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130B1 -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130B1
KR101441130B1 KR1020080005061A KR20080005061A KR101441130B1 KR 101441130 B1 KR101441130 B1 KR 101441130B1 KR 1020080005061 A KR1020080005061 A KR 1020080005061A KR 20080005061 A KR20080005061 A KR 20080005061A KR 101441130 B1 KR101441130 B1 KR 101441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ontrol information
frame
service data
ser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735A (ko
Inventor
임연주
권환준
이학주
정홍실
김재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74765.6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13114A1/en
Priority to US12/812,178 priority patent/US8582479B2/en
Priority to AU2009203283A priority patent/AU2009203283B2/en
Priority to PCT/KR2009/000093 priority patent/WO2009088230A2/ko
Priority to CN2009801082294A priority patent/CN101960751B/zh
Priority to JP2010542165A priority patent/JP4896263B2/ja
Priority to EP09701413A priority patent/EP2234296A4/en
Publication of KR20090076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다수의 서비스들의 수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 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현재 프레임의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삽입하고, 상기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기는 서비스를 변경하여도 변경된 서비스의 프레임 내 위치 및 복호에 필요한 제어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제어 채널을 읽지 않고서도 서비스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방송, 시그널링, 제어 정보, 서비스 변경, P2, Inband-signalling

Description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BROADCASTING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서비스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방송 통신 서비스는 본격적인 디지털화, 다채널화, 광대역화, 고품질화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고화질 디지털 TV(Television)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 방송 기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디지털 방송 서비스도 다양한 수신 방식 지원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유럽향 2세대 지상파 디지털 방송 규격인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에서는 수신방식을 종래의 가정용 디지털 수신안테나를 재활용하는 수신방식과, 용량증대를 위해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는 수신방식, 그리고 휴대용 이동 단말을 위한 수신방식의 3가지 방식에 대한 각각의 표준을 진행하고 있다. 1세대 지상파 디지털 방송 규격인 DVB-T/H이 고정형/이동형 수신 방식의 2가지만 고려하는데 비하여, DVB-T2에서는 다중안테나를 이용하는 방식에 대해 추가적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물리계층 구조 및 물리계층 구조에 따른 제어정보의 변경을 주된 표준화 작업으로 고려하고 있다.
DVB-T2의 물리계층 구조에서, 제어 채널은 물리계층에서의 전송방식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채널로써, 전송되는 신호의 기본 단위를 프레임이라고 한다면, 한 개의 프레임은 복수개의 서비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인덱스, 위치 정보, 변조방식/부호율, 셀 아이디(cell ID) 등을 포함한다. 제어 채널은 프레임마다 서비스 구성 및 관련 정보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매 프레임마다 데이터 채널과 별도로 전송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1세대 방송시스템에서 FF(Fixed Frequency) 모드에 따라 방송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송신기(102)은 복수개의 RF(Radio Frequency) 대역마다 각각 다른 방송 서비스들을 전송하고, 수신기(104)는 원하는 서비스가 담겨있는 RF로 튜닝(tuning)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104)는 서비스 1을 수신하고자 한다면 RF 1로 튜닝하여 제어 채널을 통해 서비스 1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변조/코딩 방식 등의 정보를 얻어 서비스 1을 복호한다.
도 2a는 종래 2세대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송신기(202)에서는 복수개의 RF들을 연동하여 기존의 긴 패킷으로 구성된 서비스(도 1에서의 각 서비스에 대응함)를 복수개의 짧은 서브슬롯으로 나누어 복수개의 RF 대역을 통해 전송한다. 수신기(204)에서는 제어 정보를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각 RF 대역에서의 위치를 추적하여 해당 서비스를 수신한다. 서비스 1을 수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수신기(204)는 시간 영역에서 서브슬롯을 수신할 수 있는 순서대로, 즉 RF 1, RF 4, RF 3, RF 2의 순서로 해당 서비스를 복호한다. 따라서 동일한 양의 서비스를 송신하더라도 서비스마다 고정된 RF를 이용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한번에 전송할 때보다, 복수개의 주파수를 통해 작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시간 및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이 예상된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 구성 방식을 TFS(Time-Frequency Slicing)라 한다.
도 2b는 종래 TFS의 전송 프레임 규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에서는 4개의 RF에 10개의 서비스 패킷(packet)이 전송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TFS 프레임은 한 개의 RF에 모든 서비스 패킷들을 할당하고, 인접 RF에는 모든 서비스 패킷들에 대하여 순환 시프트(cyclic shift)된 형태를 배치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도 2b에서와 같이 4개의 RF 대역을 사용한 경우에는 하나의 서비스가 4개의 RF들(RF1~RF4)을 통해 전송되므로 각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4개의 서브슬롯으로 구성되지만, 서비스 3과 같이 순환 시프트 수행으로 인해 5개의 서브슬롯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b에서 각 프레임의 처음 부분에서는 P1 신호와 P2 신호가 전송된다. P1 신호(201)는 시간 동기를 맞추기 위한 프리앰블(preamble)로 사용될 수 있으며, P2 신호(203)는 현재 또는 다음 프레임에 포함된 서비스들 각각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 정보는 각 서비스의 데이터가 프레임 내에서 어느 시점에서 시작되고 어느 시점에서 끝나는지에 대한 위치 정보 등을 지시한다. 서비스를 계속 수신하다가 수신기가 서비스 채널을 변경하게 되면, 수신기는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여야 변경된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서비스 변경을 나타내고 있다. 시간 영역에서 복수개의 프레임들(frame n, …, frame n+3)이 전송되고 있을 때, 각 프레임은 프레임 초기에 P2 신호(303~311)와 그 뒤를 이어지는 복수개의 서비스로 이루어진 트래픽 신호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은 도 1 또는 도 2에서와 같은 FF 모드 또는 TFS 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FF 모드에서의 전송을 고려하도록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P2 신호는 현재 프레임에 대한 제어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3에서 수신기가 프레임 n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다가 다른 서비스로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301), 수신기는 다음 프레임에서 변경된 서비스의 수신을 위하여 P2 신호를 복호하게 된다. 이때, P2 신호(305)는 프레임 n+1에서의 스케쥴링 정보를 나타내기 때문에 P2 신호(305)에 대한 복호가 실패하게 되면, 수신기는 프레임 n+1에서의 변경된 서비스를 수신할 수 없다. 또한, 연속적으로 P2 신호의 복호가 실패하는 경우, 즉 P2 신호(305)는 물론 프레임 n+2의 P2 신호(307)에 대해서도 복호를 실패하게 되면, 수신기는 프레임 n+3의 P2 신호(309)로부터 획득한 제어 정보(313)를 이용하여 프레임 n+3에서 변경된 서비스를 수신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게 되면, P2 신호의 복호 성공 여부에 따라 서비스 변경 시점에서부터 변경된 서비스의 수신 시까지 걸리는 재핑 시간(Zapping time)이 길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수신기에서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 효율적으로 변경된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서비스 데이터에 삽입하여 효율적으로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 변경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다음 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현재 프레임의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삽입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다음 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1 제어 정보가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삽입된 현재 프레임을 수신하는 과정과, 서비스 변경 시 상기 수신된 현재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는 다음 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현재 프레임의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삽입하는 제어 정보 처리부와,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삽입된 서비스 데이터를 정해진 포맷의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는 다음 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1 제어 정보가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삽입된 현재 프레임을 수신하는 프레임 수신부와, 상기 현재 프레임에서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중에 다른 서비스로의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는 지를 판단하는 서비스 변경 판단부와, 상기 서비스 변경 시 상기 수신된 현재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비스 복호기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한 개 또는 복수개의 RF를 연동하여 복수개의 서비스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서비스 변경 시 변경된 서비스의 수신을 신속하게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수신하기를 원하는 서비스 채널을 바꾸게 되어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게 되었을 때, 수신기가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P2 신호에 대한 복호가 실패하게 되더라도 다음 프레임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시그널링 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프레임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프레임의 서비스 데이터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인밴드(in-band) 시그널링 기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인밴드 시그널링은 서비스의 종류를 앵커(anchor) 서비스, 프라이머리(primary) 서비스, 세컨더리(secondary) 서비스로 나누고, 서비스 종류별로 각 서비스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의 구성을 달리 한다. 또한, 프라이머리 서비스의 개수를 지정함으로써, 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는 총 서비스의 수를 미리 결정된 프라이머리 서비스의 개수와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서비스가 전송될 때 서비스 종류별로 각 서비스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총 N+K개의 서비스가 프레임을 통해 전송되고 있다고 할 때, 프라이머리 서비스가 N개(1 ~ N으로 표기함)(410), 세컨더리 서비스가 K개(N+1~N+K로 표기함)(430) 존재하고, N개의 프라이머리 서비스들(410) 중에서 한 개의 서비스가 앵커 서비스(anchor service)(410a)로 지정되어 있다.
도 4a에서 N개의 프라이머리 서비스들 간의 화살표에서 알 수 있듯이, N개의 프라이머리 서비스들은 제어 정보로서 각 서비스마다 자신을 포함한 모든 프라이머리 서비스들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한다. N개의 프라이머리 서비스들 중에서 한 개는 앵커 서비스로 지정되며, 앵커 서비스는 모든 프라이머리 서비스들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이외에 추가적인 K개의 세컨더리 서비스들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도 포함한다. 한편, 세컨더리 서비스들은 자신을 포함한 앵커 서비스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전송되는 총 서비스 수가 N개 이하가 되면, 전송되는 모든 서비스들은 프라이머리 서비스가 되어 각 서비스들은 모든 서비스들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된다. 한편, 총 전송되는 서비스의 수가 N개를 넘어설 경우, 즉 N+K개가 되어 프라이머리 서비스들 이외에 추가적으로 K개의 세컨더리 서비스들이 존재할 경우에는, N개의 프라이머리 서비스들 중에서 한 개의 서비스를 앵커 서비스로 결정하고, 앵커 서비스가 프라이머리 서비스들과 세컨더리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모든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변경시 기존 서비스에서 타겟 서비스로의 변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서비스가 TDM 채널인 PLP(Packet Layer Pipe)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며, 타겟/앵커 PLP란 타겟/앵커 서비스를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PLP가 사용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서비스에도 적용 가능함은 명백하다.
도 4b에서 P2 신호(403~411)는 현재 프레임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서비스 데이터에 포함된 제어 정보는 다음 프레임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프라이머리 서비스 수 N은 30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프레임 n+1, n+2의 P2 신호(405, 407)에 대한 복호는 실패된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전송되는 서비스의 수가 프라이머리 서비스의 수인 N 이하인 경우에는 프레임 n에서 서비스 변경이 발생할 때(401), 프레임 n에서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가 프라이머리 서비스가 되므로, 수신기는 프라이머리 서비스의 복호를 통해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즉 프레임 n에서 인밴드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된 제어 정보가 다음 프레임에 대한 제어 정보를 나타내므로, 수신기는 프레임 n+1에서 변경된 서비스를 바로 수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두 개의 P2 신호(405, 407)에 대한 복호가 연속하여 실패한 경우 P2 신호에만 의존하는 기존 시그널링 방식에서보다 두 프레임이 더 빠른 재핑 시간을 달성할 수 있으며, P2 신호(405)에 대한 복호가 실패하고, 다음 P2 신호(407)의 복호가 성공하더라도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후에 바로 프레임 n+1에서 변경된 서비스의 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도 3과 같이 P2 신호에만 의존하는 기존 시그널링 방식에서보다 한 프레임이 더 빠른 재핑 시간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송되는 서비스의 수가 N을 초과하게 되면, 수신기는 프레임 n에서 기존 서비스의 복호를 통해 앵커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프레임 n+1에서 해당 앵커 서비스를 수신하여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따라서 프레임 n+2에서부터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수신이 가능해진다.
한편, 재핑 시간의 관점에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갖는 인밴드 시그널링은 각 서비스가 모든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매우 큰 오버헤드를 요구하기 때문에 수용 가능한 오버헤드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의 수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30개의 서비스를 고려하고, 한 개의 서비스에 대한 오버헤드가 50 비트라고 가정하자. 30개의 서비스들에 대해 각 서비스가 모든 서비스들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도록 할 경우, 총 오버헤드의 양이 30*(30*50)=45000 비트가 되어 오버헤드 비율이 0.125이다. 상기 오버헤드 비율이 수용 가능한 오버헤드 비율값 0.25 이하를 만족한다고 하자. 두 배의 서비스로 확장해 본다면, 즉 60개의 서비스들을 지원한다고 하면, 60*(60*50)=180000 비트로부터 오버헤드 비율이 0.5가 되어 임계치를 넘어서게 된다. 따라서 오버헤드 임계치를 만족하는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수는 최대 42개 정도가 된다.
따라서 재핑 시간에 있어서 좋은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각 서비스가 많은 수의 서비스들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되, 가능한 많은 수의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는 시그널링 기법이 필요하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서비스가 전송될 때 서비스 종류별로 각 서비스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송되는 총 K개의 서비스들 중에서 인밴드 시그널링으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수는 2N+1개이다. 상기 2N+1개의 서비스는 한 개의 프라이머리 서비스와 2N개의 세컨더리 서비스들로 구성된다. 2N+1개의 서비스들 중에서 지정된 한 개의 프라이머리 서비스는 모든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2N+1개의 서비스들은 두 개의 그룹(510, 530)으로 나뉜다. 이때, 프라이머리 서비스(510a)는 두 그룹 모두에 포함되어 두 그룹의 연결 포인트가 된다. 또한, 상기 2N+1개의 서비스들을 서비스 인덱스의 크기에 따라 서비스들을 차례로 정렬하였을 때 가장 작은 인덱스를 갖는 서비스에서부터 차례대로 처음 N개의 세컨더리 서비스들이 그룹 1(510)에 포함되고, 그 다음 N개의 세컨더리 서비스들이 그룹 2(530)에 포함되며, 인덱스 2N+1의 서비스는 프라이머리 서비스(510a)로써 각 그룹에 모두 포함된다. 따라서 각각의 그룹은 한 개의 프라이머리 서비스와 N개의 세컨더리 서비스로 구성되어, N+1개의 서비스들로 이루어진다. 각 서비스의 데이터는 해당 서비스가 속한 그룹의 모든 서비스들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갖고 있고, 프라이머리 서비스가 그룹마다 중복되게 포함되므로 프라이머리 서비스는 결과적으로 모든 그룹들에 속한 모든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다시 정리하면, 각 그룹에 속한 N개의 세컨더리 서비스들은 해당 그룹에 속한 모든 서비스들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갖는다. 즉, 각 세컨더리 서비스는 프라이머리 서비스 및 해당 그룹에 속한 자신을 포함한 모든 세컨더리 서비스들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반면, 프라이머리 서비스는 모든 그룹들에 속한 자신을 포함한 모든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도 4a에서의 구성과 비교해 볼 수 있도록 도 5a의 제2 실시예에서 그룹 2에 속한 서비스 인덱스가 N+3인 서비스를 고려해 보자. 제1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인덱스 N+3인 서비스가 N개의 서비스로 이루어진 그룹 내의 한 서비스로 서비스가 변경되는 경우가 되던지, N개의 서비스로 구성된 그룹 이외의 임의의 한 서비스로 서비스가 변경되는 경우가 되든지, 수신기는 앵커 서비스를 통해 타겟 서비스의 제어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반면에 제2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그룹 2에 속한 서비스 인덱스가 N+3인 서비스에서 그룹 1에 포함된 서비스로의 변경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인덱스가 2N+1인 프라이머리 서비스를 통해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의 획득이 필요하지만, 그룹 2에 속한 타겟 서비스로의 변경은 바로(추가적인 제어 정보의 획득 동작 없이) 가능하다.
즉, 그룹간의 서비스 변경을 위해서는 프라이머리 서비스와 같은 추가적인 서비스에 대한 복호를 통해 타겟 서비스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동일 그룹 내에서의 서비스 변경은 추가적인 서비스 수신을 통하지 않고 바로 타겟 서비스의 제어 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또한, 각 서비스가 다른 서비스들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기본 구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동일한 시그널링 오버헤드 비율을 가정해 보자. 예를 들어, 0.25% 이하의 오버헤드 비율을 만족시키면서 지원 가능한 최대의 서비스의 수가 42개라고 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30개의 서비스들로 구성된 두 개의 그룹을 통해 총 60개의 서비스들이 0.25% 이하의 오버헤드 비율로 지원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오버헤드 양은 2*30*(30*50)=90000 비트로써, 42개의 서비스들이 각 서비스마다 모든 서비스들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할 경우의 42*(42*50)=88200 비트와 비슷한 오버헤드를 요구한다. 즉, 도 5a의 구성은 시그널링 구성 및 오버헤드 관점에서 거의 동일한 가정을 가지면서 42개의 서비스들보다 18개 더 많은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변경시 기존 서비스에서 타겟 서비스로의 변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에서 P2 신호(503~511)는 현재 프레임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서비스 데이터에 포함된 제어 정보는 다음 프레임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프레임 n+1, n+2의 P2 신호(405, 407)에 대한 복호는 실패된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그룹당 세컨더리 서비스의 수는 N개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수신기가 현재 수신중인 서비스와 변경하고자 하는 타겟 서비스가 동일한 그룹 내에 있을 경우는 현재 서비스가 타겟 서비스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프레임 n에서의 서비스 변환(501)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수신기는 바로 다음 프레임인 프레임 n+1에서 타겟 서비스의 수신이 가능하다. 즉, 프레임 n에서 현재 서비스로부터의 인밴드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된 제어 정보가 다음 프레임에 대한 제어 정보를 나타내므로, 수신기는 프레임 n+1에서 변경된 서비스를 바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P2 신호(505, 507)에 대한 복호가 연속하여 실패한 경우 P2 신호에만 의존하는 기존 시그널링 방식에서보다 두 프레임이 더 빠른 재핑 시간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수신중인 서비스와 변경하고자 하는 타겟 서비스가 각기 다른 두 개의 그룹 내에 있을 경우, 수신기는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얻기 위해서 프라이머리 서비스를 이용한다. 즉, 수신기는 프레임 n에서 기존 서비스의 복호를 통해 프라이머리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프레임 n+1에서 상기 프라이머리 서비스를 수신하여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따라서 프레임 n+2에서부터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수신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두 개의 P2 신호(505, 507)에 대한 복호가 연속하여 실패한 경우 P2 신호에만 의존하는 기존 시그널링 방식에서보다 한 프레임이 더 빠른 재핑 시간을 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P2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신기가 수신중인 서비스에서 다른 서비스로 변경할 경우 수신기가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송신기는 데이터 채널과 별도의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P2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송신기는 602 단계에서 서비스들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P2 신호를 구성하고, 상기 P2 신호를 프레임에 삽입한다. 그리고 604 단계에서 송신기는 상기 P2 신호가 삽입된 프레임을 수신기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P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2 단계에서 수신기는 현재 프레임에서 서비스 n을 수신한다. 그리고 704 단계에서 수신기는 상기 서비스 n을 수신하고 있는 중에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여,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 706 단계에서 다음 프레임에서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P2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P2 신호의 복호를 시도하고,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702 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해서 서비스 n을 수신한다.
708 단계에서 수신기는 P2 신호의 복호가 성공했는지를 판단하여, 실패했을 경우에는 706 단계로 돌아가서 다음 프레임에서 P2 신호의 복호를 다시 시도한다. 만약, 708 단계에서 P2 신호의 복호가 성공하면 수신기는 상기 복호된 P2 신호로부터 타겟 서비스 m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710단계에서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다음 프레임에서의 타겟 서비스 m이 전송되는 위치에서 상기 서비스 m을 수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송신기는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서비스 데이터에 제어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도 8을 참조하면, 802 단계에서 송신기는 프라이머리 서비스의 개수 N 및 앵커 서비스의 인덱스와 같은 프레임 구성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파라미터들을 고려하여 804 단계에서 P2 신호를 구성한다. 이때, 프라이머리 서비스의 수 N은 송신기와 수신기 간에 지정된 수로 미리 결정될 수 있고, 이 경우 프라이머리 서비스 수 N에 대한 파라미터는 따로 시그널링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프라이머리 서비스들 중에서 어느 서비스를 앵커 서비스로 지정하느냐를 결정하는데 있어서도 송신기와 수신기 간에 상호 약속된 서비스의 인덱스를 사용할 경우 이에 대한 정보는 따로 시그널링 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N개의 프라이머리 서비스의 인덱스들을 인덱스 숫자의 크기별로 나열하였을 때, 첫번째 인덱스 또는 마지막 인덱스(도 4a에서의 앵커 서비스가 이에 해당함)의 서비스를 앵커 서비스로 사용하도록 미리 결정할 수 있다.
806 단계에서는 도 4a에서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서비스 종류별로 각 서비스가 포함해야할 타 서비스들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가 각 서비스 데이터에 삽입된다. 808 단계에서 송신기는 상기 P2 신호 및 서비스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구성하여 수신기로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 수신기는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서비스 데이터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도 9를 참조하면, 902 단계에서 수신기는 서비스 n을 프레임 n(즉 현재 프레임)에서 수신하면서, 904 단계에서 수신기가 프레임 n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다가 다른 서비스로 채널을 변경하는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한다.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902 단계로 돌아가 수신기는 계속해서 다음 프레임에서 서비스 n을 수신한다. 반면,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 수신기는 906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프레임에서 서비스 n에 대한 복호를 완료한다. 그런 다음, 908 단계에서 수신기는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총 서비스의 수를 송신기와 수신기 간에 상호 약속된 또는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된 프라이머리 서비스의 개수 N과 비교한다. 총 서비스의 수가 프라이머리 서비스의 수 N 이하인 경우 수신기는 910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프레임 n에서 타겟 서비스인 서비스 m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912 단계에서 상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m을 수신한다.
한편, 상기 908 단계에서 총 서비스의 수가 프라이머리 서비스 수 N보다 큰 경우 수신기는 914 단계에서 상기 복호된 서비스 n을 통해 앵커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916 단계에서 상기 앵커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프레임(즉, 프레임 n+1)에서 앵커 서비스에 대한 복호를 수행한다. 918 단계에서 수신기는 상기 복호된 앵커 서비스로부터 서비스 m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920 단계에서 상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프레임(즉, 프레임 n+2)에서 서비스 m을 수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서 송신기는 도 5a 및 도 5b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서비스 데이터에 제어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2 단계에서 송신기는 그룹 수, 그룹 크기 N, 그리고 프라이머리 서비스의 인덱스와 같은 프레임 구성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한다. 상기 결정된 파라미터들을 고려하여 1004 단계에서 P2 신호를 구성한다. 이때, 각 그룹을 구성하는 서비스들의 수를 나타내는 그룹 크기 N 및 그룹 수는 송신기와 수신기 간에 지정된 수로 미리 결정될 수 있고, 이 경우 그룹 수 및 그룹 크기에 대한 파라미터는 따로 시그널링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서비스들 중에서 어느 서비스를 프라이머리 서비스로 지정하느냐를 결정하는데 있어서도 송신기와 수신기 간에 상호 약속된 서비스 인덱스를 사용할 경우 이에 대한 정보는 따로 시그널링 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2N+1개의 서비스 인덱스들을 인덱스 크기별로 나열하였을 때, 첫번째 인덱스 또는 마지막 인덱스(도 5a에서의 프라이머리 서비스가 이에 해당함)의 서비스를 프라이머리 서비스로 사용하도록 미리 결정할 수 있다.
1006 단계에서는 도 5a에서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서비스 종류별로 각 서비스가 포함해야 할 서비스들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가 각 서비스 데이터에 삽입된다. 즉 프라이머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에는 모든 그룹들에 속한 모든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각 그룹에 속한 세컨더리 서비스들의 서비스 데이터에는 해당 그룹에 속한 모든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가 포함된다. 1008 단계에서 송신기는 상기 P2 신호 및 상기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들로 프레임을 구성하여 수신기로 전송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서 수신기는 도 5a 및 도 5b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서비스 데이터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1102 단계에서 수신기는 서비스 n을 프레임 n(현재 프레임)에서 수신하면서, 1104 단계에서 수신기가 프레임 n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다가 다른 서비스로 채널을 변경하는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한다.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1102 단계로 돌아가 수신기는 계속해서 다음 프레임에서 서비스 n을 수신한다. 반면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 수신기는 1106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프레임에서 서비스 n에 대한 복호를 완료한다. 그런 다음, 1108 단계에서 수신기는 새로 수신해야 할 타겟 서비스인 서비스 m이 상기 서비스 n과 동일 그룹 내에 존재하는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1108 단계에서 상기 타겟 서비스가 동일 그룹 내에 속한 것으로 판명되면, 수신기는 1110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프레임에서 서비스 m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1112 단계에서 상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프레임(프레임 n+1)에서 서비스 m을 수신한다.
한편, 상기 1108 단계에서 서비스 m이 서비스 n과는 다른 그룹에 있는 속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기는 1114 단계에서 서비스 n의 복호를 통해 프라이머리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1116 단계에서 상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프레임(즉, 프레임 n+1)에서 프라이머리 서비스에 대한 복호를 수행한다. 1118 단계에서 수신기는 상기 복호된 프라이머리 서비스로부터 서비스 m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1120 단계에서 상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프레임(즉, 프레임 n+2)에서 서비스 m을 수신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도 8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 12를 참조하면, 앵커 서비스 인덱스 결정기(1202)와 프라이머리 서비스 수 결정기(1204)를 통해 결정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P2 신호 생성기(1206)에서 P2 신호를 생성한다. 앵커 서비스 제어 정보 삽입기(1212)에서는 앵커 서비스 인덱스 결정기(1202)와 프라이머리 서비스 수 결정기(1204)로부터 입력된 정보 및 서비스 제어 정보 생성기(1208) 및 서비스 데이터 생성기(121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앵커 서비스에 실릴 제어 정보를 앵커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에 삽입한다. 여기서 서비스 제어 정보 생성기(1208)는 상기 앵커 서비스를 위해 모든 서비스들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프라이머리 서비스 제어 정보 삽입기(1214)에서는 프라이머리 서비스 수 결정기(1204), 서비스 제어 정보 생성기(1208) 및 서비스 데이터 생성기(1210)로부터의 입력들을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서비스에 실릴 제어 정보를 프라이머리 서비스의 데이터에 삽입한다. 프라이머리 서비스를 위해 서비스 제어 정보 생성기(1208)는 모든 프라이머리 서비스들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만들어낸다. 마지막으로 세컨더리 서비스 제어 정보 삽입기(1216)는 앵커 서비스 인덱스 결정기(1202), 서비스 제어 정보 생성기(1208) 및 서비스 데이터 생성기(1210)로부터의 입력들을 이용하여 세컨더리 서비스에 실릴 제어 정보를 세컨더리 서비스의 데이터에 삽입하게 된다.서비스 제어 정보 생성기(1208)는 상기 세컨더리 서비스를 위해 해당 세컨더리 서비스 및 앵커 서비스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FF/TFS 프레임 구성기(1218)는 상기 제어 정보들이 삽입된 모든 서비스들의 서비스 데이터를 P2 신호와 함께 FF 또는 TFS 프레임으로 구성한다. 프레임 전송기(1220)는 상기 구성된 FF 또는 TFS 프레임을 수신기로 전송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도 10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 13을 참조하면, P2 신호 생성기(1306)에서는 프라이머리 서비스 인덱스 결정기(1304)와 그룹 수 및 그룹 크기 결정기(1302)를 통해 결정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P2 신호를 생성한다. 프라이머리 서비스 제어 정보 삽입기(1312)에서는 프라이머리 서비스 인덱스 결정기(1304)로부터의 입력 정보 및 서비스 제어 정보 생성기(1308), 서비스 데이터 생성기(1310)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서비스에 실릴 제어 정보를 프라이머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에 삽입한다. 서비스 제어 정보 생성기(1308)는 상기 프라이머리 서비스를 위해 해당 프라이머리 서비스를 포함한 모든 서비스들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만들어낸다.
한편, 세컨더리 서비스 제어 정보 삽입기(1314)에서는 그룹 수 및 그룹 크기 결정기(1304), 서비스 제어 정보 생성기(1308) 및 서비스 데이터 생성기(1310)로부터의 입력들을 이용하여 세컨더리 서비스에 실릴 제어 정보를 세컨더리 서비스의 데이터에 삽입한다.서비스 제어 정보 생성기(1308)는 각 세컨더리 서비스를 위해 각 세컨더리 서비스가 속한 그룹 내의 모든 서비스들(즉, 해당 그룹 내 모든 세컨더리 서비스들 + 프라이머리 서비스)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FF/TFS 프레임 구성기(1318)는 상기 제어 정보들이 삽입된 모든 서비스들의 서비스 데이터를 P2 신호와 함께 FF 또는 TFS 프레임으로 구성한다. 프레임 전송기(1320)는 상기 구성된 FF 또는 TFS 프레임을 수신기로 전송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프레임 수신기(1406)는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을 수신하여 서비스 복호기(1404)에 전달하며, 서비스 변경 판단기(1402)는 해당 프레임에서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중에 타겟 서비스로의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도 9에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의 경우, 서비스 복호기(1404)는 현재 프레임에서의 서비스를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서비스로부터 앵커 서비스 또는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총 서비스 수가 프라이머리 서비스 수를 초과한 경우 서비스 복호기(1404)는 상기 획득한 앵커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앵커 서비스를 복호한 후, 상기 복호된 앵커 서비스로부터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그러면 서비스 복호기(1404)는 상기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서비스를 수신한다.
도 11에서 설명한 제2 실시 예의 경우, 서비스 복호기(1404)는 현재 프레임에서의 서비스를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서비스로부터 프라이머리 서비스 또는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현재 서비스가 속한 그룹과는 다른 그룹 내에 타겟 서비스가 속한 경우 서비스 복호기(1404)는 상기 프라이머리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서비스를 복호한 후, 상기 복호된 프라이머리 서비스로부터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그러면 서비스 복호기(1404)는 상기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서비스를 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1세대 방송시스템을 나타내는 FF 모드에서 방송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2a는 종래 2세대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2b는 종래 TFS의 전송 프레임 규격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서비스 변경을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서비스가 전송될 때 서비스 종류별로 각 서비스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변경시 기존 서비스에서 타겟 서비스로의 변경을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서비스가 전송될 때 서비스 종류별로 각 서비스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변경시 기존 서비스에서 타겟 서비스로의 변경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Claims (30)

  1.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음 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현재 프레임의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삽입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은 다수의 서비스들에 대한 상기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앞 부분에는 상기 현재 프레임에서 제공되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서비스들의 개수가 정해진 개수 이하일 경우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상기 다음 프레임에서 제공되는 다수의 서비스들 모두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서비스들의 개수가 정해진 개수 보다 큰 경우 상기 다수의 서비스들은 프라이머리 서비스와 세컨더리 서비스로 구분되며, 상기 프라이머리 서비스에 속하는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 중 특정 서비스 데이터에 상기 제1 제어 정보로서 삽입되는 정보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들 모두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리 서비스에 속하는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상기 제1 제어 정보로서 삽입되는 정보는 상기 프라이머리 서비스에 속하는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 모두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서비스에 속하는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상기 제1 제어 정보로서 삽입되는 정보는 해당 세컨더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와 상기 특정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서비스들은 특정 서비스를 공통으로 포함하는 다수의 그룹들로 구분되며, 상기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에 상기 제1 제어 정보로서 삽입되는 정보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들 모두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룹들의 각 그룹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외한 나머지 서비스들의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상기 제1 제어 정보로서 삽입되는 정보는 해당 그룹의 서비스들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9.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음 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1 제어 정보가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삽입된 현재 프레임을 수신하는 과정;
    서비스 변경 시 상기 수신된 현재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은 다수의 서비스들에 대한 상기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앞 부분에는 상기 현재 프레임에서 제공되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서비스 변경 시 상기 수신된 현재 프레임에서 상기 서비스 변경 전 수신하던 서비스 데이터의 복호를 완료하는 과정; 및
    상기 복호된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서비스들의 개수가 정해진 개수 보다 큰 경우 상기 다수의 서비스들은 프라이머리 서비스와 세컨더리 서비스로 구분되며,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다수의 서비스들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다수의 서비스들의 개수가 정해진 개수보다 큰 경우 상기 복호된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정보로서 상기 프라이머리 서비스 중에서 특정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1 스케쥴링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현재 프레임을 프레임 n, 상기 다음 프레임을 프레임 n+1이라 했을 때,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레임 n+1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복호하는 과정;
    상기 복호된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변경된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2 스케쥴링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스케쥴링 정보를 근거로 프레임 n+2에서 상기 변경된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트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서비스들이 특정 서비스를 공통으로 포함하는 다수의 그룹들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변경된 서비스가 상기 복호된 서비스 데이터의 해당 서비스와 동일한 그룹 내 존재하는 지 확인하고, 상기 변경된 서비스가 상기 동일한 그룹 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복호된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정보로서 특정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1 스케쥴링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현재 프레임을 프레임 n, 상기 다음 프레임을 프레임 n+1이라 했을 때,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근거로 프레임 n+1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복호하는 과정;
    상기 복호된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변경된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2 스케쥴링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획득된 제2 스케쥴링 정보를 근거로 프레임 n+2에서 상기 변경된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트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6.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음 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현재 프레임의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삽입하는 제어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삽입된 서비스 데이터를 정해진 포맷의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처리부는 상기 현재 프레임에서 상기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삽입된 프레임의 앞 부분에 삽입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서비스들의 개수가 정해진 개수 이하일 경우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상기 다음 프레임에서 제공되는 다수의 서비스들 모두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서비스들의 개수가 정해진 개수 보다 큰 경우 상기 다수의 서비스들은 프라이머리 서비스와 세컨더리 서비스로 구분되며, 상기 프라이머리 서비스에 속하는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 중 특정 서비스 데이터에 상기 제1 제어 정보로서 삽입되는 정보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들 모두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리 서비스에 속하는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상기 제1 제어 정보로서 삽입되는 정보는 상기 프라이머리 서비스에 속하는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 모두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서비스에 속하는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상기 제1 제어 정보로서 삽입되는 정보는 해당 세컨더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와 상기 특정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서비스들은 특정 서비스를 공통으로 포함하는 다수의 그룹들로 구분되며, 상기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에 상기 제1 제어 정보로서 삽입되는 정보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들 모두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각 그룹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외한 나머지 서비스들의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상기 제1 제어 정보로서 삽입되는 정보는 해당 그룹의 서비스들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24.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음 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1 제어 정보가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삽입된 현재 프레임을 수신하는 프레임 수신부;
    상기 현재 프레임에서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중에 다른 서비스로의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는 지를 판단하는 서비스 변경 판단부; 및
    상기 서비스 변경 시 상기 수신된 현재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비스 복호기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은 다수의 서비스들에 대한 상기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앞 부분에는 상기 현재 프레임에서 제공되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복호부는 상기 서비스 변경 시 상기 수신된 현재 프레임에서 상기 서비스 변경 전 수신하던 서비스 데이터의 복호를 완료하고, 상기 복호된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서비스들의 개수가 정해진 개수 보다 큰 경우 상기 다수의 서비스들은 프라이머리 서비스와 세컨더리 서비스로 구분되며,
    상기 서비스 복호부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들의 개수가 정해진 개수보다 큰 경우 상기 복호된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정보로서 상기 프라이머리 서비스 중에서 특정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1 스케쥴링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된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프레임을 프레임 n, 상기 다음 프레임을 프레임 n+1이라 했을 때,
    상기 서비스 복호부는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레임 n+1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변경된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2 스케쥴링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제2 스케쥴링 정보를 근거로 프레임 n+2에서 상기 변경된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트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서비스들이 특정 서비스를 공통으로 포함하는 다수의 그룹들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복호부는 상기 변경된 서비스가 상기 복호된 서비스 데이터의 해당 서비스와 동일한 그룹 내 존재하는 지 확인하고, 상기 변경된 서비스가 상기 동일한 그룹 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복호된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정보로서 특정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1 스케쥴링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된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프레임을 프레임 n, 상기 다음 프레임을 프레임 n+1이라 했을 때,
    상기 서비스 복호부는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레임 n+1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변경된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제2 스케쥴링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제2 스케쥴링 정보를 근거로 프레임 n+2에서 상기 변경된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트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KR1020080005061A 2008-01-08 2008-01-16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41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74765.6A EP3713114A1 (en) 2008-01-08 2009-01-08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dvb-t2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US12/812,178 US8582479B2 (en) 2008-01-08 2009-01-08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broadcasting communication system
AU2009203283A AU2009203283B2 (en) 2008-01-08 2009-01-08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broadcasting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9/000093 WO2009088230A2 (ko) 2008-01-08 2009-01-08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2009801082294A CN101960751B (zh) 2008-01-08 2009-01-08 在广播通信***中用于发送和接收控制信息的方法和***
JP2010542165A JP4896263B2 (ja) 2008-01-08 2009-01-08 放送通信システムで制御情報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EP09701413A EP2234296A4 (en) 2008-01-08 2009-01-08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RADIO-TELEVISIO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2361 2008-01-08
KR1020080002361 2008-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735A KR20090076735A (ko) 2009-07-13
KR101441130B1 true KR101441130B1 (ko) 2014-09-23

Family

ID=4133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061A KR101441130B1 (ko) 2008-01-08 2008-01-16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82479B2 (ko)
EP (2) EP2234296A4 (ko)
JP (1) JP4896263B2 (ko)
KR (1) KR101441130B1 (ko)
CN (1) CN101960751B (ko)
AU (1) AU2009203283B2 (ko)
WO (1) WO200908823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065B1 (ko) * 2010-08-20 2014-08-20 더 보드 오브 리전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무선 통신에서 복제된 데이터 심볼의 삽입과 디코딩
US9065598B2 (en) 2010-12-10 2015-06-23 Panasonic Corporatio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transmitting method, and receiving method
EP2999231A4 (en) * 2013-05-15 2017-02-2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581A (ko) * 2002-08-02 2005-03-07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사용자 데이터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가입자 장치및 무선 통신시스템
WO2005041495A1 (en) 2003-09-30 2005-05-06 Sony Deutschland Gmbh BIDIRECTIONAL QoS RESERVATION WITHIN AN IN-BAND SIGNALING MECHANISM
WO2007039023A1 (en) 2005-09-20 2007-04-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segmentation and concatenation signal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957816B (en) 1994-09-30 1996-05-31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 messag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EP0827312A3 (de) * 1996-08-22 2003-10-01 Marconi Communications GmbH Verfahren zur Änderung der Konfiguration von Datenpaketen
DE19821548C2 (de) * 1998-05-14 2000-05-31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elektromagnetischen Ventils
CN1521968A (zh) * 2003-02-11 2004-08-18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正交频分复用***中新的训练符号的产生方法及传输方法
US8145120B2 (en) * 2003-10-27 2012-03-2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rvice selection and sorting
KR20050101006A (ko) * 2004-04-16 2005-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WO2005117444A1 (en) * 2004-05-31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igital broadcast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KR100689440B1 (ko) * 2005-04-26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및 방법
JP2006340218A (ja) 2005-06-03 2006-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パケット送信装置及びパケット送信方法
CN101064951A (zh) * 2006-04-29 2007-10-3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Td-scdma***中切换信息获取方法
CN101005325B (zh) * 2006-12-07 2011-09-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多媒体广播控制表更新指示信息提前播发的实现方法
CN100461657C (zh) * 2006-12-18 2009-02-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多媒体广播电子业务指南多路传输的方法
KR101457684B1 (ko) * 2007-10-30 201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 하는 방법 및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581A (ko) * 2002-08-02 2005-03-07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사용자 데이터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가입자 장치및 무선 통신시스템
WO2005041495A1 (en) 2003-09-30 2005-05-06 Sony Deutschland Gmbh BIDIRECTIONAL QoS RESERVATION WITHIN AN IN-BAND SIGNALING MECHANISM
WO2007039023A1 (en) 2005-09-20 2007-04-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segmentation and concatenation signal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96263B2 (ja) 2012-03-14
AU2009203283B2 (en) 2013-08-15
EP2234296A2 (en) 2010-09-29
WO2009088230A3 (ko) 2009-10-08
US20110026447A1 (en) 2011-02-03
KR20090076735A (ko) 2009-07-13
WO2009088230A2 (ko) 2009-07-16
CN101960751B (zh) 2013-07-24
CN101960751A (zh) 2011-01-26
AU2009203283A1 (en) 2009-07-16
EP3713114A1 (en) 2020-09-23
JP2011509623A (ja) 2011-03-24
US8582479B2 (en) 2013-11-12
EP2234296A4 (en)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9125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data in a multi-carrier broadcast system
JP4392424B2 (ja) 伝送パラメータ情報
US20070002723A1 (en) Signaling network ID in TPS bits
EP2355509B1 (en)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reception system
US201401855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20754B2 (en)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reception system
KR20210029297A (ko)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물리적 계층 파이프
KR101441130B1 (ko)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8929404B2 (en)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reception system
US91731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CA2540976A1 (en) Method and device for broadcasting auxiliary data in an analog radio broadcast system
KR102163746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KR20120053523A (ko) Flo 및 flo-ev 데이터의 동시 수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0136A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Giménez et al. DVB-NGH Logical Frame Structure and Bundling DVB-T2 Future Extension Frames
KR20090069060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의 핸드 오버 방법
KR20090029142A (ko) 복수 개의 채널이 연동된 tdm 시스템에서의 패킷 할당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