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129B1 -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129B1
KR101449129B1 KR1020120110418A KR20120110418A KR101449129B1 KR 101449129 B1 KR101449129 B1 KR 101449129B1 KR 1020120110418 A KR1020120110418 A KR 1020120110418A KR 20120110418 A KR20120110418 A KR 20120110418A KR 101449129 B1 KR101449129 B1 KR 101449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xpression
present
composition
abh anti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4454A (ko
Inventor
홍용덕
신송석
한상훈
김겸손
정진호
오장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110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129B1/ko
Priority to PCT/KR2013/001756 priority patent/WO2014054841A1/ko
Publication of KR2014004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25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61K31/37Coumarins, e.g. psora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항노화용 또는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항노화 및 보습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MMP-1 발현을 억제하여 주름의 완화 또는 개선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Compound of Regulation for ABH Antigen}
본 발명은 항노화용 또는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액형 항원은 혈액의 적혈구 표면의 당단백질 혹은 당지질에서 발견된 특정한 항원성을 띄는 구조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ABO식 혈액형 항원 (ABH 항원), Lewis식 혈액형 항원 등이 있으며, 특정구조의 당질화 말단기 구조에 따라 혈액형이 결정된다. ABO식 혈액형 항원 및 Lewis식 혈액형 항원은 적혈구에서만 발현되는 것이 아니라,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서 발견되며, 특히 ABO식 혈액형 항원은 개인의 혈액형에 따라 몸 안의 식도, 위장, 소장 등의 상피에서도 발현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피부에서는 표피의 과립층에 발현된다.
ABO식 혈액형 항원의 표피의 과립층 발현은, 해부학적인 위치상 피부의 가장 바깥층에서 나타나므로, 피부관련 질환 특히 염증 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ABO식 혈액형 항원은 수혈과 장기이식의 거부반응의 주원인이 되는 매우 중요한 항원이지만, 1900년에 발견된 이래로 아직까지 거부반응 이외의 생리적 기능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거의 없다.
본 발명자들은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이 항노화 효능을 가질 뿐 아니라,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2709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항노화 또는 보습 효능을 가져오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항노화 및 보습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MMP-1 발현을 억제하여 주름의 완화 또는 개선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ABH 항원 및 Lewis 식 혈액형 항원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에 의해 HaCaT 세포주에서 B 항원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사람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MMP-1 (콜라게네이즈) 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4는 HaCaT 세포에서의 MMP-1 (콜라게네이즈) 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또는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ABH 항원"은 혈액의 적혈구 표면의 당단백질 혹은 당지질에서 발현된 특정한 항원성을 띄는 구조를 말하며, 대표적으로 ABH 항원은 그림1로 표현된 ABH 항원, Lewis식 혈액형 항원등 ABH 항원 유사체의 집합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ABH 항원 유사체는 단당류, 아미노산 등이 추가로 결합되어 있는 물질로서 ABH 항원 본래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도 1에 ABH 항원 및 Lewis 식 혈액형 항원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항노화"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신체의 변화를 늦추어 주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주름 개선, 주름 감소 또는 검버섯 등의 색소침착 완화 등의 예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으로, MMP의 발현을 억제함에 의하여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은 ABH 항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ABH 항원의 발현 증가는 구체적으로 HaCaT 세포주에서의 B 항원의 발현 증가를 통하여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은 1,3-디카페오일퀴닉산 (1,3-dicaffeoylquinic acid), 1,5-디카페오일퀴닉산 (1,5-dicafeoylquinic acid) 및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 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그의 유도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80657665-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2080657665-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2080657665-pat00003
본 명세서에서 "유도체"는 상기 화합물의 치환 가능한 위치에서 다른 치환기로 변경되는 모든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러한 치환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이란 통상의 의약적 복용량(medicinal dosage)으로 이용할 때 상당한 독성 효과를 피함으로써, 동물, 더 구체적으로는 인간에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정부 또는 이에 준하는 규제 기구의 승인을 받을 수 있거나 승인 받거나, 또는 약전에 열거되거나 기타 일반적인 약전으로 인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고 모 화합물(parent compound)의 바람직한 약리 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염을 의미한다. 상기 염은 (1)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아세트산, 프로파이온산, 헥사노산, 시클로펜테인프로피온산, 글라이콜산, 피루브산, 락트산, 말론산, 숙신산, 말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3-(4-히드록시벤조일)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테인설폰산, 에테인설폰산, 1,2-에테인-디설폰산, 2-히드록시에테인설폰산, 벤젠설폰산, 4-클로로벤젠설폰산, 2-나프탈렌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캄퍼설폰산, 4-메틸바이시클로 [2,2,2]-oct-2-엔-1-카르복실산, 글루코헵톤산, 3-페닐프로파이온산, 트리메틸아세트산, tert-부틸아세트산, 라우릴 황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히드록시나프토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뮤콘산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되는 산 부가염(acid addition salt); 또는 (2) 모 화합물에 존재하는 산성 프로톤이 치환될 때 형성되는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상기 범위로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이 의도하는 안티에이징, 주름 개선 등의 항노화 효과 또는 보습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 유용하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05 중량% 내지 19.5 중량%, 0.01 중량% 내지 19 중량%, 0.015 중량% 내지 18.5 중량%, 0.02 중량% 내지 18 중량%, 0.025 중량% 내지 17.5 중량%, 0.03 중량% 내지 17 중량%, 0.035 중량% 내지 16.5 중량%, 0.04 중량% 내지 16 중량% 또는 0.045 중량% 내지 15.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MMP1 유전자의 발현을 방해하여 억제 또는 저해시키거나, MMP1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하여 그 작용을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및 밀크로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팩, 젤,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및 보디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연고, 패치 등의 형태로 피부 외용제의 제형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액,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고체, 겔, 분말, 페이스트, 포말(foam)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제, 현탁제, 유액제, 겔, 점적제, 좌제, 패취 또는 분무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형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부형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현탁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또는 완충제, 착색제, 향신료, 안정화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은 투여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000025mg/g/일 내지 0.025mg/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0.00025mg /g/일 내지 0.01mg/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경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HaCaT 세포주에서 B antigen 의 발현증가 효과
다양한 종류의 화합물이 ABH 항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이를 위하여, HaCaT 세포(provided by Prof. Dr. N.E. Fusenig, DKFZ Heidelberg, Germany) 를 35 mm 디쉬에 10% FBS-DMEM 으로 배양한 후 24시간 동안 0% FBS-DMEM으로 starvation 하였다. 다시 0% FBS-DMEM으로 배지를 갈아주면서 1,3-디카페오일퀴닉산 (1,3-dicaffeoylquinic acid), 1,5-디카페오일퀴닉산 (1,5-dicafeoylquinic acid) 및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를 각각 2ug/ml의 농도로 HaCaT 세포에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대조군은 DMSO를 처리함). 세포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여 세포 용해물을 동량 로딩하여 웨스턴 블랏으로 B 형 항원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알파-튜블린 단백질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2), 1,3-디카페오일퀴닉산 (1,3-dicaffeoylquinic acid), 1,5-디카페오일퀴닉산 (1,5-dicafeoylquinic acid) 및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 모두 HaCaT 세포에서 B형 항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람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MMP -1 ( 콜라게네이즈 ) 의 발현 억제 효과
사람의 섬유아세포(KF-4109, 클라보사로부터 입수) 를 60mm 디쉬에서 10% FBS-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으로 배양한 후 24시간 동안 0% FBS-DMEM으로 starvation 하였다. PBS로 2회 워싱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다시 0% FBS-DMEM으로 배지를 갈아주면서 1,3-디카페오일퀴닉산 (1,3-dicaffeoylquinic acid), 1,5-디카페오일퀴닉산 (1,5-dicafeoylquinic acid) 및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 각각을 2ug/ml의 농도로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대조군은 DMSO를 처리함). 배지를 모아서 동량의 배지를 로딩하여 웨스턴 블랏으로 MMP-1을 확인하였고, 세포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여 세포 용해물을 동량 로딩하여 웨스턴 블랏으로 알파-튜블린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 1,3-디카페오일퀴닉산 (1,3-dicaffeoylquinic acid), 1,5-디카페오일퀴닉산 (1,5-dicafeoylquinic acid) 및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이 모두 MMP-1 (콜라게네이즈) 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의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HaCaT 세포에서의 MMP -1 ( 콜라게네이즈 ) 의 발현 억제 효과
HaCaT 세포(provided by Prof. Dr. N.E. Fusenig, DKFZ Heidelberg, Germany)를 60mm 디쉬에서 10% FBS-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으로 배양한 후 24시간 동안 0% FBS-DMEM으로 starvation 하였다. PBS로 2회 워싱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다시 0% FBS-DMEM으로 배지를 갈아주면서 각 물질 (1,3-dicaffeoylquinic acid, 1,5-dicafeoylquinic acid, amentoflavon, 시그마로부터 구입)을 2ug/ml의 농도로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대조군은 DMSO를 처리함). 배지를 모아서 동량의 배지를 로딩하여 웨스턴 블랏으로 MMP-1을 확인하였고, 세포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여 cell lysate를 동량 로딩하여 웨스턴 블랏으로 알파-튜블린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 1,3-디카페오일퀴닉산 (1,3-dicaffeoylquinic acid), 1,5-디카페오일퀴닉산 (1,5-dicafeoylquinic acid) 및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이 모두 MMP-1 (콜라게네이즈) 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의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피부 보습 효과 평가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의 피부 보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20~30대 성인 남녀 14명(남자 7명, 여자 7명)에게 시험물질을 하박 내측면에 3X3㎝ 정사각형의 3부위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시험물질로는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0.2%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고, 양성 대조군으로 글리세린 5%를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의 초기, 2일 후, 7일 후, 11일 후의 피부 수분량을 코니오미터(Corneometer CM825(C+KGmbH, Germany))로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코니오미터 측정 방법>
원리: 피부의 표피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전기적 측정법을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 정도를 측정,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한다.
1.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에 코니오미터의 프로브(probe)를 올려놓는다.
2. 프로브를 피부에 누르면 센서를 통하여 피부의 전기 전도도를 수치화하여 화면에 표시된다.
3. 각 부위에서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전기 전도도(평균±표준편차, ACU) (**: p<0.01 무처리군 대비)
구분 초기 2일 후 7일 후 11일 후
1,3-Dicaffeoylquinic acid 25.69±3.93 31.05±5.06 30.53±4.87 31.34±3.75
1,5-Dicaffeoylquinic acid 24.88±4.84 27.38±5.98 30.49±4.19 29.77±4.53
Amentoflavon 25.17±3.69 29.46±2.69 30.08±3.41 31.63±5.77
글리세린 26.01±3.25 32.12±2.71 33.38±2.95 33.39±3.21
무처리군 24.12±4.02 23.89±3.56 24.35±5.01 23.56±4.22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피부에 도포할 경우, 피부 수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paired T-test, p<0.01)을 나타내었고 도포 11일 후에도 피부 수분량이 유지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도포 후 피부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보존하여 피부 보습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화장수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화장수를 제조한다.
함량(중량%)
1,3-디카페오일퀴닉산 (1,3-dicaffeoylquinic acid), 1,5-디카페오일퀴닉산 (1,5-dicafeoylquinic acid) 및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의 화합물 2.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영양 크림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영양 크림을 제조한다.
함량(중량%)
1,3-디카페오일퀴닉산 (1,3-dicaffeoylquinic acid), 1,5-디카페오일퀴닉산 (1,5-dicafeoylquinic acid) 및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의 화합물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락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마사지 크림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마사지 크림을 제조한다.
함량(중량%)
1,3-디카페오일퀴닉산 (1,3-dicaffeoylquinic acid), 1,5-디카페오일퀴닉산 (1,5-dicafeoylquinic acid) 및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의 화합물 1.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팩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한다.
함량(중량%)
1,3-디카페오일퀴닉산 (1,3-dicaffeoylquinic acid), 1,5-디카페오일퀴닉산 (1,5-dicafeoylquinic acid) 및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의 화합물 1.0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젤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젤을 제조한다.
함량(중량%)
1,3-디카페오일퀴닉산 (1,3-dicaffeoylquinic acid), 1,5-디카페오일퀴닉산 (1,5-dicafeoylquinic acid) 및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의 화합물 0.5
에틸렌디아민초산나트륨 0.05
글리세린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에탄올 5.0
PEG 60 경화피마자유 0.5
트리에탄올아민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연고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함량(중량%)
1,3-디카페오일퀴닉산 (1,3-dicaffeoylquinic acid), 1,5-디카페오일퀴닉산 (1,5-dicafeoylquinic acid) 및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의 화합물 0.1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1] 연질캅셀제
1,3-디카페오일퀴닉산 (1,3-dicaffeoylquinic acid), 1,5-디카페오일퀴닉산 (1,5-dicafeoylquinic acid) 및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의 화합물 0.0025g, 비타민 C 0.0025g, 홍삼추출물 50 mg, 팜유 2 mg, 팜경화유 8 mg, 황납 4 mg 및 레시틴 6 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캡슐당 400 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
1,3-디카페오일퀴닉산 (1,3-dicaffeoylquinic acid), 1,5-디카페오일퀴닉산 (1,5-dicafeoylquinic acid) 및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의 화합물 0.0025g, 비타민 C 0.0025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전분 96 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제제예 3] 과립제
1,3-디카페오일퀴닉산 (1,3-dicaffeoylquinic acid), 1,5-디카페오일퀴닉산 (1,5-dicafeoylquinic acid) 및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의 화합물 150 mg, 비타민 C 15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및 전분 600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1 g으로 하였다.
[제제예 4] 드링크제
1,3-디카페오일퀴닉산 (1,3-dicaffeoylquinic acid), 1,5-디카페오일퀴닉산 (1,5-dicafeoylquinic acid) 및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의 화합물 0.0025g, 비타민 C 0.0025g, 포도당 10 g, 홍삼추출물 50 mg, 구연산 2 g 및 정제수 187.8 g을 혼합하고 병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용량은 200 ml로 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로,
    상기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은 1,3-디카페오일퀴닉산 (1,3-dicaffeoylquinic acid), 1,5-디카페오일퀴닉산 (1,5-dicafeoylquinic acid) 및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 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허용가능한 그의 염인,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0.0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110418A 2012-10-05 2012-10-05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49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418A KR101449129B1 (ko) 2012-10-05 2012-10-05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PCT/KR2013/001756 WO2014054841A1 (ko) 2012-10-05 2013-03-05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418A KR101449129B1 (ko) 2012-10-05 2012-10-05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454A KR20140044454A (ko) 2014-04-15
KR101449129B1 true KR101449129B1 (ko) 2014-10-08

Family

ID=50435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418A KR101449129B1 (ko) 2012-10-05 2012-10-05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9129B1 (ko)
WO (1) WO2014054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884B1 (ko) * 2014-10-15 2021-01-08 (주)아모레퍼시픽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용 조성물
SG11201703027RA (en) * 2014-10-15 2017-05-30 Amorepacific Corp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 for regulating expression of abh antigens
KR102224110B1 (ko) * 2014-10-15 2021-03-09 (주)아모레퍼시픽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CN117651544A (zh) * 2021-07-23 2024-03-05 西姆莱斯有限公司 二咖啡酰奎宁酸及二咖啡酰奎宁酸与生育酚的协同作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899A (ko) * 2003-06-26 2005-01-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및 이를포함하는 감국 추출물
KR20100082709A (ko) * 2009-01-09 2010-07-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bh 항원을 이용한 염증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20009953A (ko) * 2010-07-23 2012-02-02 (주)아모레퍼시픽 아멘토플라본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방지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297B1 (ko) * 2010-01-21 2013-02-0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노화 진단 키트 및 피부 노화 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899A (ko) * 2003-06-26 2005-01-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및 이를포함하는 감국 추출물
KR20100082709A (ko) * 2009-01-09 2010-07-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bh 항원을 이용한 염증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20009953A (ko) * 2010-07-23 2012-02-02 (주)아모레퍼시픽 아멘토플라본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방지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454A (ko) 2014-04-15
WO2014054841A1 (ko)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129B1 (ko)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12996499A (zh) 含有3,5-二咖啡酰奎宁酸作为有效成分的皮肤屏障损伤改善用及/或皮肤炎症缓和用组合物
CA2866837A1 (en) Polypeptides and their use
US20190142721A1 (en) Composition containing substance for regulating expresson of abh antigens
EP3042651B1 (en) Composition containing monoacetyldiacylglycerol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KR101965590B1 (ko)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22441B1 (ko) 녹차 잎자루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733189B1 (ko) 손톱 또는 발톱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039608B1 (ko) 미도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30032420A (ko) 손바닥선인장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99884B1 (ko)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용 조성물
KR101985886B1 (ko) 인돌 화합물 및 판테놀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298803B1 (ko) (2S)-1-O-리놀레노일-2-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20160066733A (ko)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20160044214A (ko)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20160013226A (ko) 크리신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US20220000742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asinensin a
KR20160066186A (ko) 피크리오노시드 a를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2215170B1 (ko) 16-하이드록시-옥타데카-9,17-디엔-12,14-디이닐 에스테르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2286680B1 (ko)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JP6587908B2 (ja) プロトンポンプ機能促進剤
KR102286682B1 (ko) 아카리시드 b6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1936688B1 (ko) 트롤룩스를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298804B1 (ko) (2S)-1-O-리놀레오일-2-O-리놀레오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20160064406A (ko) 진세노인 a를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