large wind tunnel using stereo vision technique
Zhang et al. Deflection estimation of beam structures based on the measured strain mode shape
Devriendt et al. Long-term dynamic monitoring of an offshore wind turbine
Foreman et al. A method for increasing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in the Mellor–Yamada–Janjić boundary-layer parametrization
Stickland et al. Measurement and simulation of the flow field around a triangular lattice meteorological mast
Li et al. Effect of time-variant structural modal parameters on accurate estimation of wind-induced dynamic responses of high-rise buildings during typhoons
KR20150004127A (ko) 가속도 및 변형률 측정값에 기반한 구조물의 다 지점 변위 추정 방법
JP5989571B2 (ja) 自然エネルギー型分散電源群の合計発電出力の変動推定方法、変動推定装置及び変動推定プログラム
KR101699856B1 (ko) 말뚝 및 타워형 구조물의 최 상단 가속도와 각속도를 이용한 손상 추정 방법
Flamand et al. Conditions for occurrence of vortex shedding on a large cable stayed bridge: Full scale data from monitoring system
Xu et al. Wavelet-transform-based damping identification of a super-tall building under strong wind loads
Bischoff et al. An approach and discussion of a simulation based measurement uncertainty estimation for a floating lidar system
JP6556062B2 (ja) 測風装置、測風システム、測風方法、及び測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