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801B1 - Transcranial electric stimulation system - Google Patents

Transcranial electric stimul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801B1
KR101444801B1 KR1020130007299A KR20130007299A KR101444801B1 KR 101444801 B1 KR101444801 B1 KR 101444801B1 KR 1020130007299 A KR1020130007299 A KR 1020130007299A KR 20130007299 A KR20130007299 A KR 20130007299A KR 101444801 B1 KR101444801 B1 KR 101444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ic
stimulation
terminal device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2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4808A (en
Inventor
윤경식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주)와이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브레인 filed Critical (주)와이브레인
Priority to KR1020130007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801B1/en
Publication of KR20140094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8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8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61N2/006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for magnetic stimulation of nerv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5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ing a mental or cerebral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을 개시한다.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해 임의의 가청 주파수를 가지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경두개에 부착된 전극들로 펄스 전류 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자극 제어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의 전압 크기를 변압시키는 변압기; 및 상기 변압기로부터 변압된 신호의 플러스 성분만 통과하도록 반파 정류하여 그 정류된 신호를 펄스 전류 자극 신호로 상기 전극들에 출력하는 반파 정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경두개 전기 자극을 위해서 별도의 전원부나 자극 프로토콜 정보를 구비하지 않고도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 및 경두개 직류 자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자극을 제공한다.A light electric stimulation system is disclosed. A terminal device for outputting a speech signal having an arbitrary audible frequency for stimulation of two pulse currents; And an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for providing a pulse current stimulation signal to electrodes attached to two observers using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where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comprises: A transformer for transforming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transformer; And a half-wave rectification section for half-wave rectification so as to pass only the positive component of the signal transformed from the transformer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signal as a pulse current stimulation signal to the electrod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of a light pulse current stimulus and a light cranial direct current stimulus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or stimulus protocol information for light electrical stimulation.

Description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TRANSCRANIAL ELECTRIC STIMULATION SYSTEM}{TRANSCRANIAL ELECTRIC STIMULATION SYSTEM}

본 발명은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두개 전기 자극을 위해서 별도의 전원부나 자극 프로토콜 정보를 구비하지 않고도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 및 경두개 직류 자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자극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tic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rtic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in which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of a light pulse current stimulus and a light cranial DC stimul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ctile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configured to be capable of being performed.

다양한 개념들이 뇌 구조들의 신경 자극의 분야에 알려져 있다. Various concepts are known in the field of nerve stimulation of brain structures.

이들은 심부 전기 자극법(deep electrical stimulation), 경두개 자기 자극법(TMS: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및 경두개 전기 자극법(TES: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특히 경두개 직류 자극법(tDCS: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및 경두개 랜덤 노이즈 자극법(tRNS: transcranial random noise stimulation)을 포함한다.They were treated with deep electrical stimulation,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MS) and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TES), in particular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And transcranial random noise stimulation (tRNS).

특히, 다음의 방법들과 장치들이 알려져 있으며, 침습적 방법과 비침습적 방법이 구분될 수 있다. 침습적 방법들의 경우에, 협심증의 경우에서 외부 척수의 수막들의 신경자극을 위한 자극기가 개시되었으며, 자극기는 수술에 의해 실행된다.In particular, the following methods and devices are known, and invasive and non-invasive methods can be distinguished. In the case of invasive methods, a stimulator for nerve stimulation of the meninges of the external spinal cord is disclosed in the case of angina, and the stimulator is operated by surgery.

그리고, 주로 경두개 자기 및 전기 뇌 자극 방법들이 뇌의 비침습적 신경자극을 위한 방법으로서 알려져 있다. 경두개 자기 자극법(TMS)의 경우에, 머리의 표면의 위에 있는 자기 코일이 1 밀리세컨드(ms)보다 짧은 지속 시간으로 매우 짧은 자기장을 가하는데 사용된다. 자기장은 대략 1 내지 2 테슬러의 세기를 가진다. 자기장은 두개골을 통과하며 매우 짧은 전류 흐름을 유도한다. 이는 수 입방 센티미터의 정확하게 한계가 정해진 영역에서 신경성 방출들을 생성한다. 따라서, 코일 전류는 먼저 자기 에너지로 변환되며 그런 다음에 신경세포들에 있는 전류로 전환된다. 그리고, 싱글-펄스 TMS에 더하여 반복 TMS(rTMS: Repetitive TMS)가 알려져 있다. rTMS에서, 다수의 펄스들이 소정의 시퀀스에 적용된다. 높은 펄스 수는 피질의 흥분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예를 들어 1 헤르츠의 낮은 펄스 수는 피질의 흥분을 억제시킨다.And, mainly transthoracic and electric brain stimulation methods are known as a method for noninvasive nerve stimulation of the brain. In the case of transthoracic magnetic stimulation (TMS), magnetic coils above the surface of the head are used to apply a very short magnetic field for a duration shorter than one millisecond (ms). The magnetic field has an intensity of approximately 1 to 2 Tesla. The magnetic field passes through the skull and induces a very short current flow. This produces neurotic discharges in the precisely delimited region of a few cubic centimeters. Thus, the coil current is first converted to magnetic energy and then converted to a current in the neurons. In addition to the single-pulse TMS, repeated TMS (rTMS: Repetitive TMS) is known. In rTMS, multiple pulses are applied to a given sequence. High pulse counts increase cortical excitability, while low pulse counts, e. G. 1 hertz, inhibit cortical excitability.

경두개 직류 자극법(tDCS)의 경우에는, 약한 연속적인 직류가 두피의 위에 있는 두 개의 대면적 전극들을 통해 가해진다. 이는 피질의 신경세포들의 막 전위의 작은 변경 및 발화율의 변화를 초래하며, 그에 따라 이의 흥분 레벨이 영향을 받는다. 정확히 말하면, 이는 자극의 극성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양극의 자극의 경우에(양극은 세포 몸체나 수지상 돌기의 근처에 있다), 탈분극화가 증가된 막 전위와 발화율에 의해 발생되며, 그에 따라 흥분을 증가시킨다. 음극의 자극의 경우에, 신경세포들은 낮아진 막 전위와 발화율의 결과로 과분극화되며, 흥분은 감소된다.In the case of tricuspid regurgitation (tDCS), a weak, continuous dc is applied through two large area electrodes above the scalp. This results in a small change in the membrane potential of the cortical neurons and a change in the firing rate, thereby affecting its excitation level. To be precise, it is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 polarity of the stimulus. In the case of anodic stimulation (the anode is near the cell body or dendritic processes), depolarization is caused by increased membrane potential and firing rate, thereby increasing excitability. In the case of cathode stimulation, neurons are hyperpolarized as a result of reduced membrane potential and firing rate, and excitability is reduced.

그리고, 최근에는 일정한 전류를 인가하여 경두개 전기 자극을 가하는 tDCS에서 더욱 발전되어 특정한 주파수를 갖는 펄스 전류 자극을 인가하는 전기 자극 요법인,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법(tPCS : transcranial Pulsed Current Stimulation)의 연구가 등장하고 있다.Recently, a study of transcranial pulsed current stimulation (tPCS), which is an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which is developed in tDCS applying a constant electric current to apply a pulse current stimulus having a specific frequency, Is emerging.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법을 이용한 한 연구 결과는, 부작용 없이 파킨슨 병 환자들의 보폭과 도보 속도를 약 10% 향상시키는데 성공하였고(참고 문헌 : Gad Alon, Don A. Yungher, et al. Safety and Immediate Effect of Noninvasive Transcranial Pulsed Current Stimulation on Gait and Balance in Parkinson Disease,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또 다른 연구 결과는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법의 일종인 두개 전기 자극술(CES : Cranial Electrotherapy Stimulation)의 모델링을 통해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법이 피질과 뇌 중추 부분에 비슷한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규명하였다(참고문헌 : Abhishek Datta, et al. Cranial electrotherapy stimulation and transcranial pulsed current stimulation:A computer based high-resolution modeling study, NeuroImage, 65, (2013), 280-287).
One study using light pulse current stimulation has been successful in improving the walking and walking speeds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by about 10% without side effects (Gad Alon, Don A. Yungher, et al. Safety and Immediate Effect of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The model of CES (Cathodic Electrotherapy Stimulation), which is a kind of light pulse current stimulation, Cranial electrotherapy stimulation and transcranial pulsed current stimulation (A computer-based high-resolution modeling study, NeuroImage, 65)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urrent stimulation on the cortical and cerebral cen- tral areas (see Abhishek Datta, (2013), 280-287).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86611호(공개일 : 2011.07.28)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86611 (published on July 28, 2011)

본 발명은 경두개 전기 자극을 위해서 별도의 전원부나 자극 프로토콜 정보를 구비하지 않고도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 및 경두개 직류 자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자극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ctile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configured to perform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among a tactile pulse current stimulus and a tactile dc stimulation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power source or stimulation protocol information for a tactile electrical stimulation It has its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해 임의의 가청 주파수를 가지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경두개에 부착된 전극들로 펄스 전류 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자극 제어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의 전압 크기를 변압시키는 변압기; 및 상기 변압기로부터 변압된 신호의 플러스 성분만 통과하도록 반파 정류하여 그 정류된 신호를 펄스 전류 자극 신호로 상기 전극들에 출력하는 반파 정류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wo-pole electric stimulation system comprising: a terminal device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having an arbitrary audible frequency for stimulating a light pulse current; And an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for providing a pulse current stimulation signal to electrodes attached to two observers using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where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comprises: A transformer for transforming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transformer; And a half-wave rectification section for half-wave rectification so as to pass only the positive component of the signal transformed from the transformer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signal as a pulse current stimulation signal to the electrod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해 임의의 가청 주파수를 가지는 제 1 음성 신호 및 경두개 직류 자극을 위해 임의의 가청 주파수를 가지는 제 2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제 1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경두개에 부착된 전극들로 펄스 전류 자극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제 2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들로 직류 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자극 제어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제 1 음성 신호의 전압 크기를 변압시키는 제 1 변압기;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제 2 음성 신호의 전압 크기를 변압시키는 제 2 변압기; 상기 제 1 변압기로부터 변압된 신호의 플러스 성분만 통과하도록 반파 정류하여 그 정류된 신호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들에 펄스 전류 자극 신호로 출력하는 반파 정류부; 및 상기 제 2 변압기로부터 변압된 신호를 DC 형태로 정류하여 그 정류된 신호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들에 직류 자극 신호로 출력하는 전파 정류부를 포함한다.A second cortical electric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peech signal having an audible frequency for a light pulse current stimulation and a second speech signal having an audible frequency for a tidal cadence stimulus A terminal device for outputting; And providing a pulse current stimulation signal to electrodes attached to two observers using the first speech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and outputting a DC stimulus signal to the electrodes using the second speech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Where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comprises: a first transformer for transforming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first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A second transformer for transforming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secon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Half-wave rectification section for half-wave rectification so as to pass only the positive component of the signal transformed from the first transformer,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signal as a pulse current stimulus signal to electrically connected electrodes; And a full wave rectification unit for rectifying the signal transformed from the second transformer into a DC form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signal as a direct current stimulus signal to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서 서로 다른 주파수 값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가 가지는 주파수 값에 따라서 경두개의 특정 위치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전극들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한 펄스 전류 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actile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including: a terminal device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electric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values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signal; And an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for providing a pulse current stimulation signal for a light pulse current stimulation to a plurality of electrodes attached at two specific positions depending on the frequency value of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서 기 설정된 전압 크기 및 서로 다른 주파수 값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고, 상기 전기 자극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 통과 대역을 가지어 상기 전기 신호의 주파수 값에 따라서 상기 전기 신호를 통과 또는 차단시키는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 및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 각각에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반파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반파 정류부는,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로부터 통과된 전기 신호의 플러스 성분만 통과하도록 반파 정류하여 그 반파 정류된 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generates and outputs an electric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voltage magnitude and frequency values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of the user, and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has different frequency passbands, A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for passing or blocking the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a frequency value of a signal; And a plurality of half-wave rectifying sectio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respectively, wherein the plurality of half-wave rectifying sections are half-wave rectified so as to pass only positive components of the electric signals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And outputting the half-wave rectified signal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서 서로 다른 주파수 값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가 가지는 주파수 값에 따라서 경두개의 특정 위치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전극들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한 펄스 전류 자극 신호 및 경두개 직류 자극을 위한 직류 자극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actile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including: a terminal device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electric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values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signal;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attached at two specific positions according to a frequency value of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wherein the pulse current stimulating signal for the light pulse current stimulation and the DC stimulation signal for the light two stimulus And at least on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서 기 설정된 전압 크기 및 서로 다른 주파수 값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고, 상기 전기 자극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 통과 대역을 가지어 상기 전기 신호의 주파수 값에 따라서 상기 전기 신호를 통과 또는 차단시키는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 및 적어도 하나의 반파 정류부와 적어도 하나의 전파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는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파 정류부와 적어도 하나의 전파 정류부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파 정류부는,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필터로부터 통과된 전기 신호의 플러스 성분만 통과하도록 반파 정류하여 그 반파 정류된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파 정류부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전극들로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파 정류부는,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필터로부터 통과된 전기 신호를 직류 형태로 정류하여 그 정류된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파 정류부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전극들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generates and outputs an electric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voltage magnitude and frequency values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of the user, and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has different frequency passbands, A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for passing or blocking the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a frequency value of a signal; And at least one half-wave rectification section and at least one full-wave rectification s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are each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at least one half-wave rectification section and at least one full-wave rectification section, Wave rectification so as to pass only the plus component of the electric signal passed from the electrically connected at least one frequency filter and outputting the half-wave rectified signal to a plurality of electrodes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half-wave rectification part, One full-wave rectification unit may rectify the electric signal passed from the electrically connected at least one frequency filter to a direct current type and output the rectified signal to a plurality of electrodes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full-wave rectification unit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 장치는, 전기적 신호의 출력이 가능한 이어폰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 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전기 신호의 출력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evice may include an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output of the electric signal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음성 신호를 통해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 경두개 직류 자극, 또는 뇌파 신호 감지가 가능하다. 또한, 휴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 및 직류 전류 자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자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The light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timulating a light pulse current stimulus, a light stimulus or a brain wave signal through a voice signal provi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s a user to perform at least one electric stimulation among a light pulse current stimulus and a DC current stimulus regardless of a plac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경두개에 다양한 전기 자극을 수행하기 위해서 복잡한 자극 프로토콜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별도의 전원부가 없이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 및 직류 전류 자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자극을 위한 신호를 제공해 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complicated stimulation protocol information in order to perform various electric stimulation on two light cushions. And may provide a signal for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stimul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용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actile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actile electric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ght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제공하는 구성을 가진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cranial electric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a configuration for providing a light pulse current stimulus.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단말 장치(100)와,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는 변압기(210)와, 반파 정류부(2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device 100 and an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200,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apparatus 200 may include a transformer 210 and a half-wave rectification unit 251.

단말 장치(100)는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해 임의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한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전기 신호의 출력이 가능한 이어폰 접속 단자를 구비하여, 이어폰 접속 단자를 통해 임의의 가청 주파수를 가지는 음성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100 generates and outputs an electric signal having an arbitrary frequency for stimulating a light pulse current. At this time, the terminal device 100 has an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and can output a voice signal having an arbitrary audio frequency through the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인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전극들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한 펄스 전류 자극 신호를 제공한다.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apparatus 200 receives a voice signal, which is an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and provides a pulse current stimulus signal for stimulating a light pulse current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여기서,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 내 변압기(21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의 전압 크기를 기 설정된 비율로 변압하여 출력한다. 일 예로, 변압기(21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밀리볼트(mV) 크기의 음성 신호를 볼트(V) 크기의 신호로 변압하여 출력해 줄 수 있다.Here, the transformer 210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ler 200 transforms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nto a predetermined ratio and outputs the transformed voltage. For example, the transformer 210 transforms a voice signal of a millivolt (mV) size input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nto a signal of the size of a volt (V).

그리고, 반파 정류부(251)는 변압기(210)를 통해 변압된 신호의 플러스 성분만 통과하도록 반파 정류하여 그 정류된 신호를 출력한다. 반파 정류부(251)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음성 신호의 플러스 성분만 통과된 신호이므로 펄스 형태를 가진다.The half-wave rectifying unit 251 performs half-wave rectification so as to pass only the positive component of the signal transformed through the transformer 210, and outputs the rectified signal.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half-wave rectifying unit 251 is a signal that has passed through only the positive component of the voice signal, and thus has a pulse shape.

반파 정류부(2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극들은 경두개에 전기 자극을 위해 부착된 전극들이며, 상기 전극들로 펄스 형태의 전류 자극 신호가 인가된다.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alf-wave rectifying unit 251 are electrodes attached to two tines for electrical stimulation, and pulse-shaped current stimulation signals are applied to the electrodes.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과 뇌파 신호 감지가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stimulating a light pulse current stimulation and an EEG signal.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단말 장치(100)와,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는 제1 변압기(201)와, 제2 변압기(203)와, 반파 정류부(251)와, 전파 정류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erminal device 100 and an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200.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200 as shown in FIG. The first transformer 201, the second transformer 203, the half-wave rectifying unit 251 and the full-wave rectifying unit 260. The first transformer 201, the second transformer 203,

단말 장치(100)는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과 뇌파 신호 감지를 위해 각각 임의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2채널 출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전기 신호의 2채널 출력이 가능한 이어폰 접속 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이어폰 접속 단자를 통해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한 임의의 가청 주파수를 가지는 제 1 음성 신호 및 뇌파 신호 감지를 위한 임의의 가정 주파수를 가지는 제 2 음성 신호를 함께 출력시킬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100 can generate electric signals having arbitrary frequencies for two pulse current stimulation and EEG signals to provide them as two channel outputs. At this time, the terminal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n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two channels of electric signals, and a first voice signal having an arbitrary audible frequency for stimulating a light pulse current through the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output together the second audio signal having a certain assumed frequency for the second audio signal.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뇌파 센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뇌파 센서(310)를 통해 감지된 뇌파 신호를 입력받고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장치(100)는 저장해 놓은 뇌파 신호를 외부로 표시해 주거나 내부에 구비된 뇌파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뇌파 신호가 분석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rain-wave sensor 310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receive the brain-wave signal sensed through the brain-wave sensor 310.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stored EEG signal to the outside or to provide a result of analyzing the EEG signal through an EEG analysis program provided therein.

여기서, 뇌파 센서(310)는 경두개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어 뇌파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전극(미도시)과 그 전극에서 감지된 뇌파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시키는 신호 증폭부(미도시)를 포함한 구성이다.Here, the EEG sensor 310 includes an electrode (not shown) attached at two specific positions to detect an EEG signal and a signal amplifying unit (not shown)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n EEG signal sensed by the EEG sensor 310 .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된 제 1 음성 신호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 내 제1 변압기(201) 및 반파 정류부(251)를 통해서 앞서 도 1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한 펄스 전류 자극 신호로 변환되고, 그 변환된 신호는 경두개에 부착된 전극들로 인가된다.The first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transformer 201 and the half-wave rectifier 251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ler 200 as shown in FIG. 1, Pulse current stimulating signal, and the converted signal is applied to electrodes attached to two light sources.

그리고,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된 제 2 음성 신호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 내 제2 변압기(203) 및 전파 정류부(260)를 통해서 DC 형태의 뇌파 센서 구동 신호로 변환되고, 그 변환된 신호는 경두개에 부착된 뇌파 센서(310)로 인가된다. 여기서, 전파 정류부(260)는 제2 변압기(203)를 통해 변압된 신호를 정류하여 DC 형태의 신호를 뇌파 센서 구동 신호로 뇌파 센서(310)에 출력한다.The secon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verted into a DC type brain wave sensor driving signal through the second transformer 203 and the full wave rectifier 260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ler 200, The signal is applied to the brain wave sensor 310 attached to the brain. The full wave rectifying unit 260 rectifies the signal transformed through the second transformer 203 and outputs a DC signal to the brain wave sensor 310 as a brain wave sensor driving signal.

전파 정류부(260)에서 출력된 뇌파 센서 구동 신호는 뇌파 센서(310)의 신호 증폭부(미도시)의 구동 신호로 동작하고, 경두개의 특정 위치에서 뇌파 신호를 감지하는 전극(미도시)으로부터 감지된 뇌파 신호가 신호 증폭부(미도시)를 통해 증폭되어 출력된다.The brain wave sensor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full wave rectifying unit 260 operates as a driving signal of a signal amplifying unit (not shown) of the brain wave sensor 310 and is generated from an electrode (not shown) that senses an EEG signal at two specific positions The sensed EEG signal is amplified and outputted through a signal amplification unit (not shown).

여기서,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 내 제1 변압기(201) 및 제2 변압기(203)는 서로 분리된 변압기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변압기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transformer 201 and the second transformer 203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ler 200 may be constituted by separate transformers or a single transform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과 뇌파 신호 감지가 모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both light pulse current stimulation and EEG signal sensing.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제공하는 구성을 가진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a configuration for providing light pulse current stimula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단말 장치(100)와,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는 변압기(210)와,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220)와, 복수 개의 반파 정류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terminal device 100 and an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200.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controller A transformer 210, a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220, and a plurality of half-wave rectifying units 230.

이하, 각 구성에 대한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서 기 설정된 주파수 값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마다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 내에 해당되는 값을 기 설정해 놓고,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해당 주파수 값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대해서 대응하여 단말 장치(100)에 기 설정해 놓은 주파수 값은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대한 식별 값으로 볼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100 generates and outputs an electric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valu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signal. Here, the terminal device 100 preliminarily sets a corresponding value in a different frequency band for each user's selection signal, and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having the corresponding frequency value according to the input user's selection signal. Therefore, the frequency value previously set in the terminal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signal of at least one user can be regarded as an identification value for the user's selection signal.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 신호는, 다양한 전기 자극 종류들 중 어느 전기 자극을 수행할 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나타내는 신호를 말한다.The user's selection signal is a signal indicating the user's choice as to which electric stimulation to perform among the various types of electric stimulation.

단말 장치(100)에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주파수 값을 기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100)는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값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대뇌 운동 영역에 전기 자극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대해서 단말 장치(100) 내에 10Hz와 100Hz, 이 두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 값이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 단말 장치(100)는 상기 대뇌 운동 영역의 전기 자극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10Hz와 100Hz의 주파수 값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terminal device 100 may preset one or a plurality of frequency value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signal. 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can generate an electric signal having at least one frequency value according to an input user's selection signal. For example, when two different frequency values, i.e., 10 Hz and 100 Hz, are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100 for the user's selection signal to perform electrical stimulation in the cerebral motion area, When a user's selection signal for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cerebral motion area is input, an electrical signal having a frequency value of 10 Hz and 100 Hz is generated.

이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값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단말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의 주파수 값을 이용하여 경두개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전극들 중 특정 위치에 부착된 전극들로 전기 자극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figured to generate electric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value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signal. Thus, by using the frequency value of the electric signal outpu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lectric stimulation to the electrodes attached to specific positions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ttached to the two sid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전압 크기 및 서로 다른 주파수 값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 신호의 전압 크기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를 통해 전기 자극 신호가 제공될 때에 그 전기 자극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상기 전기 신호의 주파수 값은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를 통해 전기 자극 신호가 제공될 때에 경두개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전극들 중 어느 전극으로 그 전기 자극 신호를 제공할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Also,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d output an electric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voltage level and different frequency value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signal. Here,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electric signal acts as a factor for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 stimulation signal when the electric stimulation signal is provided through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ler 200, And serves as a factor for determining whi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ttached to the two electrodes to provide the electric stimulation signal when the electric stimulation signal is provided through the controller 200.

도 3에 도시된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그 전기 신호의 주파수 값에 따라서 경두개의 특정 위치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전극들로 펄스 전류 자극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apparatus 200 shown in FIG. 3 receives an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and outputs a pulse curr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ulse current) to a plurality of electrodes attached at two specific positions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y value of the electric signal. And generates and outputs a stimulation signal.

이때, 단말 장치(100)에서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로의 전기 신호 출력 형태는 1채널로 구성되거나 그 이상의 다채널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어서, 단말 장치(100)의 전기 신호가 출력되는 형태가 특정 형태로 제한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the electric signal output form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o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as one channel or more, and the electric signal of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outputted Bu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210),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220) 및 복수 개의 반파 정류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경우에 따라서, 변압기(210) 구성이 없이,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220) 및 복수 개의 반파 정류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former 210, a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220, and a plurality of half-wave rectifying units 23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220 and a plurality of half-wave rectifying sections 230 without the transformer 210 configuration.

변압기(210)는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의 전압 크기를 기 설정된 비율로 변압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변압기(210)는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의 전압 크기에 따라서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에 포함되어 구성되거나 생략될 수 있는 구성이다.The transformer 210 transforms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nto a predetermined ratio and outputs the transformed voltage. Therefore, the transformer 210 is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apparatus 200 or o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220)는 서로 다른 주파수 통과 대역을 가지며, 변압기(210)를 통해 출력되거나 변압기 구성이 없는 경우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를 각각 입력받은 후, 그 전기 신호가 가지는 주파수 값에 따라서 전기 신호를 통과 또는 차단시킨다.The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220 may have different frequency passbands and may receive the electrical signals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when they are output through the transformer 210 or have no transformer configuration, And passes or blocks the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the frequency value.

그리고, 복수 개의 반파 정류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220) 각각에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면서, 복수 개의 반파 정류부(230)는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주파수 필터로부터 통과된 전기 신호의 플러스 성분만 통과하도록 반파 정류하여 그 정류된 신호를 출력한다. 복수 개의 반파 정류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상기 전기 신호의 플러스 성분만 통과된 신호이므로 펄스 형태를 가진다.The plurality of half-wave rectifying units 2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220, as shown in FIG. The plurality of half-wave rectifying sections 230 are half-wave rectified so as to pass only the positive component of the electric signal passed from the frequency filter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m, and output the rectified signal. The signal outputted through the plurality of half-wave rectification is a signal passing through only the positive component of the electric signal, and thus has a pulse form.

복수 개의 반파 정류부(230)는 각각 적어도 두 개의 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반파 정류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극들은 경두개에 전기 자극을 위해 부착된 전극들이며, 반파 정류된 신호를 출력하는 반파 정류부에 연결된 전극들로만 펄스 전류 자극 신호가 인가된다.The plurality of half-wave rectifying sections 2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two electrodes. Here, the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alf-wave rectifying units 230 are electrodes attached to two light-receiving electrodes for electrical stimulation, and pulse current stimulating signals are applied only to the electrodes connected to the half-wave rectifying unit for outputting half-wave rectified signals.

일 예로,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가 350Hz와 20Hz의 주파수 값을 가지는 신호이고, 제1 주파수 필터의 신호 통과 대역은 300Hz에서 400Hz 사이, 그리고 제2 주파수 필터의 신호 통과 대역은 1Hz에서 60Hz 사이에 해당되는 경우,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된 상기 전기 신호는 제1 주파수 필터와 제2 주파수 필터만을 통과하여 제1 반파 정류부와 제2 반파 정류부로 입력된다. 그리고, 제1 반파 정류부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그리고 제2 반파 정류부에 연결된 제3 전극 및 제4 전극으로만 반파 정류된 펄스 전류 자극 신호가 인가된다. For example, the electric signal outpu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s a signal having a frequency value of 350 Hz and 20 Hz, the signal pass band of the first frequency filter is 300 Hz to 400 Hz, and the signal pass band of the second frequency filter is 1 Hz To 60 Hz,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passes through only the first frequency filter and the second frequency filter, and is input to the first half-wave rectification section and the second half-wave rectification section. A half-wave rectified pulse current stimulation signal is applied only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half-wave rectification unit, and to the third electrode and the fourth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half-wave rectification unit.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과 뇌파 신호 감지가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stimulating a light pulse current stimulation and an EEG signal.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제3 실시 예와 비교시,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220) 중 어느 하나가 반파 정류부가 아닌 전파 정류부(260)와 연결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전파 정류부(260)를 통해 정류된 신호는 뇌파 센서 구동 신호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뇌파 센서(310)에 제공된다.3, the one of the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220 is connected to the full-wave rectifying part 260 instead of the half-wave rectifying part, . The signal rectified through the full-wave rectification unit 260 is provided to the brain-wave sensor 3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rain-wave sensor drive signal.

뇌파 센서(310)에 감지된 뇌파 신호는 단말 장치(100)로 제공되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과 더불어 뇌파 신호 감지도 가능한 형태를 가진다.The EEG signal sensed by the EEG sensor 310 is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and has a form capable of detecting EEG signal in addition to the two electric stimulation system light pulse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 내지 제 4 실시 예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반파 정류부를 통해 펄스 전류 자극 신호가 발생 또는 전파 정류부를 통해 뇌파 신호 감지를 위한 뇌파 센서 구동 신호가 발생된다. 그에 따라,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에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한 신호 또는 뇌파 센서 구동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전원부가 필요하지 않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ulse current stimulation signal is generated through a half-wave rec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apparatus 200, or an EEG signal for sensing an EEG signal through a full-wave rectification unit A sensor drive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ly, a separate power source is not required to provide a signal for stimulating a light pulse current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ler 200 or a brain wave sensor drive signal.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 및 제 4 실시 예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전기 자극이 수행될 수 있도록 각 전기 자극에 대한 자극 프로토콜 정보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자극 프로토콜 정보는 전기 자극을 위해서 자극 세기, 자극 시간, 및 전기 자극 신호가 출력될 전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정보이다. In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stimulus protocol information for each electric stimulus so that various electric stimuli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Here, the stimulus protocol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cluding the stimulus intensity, the stimulation time,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electrode to which the electric stimulation signal is output for electrical stimulation.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 및 제 4 실시 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전압 크기 및 서로 다른 주파수 값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제공하고, 그 제공된 전기 신호의 전압 크기 및 주파수 값에 따라서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가 경두개의 특정 위치에 부착된 전극들로 소정의 자극 세기를 가지는 펄스 전류 자극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as described in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evice 100 provides an electric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voltage level and different frequency value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signal,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apparatus 200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providing a pulse current stimulus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stimulus intensity to electrodes attached at two specific positions in accordance with the voltage magnitude and frequency value of the provided electric signal to be.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 내지 제 4 실시 예는 단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전기 신호, 일 예로 가청 주파수를 가지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한 펄스 전류 자극 신호 또는 뇌파 신호 감지를 위한 뇌파 센서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ulse current stimulation signal for at least one light pulse current stimulation by using an electric signal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Or an EEG sensor drive signal for sensing an EEG signal.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과 경두개 직류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actile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to provide a tactile two-pulse current stimulation and a light two-dimensional DC stimulation.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단말 장치(100)와,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는 제1 변압기(201)와, 제2 변압기(203)와, 반파 정류부(251)와, 전파 정류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ight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erminal device 100 and an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200, and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200 as shown in FIG. 5 A first transformer 201, a second transformer 203, a half-wave rectifying unit 251 and a full-wave rectifying unit 260. The first transformer 201, the second transformer 203,

단말 장치(100)는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 및 경두개 직류 자극을 위해 각각 임의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2채널 출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2채널 출력이 가능한 이어폰 접속 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이어폰 접속 단자를 통해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한 임의의 가청 주파수를 가지는 제 1 음성 신호 및 경두개 직류 자극을 위한 임의의 가청 주파수를 가지는 제 2 음성 심호를 함께 출력시킬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100 can generate electric signals having arbitrary frequencies for two light pulse current stimulation and light two DC stimulation and provide them as two channel outputs. At this time, the terminal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n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two channels, and a first audio signal having an arbitrary audio frequency for light pulse current stimulation through the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The second voice channel having an arbitrary audio frequency can be output together.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된 제 1 음성 신호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 내 제1 변압기(201) 및 반파 정류부(203)를 통해서 앞서 도 1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한 펄스 전류 자극 신호로 변환되고, 그 변환된 신호는 경두개에 부착된 전극들로 인가된다.The first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transformer 201 and the half wave rectifier 203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ler 200 as shown in FIG. Pulse current stimulating signal, and the converted signal is applied to electrodes attached to two light sources.

그리고,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된 제 2 음성 신호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 내 제2 변압기(203) 및 전파 정류부(260)를 통해서 DC 형태의 직류 자극 신호로 변환되고, 그 변환된 신호는 경두개에 부착된 전극들로 인가된다. The second audio signal outpu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verted into a DC type DC stimulation signal through the second transformer 203 and the full wave rectifier 260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ler 200, The signal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attached to the neck.

여기서,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 내 제1 변압기(201) 및 제2 변압기(203)는 서로 분리된 변압기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변압기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transformer 201 and the second transformer 203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ler 200 may be constituted by separate transformers or a single transform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과 경두개 직류 자극을 동시에 또는 각각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orsional electric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torsional pulse current stimulation and the torsional dc stimulation simultaneously or individually.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 경두개 직류 자극, 및 뇌파 신호 감지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actile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ctile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of FIG. 6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stimulating a light pulse current stimulus, a light stimulus, and an EEG signal.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단말 장치(100)와,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는 제1 변압기(201)와, 제2 변압기(203)와, 제3 변압기(205)와, 반파 정류부(251)와, 제1 전파 정류부(261)와, 제2 전파 정류부(2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ight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device 100 and an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200. As shown in FIG. 6,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200 includes: Wave rectification section 251, a first full-wave rectification section 261, and a second full-wave rectification section 263, as shown in FIG. 1, a first transformer 201, a second transformer 203, a third transformer 205, .

단말 장치(100)는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 경두개 직류 자극, 및 뇌파 신호 감지를 위해 각각 임의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3채널 출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전기 신호의 3채널 출력이 가능한 이어폰 접속 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이어폰 접속 단자를 통해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한 임의의 가청 주파수를 가지는 제 1 음성 신호, 경두개 직류 자극을 위한 임의의 가청 주파수를 가지는 제 2 음성 신호, 및 뇌파 신호 감지를 위한 임의의 가청 주파수를 가지는 제 3 음성 신호를 함께 출력시킬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100 can generate electric signals having arbitrary frequencies to provide three-channel outputs for two pulse current stimulation, light two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EEG signal sensing. At this time, the terminal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n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three-channel electric signals, and the first audio signal having an arbitrary audible frequency for stimulating a light pulse current through the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A second voice signal having an arbitrary audible frequency for stimulation, and a third voice signal having an arbitrary audible frequency for detecting an EEG signal.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뇌파 센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뇌파 센서(310)를 통해 감지된 뇌파 신호를 입력받고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장치(100)는 저장해 놓은 뇌파 신호를 외부로 표시해 주거나 내부에 구비된 뇌파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뇌파 신호가 분석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rain-wave sensor 310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receive the brain-wave signal sensed through the brain-wave sensor 310.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stored EEG signal to the outside or to provide a result of analyzing the EEG signal through an EEG analysis program provided therein.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된 제 1 음성 신호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 내 제1 변압기(201) 및 반파 정류부(251)를 통해서 변압 및 반파 정류되어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한 펄스 전류 자극 신호로 변환되고, 그 변환된 신호는 반파 정류부(2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들로 인가된다.The first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s subjected to the voltage and half-wave rectification through the first transformer 201 and the half-wave rectifying unit 251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ler 200 to generate a pulse current stimulus And the converted signal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alf-wave rectification section 251. The half-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된 제 2 음성 신호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 내 제2 변압기(203) 및 제 1 전파 정류부(261)를 통해서 변압 및 정류되어 DC 형태의 직류 자극 신호로 변환되고, 그 변환된 신호는 제 1 전파 정류부(26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들로 인가된다.The second audio signal outpu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s transformed and rectified through the second transformer 203 and the first full wave rectification section 261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apparatus 200 and converted into a direct current stimulation signal in the form of DC , And the converted signal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full wave rectification section 261. [

그리고,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된 제 3 음성 신호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 내 제3 변압기(205) 및 제 2 전파 정류부(263)를 통해서 변압 및 정류되어 DC 형태의 뇌파 센서 구동 신호로 변환되고, 그 변환된 신호는 제 2 전파 정류부(26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뇌파 센서(310)로 인가된다.The third audio signal outpu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s transformed and rectified through the third transformer 205 and the second full wave rectification section 263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apparatus 200 to generate a DC- And the converted signal is applied to the brain wave sensor 3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ull wave rectification section 263. [

여기서,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 내 제1 변압기(201), 제2 변압기(203) 및 제3 변압기(205)는 서로 분리된 변압기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변압기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transformer 201, the second transformer 203, and the third transformer 205 in the electrical stimulation controller 200 may be constructed of separate transformers or one transform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 경두개 직류 자극, 뇌파 신호 감지가 모두 가능한 형태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 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both light pulse current stimulation, light cranial stimulation, and EEG signal sensing.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과 경두개 직류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cranial electric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to provide a light cranial pulse current stimulus and a light cranial direct current stimulus.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단말 장치(100),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 내 변압기(210) 및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220) 구성은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e transformer 210, and the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220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200 shown in FIG. 7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7에 도시된 제 7 실시 예는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과 경두개 직류 자극에 필요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 내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220) 중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반파 정류부(250)가, 그 나머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파 정류부(2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가진다.The seventh embodiment shown in FIG. 7 includes a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220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200, in order to provide a signal necessary for the light pulse current stimulation and the light pulse direct current stimulation, at least one half wave The rectifying unit 25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t least one full wave rectifying unit 2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mainder.

일 예로, 도 7은 전기 자극 제어 장치 내에 2개 이상의 반파 정류부(250)와 하나의 전파 정류부(260)가 존재하며, 그들이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220)와 각각 일대일 매칭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7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wo or more half-wave rectifying sections 250 and one full-wave rectifying section 260 are present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ling apparatus and the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220 in a one- .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반파 정류부(25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의 플러스 성분만 통과하도록 반파 정류를 수행하기 때문에 펄스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반면, 적어도 하나의 전파 정류부(260)는 일정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형태의 전기 신호를 직류 형태의 전기 신호로 정류하여 출력해 준다. 그러므로, 적어도 하나의 반파 정류부(250)의 출력단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전극들로는 펄스 전류 자극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전파 정류부(260)의 출력단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전극들로는 직류 자극 신호가 제공되어,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tPCS)과 경두개 직류 자극(tDCS)이 가능하다.Since at least one half-wave rectifying unit 250 performs half-wave rectification so as to pass only positive components of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it outputs a pulse-shaped signal, while at least one radio wave The rectifying unit 260 rectifies an alternating electric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into an electric signal of a direct current type and outputs the electric signal. Therefore, a DC pulse signal is provided to a plurality of electrode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at least one half-wave rectifying unit 250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at least one full-wave rectifying unit 260, Current stimulation (tPCS) and light two-pole DC stimulation (tDCS) are possibl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단말 장치(100)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기 설정해 놓은 주파수 값을 가지는 전기 신호가 단말 장치(100)에서 발생되어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로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는 그 입력받은 전기 신호의 주파수 값에 따라서 경두개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전극들 중 특정 부위에 부착된 전극들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 신호 또는 경두개 직류 자극 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in the light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ic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valu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signal input to the terminal device 100 is generated i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is input to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200.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200 is a device that is attached to a specific one of a plurality of electrodes attached to two electrodes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y value of the inputted electric signal, And the like.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 제공, 경두개 직류 자극 제공, 및 뇌파 신호 감지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actile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to provide a light pulse current stimulus, a light two DC stimulus, and an EEG signal do.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제 7 실시 예와 달리,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 내에는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220) 중 일부와 적어도 하나의 반파 정류부(2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 나머지에는 복수 개의 전파 정류부(261,263)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가진다. 7, the electric stimulus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220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220.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200, The half-wave rectifying unit 250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rest of the half-wave rectifying unit 2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ull-wave rectifying units 261 and 263.

그리고, 그 복수 개의 전파 정류부(261,263) 중 어느 하나의 전파 정류부(263)는 경두개에 부착된 뇌파 센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정류된 신호를 뇌파 센서 구동 신호로 뇌파 센서(310)에 제공한다. 그에 따라, 뇌파 센서(310)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로부터 구동에 필요한 뇌파 센서 구동 신호를 제공받게 되어, 경두개 뇌파 신호 감지를 수행한 후, 그 감지된 뇌파 신호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해 줄 수 있다.One of the plurality of full wave rectification units 261 and 26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rain wave sensor 310 attached to the two sides and the rectifi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rain wave sensor 310 ). Accordingly, the EEG sensor 310 receives a brain wave sensor driving signal required for driving from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ler 200, performs a sensory brain wave signal detection, and outputs the sensed EEG signal to the terminal device 100. [ .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 예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 내 적어도 하나의 반파 정류부(250)는, 펄스 전류 자극 신호를, 복수 개의 전파 정류부(261,263) 중 어느 하나(263)는 뇌파 센서 구동 신호를, 복수 개의 전파 정류부(261,263) 중 뇌파 센서(263)와 연결된 전파 정류부(263)를 제외한 나머지들(261)은 직류 자극 신호를 제공한다.Accordingly, in the eigh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half-wave rectifying unit 250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apparatus 200 outputs the pulse current stimulating signal to one of the plurality of full- wave rectifying units 261 and 263 The remainder 261 except the full wave rectifier 263 connected to the brain wave sensor 263 of the plurality of full wave rectification units 261 and 263 provides a DC stimulation signal.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제 8 실시 예는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 제공, 경두개 직류 자극 제공, 및 뇌파 신호 감지가 가능하다.Thus, an eigh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oviding a light pulse current stimulus, a light polarity DC stimulus, and an EEG signal detection.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 예 내지 제 8 실시 예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반파 정류부를 통해 펄스 전류 자극 신호가 발생 또는 전파 정류부를 통해 직류 자극 신호가 발생된다. 또한,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전파 정류부를 통해 뇌파 신호 감지를 위한 뇌파 센서 구동 신호가 발생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에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한 신호, 경두개 직류 자극을 위한 신호, 및 뇌파 센서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별도의 전원부가 필요하지 않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fth to eigh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ulse current stimulation signal is generated through a half-wave rec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ler 200 or a DC stimulation signal is generated through a full- . In addition, a brain wave sensor driving signal for sensing an EEG signal may be generated through a full-wave rectifier provided 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ler 200. Accordingly, a separate power source is not required to generate a signal for stimulation of the two pulse currents, a signal for the stimulation of the two stimuli, and a brain-sensor drive signal to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ler 200.

그리고,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 및 제 8 실시 예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전기 자극이 수행될 수 있도록 각 전기 자극에 대한 자극 프로토콜 정보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자극 프로토콜 정보는 전기 자극을 위해서 자극 세기, 자극 시간, 및 전기 자극 신호가 출력될 전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정보이다. In addition, the seventh and eigh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require stimulus protocol information for each electric stimulus so that various electric stimuli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Here, the stimulus protocol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cluding the stimulus intensity, the stimulation time,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electrode to which the electric stimulation signal is output for electrical stimulation.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 및 제 8 실시 예는 단말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전압 크기 및 서로 다른 주파수 값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제공하고, 그 제공된 전기 신호의 전압 크기 및 주파수 값에 따라서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가 경두개의 특정 위치에 부착된 전극들로 소정의 자극 세기를 가지는 펄스 전류 자극 신호 또는 직류 자극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seventh and eigh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electric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voltage magnitude and a different frequency valu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signal in the terminal device 100,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apparatus 200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providing a pulse current stimulation signal or a DC stimulation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stimulus intensity to electrodes attached at two specific positions to be.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 예 내지 제 8 실시 예는 단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전기 신호, 일 예로 가청 주파수를 가지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한 펄스 전류 자극 신호, 적어도 하나의 경두개 직류 자극을 위한 직류 자극 신호, 또는 뇌파 신호 감지를 위한 뇌파 센서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fth to eight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 the electric signal provided by the terminal device 100, for example, a voice signal having an audible frequency, as a pulse current stimulus signal for at least one light pulse current stimulation , A DC stimulation signal for at least one torsional DC stimulation, or an EEG sensor drive signal for EEG signal sensing.

도 9 및 도 10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용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9 and 10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 신호 출력이 가능한 이어폰 접속단자(110)를 포함하고, 이어폰 접속단자(110)를 통해 전기적 신호의 출력이 수행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전기적 신호 입출력이 가능한 이어폰 접속단자(110)를 포함하고, 이어폰 접속단자(110)를 통해 전기적 신호의 입출력이 수행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그래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뇌파 센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뇌파 센서(310)를 통해 감지된 뇌파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n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110 capable of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as shown in FIG. 9,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110 Lt; / RTI > 10, the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n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110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and is configured to perform input and output of an electric signal through the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110. [ 10,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 EEG signal sensed through the EEG sensor 310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EG sensor 310. As shown in FIG.

최근 스마트폰 등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복수 개의 전기적 신호 출력이 가능한 이어폰 접속단자 또는 전기적 신호 입출력이 가능한 이어폰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있다. Recent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s provided with an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or an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그러므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단말 장치(100)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이어폰 접속단자(110)를 통해 임의의 가청 주파수를 가지는 음성 신호가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 경두개 직류 자극, 또는 뇌파 신호 감지를 위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9 and 10,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uch as a smart phone can be used for the terminal device 100, which is a constituent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signal having an arbitrary audible frequency may be output through the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1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outputting a light pulse current stimulus, a light intensity stimulus, or an EEG signal.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로 입력되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기 자극 제어 장치(200)는 경두개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전극들(300)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한 펄스 전류 자극 신호 또는 경두개 직류 자극을 위한 직류 자극 신호를 제공하거나, 뇌파 센서(310)로 뇌파 센서 구동을 위한 뇌파 센서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put to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apparatus 200.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apparatus 20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300 attached to two sides, A pulse current stimulation signal for pulse current stimulation or a DC stimulation signal for light stimulus, or a brain wave sensor drive signal for driving the brain wave sensor with the brain wave sensor 310.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음성 신호를 통해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 경두개 직류 자극, 또는 뇌파 신호 감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은 휴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경두개 전기 자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 electric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timulating a light pulse current stimulus, a light stimulus or a brain wave signal through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light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perform light electrical stimulation regardless of the place by using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variation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단말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이어폰 접속단자
200 : 전기 자극 제어 장치 201 : 제1 변압기
203 : 제 2 변압기 205 : 제 3 변압기
210 : 변압기 220 :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
230 : 복수 개의 반파 정류부
250 : 적어도 하나의 반파 정류부
251 : 반파 정류부 260 : 전파 정류부
261 : 제1 전파 정류부 263 : 제 2 전파 정류부
300 : 복수 개의 전극들 310 : 뇌파 센서
100: termina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200: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201: first transformer
203: second transformer 205: third transformer
210: transformer 220: plural frequency filters
230: a plurality of half-wave rectifying sections
250: at least one half-
251: Half wave rectification part 260: Full wave rectification part
261: first full wave rectification part 263: second full wave rectification part
300: plurality of electrodes 310: brain wave sensor

Claims (7)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해 임의의 가청 주파수를 가지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경두개에 부착된 전극들로 펄스 전류 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자극 제어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의 전압 크기를 변압시키는 변압기; 및
상기 변압기로부터 변압된 신호의 플러스 성분만 통과하도록 반파 정류하여 그 정류된 신호를 펄스 전류 자극 신호로 상기 전극들에 출력하는 반파 정류부
를 포함하는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
A terminal device for outputting a speech signal having an arbitrary audible frequency for stimulation of two pulse currents; And
And an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for providing a pulse current stimulation signal to electrodes attached to two observers us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The electric-magnetic-pole-
A transformer for transforming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And
Half-wave rectification so as to pass only positive components of a signal transformed from the transformer,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signal as a pulse current stimulus signal to the electrodes,
And a second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해 임의의 가청 주파수를 가지는 제 1 음성 신호 및 경두개 직류 자극을 위해 임의의 가청 주파수를 가지는 제 2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제 1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경두개에 부착된 전극들로 펄스 전류 자극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제 2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들로 직류 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자극 제어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제 1 음성 신호의 전압 크기를 변압시키는 제 1 변압기;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제 2 음성 신호의 전압 크기를 변압시키는 제 2 변압기;
상기 제 1 변압기로부터 변압된 신호의 플러스 성분만 통과하도록 반파 정류하여 그 정류된 신호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들에 펄스 전류 자극 신호로 출력하는 반파 정류부; 및
상기 제 2 변압기로부터 변압된 신호를 DC 형태로 정류하여 그 정류된 신호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들에 직류 자극 신호로 출력하는 전파 정류부
를 포함하는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
A terminal device for outputting a first speech signal having an arbitrary audible frequency and a second speech signal having an arbitrary audible frequency for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for a two-pulse current stimulation; And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 pulse current stimulus signal to electrodes attached to two observers using a first speech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and outputting a direct current stimulus signal to the electrodes using the second speech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Wherein th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comprises:
The electric-magnetic-pole-
A first transformer for transforming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first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A second transformer for transforming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secon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Half-wave rectification section for half-wave rectification so as to pass only the positive component of the signal transformed from the first transformer,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signal as a pulse current stimulus signal to electrically connected electrodes; And
Rectifying the signal transformed from the second transformer into a DC form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signal as a direct current stimulus signal to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second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서 서로 다른 주파수 값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가 가지는 주파수 값에 따라서 경두개의 특정 위치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전극들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한 펄스 전류 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서 기 설정된 전압 크기 및 서로 다른 주파수 값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고,
상기 전기 자극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 통과 대역을 가지어 상기 전기 신호의 주파수 값에 따라서 상기 전기 신호를 통과 또는 차단시키는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 및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 각각에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반파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반파 정류부는,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로부터 통과된 전기 신호의 플러스 성분만 통과하도록 반파 정류하여 그 반파 정류된 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로 출력하는 것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
A terminal device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electric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values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signal; And
An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for providing a pulse current stimulation signal for stimulating a light pulse current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s attached at two specific positions according to a frequency value of an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Lt; / RTI >
The terminal apparatus comprises: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voltage magnitude and a different frequency value according to the user selection signal,
The electric-magnetic-pole-
A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having different frequency passbands and passing or blocking the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a frequency value of the electric signal; And
And a plurality of half-wave rectifying sectio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respectively,
Wherein the plurality of half-
Half-wave rectified so as to pass only the positive component of the electric signal passed from the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and outputs the half-wave rectified signal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삭제delete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서 서로 다른 주파수 값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가 가지는 주파수 값에 따라서 경두개의 특정 위치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전극들로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을 위한 펄스 전류 자극 신호 및 경두개 직류 자극을 위한 직류 자극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전기 자극 제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서 기 설정된 전압 크기 및 서로 다른 주파수 값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고,
상기 전기 자극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 통과 대역을 가지어 상기 전기 신호의 주파수 값에 따라서 상기 전기 신호를 통과 또는 차단시키는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 및
적어도 하나의 반파 정류부와 적어도 하나의 전파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필터는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파 정류부와 적어도 하나의 전파 정류부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파 정류부는,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필터로부터 통과된 전기 신호의 플러스 성분만 통과하도록 반파 정류하여 그 반파 정류된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파 정류부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전극들로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파 정류부는,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필터로부터 통과된 전기 신호를 직류 형태로 정류하여 그 정류된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파 정류부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전극들로 출력하는 것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
A terminal device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electric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values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signal; And
A pulse current stimulus signal for a light pulse current stimulus and a DC stimulus signal for a light intensity stimulus for a plurality of electrodes attached at two specific positions according to a frequency value of an electric signal outpu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Electric stimulation control device that provides one
Lt; / RTI >
The terminal apparatus comprises: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voltage magnitude and a different frequency value according to the user selection signal,
The electric-magnetic-pole-
A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having different frequency passbands and passing or blocking the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a frequency value of the electric signal; And
At least one half-wave rectification section and at least one full-wave rectification s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frequency filters are respectively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half-wave rectifying unit and at least one full-wave rectifying unit,
Wherein the at least one half-
Half-wave rectified so as to pass only the positive component of the electric signal passed through the electrically connected at least one frequency filter, and outputting the half-wave rectified signal to a plurality of electrodes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half-
Wherein the at least one full-
And rectifying the electric signal passed from the electrically connected at least one frequency filter into a direct current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signal to a plurality of electrodes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full wave rectification unit.
삭제delete 제3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전기적 신호의 출력이 가능한 이어폰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 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전기 신호의 출력이 수행되도록 구성된 것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5,
The terminal apparatus comprises:
An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output of the electric signal is performed through the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KR1020130007299A 2013-01-23 2013-01-23 Transcranial electric stimulation system KR1014448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299A KR101444801B1 (en) 2013-01-23 2013-01-23 Transcranial electric stimul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299A KR101444801B1 (en) 2013-01-23 2013-01-23 Transcranial electric stimul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808A KR20140094808A (en) 2014-07-31
KR101444801B1 true KR101444801B1 (en) 2014-09-26

Family

ID=51740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299A KR101444801B1 (en) 2013-01-23 2013-01-23 Transcranial electric stimul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80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4268A (en) * 2003-07-17 2005-02-10 Kalaco Scientif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US20060173510A1 (en) * 2003-10-16 2006-08-03 Besio Walter G Medical devices for the detection,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KR20110040853A (en) * 2008-06-20 2011-04-20 메드릴리프 인크.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non-transcranial electrotherapy
KR20110086611A (en) * 2008-11-21 2011-07-28 부어카드 브로커 Mobile device for transcranial auto-stimul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regulating th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4268A (en) * 2003-07-17 2005-02-10 Kalaco Scientif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US20060173510A1 (en) * 2003-10-16 2006-08-03 Besio Walter G Medical devices for the detection,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KR20110040853A (en) * 2008-06-20 2011-04-20 메드릴리프 인크.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non-transcranial electrotherapy
KR20110086611A (en) * 2008-11-21 2011-07-28 부어카드 브로커 Mobile device for transcranial auto-stimul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regulating th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808A (en)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800B1 (en) Transcranial electric stimulation system
US11819706B2 (en) Monitoring and detecting magnetic stimulation
KR101465613B1 (en) Headwear type apparatus and transcranial electric stimulation system using the same
JP6254281B2 (en) EEG measurement and brain stimulation system
KR20160018660A (en) Transcranial pulsed current stimulation
US10300294B2 (en) Bi-phasic paired puls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WO2019184904A1 (en) Central nerve magnetic stimulation device and healthcare or medical instrument having same
US10874846B2 (en)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electrode needle an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device
KR20150028996A (en) Electric potential treatment device
KR101451649B1 (en) Headwear type apparatus and transcranial electric stimul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444801B1 (en) Transcranial electric stimulation system
KR101733589B1 (en) Apparatus for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van der Groen et al. Random noise stimulation of the cortex: stochastic resonance enhances central mechanisms of perception
RU89958U1 (en) DEVICE FOR COMBINED TRANSCRANIAL PHYSIOTHERAPY
RU167065U1 (en) DEVICE FOR TRANSCranial Stimulation of the Brain by DC
JP7189594B2 (en) Non-invasive human dominant hemisphere cerebral motor language area determination device
RU2400264C1 (en) Device for combined transcranial physiotherapy
US202400246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wearable pain treatment device
KR20200023798A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Brain
KR20200099731A (en) Electrical Stimulator
Black et al. Open Ephys Electroencephalography: A Novel Method for Real-Time Recording during Transcranial Alternating Current Stimulation
KR101510713B1 (en) Electrical stimulator
Vorobiova et al. Continuous theta-burst stimulation of medial prefrontal cortex enhances schema-linked encoding
Christova et al. Transcranial alternating current stimulation for boosting corticospinal excitability and restitution of intracortical inhibition in elderly
CA3043289A1 (en) Galvanic skin response detection with cranial micro direct current sti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