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594B1 -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594B1
KR101449594B1 KR1020120020576A KR20120020576A KR101449594B1 KR 101449594 B1 KR101449594 B1 KR 101449594B1 KR 1020120020576 A KR1020120020576 A KR 1020120020576A KR 20120020576 A KR20120020576 A KR 20120020576A KR 101449594 B1 KR101449594 B1 KR 101449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
signal
medical
patient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781A (ko
Inventor
박흥복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0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5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transcoding, i.e. partial or full decoding of a coded input stream followed by re-encoding of the decoded output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폰으로 지역의 IP 네트워크상의 헬스 시스템이 구축된 환자를 진료하고 실시간 영상 모니터링 및 진단하여 즉시 진료가 어려운 외부의 환자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안드로이드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스마트 폰을 통하여 환자의 바이오 센서 데이터를 센싱하여 표시하고, 센싱된 바이오 신호를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지역 헬스 시스템;상기 센싱된 바이오 신호를 저장하고, 환자 진단 결과에 따라 응급 의료 서비스 및 SMS(Short Message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의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원격의 바이오 센서를 제어하고 원격의 비디오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스마트 폰으로 표시하는 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Mobile Health Service System based on Android Platform and Method for Real-Time Data Proces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폰으로 지역의 IP 네트워크상의 헬스 시스템이 구축된 환자를 진료하고 실시간 영상 모니터링 및 진단하여 즉시 진료가 어려운 외부의 환자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을 이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증가는 사용자들의 스마트 폰 사용의 확대에 기여하게 되고, 이런 스마트 폰의 인기는 사용자의 생활 패턴과 소비 형태, 기업의 매출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중에서도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이 확산 된 이유 중 하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기술은 오픈 소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개발 툴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별한 하드웨어에 대한 고려사항 없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앱 스토어를 통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은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저렴한 비용으로 교육, 여가 생활, 게임, 독서와 같이 다양하게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의료 분야에서도 여러 형태의 모바일을 이용한 임상 데이터 처리의 개발은 수년 전부터 진행되고 있다. 컴퓨터 과학자, 임상 의학자 그리고 생물 공학자 등 여러 전문 분야로 이루어진 모임이 2001년 이후부터 BAN(Body Area Networks)을 기반으로 모바일 헬스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헬스 BAN의 정의는 센서, 작동 장치(액추에이터:actuator)와 같은 통신 장치의 네트워크를 몸에 착용하고 사용자에게 모바일 헬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다른 모바일 헬스 시스템으로는 외부 제공자로부터 전자적인 헬스케어 저장(record) 시스템와 모바일 텔레헬스(telehealth) 솔루션인 MOTOHEALTH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설계된 컨넥티비티 인터페이스(Connectivity Interface)를 제공하여 MOTOHEALTH 솔루션으로 만성 질환 관리를 위한 원격 모니터링 플랫폼으로 모토로라 셀폰을 사용하는 기술이 있다.
현재,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혈당, 혈압 등을 체크하는 의료 장비들은 회사 개별로 개발된 것으로 개개인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고, 의료 장비의 전문적인 단체를 통해서 서비스를 제공받고, 경제적으로도 만족스러운 많은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개별적인 의료 장비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개별적인 모델의 의료 장비들은 환자의 바이오 신호에 대한 종합적인 헬스케어 서비스가 어렵다.
그리고 환자와 관련된 여러 가지의 바이오 신호는 전자적으로 저장되어 의료 관련 관리자들에게 즉각적으로 전송되고 진단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모바일 헬스케어 솔루션은 환자의 모니터링을 포함하여 만성 질환 관리의 대안으로 제기되고 있고, 모바일 원격 진료, 지역 기반의 의료 서비스,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 대량의 헬스케어 정보에 대한 접근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인 환자와 의료 관련자들에게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장치에서의 바이오신호 데이터의 관리는 용량이 큰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이나 저장 장치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예를 들어,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 영상으로 전송할 때는 기존의 셀 폰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모바일 장치에 수집하게 되면 모바일 시스템의 부하가 심각해져 실시간 영상을 전송받는데 데이터의 시간 지연과 끊어지는 현상을 자주 발생시킨다.
이런 이유로 의료 관련자가 모바일 헬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원격의 헬스 시스템에서 전송된 실시간 영상의 정확한 데이터를 인지하기가 어렵고, 방대한 바이오 신호의 연속적인 비디오 스트림을 셀폰으로 전송함으로써 셀폰의 시스템에 많은 부하를 발생시킨다.
이런 사항들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에 있어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전의 모바일을 이용한 임상 데이터 처리는 셀폰과 PDA 환경에서 이루어졌으나 현재는 스마트 폰에서의 임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개발로 확대되고 있다.
즉, 셀 폰은 처리 시간과 하드웨어 용량이 낮아서 실시간 스트림과 같은 데이터의 방대한 바이오신호를 처리하기에는 사양이 떨어지므로 스마트 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으로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헬스케어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폰으로 지역의 IP 네트워크상의 헬스 시스템이 구축된 환자를 진료하고 실시간 영상 모니터링 및 진단하여 즉시 진료가 어려운 외부의 환자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시와 떨어진 외곽 지역의 독거 노인, 행동이 불편한 사람, 의료 시설이 낙후된 곳에 거주하는 환자의 바이오 신호를 스마트 폰 환경에서 측정하고, 임상 데이터 처리, 바이오 데이터를 서버로 무선으로 전송하여 의사의 진단과 원격 관찰(Telemonitoring) 서비스, SMS를 통한 의료 경보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혈당, 혈압, 맥박수와 같은 텍스트 데이터와 의학적인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외곽 지역에 있는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서 실시간 비디오를 주치의에게 전송하여 진단 및 처방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격 진료 및 관찰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모바일 장치의 무선 접근을 허용할 수 있도록 높은 비트률의 비트스트림을 무선 네트워크 트래픽에 적절한 비트률의 비트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스트림 연산으로 다중해상도로 부호화를 통해서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딩을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은 안드로이드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환자의 스마트 폰을 통하여 환자의 바이오 센서 데이터를 센싱하여 표시하고, 센싱된 바이오 신호를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지역 헬스 시스템;상기 센싱된 바이오 신호를 저장하고, 환자 진단 결과에 따라 응급 의료 서비스 및 SMS(Short Message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의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원격의 바이오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의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를 통하여 원격의 비디오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원격 진료 단말로 사용되는 스마트 폰으로 표시하는 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역 헬스 시스템은, 바이오 센서 데이터를 센싱하는 바이오 신호 센싱부와, 센싱된 바이오 신호를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바이오 신호 전송부와, 원격에서의 의료진에 의한 센서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는, 상기 지역 헬스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바이오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고 바이오 신호의 이상 변화를 분석하는 바이오 신호 관리부와, 환자 진단 결과에 따라 응급 의료 서비스 및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급 서비스 및 SMS 서비스 관리부와, 원격에서의 의료진에 의한 환자 진단 결과를 저장하는 환자 진단 결과 저장부와, 원격에서의 의료진에 의한 데이터 검색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검색 처리부와, 상기 지역 헬스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바이오 신호 및 원격에서의 의료진에 의한 데이터 검색에 따른 바이오 신호를 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바이오 신호 전송 처리부와, 환자의 등록 및 원격 의료진의 등록, 데이터 검색 권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의료 서비스 시스템은, 원격에서 의료진에게 바이오 신호에 따른 정보 표시, 원격에서의 센서 제어, 의료 진단을 수행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원격 진료 단말과, 상기 원격 진료 단말을 통한 원격 진료에 따른 진단 결과를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진단 결과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에서 원격 진료 및 관찰을 수행하기 위해, 높은 비트율의 비트스트림을 무선 네트워크 트래픽에 맞는 비트율의 비트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스트림 연산을 하고, 스트림 연산으로 다중해상도 부호화를 통한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딩은, 입력 스트림을 웨이브릿 변환을 통해 주파수 영역의 계수값으로 변환하고 대역별, 다중해상도로 분해하여 비트율과 전송 대역을 선택하여 모바일 장치의 정보에 따른 적응적 임계치(Threshold)를 사용하여 대역 확산 부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오차 영상을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딩은, 가장 상위 해상도의 LL 대역부터 유효 계수에 대해 부호화를 수행하고 HL, LH, HH 대역으로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이오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에서, 일반 사용자와 의료 관련자의 메시지 인증은 암호화된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SHA1 해쉬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메시지 다이제스트(MessageDigest)를 구하여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은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를 위하여,안드로이드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환자의 스마트 폰에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단계;바이오 센서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된 바이오 신호가 환자의 스마트 폰이나 퍼스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안드로이드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환자의 스마트 폰으로부터 측정된 바이오 신호가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BioSignal Record System)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에 전송된 바이오 신호가 저장되고, 분석된 바이오 신호의 이상 변화가 담당 의료 관련자와 보호자 및 관리 대상 환자에게 응급 메시지(SMS)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원격 진료를 위하여 의사 또는 의료 관리자가 모바일 의료 서비스 시스템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직접 원격 환자의 바이오 센서의 장치를 제어하여 실시간 관찰하고, 바이오 신호에 대한 진단 및 처방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의료 관련자들이 원격의 환자를 관찰하는 단계에서 실시간 비디오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하여, 높은 비트율의 비트스트림을 무선 네트워크 트래픽에 맞는 비트율의 비트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스트림 연산을 하고, 스트림 연산으로 다중해상도로 부호화를 통한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딩은, 입력 스트림을 웨이브릿 변환을 통해 주파수 영역의 계수값으로 변환하고 대역별, 다중해상도로 분해하여 비트율과 전송 대역을 선택하여 모바일 장치의 정보에 따른 적응적 임계치(Threshold)를 사용하여 대역 확산 부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오차 영상을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환자 진료 및 관찰을 위한 실시간 비디오 스트림을 표시하는 모듈은 'SurfaceHolder' 클래스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SurfaceHolder' 클래스는 스마트 폰에 실시간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표면 크기와 포맷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폰으로 지역의 IP 네트워크상의 헬스 시스템이 구축된 환자를 진료하고 실시간 영상 모니터링 및 진단하여 즉시 진료가 어려운 외부의 환자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둘째, 환자의 바이오 신호를 스마트 폰 환경에서 측정하고, 임상 데이터 처리, 바이오 데이터를 서버로 무선으로 전송하여 의사의 진단과 원격 관찰(Telemonitoring) 서비스, SMS를 통한 의료 경보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셋째, 혈당, 혈압, 맥박수와 같은 텍스트 데이터와 의학적인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넷째, 환자 관찰을 위한 비디오 스트림은 ROI 기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에 알맞은 데이터 크기를 결정하고 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하는 것에 의해 모바일 시스템과 네트워크의 부하를 최소화한다.
다섯째, 다양한 데이터 포맷을 지원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의 구현으로 사용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여섯째, 헬스케어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지역적으로 떨어진 환자의 관리와 의료 관련자들에게 헬스 데이터 처리를 위한 모바일,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장치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있어 견고하고 다양한 형태의 통신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a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는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처리를 위한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딩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a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데이터 포맷을 지원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의 구현으로 사용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고, 환자의 바이오 신호를 스마트 폰 환경에서 측정하고, 임상 데이터 처리, 바이오 데이터를 서버로 무선으로 전송하여 의사의 진단과 원격 관찰(Telemonitoring) 서비스, SMS를 통한 의료 경보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안드로이드는 Direct FB(Direct Frame Buffer) 프레임워크를 지원한다.
Direct FB는 새로운 리눅스 그래픽 표준으로 하드웨어 그래픽 가속, 입력 장치 핸들링과 추상화, 윈도우를 지원하기 위해 조직화된 윈도우 시스템과 리눅스 프레임 버퍼 장치의 최상위 다중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포함한 개발자들에게 제공하는 가벼운 라이브러리다.
그래픽을 칩셋 드라이버가 있을 경우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는 부분도 있지만 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를 도와준다.
그리고 윈도우 시스템에서 빠른 통합 윈도우 시스템을 지원한다. 리눅스의 경우 X-window 를 거치지 않고 직접 프레임 버퍼를 제어하여 윈도우 시스템을 지원한다.
지원되는 비디오 재생 포맷은 video4linux, mpeg1/2, AVI, MOV, macromedia flash이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은 오디오, 비디오, 스트림, 정지 영상의 다양한 데이터 포맷을 지원한다. 그리고 Bluetooth, Wi-Fi, CDMA, 3G와 같이 다양한 연결 기술을 지원하고 의학의 데이터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성능 또한 셀 폰에 비해 아주 적절하다.
따라서, 멀티 터치 기술로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헬스 케어의 데이터 처리는 지역적으로 떨어진 환자의 관리와 의료 관련자들에게 헬스 데이터 처리를 위한 모바일,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장치에 제한을 두지 않고, 또한 견고하고 다양한 형태의 통신을 제공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은 원격의 여러 바이오 센싱으로부터 출력을 조합하고, 사용자의 집과 임상의 모두가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은 다양한 바이오 신호들을 모니터링 하고 원거리에 위치한 병원의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고, 의료 관리자는 병원의 데이터 서버에서 환자 데이터를 접근하여 환자 또는 사용자에게 의료 진단 및 처방을 피드백한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의 구조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안드로이드 플랫폼,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에서 환자 진료를 위한 다량의 비디오 스트림의 처리 기술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서와 같이, 지리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렵거나 독거노인, 또는 움직임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질적인 의료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환자 또는 의료 관련 사용자가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해서 스마트 폰이나 퍼스널 컴퓨터로 다양한 바이오 센서들로부터 센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한다.
바이오 신호는 지역의 IP 네트워크상의 구축된 지역 헬스 시스템에서 환자 자신의 로컬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으로 센싱되고, 센싱된 환자의 바이오 신호는 원격의 병원 데이터베이스에 전송된다.
센싱된 환자의 바이오신호와 환경 데이터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주기적으로 센싱된 바이오신호를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원거리에 위치한 병원의 의사는 원거리에서 센싱된 환자의 바이오신호를 분석하거나 실시간 영상 모니터링 제어를 통해서 환자 관찰 및 원격 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은 바이오 센서 데이터를 센싱하고 디스플레이와 바이오신호 저장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지역 헬스 시스템(100), 센싱된 바이오 신호를 저장하고, 환자 진단 결과에 따라 응급 의료 서비스 및 SMS(Short Message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의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200), 원격의 바이오 센서를 제어하고 원격의 비디오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스마트 폰으로 표시하는 의료 서비스 시스템(300)으로 구성된다.
지역 헬스 시스템(100)은 도 2a에서와 같이, 바이오 센서 데이터를 센싱하는 바이오 신호 센싱부(10)와, 센싱된 바이오 신호를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200)로 전송하는 바이오 신호 전송부(11)와, 원격에서의 의료진에 의한 센서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12)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200)는 도 2b에서와 같이, 지역 헬스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바이오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고 바이오 신호의 이상 변화를 분석하는 바이오 신호 관리부(20)와, 환자 진단 결과에 따라 응급 의료 서비스 및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급 서비스 및 SMS 서비스 관리부(21)와, 원격에서의 의료진에 의한 환자 진단 결과를 저장하는 환자 진단 결과 저장부(22)와, 원격에서의 의료진에 의한 데이터 검색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검색 처리부(23)와, 지역 헬스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바이오 신호 및 원격에서의 의료진에 의한 데이터 검색에 따른 바이오 신호를 의료 서비스 시스템(300)을 구성하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바이오 신호 전송 처리부(24)와, 환자의 등록 및 원격 의료진의 등록, 데이터 검색 권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관리부(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의료 서비스 시스템(300)은 원격에서 의료진에게 바이오 신호에 따른 정보 표시, 원격에서의 센서 제어, 의료 진단을 수행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원격 진료 단말(30)과, 원격 진료 단말(30)을 통한 원격 진료에 따른 진단 결과를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200)로 전송하는 진단 결과 처리부(31)를 포함한다.
지역적으로 떨어진 환자의 홈 케어 시스템에서 환자는 지역 헬스 시스템(1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바일이나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신의 바이오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바이오 신호는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200)에 저장된다.
병원의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200)에 통합된 환자의 바이오신호는 퍼스컴 상의 웹 서비스와 안드로이드 플랫폼상에서 측정과 모니터링, 제어의 기능들을 수행한다.
먼저, 퍼스널 PC, PDA, 모바일 장치와 같이 다양한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고 병원의 바이오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200)에서 진료 환자의 바이오 신호를 검색한다.
병원의 바이오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200)는 환자의 바이오 신호나 영상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쿼리에 의한 데이터 검색, 환자의 주기적인 바이오 신호의 갱신 등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조를 나타내고, 모바일을 이용한 임상 데이터 처리를 위해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m-Health system)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병원의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200)의 접근은 퍼스컴의 웹 서버와 m-Health 어플리케이션의 각각에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서버의 인증을 통해서 허용된다.
병원의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200)에서 일반 사용자와 의료 관련자의 메시지 인증은 암호화된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SHA1 해쉬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메시지 다이제스트(MessageDigest)를 구하여 바이오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200)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환자는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나 단독의 퍼스컴 어플리케이션으로 자신의 바이오 신호를 측정하여 병원의 바이오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200)로 전송된다.
그리고 헬스 케어 의료 관리자는 병원의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200)를 통해서 환자의 상태를 진단한다. 그리고 의료 관리측에서도 마찬가지로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나 단독의 퍼스컴 어플리케이션으로 통해서 환자를 관찰하고 관찰 결과를 환자에게 피드백한다.
이때 의료 관련자가 환자의 상태를 관찰시 병원의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200)의 위치와 상관없이 모바일로 검색 가능하다.
여기서 환자 관찰을 위한 비디오 스트림은 ROI 기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에 알맞은 데이터 크기를 결정하고 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하여 모바일 시스템과 네트워크의 부하를 최소화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환자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바이오 센서 장비의 무선 RF 통신을 이용하여 자신의 바이오 신호를 스마트 폰이나 퍼스컴으로 측정하고 디스플레이한다.(S301)
그리고 측정된 바이오 신호는 병원의 바이오신호 저장 시스템(BioSignal Record System) 서버(200)에 전송하고 저장된다.(S302)
그리고 병원의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200)는 원격의 관리 환자로부터 전송된 바이오 신호를 저장하고(S303), 바이오 신호의 이상 변화를 분석하여 담당 의료 관련자와 보호자 및 관리 대상 환자에게 응급 메시지(SMS)를 전송한다.(S304)
그리고 원격 진료를 위하여 의사 또는 의료 관리자가 모바일 의료 서비스 시스템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직접 원격 환자의 바이오 센서의 장치를 제어하여 실시간 관찰하고(S305), 바이오 신호에 대한 진단 및 처방과 같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S306)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의료 서비스 시스템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드로이드의 아키텍쳐 중 라이브러리 계층에는 'Surface Manager'라는 기술이 포함되어 있고, 이것은 표시 서브 시스템에의 접근을 관리하고 복수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2D/3D 그래픽 레이어를 합성한다.
또한, 안드로이드 런타임 계층은 Java 언어에 기반한 코어 라이브러리와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Dalvik' 가상 머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Dalvik 가상 머신은 Dalvik Executable (.dex) 형식으로 포맷된 어플리케이션을 프로세서 단위로 실행한다.
(.dex) 포맷의 파일은 Java의 .class 파일을 기준으로 안드로이드 SDK에 포함되는 dx 툴에 의해 변환되어 생성된다.
Dalvik 가상 머신은 threading과 저수준의 메모리 관리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에 대해 Linux kernel를 사용하고 Direct FB는 오픈 소스이기 때문에 DTV SoC 사업자들은 그들의 Frame-Buffer IP 드라이버를 구현하는데 사용한다.
안드로이드 자바 실행시간 라이브러리들은 'android.media'인 미디어 객체를 소유하고 있다.
이는 오디오/비디오 파일, 스트림의 재생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안드로이드 구현은 'OpenCore' 미디어 관리 라이브러리인 오븐 소스의 크기에 달려있는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수집, 처리, 디코딩, 인코딩과 같은 모든 처리를 수행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오직 이벤트를 통해서 안드로이드에게 알리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하고 디코드한다.
안드로이드의 'android.media.MediaPlayer' 클래스는 미디어 재생에 이용되고 미디어를 재생하기 위한 API를 제공하는데, 이 클래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다.
'android.media.MediaPlayer' 클래스의 setDataSource 메소드로 어플리케이션에 조합된 리소스나 로컬 파일 시스템에 있는 파일이나 URL 등을 이용하여 재생하고 싶은 데이터가 있는 곳을 간단하게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가 있는 원격 카메라 제어와 카메라에서 수집한 영상을 서로 다른 통신과의 연결에서 여러 가지 스크린 사이즈에서 적절히 다양한 대역폭을 요구하기 위해서는 트랜스코딩 기법이 요구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안드로이드의 미디어 객체를 변형하여 카메라에서 수집한 영상을 안드로이드 플랫폼상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의료 서비스 시스템의 모바일 플랫폼은 안드로이드 OS로 일반적인 통신(Telecommunications) 시스템과 스마트 폰 통신을 위한 3G, Wi-Fi를 기반으로 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구현 환경은 스마트 폰으로 CPU는 600MHz, 400MB RAM, MicroSD 카드는 4GB로 32GB까지 확장 가능하고, 블루투스 3.0버전, 안드로이드 2.2 OS에서 실행된다. 그리고 무선 LAN으로 Wi-Fi 802.11 b/g를 사용한다.
그리고 환자의 원격 진료를 위해 안드로이드 기반의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처리를 다음과 같이 한다.
도 4는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처리를 위한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딩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의료 관련자들이 원격의 환자를 관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실시간 비디오 스트림은 ROI(Region of Interest) 기반의 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트랜스코더는 두 범주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 범주는 픽셀 영역에서 pre-encode 된 비트스트림을 디코드하고 그런 다음 요구된 비트률로 앞의 비트스트림을 re-encode 한다.
이 타입의 트랜스코딩은 뷰 관점의 PSNR에 최적이다. 하지만 이런 트랜스코더는 완벽한 decoding과 endcoding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복잡도에 대응하는 비용이 높다.
두 번째 범주의 트랜스코더는 오직 DCT 영역에서 계수를 재양자화한 비트스크림을 디코드한다. 그런 다음 축소된 비트율 비트스트림(Bit Rate Bitstream)은 기존의 Motion Vector(MV)와 재양자화된 계수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이 유형의 트랜스코더는 계산적인 필요성은 현저히 감소하지만 코딩 성능은 떨어진다.
비디오 서버에 존재하는 높은 화질의 DVD 비디오 프로그램은 비디오 스트림이 적절한 대역폭의 낮은 비트율로 트랜스코딩 되지 않는다면 실시간으로 모바일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없다. 또한 무선 채널들은 일반적으로 에러의 경향이 있기 때문에 트랜스코딩된 비트스트림의 오류 복원력(Error-Resilient Capability)은 아주 많이 요구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네트워크는 가능한 대역폭과 클라이언트 성능에 관련하여 이질적이기 때문에 모바일 무선 사용자로부터 유선 네트워크의 비디오 서버의 성공적인 접근은 보장할 수 없다.
그러므로 서버의 비디오 컨텐츠와 비교하여 단말기 장치는 대부분 디스플레이 크기가 작고 대역폭이 낮다. 비디오 서버의 고화질의 비트스트림은 비디오 비트스트림이 대역폭에 적절한 낮은 비트율로 트랜스코딩되지 않았다면 실시간의 모바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없다.
더욱이 전통적인 트랜스코딩 구조는 무선 접속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록시 서버에 적절하지 않다. 오류 복원(Error-Resilient) 없이 모바일 수신측에 있는 디코더가 무선 링크의 노이즈에 의해 오류를 포함한 비트 스크림으로 수행될 때 대부분 비트스트림의 손상이 발생된다.
모바일 장치와 같은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해 높은 비트율 스트림을 모바일 장치와 무선 네트워크 트래픽에 적절한 비트율의 스트림으로 변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원격 진료 및 관찰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모바일 장치의 무선 접근을 허용할 수 있도록 높은 비트율의 비트스트림을 무선 네트워크 트래픽에 적절한 비트율의 비트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스트림 연산으로 다중해상도 부호화를 통해서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딩을 하는 것을 제안한다.
웨이브릿 변환은 대역별 분석이 가능하고 웨이브릿을 이용한 다중해상도(Multiresolution) 코딩은 스케일러블 코딩을 수행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딩은 단일한 비트스트림을 다중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처리로서 디코드할 계층의 대역을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비디오 스트림의 비트율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모바일 장치에 비트스트림 전송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딩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서버에서 카메라에 캡쳐된 입력 스트림을 웨이브릿 기반의 대역별, 다중해상도로 분해한다.
그리고 무선 네트워트의 대역폭에 적응적인 비트스트림은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더(scalable transcoder)에 의해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딩은 먼저 입력 스트림을 웨이브릿 변환을 통해 주파수 영역의 계수값으로 변환하고 대역별, 다중해상도로 분해하여 비트율과 전송 대역을 선택하여 모바일 장치의 정보에 따른 적응적 임계치(Threshold)를 사용하여 대역 확산 부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오차 영상을 효과적으로 부호화한다.
프레임간 부호화는 웨이브릿 주파수 영역의 계수 값들이 주파수 전역에 분포하고 LL 대역에서 HH 대역으로 계수 값들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가장 상위 해상도(여기서는 LL2)의 LL 대역부터 유효 계수에 대해 부호화를 수행하고 HL, LH, HH 대역으로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부호화를 수행한다.
저주파수(LL) 대역에서 임계값 T1 보다 큰 값은 유효 계수로 선택하고 작은 값은 무효 계수로 지정한다. 같은 방법으로 각 부대역에서 점차적으로 임계치를 줄여 다음 대역에서의 유효 계수를 부호화한다.
즉, 적응적 임계치를 이용한 대역 확산 부호화를 함으로써 대역 전역에 분포해 있는 유효 계수 값을 점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 정보에 의해 스트림의 다운스케일링(DownScaling) 코딩을 수행한 후 무선 네트워크로 비트스트림을 전송한다.
따라서, 비디오 스트림은 지역의 IP 네트워크상의 지역 헬스 시스템에서 캡쳐되어 Wi-Fi 상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는데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스마트 폰으로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스마트 폰의 내장된 Wi-Fi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지역의 IP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지역 IP 네트워크의 카메라가 설정된 지역의 헬스 시스템은 모바일 장치에서 환자 관찰에 대한 제어를 수신하고 제어를 전송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정보도 같이 서버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는 카메라의 영상을 캡쳐하고 현재 대역폭에 따른 해상도를 결정하고 모바일 디스플레이 크기에 적절하게 프레임 사이즈를 다운스케일링(DownScaling) 코딩한 후에 제어를 전송한 모바일 장치로 실시간 스트림을 전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의료 서비스(m-Health) 시스템은 3가지 모듈을 포함한다.
즉, 원격의 바이오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 바이오 센서 데이터를 센싱하고 디스플레이와 바이오신호 저장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모듈, 원격의 비디오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스마트 폰으로 표시하는 모듈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환자 진료 및 관찰을 위한 실시간 비디오 스트림을 표시하는 모듈은 'SurfaceHolder' 클래스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SurfaceHolder 클래스는 스마트 폰에 실시간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표면 크기와 포맷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의료 서비스 시스템은 모바일 컴퓨팅 어플리케이션으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폰으로 지역의 IP 네트워크상의 지역 헬스 시스템을 통하여 환자를 진료하고 실시간 영상 모니터링 및 진단함으로써 의료 서비스를 바로바로 지원받기 어려운 외부의 환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지역 헬스 시스템
200. 바이오신호 저장시스템 서버
300. 의료 서비스 시스템

Claims (13)

  1. 안드로이드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환자의 스마트 폰을 통하여 환자의 바이오 센서 데이터를 센싱하여 표시하고, 센싱된 바이오 신호를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지역 헬스 시스템;
    상기 센싱된 바이오 신호를 저장하고, 환자 진단 결과에 따라 응급 의료 서비스 및 SMS(Short Message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의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
    상기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를 통하여 원격의 비디오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원격 진료 단말로 사용되는 스마트 폰으로 표시하는 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의료 서비스 시스템은 원격에서 의료진에게 바이오 신호에 따른 정보 표시, 원격에서의 센서 제어, 의료 진단을 수행하는 원격 진료 단말과, 상기 원격 진료 단말을 통한 원격 진료에 따른 진단 결과를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진단 결과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헬스 시스템은,
    바이오 센서 데이터를 센싱하는 바이오 신호 센싱부와,
    센싱된 바이오 신호를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바이오 신호 전송부와,
    원격에서의 의료진에 의한 센서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는,
    상기 지역 헬스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바이오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고 바이오 신호의 이상 변화를 분석하는 바이오 신호 관리부와,
    환자 진단 결과에 따라 응급 의료 서비스 및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급 서비스 및 SMS 서비스 관리부와,
    원격에서의 의료진에 의한 환자 진단 결과를 저장하는 환자 진단 결과 저장부와,
    원격에서의 의료진에 의한 데이터 검색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검색 처리부와,
    상기 지역 헬스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바이오 신호 및 원격에서의 의료진에 의한 데이터 검색에 따른 바이오 신호를 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바이오 신호 전송 처리부와,
    환자의 등록 및 원격 의료진의 등록, 데이터 검색 권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원격 진료 및 관찰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에서 높은 비트율의 비트스트림을 무선 네트워크 트래픽에 맞는 비트율의 비트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스트림 연산을 하고, 스트림 연산으로 다중해상도 부호화를 통한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딩은,
    입력 스트림을 웨이브릿 변환을 통해 주파수 영역의 계수값으로 변환하고 대역별, 다중해상도로 분해하여 비트율과 전송 대역을 선택하여 원격 진료 단말로 사용되는 스마트 폰의 정보에 따른 적응적 임계치(Threshold)를 사용하여 대역 확산 부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오차 영상을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딩은,
    가장 상위 해상도의 LL 대역부터 유효 계수에 대해 부호화를 수행하고 HL, LH, HH 대역으로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에서의 일반 사용자와 의료 관련자의 메시지 인증은,
    암호화된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SHA1 해쉬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메시지 다이제스트(MessageDigest)를 구하여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9.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를 위하여,
    안드로이드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환자의 스마트 폰에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단계;
    바이오 센서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된 바이오 신호가 환자의 스마트 폰이나 퍼스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안드로이드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환자의 스마트 폰으로부터 측정된 바이오 신호가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BioSignal Record System)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에 전송된 바이오 신호가 저장되고, 분석된 바이오 신호의 이상 변화가 담당 의료 관련자와 보호자 및 관리 대상 환자에게 응급 메시지(SMS)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 센서 장비는 담당 의료 관련자의 원격 진료 단말에 의해 제어되고, 응급 메시지(SMS)를 받은 담당 의료 관련자의 원격 진료 단말에서 바이오 신호에 대한 진단 및 처방이 이루어지면 진단 및 처방 의료 서비스 데이터가 원격 진료 단말로부터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진료 단말로 실시간 비디오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하여,
    바이오 신호 저장 시스템 서버에서 높은 비트율의 비트스트림을 무선 네트워크 트래픽에 맞는 비트율의 비트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스트림 연산을 하고, 스트림 연산으로 다중해상도로 부호화를 통한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블 트랜스코딩은,
    입력 스트림을 웨이브릿 변환을 통해 주파수 영역의 계수값으로 변환하고 대역별, 다중해상도로 분해하여 비트율과 전송 대역을 선택하여 원격 진료 단말로 사용되는 스마트 폰의 정보에 따른 적응적 임계치(Threshold)를 사용하여 대역 확산 부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오차 영상을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실시간 비디오 스트림을 표시하는 모듈은 'SurfaceHolder' 클래스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SurfaceHolder' 클래스는 스마트 폰에 실시간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표면 크기와 포맷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120020576A 2012-02-28 2012-02-28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449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576A KR101449594B1 (ko) 2012-02-28 2012-02-28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576A KR101449594B1 (ko) 2012-02-28 2012-02-28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781A KR20130098781A (ko) 2013-09-05
KR101449594B1 true KR101449594B1 (ko) 2014-10-13

Family

ID=49450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576A KR101449594B1 (ko) 2012-02-28 2012-02-28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285B1 (ko) * 2015-02-13 2016-10-19 케이디엠씨 주식회사 이동식 원격 의료지원 시스템
CN105046616A (zh) * 2015-07-10 2015-11-11 常熟恒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北斗智能腕表的养老服务***
KR101896601B1 (ko) * 2015-10-13 2018-10-24 디노플러스(주)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636922B1 (ko) * 2023-03-31 2024-02-14 이성남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494A (ko) * 2008-07-07 2010-01-15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99881A (ko) * 2009-03-04 2010-09-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만성질환자를 위한 재택 원격 가정 간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494A (ko) * 2008-07-07 2010-01-15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99881A (ko) * 2009-03-04 2010-09-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만성질환자를 위한 재택 원격 가정 간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2009.6) *
논문2(정보처리학회지 제17-C권 제2호 통권 제131호 2010.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781A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ukas et al. Mobile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utilizing Cloud Computing and Android OS
Jagadeeswari et al. A study on medical Internet of Things and Big Data in personalized healthcare system
Lin Mobile telemedicine: A survey study
CN100477717C (zh) 用于图形图像数据的远程和自适应显示的方法和***
US20060058626A1 (en) Universal healthcare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449594B1 (ko)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
US10162936B2 (en) Secure real-time healthcare information streaming
GB2490015A (en) Health information communications system with customized quality of service (QoS) for different kinds of medical data
US9754127B2 (en) Processing-context-dependent pseudonymization of security-critical medical data via a network
CN103099676A (zh) 医学装置及使用所述医学装置显示医学图像的方法
KR20100073027A (ko) Iptv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Yan et al. A home-based health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Jara et al. Communication protocol for enabling continuous monitoring of elderly people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s
Kim et al. A feasibility study of smartphone-based telesonography for evaluating cardiac dynamic function and diagnosing acute appendicitis with control of the image quality of the transmitted videos
Somasundaram et al. Medical image data management system in mobil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CN103870916A (zh) 全息数字化急救***
Lubrin et al. Motecare: an adaptive smart ban health monitoring system
Pohjonen et al. Pervasive access to images and data—the use of computing grids and mobile/wireless devices across healthcare enterprises
CN104469327B (zh) 一种康复护理机器人床的遥测遥控方法和设备
Mallikarjuna et al.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Development on Android OS in Cloud Computing
Sridevi et al. Context aware health monitoring system
KR20210135400A (ko) 건강 관리 상담 시스템
US20230377722A1 (en) Medical image display system, medical image display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Gaebel et al. Requirements for 5G integrated data transfer in German prehospital emergency care
Doukas et al. Context-aware medical content adaptation through semantic representation and rules eval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