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408B1 - container for a drink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a dr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408B1
KR101441408B1 KR1020130013788A KR20130013788A KR101441408B1 KR 101441408 B1 KR101441408 B1 KR 101441408B1 KR 1020130013788 A KR1020130013788 A KR 1020130013788A KR 20130013788 A KR20130013788 A KR 20130013788A KR 101441408 B1 KR101441408 B1 KR 101441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beverage
receiving groove
body portio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7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1035A (en
Inventor
남상경
Original Assignee
남상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경 filed Critical 남상경
Priority to KR1020130013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408B1/en
Publication of KR20140101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0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4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수의 음용에 따른 시각적인 효과를 부여하고, 원활한 제조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료가 수용되는 몸체를 형성하면서 상단에는 음료의 입출을 위한 입출단을 가짐과 더불어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수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불투명 재질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수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홈 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용홈을 따라 권취되는 투명 재질의 스트로우부; 상기 몸체부의 입출단과 상기 스트로우부의 상측 끝단을 일괄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입출단을 폐쇄하는 개폐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가 제공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new form capable of imparting a visual effect according to the drinking of beverage and capable of smooth productio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ven comprising: a body portion of opaque material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at the upper end thereof while forming a body for receiving the beverage, and a spiral- A transparent straw portion which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body portion and is wound along the receiving groove while being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an opening / closing cap which covers the entry / exit end of the body part and the upper end of the straw part collectively and closes the entry / exit end.

Description

음료 용기{container for a drink}A container for a drink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음료수의 음용에 따른 시각적인 효과를 부여하고, 원활한 제조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new form capable of imparting a visual effect according to the drinking of drinking water and capable of smooth production.

일반적으로 음료 용기는 상단에 개방된 입구를 가지는 통으로 형성되면서 음료를 담는 용도로 사용된다.Generally, a beverage container is formed by a barrel having an opening at an upper end thereof, and is used as a beverage container.

상기 음료 용기 내의 음료를 마시는 방법은 컵 등에 따라 마시거나 직접 입을 대고 마시는 방법 및 스트로우를 이용하여 음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method of drinking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container include a method of drinking the beverage by a cup or the like, a method of directly drinking the beverage, and a method of drinking by using a straw.

하지만, 상기한 각 방법 중 스트로우를 이용하여 음용하는 방법은 상기 스트로우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traw is separately prepared in the method of drinking by using the straw among the above methods.

이에 따라, 최근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5040호와 같이 음료 용기 외벽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부착 고정하여 일체형으로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스트로우를 구비할 필요없이 음료에 대한 음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it has been spirally attached and fixed alo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s in the case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85040, so that the beverage can be consumed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straw.

그러나, 전술된 종래 기술은 음료 용기의 제조 후 원통형의 스트로우를 상기 음료 용기의 외벽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부착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스트로우와 음료 용기 서로 간의 접촉면적이 극히 좁아서 상기 스트로우가 상기 음료 용기의 외벽면에 정확히 부착되지 못하고 쉽게 탈거 되었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s configured to adhere the cylindrical straw to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spirally after manufacture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traw and the beverage container is extremely narrow, It is not easily attached to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물론, 국내 등록특허 제10-1014931호와 같이 음료 용기와 스트로우를 일체로 성형하여 상기 스트로우가 상기 음료 용기와 일체형을 이루도록 한 기술이 제공되었지만, 이는 음료 용기의 벽면에 스트로우를 일체로 성형하는 과정이 현실적으로는 극히 어려울 뿐 아니라 그 제조를 위한 금형도 복잡하고 또한, 제조 단가도 비쌈으로써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을 가진다.Of course, the techniqu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014931 is such that the straw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everage container by integrally molding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straw. However, this is a process of integrally forming the straw on the wal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not only extremely difficult in reality but also has a problem in that it is complicated because the mold for manufacturing it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also increased, which is inefficient.

또한,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음료 용기와 스트로우의 재질이 동일하며, 특히 모두가 투시 가능한 투명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음료의 음용 과정에서의 시각적인 재미를 제공하는 효과는 낮을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straw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all of them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can be seen, the conventional techniques described above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 effect of providing the visual fun in the drinking process of the beverage is inevitably low.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별도의 스트로우에 대한 추가적인 구비를 하지 않더라도 스트로우 방식으로의 음료 음용이 가능하며, 시각적인 재미감을 부여함과 더불어 제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rinking a beverage in a straw manner, And to provide a new type of beverage container in which manufacturing can be easily perform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 따르면 음료가 수용되는 몸체를 형성하면서 상단에는 음료의 입출을 위한 입출단을 가짐과 더불어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수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불투명 재질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수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홈 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용홈을 따라 권취되는 투명 재질의 스트로우부; 상기 몸체부의 입출단과 상기 스트로우부의 상측 끝단을 일괄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입출단을 폐쇄하는 개폐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body for receiving a beverage therein, an upper end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everage, and a spiral- part; A transparent straw portion which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body portion and is wound along the receiving groove while being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an opening / closing cap that collectively surrounds the entry / exit end of the body and the upper end of the straw, and closes the entry / exit end.

여기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수용홈 내의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통과공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is formed at at least one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body part.

이와 함께, 상기 스트로우부의 각 부위 중 상기 몸체부의 통과공이 형성된 곳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연통공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ommunicating hole is formed in a portion of each of the straw portions corresponding to a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또한, 상기 몸체부를 이루는 입출단의 둘레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여타 부위에 비해 요입된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트로우부의 상측 끝단은 상기 요입홈 내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폐캡에 의한 입출단의 개폐시 간섭 발생이 회피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embossed groove is formed in any one of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entrance and exit ends of the body part, as compared with other parts, and the upper end of the straw part is accommodated in the concave groove, So that the occurrence of interference can be avoided.

또한, 상기 몸체부의 수용홈 및 상기 스트로우부는 서로 간의 접촉면이 평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straw portion are formed such that the contact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and the straw portion form a planar structure.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음료 용기는 일반적인 보관 상태에서는 내부에 저장된 음료의 색상이나 종류에 대한 식별이 불가능하고, 사용자가 스트로우부를 통해 음료를 마시게 될 경우에만 상기 음료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지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놀이 등의 진행이 가능하게 된 효과가 있다.In the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impossible to identify the color or the type of the beverage stored therein in the normal storage state, and the beverage can be identified only when the user drinks the beverage through the straw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sual pleasure to the user, 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plays and the like using the same.

특히, 상기한 스트로우부는 원형이 아닌 납작한 형태의 사다리꼴 혹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구성됨에 따라 음료의 이동에 따른 식별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게 되어 심미감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straw portion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or a quadrangular shape rather than a circular shape, the identific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everage can be made more distinct, thereby improving the esthetics.

또한, 본 발명의 음료 용기는 스트로우부와 이에 대응되는 수용홈은 서로 간의 접촉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에 따라 서로 간의 접착 고정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Further, in the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aw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receiving groove are formed so that the contact surfaces of the straw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receiving groove are flat, adhesion between the straw portion and the receiving groove can be more stably fix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개폐캡이 제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개폐캡이 제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개폐캡을 설치하기 위해 스트로우부를 굽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개폐캡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개폐캡이 제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cap of a beverage container is remov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cap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remov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raw portion is bent to install an opening and closing cap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cap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install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cap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remov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ttached hereto.

첨부된 도 1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고,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FIG. 1 and FIG. 3 show an outer appearance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4 show an inner structure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크게 몸체부(100)와, 스트로우부(200) 및 개폐캡(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ese drawings,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part 100, a straw part 200, and an opening / closing cap 300.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for each configuration.

먼저, 상기 몸체부(100)는 음료가 수용되는 몸체를 형성하는 부위로써, 상단에는 음료의 입출을 위한 입출단(110)을 갖도록 형성된다.First, the body 100 forms a body for receiving beverages, and has an inlet and an outlet 110 for entering and exiting drinks.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00)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수용홈(120)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00 is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and a spiral receiving groove 12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몸체부(100)를 불투명 재질로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몸체부(100) 내에 저장된 음료의 색상 노출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상기 몸체부(100)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수용홈(120)은 후술될 스트로우부(200)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이다.The reason why the body part 100 is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is to prevent the color of the beverage stored in the body part 100 from being exposed and the helical receiving groove 120 formed in the body part 100, The straw portion 200 is provided.

다음으로, 상기 스트로우부(200)는 상기 몸체부(100) 내에 수용된 음료를 섭취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수용홈(120) 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용홈(120)을 따라 권취되도록 형성된다.The straw portion 20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body portion 100 and is wound around the receiving groove 120 while being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12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00)에 형성된 수용홈(120)과 상기 스트로우부(200)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을 제시하며, 특히 서로 간의 접촉면이 평면 구조를 이루는 납작한 형태의 다각형 구조로 형성됨을 제시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that the receiving groove 120 formed in the body part 100 and the straw part 20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Particularly, a flat polygonal Structure.

상기한 수용홈(120)과 스트로우부(200)에 따른 구조는 서로 간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부착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가시 영역의 확대를 통해 음료의 이동에 따른 식별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도록 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ceiving groove 120 and the straw part 200 maximiz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eceiving groove 120 and the straw 200 so that the adhesive force can be improved and the visibility due to the movement of the beverage can be further enhanced through the enlargement of the visible area, So that the feeling can be improved.

특히, 상기 스트로우부(200)는 투명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해당 음료의 색상이 더욱 뚜렷이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straw 20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color of the beverage can be more clearly distinguished.

한편, 상기 스트로우부(200)와 상기 몸체부(100) 내의 공간은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space between the straw 200 and the body 10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스트로우부(200)와 상기 몸체부(100) 내의 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00)에 형성되는 수용홈(120) 내의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통과공(130)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스트로우부(200)의 각 부위 중 상기 몸체부(100)의 통과공(130)이 형성된 곳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연통공(200)을 관통 형성함으로써 서로 간의 내부 공간이 연통될 수 있도록 함을 제시한다.The structure for communicating the straw unit 200 with the space in the body unit 100 may be variou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A through hole 130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00 is formed at one site and a through hole 130 communicating with an inner space of the body 100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130 of the body 100 is formed in each portion of the straw 200 A communication hole 200 i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hole 200 so that the inner space between the communication holes 20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러한 구조는, 별도의 추가적인 돌출 부위나 여타 결합 구조에 따른 구성없이 쉽게 성형 가능하다는 장점과 더불어 상기 스트로우부(200)가 상기 수용홈(120) 내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 고정됨을 고려할 때 몸체부(100) 내의 음료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This structure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easily formed without any additional protruding portion or other coupling structure, and that when the straw portion 200 is attached and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ceiving groove 120, 1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eaked.

다음으로, 상기 개폐캡(300)은 첨부된 도 4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입출단(110)을 폐쇄하는 구성이다.Next, the opening / closing cap 300 closes the entry / exit end 110 of the body 100 as shown in FIG.

특히, 상기 개폐캡(300)은 상기 입출단(110) 뿐만 아니라 상기 스트로우부(200)의 상측 끝단을 일괄적으로 감싸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스트로우부(200)의 상측 끝단이 외부 환경에 노출됨이 방지되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opening and closing cap 300 integrally surrounds the upper end of the straw unit 200 as well as the input / output unit 110, thereby preventing the upper end of the straw unit 200 from being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

이때, 상기 개폐캡(300)으로 입출단(110)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트로우부(200)가 첨부된 도 6과 같이 굽혀진 상태를 이루도록 하며, 상기 개폐캡(300)이 제거되어 상기 입출단(11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트로우부(200)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세워진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At this time, in a state where the input / output end 110 is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cap 300, the straw unit 200 is bent as shown in FIG. 6, and the opening / closing cap 300 is re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stage 110 is opened, the straw unit 20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self-restoring force, and is in a standing state.

특히, 상기 몸체부(100)를 이루는 입출단(110)의 상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여타 부위에 비해 요입된 요입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스트로우부(200)의 상측 부위는 상기 요입홈(111) 내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폐캡(300)에 의한 입출단(110의 개폐시 간섭 발생이 회피되도록 한다.Particularly, the concave groove 111 is formed a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put / output end 110 constituting the body part 100 as compared with other parts, and the upper part of the straw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concave (110), so that the occurrence of interference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put / output terminal (110) by the opening / closing cap (300) is avoided.

하기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제조 과정 및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oper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우선, 몸체부(100)와 스트로우부(200) 및 개폐캡(300)을 각각 준비한다.First, the body part 100, the straw part 2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cap 300 are prepared.

상기 몸체부(100)는 수지 재질이나 금속 재질, 유리 재질 혹은, 세라믹 재질 등으로 만들어진다.The body part 100 is made of a resin material, a metal material, a glass material, or a ceramic material.

이때, 상기 몸체부(100)가 수지 재질이나 유리 재질 등으로 만들어질 경우 불투명한 수지 혹은, 불투명한 유리 재질로 제조한다.At this time, when the body 100 is made of a resin material or a glass material, it is made of an opaque resin or an opaque glass material.

이와 함께, 상기한 몸체부(100)의 제조시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수용홈(120)을 함께 성형함과 더불어 상기 수용홈(120)의 각 부위 중 해당 몸체부(100)의 가장 하단측 부위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외 공간을 연통하는 통과공(13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용홈(120)은 평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body part 100 is manufactured, a helical receiving groove 12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and a corresponding body part 100 A through hole 130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and outer spaces of the body 100 is formed. At this time, the receiving groove 120 is formed to have a planar structure.

또한, 상기 스트로우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와는 별도의 사출 공정을 통해 성형한다. 이때 상기 스트로우부(200)는 투명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납작한 형태의 다각형 관체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traw 200 is formed through an injection process separate from the body 100. At this time, the straw unit 200 is formed of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and is formed of a flat polygonal tubular body.

이와 함께, 상기 스트로우부(200)의 일측 끝단 벽면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통과공(130)과 연통되는 연통공(210)을 관통 형성하며, 이때 상기한 연통공(210)은 펀칭기 등을 이용하여 성형되도록 하지만, 설명되지 않은 여타의 방법으로 성형되도록 할 수도 있다.A through hole 130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130 of the body part 100 is formed through one end wall of the straw part 200. The through hole 210 may be formed by a punching machine, But may be formed by any other method not described.

다음으로, 상기 준비된 몸체부(100)에 상기 스트로우부(200)를 결합한다.Next, the straw unit 200 is coupled to the prepared body unit 100.

상기 스트로우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수용홈(120)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상기 스트로우부(200)의 외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상기 수용홈(120) 내에 수용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면을 권취하도록 하며, 특히 상기 스트로우부(20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홈(120) 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straw portion 200 is installed along the receiving groove 120 of the body portion 100 so that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traw portion 200 except for the outer surface of the straw portion 20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120, The straw portion 200 can be attached and fixed within the receiving groove 120 by using an adhesive.

이때, 상기 스트로우부(200) 및 상기 수용홈(120) 간의 대향면은 평면 구조로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서로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진 만큼 접착제를 이용한 부착 고정시 상기 스트로우부(200)의 원치않는 탈거가 방지될 수 있다.Considering that the facing surfaces between the straw portion 200 and the receiving recess 120 are formed in a planar structur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trues 200 and the receiving recesses 120 is increased, Detachment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한 스트로우부(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해당 몸체부(100) 내에 음료를 충전한 후 개폐캡(300)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입출단(110)을 폐쇄한다.When the straw unit 200 is installed, the beverage is filled in the body unit 100 and the inlet and outlet 110 of the body unit 100 is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cap 300.

이때, 상기 개폐캡(300)을 이용하여 상기 입출단(110)을 폐쇄할 때에는 상기 스트로우부(200)를 굽혀 상기 입출단(110)의 상면에 형성된 요입홈(111) 내에 요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폐캡(300)의 폐쇄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input / output end 110 is closed by using the opening / closing cap 300, the straw portion 200 is bent and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1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put / output end 110, So that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ap 300 can be performed smoothly.

결국,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완성되는 음료 용기는 내부에 음료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저장되는 음료의 색상이나 종류에 대하여는 외부에서의 식별이 어렵다.As a result, the beverage container comple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es can store the beverage therein, and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color or kind of the beverage stored from the outside.

즉, 스트로우부(20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지만, 몸체부(100)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100) 내에 저장된 음료의 색상이나 종류에 대하여는 알 수 없는 것이다.That is, although the straw unit 20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ince the body unit 100 is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the user can not know the color or type of the beverage stored in the body unit 100.

하지만, 사용자가 스트로우부(200)를 통해 몸체부(100) 내에 저장된 음료를 흡인하게 되면 상기 음료는 상기 스트로우부(200)를 따라 제공되는 흡인력에 의해 상기 스트로우부(200)를 따라 유동하게 되고, 상기 스트로우부(20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한 스트로우부(200)를 따라 유동되는 음료의 색상이나 종류에 대한 외부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user sucks the beverage stored in the body part 100 through the straw part 200, the beverage flows along the straw part 200 by the suction force provided along the straw part 200 And the straw unit 20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t is possible to externally discriminate the color or the kind of the beverage flowing along the straw unit 20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Meanwhile,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예컨대, 스트로우부(200)와 몸체부(100)의 내부 공간 간을 연통시키는 구조는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스트로우부(200)의 끝단을 상기 몸체부(100)의 하단 둘레면에 관통시켜 장착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몸체부(100)의 하단 둘레면에 상기 스트로우부(200)와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결합부(도시는 생략됨)를 돌출 형성한 후 상기 결합부에 상기 스트로우부(200)의 하단을 연결하여 장착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tructure for communicating the straw portion 200 with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100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the end of the straw portion 200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A separate engaging portion (not shown) for connecting to the straw portion 200 is protruded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n the straw portion (not shown) 200 may be connected and attached to the lower ends thereof.

또한, 몸체부(10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용홈(120)은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입출단(110)의 끝단에 이르기까지 형성할 수도 있지만,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를 이루는 입출단(110)의 둘레면 일부를 요입되게 성형함으로써 상기 요입 부위를 통해 스트로우부(200)의 상측 끝단 부위가 상향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receiving groove 120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0 may be formed up to the end of the input / output end 110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owever,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traw portion 200 protrudes upward through the recessed portion by forming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put / output end 110 forming the portion 100 to be recessed.

또한, 상기 스트로우부(200)의 상측 끝단은 몸체부(100)의 입출단(110)에 개폐캡(300)을 덮는 과정에서 반드시 절곡시켜야만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캡(300)의 높이를 상기 스트로우부(200)의 상측 끝단과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높게 형성한다면 상기 스트로우부(200)를 반드시 굽히지 않더라도 상관없는 것이다.The upper end of the straw unit 200 is not necessarily bent at the entrance and exit end 110 of the body 100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opening and closing cap 300. 6, if the height of the opening and closing cap 300 is se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upper end of the straw unit 200, the straw unit 200 may not necessarily be bent .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는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일반적인 보관 상태에서는 내부에 저장된 음료의 색상이나 종류에 대한 식별이 불가능하고, 사용자가 스트로우부(200)를 통해 음료를 마시게 될 경우에만 상기 음료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지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놀이 등의 진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As a result, in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ossible to identify the color or the type of the beverage stored therein in a normal storage state, and only when the user drinks the beverage through the straw portion 2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sual pleasure to the user, 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kinds of play using the same.

특히, 상기한 스트로우부(200)는 원형이 아닌 납작한 형태의 사다리꼴 혹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구성됨에 따라 음료의 이동에 따른 식별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게 되어 심미감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 장점을 가진다.Particularly, since the straw unit 200 is configured to have a trapezoidal shape or a quadrangular shape rather than a circular shape, the identific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everage can be made more distinct, thereby improving the esthetic feeling .

100. 몸체부 110. 입출단
111. 요입홈 111. 요입홈
120. 수용홈 130. 통과공
200. 스트로우부 210. 연통공
300. 개폐캡
100. Body 110. I /
111. Groove 111. Groove
120. Receiving groove 130. Through hole
200. Straw part 210. Communicating hole
300. Opening and closing cap

Claims (5)

음료가 수용되는 몸체를 형성하면서 상단에는 음료의 입출을 위한 입출단을 가짐과 더불어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수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불투명 재질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수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홈 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용홈을 따라 권취되는 투명 재질의 스트로우부;
상기 몸체부의 입출단과 상기 스트로우부의 상측 끝단을 일괄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입출단을 폐쇄하는 개폐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의 하단 부위에는 몸체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우부의 하단 부위에는 몸체부의 통과공이 형성된 곳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를 이루는 입출단의 둘레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요입된 요입홈이 형성되고, 스트로우부의 상측 끝단은 상기 요입홈 내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폐캡에 의한 입출단의 개폐시 간섭 발생이 회피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부의 수용홈 및 상기 스트로우부는 서로 간의 접촉면이 평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An opaque body portion having an inlet / outlet end for receiving / dispensing a beverage and a spiral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t an upper end thereof while forming a body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A transparent straw portion which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body portion and is wound along the receiving groove while being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an opening / closing cap which collectively surrounds the entrance and exit ends of the body por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straw portion and closes the entry / exit end;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body portion, and a communicating hole is formed i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traw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And an upper end of the straw portion is formed to be received in the concave groove so as to prevent interference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put / output end by the opening / closing cap, ;
Where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straw portion are formed such that the contact surfaces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straw portion form a planar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13788A 2013-02-07 2013-02-07 container for a drink KR1014414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788A KR101441408B1 (en) 2013-02-07 2013-02-07 container for a dr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788A KR101441408B1 (en) 2013-02-07 2013-02-07 container for a dri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035A KR20140101035A (en) 2014-08-19
KR101441408B1 true KR101441408B1 (en) 2014-09-25

Family

ID=51746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788A KR101441408B1 (en) 2013-02-07 2013-02-07 container for a dr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40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546B1 (en) * 2019-06-28 2021-07-05 남상경 A straw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315A (en) * 2008-09-12 2010-03-22 윤영진 Drinking bottle
KR20120110254A (en) * 2011-03-29 2012-10-10 남상경 Container for a drin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315A (en) * 2008-09-12 2010-03-22 윤영진 Drinking bottle
KR20120110254A (en) * 2011-03-29 2012-10-10 남상경 Container for a dr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035A (en) 201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0072A1 (en) Plastic container
WO2008069845A3 (en) Molded plastic container and preform having insert-molded rfid tag
EP2653171B1 (en) Fragrance bottle
KR20020064938A (en) Composite closure cap
EP2079640A1 (en) A vessel having a transparent windows
KR101441408B1 (en) container for a drink
US20110042374A1 (en) Drink cup
US6851581B2 (en) Washing agent dispenser for a household a dishwasher
KR101209859B1 (en) container for a drink
KR20120004997U (en) A portable drinking receptacle for tea
US20110101026A1 (en) Dispenser for soap
EP3406976B1 (en) Rechargeable dehumidifier
CN102857059B (en) Motor
KR101053388B1 (en) Beverage container
KR101014931B1 (en) Drinking bottle
CN109479077A (en) Particularly for the container for protecting the device of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method for the manufacture container
JP2008150101A (en) Container for two sorts of beverage
JP6628782B2 (en) Stator unit
CN106263963A (en) A kind of handled bowl cover and shake cup
KR200425347Y1 (en) A standard capacity discharge case of liquid content
KR200429142Y1 (en) Airless pump type vessel having coil type deep tube
KR20130003950U (en) A double cup
KR200467846Y1 (en) Cosmetic vessel
KR200465273Y1 (en) The Drainage device of the sink
EP1820746A1 (en) Improved lid for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