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372B1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372B1
KR101443372B1 KR1020070101454A KR20070101454A KR101443372B1 KR 101443372 B1 KR101443372 B1 KR 101443372B1 KR 1020070101454 A KR1020070101454 A KR 1020070101454A KR 20070101454 A KR20070101454 A KR 20070101454A KR 101443372 B1 KR101443372 B1 KR 101443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lectrode layer
voltage
photo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4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36333A (en
Inventor
유동희
최홍석
김화경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1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372B1/en
Publication of KR2009003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3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3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기발광표시장치 패널에서 발생되는 광전류를 이용하고 광전류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유기발광표시장치 패널에 터치 스크린을 적용시키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using a photocurrent generated in an OLED panel and sensing a change in photocurrent to apply a touch screen to the OLED pan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되어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에 따른 에너지를 방출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극성을 반대로 조정하는 소정 영역을 포함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ode, a cathod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to emit energy according to recombination of holes and electrons, And a predetermined region which reversely adjusts the polarities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기판 부재; 상기 기판 부재위에 형성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위에 형성되고,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에 따른 에너지를 방출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되는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의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광전류를 형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omprising: a substrate member; A first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membe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emitting energy according to recombination of holes and electrons; A second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voltage control unit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wherein the voltage control unit adjusts a voltag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to form a photocurrent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

즉,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광전류의 변화를 이용, 이를 감지함으로써 터치 스크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at is, the effect of the touch screen can be obtained by sensing the change of the photocurrent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 광전류, 전압, 극성, 반대, 터치 스크린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hotocurrent, voltage, polarity, reverse, touch screen

Description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발생하는 광전류의 변화를 이용하여 외부의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that realizes a touch screen by sensing external contact using a change in photocurrent generated in an OLED display.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전류를 이용하여 유기발광표시장치에 패널에 터치 스크린을 구현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LED display using a photocurrent to implement a touch screen on a panel.

최근에 들어서 정보화 사회로의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주고 받을 수 있는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정보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CRT 디스플레이로부터 평판 디스플레이로 그 비중이 옮겨가고 있다. Recently, the trend toward the information society is accelerating, and accordingly, the information display is shifting from the conventional CRT display to the flat display as the need to exchange information anytime and anywhere increases.

이 중,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는 가볍고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어서 평판 디스플레이로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자발광 소자가 아니라 수발광 소자이기 때문에 밝기,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 시야각, 대면적화 등에 기술적 한계가 있어,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평판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평판 디스플레이 중의 하나가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로서, 상기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며 광시야각과 빠른 응답속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자발광형으로서 경량박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여러 나라에서 실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Among them,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light and clear image quality and is most widely used as a flat panel display. However, since it is a light emitting device instead of a self light emitting device, a brightness, a contrast ratio, , Viewing angles, and large-sized displays. Therefore, efforts to develop a new flat panel display capable of overcoming such drawback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ll over the world. One of such new flat panel displays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which can be driven at a low voltage and has a wide viewing angle and a fast response speed, Therefore, it is spurring on practical use in various countries recently.

일반적으로, OLED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시키는 표시장치로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N×M 개의 유기 발광셀들을 전압 구동 또는 전류 구동하여 영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조화되어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n OLED is a display device for electrically exciting a fluorescent organic compound to emit light, and is structured to display images by voltage driving or current driving N × M organic light emitting cells arranged in a matrix form.

1987년 Tang과 Van Slyke가 OLED를 발표한 이래로 OLED의 애노드 재료로는 투명하고 전도성이 좋으며 일함수가 4.7eV로 큰 인듐-틴 옥사이드(indume tin oxide : ITO)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ITO로 이루어진 애노드를 사용한 일반적인 OLED의 경우, 발광층으로부터 생성된 빛이 애노드 즉, ITO를 통해서 발광하는 배면 발광(bottom-emitting)형 OLED가 된다.Since Tang and Van Slyke introduced OLED in 1987, indium tin oxide (ITO), which is transparent, conductive and has a work function of 4.7 eV, is generally used as an anode material for OLEDs. In the case of a general OLED using the anode made of ITO,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is a bottom-emitting OLED that emits light through the anode, that is, ITO.

그러나, 액티브 매트릭스 OLED의 경우 1개의 OLED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트랜지스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OLED 발광층에서 생성된 빛이 발광하는 능력, 즉 개구율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ctive matrix OLED, since two or more transistors are required to drive one OL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bility of light generated in the OLED light emitting layer, that is, the aperture ratio is reduced.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캐소드, 애노드 모두를 투명 전도성 산화물인 ITO로 사용하는 투명 OLED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그 후 배면 전극으로 Ag, Al 등 반사율이 90% 이상으로 큰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TOLED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한편 TOLED 중 배면 전극으로서 캐소드를 사용하는 인버티드 전면 발광 OLED는 전기적 특성, 특히 전하 이동도가 우수한 n-채널 트랜지스터를 AMOLED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매력적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on a transparent OLED using both a cathode and an anode as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ITO) has been started. After that, by using a material having a reflectance of 90% or more such as Ag or Al as a back electrode, Research was carried out. On the other hand, an inverted top emission OLED using a cathode as a back electrode among TOLEDs is very attractive in that an n-channel transistor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a charge mobility, can be applied to an AMOLED.

하지만, 유기발광표시소자의 구동 방식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이 서브 윈도우(Sub Window)나 메인 윈도우(Main Window)에 들어갔을 때 어떻게 회로를 구동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인해 표시소자에 터치 스크린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driving method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related to how to drive the circuit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enters a sub window or a main window,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screen.

최근에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면 창에 키 패드를 설계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지만, 정교한 터치 스크린에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In recent years, a method of designing a keypad on a front window using a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s been studied,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applying it to a sophisticated touch scree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유기발광표시장치 패널에 터치 스크린을 적용시킨 새로운 구조를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new structure in which a touch screen is applied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장치 패널의 일부에 양극과 음극의 전압을 반대로 조정함으로써 외부 광에 의해 생성되는 광전류를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외부 접촉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유기발광표시장치 패널에서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by reversing a voltage of an anode and a cathode to a par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to detect a photocurrent generated by external light, A touch screen can be implemented in the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발생하는 광전류의 변화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을 구현함으로써, 종래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의 터치 스크린 제작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difficulty of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in a conventional OLED display by implementing a touch screen using a change in photocurrent generated in the OLED display.

또한, 광전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뿐만 아니라 다른 용도의 센서로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sensor for other purposes as well as a touch screen using photocurrent.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전류를 이용하여 유기발광표시장치에 패널에 터치 스크린을 구현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 which a touch screen is implemented on a panel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a photocurr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되어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에 따른 에너지를 방출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극성을 반대로 조정하는 소정 영역을 포함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ode, a cathod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to emit energy according to recombination of holes and electrons, And a predetermined region which reversely adjusts the polarities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극성을 조정하며, 구체적으로는 양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음극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작게 조절하여 상기 양극 및 음극의 극성을 반대로 조정한다.Preferably, the polarity of the anode and the cathode is adjusted by controlling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anode. Specifically, the voltage applied to the anode is adjusted to be smaller than the voltage applied to the cathode, The polarity of the signal is rever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극 및 음극의 극성을 반대로 조정하여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정공-전자쌍을 분해됨으로써 광전류를 형성한다.Preferably, the polarities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reversely adjusted to decompose the hole-electron pai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reby forming a photocurr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기판 부재; 상기 기판 부재위에 형성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위에 형성되고,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에 따른 에너지를 방출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되는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의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광전류를 형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omprising: a substrate member; A first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membe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emitting energy according to recombination of holes and electrons; A second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voltage control unit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wherein the voltage control unit adjusts a voltag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to form a photocurrent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형성되는 광전류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전압 인가부 및 상기 제2 전극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2 전압 인가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for sensing an amount of photocurrent generat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wherein the voltag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voltage applying unit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voltage applying unit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voltage application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소정 영역에서의 광전류가 감소하면 상기 소정 영역에 접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해 접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정 영역이 포함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특정 메뉴가 실행된다.Preferably, the sensor unit determines that a contact has occurred in the predetermined area when a photocurrent in a predetermined area is reduc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or unit has generated the contact, the specific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ncluding the adjustment area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도1은 일반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후술하는 도2a 내지 도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계층 구조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유기 발광층이 5개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s various hierarchical structures as shown in FIGS. 2A to 2E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ase whe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ludes five layers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하나의 셀은 애노드 전극 층(ITO, 11) , 유기 발광층(18) 및 캐소드 전극층(12)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one cell that constitute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es an anode electrode layer (ITO) 11,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 and a cathode electrode layer 12.

유기 발광층(18)은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좋게 하여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발광층(emitting layer, EML, 15),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 ETL, 16) 및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 HTL, 14)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또한 별도로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 EIL, 17) 및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 HIL, 13)을 포함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 includes a light emitting layer (EML) 15,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16, and a hole transport layer (HTL) 16 in order to enhance the balance between electrons and holes,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17 and a hole injection layer (HIL) 13 are separately formed.

이러한 유기발광셀들이 N×M개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유기발광표시장치 패널을 형성한다. 여기서, 애노드 전극(11) 및 캐소드 전극(12)을 모두 투명 전극으로 사용하면 양면 표시가 가능하다.These organic light emitting cells are arranged in the form of N × M matrices to form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Here, if both the anode electrode 11 and the cathode electrode 12 are used as transparent electrodes, double-sided display is possible.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노드 전극(11)으로부터 정공이, 캐소드 전극(12) 으로부터 전자가 발광층(15)으로 주입되고, 주입된 전자와 정공은 발광층(15)에서 재결합(recombination)한다. 재결합 에너지에 의해서 안정한 기저 상태(groud state)로부터 에너지가 높은 불안정한 여기 상태(excited state)로 에너지 레벨을 높이며, 이것이 원래의 기저 상태로 돌아갈 때 에너지를 방출하는데 이때 빛이 발생한다.1, holes are injected from the anode electrode 11, electrons are injected from the cathode electrode 12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15, and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recombine in the light emitting layer 15. The recombination energy raises the energy level from a stable ground state to an unstable excited state with high energy, which emits energy when it returns to its original ground state.

따라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와 같이 별도의 백라이트를 구비하지 않고 자체 발광할 수 있다.Therefo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emit light without a separate backlight lik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도2a 내지 도2b는 일반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다양한 계층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2A and 2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various hierarchical structures of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표시장치에 포함된 유기 발광층은 다양할 수 있는데, 도2a 내지 도2e에는 1층 구조(도2a), 2층 구조(도2b), 3층 구조(도2c), 4층 구조(도2d) 및 5층 구조(도2e)가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2A to 2E, a two-layer structure (FIG. 2B), a three-layer structure (FIG. 2C), and a three-layer structure A four-layer structure (Fig. 2D) and a five-layer structure (Fig. 2E) are shown sequentially.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애노드 전극층(21), 캐소드 전극층(22) 및 발광층(25)을 포함하며, 정공 주입층(23), 정공 전송층(24), 전자 전송층(26) 및 전자 주입층(27)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전원 장치(29)는 애노드 전극층(21)의 전압이 캐소드 전극층(22)의 전압보다 높도록 전압을 인가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es an anode electrode layer 21, a cathode electrode layer 22 and a light emitting layer 25.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23, a hole transport layer 24, an electron transport layer 26, 27). The power supply unit 29 applies a voltage such that the voltage of the anode electrode layer 21 is higher than the voltage of the cathode electrode layer 22.

일반적으로, 단층형(고분자계 재료)이 제작하기에 간단하고 용이하지만, 다층형(저분자계 재료)이 적정한 재료를 선택하기 쉽고 미세 개선을 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In general, a monolayer type (high molecular weight material) is simple and easy to manufacture, but it is easy to select a material having a multi-layer type (low molecular weight material) and is easy to make fine improvements.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기 발광층에서 광전류가 발 생하는 원리 및 발생하는 광전류의 변화를 이용하여 이를 터치 스크린에 적용시키는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FIGS. 3A and 3B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principle of applying a photocurrent to a touch screen using a change in a generated photocurrent and a principle of generating a photocurrent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발광층(35)에서 광전류를 형성하고 이를 감지하여 터치 스크린으로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장치(39)의 전압을 일반적인 표시장치와 반대로 조정하면, 발광층(35)에서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따른 발광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hotocurrent in the light emitting layer 35 and detects the photocurrent and applies it to the touch screen. Therefore, as shown in FIG. 3, when the voltage of the power source device 39 is adjusted to be opposite to that of a general display device, the light emitting layer 35 does not show a luminescence phenomenon due to recombination of electrons and holes.

즉, 애노드 전극층(31)의 전압이 캐소드 전극층(32)의 전압보다 그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발광층(35)으로 전자 및 정공이 주입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같이 발광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That is, when the voltage of the anode electrode layer 31 is smaller than the voltage of the cathode electrode layer 32, electrons and holes are not injected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35, so that the light emission phenomenon does not occur as in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장치(39)를 이용하여 애노드 전극층(31)과 캐소드 전극층(32)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하면, 일반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같이 발광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대신, 발광층(35)에 존재하는 정공-전자쌍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자 및 정공으로 분해되는 작용(generation)이 더욱 활발하게 발생한다.3A, 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layer 31 and the cathode electrode layer 32 is adjusted by using the power supply unit 39, the light emission phenomenon does not occur as in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stead, the hole-electron pair existing in the light-emitting layer 35 absorbs the light energy incident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electrons and holes more actively.

따라서, 외부 광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전자 및 정공으로 분해되고, 여기서 발생된 전자에 의해 광전류가 형성된다.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의 양은 일정하기 때문에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아무런 외부 간섭이 없다면, 상기 광전류는 일정한 값을 갖게 된다.Therefore, by absorbing the external light energy, it is decomposed into electrons and holes, and the photocurrent is formed by the generated electrons. Since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is constant, if there is no external interference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the photocurrent has a constant value.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양극 및 음극의 극성을 반대로 조정하 는 소정 영역이 포함된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는, 표시장치의 화면에 외부로부터 접촉이 발생하면 접촉이 발생된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이 순간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광전류도 순간적으로 감소한다.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predetermined region that reversely adjusts the polarities of the anode and the cathode, when an external contact occurs on a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Since the light is instantaneously decreased, the photocurrent accordingly decreases instantaneously.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상기와 같이 발광층(35)에서 발생하는 광전류의 양이 감소하는지를 감지하여 해당 접촉 영역이 포함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특정한 메뉴를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whether the amount of photocurrent generated in the light emitting layer 35 is reduced and executes a specific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ncluding the contact region, A touch screen can be implemented.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발광층(35)에서 발생하는 광전류의 양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3B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photocurrent generated in the light emitting layer 35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층(35)에서 발생하는 광전류가 일정한 값을 갖다가 감소되는 순간(점선 영역)이 발생한다. 이는 유기발광표시장치 패널 내부로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는 동작, 즉 스크린에의 접촉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낸다.As shown in FIG. 3B, a moment (dotted line) occurs when the photocurrent generated in the light emitting layer 35 has a constant value and then decreases. This indicates that the operation of intercepting the light incident into the pane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that is, the contact with the screen has occurred.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기판 부재(44); 상기 기판 부재(44) 위에 형성되는 제1 전극층(41); 상기 제1 전극층(41) 위에 형성되고,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에 따른 에너지를 방출하는 유기 발광층(43);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되는 제2 전극층(42); 및 상기 제1 전극층(41) 및 상기 제2 전극층(42)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제어부(60)를 포함한다.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member 44; A first electrode layer (41) formed on the substrate member (44);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43)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41) and emitting energy according to recombination of holes and electrons; A second electrode layer (42)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voltage controller 60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4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42.

또한, 상기 유기 발광층(43)에서 발생하는 광전류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부(50)를 포함한다. And a sensor unit 50 for sensing the amount of photocurrent generat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43.

또한, 상기 전압 제어부(60)는 상기 제1 전극층(41)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전압 인가부(61) 및 상기 제2 전극층(42)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2 전압 인가부(62)를 포함한다. The voltage control unit 60 includes a first voltage application unit 61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41 and a second voltage application unit 62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42. [ .

따라서, 상기 제1 전압 인가부(61)는 상기 제2 전압부(62)가 상기 제2 전극층(42)에 인가하는 전압보다 더 작은 전압을 제1 전극층(41)에 인가함으로써, 유기 발광층(43)에 광전류를 형성하게 하고, 상기 센서부(50)는 유기 발광층(43)에서 발생하는 광전류의 양을 감지하여, 소정 영역에서 광전류가 감소하면 해당 소정 영역에 접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 결과, 상기 소정 영역이 포함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특정 메뉴가 실행된다.Accordingly, the first voltage application unit 61 applies a voltage lower than a voltage applied by the second voltage unit 62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42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41, 43, and the sensor unit 50 senses the amount of photocurrent generat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43, and determines that contact occurs in the predetermined region when the photocurrent decreases in a predetermined region. As a result, the specific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ncluding the predetermined area is executed.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인가 방식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5A and 5B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voltage apply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각 픽셀의 전극층(41, 42)에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도5a 및 도5b는 그러한 방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간략화하게 도식화하였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 method of applying a voltage to the electrode layers 41 and 42 of each pixel may be varied, and FIGS. 5A and 5B are schematically illustrated to include all such schemes.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소드 전극층(42)이 일체화되어 형성되고, 애노드 전극층(41)은 각 픽셀마다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전압 인가부(62)에 의해서 캐소드 전극층(42)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일정하기 때문에, 제1 전압 인가부(61)에 의해서 각각의 애노드 전극층(41)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두 전극층(41,42)의 극성을 조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the cathode electrode layer 42 may be formed integrally, and the anode electrode layer 41 may be formed for each pixel. In this case, since the voltage applied to the cathode electrode layer 42 by the second voltage applying unit 62 is constant, the first voltage applying unit 61 adjusts the size of each anode electrode layer 41 The polarity of the two electrode layers 41 and 42 can be adjusted.

예컨대, 제2 전극층(42)에 접지 전압을 인가하고, 제1 전극층(41)에 (+) 또 는 (-)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전압 구동 방식을 단순화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oltage driving method can be simplified by applying a ground voltage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42 and applying a (+) or (-)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41.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소드 전극층(42)과 애노드 전극층(41)이 각각 픽셀마다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는, 각 전극층마다 별도로 전압의 제어가 가능하다.As shown in FIG. 5B, the cathode electrode layer 42 and the anode electrode layer 41 may be formed for each pixel. In this case, the voltage can be separately controlled for each electrode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성이 반대로 조정되는 계층 구조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발광 픽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또는 면적 유형(areal type)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The hierarchical structure in which the polarities are reversely adjus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erted in a spa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pixel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real type.

또는 유기발광표시장치 전체의 화소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발광 픽셀의 일부를 상기 계층 구조로 사용할 수도 있다.Or a part of the light emitting pixels may be used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rop the pixels of the entir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이 적용되어 실행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uch screen is applied and execu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외부의 접촉이 발생하면, 접촉 발생 지역을 포함한 소정 영역의 광전류가 감소하고, 이를 감지한 센서부는 접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소정 영역이 포함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특정 메뉴가 실행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6, when external contact occurs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hotocurrent in a predetermined region including a contact generation region decreases, And the specific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ncluding the predetermined area is executed.

도6에서는 예시적으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를 9 분할하여 각 분할 영역마다 메뉴 아이콘이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며, 외부의 접촉이 발생되면 그 영역을 포함하는 메뉴 부분(도6에서는 '5.멀티미디어')이 활성화되어 실행된다.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divided into nine areas, and a menu icon is positioned for each of the divided areas. When an external contact occurs, a menu part including the area ') Is activated and executed.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일반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2a 내지 도2b는 일반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다양한 계층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FIGS. 2A and 2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various hierarchical structures of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기 발광층에서 광전류가 발생하고 이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구현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개략도.FIGS. 3A and 3B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principle of generating a photocurrent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implementing a touch screen using the photocurr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인가 방식을 도시하는 개략도.Figures 5A and 5B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voltage application scheme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이 실행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FIG.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manner in which a touch screen is executed,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Claims (11)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되어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에 따른 에너지를 방출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omprising an anode, a cathod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to emit energy according to recombination of holes and electrons,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극성을 반대로 조정하는 소정 영역; 및A predetermined region for reversely adjusting the polarities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상기 소정 영역의 유기 발광층에서 발생하는 광전류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And a sensor unit for sensing an amount of photocurrent generat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f the predetermined reg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양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극성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Wherein the polarity of the anode and the cathode is adjusted by adjus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anode.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양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상기 음극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작게 조절하여 상기 양극 및 음극의 극성을 반대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Wherein a voltage applied to the anode is adjusted to be smaller than a voltage applied to the anode to reverse the polarities of the anode and the cathod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광전류는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극성을 반대로 조정하여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정공-전자쌍을 분해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Wherein the photocurrent is formed by decomposing a hole-electron pai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by reversely adjusting the polarities of the anode and the cathode. 기판 부재;A substrate member; 상기 기판 부재 위에 형성되는 제1 전극층;A first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member; 상기 제1 전극층 위에 형성되고,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에 따른 에너지를 방출하는 유기 발광층;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emitting energy according to recombination of holes and electrons;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되는 제2 전극층; 및 A second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제어부를 포함하고,And a voltage controller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상기 전압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의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광전류를 형성하도록 하고,Wherein the voltage control unit adjusts the voltages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to form a photocurrent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형성되는 광전류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And a sensor unit for sensing an amount of photocurrent form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전압 인가부 및 상기 제2 전극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2 전압 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Wherein the voltag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voltage application unit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voltage application unit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제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제1 전압 인가부에 의해 상기 제1 전극층에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제2 전압 인가부에 의해 상기 제2 전극층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작게 조정함으로써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광전류를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by the first voltage applying unit is adjusted to be smaller than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by the second voltage applying unit to form a photocurrent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센서부는 소정 영역에서의 광전류가 감소하면 상기 소정 영역에 접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Wherein the sensor unit determines that a contact has occurred in the predetermined region when a photocurrent in a predetermined region is reduced.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센서부에 의해서 상기 소정 영역에 접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정 영역이 포함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특정 메뉴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Wherein the specific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ncluding the predetermined area is execu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area is contacted by the sensor unit.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2 전극층에 접지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And applying a ground voltage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KR1020070101454A 2007-10-09 2007-10-09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KR1014433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454A KR101443372B1 (en) 2007-10-09 2007-10-09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454A KR101443372B1 (en) 2007-10-09 2007-10-09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333A KR20090036333A (en) 2009-04-14
KR101443372B1 true KR101443372B1 (en) 2014-09-24

Family

ID=4076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454A KR101443372B1 (en) 2007-10-09 2007-10-09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3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799B1 (en) 2009-08-18 2011-10-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Touch screen display apparatu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2238A (en) 1998-06-29 2000-01-14 Futaba Corp Organic el element, mask for manufacturing the element and manufacture of the element
JP2001135478A (en) 1999-11-08 2001-05-18 Canon Inc Driving method of light-emitting element and driving method of light-emitting device
KR100743545B1 (en) 2006-06-30 2007-07-27 이영종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ouch sensing function to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JP2007257619A (en) 2006-02-24 2007-10-04 Canon In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2238A (en) 1998-06-29 2000-01-14 Futaba Corp Organic el element, mask for manufacturing the element and manufacture of the element
JP2001135478A (en) 1999-11-08 2001-05-18 Canon Inc Driving method of light-emitting element and driving method of light-emitting device
JP2007257619A (en) 2006-02-24 2007-10-04 Canon In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0743545B1 (en) 2006-06-30 2007-07-27 이영종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ouch sensing function to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333A (en) 2009-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0728B2 (en) Bottom and top emission OLED pixel structure
US20130049024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170334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649224B1 (en) Top Emissio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831942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080054626A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20150357593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JPH10268798A (en) Display device
US800885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10118226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20070159087A1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20130072468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20100022638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JPH10172767A (en)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display device
US20060289857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apable of showing images on double sides thereof
JP2012204017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display device
KR10144337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7615778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pixel structure, arr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834343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s
KR10173837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20080090014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light absorbing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318745B1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20130058227A (en) Amole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moled
US20050200275A1 (en) Dual-directio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KR20030057632A (en) an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