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297B1 - 핀 튜브 클리닝 장치 및 복합화력발전설비 - Google Patents

핀 튜브 클리닝 장치 및 복합화력발전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297B1
KR101441297B1 KR1020130110859A KR20130110859A KR101441297B1 KR 101441297 B1 KR101441297 B1 KR 101441297B1 KR 1020130110859 A KR1020130110859 A KR 1020130110859A KR 20130110859 A KR20130110859 A KR 20130110859A KR 101441297 B1 KR101441297 B1 KR 101441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fin tube
pressure
turbin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1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02C6/18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using the waste heat of gas-turbine plants outside the plants themselves, e.g. gas-turbine power heat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7/00Plants for converting heat or fluid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합화력발전설비는, 가스터빈; 상기 가스터빈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터빈에서 발생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덕트; 내부에 매체가 흐르며,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핀 튜브; 상기 핀 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핀 튜브 내부에서 가열에 의해 상기 매체로부터 생성된 증기가 공급되는 증기터빈; 상기 핀 튜브와 상기 증기터빈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를 상기 증기터빈에 공급하는 증기공급라인; 상기 핀 튜브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핀 튜브를 향해 상기 증기를 토출하는 증기노즐; 그리고 상기 증기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증기노즐에 연결되는 증기배출라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핀 튜브 클리닝 장치 및 복합화력발전설비{FIN TUBE CLEANING APPARATUS AND COMBINED CYCLE POWER PLANT}
본 발명은 핀 튜브 클리닝 장치 및 복합화력발전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핀 튜브 내부에서 생성된 증기를 이용하여 핀 튜브를 클리닝할 수 있는 장치 및 복합화력발전설비에 관한 것이다.
복합화력 발전은 연료를 통한 1차 발전에서 생산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다시 2차 발전하는 것으로, 천연가스나 경유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1차로 가스터빈을 돌려 발전하며, 가스터빈에서 나오는 배기가스 열을 다시 보일러에 통과시켜 증기를 생산하여 2차로 증기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것이다.
복합화력은 두 차례에 걸쳐 발전하기 때문에 기존 화력보다 열효율이 높다는 점과, 공해가 적고 정지 후에 다시 가동하는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으며, 건설기간에 있어서도 유연탄화력에 비해 1/3정도에 불과하여 긴급한 전력 계통을 위해 건설되기도 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05-0062290호 2005.06.23.
본 발명의 목적은 핀 튜브에 형성된 그을음을 클리닝할 수 있는 핀 튜브 클리닝 장치 및 복합화력발전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기의 압력이 충분히 높지 않아 증기터빈에 공급될 수 없는 증기를 이용하여 핀 튜브의 표면을 클리닝할 수 있는 핀 튜브 클리닝 장치 및 복합화력발전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합화력발전설비는, 가스터빈; 상기 가스터빈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터빈에서 발생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덕트; 내부에 매체가 흐르며,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핀 튜브; 상기 핀 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핀 튜브 내부에서 가열에 의해 상기 매체로부터 생성된 증기가 공급되는 증기터빈; 상기 핀 튜브와 상기 증기터빈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를 상기 증기터빈에 공급하는 증기공급라인; 상기 핀 튜브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핀 튜브를 향해 상기 증기를 토출하는 증기노즐; 그리고 상기 증기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증기노즐에 연결되는 증기배출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복합화력발전설비는, 상기 증기배출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배출라인을 개폐하는 배출밸브; 상기 증기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배출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압력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배출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배출밸브를 폐쇄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는 20kg/cm2 내지 50kg/cm2일 수 있다.
상기 복합화력발전설비는 상기 증기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공급라인을 개폐하는 공급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급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압력이 상기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공급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공급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복합화력발전설비는 상기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립배치되는 노즐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증기노즐은 상기 노즐헤드를 따라 이격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핀 튜브는 저압 핀튜브 및 중압 핀튜브, 그리고 고압 핀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복합화력발전설비는, 상기 저압 핀튜브에 상기 매체를 공급하는 저압드럼; 상기 중압 핀튜브에 상기 매체를 공급하는 중압드럼; 그리고 상기 고압 핀튜브에 상기 매체를 공급하는 고압드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증기공급라인은 상기 고압 핀튜브와 상기 증기터빈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핀 튜브 클리닝 장치는, 내부에 매체가 흐르는 핀 튜브; 상기 핀 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핀 튜브 내부에서 가열에 의해 상기 매체로부터 생성된 증기가 공급되는 증기터빈; 상기 핀 튜브와 상기 증기터빈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를 상기 증기터빈에 공급하는 증기공급라인; 상기 핀 튜브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핀 튜브를 향해 상기 증기를 토출하는 증기노즐; 그리고 상기 증기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증기노즐에 연결되는 증기배출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핀 튜브 클리닝 장치는, 상기 증기배출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배출라인을 개폐하는 배출밸브; 상기 증기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배출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압력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배출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배출밸브를 폐쇄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핀 튜브의 내부에서 생성된 증기를 이용하여 핀 튜브의 표면에 형성된 그을음을 클리닝할 수 있다. 특히, 종래 증기의 압력이 충분히 높지 않은 경우 증기를 증기터빈에 공급할 수 없어 외부로 방출하였으나, 방출되는 증기를 이용하여 핀 튜브의 표면을 클리닝함으로써 핀 튜브의 열전달효율을 개선하여 증기터빈을 통한 발전효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화력발전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덕트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압력센서와 공급밸브 및 회수밸브에 연결된 제어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핀 튜브를 클리닝할 수 있는 증기의 압력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복합화력발전설비의 작동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화력발전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화력발전설비는, 연료(예를 들어, 천연가스)를 사용하여 동작하는 가스터빈(10)과, 가스터빈(10)으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의 배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배열회수보일러(HRSG: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와, 배열회수보일러(20)에서 발생된 증기에 의해 구동하는 증기터빈(30)을 포함한다.
가스터빈(10)에서는 압축기를 통해 공기가 압축되어 공급되며, 히터(11)에 의해 가열된 고온 상태의 천연가스는 연소기로 보내져 연소가 이루어져 터빈을 회전시키게 되며, 그 동력에 의해 발전기(12)를 구동한다.
배열회수보일러는 가스터빈(10)의 후단에 연결된 덕트(20)와 덕트(20) 내에 설치된 핀 튜브(22a,22b,22c), 그리고 고압드럼(20a), 중압드럼(20b), 고압드럼(20c)을 구비하며, 가스터빈(10)에서 배출된 배열은 배기가스를 통해 덕트(20)에 공급되어 증기 발생 열원으로 이용된 후에 주연돌(22)을 통해 배출된다. 고압드럼(20a), 중압드럼(20b), 고압드럼(20c)은 매체를 저장하며, 매체는 핀 튜브(22a,22b,22c) 내에서 가스터빈(10)에서 배출된 배열에 의해 가열되어 증기상태로 변환되고, 이후에 급수펌프(21)에 의해 증기공급라인(21a,21b,21c)을 통하여 증기터빈(30)으로 공급된다.
증기터빈(30)은 증기 상태의 매체에 의해 회전하여 발전기(31)를 구동함으로써 2차 발전이 이루어지며, 증기터빈(30)에서 배출된 증기는 복수기(32)에서 응축된 후에 복수펌프(33)에 의해 고압드럼(20a), 중압드럼(20b), 고압드럼(20c)으로 다시 공급된다.
복수기(32)는 해수인양펌프 및 순환펌프에 의해 해수가 순환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증기터빈(30)에서 배출된 증기를 응축시킨다. 복수기(32)에는 보일러 공급수를 보충하기 위한 공급원으로써 해수담수화 설비인 원수탱크, 물처리설비, 및 순수탱크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기배출라인(25)은 증기공급라인(21a)으로부터 분기되며, 공급밸브(23b)는 증기배출라인(25)의 분기점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증기공급라인(21a)을 개폐한다. 배출밸브(23c)는 증기배출라인(25)에 설치되어 증기배출라인(25)을 개폐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증기배출라인(25)이 증기공급라인(21a)으로부터 분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증기배출라인(25)은 증기공급라인(21b,21c) 중 어느 하나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기터빈(30)은 증기 상태의 매체를 통해 발전기(31)를 구동하나, 최초 증기터빈(30)을 기동하기 위해서는 매체를 일정 조건(예를 들어, 압력 50kg/cm2 이상, 온도 500℃ 이상)으로 승압 및 승온할 필요가 있으며, 일정 조건에 미달하는 매체는 증기터빈(30)에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매체가 일정 조건에 미달할 경우, 공급밸브(23b)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배출밸브(23c)를 개방하여 증기 상태의 매체를 증기배출라인(25) 및 보조라인(29)을 통해 대기로 방산해야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방산되는 증기 중 일정 범위 내의 증기를 통해 핀 튜브(22a,22b,22c)의 표면을 클리닝할 수 있다. 한편, 보조밸브(29a)는 보조라인(29)에 설치되어 보조라인(29)을 개폐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덕트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튜브(22a,22b,22c)는 각각 덕트(20) 내부에 설치되며, 고압드럼(20a), 중압드럼(20b), 고압드럼(20c)에 각각 연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압드럼(20a), 중압드럼(20b), 고압드럼(20c)에 각각 저장된 매체는 핀 튜브(22a,22b,22c)의 내부를 따라 흐르며, 덕트(20)에 공급된 배기가스의 배열을 통해 가열되어 증기상태로 변환된다. 그러나, 연소기 내에서 발생한 연소생성물은 배기가스와 함께 덕트(20)를 따라 흐르며, 핀 튜브(22a,22b,22c)의 표면에 부착되어 그을음 또는 스케일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핀 튜브(22a,22b,22c)의 열전달률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증기발생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배열회수보일러의 배열회수율을 저하되어 열효율 저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핀 튜브(22a,22b,22c)의 표면을 클리닝할 필요가 있으며, 클리닝이 완료된 후 10일 가량이 경과하면 다시 핀 튜브(22a,22b,22c)가 오염되는 현상이 반복된다. 핀 튜브(22a,22b,22c)는 고압수 세척 또는 드라이 아이스 분사, 샌드브라싱을 통해 클리닝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해 배열회수보일러의 가동정지가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직접 클리닝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노즐헤드(27)는 핀 튜브(22a,22b,22c)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기립설치되어 핀 튜브(22a,22b,22c)로부터 이격배치되며, 증기배출라인(25)에 연결되어 증기배출라인(25)을 따라 흐르는 증기 상태의 매체는 노즐헤드(27)에 공급될 수 있다. 증기노즐(27a)은 노즐헤드(27)에 설치되어 노즐헤드(27)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며, 노즐헤드(27)를 통해 증기 상태의 매체가 공급된다. 따라서, 핀 튜브(22a,22b,22c)는 증기노즐(27a)로부터 토출되는 증기 상태의 매체를 통해 클리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작업자가 직접 클리닝하는 수고를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핀 튜브(22a,22b,22c)를 주기적으로 손쉽게 클리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압력센서와 공급밸브 및 회수밸브에 연결된 제어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핀 튜브를 클리닝할 수 있는 증기의 압력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센서(23a)가 증기공급라인(21a) 상에 설치되며, 압력센서(23a)는 증기공급라인(21a) 내부의 증기압력을 측정한다. 제어기(39)는 압력센서(23a)와 공급밸브(23b) 및 회수밸브(23c)에 각각 연결되며, 압력센서(23a)를 통해 측정된 증기압력에 따라 공급밸브(23b) 및 회수밸브(23c)를 각각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기터빈(30)을 기동하기 위해서는 매체를 일정 조건(예를 들어, 압력 50kg/cm2 이상, 온도 500℃ 이상)으로 승압 및 승온할 필요가 있으며, 매체가 일정 조건에 미달할 경우 증기배출라인(25)을 통해 증기를 대기로 방산한다. 따라서, 제어기(39)는 압력 센서(23a)를 통해 측정된 증기압력이 일정 조건(예를 들어, 50kg/cm2) 미만인 경우, 공급밸브(23b)를 폐쇄하여 매체가 증기터빈(30)으로 공급되는 것을 제한하며, 배출밸브(23c)를 개방하여 증기를 증기배출라인(25)으로 유도한다.
이때, 증기압력이 일정 조건(예를 들어, 20kg/cm2) 미만인 경우, 제어기(39)는 보조밸브(29a)를 개방하여 보조라인(29)을 통해 증기를 방산한다. 그러나, 증기압력이 일정 조건(예를 들어, 20kg/cm2) 이상인 경우, 제어기(39)는 보조밸브(29a)를 폐쇄하여 증기가 방산되는 것을 제한하며, 증기는 노즐헤드(27)를 통해 노즐(27a)에 공급되며, 노즐(27a)은 핀 튜브(22a,22b,22c)의 표면에 증기를 분사하여 핀 튜브(22a,22b,22c)의 표면을 클리닝한다. 결론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기압력이 20kg/cm2 이상 50kg/cm 미만인 경우, 증기는 노즐(27a)에 공급되어 핀 튜브(22a,22b,22c)의 표면 클리닝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종래 방산되는 증기를 활용하여 핀 튜브(22a,22b,22c)의 표면을 클리닝할 수 있다. 반면, 증기압력이 20kg/cm2 미만인 경우 증기는 방산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증기압력이 50kg/cm2 이상인 경우 증기는 증기터빈(30)에 공급되어 2차 발전에 사용된다.
한편, 별도의 보조밸브(도시안함)가 보조라인(29)의 분기점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제어기(39)를 통해 조절될 수 있으며, 증기압력이 일정 조건(예를 들어, 20kg/cm2) 미만인 경우 증기배출라인(25)을 폐쇄하여 증기가 노즐헤드(27)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반대로, 압력 센서(23a)를 통해 측정된 증기압력이 일정 조건(예를 들어, 50kg/cm2) 이상인 경우, 제어기(39)는 배출밸브(23c)를 폐쇄하여 증기가 증기배출라인(25)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며, 공급밸브(23b)를 개방하여 매체가 증기터빈(30)으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한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압력센서(23a)는 온도센서로 대체될 수 있으며, 제어기(39)는 온도 조건에 따라 공급밸브(23b) 및 배출밸브(23c), 그리고 보조밸브(29a)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복합화력발전설비의 작동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복합화력발전설비의 작동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스터빈(10)으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는 덕트(20)에 유입되며, 배기가스의 배열에 의해 핀 튜브(22a,22b,22c)가 가열되어 핀 튜브(22a,22b,22c) 내의 매체로부터 증기가 생성된다(S100). 압력센서(23a)는 증기공급라인(21a)에 설치되어 증기의 압력(P)을 감지하며, 제어기(39)는 압력센서(23a)를 통해 증기공급라인(21a) 내부의 증기압력을 측정한다(S200).
제어기(39)는 증기압력이 일정 조건(예를 들어, 20kg/cm2 이상 50kg/cm 미만)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S300), 증기압력이 일정 조건에 해당할 경우 공급밸브(23b)를 통해 증기공급라인(21a)을 폐쇄하며(S400), 배출밸브(23c)를 통해 증기배출라인(25)을 개방한다(S500). 이때, 보조밸브(29a)를 통해 보조라인(29)은 폐쇄된다. 따라서, 증기는 증기배출라인(25)을 통해 노즐헤드(27)로 이동하며, 노즐(27a)은 핀 튜브(22a,22b,22c)의 표면에 증기를 토출하여 클리닝할 수 있다(S600). 즉, 본 실시예에서는 증기터빈(30)의 기동과정에서 사용할 수 없는 증기 중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증기를 이용하여 핀 튜브(22a,22b,22c)의 표면을 클리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증기터빈(30)을 기동하기 이전에 주기적으로 핀 튜브(22a,22b,22c)의 표면을 클리닝할 수 있으므로, 핀 튜브(22a,22b,22c)의 열전달률을 대폭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기발생량을 증가시켜 배열회수보일러의 배열회수율 및 열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제어기(39)는 증기압력이 일정 조건(예를 들어, 20kg/cm2 이상 50kg/cm 미만)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즉, 증기압력이 20kg/cm2 미만일 경우 공급밸브(23b)를 통해 증기공급라인(21a)을 폐쇄하며(S320), 배출밸브(23c)를 통해 증기배출라인(25)을 개방하고 보조밸브(29a)를 통해 보조라인(29)을 개방하여 증기를 보조라인(29)을 통해 방산한다(S340).
한편, 핀 튜브(22a,22b,22c)의 클리닝이 개시된 이후에도 제어기(39)는 증기압력이 일정 조건(예를 들어, 50kg/cm 미만)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S700), 가스터빈(10)이 가동됨에 따라 증기압력은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증기압력이 일정 조건에 해당할 경우 배출밸브(23c)를 통해 증기배출라인(25)을 폐쇄하며(S800), 공급밸브(23b)를 통해 증기공급라인(21a)을 개방한다(S900). 따라서, 증기는 증기공급라인(21a)을 통해 증기터빈(30)으로 공급되며, 증기터빈(30)은 증기에 의해 회전하여 발전기(31)를 구동함으로써 2차 발전이 이루어진다(S1000).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가스터빈 11 : 히터
12,31 : 발전기 20 : 덕트
20a,20b,20c : 드럼 21 : 급수펌프
21a,21b,21c : 증기공급라인 22 : 주연돌
22a,22b,22c : 핀 튜브 23a : 압력센서
23b : 공급밸브 23c : 배출밸브
25 : 증기배출라인 27 : 노즐헤드
27a : 증기노즐 29 : 보조라인
29a : 보조밸브 30 : 증기터빈
32 : 복수기 33 : 복수펌프
39 : 제어기

Claims (8)

  1. 가스터빈;
    상기 가스터빈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터빈에서 발생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덕트;
    내부에 매체가 흐르며,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핀 튜브;
    상기 핀 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핀 튜브 내부에서 가열에 의해 상기 매체로부터 생성된 증기가 공급되는 증기터빈;
    상기 핀 튜브와 상기 증기터빈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를 상기 증기터빈에 공급하는 증기공급라인;
    상기 핀 튜브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핀 튜브를 향해 상기 증기를 토출하는 증기노즐; 및
    상기 증기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증기노즐에 연결되는 증기배출라인을 포함하는, 복합화력발전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화력발전설비는,
    상기 증기배출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배출라인을 개폐하는 배출밸브;
    상기 증기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배출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압력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배출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배출밸브를 폐쇄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복합화력발전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범위는 20kg/cm2 내지 50kg/cm2인, 복합화력발전설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화력발전설비는 상기 증기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공급라인을 개폐하는 공급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급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압력이 상기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공급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공급밸브를 개방하는, 복합화력발전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화력발전설비는 상기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립배치되는 노즐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증기노즐은 상기 노즐헤드를 따라 이격배치되는, 복합화력발전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튜브는 저압 핀튜브 및 중압 핀튜브, 그리고 고압 핀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복합화력발전설비는,
    상기 저압 핀튜브에 상기 매체를 공급하는 저압드럼;
    상기 중압 핀튜브에 상기 매체를 공급하는 중압드럼; 및
    상기 고압 핀튜브에 상기 매체를 공급하는 고압드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증기공급라인은 상기 고압 핀튜브와 상기 증기터빈을 연결하는, 복합화력발전설비.
  7. 내부에 매체가 흐르는 핀 튜브;
    상기 핀 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핀 튜브 내부에서 가열에 의해 상기 매체로부터 생성된 증기가 공급되는 증기터빈;
    상기 핀 튜브와 상기 증기터빈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를 상기 증기터빈에 공급하는 증기공급라인;
    상기 핀 튜브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핀 튜브를 향해 상기 증기를 토출하는 증기노즐; 및
    상기 증기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증기노즐에 연결되는 증기배출라인을 포함하는, 핀 튜브 클리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핀 튜브 클리닝 장치는,
    상기 증기배출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배출라인을 개폐하는 배출밸브;
    상기 증기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배출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압력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배출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배출밸브를 폐쇄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핀 튜브 클리닝 장치.
KR1020130110859A 2013-09-16 2013-09-16 핀 튜브 클리닝 장치 및 복합화력발전설비 KR101441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859A KR101441297B1 (ko) 2013-09-16 2013-09-16 핀 튜브 클리닝 장치 및 복합화력발전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859A KR101441297B1 (ko) 2013-09-16 2013-09-16 핀 튜브 클리닝 장치 및 복합화력발전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297B1 true KR101441297B1 (ko) 2014-09-17

Family

ID=5176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859A KR101441297B1 (ko) 2013-09-16 2013-09-16 핀 튜브 클리닝 장치 및 복합화력발전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2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310A (ko) * 2016-09-08 2018-03-16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복합화력발전소 배열회수보일러의 튜브박리 비산철 제거용 워터폴 시스템
KR101853188B1 (ko) * 2016-06-17 2018-04-27 한국전력공사 오염물 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화력 발전 시스템
KR102065064B1 (ko) * 2018-11-07 2020-02-11 주식회사 포스코 배관 내 잔존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486A (ja) * 1997-06-27 1999-01-19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
KR101295806B1 (ko) 2012-09-07 2013-08-12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흡수식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발전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복합화력 발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486A (ja) * 1997-06-27 1999-01-19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
KR101295806B1 (ko) 2012-09-07 2013-08-12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흡수식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발전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복합화력 발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188B1 (ko) * 2016-06-17 2018-04-27 한국전력공사 오염물 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화력 발전 시스템
KR20180028310A (ko) * 2016-09-08 2018-03-16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복합화력발전소 배열회수보일러의 튜브박리 비산철 제거용 워터폴 시스템
KR101870267B1 (ko) * 2016-09-08 2018-06-2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복합화력발전소 배열회수보일러의 튜브박리 비산철 제거용 워터폴 시스템
KR102065064B1 (ko) * 2018-11-07 2020-02-11 주식회사 포스코 배관 내 잔존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0750B2 (ja) 高効率蒸気発生装置および方法
RU2364794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централизованного теплоснабжения
CN103912464A (zh) 太阳能光热与bigcc集成的联合发电***
KR101441297B1 (ko) 핀 튜브 클리닝 장치 및 복합화력발전설비
CN103967544A (zh) 燃气-蒸汽联合循环发电机组余热利用***
RU2650232C1 (ru) Теплофикационная парогазовая установка
KR950019379A (ko)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발전소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장치
CN204003297U (zh) 太阳能光热与bigcc集成的联合发电***
CN103573306B (zh) 一种火电厂邻机辅汽加热锅炉启动***
WO2012162923A1 (zh) 燃气和蒸汽轮机***
RU2409746C2 (ru) Парогазовая установка с паротурбинным приводом компрессора и регенеративной газовой турбиной
KR101690384B1 (ko) 연소로 폐열회수장치 및 연소로 폐열회수방법
RU2349764C1 (ru) Теплоэлектроцентраль, надстроенная газотурбинной установкой
RU2605878C1 (ru) Турбодетандерная система утилизации теплоты циркуляционной воды на конденсационных блоках паровых турбин теплово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танции
CN104594964A (zh) 一种新型单轴天然气联合循环供热机组***
CN105041394B (zh) 一种发电***及其运行控制方法
CN104271897A (zh) 汽轮机装置的强迫冷却
RU121863U1 (ru) Парогазовая установка
RU126373U1 (ru) Парогазовая установка
RU2656769C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газотурбодетандерной 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теплово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танции
RU2420664C2 (ru) Многорежимная теплофика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RU167924U1 (ru) Бинарная парогазовая установка
JP2020046138A (ja)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設備と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設備の運転方法
JP2003021301A (ja) ボイラ設備及び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ガスタービン発電設備及び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及びボイラ設備の水回収方法
RU2629319C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котельной установки теплоэлектроцентрал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