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691B1 -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 Google Patents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691B1
KR101448691B1 KR1020130138276A KR20130138276A KR101448691B1 KR 101448691 B1 KR101448691 B1 KR 101448691B1 KR 1020130138276 A KR1020130138276 A KR 1020130138276A KR 20130138276 A KR20130138276 A KR 20130138276A KR 101448691 B1 KR101448691 B1 KR 101448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dipole antenna
leakage current
sleeve
radi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명
정서철
백정기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38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18Vertical disposition of the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62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 broadside radiating 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02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 H01Q11/08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01Q7/08Ferrite rod or like elongated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유방암 조기 진단 장치에 사용가능한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테나 방사체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방사소자; 상기 방사소자의 일단에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방사소자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케이블; 및 임피던스 매칭과 누설전류 억제를 위한 스터브; 를 포함하되, 상기 방사소자는, 원통 슬리브 형상의 제 1 소자부;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고 상기 제 1 소자부 상부에 배치되며, 제 2 소자부의 길이를 소형화시키기 위한 유전체; 및 상기 유전체에 헬리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소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SLEEVE DIPOLE ANTENNA FOR SUPPRESSING LEAKAGE CURRENT OF FEEDER CABLE}
본 발명은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를 이용한 유방암 조기 진단 장치용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와 관련해서는, 한국등록실용 20-0329764호(이하, '선행문헌') 외에 다수 출원 및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문헌은, 무선 통신 기기에 사용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동축 전송선로와 콘넥터가 일체형으로 된 급전부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슬리브로 구성되어 회로기판에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 전자파를 이용한 인체 종양 진단연구에 많은 국가들이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특히, 유방암의 경우 유방 조직이 다른 신체 부위와 비교하여 균일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자파를 이용한 이미징 기술의 적용에 매우 적합한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전자파를 이용한 유방암 조기 진단 연구들이 행해지고 있으며 시장의 잠재성으로 인하여 많은 국가들이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되거나 개발중인 진단용 안테나로써 모노폴, 미소 다이폴, 초광대역 다이폴, Conformal 배열 안테나 등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 개발된 모노폴 안테나인 도 1a 의 경우, 그라운드판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손실이 발생하는 액체에서 안테나를 측정하여 안테나 자체의 반사손실이 아닌 유전체에 의한 손실까지 고려하여 -10dB 광대역 매칭을 하였다. 따라서, 안테나의 반사손실 및 특성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어 매칭정도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안테나에 의한 산란정도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도 1b 에서는 H-모양의 기생소자를 사용한 광대역 안테나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슬리브 안테나에서 나타나는 단점인 누설전류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고 광대역 매칭을 하였기 때문에 반사손실이 급전 케이블에 따라 변화될 가능성이 커서 경우에 따라 광대역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도 1c 에는 다이폴 및 슬리브 안테나를 이용한 진단장치 구성을 나타내었다. 전방향성을 지니며 제작하기 쉬운 다이폴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 발룬에 의한 길이로 인해 진단장치의 전체 지름이 최소 100mm가 증가해야 하므로 간편한 간이용 진단장치를 설계하는데 적당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방암 조기 진단 장치에 사용가능한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안테나 방사체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방사소자; 상기 방사소자의 일단에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방사소자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케이블; 및 임피던스 매칭과 누설전류 억제를 위한 스터브; 를 포함하되, 상기 방사소자는, 원통 슬리브 형상의 제 1 소자부;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고 상기 제 1 소자부 상부에 배치되며, 제 2 소자부의 길이를 소형화시키기 위한 유전체; 및 상기 유전체에 헬리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소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터브는, 상기 제 1 소자부를 관통하여, 상기 급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터브는, L자 형상으로서, 상기 제 1 소자부의 외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터브는, 안테나 소형화를 위해, 상기 제 1 소자부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전 케이블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급전 케이블을 에둘러 형성된 페라이트 코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는, SMA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방암 진단 시 헬리컬 모양을 신체를 향하도록 안테나를 배열하면 방사세기가 큰 부분에서 유방을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정확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리브 안테나의 소형화를 통해 기존 길이에 비해 33% 감소시키고 내부 스터브를 사용하여 임피던스 매칭 및 누설전류를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a 는 기존의 유방암 진단용 모노폴 안테나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1b 는 H-모양의 기생소자를 사용한 광대역 안테나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1c 는 다이폴 및 슬리브 안테나를 이용한 진단장치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형 다이폴 안테나의 구조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형 다이폴 안테나의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반사손실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형 다이폴 안테나의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방사패턴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형 다이폴 안테나의 측정 포인트에 따른 누설전류 분포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형 다이폴 안테나의 측정 포인트 셋업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구조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급전 케이블상의 페라이트 코어 유무에 따른 각각의 반사손실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4c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했을 때의 방사패턴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측정 포인트에 따른 누설전류 분포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측정 포인트 셋업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6a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도 4a)의 방사소자가 변형된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구조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도 4a)의 방사소자가 변형된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급전 케이블상의 페라이트 코어 유무에 따른 각각의 반사손실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6c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도 4a)의 방사소자가 변형된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했을 때의 방사패턴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7a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도 4a)의 방사소자가 변형된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측정 포인트에 따른 누설전류 분포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도 4a)의 방사소자가 변형된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측정 포인트 셋업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8a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소자가 변형된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도 6a)의 소형화 과정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8b 내지 도 8c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소자가 변형된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도 6a)의 소형화 과정 및 반사손실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9a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소자가 변형된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도 6a)의 소형화 과정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9b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9a 의 안테나가 소형화된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구조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9c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9b 의 안테나의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하지 않고 측정한 반사손실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9d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9b 의 안테나의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하지 않고 측정한 방사패턴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10a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9b 의 안테나의 측정 포인트에 따른 누설전류 분포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10b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9b 의 안테나의 측정 포인트 셋업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11a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9b 의 안테나가 소형화된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구조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11b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1a 의 안테나의 반사손실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11c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1a 의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12a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1a 의 안테나의 내부 스터브를 삽입한 안테나의 구조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12b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2a 의 안테나의 반사손실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12c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2a 의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13a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a 의 안테나의 측정 포인트에 따른 누설전류 분포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13b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2a 의 안테나의 측정 포인트 셋업을 보이는 일예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 및 특성 기술에 앞서, 모노폴 안테나와 모양이 비슷하며 제작하기 쉬운 동축 케이블형 다이폴 안테나의 특성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진단 장치용 안테나로 선택한 기본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를 설계하고 방사소자의 변형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였다.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를 설계하기에 앞서 동축 케이블의 외피를 제거해 내심을 방사소자로 하여 도 2a 와 같이 제작하였다.
도 2a 의 좌측 안테나는 급전 케이블에 페라이트 코어를 부가하지 않았으며, 우측 안테나는 누설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페라이트 코어 3개를 급전 케이블에 부가시켰다. 두 개 안테나의 각 반사손실을 도 2b 에,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했을 시 방사패턴을 도 2c 에 나타내었다.
도 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반사손실은 설계주파수 1.5GHz에서 -1.92dB, 사용했을 때에는 -2.57dB이다. 따라서, 페라이트 사용 유무에 관계없이 임피던스 매칭이 되지 않았다. 도 2c 의 방사패턴에서 이득이 매우 낮으며, 급전 케이블상의 누설전류 억제로 인해 방사패턴이 다소 안정되었으나 안테나로써 충분히 동작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단지 급전 케이블상의 누설전류를 분석하기 위해, 도 3a 에서는 도 3b 와 같은 측정 포인트 셋업을 구성한 후, 급전 케이블상에서의 누설전류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하지 않았을 시에는 방사소자가 있는 -5∼5cm 보다 케이블 쪽인 10∼12cm 부근에서 전류분포가 더 크게 형성되었다.
이는 방사소자 상에서의 전류분포보다 더 많은 전류가 케이블상에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할 경우, 방사소자 부근에서의 전류분포 값은 비슷하지만, 케이블상에서의 전류분포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누설전류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급전 케이블상의 전류분포를 억제시키기 위해서는 급전 케이블상에 페라이트 코어를 부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기본이 되는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를 설계하도록 한다.
가.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급전 케이블상의 전류 분포를 억제시키고자 기본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중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도 4a 에서 중심주파수 1.5GHz를 가질 때 방사소자의 총 길이는 93mm(0.465λ)으로 목표 길이인 60mm(0.3λ) 보다 33mm(0.165λ) 긴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급전 케이블상의 페라이트 코어 유무에 따른 각각의 반사손실을 도 4b,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했을 때의 방사패턴을 도 4c 에 나타내었다. 반사손실의 경우,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14.14dB이며, 사용했을 때에는 -14.26dB로 큰 변화없이 임피던스 매칭이 되었다. 또한, 페라이트 코어 부가시 방사패턴은 다이폴과 같은 안정된 패턴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득은 1.09dBi이다.
한편, 도 5a 에서는 도 5b 와 같은 측정 포인트 셋업을 구성한 후, 누설전류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슬리브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 급전점 부근의 전류분포가 4dB 증가했으며, 11cm 지점에서의 전류분포도 8dB 감소됨으로써 급전케이블상의 전류분포 억제를 위해서는 슬리브 구조의 안테나가 유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급전 케이블상에 이와 같은 급전점에서의 전류분포증가 및 케이블상에서의 전류분포억제가 다이폴 방사패턴을 형성하게 되었다. 페라이트 코어를 부가할 경우, 앞서 방사소자 부근에서의 전류분포 값은 비슷하지만 케이블 부분에서 전류분포를 11cm 지점에서 9dB를 더욱 감소시켜 케이블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크게 억제시켰다.
나. 방사소자가 변형된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앞서 언급된 슬리브 안테나에서, 도 6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의 방사소자를 슬리브 모양과 동일한 직경으로 변형하여 방사소자가 변형된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방사소자의 길이는 앞 절과 동일하며 페라이트 코어의 유무에 따른 각각의 반사손실을 도 6b,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했을 때의 방사패턴을 도 6c 에 나타내었다. 반사손실의 경우,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17.37dB, 사용했을 때에 -18.44dB를 나타내었다. 또한, 방사패턴의 이득값은 2.1dBi로써 앞선 슬리브 안테나에 비해 1.1dB 향상되었으며 다이폴과 비슷한 이득 및 지향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도 7a 에서는 도 7b 와 같은 측정 포인트 셋업을 구성한 후, 누설전류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페라이트 코어가 없을 경우 11cm 지점에서 전 절의 전류분포보다 2dB 감소되었으며, 페라이트 코어가 부가된 경우는 급전점에서의 전류분포가 더욱 증가되어 이득증대 효과를 가져왔다.
다. 설계된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제특성 비교
동축 케이블형 다이폴 안테나와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방사소자가 변형된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를 설계하고, 반사손실 및 방사패턴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세 개 안테나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표 1] 에 비교하였다.
동축 케이블형 다이폴 안테나의 경우, 동축 선로의 외피를 제거하여 그대로 사용하면 안테나로서 제대로 동작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기본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경우, 다이폴과 비슷한 특성이 나타났지만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단점을 확인하였으며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하여 누설전류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보다 방사소자가 변형된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이득 및 반사손실이 좋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표 1]
Figure 112013103746728-pat00001

이하에서는, 설계한 기본형 슬리브 안테나를 소형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사소자가 동일한 슬리브 안테나의 경우, 목표 길이인 60mm(0.3λ)보다 30mm(0.15λ)가 초과하므로 안테나의 소형화가 필요하다.
우선, 기본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중 특성이 좋은 방사소자가 변형된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양쪽 슬리브를 헬리컬 모양으로 변환하여 길이는 줄이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하지만, 재현성이 떨어지며 다중공진으로 인해 사용에 부적절함을 발견하였다. 다음 방안으로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위쪽 부분의 방사소자만 소형화하여 목표길이에 맞추었다.
또한, 페라이트 코어 사용 시 간이용 진단장치의 가격 및 장치부피, 무게가 커지는 단점이 존재하므로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하지 않고, 누설전류를 안정화하며 임피던스를 보상하여 안테나를 매칭시키는 내부 스터브를 대신 사용하였다.
1. 방사소자가 변형된 소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방사소자가 변형된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방사소자를 도 8a 와 같이 위, 아래 각각 4개의 금속 스트립으로 슬리브를 대체하였으며 금속스트립을 헬리컬 모양으로 변형하여 소형화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도 8b 의 안테나의 경우, 방사소자가 변형된 슬리브 안테나의 슬리브 부분을 금속 스트립으로 변형한 형태이며, 이전에 비해 다중공진 되는 정도가 심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c 의 안테나의 경우, 소형화를 위해 도 8b 의 금속 스트립을 헬리컬 모양으로 감아서 소형화하였다. 길이는 56mm로 설계 목표인 60mm 이내에 들었지만 반사손실 그래프를 확인하면 다중공진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스트립을 헬리컬 모양으로 만들어 제작할 시, 금속 스트립 8개를 동일한 pitch를 유지하며 제작하고, 튜닝시에도 8개를 동일하게 잘라내어 주파수를 맞추어야 하므로 재현성이 떨어지고 안테나마다 특성이 조금씩 다르게 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안테나들이 동일한 특성을 갖기 힘들어 산란값을 이용해 계산하는 조기진단용 장치에 적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해 다른 방안으로 소형화를 하였다.
2. 소형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다음 소형화 방안으로는 도 9a 와 같이 아래쪽의 슬리브를 그대로 이용하고 위쪽의 원통형 방사소자만 헬리컬 모양으로 꼬아 소형화한 방법이다. 헬리컬 모양으로 방사소자를 변형할 시 임피던스도 같이 바뀌어서 매칭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임피던스 매칭을 위하여 스터브를 사용하여 매칭을 시켰으며, 외부에 스터브를 달면 외부적인 부피가 증가하며 스터브부분에서는 방사세기가 약해져서 패턴이 타원형으로 방사패턴이 변형되기 때문에 도 9a 의 마지막 그림과 같이 내부에 스터브를 달아 임피던스를 매칭하였다.
제안된 소형화 방안을 위해 내부 스터브를 사용해야 하는데, 현재 설계된 슬리브의 지름이 작아 동축케이블과 내부 스터브를 함께 내부에 배치하는데 좁다. 따라서, 슬리브의 반경이 1.55mm 더 큰 직경 10.3mm을 사용하여 기존의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를 재설계하여 도 9b 에 나타내었다.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하지 않고 측정한 반사손실과 방사패턴을 도 9c, 도 9d 에 나타내었다. 반사손실은 -15.08 dB이며 이전 안테나의 -14.14dB에 비해 반사손실의 차이가 별로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득의 1.96dBi 이다. 이전의 안테나에 비해 반사손실 모양은 비슷하지만 이득이 0.88에서 1.96dBi로 상승하였다. 이는 슬리브의 지름이 커지면서 슬리브가 이전보다 그라운드로써 영향이 커지기 때문이다.
도 10a 에서는 도 10b 와 같은 측정 포인트 셋업을 구성한 후, 누설전류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슬리브 지름이 8.75mm일 때에 비해 지름이 1.55mm 증가되면서 11cm지점에 나타나는 전류분포는 -31.5dB에서 -37.4dB로 5.9dB 감소되었으며 페라이트 코어를 장착했을 때인 -41.3dB와 3.9dB차이로 크게 줄어들었다. 따라서, 페라이트 코어 유무에 따른 차이가 크게 줄어들었으며, 장착에 따른 이점이 크게 줄어들었으며, 페라이트 코어 장착 시 측정 장치의 부피가 커지며 단가가 비싸지기 때문에 페라이트 코어를 장착하지 않은 안테나를 선택하였다.
또한,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도 9a 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소형화 하여 도 11a 와 같이 제작하였다. 안테나의 길이는 60mm로 설계목표에 맞추었으며 헬리컬 모양으로 금속선의 방사소자를 말아서 움직이지 않도록 접착하였다. 반사손실 및 방사패턴을 도 11b, 도 11c 에 나타내었다. 반사손실의 경우 -9.33dB로 이전의 -15.08dB에 비해 5.75dB 상승했으며 이득은 1.96dBi에서 0.48dBi로 특성이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이는 방사소자를 헬리컬 모양으로 제작하면서 임피던스가 잘 맞지 않아서 발생되었기 때문에 뒷 절에서 내부 스터브를 사용해 보정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고, 누설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를 설계하도록 한다.
설계한 소형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보상하기 위하여, 도 12a 와 같이 내부 스터브를 삽입하여 재설계하였다. 반사손실 및 방사패턴을 그림 도 12b, 도 12c 에 나타내었다. 반사손실의 경우 -27.73dB로 내부 스터브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인 -9.33dB에 비해 18.4dB 개선되었다. 방사패턴은 15°, 165° 부근에서 최대가 나타났으며 이는 스터브의 영향 및 급전점 전류집중현상에 기인한다. 이득은 0.48dBi에서 0.82dBi로 0.34dBi 개선되었다.
도 13a 에서는 도 13b 와 같은 측정 포인트 셋업을 구성한 후, 누설전류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스터브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11cm지점에서의 누설전류는 이전에 비해 2.4dB 증가하였지만, 스터브를 사용했을 때 37.1dB로 이전과 비슷하게 되면서 누설전류를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억제된 누설전류는 헬리컬 부근에서의 전류분포를 증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헬리컬 모양으로 소형화할 시 내부 스터브를 사용하여 임퍼던스 보정 및 누설전류의 억제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는, 안테나 방사체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방사소자(100), 방사소자(100)의 일단에 SMA 커넥터(300)를 통해 연결되어, 방사소자(100)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케이블(200)를 포함한다(도 13b 참조).
이때, 급전 케이블(200)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급전 케이블(200)을 페라이트 코어(400)가 에둘러 형성될 수 있다(도 4a 참조).
구체적으로, 방사소자(100)는 도 9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슬리브 형상의 제 1 소자부(110)와,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고 상기 제 1 소자부(110) 상부에 배치되며, 제 2 소자부(120)의 길이를 소형화시키는 유전체(130)와, 유전체(130)에 헬리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소자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터브(111)는 L자 형상으로서, 제 1 소자부(110)의 외부에 형성되거나, 안테나 소형화를 위해 제 1 소자부(1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소자부(110) 내부에 형성될 경우, 제 1 소자부(110)를 관통하여, 급전 케이블(200)과 연결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내부 스터브를 사용한 소형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를 이용하여 유방암 조기진단 장치용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먼저, 진단 장치용 안테나로써 최적인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를 제안하였으며, 중심주파수 1.5GHz에 맞는 기본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를 제작하였다. 또한, 방사소자를 변형하여 반사손실 및 방사패턴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목표길이인 60mm 이내로 소형화하기 위하여 첫 번째로 위/아래의 방사소자를 금속 스트립으로 변경한 후, 동시에 헬리컬로 만들어 소형화 하였는데 다중공진 및 재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다른 방안으로, 두 번째에는 위쪽 방사소자만 헬리컬로 만들어 소형화 하였으며 임피던스를 보정하기 위하여 스터브가 사용하였다. 이때, 외부에 스터브를 장착 시 안테나의 부피가 커지며, 외부스터브 부근에서 방사세기가 약해져 패턴이 일그러지는 단점이 발생하여 내부에 스터브를 장착하였다.
슬리브 안쪽에 내부 스터브가 들어갈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슬리브의 지름을 1.55mm 증가시켜 원통형 슬리브 안테나를 재설계하고, 내부 스터브를 장착하여 소형화한 결과 반사손실의 경우 -9.33dB에서 -27.73dB로, 이득은 0.48dBi에서 0.82dBi로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누설전류의 경우 내부 스터브를 삽입하여 증가되는 누설전류를 억제할 수 있어 누설전류를 감소시키고 방사소자에서의 방사전력을 증가시켰다.
또한, 방사소자를 헬리컬 모양으로 축소했기 때문에 헬리컬 부분에서 전류분포 및 방사세기가 크다. 따라서, 유방암 진단 시 헬리컬 모양을 신체를 향하도록 안테나를 배열하면 방사세기가 큰 부분에서 유방을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정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로써 제안된 내부 스터브를 사용한 소형 원통형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가 유방암 조기진단 장치용 안테나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방사소자 200: 급전 케이블
300: SMA 커넥터 400: 페라이트 코어
110: 제 1 소자부 120: 제 2 소자부
130: 유전체 111: 스터브

Claims (6)

  1. 안테나 방사체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방사소자;
    상기 방사소자의 일단에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방사소자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케이블; 및
    임피던스 매칭과 누설전류 억제를 위한 스터브; 를 포함하되,
    상기 방사소자는,
    원통 슬리브 형상의 제 1 소자부;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고 상기 제 1 소자부 상부에 배치되며, 제 2 소자부의 길이를 소형화시키기 위한 유전체; 및
    상기 유전체에 헬리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소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는,
    상기 제 1 소자부를 관통하여, 상기 급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는,
    L자 형상으로서, 상기 제 1 소자부의 외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는,
    안테나 소형화를 위해, 상기 제 1 소자부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케이블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급전 케이블을 에둘러 형성된 페라이트 코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SMA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KR1020130138276A 2013-11-14 2013-11-14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KR101448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276A KR101448691B1 (ko) 2013-11-14 2013-11-14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276A KR101448691B1 (ko) 2013-11-14 2013-11-14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691B1 true KR101448691B1 (ko) 2014-10-08

Family

ID=5199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276A KR101448691B1 (ko) 2013-11-14 2013-11-14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554B1 (ko) 2014-10-29 2015-09-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방사 패턴 조절을 위한 광대역 안테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030A (ko) * 2002-06-26 2004-01-07 우종명 초소형 모노폴 칩안테나
KR20080097824A (ko) * 2007-05-03 2008-11-0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다중 대역 안테나 및 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20120040256A (ko) * 2009-07-30 2012-04-26 짐 디. 그레이 앤드 어소시에이츠, 아이엔시. 안테나 시스템과 안테나용 커넥터
KR101258211B1 (ko) 2012-01-12 2013-04-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평면형 광대역 mimo 안테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030A (ko) * 2002-06-26 2004-01-07 우종명 초소형 모노폴 칩안테나
KR20080097824A (ko) * 2007-05-03 2008-11-0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다중 대역 안테나 및 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20120040256A (ko) * 2009-07-30 2012-04-26 짐 디. 그레이 앤드 어소시에이츠, 아이엔시. 안테나 시스템과 안테나용 커넥터
KR101258211B1 (ko) 2012-01-12 2013-04-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평면형 광대역 mimo 안테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554B1 (ko) 2014-10-29 2015-09-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방사 패턴 조절을 위한 광대역 안테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6099B1 (en) Rotation-independent helical antenna
EP1652270B1 (en) Slotted cylinder antenna
Bourqui et al. Balanced antipodal Vivaldi antenna for breast cancer detection
Parchin et al. Small-size tapered slot antenna (TSA) design for use in 5G phased array applications
US9419340B2 (en) Ultra wide band antenna
CN108832287B (zh) 三频段WiFi天线
Iqbal et al. Slot-DRA-based independent dual-band hybrid antenna for wearable biomedical devices
CN110809836A (zh) 圆极化天线
Suganthi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rectangular microstrip patch antenna for GSM application
Afifi et al. A compact ultra-wideband monopole antenna for breast cancer detection
Samal et al. Wearable textile multiband antenna for WBAN applications
Edalati et al. A novel cavity backed monopole antenna with UWB unidirectional radiation
Neebha et al. Analysis of an ultra miniature capsule antenna for gastrointestinal endoscopy
CN103943954B (zh) 一种超宽带低剖面印刷型圆极化螺旋天线
KR100899293B1 (ko) 이중공진에 의한 광대역 안테나
Chandra et al. Miniaturized antennas for link between binaural hearing aids
KR101448691B1 (ko) 급전 케이블의 누설전류를 억제시킨 슬리브 다이폴 안테나
WO2003015213A1 (en) Sleeved dipole antenna with ferrite material
Abdollahvand et al. A compact UWB printed antenna with bandwidth enhancement for in-body microwave imaging applications
Bourqui et al. Versatile ultrawideband sensor for near-field microwave imaging
US10333222B2 (en) Method of improving bandwidth of antenna using transmission line stub
Moussakhani et al. High-efficiency TEM horn antenna for ultra-wide band microwave tissue imaging
KR100826402B1 (ko) 광대역 안테나
KR100404324B1 (ko) 휴대폰용 고정형 모노폴 안테나
Jamlos et al. High performance of coaxial feed UWB antenna with parasitic element for microwave im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