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598B1 -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598B1
KR101443598B1 KR1020140041417A KR20140041417A KR101443598B1 KR 101443598 B1 KR101443598 B1 KR 101443598B1 KR 1020140041417 A KR1020140041417 A KR 1020140041417A KR 20140041417 A KR20140041417 A KR 20140041417A KR 101443598 B1 KR101443598 B1 KR 101443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lid
pipe
pl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형
정문경
곽기석
박재현
조경진
권오성
송치용
박형섭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41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2Restraining of open water
    • E02D19/04Restraining of open water by coffer-dams, e.g. made of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Constructions, or methods of constructing, i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0Placing by pressure or pulling p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53Production methods using suction or vacuum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단면의 강관을 수중 가시설물로서 이용하도록 대단면의 강관을 해저 지반에 설치하여 시공하되, 강관을 해저 지반에 설치할 때, 석션압에 의해 강관이 해저 지반에 관입되도록 함으로써, 항타 등이 없이도 대구경의 강관을 용이하게 수중에 설치하여 가물막이 또는 수상작업대로서 활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가시설물로서의 강관의 용도가 종료된 후에는, 다시 강관 내부의 압력 증가 및 그에 따른 인발력 작용에 의해 강관을 용이하게 해저 지반으로부터 인발하여 철거할 수 있게 하는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하여 상,하부 관부재를 수밀한 상태로 견고하고 용이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는 관 접속부재를 이용한 관 부재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Constructing Method of Temporary Retaining Wall in Underwater Ground by Suction Pressure}
본 발명은 가물막이 또는 수상작업대의 용도로 수중에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수중 가(假)시설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해상교량의 기초 등과 같이 수중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수중 가물막이로 이용하거나 또는 해상에서의 작업을 위한 수상작업대로 이용하도록 대형 관부재를 그 하단이 해저 지반에 관입되도록 수중에 설치하되, 석션압(suction pressure)에 의해 관부재가 해저 지반에 관입되도록 함으로써, 항타 등이 없이도, 대구경의 관부재를 용이하게 해저 지반에 안정적으로 설치하고, 관부재를 수중 가물막이 또는 수상작업대로서의 사용이 종료된 후에는, 다시 관부재 내부의 압력 증가 및 그에 따른 인발력 작용에 의해 관부재를 용이하게 해저 지반으로부터 인발하여 철거할 수 있게 하는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상교량의 기초 등과 같이 수중에 설치되는 수중 구조물을 시공할 때, 가물막이 공사를 시행하여 필요한 작업 공간을 육상화시킨 후, 건식(乾式)으로 수중 구조물 구축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2454호에는 대구경의 강관을 이용하여 가물막이 공사를 수행하는 종래 기술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2454호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서는 대구경의 강관을 항타에 의해 해저 지반면에 설치하고 대구경 강관 내부의 물을 배수시킨 후, 강관 내부의 공간에 기초 등의 수중 구조물을 시공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대구경 강관을 지반에 설치할 때 "항타"에 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강관을 항타하여 지반에 설치하게 되는데, 강관이 구경이 커지게 되면 항타장비의 규모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강관 단면 전체를 타격할 수 없게 된다. 결국 종래기술에서는 가물막이로 이용되는 강관의 크기가 항타가 가능한 장비로 한정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대규모의 수중 구조물의 시공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수중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여러 상황에서 해상 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수상작업대를 설치하여야 하는 바, 이러한 수상작업대를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2454호(2006. 12. 01. 공고) 참조.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관부재를 해저 지반에 관입할 때 항타를 이용하는 종래 기술보다 더 큰 단면을 가지는 대단면의 관부재를 용이하게 해저 지반에 관입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물막이나 수상작업대와 같이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수중 가시설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강관의 상부에 덮개를 결합하여 강관의 상부는 덮개에 의해 폐쇄되고 강관의 하단은 개방된 형태의 조립체를 해저 지반면에 설치하는 단계; 강관 내부를 배수시켜 강관 내에 음압을 형성하여, 외부의 수압에 의해 강관의 하단이 해저 지반으로 관입되게 하는 단계; 덮개를 제거하는 단계; 강관의 내부공간에서 수중 구조물의 시공을 완료한 후, 강관의 상부에 덮개를 다시 결합하는 단계; 및 강관과 덮개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체의 내부 공간에 공기 또는 유체를 다시 주입하여 압력을 증가시켜서 강관을 해저 지반으로부터 인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강관을 수중 가시설물로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을 수행할 때, 강관과 덮개간의 결합 작업 및 강관과 연결강관부재간의 결합 작업, 그리고 연결강관부재와 덮개간의 결합 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부 관부재를 조립결합시키는 관 접속부재를 이용한 관 부재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강관에 의해 만들어지는 수중 가시설물은, 수중 구조물을 육상화된 공간에서 시공할 수 있게 하는 가물막이일 수도 있고, 해상에서의 작업을 위한 수상작업대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에서는 강관을 석션압에 의해 해저 지반에 관입하기 때문에, 항타에 의해 강관을 관입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해저 지반에 설치할 수 있는 강관의 단면 크기를 더욱 확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항타가 불가능한 대단면의 강관일지라도 용이하게 해저 지반에 관입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대규모의 수중 구조물을 시공하는 현장에서도 대구경의 강관을 가물막이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해상에서의 작업 수행을 위한 수상작업대로서도 대구경의 강관을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하부 관부재를 서로 수밀한 상태로 견고하게, 그리고 쉽게 분리가 가능하도록 조립 결합할 수 있게 하는, 관 접속부재를 이용한 관 부재 연결구조가 새롭게 제안되는 바, 이러한 관 부재 연결구조를 이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에서 강관과 덮개간의 결합 작업 및 강관과 연결강관부재간의 결합 작업, 그리고 연결강관부재와 덮개간의 결합 작업을 수행할 때, 이들 부재들을 필요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밀하면서도 견고한 방식으로 쉽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유리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에 의해 수중 가시설물에 해당하는 대구경의 강관을 가물막이로 사용하기 위하여 해저 지반에 설치하는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위쪽 관 부재가 아래쪽 관 부재보다 직경이 더 큰 경우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조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조립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원 B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2는 래칫을 이용한 밴드 형태의 체결수단에 의해 관 접속부재와 관 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 10의 원 P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3은 상부 관 부재가 하부 관 부재보다 직경이 더 큰 경우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조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 1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조립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대응되는 도 13의 원 C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5는 상부 관 부재가 하부 관 부재보다 직경이 더 작은 경우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 1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6은 상부 관 부재가 하부 관 부재보다 직경이 더 작은 경우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조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 1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7은 상부 관 부재가 하부 관 부재보다 직경이 더 크며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조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조립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원 E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20은 크랭크 형 관 접속부재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조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 18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조립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대응되는 도 20의 원 F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22는 상부 관 부재가 하부 관 부재보다 직경이 더 작으며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조의 실시예에 대한 도 19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23은 상부 관 부재가 하부 관 부재보다 직경이 더 작으며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조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 2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24는 H형 관 접속부재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조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선 G-G에 따른 개략적인 조립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원 J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27은 H형 관 접속부재가 미리 상부 관 부재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부 관 부재가 결합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26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28 및 도 29는 각각 하부 관 부재와 상부 관 부재의 두께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 대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26 및 도 27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30 및 도 31은 각각 밀착판을 이용한 상,하부 관 부재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1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32 및 도 33은 각각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에 밀착판을 구비한 상,하부 관 부재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19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34 및 도 35는 각각 H형 관 접속부재에 밀착판을 구비한 상,하부 관 부재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26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36은 결속선에 의해 강관과 연결강관부재와 덮개가 일체화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8에는 각각 본 발명의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특히 수중 가시설물에 해당하는 대단면(大斷面)의 관부재를 가물막이로 이용하기 위하여 해저 지반에 설치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즉, 수중 가시설물로는 예를 들어 가물막이 또는 수상작업대 등이 있는데, 아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대단면의 관부재를 수중 가시설물로서 해저 지반에 설치하되, 대단면의 관부재로 이루어진 수중 가시설물이 가물막이로서 이용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대한 각 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대단면의 관부재는 그 단면 형상이 원형 이외에 타원형 및 기타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재질도 강재에만 국한되지 않고 섬유보강재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대단면의 관부재로서 주로 강재로 이루어진 강관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이러한 대단면의 관부재를 모두 포괄하여 의미하는 용어로서 편의상 "강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강관과 연결되는 연결강관부재(3)는 후술하는 것처럼 강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는 관 부재로서, 연결강관부재(3) 역시 재질이 강재로 국한되지 않고 섬유보강재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부재의 명칭에 "강관"이라는 용어가 포함되어 있다.
수중 가시설물의 일예로서 가물막이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대구경의 강관(1)과 그 상부에 결합된 덮개(2)로 이루어진 조립체(200)를, 그 개방된 하단이 해저 지반면에 닿도록 수중에 설치한다. 상기 조립체(200)에서 강관(1)의 상단에는 덮개(2)가 밀실하면서도 분해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부는 폐쇄된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강관(1)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다. 육상에서 강관(1)과 덮개(2)를 일체화시켜 조립체(200)를 제작한 후, 조립체(200)를 인양하여 수중에 투입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립체(200)의 하단이 해저 지반에 닿게 할 수도 있지만, 강관(1)만을 우선 수중에 투입하여 해저 지반 위에 설치한 상태에서, 덮개(2)를 추가로 수중에 투입하여 수중 작업에 의해 강관(1)의 상부에 결합함으로써 조립체(200)가 완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강관(1)과 덮개(2)로 이루어진 조립체(200)가 해저 지반에 놓일 때, 조립체(200)의 자중으로 인하여 강관(1)의 하단은 해저 지반에 소정 깊이로 박히게 되고, 그에 따라 강관(1)의 내부 공간 즉, 강관(1)의 중공은 밀폐된 상태가 된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09는 강관(1), 덮개(2) 및 조립체(200)를 인양하기 위한 인양케이블(109)을 나타낸다.
모터 등의 동력원을 작동시켜서, 덮개(2)에 설치된 석션펌프(201)를 통해서 강관(1)의 중공 내에 채워져 있던 물을 강관(1)의 외부로 배수하게 되면, 강관(1)의 중공에는 음압(陰壓)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외부의 수압의 작용으로 인하여 조립체(200)에는 하향력이 작용하게 되어, 강관(1)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그 하단이 해저 지반(100)에 소정 깊이로 관입된다. 즉, 강관(1)의 중공을 배수시켜 비움으로써, 강관(1)이 석션압에 의해 해저 지반(100)으로 관입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위의 설명에서는 강관(1)의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덮개(2)에 석션펌프(201)를 통해서 강관(1)의 중공을 배수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석션펌프(201)는 배수를 위한 수단의 예시이며, 덮개(2)에 외부연결호스를 연결하여 외부배수파이프를 통해서 강관(1)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강관(1)의 중공 내부를 음압 상태로 만들 수 있다면, 강관(1)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수단은 위에서 예시한 외부연결호스나 석션펌프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다양한 구성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강관(1)의 하단을 통해서 물이 강관(1)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데 필요한 심도로 강관(1)의 하단이 해저 지반(100)에 관입 완료된 후에는 덮개(2)를 강관(1)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덮개(2)는 밀실하면서도 분해가능하게 강관(1)의 상단에 조립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덮개(2)와 강관(1)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고, 덮개(2)를 인양장비(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강관(1)으로부터 분리시켜 제거하면 된다.
만일 강관(1)의 연직 높이가 수심보다 커서, 위와 같이 석션압에 의해 강관(1)의 하단이 해저 지반(100)에 관입된 후에도 강관(1)의 상단이 수면 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강관(1)의 중공에 음압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강관(1)의 중공에 존재하던 물이 강관 외부로 배출되었으므로 강관(1)의 중공은 이미 비어 있게 되고, 따라서 강관(1)의 내부는 이미 육상화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덮개(2) 제거 후, 육상화된 강관(1)의 내부에서 기초 시공, 교각 설치 등의 필요한 수중구조물의 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강관(1)의 연직 높이가 수심보다 작아서 덮개(2)를 강관(1)으로부터 분리시켜 제거하였을 때, 강관(1)의 개방된 상단이 수면의 아래 즉, 수중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덮개(2)가 제거됨에 따라 강관(1)의 중공에는 다시 물이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덮개(2)가 제거된 상태에서 코퍼댐(cofferdam)이라고도 불리는 연결강관부재(3)를 강관(1)의 상단에 밀실하게 그리고 분해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연결하여, 연결강관부재(3)의 상단이 수면 위에 위치하도록 만든다. 도 3에는 연결강관부재(3)를 투입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강관(1)의 상단에 연결강관부재(3)가 연결되어 연결강관부재(3)의 상단이 수면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강관(1)의 내부의 물을 강관(1) 밖으로 배수시키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즉, 연결강관부재(3)의 상단이 수면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강관(1)의 중공으로 흡입관을 투입하여 강관(1)의 중공에 채워져 있던 물을 강관(1)의 외부로 흡입하여 배출시킴으로써 강관(1)의 내부를 육상화시키는 것이다. 도 4에서 부재번호 108은 강관(1)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흡입배수관(108)을 나타낸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석션압에 의한 강관(1)의 해저 지반 관입 설치, 및 강관(1) 내부의 배수 과정을 수행하여, 강관(1)의 내부를 육상화시킴으로써, 강관(1)을 가물막이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는 각각 수중 구조물의 일예로서 말뚝(101)과 교각(102)을 육상화된 강관(1) 내부에 시공하는 상태가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것처럼, 하단은 해저 지반(100)에 관입되어 있고 상단에는 연결강관부재(3)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물이 유입되는 것이 완전히 차단된 강관(1)의 내부를 육상화시킨 상태에서, 강관(1)의 육상화된 내부 공간에서 말뚝(101), 교각(102) 등의 필요한 수중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여기서 말뚝(101)과 교각(102)은 수중구조물의 일예로 예시된 것이다.
수중 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되면, 연결강관부재(3)와 강관(1)을 인발한다. 연결강관부재(3)와 강관(1)을 인양장비로 직접 인양할 수도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매우 큰 용량의 인양장비를 이용해야 하고 그에 따라 비용 등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2)의 결합 및 강관(1)의 내부 공간 가압을 이용하게 되면, 인발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7에는 연결강관부재(3)의 상단에 덮개(2)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우선 연결강관부재(3)의 상단에 다시 덮개(2)를 수밀한 상태로 일체 결합한다. 연결강관부재(3)가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덮개(2)는 강관(1)의 상단에 다시 결합된다.
덮개(2)가 연결강관부재(3)의 상단 또는 강관(1)의 상단에 씌워져서 일체화된 후에는 덮개(2)에 연결된 석션펌프(201)를 통해서 연결강관부재(3)와 강관(1)의 내부공간에 공기 또는 물을 주입한다. 이와 같이 공기 또는 물이 주입되면 연결강관부재(3)와 강관(1)의 내부 공간에서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강관(1)의 내부공간 바닥에 하향력이 작용하게 되어, 그에 대한 반력으로서 강관(1)을 해저지반으로부터 뽑아내려는 상향의 인발력이 강관(1)에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양장비와 인양케이블(109)을 이용하여 강관(1)을 상향으로 당기게 되면 강관(1)이 쉽게 해저 지반(100)으로부터 인발된다. 도 8에는 강관(1)을 인발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강관(1)의 내부 공간으로의 공기 또는 물 주입에 의한 가압만으로도 강관(1)이 해저 지반(100)으로부터 완전히 인발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인양케이블(109)로 단순히 강관(1)을 비롯한 조립체를 인양하기만 해도 충분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가시설물의 시공방법에서는 강관(1)을 석션압에 의해 해저 지반(100)에 관입하기 때문에, 항타에 의해 강관을 관입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강관의 크기에 제한이 없다. 즉, 항타가 불가능한 대구경의 강관일지라도 수중 가시설물의 일종인 가물막이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대규모의 수중 구조물 시공에도 대구경의 강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방법을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수중 가시설물로서 가물막이를 예시하고,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해 대구경의 강관(1)을 가물막이로서 설치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석션압을 이용하여 해저 지반에 관입 설치되는 대구경의 강관(1)은, 수중 가시설물로서 수상작업대의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대구경의 강관(1)을 해저 지반에 관입 설치하고, 해상 위에 있는 강관(1)의 상부를 수상작업대로 이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상작업대로 이용하기 위하여 대구경의 강관(1)을 본 발명에 따라 시공함에 있어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강관(1)에 덮개(2)를 수밀하게 결합하고, 석션압에 의해 강관(1)의 하단을 해저 지반에 관입 설치한 후, 덮개(2)를 제거하거나 또는 덮개(2) 제거 후 연결강관부재(3)를 더 설치하여, 강관(1)의 상부 또는 연결강관부재(3)의 상부가 해상 위에 존재하도록 한다. 그러나 가물막이로 이용되는 경우와 달리, 수상작업대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강관(1)의 내부가 반드시 육상화될 필요가 없으므로, 강관(1)의 하단이 해저 지반에 소정 깊이로 관입이 완료된 후 수행하였던 강관(1) 내부의 물 배수를 통한 육상화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석션압을 이용한 강관의 해저 지반 설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이용하면 해상에서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수상작업대를 매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강관(1)이 석션압에 의해 해저 지반(100)에 관입되는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려면, 강관(1)과 덮개(2)를 수밀한 상태로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강관(1)과 덮개(2)는 반복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므로, 수밀한 상태와 더불어 편리하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부재(강관, 연결강관부재 등)의 재활용 등을 위해서는, 강관(1)과 연결강관부재(3) 간의 결합에 있어서도 덮개(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서로 결합됨과 동시에 필요할 때 편리하고 신속하게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연결강관부재(3)와 덮개(2)간의 결합에 있어서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관 부재 연결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두 개의 관 부재가 밀실한 상태 즉, 수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서로 견고하게 그리고 분해가 용이하도록 결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조를 설명할 것인데, 강관(1)은 원형 내지 타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덮개(2)의 하단 형상은 강관(1)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며, 연결강관부재(3)의 하단 역시 강관(1)과 그 단면 형상이 대응되므로, 아래에서 설명하는 두 개의 관 부재 연결구조는 강관(1)과 덮개(2)간의 연결에 적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강관(1)과 연결강관부재(3) 간의 결합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연결강관부재(3)와 덮개(2) 간의 결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 관 부재의 직경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부 관 부재의 직경보다 더 큰 경우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9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조립 반단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원 B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조에서는, 관 접속부재(20)를 이용하여 상부 관 부재(11)와 하부 관 부재(12)를 서로 밀실하게 그리고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관 접속부재(20)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연직판(21, 22), 및 상기 2개의 연직판(21, 2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24)를 가지며 상부 및 하부 관 부재(11, 12)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관 접속부재(20)는 링의 원주 방향으로 U자형 단면을 가지게 된다.
관 접속부재(20)는 상부 관 부재(11)와 하부 관 부재(12)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 관 부재(11)와 하부 관 부재(12)를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2개의 연직판(21, 22)과 제1연결부(24)로 이루어진 공간에 수밀링(28)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 또는 하부 관 부재(12)의 상단이 상기 2개의 연직판(21, 22)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서 수밀링(28)을 가압하여 수밀링(28)을 눌러서 관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팽창시킴에 따라 2개의 연직판(21, 22) 사이의 간격을 수밀링(28)이 더욱 충실하게 채우게 되어 물의 유입 경로를 더욱 철저하게 차단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수밀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2개의 연직판(21, 22)을 편의상 "제1연직판(21)"과 "제2연직판(22)"으로 구분하여 명명하였을 경우,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연직판(21)은 상부 관 부재(11)의 외면에 밀착되어 있고, 제2연직판(22)은 하부 관 부재(12)에 일체 결합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제2연직판(22)이 하부 관 부재(12)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제2연직판(22)과 하부 관 부재(12)가 일체화되어 있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27은 제2연직판(22)과 하부 관 부재(12)를 일체화시키는 용접부(27)로서 수밀성을 위하여 용접부(27)는 관 접속부재(20)의 원주를 따라 선(線)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관 부재(11)와 하부 관 부재(12)의 연결을 위해서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은 제1연직판(21)과 제2연직판(22)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 있다. 상부 관 부재(11)가 제1연직판(21)과 제2연직판(22) 사이의 간격에 끼워졌을 때, 상부 관 부재(11)의 내,외면이 각각 제2연직판(22)과 제1연직판(21)에 완전하게 밀착하여 수밀상태를 이루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자칫 부재의 제작상의 오차 등과 같이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 의해 상부 관 부재(11)의 내면과 제2연직판(22) 사이 또는 상부 관 부재(11)의 외면과 제1연직판(21) 사이에 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제1연직판(21)과 제2연직판(22)과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과 제1연결부(24) 사이의 공간 내에 수밀링(28)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부 관 부재(11)가 제1연직판(21)과 제2연직판(22) 사이의 간격에 끼워지게 되면 상부 관 부(11)의 자중에 의해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이 수밀링(28)을 가압하게 되며, 그에 따라 수밀링(28)이 눌리면서 관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팽창하게 되어 제1연직판(21)과 제2연직판(22) 사이의 간격을 더욱 충실하게 채우게 되고, 더 나아가 수밀링(28)과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면이 밀착하게 되므로 물의 유입 경로를 더욱 철저하게 차단하게 되어 수밀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따라서 예측하지 못한 상황으로 인하여 상부 관 부재(11)의 내면과 제2연직판(22) 사이 또는 상부 관 부재(11)의 외면과 제1연직판(21) 사이에 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상부 관 부재(11)의 외면 측으로부터 내면 측으로 물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상황에 따라서는 일측 관 부재가 단순히 2개의 연직판 사이의 간격에 끼워지는 것 이상으로 일측 관 부재를 관 접속부재(20)와 견고하게 결합할 필요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일측 관 부재의 단부가 연직판(21, 22) 사이의 간격에 끼워진 후, 볼트 부재 등의 체결수단(70)을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관 부재와 연직판에 관통시켜 체결함으로써, 연직판과 관 부재가 분리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1의 실시예의 경우, 체결수단(70)이 제1연직판(21)을 관통하게 되는데, 이 때, 제1연직판(21)을 관통한 체결수단(70)은 상부 관 부재(11)를 관통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수단(70)의 단부가 상부 관 부재(11)의 두께 부분에 나사 결합되도록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체결수단(70)이 상부 관 부재(11)를 관통하지 않게 되므로 체결수단(70)의 관통시 발생할 수 있는 상부 관 부재(11) 내부공간의 수밀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체결수단(70)이 상부 관 부재(11)의 내측에서부터 관입되어 상부 관 부재(11)는 관통하되 제1연직판(21)은 관통하지 않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부 관 부재(11)를 관통한 체결수단(70)의 단부가 제1연직판(21)의 두께 부분에 나사 결합되도록 체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쉽게 분해 조립이 가능한 체결수단(70)을 이용하여 관 부재와 관 접속부재(20)를 결합하게 되므로, 필요할 때면 언제든지 작업자가 체결수단(70)이 체결을 해제하여 제거함으로써, 쉽게 관 부재를 관 접속부재(2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에서 상부 관 부재와 관 접속부재를 결합할 때, 또는 하부 관 부재와 관 접속부재를 결합할 때 사용되는 체결수단(70)으로서 볼트 부재를 예시하고 있으나, 체결수단(70)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관 부재와 관 접속부재를 일시적으로 일체 결합하고, 또 필요에 따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는 부재라면 그 형태와 구성 등에 구애받지 않고 체결수단(70)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후술하는 것처럼 관 접속부재가 본 발명의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에 적용되는 경우, 체결수단(70)에 의해 관 부재와 관 접속부재가 일시적으로 결합될 필요가 발생하는 때는 강관(1)을 인발할 때 즉, 하부 관 부재를 인발할 때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단지 체결수단(70)이 관 부재와 관 접속부재에 대해 두께 방향으로 끼워지면 충분하므로, 비록 도면에서는 체결수단(70)이 나사산을 구비한 볼트 부재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나사산이 없는 막대형 부재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더 나아가, 래칫(ratchet)을 이용한 밴드 형태로 체결수단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2에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U자형 단면을 가지는 관 접속부재(20)에서 래칫을 이용한 밴드 형태의 체결수단(70)에 의해 관 접속부재(20)와 상부 관 부재(1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 10의 원 P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래칫을 이용한 밴드 형태의 체결수단(70)은, 외면에 한 쪽 방향으로 경사진 래칫톱니(74)들이 형성되어 있는 결속밴드(75)와, 상기 래칫톱니(74)에 대응되는 걸림턱(73)을 가지는 홀더(72)와, 상기 홀더(72)를 전진시키는 레버(7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서는 상기 결속밴드(75)의 상단이 상부 관 부재(11)에 고정부재(76)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레버(71)와 연결되어 있는 레버설치부재(77)는 관 접속부재(2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71)를 당기게 되면 홀더(72)가 래칫톱니(74)와 물려서 결속밴드(75)를 당기게 되고 걸림턱(73)이 래칫톱니(74)에 끼워지면서 결속밴드(75)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의해 관 접속부재(20)와 상부 관 부재(11)가 일체로 결합된다. 관 접속부재(20)와 상부 관 부재(11)를 분리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홀더(72)를 움직여서 걸림턱(73)이 래칫톱니(74)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결속밴드(75)는 자유롭게 홀더(72)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관 접속부재(20)와 상부 관 부재(11)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와 위의 내용에서는 결속밴드(75)의 상단이 상부 관 부재(11)에 결합되고 레버(71)가 관 접속부재(20)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레버(71)가 상부 관 부재(11)에 결합되고 결속밴드(75)의 일단이 관 접속부재(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래칫을 이용한 밴드 형태의 체결수단(70)은 관 접속부재(20)와 하부 관 부재(12)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일체 결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래칫을 이용한 밴드 형태를 비롯하여 위에서 체결수단(70)에 대해 설명한 내용은 후술하는 다른 형태의 관 접속부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 및 이와 관련된 위의 설명에서는 관 접속부재(20)가 미리 하부 관 부재(12)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 관 부재(11)가 관 접속부재(20)에 조립 결합되는 것이었지만, 이와 반대로 관 접속부재(20)가 미리 상부 관 부재(11)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부 관 부재(12)가 관 접속부재(20)에 조립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이와 같이 관 접속부재(20)가 미리 상부 관 부재(11)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부 관 부재(12)가 관 접속부재(20)에 조립 결합되는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13은 도 1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조립 반단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1에 대응되는 도 13의 원 C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2연직판(22)이 상부 관 부재(11)와 용접 결합되어 있고, 하부 관 부재(12)의 상단이 제1연직판(21)과 제2연직판(22) 사이에 끼워지고, 체결수단(70)에 의해 하부 관 부재(12)와 관 접속부재(20)가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된다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제1연직판(21)과 제2연직판(22)과 하부 관 부재(12)의 상단과 제1연결부(24) 사이의 공간 내에 수밀링(28)이 배치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의 기타 구성 및 효과는 앞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은 각각 도 11 및 도 14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상부 관 부재의 직경이 하부 관 부재의 직경보다 더 작은 경우에, 관 접속부재(20)에 의해 상부 관 부재(11)와 하부 관 부재(12)가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15는 관 접속부재(20)가 하부 관 부재(12)에 미리 일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 관 부재(11)가 관 접속부재(20)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16은 이와 반대로 관 접속부재(20)가 상부 관 부재(11)에 미리 일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부 관 부재(12)가 관 접속부재(20)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상부 관 부재의 직경과 하부 관 부재의 직경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구성 이외에도, 후술하는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관 접속부재(20)를 크랭크형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원주방향의 단면 형태가 크랭크 형상으로 되어 있는 링 형상의 관 접속부재에 대해서는 앞서 도 9 내지 도 16의 관 접속부재(20)와 구분하기 위하여 편의상 부재번호 30을 표시하고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라고 명명하여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19는 각각 위쪽에 위치하는 관 부재의 직경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관 부재의 직경보다 더 큰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연결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를 이용한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7은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조립 반단면 사시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원 E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3개의 연직판(21, 22, 23), 상기 3개의 연직판(21, 22, 23) 중에서 서로 이웃한 2개의 연직판(21, 2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24) 및 서로 이웃한 또다른 2개의 연직판(22, 23)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25)로 가지며 상부 및 하부 관 부재(11, 12)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는 링의 원주 방향으로 크랭크형상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앞서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된 U자형 단면을 가지는 관 접속부재(20)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는 "제1연직판(21)" 및 "제2연직판(22)"에 더하여, 제2연직판(22)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연직판(23)이 더 구비되어 있고, 제2연직판(22)과 제3연직판(23)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25)를 더 가지고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우선 위쪽에 위치하는 관 부재의 직경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관 부재의 직경보다 더 크고,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가 미리 하부 관 부재(12)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서 상부 관 부재(11)가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에 조립 결합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관 부재(12)의 상단을 제2연직판(22)과 제3연직판(23) 사이에 끼우고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를 미리 하부 관 부재(12)에 일체로 결합시켜둔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3연직판(23)은 하부 관 부재(12)의 내면에 밀착하게 되며, 제2연직판(22)의 일측 연직면은 하부 관 부재(12)의 외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가 하부 관 부재(12)에 미리 일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 관 부재(11)를 접근시켜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이 제1연직판(21)과 제2연직판(22) 사이의 간격에 끼워지게 한다. 그에 따라 제1연직판(21)과 제2연직판(22)과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과 제1연결부(24)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하던 수밀링(28)이 상부 관 부(11)의 자중에 의해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이 수밀링(28)이 가압되어 관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팽창하게 된다. 수밀링(28)의 팽창에 의한 효과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이 제1연직판(21)과 제2연직판(22) 사이의 간격에 끼워진 후에는 볼트 부재 등의 체결수단(70)을 이용하여 제1연직판(21)과 상부 관 부재(11)가 분리가능한 상태로 일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한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의 경우에도, 위쪽에 위치하는 관 부재의 직경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관 부재의 직경보다 더 크고,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가 미리 상부 관 부재(11)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부 관 부재(12)가 크랭크 형 관 접속부재(30)에 조립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0 및 도 21은 이와 같이 크랭크 형 관 접속부재(30)가 미리 상부 관 부재(11)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부 관 부재(12)가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에 조립 결합되는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20은 도 18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조립 반단면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19에 대응되는 도 20의 원 F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서는,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이 제1연직판(21)과 제2연직판(22) 사이에 끼워지고 용접에 의해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를 상부 관 부재(11)에 일체로 결합시켜둔 상태에서, 하부 관 부재(12)를 향하여 접근하여 하부 관 부재(12)의 상단이 제3연직판(23)과 제2연직판(22) 사이의 간격에 끼워진다. 이 경우 수밀링(28)은 제3연직판(23)과 제2연직판(22) 사이의 간격에는 배치된다. 그리고 체결수단(70)에 의한 분해가능한 결합은 하부 관 부재(12)의 상단과 제3연직판(23) 사이에 형성된다.
상부 관 부재의 직경이 하부 관 부재의 직경보다 더 작은 경우는, 앞서 설명한 도 17 내지 도 21의 구성을 위아래로 뒤집어서 적용하면 된다. 도 22는 상부 관 부재의 직경이 하부 관 부재의 직경보다 더 작으며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가 하부 관 부재(12)에 미리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 관 부재(11)가 차후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 19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23은 상부 관 부재의 직경이 하부 관 부재의 직경보다 더 작으며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가 상부 관 부재(11)에 미리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부 관 부재(12)가 차후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 2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한편, 상부 관 부재(11)와 하부 관 부재(12)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경우, 관 접속부재는 후술하는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것처럼 H형상을 가질 수 있다. H형상을 가지는 관 접속부재에 대해서는 편의상 부재번호 40을 표시하고 "H형 관 접속부재(40)"라고 명명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선 G-G에 따른 개략적인 조립 반단면 사시도이며, 도 26은 도 25의 원 J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H형 관 접속부재(40)는, 서로 관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여 연직하게 평행 배치되는 2개의 연직판(41, 42)과, 상기 2개의 연직판(41, 42)을 연결하고 그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있되, 상기 연결부는 연직판의 단부가 아니라 연직판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중간연결부(43)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지며, 상부 및 하부 관 부재(11, 12)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서로 마주하여 연직하게 배치되는 2개의 연직판(41, 42)을 편의상 각각 "내측 연직판(41)"과 "외측 연직판(42)"이라고 명명한다.
상기 H형 관 접속부재(40) 역시 상부 관 부재(11)와 하부 관 부재(12)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은 상기 H형 관 접속부재(40)의 위쪽으로부터 내측 연직판(41)과 외측 연직판(42) 사이의 간격에 끼워지게 되어, 내측 연직판(41)과 외측 연직판(42)에서 서로 마주하고 있던 측면은 각각 상부 관 부재(11) 하단의 외면에 밀착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 관 부재(12)의 상단은 상기 H형 관 접속부재(40)의 아래쪽으로부터 내측 연직판(41)과 외측 연직판(42) 사이의 간격에 끼워지게 되어, 내측 연직판(41)과 외측 연직판(42)에서 서로 마주하고 있던 측면은 각각 하부 관 부재(12) 하단의 외면에 밀착하게 된다.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조에서는, H형 관 접속부재(40)가 미리 하부 관 부재(12)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 관 부재(11)가 H형 관 접속부재(40)에 조립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하부 관 부재(12)의 상단을 내측 연직판(41)과 외측 연직판(42) 사이의 간격에 끼우고 용접에 의해 H형 관 접속부재(40)를 하부 관 부재(12)에 일체로 결합시켜둔 상태에서, 상부 관 부재(11)가 접근하여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이 내측 연직판(41)과 외측 연직판(42) 사이의 간격에 끼워지게 된다. 이 때, 수밀성 향상을 위해서,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이 끼워지는 쪽으로 내측 연직판(41)과 외측 연직판(42) 사이의 간격에는 수밀링(28)을 배치하여,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이 내측 연직판(41)과 외측 연직판(42) 사이의 간격에 끼워졌을 때, 수밀링(28)이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에 의해 가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수밀링(28)이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에 의해 가압되면서 눌려서 관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팽창하게 되는데, 수밀링(28)의 팽창에 따른 수밀 효과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이 내측 연직판(41)과 외측 연직판(42) 사이의 간격에 끼워진 후에는 볼트 부재 등의 체결수단(70)을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밀착하고 있는 상부 관 부재(11)와 일측 연직판에 체결함으로써, 상부 관 부재(11)가 H형 관 접속부재(40)와 분리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체결수단(70)의 단부가 해당 부재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H형 관 접속부재(40)를 하부 관 부재(12)에 일체 결합하는 용접부(27)는 H형 관 접속부재(40)의 원주를 따라 선(線)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수단(70)을 이용한 결합의 장점 및 선 형태의 용접부(27)에 의한 장점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도 생략한다.
도 24 내지 도 26 및 이와 관련된 위의 설명에서는 H형 관 접속부재(40)가 미리 하부 관 부재(12)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 관 부재(11)가 H형 관 접속부재(40)에 조립 결합되는 것이었지만, 이와 반대로 H형 관 접속부재(40)가 미리 상부 관 부재(11)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부 관 부재(12)가 H형 관 접속부재(40)에 조립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7에는 이와 같이 H형 관 접속부재(40)가 미리 상부 관 부재(11)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부 관 부재(12)가 H형 관 접속부재(40)에 조립 결합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26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관 부재(11)의 하단이 내측 연직판(41)과 외측 연직판(42)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고 용접에 의해 H형 관 접속부재(40)를 상부 관 부재(11)에 미리 일체로 결합시켜둔 상태에서, 하부 관 부재(12)를 향하여 접근하여 하부 관 부재(12)의 상단이 내측 연직판(41)과 외측 연직판(42) 사이의 간격에 끼워진다. 이 경우 수밀링(28)은 하부 관 부재(12)의 상단이 끼워지는 쪽에서 내측 연직판(41)과 외측 연직판(42) 사이의 간격에는 배치된다. 그리고 체결수단(70)에 의한 분해가능한 결합은 하부 관 부재(12)의 상단과 내측 연직판(41) 및 외측 연직판(42) 사이에 형성된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부 관 부재(11)와 하부 관 부재(12)의 두께가 동일하므로, 내측 연직판(41)과 외측 연직판(42)이 모두 평평한 면을 가지는 판부재로 이루어져 있는데, 만일 상부 관 부재(11)와 하부 관 부재(12)의 두께가 상이한 경우에는, 내측 연직판(41)과 외측 연직판(42)의 모두 또는 어느 하나는 굴곡된 면을 가지는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8 및 도 29에는 각각 하부 관 부재(12)의 상단 두께와 상부 관 부재(11)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여 일측의 연직판이 굴곡된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에 대한 도 26 및 도 27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8은 H형 관 접속부재(40)가 미리 하부 관 부재(12)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 관 부재(11)가 H형 관 접속부재(40)에 조립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29는 H형 관 접속부재(40)가 미리 상부 관 부재(11)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부 관 부재(12)가 H형 관 접속부재(40)에 조립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관 접속부재(20, 30, 40)를 이용한 관 부재 연결구조가 본 발명에 따른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에서 강관(1)과 덮개(2)간의 결합에 적용되는 경우, 덮개(2)는 상부 관 부재(11)에 해당하게 되며 강관(1)은 하부 관 부재(12)에 해당하게 된다. 또한 강관(1)과 연결강관부재(3) 간의 결합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연결강관부재(3)가 상부 관 부재(11)에 해당하게 되고 강관(1)은 하부 관 부재(12)에 해당하게 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관 접속부재(20, 30, 40)를 이용한 관 부재 연결구조를 본 발명에 따른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에서 강관(1)과 덮개(2)의 연결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앞서 설명한 수밀링(28)을 대신하여 또는 수밀링(28)과 병행하여 밀착판(29)을 이용하여 수밀효과를 발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0 및 도 31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에서 강관(1)과 덮개(2)의 연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구성으로서, 밀착판(29)을 이용한 상,하부 관 부재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1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0은 내부에 아직 음압 상태가 만들어지지 않았을 때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1은 내부에 음압 상태가 만들어져서 수밀상태를 이루었을 때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상,하부 관 부재 연결구조에 비하여,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상,하부 관 부재 연결구조에서는 상부 관 부재(11)의 내면과 제2연직판(22)의 외면 사이에 밀착판(29)이 더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밀착판(29)은, 예를 들어 고무판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판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바람직하기로는 탄성과 함께 상당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고무판의 내부에 철선이 매립되어 있는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착판(29)은 그 상부가 상부 판 부재(11)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그 하부는 상부 관 부재(11)의 내면과 제2연직판(22)의 외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도 30 및 도 31에서 U자형상의 관 접속부재(20)의 기타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앞서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강관(1)이 석션압에 의해 해저 지반에 관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강관(1)과 덮개(2)가 수밀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연결호스(21)를 통해서 강관(1)의 중공을 음압(陰壓) 상태로 만들게 된다. 따라서 도 30에 도시된 것처럼 밀착판(29)이 구비된 상,하부 관 부재 연결구조가 강관(1)과 덮개(2) 사이에 적용되는 경우, 강관(1)의 중공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면, 도 31에 도시된 것처럼, 밀착판(29)이 제2연직판(22)의 외면 방향으로 당겨져서 제2연직판(22)의 외면에 매우 강하게 밀착하게 되고, 그에 따라 밀착판(29)과 제2연직판(22) 사이에는 매우 안정적인 수밀한 상태가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수밀링(28)이 생략되어도 상부 관 부재와 하부 관 부재 사이 즉, 본 발명의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에서는 강관(1)과 덮개(2) 사이가 수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수밀링(28)을 사용하고 있을 때, 위와 같은 밀착판(29)을 추가적으로 더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수밀상태의 형성이 더욱 완벽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위와 같은 밀착판(29)은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 및 H형 관 접속부재(40)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에는 각각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에 밀착판(29)을 구비하여 본 발명의 수중 가물막이 시공방법 및 수중 가물막이 구조물의 강관(1)과 덮개(2)의 연결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상,하부 관 부재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19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2는 내부에 아직 음압 상태가 만들어지지 않았을 때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3은 내부에 음압 상태가 만들어져서 수밀상태를 이루었을 때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상,하부 관 부재 연결구조에서는 도 19에 도시된 상,하부 관 부재 연결구조에 비하여,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의 상부 관 부재(11)의 내면과 제2연직판(22)의 외면 사이에 밀착판(29)이 더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도 34 및 도 35에는 각각 H형 관 접속부재(40)에 밀착판(29)을 구비하여 본 발명의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에서 강관(1)과 덮개(2)의 연결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상,하부 관 부재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26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4는 내부에 아직 음압 상태가 만들어지지 않았을 때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5는 내부에 음압 상태가 만들어져서 수밀상태를 이루었을 때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상,하부 관 부재 연결구조에서는 도 26에 도시된 상,하부 관 부재 연결구조에 비하여, H형 관 접속부재(40)의 상부 관 부재(11)의 내면과 제2연직판(22)의 외면 사이에 밀착판(29)이 더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도 32 내지 도 35에 도시된 경우에도 앞서 도 31에서 살펴본 것처럼, 강관(1)과 덮개(2) 사이에 적용되어 강관(1)의 중공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면, 도 33 및 도 35에 도시된 것처럼, 밀착판(29)이 제2연직판(22)의 외면 방향으로 당겨져서 제2연직판(22)의 외면에 매우 강하게 밀착하게 되고, 그에 따라 밀착판(29)과 제2연직판(22) 사이에는 매우 안정적인 수밀한 상태가 만들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가물막이로 이용되었을 때 수중 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되거나, 또는 수상작업대로 이용되었을 때 그 용도가 종료된 후, 강관(1)을 해저 지반(100)으로부터 인발할 때에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강관(1)과 연결강관부재(3)와 덮개(2)를 일체화한 상태에서, 3개의 부재(강관, 연결강관부재 및 덮개)를 함께 인발하게 된다. 연결강관부재가 사용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강관(1)과 덮개(2)를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함께 인발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하부 관 부재 연결구조에서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70)을 관 부재와 관 접속부재의 연직판에 관통시켜 체결함으로써, 관 부재와 관 접속부재를 서로 분리가능한 상태로 일체 결합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체결수단(70)을 이용한 분리 가능한 상태의 일체 결합은 상기한 연결강관부재(3)와 덮개(2) 간의 일체화, 그리고 강관(1)과 덮개(2) 간의 일체화(연결강관부재가 없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에서, 인발을 위하여 강관(1)과 연결강관부재(3)와 덮개(2)를 일체화시키거나 또는 강관(1)과 덮개(2)를 일체화시킴에 있어서는, 위와 같은 체결수단(70)을 이용하지 않고 또는 체결수단(70)과 병행하여,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결속선(77)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6에는 결속선(77)에 의해 강관(1)과 연결강관부재(3)와 덮개(2)가 일체화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6에 도시된 것처럼, 강관(1)과 연결강관부재(3)와 덮개(2)가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강관(1)의 외측에 설치된 걸림고리(78)에 결속선(77)의 일단을 결속하고, 덮개(2)의 지름 반대 방향 위치에서 강관(1)의 외측에 설치된 또다른 걸림고리(78)에 결속선(77)의 타단을 결속하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결속선(77)을 덮개(2) 윗면을 지름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하여, 강관(1)과 연결강관부재(3)와 덮개(2)를 일체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연결강관부재(3)와 덮개(2)에 대해서만 일체화가 필요하다면, 걸림고리(78)를 연결강관부재(3)의 외측에 설치하여, 덮개(2)를 지름에 따라 가로질러 배치된 결속선(77)의 양단을 걸림고리(78)에 각각 결속하면 된다. 이 때, 걸림고리(78)를 회전가능한 형태로 구성하게 되면, 결속선(77)의 단부가 걸림고리(78)에 걸린 상태에서 걸림고리(78)를 회전시킴으로써 결속선(77)에 강한 인장력을 부여하여 강관(1)과 연결강관부재(3)와 덮개(2)를 더욱 견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걸림고리(78)를 이용한 일체화 구성은 강관(1)과 덮개(2)를 일체화시킬 때, 즉 도 1의 경우 또는 강관(1)을 인발하되 연결강관부재(3)가 없을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관 접속부재(20, 30, 40)를 이용한 관 부재 연결구조를,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에서 강관(1)과 덮개(2)간의 결합 및 강관(1)과 연결강관부재(3)간의 결합, 그리고 연결강관부재(3)와 덮개(2)간의 결합에 적용하게 되면, 본 발명의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을 수행할 때 필요한 강관(1)과 덮개(2), 그리고 연결강관부재(3) 사이를 필요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밀하면서고 견고하게 결합하고 필요에 따라 쉽게 분리하는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유리한 효과가 발휘된다.
1: 강관
2: 덮개
3: 연결강관부재
20, 30, 40: 관 접속부재

Claims (11)

  1. 강관(1)의 상부에 덮개(2)를 결합하여 강관(1)의 상부는 덮개(2)에 의해 폐쇄되고 강관(1)의 하단은 개방된 형태의 조립체(200)를 수중에 투입하여 해저 지반면에 설치하는 단계;
    강관(1) 내부를 배수시켜 강관(1) 내에 음압(陰壓)을 형성하여, 외부의 수압에 의해 강관(1)의 하단이 해저 지반(100)으로 관입되게 하는 단계;
    덮개(2)를 제거하는 단계; 및
    수중 가시설물로서의 강관(1)의 사용이 종료된 후에는,
    강관(1)에 덮개(2)를 다시 재조립하고, 강관(1)과 덮개(2)가 재조립되어 만들어진 조립체(200)의 내부 공간에 공기 또는 유체를 다시 주입하여 조립체(200)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켜서 강관(1)을 해저 지반으로부터 인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가시설물의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중 가시설물에 해당하는 강관(1)을 수중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가물막이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2)를 제거하는 단계에 후속하여,
    강관(1)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던 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강관(1)의 내부공간을 육상화시킨 후에 수중 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조립체(200)의 내부 압력 증가를 통해 강관(1)을 인발하는 단계는 수중 구조물의 시공 단계가 완료된 후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가시설물의 시공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강관(1) 하단의 해저 지반 관입 및 덮개 제거 후의 상태에서 강관(1)의 상단이 수중에 존재하는 경우, 강관(1)의 상단에 연결강관부재(3)를 결합하여 연결강관부재(3)의 상단이 수면 위에 위치하게 만들고;
    조립체(200)의 내부 압력 증가에 의한 강관(1)의 인발 단계에서는, 덮개(2)를 연결강관부재(3)의 상단에 다시 결합한 상태에서, 강관(1)과 연결강관부재(3)와 덮개(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체(200)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증가시켜 강관(1)을 인발하게 하는 힘이 작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가시설물의 시공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강관(1)의 상부와 덮개(2)를 결합할 때에,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연직판(21, 22), 및 상기 2개의 연직판(21, 2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24)를 가지는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관 접속부재(20)를, 강관(1)과 덮개(2)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되;
    관 접속부재(20)가 강관(1)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2개의 연직판(21, 22)과 제1연결부(24)로 이루어진 공간에 수밀링(28)이 배치되고 덮개(2)의 하단이 상기 2개의 연직판(21, 22)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서 수밀링(28)을 가압하며 덮개(2)와 일측 연직판이 분해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가시설물의 시공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강관(1)의 상부와 덮개(2)를 결합할 때에,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연직판(21, 22), 및 상기 2개의 연직판(21, 2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24)를 가지는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관 접속부재(20)가 강관(1)과 덮개(2)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되;
    관 접속부재(20)가 덮개(2)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2개의 연직판(21, 22)과 제1연결부(24)로 이루어진 공간에 수밀링(28)이 배치되고 강관(1)의 상단이 상기 2개의 연직판(21, 22)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서 수밀링(28)을 가압하며 강관(1)과 일측 연직판이 분해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가시설물의 시공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강관(1)의 상부와 덮개(2)를 결합할 때에,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및 제3연직판(21, 22, 23), 서로 이웃한 제1연직판(21)과 제2연직판(2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24), 및 서로 이웃한 제2연직판(22)과 제3연직판(23)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25)로 가지고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크랭크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를, 강관(1)과 덮개(2)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되;
    제2연직판(22)과 제3연직판(23) 사이에 강관(1)의 상단이 삽입되어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와 강관(1)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연직판(21)과 제2연직판(22)과 제1연결부(24)로 이루어진 공간에 수밀링(28)이 배치되고 덮개(2)의 하단이 제1연직판(21)과 제2연직판(22)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서 수밀링(28)을 가압하며 덮개(2)와 일측 연직판이 분해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가시설물의 시공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강관(1)의 상부와 덮개(2)를 결합할 때에,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및 제3연직판(21, 22, 23), 서로 이웃한 제1연직판(21)과 제2연직판(2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24), 및 서로 이웃한 제2연직판(22)과 제3연직판(23)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25)로 가지고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크랭크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를, 강관(1)과 덮개(2)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되;
    제1연직판(21)과 제2연직판(22) 사이에 덮개(2)의 하단이 삽입되어 크랭크형 관 접속부재(30)와 덮개(2)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연직판(22)과 제3연직판(23)과 제2연결부(25)로 이루어진 공간에 수밀링(28)이 배치되고 강관(1)의 상단이 제2연직판(22)과 제3연직판(23)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서 수밀링(28)을 가압하며 강관(1)과 일측 연직판이 분해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가시설물의 시공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강관(1)의 상부와 덮개(2)를 결합할 때에,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연직판(41, 42)과, 상기 2개의 연직판의 중간 부분에서 간격을 유지하도록 2개의 연직판을 연결하는 중간연결부(43)를 가지고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H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H형 관 접속부재(40)를, 강관(1)과 덮개(2)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되;
    2개의 연직판(41, 42) 사이에 강관(1)의 상단이 삽입되어 H형 관 접속부재(40)와 강관(1)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2개의 연직판(41, 42)과 중간연결부(43)로 이루어진 공간에 수밀링(28)이 배치되고 덮개(2)의 하단이 2개의 연직판(41, 42)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서 수밀링(28)을 가압하며 덮개(2)와 일측 연직판이 분해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가시설물의 시공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강관(1)의 상부와 덮개(2)를 결합할 때에,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연직판(41, 42)과, 상기 2개의 연직판의 중간 부분에서 간격을 유지하도록 2개의 연직판을 연결하는 중간연결부(43)를 가지고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H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H형 관 접속부재(40)를, 강관(1)과 덮개(2)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되;
    2개의 연직판(41, 42) 사이에 덮개(2)의 하단이 삽입되어 H형 관 접속부재(40)와 덮개(2)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2개의 연직판(41, 42)과 중간연결부(43)로 이루어진 공간에 수밀링(28)이 배치되고 강관(1)의 상단이 2개의 연직판(41, 42)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서 수밀링(28)을 가압하며 강관(1)과 일측 연직판이 분해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가시설물의 시공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강관(1)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걸림고리(78)를 설치하고;
    강관(1)의 인발을 위하여 강관(1)의 상부에 덮개(2)를 재결합할 때에는, 결속선(77)을 일단을 걸림고리(78)에 결속하고, 덮개(2)의 지름 반대방향의 위치에서 상기 결속선(77)의 타단을 걸림고리(78)에 결속하도록 복수개의 결속선(77)을 각각 덮개(2) 윗면을 지름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하여, 덮개(2)와 강관(1)을 일체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가시설물의 시공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강관(1)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걸림고리(78)를 설치하고;
    강관(1)의 인발을 위하여, 강관(1)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강관부재(3)의 상부에 덮개(2)를 재결합할 때에는, 결속선(77)을 일단을 걸림고리(78)에 결속하고, 덮개(2)의 지름 반대방향의 위치에서 상기 결속선(77)의 타단을 걸림고리(78)에 결속하도록 복수개의 결속선(77)을 각각 덮개(2) 윗면을 지름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하여, 덮개(2)와 연결강관부재(3)와 강관(1)을 일체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가시설물의 시공방법.
KR1020140041417A 2014-04-07 2014-04-07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 KR101443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417A KR101443598B1 (ko) 2014-04-07 2014-04-07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417A KR101443598B1 (ko) 2014-04-07 2014-04-07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598B1 true KR101443598B1 (ko) 2014-09-23

Family

ID=5176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417A KR101443598B1 (ko) 2014-04-07 2014-04-07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59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851B1 (ko) * 2017-06-23 2017-12-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그 시공방법
KR101851611B1 (ko) * 2017-08-03 2018-04-25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
KR101895259B1 (ko) * 2017-12-01 2018-10-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상 구조물 시공용 원형강관 가설 구조물을 이용한 수상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950906B1 (ko) * 2018-12-04 2019-02-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석션 관입과 원형관 부재의 적층을 이용한 가물막이 설치해체 시공방법
KR101961319B1 (ko) * 2018-12-21 2019-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석션 지지구조체를 이용한 케이싱 회수방식의 기초말뚝 시공방법
KR20190049007A (ko) 2017-11-01 2019-05-09 대림산업 주식회사 수중 내에서의 결합이 가능한 원형관 모듈의 연직 접합시공방법, 연직 접합구조 및 이에 의한 원형관 모듈의 접합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4521A (ja) 2000-07-20 2004-02-12 スマーテック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鋼管杭の頭部とコンクリート基礎との結合のための結合具および結合構造
KR100456642B1 (ko) 2002-01-02 2004-11-10 대림산업 주식회사 우물통 기초의 차수 구조 및 방법
KR100617954B1 (ko) 2003-09-15 2006-08-29 배석동 수밀케이슨의 굴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수밀케이슨의침설방법
KR101268334B1 (ko) 2011-03-14 2013-05-28 김상구 수중축조물 공사용 물막이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4521A (ja) 2000-07-20 2004-02-12 スマーテック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鋼管杭の頭部とコンクリート基礎との結合のための結合具および結合構造
KR100456642B1 (ko) 2002-01-02 2004-11-10 대림산업 주식회사 우물통 기초의 차수 구조 및 방법
KR100617954B1 (ko) 2003-09-15 2006-08-29 배석동 수밀케이슨의 굴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수밀케이슨의침설방법
KR101268334B1 (ko) 2011-03-14 2013-05-28 김상구 수중축조물 공사용 물막이 구조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851B1 (ko) * 2017-06-23 2017-12-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그 시공방법
KR101851611B1 (ko) * 2017-08-03 2018-04-25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
KR20190049007A (ko) 2017-11-01 2019-05-09 대림산업 주식회사 수중 내에서의 결합이 가능한 원형관 모듈의 연직 접합시공방법, 연직 접합구조 및 이에 의한 원형관 모듈의 접합구조물
KR102004960B1 (ko) 2017-11-01 2019-07-30 대림산업 주식회사 수중 내에서의 결합이 가능한 원형관 모듈의 연직 접합시공방법, 연직 접합구조 및 이에 의한 원형관 모듈의 접합구조물
KR101895259B1 (ko) * 2017-12-01 2018-10-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상 구조물 시공용 원형강관 가설 구조물을 이용한 수상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950906B1 (ko) * 2018-12-04 2019-02-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석션 관입과 원형관 부재의 적층을 이용한 가물막이 설치해체 시공방법
US20200173132A1 (en) * 2018-12-04 2020-06-04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Steel pipe cofferdam construction method using suction penetraion and stacking of pipe members
US10858798B2 (en) 2018-12-04 2020-12-08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Steel pipe cofferdam construction method using suction penetration and stacking of pipe members
KR101961319B1 (ko) * 2018-12-21 2019-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석션 지지구조체를 이용한 케이싱 회수방식의 기초말뚝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598B1 (ko)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
US10858798B2 (en) Steel pipe cofferdam construction method using suction penetration and stacking of pipe members
KR200436633Y1 (ko) 조립식 맨홀장치
JP2004003292A (ja) 地中サクションアンカーアセンブリ
JP2020007728A (ja) 接合構造物、杭式構造物ならびに杭式構造物の撤去方法
KR101371030B1 (ko) 맨홀용 속 뚜껑
KR102004960B1 (ko) 수중 내에서의 결합이 가능한 원형관 모듈의 연직 접합시공방법, 연직 접합구조 및 이에 의한 원형관 모듈의 접합구조물
US20110318116A1 (en) Modular vertical shoring system with cylindrical interconnected sleeves
KR101785409B1 (ko) 터널용 측벽유공관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용 측벽유공관 시공방법
JP2007239244A (ja) 仮設構造体
KR20150101050A (ko) 부유체 및 이를 갖는 부유식 프레임
KR101495572B1 (ko) 다중석션파일 앵커
JP6599175B2 (ja) 仮設トイレ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管継手
JP5052276B2 (ja) 閉塞具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20100121206A (ko) 맨홀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KR200377139Y1 (ko) 이탈방지턱을 갖는 이중벽관 소켓 결합구조
CN203782685U (zh) 一种筒桩的施工专用成孔器
KR101736450B1 (ko) 관로 보수 결합구조
CN207998912U (zh) 一种用于城市污水井开孔的收缩挡水装置
KR101443597B1 (ko) 분할조립형 중량구조체를 구비한 해상구조물 설치용 중력식 수중지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0374084A (zh) 预制管桩端孔封堵装置及方法
JP2017218817A (ja) マンホール補修方法及びマンホール補修構造
JP5185223B2 (ja) 管路バイパス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用いる管路バイパス工法
JP2009072153A (ja) 水槽及び水槽の構築方法
KR101371498B1 (ko) 석션압을 이용한 파일 인발 장치 및 인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