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779B1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Google Patents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779B1
KR101442779B1 KR1020130020037A KR20130020037A KR101442779B1 KR 101442779 B1 KR101442779 B1 KR 101442779B1 KR 1020130020037 A KR1020130020037 A KR 1020130020037A KR 20130020037 A KR20130020037 A KR 20130020037A KR 101442779 B1 KR101442779 B1 KR 101442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raw water
head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0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8382A (en
Inventor
노수홍
이종훈
김단홍
이종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0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779B1/en
Priority to US14/769,849 priority patent/US9839880B2/en
Priority to PCT/KR2014/001405 priority patent/WO2014129835A1/en
Priority to CN201480010336.4A priority patent/CN105073233B/en
Publication of KR20140108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3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7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4Hollow fibre modules with a single pott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0Vibrat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03Membrane bonding or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2Specific tightening or loc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46Supply, recovery or discharge mechanisms of wash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0Use of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0By influencing the flow
    • B01D2321/2033By influencing the flow dynamically
    • B01D2321/2058By influencing the flow dynamically by vibration of the membrane, e.g. with an actuat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중공사막의 오염을 최소화할 있고,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고 물리적 방법을 통해 중공사막을 세척할 수 있도록, 원수가 채워지는 물통과, 상기 물통에 설치되고 내부에 중공사막이 구비되어 물통의 원수 수압에 의한 수처리가 이루어지는 중공사막 모듈, 상기 물통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중공사막 모듈을 통해 물통 내부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원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중공사막에 충돌시켜 중공사막을 유동시키는 구조의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A water tank filled with raw water so as to minimize contamina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to minimize the use of energy using electric power and to physically wash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a hollow fiber membrane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And a raw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raw water to the inside of the water bottle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e raw water supply unit being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bottle, wherein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is suppli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ereby caus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to flow.

Description

중공사막 모듈{HOLLOW FIBER MEMBRANE MODULE}[0001]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0002]

본 발명은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원수주입으로 막 세척이 가능한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apable of membrane cleaning by injection of raw water.

일반적으로, 분리막 기술은 고분자 재료의 물질 선택투과 성질을 이용한 분리기술의 하나로, 그 형태에 따라 평막, 관상막, 중공사막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separation membrane technology is one of the separation techniques using the material selective permeability of polymer materials, and it is divided into a flat membrane, a tubular membrane, and a hollow fiber membrane depending on the type thereof.

분리막을 이용한 막여과 공정은 기존 수처리 공정에 비해 부지면적을 적게 차지하고, 막의 공칭 공경보다 큰 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안전을 요하는 정수처리 시설에 사용된다. 또한, 분리막 기술은 소규모 모듈화가 가능하여 소규모 수처리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Membrane filtration process using membrane is used for water treatment facility which occupies less area than existing water treatment process and can completely remove material larger than nominal pore size of membrane. In addition, the membrane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a small-scale water treatment by allowing a small-scale modularization.

분리막은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모듈(module)화하여 용도에 따라 선택된다. 이중에서 중공사막은 직경이 0.2~2mm이며 중앙이 비어있는 실관 형태의 중공사를 이용한 것으로, 중공사의 단위부피당 막면적비가 다른 형식의 분리막에 비하여 커서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고, 직경이 작으므로 자체적으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별도의 지지체가 필요 없다는 장점으로 인해 많이 사용된다.The separator is a module which is convenient for use and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Among them,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hollow tube having a diameter of 0.2 to 2 mm and hollow at the center. Since the membrane area ratio per unit volum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larger than that of other types of membranes, the productivity is high and the diameter is small. It is widely used because of its advantage that it can maintain its shape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upport.

그러나, 막모듈은 높은 압력차를 필요로 하므로 분리막의 오염이 가속화되는 문제가 있으며, 부유물질에 의한 막 오염을 줄이기 위해 에너지 소모가 많은 펌프와 블로워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막모듈은 고에너지, 고비용이 소요되는 구조로, 전력이 부족한 지역이나 저개발국가의 경우 막여과 공정을 도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membrane module requires a high pressure differen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amination of the membrane is accelerated, and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pump and the blower is required to reduce the membrane contamination due to the suspended substance.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membrane module has a structure requiring high energy and high cost, and it is difficult to introduce a membrane filtration process in a region where power is insufficient or in an underdeveloped country.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물통의 수두압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무동력 수처리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중력으로 여과가 가능하여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나, 막모듈에 부착되는 오염물질을 제대로 세척하지 못하여 여과가 지속되는 동안 물의 생산량이 계속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non-powered water treatment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in which water is filtered using a water head pressure of a water bottle. However, since the structure is capable of filtration by gravity, it does not require power, but the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membrane module can not be cleaned properly, and the production of water is continuously decreased while the filtration is continued.

이에, 중공사막의 오염을 최소화할 있도록 된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한다.Accordingly,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at minimizes contamina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provided.

또한,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사용없이 물리적 방법을 통해 중공사막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된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한다.Also provided is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at is capable of clean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through physical methods without using energy using power.

또한,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 등의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apable of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removing contaminants such as sludge generated during water treatment using a hollow fiber membrane.

또한, 설비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at can simplify a facility configuration and minimize maintenance costs.

이를 위해, 중공사막 모듈은 주입되는 원수를 중공사막에 충돌시켜 중공사막을 흔들어 세척하는 구조일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raw water to be injected collides with the hollow fiber membrane to shake the hollow fiber membrane.

본 중공사막 모듈은 원수가 수용되는 물통에 결합되는 헤더와, 상기 헤더 내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끝단은 자유단을 이루며, 수두에 의해 원수를 여과하는 중공사막, 상기 헤더에 설치되고 물통 내부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중공사막이 배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헤더는 물통 내부로 주입되는 원수를 하우징 내의 중공사막에 충돌시켜 중공사막을 흔들어 세척하고 물통 내에 채우는 구조일 수 있다.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ludes a header coupled to a water reservoir in which raw water is received, a hollow fiber membran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header and a free end and filtering raw water by the head, And a header in which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disposed. The header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raw water injected into the water bottle collides with the hollow fiber membrane in the housing to shake the hollow fiber membrane to fill the water bottle.

본 중공사막 모듈은 상기 헤더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사막과 연결되어 처리수가 모이는 콜렉터, 상기 콜렉터에 연결되어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관, 상기 헤더에 설치되어 원수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하우징 내부로 연장되어 원수가 배출되는 투입관, 상기 공급관 선단에 설치되어 투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중공사막에 충돌시키기 위한 원수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ludes a collector installed in the header and connect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to collect the process water, a process water pipe connected to the collector to discharge the process water, a supply pipe installed in the header for supplying raw water, And a raw water dispersing unit disposed at a distal end of the supply pipe to urge the raw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upply pipe against the hollow fiber membrane.

상기 헤더는 물통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eader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ortion for engagement with the bucket.

상기 체결부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male screw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체결부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female screw is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상기 체결부는 물통과의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for maintaining the hermeticity with the water reservoir.

상기 체결부는 선단에 돌출 형성되고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flange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and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상기 헤더는 다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der may be polygonal.

상기 헤더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der may be circular.

상기 헤더 외주면에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er.

상기 투입관은 헤더 중앙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사막은 상기 투입관을 중심으로 투입관과 하우징 내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jection tube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header and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housing,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jection tub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around the injection tube.

상기 중공사막은 일단이 콜렉터에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The hollow fiber membran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coupled to the collector and the other end is free end.

상기 원수분산부는 투입관 선단에 설치되어 원수의 흐름을 막는 차단부재와, 상기 투입관의 선단부 외주면에 중공사막을 향해 형성되어 원수를 중공사막으로 배출되는 복수개의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aw water dispersing unit may include a blocking member provided at the tip of the inlet tube to block the flow of the raw water and a plurality of outlets formed toward the hollow fiber membran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tube and discharged from the raw water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상기 차단부재는 중앙에 원수가 배출되는 홀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hole through which raw water is discharged is formed at the center.

상기 차단부재는 외측으로 돌출된 원뿔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may be in the form of a cone protruding outwardly.

상기 원수분산부는 상기 차단부재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관을 향해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원뿔형태의 유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ical guide member provided inside the blocking member and gradually decreasing in diameter toward the inlet pip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장치에 의하면, 원수 유입 에너지를 이용하여 중공사막의 막오염을 최소화함으로써, 장기간 세척없이 사용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membrane contamina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can be minimized by using the raw water inflow energy, so that the apparatus can be used without wash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전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막세척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membrane cleaning is possible without using power.

또한, 운전이 용이하고 유지 관리가 간단하여, 전문인력이나 기반시설없이도 운전 및 유지가 가능하다.Also, it is easy to operate and simple maintenance, and it is possible to operate and maintain without professional manpower or infrastructure.

이에, 전력공급이 어려운 오지나 재해 지역 등에 사용하여 안전한 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safe water by using in a disaster area or the like where power supply is difficult.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체결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다양한 헤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다양한 공급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astening structure of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various header structure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7 is a view showing various pipe structure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8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herever possible,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other specific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And the like.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이하 본 실시예는 수처리가 이루어지는 분리막이 중공사막인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압력차이에 의해 원수를 여과하는 분리막이면 모두 적용가능하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s an example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paration membrane in which water treatment is performed is a hollow fiber membra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eparation membrane that filters raw water by pressure difference is applicable.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도시하고 있다.1 and 2 show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의 중공사막 모듈은 주입되는 원수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원수를 중공사막에 충돌시킴으로써, 중공사막을 흔들어 세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중공사막 세척을 위한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 원수 공급을 통해 중공사막의 막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raw water is caused to collide with the hollow fiber membrane by us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raw water to be injected, thereby wash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by shaking. Thus, film contamina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can be minimized through the supply of raw water without using a separate power source for wash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공사막 모듈(20)은 원수가 수용되는 물통(10)에 결합되는 헤더(40)와, 상기 헤더(40)에 설치되고 물통(10) 내부로 연장되는 하우징(42), 상기 하우징(42) 내에 구비되고 압력차에 의한 수처리가 이루어지는 중공사막(44)을 포함한다.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20 includes a header 40 coupled to a water bottle 10 containing raw water and a housing 42 installed in the header 40 and extending into the water bottle 10, And a hollow fiber membrane 44 provided in the housing 42 and performing water treatment by a pressure difference.

또한,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상기 헤더(40)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사막(44)과 연결되어 처리수가 모이는 콜렉터(46), 상기 콜렉터(46)에 연결되어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관(48), 상기 헤더(40)에 설치되어 원수를 공급하는 공급관(50), 상기 공급관(50)에 연결되고 하우징(42) 내부로 연장되어 원수가 배출되는 투입관(52), 상기 공급관(50) 선단에 설치되어 투입관(52)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중공사막(44)에 충돌시키기 위한 원수분산부(60)를 더 포함한다.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ludes a collector 46 installed in the header 40 and connect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to collect the treated water, a treatment water pipe 48 connected to the collector 46 to discharge the treated water, A supply pipe 50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50 and extending into the housing 42 to discharge the raw water, and a discharge pipe 52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50 at the tip of the supply pipe 50, And a raw water dispersing unit 60 for impinging the raw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pipe 52 against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상기 헤더(40)는 물통(10)에 중공사막 모듈(20)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물통(10)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30)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부(30)는 물통에 형성된 체결구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구조로, 외주면에 수나사(32)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모듈이 끼워지는 물통(10) 측면의 체결구에는 상기 체결부의 수나사와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헤더(40)는 물통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header 40 is for detachably mount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20 to the water bottle 10 and includes a fastening part 30 for coupling with the water bottle 10. The fastening part 30 may be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a fastening hole formed in a water bottle.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fastening portion 30 has a circular structure and a male thread 3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correspondence with this, a fastener on the side of the water container 10 in which the module is inserted may be formed with a female screw so as to be fastened to the male screw of the fastening part. Thus, the header 40 can be coupled to the water bottle in a screw-engagement manner.

도 3과 도 4는 중공사막 모듈의 체결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3 and 4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본 실시예의 중공사막 모듈(20)에서 체결부(30)의 구조를 제외하고 다른 구성부는 크기만 상이할 뿐 위에서 언급한 구조와 동일하며, 이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part 30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other constituent parts are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only in siz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s omitted.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중공사막 모듈(20)에 있어서 체결부(30)는 원형 구조로, 내주면에 암나사(34)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물통(10)에 형성되는 체결구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34)와 체결된다.3 and 4,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stening portion 30 has a circular structure and a female screw 34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Correspondingly, a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fastener formed in the water bottle 10 and fastened to the female screw 34.

상기 체결부(30)의 수나사(32) 또는 암나사(34)의 크기 등의 사양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며, 예를 들어 국제규격에 맞춰 형성함으로서 세계 모든 곳에서 사용하는 물통(10)에 장착 가능하다.The size of the male screw 32 or the female screw 34 of the fastening part 30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an be attached to the water bottle 10 which is used all over the world by being formed according to, Do.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30)에는 헤더(40)와 물통 사이의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부재(33,35)가 더 설치된다. 상기 실링부재(33,35)는 체결부(3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0)의 외측에 실링부재(35)가 설치되는 구조의 경우, 체결부 외주면을 따라 단차가공되어 형성된 단턱에 실링부재(35)가 놓여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모듈의 체결부(30)를 물통의 체결구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 결합시키게 되면 실링부재(35)가 물통의 외면과 체결구 사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part 30 is further provided with sealing members 33 and 35 for maintaining airtightness between the header 40 and the water bottle. The sealing members (33, 35) can b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fastening part (30).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35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fastening portion 30, the sealing member 35 may be placed on the step formed by being stepp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In such a structure, when the fastening part 30 of the module is tightly fitt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water container, the sealing member 35 is closely contac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and the fastener to maintain airtightness.

도 5는 상기 중공사막 모듈에 있어, 체결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30)는 선단에 헤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36)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36)에는 복수개의 체결홀(37)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플랜지 형태의 체결구를 구비한 물통의 경우에, 상기 모듈의 플랜지(36)를 맞대고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물통에 중공사막 모듈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5, a flange 36 protruding outward from the header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part 30,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37 are formed in the flange 36 at intervals . Accordingly, in the case of a bucket having a flange-shaped fastener, the flange 36 of the modul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astened with bolts or the like, so that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an be mounted on the bucket.

도 6은 상기 헤더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더(40)은 원형이나 사각형 또는 사각 모서리를 갖는 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헤더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Figure 6 illustrates various forms of the header. As shown in FIG. 6, the header 40 may have a circular shape or a circular structure having a square or rectangular edge. The form of the header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여기서, 상기 헤더(40)은 물통(10)과의 나사체결을 위해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40)의 회전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헤더(40)은 외주면에 돌기(41)가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더(40)가 원형인 구조의 경우에도 헤더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Here, the header 40 should be rotated in one direction for screwing with the water bottle 10. 1, protrusions 41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er 4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header 40. As shown in FIG. Therefore, even when the header 40 has a circular shape, the header can be easily rotated.

상기 헤더(40)을 물통(10)에 결합시키게 되면 헤더(40)이 물통(10) 측면에 밀착되면서 설치되고, 헤더(40)의 내측면에 설치된 하우징(42)은 물통(10) 내부로 삽입된다.When the header 40 is coupled to the water bottle 10, the header 40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water bottle 10 while the housing 42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header 40 is inserted into the water bottle 10 .

상기 하우징(42)은 일단이 헤더(40)에 결합되며, 타단은 개방된 원통형태를 이룬다. One end of the housing 42 is coupled to the header 40, and the other end is cylindrical.

상기 하우징(42)은 원통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통이나 다각 단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ousing 42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tube or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상기 하우징(42)은 중공사막(44)을 감싸 보호하고, 원수분산부(60)를 통해 나온 원수의 운동에너지를 중공사막(44) 전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housing 42 surrounds and protects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and transmits the kinetic energy of the raw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60 to the entire hollow fiber membrane 44.

상기 콜렉터(46)는 헤더(40) 내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헤더(40)의 내부 공간이 콜렉터(46)를 이룬다. 콜렉터(46)의 중앙을 관통하여 원수가 배출되는 투입관(52)이 설치된다. 상기 투입관(52)은 콜렉터(46)에서 하우징(42) 내부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The collector (46) is installed inside the header (4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space of the header 40 constitutes a collector 46. And an inlet pipe 52 through which the raw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center of the collector 46 is provided. The injection pipe 52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collector 46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42.

상기 헤더(40)의 외측면에는 공급관(50)이 설치된다. 공급관은 콜렉터 중앙에 설치된 상기 투입관(52)에 연결된다. 이에, 공급관(50)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는 콜렉터(46) 중앙을 지나 투입관(52)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배출된다.A supply pipe 5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er 40. The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ipe 52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ollector. The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50) is discharged through the center of the collector (46)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input pipe (52).

도 7은 상기 공급관(50)이 결합되는 헤더(40)의 다양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공급관(50)은 헤더의 전면이나 측면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관(50)은 헤더(40)의 전면에 결합되어 투입관(52)과 직선으로 연결된다. 도 7의 (b)와 (c)는 공급관(50)이 투입관(52)과 90도 각도로 헤더(40)의 상부에 배치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투입관(52)과 공급관(50)은 90도로 굽어진 엘보우관(54)을 매개로 연결된다. 도 7의 (b)는 상기 엘보우관(54)이 헤더 내부에 구비되고 헤더 상부로 엘보우관(54) 선단이 위치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7의 (d)의 경우 공급관(50)이 없는 구조로, 헤더는 원수가 저장된 수조 등에 바로 연결될 수 있다. FIG. 7 illustrates various structures of the header 40 to which the supply tube 50 is coupled. The supply pipe 50 may be installed through a front surface or a side surface of the header. 7 (a), the supply pipe 50 is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eader 40 a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52 in a straight line. 7B and 7C illustrate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ly pipe 50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eader 40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the injection pipe 52. In this case, In this structure, the feed pipe 52 and the feed pipe 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elbow pipe 54 bent at 90 degrees. 7B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elbow tube 54 is provided inside the header and the distal end of the elbow tube 54 is located above the header. In the case of FIG. 7 (d), the heade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tank in which the raw water is stored.

상기와 같이, 헤더와 공급관(50)의 구조를 다양화함으로써, 중공사막 모듈을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diversifying the structure of the header and the supply pipe 50,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상기 공급관(50)으로 유입된 원수는 투입관(52)을 통해 콜렉터(46) 중앙을 지나 하우징(42) 내부로 배출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 원수는 하우징(42)을 거쳐 물통(10) 내부로 공급된다. 따라서 원수 공급 과정에서 하우징을 거쳐 공급되는 원수의 유입 에너지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놓여져 있는 중공사막에 가할 수 있게 된다.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supply pipe (50) is discharged through the center of the collector (46) through the charging pipe (52) into the housing (42). 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w water is supplied into the water bottle 10 through the housing 42. Therefore, the inflow energy of the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using in the raw water supply process can be appli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상기 중공사막(44)은 콜렉터(46)에 일단이 결합되어, 내부통로(45)가 콜렉터(46)와 연통된다. 상기 중공사막(44)은 투입관(52)의 주위를 따라 콜렉터(46)에 결합된다. 이에, 상기 중공사막(44)은 콜렉터(46) 중앙에 설치된 투입관(52)과 하우징(4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중공사막 모듈(20)은 투입관(52)이 중공사막(44)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원수를 공급하는 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이, 원수가 중공사막의 중심부로 공급되므로, 원수분산부를 통해 원수를 중공사막 전체에 고르게 분산 투입할 수 있게 된다.One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46, and the internal passage 45 communicates with the collector 46.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is coupled to the collector 46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let tube 52.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is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inlet tube 52 and the housing 42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ollector 46. Therefore,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eed pipe 52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to supply the raw water. Since the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the raw water can be uniformly dispersed throughout the hollow fiber membrane through the raw water dispersing portion.

상기 중공사막(44)은 일단이 콜렉터(46)에 결합되고 하우징(42)을 따라 연장되며, 타단은 구속되지 않아 자유롭게 유동가능한 자유단을 이룬다.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has a free end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collector 46 and extends along the housing 42, and the other end is free of restraint so that it can freely flow.

이에, 적은 운동에너지에도 중공사막(44)이 잘 흔들릴 수 있어 원수에 의한 세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can be shaken even with a small kinetic energy, thereby maximizing the washing effect by the raw water.

상기 처리수관(48)은 헤더(40) 외측면에 설치되며 헤더(40) 내부의 콜렉터(46)에 연통된다. 중공사막(44)을 콜렉터(46)에 모인 처리수는 처리수관(48)을 통해 중공사막 모듈(20)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처리수관(48)은 별도의 호스 등을 설치하여 아래로 길게 연장시킬 수 있다. 아래로 연장된 호스는 사이폰 원리에 의한 흡입압을 중공사막(44)에 가하게 된다. 이에, 중공사막(44)의 유효투과압력을 증가시켜 수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e treatment water pipe 48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er 40 and communicates with the collector 46 inside the header 40. The treate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or 46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20 through the treatment water pipe 48. The treatment water pipe 48 may be extended downward by providing a separate hose or the like. The downwardly extending hose applies the suction pressure by the siphon principle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Accordingly, the effective permeation pressur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can be increased to enhance the water treatment ability.

상기 원수분산부(60)는 투입관(52)을 통해 하우징(42) 중앙으로 공급되는 원수를 중공사막(44)에 충돌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42) 내주면쪽으로 유도한다.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60 guides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42 through the charging pipe 52 towar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42 so as to collide with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원수분산부(60)는 투입관(52) 선단에 설치되어 원수의 진행을 차단하는 차단부재(62)와, 투입관(52) 선단부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원수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출구(66)를 포함한다. 상기 출구와 출구 사이는 출구를 형성하며 차단부재(6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4)를 이룬다. For this,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60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blocking member 62 provided at the tip of the charging pipe 52 to block the progress of the raw water, And a plurality of outlets (66) for discharging air. Between the outlet and the outlet is a support member 64 which forms an outlet and which supports the blocking member 62.

이에, 투입관(52)으로 유입된 원수는 차단부재(62)에 의해 막혀 하우징(42) 중앙으로 바로 나가지 못하고 차단부재(62)와 투입관(52) 선단 사이에 형성된 출구(66)를 통해 방사방향으로 분출된다. 따라서, 투입관(52) 외주부를 따라 배치된 중공사막(44)으로 원수가 분출되어, 원수의 흐름에 의한 물리적 에너지가 중공사막(44)에 가해짐에 따라 중공사막(44)은 하우징(42) 내에서 흔들리게 된다. 이와 같이, 원수 공급시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활용하여 별도의 동력원없이 중공사막(44)을 유동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ipe 52 is blocked by the blocking member 62 and can not go straigh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42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66 formed between the blocking member 62 and the end of the inlet pipe 52 And is ejecte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raw water is spray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let pipe 52 and the physical energy due to the flow of the raw water is appli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 As described above, the contaminants can be removed by using the kinetic energy generated when the raw water is supplied and flow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상기 출구(66)는 투입관(52)의 원주방향을 따라 고르게 형성된다. 상기 출구(66)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출구(66)로부터 분출되는 원수는 하우징(42) 내주면 전면으로 고르게 분출된다.The outlet (66) is formed uniform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52). The shape of the outlet 66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us, the raw water ejected from the outlet (66) is uniformly sprayed over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42).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부재(62)는 평판 구조일 수 있으며, 도 6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원뿔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62)의 중심에는 원수의 일부를 배출할 수 있도록 홀(68)이 더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locking member 62 may have a flat structure and may have an outwardly protruding conical shape, as shown in FIGS. Further, a hole 68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locking member 62 to discharge a part of the raw water.

또한,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수분산부(60)는 상기 차단부재(62)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관(52)을 향해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원뿔형태의 유도부재(70)를 더 포함한다.10 and 11, the raw water dispersing unit 60 includes a conical guiding member 60 disposed inside the blocking member 62 and gradually decreasing in diameter toward the inlet pipe 52, (70).

상기 유도부재(70)는 차단부재(6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부재(70)의 측면 경사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guide member 7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locking member 62.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guide member 70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이에, 투입관(52)에서 배출되는 원수는 유도부재(70)의 경사진 측면을 따라 흘러나가 중공사막(44) 쪽으로 분출된다. 상기 유도부재(70)는 원수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중공사막(44)쪽으로 유도하여 원수의 흐름이 갖는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raw water discharged from the inlet pipe 52 flows along the inclined side surface of the guide member 70 and is ejected toward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The guide member 70 guides the flow of the raw water more smoothly toward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thereby minimizing the energy loss of the flow of the raw water.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예에서 물통(10)에 대한 원수의 공급은 중공사막 모듈(20)을 통해 이루어진다. 공급관(50)을 통해 공급된 원수는 투입관(52)을 통해 하우징(42) 내부로 유입된 후 하우징(42)을 거쳐 중공사막 모듈(20)이 설치된 물통(10)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ly of raw water to the bucket 10 is perform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20. The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50 flows into the housing 42 through the inlet pipe 52 and then is filled into the water bottle 10 through the housing 42 where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20 is installed.

이 과정에서 원수는 투입관(52) 선단에서 중공사막(44)으로 흘러나가 중공사막(44)과 충돌하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관(52)을 통해 하우징(42) 중앙으로 배출되는 원수는 투입관(52) 선단의 차단부재(62)에 설치된 유도부재(70)에 의해 그 흐름 방향이 하우징(42) 내주면쪽으로 바뀌게 된다. 이에, 원수는 투입관(52) 선단과 차단부재 사이의 출구(66)를 통해 중공사막(44)으로 분출된다.In this process, the raw water flows from the tip of the injection pipe 52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and collides with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8, the raw water discharged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42 through the inlet pipe 52 is guided by the guide member 70 provided at the blocking member 62 at the end of the inlet pipe 52, Direction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42. The raw water is sprayed into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through the outlet 66 between the tip of the inlet tube 52 and the blocking member.

따라서, 투입관(52)에서 분출되는 원수가 가지고 있는 운동에너지가 중공사막(44)에 가해져 중공사막(44)이 유동된다.Therefore, the kinetic energy of the raw water ejected from the inlet pipe 52 is appli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to flow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이와 같이 물통(10)으로 원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원수의 흐름을 이용하여 중공사막(44)을 유동시킴으로써, 중공사막(44)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수가 계속 공급되는 동안 중공사막(44)을 지속적으로 유동시킴으로써, 중공사막(44) 표면에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장기간 청소가 불필요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raw water to the water bottle 10, the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can be removed by flow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using the raw water. In addition, by continuously flow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while the raw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adhesion of contaminants to the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is minimized,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long-term cleaning is unnecessary.

물통 내에 채워진 원수의 수두압에 의해 원수는 중공사막(44)을 통과하여 여과 처리된다. 중공사막(45)의 내부통로(45) 과된 처리수는 콜렉터(46)에 모아지고 콜렉터에 설치된 처리수관(4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raw water is filter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by the water head pressure of the raw water filled in the water bottle. The treated water that has become the inner passage 45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45 is collected in the collector 46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eated water pipe 48 provided in the collecto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While the illustr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other embodiments will be considered and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 물통 20 : 중공사막 모듈
30 : 체결부 32 : 수나사
33 : 실링부재 34 : 암나사
35 : 실링부재 36 : 플랜지
37 : 체결홀 40 : 헤더
41 : 돌기 42 : 하우징
44 : 중공사막 45 : 내부통로
46 : 콜렉터 48 : 처리수관
50 : 공급관 52 : 투입관
54 : 엘보우관 60 : 원수분산부
62 : 차단부재 64 : 지지부재
66 : 출구 70 : 유도부재
10: water bottle 20: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30: fastening part 32: male thread
33: sealing member 34: female thread
35: sealing member 36: flange
37: fastening hole 40: header
41: projection 42: housing
44: hollow fiber membrane 45: internal passage
46: collector 48: treated water pipe
50: feed pipe 52: feed pipe
54: elbow pipe 60: raw water dispersion part
62: blocking member 64: supporting member
66: outlet 70: guide member

Claims (12)

원수가 수용되는 물통에 결합되는 헤더와, 상기 헤더 내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끝단은 자유단을 이루며, 수두에 의해 원수를 여과하는 중공사막, 상기 헤더에 설치되고 물통 내부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중공사막이 배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헤더를 통해 물통 내부로 주입되는 원수를 하우징 내의 중공사막에 충돌시켜 중공사막을 흔들어 세척하고 물통 내에 채우는 구조의 중공사막 모듈. A hollow fiber membrane which is connected to a water reservoir in which raw water is received; a hollow fiber membrane which has one e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eader and has a free end to filter raw water by the head;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provided with a housing in which a desiccant is disposed, and the raw water injected into the water bottle through the header is collided with a hollow fiber membrane in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사막과 연결되어 처리수가 모이는 콜렉터, 상기 콜렉터에 연결되어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관, 상기 헤더에 설치되어 원수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하우징 내부로 연장되어 원수가 배출되는 투입관, 상기 공급관 선단에 설치되어 투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중공사막에 충돌시키기 위한 원수분산부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eader installed in the header and connect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to collect the process water, a process water pipe connected to the collector for discharging process water, a supply pipe installed in the header for supplying raw water, And a raw water dispersing unit installed at a distal end of the feed pipe to collide the raw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eed pipe with the hollow fiber membran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물통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eader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portion for engagement with the buck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거나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구조 또는,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된 플랜지가 선단에 돌출 형성된 구조이고, 체결부의 내측이나 외측에 설치되어 물통과의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The fastening portion may have a male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or a female screw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or a structure in which a flange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thereon is protruded from a tip end thereof and a sealing member provided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fastening portion, Further include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외주면에 돌기가 돌출 형성된 중공사막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헤더의 상부 또는 전면에 배치되어 투입관과 연결되는 중공사막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ly tube is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r a front surface of the header and connected to the injection tub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헤더의 상부 또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관과 상기 투입관 사이에 엘보우관이 설치된 중공사막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supply pipe is disposed on the top or inside of the header, and an elbow pipe is provided between the supply pipe and the charging pipe.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분산부는 투입관 선단에 설치되어 원수의 흐름을 막는 차단부재와, 상기 투입관의 선단부 외주면에 중공사막을 향해 형성되어 원수를 중공사막으로 배출되는 복수개의 출구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Wherein the raw water dispersing unit includes a blocking member disposed at a tip of a charging tube to block the flow of raw water and a plurality of outlets formed toward the hollow fiber membran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rging tube to discharge raw water into the hollow fiber membran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은 헤더 중앙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사막은 상기 투입관을 중심으로 투입관과 하우징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중공사막 모듈.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nlet tube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header and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housing,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disposed between the inlet tub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with respect to the inlet tub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중앙에 원수가 배출되는 홀이 형성된 구조의 중공사막 모듈.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locking member has a hole through which raw water is discharged at a center thereof.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외측으로 돌출된 원뿔형태로 이루는 중공사막 모듈.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locking member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protruding outwardl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분산부는 상기 차단부재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관을 향해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원뿔형태의 유도부재를 더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further comprises a conical guide member provided inside the blocking member and gradually decreasing in diameter toward the inlet pipe.
KR1020130020037A 2013-02-25 2013-02-25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1014427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037A KR101442779B1 (en) 2013-02-25 2013-02-25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US14/769,849 US9839880B2 (en) 2013-02-25 2014-02-21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PCT/KR2014/001405 WO2014129835A1 (en) 2013-02-25 2014-02-21 Hollow fibre membrane module and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hollow fibre membrane module
CN201480010336.4A CN105073233B (en) 2013-02-25 2014-02-21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the water treatment facilities using hollow fine membrane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037A KR101442779B1 (en) 2013-02-25 2013-02-25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382A KR20140108382A (en) 2014-09-11
KR101442779B1 true KR101442779B1 (en) 2014-09-25

Family

ID=5175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037A KR101442779B1 (en) 2013-02-25 2013-02-25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7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234B1 (en) * 2014-11-19 2017-06-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826B1 (en) * 2015-08-11 2017-03-1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102138713B1 (en) 2018-11-26 2020-07-29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ipe rehabilitation Robot system that changes the diameter of piping and having high tractive for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469A (en) * 1993-11-11 1995-05-30 Toray Ind Inc Hollow yarn membrane module and use thereof
JPH11207157A (en) * 1998-01-26 1999-08-03 Kurita Water Ind Ltd Membrane separation device
KR20020014742A (en) * 2000-08-18 2002-02-25 다카노 야스아키 Filtration Device
KR20040002814A (en) * 2003-11-11 2004-01-07 김상곤 An apparatus for filtering with form of cartrid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469A (en) * 1993-11-11 1995-05-30 Toray Ind Inc Hollow yarn membrane module and use thereof
JPH11207157A (en) * 1998-01-26 1999-08-03 Kurita Water Ind Ltd Membrane separation device
KR20020014742A (en) * 2000-08-18 2002-02-25 다카노 야스아키 Filtration Device
KR20040002814A (en) * 2003-11-11 2004-01-07 김상곤 An apparatus for filtering with form of cartrid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234B1 (en) * 2014-11-19 2017-06-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382A (en) 201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63942A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EP1716914B1 (en) Hollow fibre filtration device with aeration tubes
JP2018108585A (en) Air diffusion device, air diffusion method,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CN103442789B (en) Filter plant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for this filter plant
KR101713927B1 (en) Membrane bioreactors filter apparatus for cassette type
KR101442779B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101908704B1 (en) Membrane Module using Hallow Fiber
JP2018015676A (en) Cleaning module and multilayer filter column
KR101333636B1 (en) Filter apparatus using membrane filter member
KR101625603B1 (en) Module for fixing a bundle of a hollow fiber membrane and Filte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402399B1 (en) Lower water collecting assembly of pressured membrane module water-purifying apparatus
JP4996379B2 (en) Filtration device
KR101562614B1 (en)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100740048B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with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US9839880B2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WO2013129227A1 (en) Filtration device
KR101744234B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N208372578U (en) Filter core rinses fine filter certainly
KR20050056817A (en) Dust remov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KR101799373B1 (en) Membrane cleaning device with huge bubble for waste water treatment
KR101718161B1 (en) End cap for mounting hollow fiber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101070383B1 (en) Detachable separation membrane module and pollution prevention style separation membrane module unit using the same
KR101716826B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20160146144A (en)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N219253427U (en) High-efficiency water-saving resin was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