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836B1 - 반자동 개폐형 덮개를 포함하는 칩 박스 - Google Patents

반자동 개폐형 덮개를 포함하는 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836B1
KR101451836B1 KR1020120018180A KR20120018180A KR101451836B1 KR 101451836 B1 KR101451836 B1 KR 101451836B1 KR 1020120018180 A KR1020120018180 A KR 1020120018180A KR 20120018180 A KR20120018180 A KR 20120018180A KR 101451836 B1 KR101451836 B1 KR 101451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ate
lid
chip
lifting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600A (ko
Inventor
지기헌
송연식
박정인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836B1/ko
Publication of KR20130096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46Devices for loading or unloading and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roller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33Lift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8Doors for containers, e.g. ISO-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에 연결되는 덮개부와 칩을 수납하는 본체부를 들어올리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덮개부가 반자동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칩 박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덮개부를 열어 칩을 낙하 방출 필요가 없으므로 업무효율이 향상되고 사고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반자동 개폐형 덮개를 포함하는 칩 박스{CHIP BOX HAVING SEMI-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COVER}
본 발명은 반자동으로 개폐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칩 박스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칩을 담은 칩 박스(Chip Box)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기계가공으로 발생되어 진 칩은 컨베이어(Conveyor)를 통하여 이송되고, 칩 박스에 모아진다. 상기 칩박스 내에 채워진 칩을 처리하기 위하여 크레인의 와이어(500)를 이용하여 지하피트로부터 지상부로 올려 대형 칩 박스 또는 차량으로 이동 시킨다.
종래에는 상기 칩을 칩 박스에서 이송시키는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상부가 개방된 칩박스를 한쪽방향으로 회전시켜 칩들을 옮겼다. 다만, 이 과정에서 칩과 혼합된 절삭유가 대형 칩 박스로 이동하게 되고, 이는 땅에 흐르는 경우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작업자가 추락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며,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 기술문헌: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04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331396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신속하고 보다 편리하게 칩을 이송시킬 수 있는 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칩 박스는 본체부, 덮개부, 리프팅 빔 및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칩이 수납되고, 상면, 하면 및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면의 적어도 일부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하면을 여는 제1 상태와 상기 하면을 덮는 제2 상태로 상호 전환이 가능하다. 상기 리프팅 빔은 상기 리프트 장치와 연결되어 이송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와 분리된다. 상기 와이어는 일단부는 상기 덮개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리프팅 빔에 고정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칩 박스는 상기 본체부에 상기 덮개부와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리프팅 빔이 걸리도록 일단에 후크 형상을 포함하는 러그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기 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측면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상태로 상호 전환 될 때, 상기 덮개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의 일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힌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제1 상태에서 상기 칩 박스가 지면을 향하여 이송될 때 제2 상태로 전환되기 위하여 상기 덮개부의 타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리프팅 빔은 상기 본체부의 무게중심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리프팅 빔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리그는 상기 리프팅 빔의 양단이 걸리도록 상기 본체부의 마주보는 두 측면에 한 쌍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 상에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고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덮개부는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 덮개를 포함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및 제2 덮개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라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덮개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때,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덮개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될 때,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덮개부를 열고 닫거나 본체부를 기울일 필요없이, 칩박스를 이송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반자동으로 칩을 낙하 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삭유를 특정영역에 유출시킬 수 있어 절삭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 박스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칩 박스의 개폐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박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박스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반자동 개폐형 덮개를 포함하는 칩 박스(Chip Box)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칩 박스는 본체부(100), 덮개부(200), 리프팅 빔(400), 러그(300) 및 와이어(5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면(101), 하면(102) 및 측면(103)을 포함하고, 칩(1)이 수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칩(1)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면(101)의 적어도 일부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면(101)은 내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칩(1)이 수납된 후에 커버가 덮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102)의 적어도 일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부(100)에 수납되는 칩(1)은 상기 하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다른 공간으로 이동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칩(1)은 상기 하면(102)으로부터 이송수단 또는 대형 박스로 낙하하여 방출된다.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하면(102)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하면(102)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칩(1)이 수납된 본체부(100)가 이송되는 때에는 상기 덮개부(200)가 상기 칩(1)이 방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칩(1)을 방출할 때는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하면(102)을 열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덮개부(200)가 상기 하면(102)을 노출시켜 상기 칩(1)이 방출가능한 상태를 제1 상태, 상기 덮개부(200)가 상기 하면(102)를 덮어 상기 칩(1)의 이동을 차단하는 상태를 제2 상태로 가정한다. 즉,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제1 및 제2 상태로 상호 전환 가능하게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된다.
상기 덮개부(200)는 제1 및 제2 덮개(210, 22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덮개(210, 220)는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덮개(210, 220) 각각의 일변을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면(102)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0)를 상기 측면(103)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덮개부(20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면(103)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덮개(210, 220)의 연장부에 각각 힌지부(20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덮개(210, 220)는 상기 힌지부(202)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힌지부(202)가 서로 이격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덮개(210, 220)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될 때, 서로 멀어지도록 회동가능하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칩(1)은 상기 하면(103)의 중앙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 상기 와이어(500)의 일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500)는 상기 제1 및 제2 덮개(210, 220)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 라인(510, 5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210, 220)의 상기 연장부에 상기 와이어(500)의 일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리부(20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210, 220)는 상기 제1 및 제2 라인(510, 520)의 장력에 의하여 제1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라인(510, 520)의 타단부는 상기 리프팅 빔(400)에 고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 라인(510, 520)의 타단부는 함께 상기 리프팅 빔(4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연결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빔(40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빔(400)은 리프트 장치에 의하여 들어올려진다. 상기 리프팅 빔(400)에 상기 리프트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홀(4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빔(400)이 상기 리프트 장치에 의하여 들어올려지면, 상기 와이어(500)에 장력이 제공된다. 상기 와이어(500)의 장력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200)가 잡아당겨진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면(102)에 밀착하여 상기 하면(102)의 개구부를 덮고 상기 칩(1)이 방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리프팅 빔(400)을 들어올려 상기 본체부(100)에 상기 덮개부(200)로 덮은 상태로 지상에서 인양하여 이송시킨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200)를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잠금장치를 형성할 필요없이, 상기 본체부(100)를 들어올려 이송할 때, 덮개부(200)가 덮이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에 상기 러그(300)가 형성된다. 상기 러그(300)는 상기 상면(101)과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덮개부(200)와 이격 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러그(300)는 상기 리프팅 빔(400)의 양 단부가 걸리도록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러그(300)는 상기 리프팅 빔(400)이 걸리도록 일단부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프팅 빔(400)에는 상기 러그(300)에 걸리도록 홈부(401)가 형성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러그(300)에 상기 리프팅 빔(400)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장치에 의하여 들어 올려진다. 즉, 상기 와이어(500)의 장력이 아닌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된 리그(300)와 고정되어 들어올려질 수 있다.
상기 러그(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무게중심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러그(300)에 상기 리프팅 빔(400)이 걸려 들어올려질 때, 상기 본체부(100)가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인양이 가능하다.
상기 와이어(5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러그(300)에 상기 와이어(500)의 타단부가 고정된 상기 리프팅 빔(400)이 걸리면, 상기 와이어(500)는 장력을 잃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200)를 잡아당기는 힘이 없어지고, 상기 덮개부(200)의 일 영역은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되게 되어 상기 덮개부(200)가 제1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팅 빔(400)은 상기 러그(300)에 걸리고, 상기 리프팅 빔(400)은 상기 리프트 장치에 의하여 들어올려진다. 장력을 잃은 상기 와이어(500)와 연결되는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하면(102)이 노출되고 상기 칩(1)이 낙하하면서 방출되게 된다.
상기 측면(103)에는 상기 제1 및 제2 라인(510, 520)이 통과하도록 고리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라인(510, 520)이 장력을 잃고 느슨해지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라인(510, 520)이 서로 충돌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와이어(500)와 연결되어 리프트 장치의 힘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100)를 덮거나 열게 형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덮개부 고정장치가 불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칩(1)을 낙하 방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00)를 기울이거나, 하부의 개구부를 여는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이송 단계가 단순하고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및 제2 상태의 전환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칩 박스의 개폐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이는 상기 제2 상태 즉, 상기 덮개부(200)가 상기 본체부(100)를 완전히 덮은 상태이다.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러그(300)에서 분리되는 상기 리프팅 빔(400)을 들어올린다. 상기 리프트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라인(510, 520)에 장력이 제공된다. 상기 장력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면을 덮게 된다.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칩(1)의 낙하 방출하고자 하는 곳까지 이송한다.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칩 박스는 기설정된 지면에 안착된다. 상기 리프팅 빔(400)은 상기 러그(300)에 인접하도록 이동시킨다. 다만, 상기 덮개부(200)와 상기 본체부(100)가 지면 상에 배치되므로 상기 칩(1)의 방출은 제한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라인(510, 520)은 장력을 잃게 되고, 양 단이 각각 상기 리프팅 빔(400)과 상기 프레임(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느슨해진다. 상기 고리(501)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라인(510, 520)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러그(300)에 상기 리프팅 빔(400)이 걸리고,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리프팅 빔(400)을 들어올린다. 상기 제1 및 제2 덮개(210, 22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면(103)을 여는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된다. 즉, 상기 힌지부(202)에 의하여 회동하여 서로 이격 되도록 벌어진다. 즉, 상기 본체부(100)의 중앙 영역으로 상기 칩(1)이 낙하 방출된다.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와이어(500)가 팽팽해져 장력이 발생할 때가지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덮개(210, 220)가 중앙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정도는 상기 제1 및 제2 라인(510, 520)의 길이에 의하여 조절 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러그(300)에 걸린 상기 리프팅 빔(400)을 기 설정된 높이로 들어올리면, 상기 덮개부(200)의 일부만 열리게 된다. 상기 칩(1)이 방출되지 못할 정도로 상기 덮개부(200)를 열면,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모인 상기 칩(1)의 절삭유를 상기 제1 및 제2 덮개(210, 220) 사이로 유출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절삭유를 지정된 곳에 유출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하는 동안 유출되는 것을 막아 상기 절삭유에 의한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를 수동으로 열지 않고, 상기 본체부(100)를 들어올리는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덮개부(200)를 열수 있으므로, 업무 처리 속도가 향상되고 사용자의 사고를 줄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덮개(210, 220)의 하면 즉, 상기 지면과 닿는 영역에 롤러(2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지면으로 하양 되면서 상기 롤러(203)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100)를 닫도록 회동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러그(300)에서 상기 리프팅 빔(400)을 분리한다.
즉, 상기 지면으로 하양 되면서, 상기 덮개부(200)가 덮이고,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리프팅 빔(400)을 들어올려 상기 덮개부(200)가 덮인 상태로 상기 본체부(100)를 인양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를 들어올리는 리프트 장치와 덮개부(200)와 연결되는 와이어(500)의 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덮개부(200)를 개폐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본체부(100)를 인양 또는 하양 하여 원하는 영역에 상기 칩(1)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체부로부터 덮개부를 별도로 개폐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칩(1)의 이송의 업무속도를 향상시키고, 사고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박스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칩 박스는 본체부(100), 덮개부(230), 리프팅 빔(400), 러그(300) 및 와이어(50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230)을 제외하고 상기 도 1의 칩 박스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230)은 제1 및 제2 덮개(231, 2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덮개(231, 232)는 각각의 일변이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칩(1)이 상기 하면(102)의 개구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덮개(231, 232)는 각각 힌지부(20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덮개(231, 232)는 상기 힌지부(20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상태로 상호 전환 가능하다.
상기 힌지부(204)는 서로 인접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덮개(231, 232)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회동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500)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덮개(231, 232)가 회동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덮개(231, 232)가 각각 90도 미만으로 회동된다면, 상기 칩(1)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낙하 방출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영역으로 칩(1)을 나누어 방출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및 제2 덮개(231, 232)의 하면에는 완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덮개(231, 232)에 형성되는 완충부는 상기 제1 및 제2 덮개(231, 232)가 90도 이상으로 회동가능 할 경우 서로 충돌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박스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칩 박스는 본체부(100), 덮개부(240), 리프팅 빔(400), 러그(300) 및 와이어(50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240)을 제외하고 상기 도 1의 칩 박스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300)는 한쪽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102)와 상기 고리부(201)는 서로 이격 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500)는 하나의 라인으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240)가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구성이 단순하고, 상 복수의 덮개부들 사이의 틈이 형성되는 것이 차단되어 이동시에 절삭유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칩 박스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1)

  1. 칩이 수납되고, 상면, 하면 및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면의 적어도 일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하면을 여는 제1 상태와 상기 하면을 덮는 제2 상태로 상호 전환이 가능한 덮개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러그;
    리프트 장치와 연결되어 이송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러그와 결합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러그와 분리되는 리프팅 빔;
    일단부는 상기 덮개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리프팅 빔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상기 리프팅 빔이 걸리도록 일단에 후크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측면의 높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상태로 상호 전환 될 때, 상기 덮개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의 일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상태에서 상기 칩 박스가 지면을 향하여 이송될 때 제2 상태로 전환되기 위하여 상기 덮개부의 타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빔은 상기 본체부의 무게중심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박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빔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러그는 상기 리프팅 빔의 양단이 걸리도록 상기 본체부의 마주보는 두 측면에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박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 상에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고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박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및 제2 덮개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박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덮개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때,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박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덮개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될 때,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박스.
KR1020120018180A 2012-02-22 2012-02-22 반자동 개폐형 덮개를 포함하는 칩 박스 KR101451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180A KR101451836B1 (ko) 2012-02-22 2012-02-22 반자동 개폐형 덮개를 포함하는 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180A KR101451836B1 (ko) 2012-02-22 2012-02-22 반자동 개폐형 덮개를 포함하는 칩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600A KR20130096600A (ko) 2013-08-30
KR101451836B1 true KR101451836B1 (ko) 2014-10-16

Family

ID=49219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180A KR101451836B1 (ko) 2012-02-22 2012-02-22 반자동 개폐형 덮개를 포함하는 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8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807B1 (ko) * 2014-12-23 2016-05-26 김옥배 문열림조정수단을 갖는 폐기물보관반출장치
KR101928647B1 (ko) * 2017-03-16 2018-12-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하부 개폐형 음식물 쓰레기통
KR20200059069A (ko) 2018-11-20 2020-05-28 박정윤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232B1 (ko) * 2022-11-22 2023-11-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의 캐스크 다단 인양장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302A (ja) * 1995-11-07 1997-05-20 Kinjiro Kimura 底部開閉式容器
KR200360434Y1 (ko) * 2004-06-16 2004-08-30 한석문 시멘트 운반용 버킷
KR20040096474A (ko) * 2004-09-20 2004-11-16 주식회사 빌드썬 자재 이송용 박스
JP2004331396A (ja) * 2003-04-30 2004-11-25 Potain Sa クレーン用のバラス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302A (ja) * 1995-11-07 1997-05-20 Kinjiro Kimura 底部開閉式容器
JP2004331396A (ja) * 2003-04-30 2004-11-25 Potain Sa クレーン用のバラスト装置
KR200360434Y1 (ko) * 2004-06-16 2004-08-30 한석문 시멘트 운반용 버킷
KR20040096474A (ko) * 2004-09-20 2004-11-16 주식회사 빌드썬 자재 이송용 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807B1 (ko) * 2014-12-23 2016-05-26 김옥배 문열림조정수단을 갖는 폐기물보관반출장치
KR101928647B1 (ko) * 2017-03-16 2018-12-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하부 개폐형 음식물 쓰레기통
KR20200059069A (ko) 2018-11-20 2020-05-28 박정윤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600A (ko) 201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836B1 (ko) 반자동 개폐형 덮개를 포함하는 칩 박스
US20140312638A1 (en) Spreader and use thereof
CN103946144A (zh) 用于处理下水道井盖的工具
JPH04327430A (ja) 船への積込・積降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20014817A (ko) 컨테이너 잠금장치
KR20080102428A (ko)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
KR200470190Y1 (ko) 해양 구조물
KR101590859B1 (ko)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
US20160167931A1 (en) Automated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metal goods-transportation boxes for stowage on ships
US7278546B2 (en) Removable cover assembly with pivoting covers and hoisting pins
KR20020047187A (ko) 바닥 개방식 컨테이너
KR20120000345U (ko) 맨홀 뚜껑 개폐장치
FR2926063A1 (fr) Dispositif de palettisation/depalletisation de bouteilles.
KR200485150Y1 (ko) 하역 용기 장치
KR100985654B1 (ko)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데몬스트레이션을 위한해치커버상단용 지그
KR200448998Y1 (ko) 컨테이너 내용물 하역장치
JP6739021B1 (ja) 吊り上げ治具
KR101762881B1 (ko) 트롤리 설치 장치
KR200472255Y1 (ko) 목재화물상자용 견인바이스
KR200440828Y1 (ko) 과일이송용 덤프장치
KR100511512B1 (ko) 언로더 슈트 방호장치
KR101825268B1 (ko) 컨테이너선
JP2016211165A (ja) 小型油圧ショベル
JP2008255635A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ルーム装置
JPH08143277A (ja) 移動式建設機械におけるウェイト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