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964B1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964B1
KR101443964B1 KR1020120094681A KR20120094681A KR101443964B1 KR 101443964 B1 KR101443964 B1 KR 101443964B1 KR 1020120094681 A KR1020120094681 A KR 1020120094681A KR 20120094681 A KR20120094681 A KR 20120094681A KR 101443964 B1 KR101443964 B1 KR 101443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event
area
portable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432A (ko
Inventor
김종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094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964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은 전자펜을 통한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신호를 통해 상기 입력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의 위치가 휴대 단말기의 비표시영역인 경우, 상기 위치에 대응하여 실행될 기 저장된 이벤트가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검색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에 상기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Portable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펜으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기에 특정한 이벤트를 실행시키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성능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부피와 무게를 줄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 종래의 휴대용 노트북 및 휴대폰에서 채택하던 키보드 및 키패드는 점점 디스플레이와 정보 입력이 동시에 가능한 터치 패널로 대체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감압식 터치 패널보다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이 주로 휴대용 전자기기에 이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영역 외에 휴대 단말기의 외부영역의 입력도 표시가 가능한 방식도 제시되고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기술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20)는 입력 가능 영역이 휴대 단말기(20)의 표시영역(30a)과 외부영역(30c)으로 정의된다. 표시영역(30a)은 휴대 단말기(20)의 전면(前面) 중 표시패널에 의해 컨텐츠가 보여지는 영역을 의미하며, 표시영역(30a)을 통한 입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감압식 또는 정전용량식으로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영역(30c)은 휴대 단말기(20)의 외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외부영역(30c)을 통한 입력은 소정의 펜(10)을 통한 초음파 신호로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외부영역(30c)은 휴대 단말기(20) 주변의 일 영역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외부영역(30c)의 크기 또한 제한될 수 있다. 외부영역(30c)은 표시영역보다 넓게 정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비교적 자유로운 크기의 입력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2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펜이나 손가락을 이용해 몇 번의 입력 과정을 거쳐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되는 페이지로 이동해야 한다. 즉,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접근 경로가 복잡하므로 사용자의 빠르고 쉬운 접근이 어렵다.
또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20)는 표시영역과 외부영역(30c)에서의 입력만 감지하고, 비표시영역(30b) 즉, 휴대 단말기 전면(前面)에서 표시영역 이외의 영역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어 기능 설정을 위한 다양한 영역을 활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 단말기의 비표시영역을 활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은 전자펜을 통한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신호를 통해 상기 입력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의 위치가 휴대 단말기의 비표시영역인 경우, 상기 위치에 대응하여 실행될 기 저장된 이벤트가 있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검색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에 상기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된 입력의 위치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前面)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 중 상기 표시영역을 제외한 비표시영역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부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은 상기 비표시영역의 일 영역을 상기 전자펜으로 터치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가 실행된 후 상기 입력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재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실행된 이벤트를 종료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의 위치가 상기 비표시영역의 상단의 중앙 또는 상기 비표시영역의 하단의 중앙인 경우, 상기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영역에 터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종류의 선택을 요청하는 알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의 위치는 소정의 로고가 새겨진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종류는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한 텍스트와 대응하는 기능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자동 텍스트 실행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가 입력할 터치입력창을 멀티태스킹 방식으로 표시하는 멀티태스킹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의 위치가 카메라 영역인 경우, 상기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영역에 초기영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표시영역에 카메라 촬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표시영역에 초기영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전자펜의 입력이 감지된 순간에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된 영상을 캡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의 위치가 상기 카메라 영역이고, 상기 입력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카메라 영역을 연속적으로 2회 터치하는 형태인 경우, 상기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전면(前面)카메라 모드의 카메라 촬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의 위치가 조도 센서 영역인 경우, 상기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영역의 자동 조명 설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의 위치가 스피커 영역인 경우, 상기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를 턴-온(turn-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의 위치가 상기 비표시영역의 좌측 또는 우측 영역이며, 상기 입력은 상기 비표시영역의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전자펜을 드래그하는 형태인 경우, 상기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펜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펜을 통한 입력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가 턴-온(turn-on)된 상태에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된 상기 비표시영역 내의 일 영역과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된 상기 일 영역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표시영역 내의 일 영역과 상기 일 영역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비표시영역의 일 영역을 이벤트 실행을 위한 영역으로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된 영역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된 이벤트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의 위치가 검출되지 않거나 상기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재입력을 요청하는 피드백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의 위치가 상기 표시영역 또는 상기 외부영역인 경우, 텍스트 또는 드로잉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는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전자펜을 통한 입력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부; 상기 초음파 신호를 통해 상기 입력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정보 검출부; 상기 비표시영역 내의 특정한 위치 및 상기 특정한 위치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검출된 입력의 위치가 상기 비표시영역인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검출된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실행될 상기 이벤트를 검색하여, 상기 이벤트를 실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실행되는 이벤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를 검색하기 전에, 상기 검출된 입력의 위치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前面)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 중 상기 표시영역을 제외한 비표시영역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부영역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실행된 후, 상기 입력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재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실행된 이벤트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특정한 위치 및 상기 특정한 위치에 대응하는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의 위치가 검출되지 않거나 상기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재입력을 요청하는 피드백 알람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스피커, 조명 설정부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의 위치가 상기 비표시영역의 상단의 중앙 또는 상기 비표시영역의 하단의 중앙인 경우, 상기 이벤트는 터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종류의 선택을 요청하는 알림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의 위치가 카메라 영역인 경우, 상기 이벤트는 상기 입력 시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영역에 초기영상이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의 위치가 조도 센서 영역인 경우, 상기 이벤트는 상기 조명 설정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영역의 자동 조명 설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의 위치가 스피커 영역인 경우, 상기 이벤트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를 턴-온(turn-on)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의 특정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접근루트를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의 비표시영역을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입력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과 이벤트를 설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와 전자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비표시영역에서의 정보입력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의 직접 입력에 의한 특정 영역 및 특정 이벤트 설정 단계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의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음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므로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펜(110)과 휴대 단말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펜(110)은 원격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휴대 단말기(120)에 착탈식으로 내장될 수 있다.
전자펜(110)은 입력 감지부(111), 초음파 송신부(112)를 포함한다.
입력 감지부(111)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입력 감지부(111)는 압전소자가 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는 사용자가 전자펜(110)의 촉을 임의의 물체 상에 압력을 가하여 문자 또는 그림을 입력하고자 할 때, 압력을 인지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입력 감지부(111)는 스위치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스위치를 온(on)시킬 때 전자펜(110)의 이동을 사용자 입력으로 감지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그 밖의 다양한 구성이 활용 가능하다.
초음파 송신부(112)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 휴대 단말기(120)로 초음파 신호를 전송한다. 초음파 신호가 송신된 때부터 휴대 단말기(120)가 초음파 신호를 수신한 때까지의 시간에 대해 초음파 신호의 속력을 곱하면 전자펜(110)과 휴대 단말기(120)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초음파 신호는 휴대 단말기(120)의 외부에 배치된 전자펜(110)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휴대 단말기(120)는 초음파 수신부(121), 위치정보 검출부(122), 저장부(123), 제어부(124), 출력부(125)를 포함한다.
초음파 수신부(121)는 전자펜(110)의 초음파 송신부(112)로부터 전송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한다. 초음파 수신부(121)는 전자펜(110)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하여 복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세 개의 초음파 센서가 휴대 단말기(120)의 네 모서리 영역 중 적어도 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 센서는 종래 단말기에 형성되는 마이크가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검출부(122)는 초음파 수신부(121)가 수신한 초음파를 분석하여 전자펜(110)의 위치정보를 검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가 세 개 구비된 경우, 각 초음파 센서와 전자펜(110) 간의 거리가 검출될 수 있으며, 검출된 세 개의 거리를 바탕으로 소정의 수식에 대입하여 전자펜(110)의 3차원 좌표가 구해질 수 있다.
저장부(123)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23)는 사용자 입력이 출력부(125)에 출력되기 전에 사용자 입력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된 정보는 후술하는 제어부(124)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3)는 휴대 단말기(120)의 비표시영역 내의 특정한 영역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특정한 영역들에 대응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20)의 스피커(125b) 영역에 터치 입력을 수행한 경우, 상기 스피커(125b)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터치 입력 후 휴대 단말기(120)에 출력할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저장부(123)에 저장된다.
제어부(124)는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대해 어떠한 기능을 수행할지 판단하고 분석한다. 제어부(124)는 판단부(124a), 검색부(124b), 텍스트 분석부(124c), 드로잉 분석부(124d)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124a)는 위치정보 검출부(122)로부터 제공받은 전자펜(110)의 위치가 휴대 단말기(120)의 표시영역, 비표시영역 또는 휴대 단말기(120)의 외부영역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표시영역(130a)은 휴대 단말기(120)의 전면(前面)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의미하며, 이때, 영상은 정적인 영상 및 동적인 영상(비디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표시영역(130a)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pixels)가 구비되어 있다. 비표시영역(130b)은 휴대 단말기(120)의 전면 중 표시영역(130a)을 제외한 영역을 의미한다. 외부영역(130c)은 도 3에서 외부영역(130c)은 일부 영역만 표시되었으나 휴대 단말기(120) 이외의 모든 영역을 의미한다. 이때, 외부영역(130c)은 초음파 수신부(121)에 의해 초음파 수신이 가능한 영역이어야 하므로, 휴대 단말기(120)로부터 소정의 범위의 거리 내에서 정의된다.
검색부(124b)는 전자펜(110)의 위치가 비표시영역(130b)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저장부(123)에 전자펜(110)의 위치와 대응하는 이벤트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대응하는 이벤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24)는 출력부(125)에 상기 이벤트를 실행하는 명령을 내린다.
그리고 전자펜(110)의 위치가 표시영역(130a) 또는 외부영역(130c)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판단부(124a)는 전자펜(110)을 통한 사용자 입력의 형태가 텍스트 형태인지 드로잉 형태인지 판단한다. 사용자 입력이 텍스트 형태인 경우, 텍스트 분석부(124c)는 사용자 입력이 어떠한 텍스트인지 분석한다. 사용자 입력이 드로잉 형태인 경우, 텍스트 분석부(124c)는 사용자 입력이 어떠한 드로잉인지 분석한다. 이후, 제어부(124)는 출력부(125)에 분석된 텍스트 또는 드로잉을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을 내린다.
출력부(125)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한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출력한다. 출력부(125)는 표시부(125a), 스피커(125b), 조명 설정부(125c), 카메라(125d)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25a)는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또는 드로잉을 표시하는 구성이다. 표시부(125a)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사람의 신체의 일부분을 감지하는 경우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스피커(125b)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소리를 재생한다. 조명 설정부(125c)는 표시부(125a)의 밝기를 설정하는 구성으로서, 자동 조명 설정기능에 의해 시간 또는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른 밝기를 설정할 수 있다. 카메라(125d)는 동영상이나 사진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출력부(125)는 사용자 입력의 형태에 따라 그에 맞는 형태의 출력을 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20)의 표시영역(130a)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 표시부(125a)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텍스트 또는 드로잉을 표시한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120)의 정보입력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휴대 단말기(120, 도 2 참조)의 표시부(125a)가 턴-온(turn-on)된다(S100).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20)의 표시영역(130a, 도 3 참조)에 어떠한 컨텐츠도 표시되어 있지 않은 블랙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20)의 화면을 켜는 버튼을 누르는 경우 휴대 단말기(120)의 표시부가 턴 온(turn-on)되어 표시영역(130a)에 초기 영상이 표시된다. 다만, S100 단계는 생략 가능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20)의 표시영역(130a)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자펜(110, 도 2 참조)을 통한 입력이 감지되도록 S10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 단계로, 휴대 단말기(120)는 전자펜(110)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전자펜(110)의 초음파 신호를 수신한다(S101).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한 영역에 전자펜(110)으로 압력을 가한 경우, 압전소자와 같은 전자펜(110)의 입력 감지부(111, 도 2 참조)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 그 후, 초음파 송신부(112, 도 2 참조)는 초음파 신호를 휴대 단말기(120)로 송신한다.
그리고 초음파 수신부(121, 도 2 참조)가 상기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 검출부(122, 도 2 참조)가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검출한다(S102). 여기서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을 도 5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20)의 초음파 수신부(121)는 3개의 초음파 센서(121a, 121b, 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들(121a, 121b, 121c)은 각각 휴대 단말기(120)의 비표시영역(130b, 도 3 참조)의 꼭지점에 인접한 전면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자펜(110) 촉의 위치, 즉, 사용자 입력의 위치는 P(x, y, z)와 같은 3차원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P(x, y, z)를 구하는 것이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구하는 것이 된다. 각 초음파 센서(121a, 121b, 121c)와 전자펜(110) 촉 사이의 거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초음파 신호의 속도와 초음파 신호의 도달시간에 따라 구해질 수 있다. 이때, 각 초음파 센서(121a, 121b, 121c)와 전자펜(110) 촉 사이의 거리를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도출된 소정의 수식에 대입하면, P(x, y, z)를 구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24, 도 2 참조)는 검출된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표시영역(130a), 비표시영역(130b), 외부영역(130c, 도 3 참조) 중 어느 곳인지 판단한다(S103). 예를 들어, 제어부(124)의 판단부(124a, 도 2 참조)가 저장부(123, 도 2 참조)에 저장된 위치좌표 룩업테이블을 고려하여, 검출된 P(x, y, z)가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검출된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표시영역(130a) 또는 외부영역(130c)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입력이 텍스트 또는 드로잉이냐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분석한다(S104).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판단부(124a)는 입력된 내용이 텍스트인지 드로잉인지 판단하며, 텍스트인 경우 텍스트 분석부(124c, 도 2 참조)가 어떠한 모양의 텍스트인지 분석하며, 드로잉인 경우 드로잉 분석부(124d, 도 2 참조)가 어떠한 모양의 드로잉인지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된 텍스트 또는 드로잉을 표시부(125a, 도 2 참조)에 출력한다(S105).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20)의 표시영역(130a)에 터치 방식으로 입력하거나 휴대 단말기(120)의 외부영역(130c)에 전자펜(110)을 통해 입력한 문자는 표시부(125a)에 표시될 수 있다.
반면, 검출된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비표시영역(130b)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검색되는지 판단한다(S106). 제어부(124)의 검색부(124b)는 저장부(123)에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저장부(123)에는 특정한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와 특정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비표시영역(130b) 내의 특정한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와 특정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서로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저장부(123)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거나, 특정한 영역에 대해 매칭하는 이벤트 정보가 없는 경우 이벤트 검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때, 특정한 이벤트가 검색되는 경우, 제어부(124)는 상기 이벤트를 출력하는 명령을 출력부(125, 도 2 참조)에 지시한다. 이때, 상기 이벤트가 어떠한 종류이며 어떠한 실행형태이냐에 따라 출력되는 구성요소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비표시영역(130b) 내의 특정한 영역과 상기 특정한 영역에 매칭하는 이벤트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 6a 내지 도 6f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는 비표시영역(130b)의 상단 또는 하단의 중앙 영역(131)에서의 입력에 대해 터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종류의 선택을 요청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이벤트를 실행한다. 이때, 상기 비표시영역(130b)의 상단 또는 하단의 중앙영역은 소정의 로고가 새겨질 수 있다.
도 6a를 참고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펜(110)을 통해 비표시영역(130b)의 하단의 중앙영역(131)에 새겨진 로고를 터치한 경우, 표시영역(130a)에 A와 B 중 어떠한 형태의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것인지 물어보는 알림이 표시 될 수 있다. 상기 알림은 팝업창 형태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의 종류는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에 대해 입력된 텍스트와 관련되는 기능을 자동적으로 실행하게 하는 자동 텍스트 실행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가 입력할 터치 입력창을 활성화시키되, 비활성화되는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을 표시영역(130a)에 보여주는 멀티태스킹 인터페이스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자동 텍스트 실행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call”이란 텍스트를 입력할 경우, 바로 특정인에게 전화를 걸도록 하거나, 전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다. 상기 멀티태스킹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가능한 메모창이 표시영역(130a)의 일부에 표시되도록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메모창에 자유로운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때, 메모창 이외의 영역에 표시된 비활성화 영역에는 멀티태스킹 인터페이스가 실행되기 전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는 카메라 영역(132)에서의 입력에 대해 표시영역(130a)에 표시된 컨텐츠를 캡쳐하거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명령하는 이벤트를 실행한다. 이하,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사용자 입력이 카메라 영역(132)을 터치하는 순간, 표시영역(130a)에 어떠한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느냐에 따라 실행되는 이벤트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이 있을 때 표시영역(130a)에 초기영상, 예를 들어, 출력부(125)의 전원을 켰을 때 최초로 보여지는 락(lock)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면, 휴대 단말기(120)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실행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은 카메라 촬영, 갤러리 제공, 사진 편집 등과 같은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고, 바로 후면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입력이 있을 때 표시영역(130a)에 초기영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다면, 즉, 출력부(125)의 전원을 켰을 때 최초로 보여지는 락(lock)화면이 아닌, 사용자가 어떠한 기능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이라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순간에 표시영역(130a)에 표시된 영상을 캡쳐하고 캡쳐된 사진을 저장부(123)에 저장한다. 저장된 사진은 갤러리를 통해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전자펜(110)을 이용하여 카메라 영역(132)을 두 번 터치하는 경우, 전면 카메라를 통한 촬영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펜으로 카메라 영역(132)를 더블 클릭하는 경우, 실행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은 곧바로 전면카메라 촬영모드가 된다.
제 3 실시예는 조도 센서 영역(133)에서의 입력에 대해 표시영역(130a)의 자동 조명 설정 기능을 실행하는 이벤트를 실행한다.
조도 센서는 휴대 단말기(120)의 표시영역(130a)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12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리고 자동 조명 설정기능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20)를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 다른 조명을 설정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도 6c와 같이, 휴대 단말기(120)의 조도 센서 영역(133)을 전자펜(110)을 통해 터치하는 경우, 자동 조명 설정 기능이 실행된다.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120)의 표시영역(130a)의 밝기는 사용자가 표시영역(130a)을 일정한 시간 동안 터치하지 않는 등의 환경이 감지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는 스피커 영역(134)에서의 입력에 대해 스피커를 턴-온(turn-on)하여 소리가 재생되도록 하는 이벤트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도 6d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펜(110)을 통해 스피커 영역(134)을 터치하는 경우, 오프(off) 상태로 되어 있는 스피커가 턴-온(turn-on)되어 소리가 재생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오프(off) 상태의 스피커에 대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스피커 영역(134)을 연속적으로 두 번 전자펜(110)으로 터치할 경우,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이벤트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전화벨이 울리거나 전화 수신 화면이 표시될 때, 상기 스피커 영역(134)을 전자펜(110)으로 터치할 경우, 스피커 폰 모드를 실행시키는 이벤트가 실행될 수도 있다.
제 5 실시예는 비표시영역(130b)의 좌측 또는 우측 영역(135a, 135b)에서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전자펜(110)을 드래그하는 입력에 대해, 스피커의 볼륨을 올리거나 내리도록 하는 이벤트를 실행한다. 이때, 전자펜(110)이 드래그된 길이에 따라 볼륨이 변경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e와 같이, 사용자가 비표시영역(130b)의 좌측 영역(135a)에서 전자펜(110)을 하측에서 상측으로(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스피커의 볼륨이 올라갈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도 6f와 같이, 사용자가 비표시영역(130b)의 좌측 영역(135a)에서 전자펜(11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②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스피커의 볼륨이 내려갈 수 있다. 그리고 전자펜(110)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① 방향 또는 ② 방향으로) 얼마나 드래그하느냐에 따라 볼륨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① 방향 또는 ② 방향 중 어느 방향을 스피커의 볼륨을 올리고 내리느냐 하는 설정은 전술한 예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비표시영역(130b)의 복수의 영역에 대해 상기 복수의 영역과 대응하는 이벤트들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치 인식 방식뿐만 아니라 초음파 인식방법도 활용되므로, 표시영역(130a)이 아닌 비표시영역(130b)에서도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한번의 터치 입력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곧 바로 실행시키므로 휴대 단말기(120)의 기능 실행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S103 단계에서,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표시영역(130a), 비표시영역(130b) 또는 외부영역(130c) 중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휴대 단말기(120)는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피드백 알람을 제공한다(S108).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어느 영역에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기(120)는 어떠한 입력도 인식하거나 표시할 수 없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20)에는 아무런 출력이 나타나게 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오류가 있다는 사항을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주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영문도 모른 채 출력을 기다리거나 휴대 단말기(120)의 오작동을 의심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피드백 알람이 제공된다.
피드백 알람은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알람은 휴대 단말기(120)의 표시영역(130a) 상에 재 입력을 요청하는 팝업창을 표시하는 형태이거나,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불빛의 점등과 소등을 나타내는 형태이거나, 스피커를 통해 특정한 소리가 재생되는 형태 등의 여러 가지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피드백 알람을 인지하고 재입력을 수행하게 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 정보입력방법은 S101단계부터 다시 정보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120)의 정보입력방법은 비표시영역(130b)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벤트가 실행된 후, 동일한 위치에 전자펜(110)으로 다시 터치하는 경우 실행되는 이벤트가 종료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영역을 터치하여 카메라 촬영모드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 전자펜(110)으로 카메라 영역을 재차 터치하면 카메라 촬영모드가 종료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영역을 터치하여 스피커가 턴 온되어 있는 경우, 전자펜(110)으로 스피커 영역을 재차 터치하면 스피커가 턴 오프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120)의 정보입력방법에서는 상기 비표시영역(130b) 내의 특정 영역과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은 정보입력방법은 특정 기능이나 애플리케이션을 한번의 터치로 동작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장점이 있다. 그러나, 미리 설정된 특정 기능이나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지 않는 것들 일 수 있다. 또한, 비표시영역(130b) 내에서라면 어느 영역이든지 초음파 신호에 의해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의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비표시영역(130b) 내의 특정 영역과 이벤트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화되는 휴대 단말기(120)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비표시영역(130b) 내의 일 영역과 상기 일 영역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저장하고 설정하는 단계는 도 7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휴대 단말기(120)는 이러한 단계를 실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터페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S201), 전자펜(110)으로 사용자에 의해 비표시영역(130b)의 일 영역에 대한 지정을 입력받는다(S202). 설정된 영역의 위치정보는 저장부(123)에 저장된다(S203).
이어서, 설정된 영역에 대응하여 실행될 이벤트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다(S204). 이때, 인터페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이벤트 설정을 요청하는 메세지를 표시부(125a)를 통해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이벤트가 지정된다. 설정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123)에 저장된다(S205). 그리고 저장된 이벤트와 저장된 영역의 위치정보는 서로 매칭된다(S206).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 및 이벤트 설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추후에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을 전자펜(110)으로 터치하였을 경우, 설정된 영역과 매칭하는 이벤트가 실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 전자펜 111 : 입력 감지부
112 : 초음파 송신부 120 : 휴대 단말기
121 : 초음파 수신부 122 : 위치정보 검출부
123 : 저장부 124 : 제어부
125 : 출력부 130a : 표시영역
130b : 비표시영역 130c : 외부영역

Claims (27)

  1. 전자펜을 통한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신호를 통해 상기 입력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의 위치가 휴대 단말기의 비터치영역이며 특정 하드웨어 모듈 영역인 경우, 상기 특정 하드웨어 모듈 영역과 관련하여 실행될 기 저장된 이벤트가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검색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에 상기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실행된 후 상기 입력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재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실행된 이벤트를 종료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하드웨어 모듈이 카메라인 경우,
    상기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영역에 초기영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표시영역에 카메라 촬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표시영역에 초기영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전자펜의 입력이 감지된 순간에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된 영상을 캡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하드웨어 모듈이 상기 카메라이고, 상기 입력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카메라 영역을 연속적으로 2회 터치하는 형태인 경우,
    상기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전면(前面)카메라 모드의 카메라 촬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하드웨어 모듈이 조도 센서인 경우,
    상기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영역의 자동 조명 설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하드웨어 모듈이 스피커인 경우,
    상기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를 턴-온(turn-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을 통한 입력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가 턴-온(turn-on)된 상태에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된 상기 비터치영역 내의 일 영역과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된 상기 일 영역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터치영역 내의 일 영역과 상기 일 영역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비터치영역의 일 영역을 이벤트 실행을 위한 영역으로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된 영역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된 이벤트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의 위치가 검출되지 않거나 상기 특정 하드웨어 모듈 영역과 관련된 이벤트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재입력을 요청하는 피드백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17. 삭제
  18. 표시영역 및 비터치영역으로 구분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전자펜을 통한 입력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부;
    상기 초음파 신호를 통해 상기 입력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정보 검출부;
    상기 비터치영역 내의 특정한 위치 및 상기 특정한 위치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검출된 입력의 위치가 상기 비터치영역이며 특정 하드웨어 모듈 영역인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특정 하드웨어 모듈 영역과 관련하여 실행될 상기 이벤트를 검색하여, 상기 이벤트를 실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실행되는 이벤트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삭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실행된 후, 상기 입력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재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실행된 이벤트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위치 및 상기 특정한 위치에 대응하는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의 위치가 검출되지 않거나 상기 특정 하드웨어 모듈 영역과 관련된 이벤트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재입력을 요청하는 피드백 알람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스피커, 조명 설정부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4. 삭제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하드웨어 모듈이 카메라인 경우,
    상기 이벤트는 상기 입력 시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영역에 초기영상이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하드웨어 모듈이 조도 센서인 경우,
    상기 이벤트는 상기 조명 설정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영역의 자동 조명 설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하드웨어 모듈이 스피커인 경우,
    상기 이벤트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를 턴-온(turn-on)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20094681A 2012-08-29 2012-08-29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KR101443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681A KR101443964B1 (ko) 2012-08-29 2012-08-29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681A KR101443964B1 (ko) 2012-08-29 2012-08-29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432A KR20140028432A (ko) 2014-03-10
KR101443964B1 true KR101443964B1 (ko) 2014-09-23

Family

ID=5064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681A KR101443964B1 (ko) 2012-08-29 2012-08-29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725B1 (ko) * 2014-09-11 2022-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
KR102399764B1 (ko) * 2015-09-22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촬영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994A (ko) * 2009-03-12 2010-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20019268A (ko) * 2010-08-25 2012-03-06 주식회사 케이티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994A (ko) * 2009-03-12 2010-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20019268A (ko) * 2010-08-25 2012-03-06 주식회사 케이티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432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269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объектом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прибора
EP2793116B1 (en) Terminal apparatus mountable in vehicle, mobile device for working with th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KR102160767B1 (ko) 제스처를 감지하여 기능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WO2020258929A1 (zh) 文件夹界面切换方法及终端设备
US20120050530A1 (en) Use camera to augment inpu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20134744A1 (zh) 图标移动方法及移动终端
WO2021136159A1 (zh) 截屏方法及电子设备
WO2018082657A1 (zh) 一种查找图标的方法及终端
WO2020156443A1 (zh) 图像查找方法及终端设备
WO2021004426A1 (zh) 内容选择方法及终端
CN110618969B (zh) 一种图标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9558000B (zh) 一种人机交互方法及电子设备
JP7329150B2 (ja) タッチボタン、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WO2015096335A1 (zh) 交互识别***以及显示装置
WO2020215967A1 (zh) 内容选中方法及终端设备
US20210200432A1 (en)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WO2021037073A1 (zh) 控制方法及终端设备
WO2020220893A1 (zh) 截图方法及移动终端
WO2021109960A1 (zh) 图像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104057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rientation of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1057301A1 (zh) 文件控制方法及电子设备
WO2020181950A1 (zh) 显示方法及终端
CN108984099B (zh) 一种人机交互方法及终端
KR20210034668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단말
KR101443964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