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663B1 - Liftable suspended cupboard - Google Patents

Liftable suspended cup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663B1
KR101440663B1 KR1020107001637A KR20107001637A KR101440663B1 KR 101440663 B1 KR101440663 B1 KR 101440663B1 KR 1020107001637 A KR1020107001637 A KR 1020107001637A KR 20107001637 A KR20107001637 A KR 20107001637A KR 101440663 B1 KR101440663 B1 KR 101440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door
guide
lower doo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6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40868A (en
Inventor
준이치 타카하시
미노루 야마나카
신이치 기무라
히데히토 쿠리야마
요시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크린업 코포레이션
후쿠신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업 코포레이션, 후쿠신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크린업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40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8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6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승강 랙을 내리는 스트로크를 짧게 하여 용적의 증대를 도모하면서, 문의 동작에 따르는 압박감을 최소한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해결수단) 저면과 전면이 개방된 캐비넷(170)과, 캐비넷(170)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 랙(180)을 구비하고, 키친의 위쪽에 설치되는 승강식 찬장에 있어서, 캐비넷(170)의 전면의 위쪽에 배치되는 윗문(172)과, 캐비넷(170)의 전면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아랫문(174)을 구비하고, 아랫문이 윗문의 하단을 돌아서 그 표면을 따라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and lowering cupboard that minimizes the pressure feeling due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while increasing the stroke by shortening the lifting rack.
A cabinet (170)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 front surface opened and a lifting rack (180) support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relative to the cabinet (170) And a lower door 174 disposed below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70. The lower door 174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door .

Description

승강식 찬장{Liftable suspended cupboard}Liftable suspended cupboard

본 발명은 키친 싱크대의 위쪽에 설치되는 승강식 찬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ing cupboard installed above a kitchen sink.

주방에 있어서, 키친 싱크대 등의 조리 설비의 상부에는 공간이 비어 있기 때문에 키친 싱크대의 위쪽에 찬장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주방에서는, 밥그룻, 접시, 컵 등의 식기류, 냄비, 후라이 팬 등의 조리 기구, 소금, 후추 등의 조미료 등, 크고 작은 여러 가지 물건을 사용한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식기류, 조리 기구, 조미료 등은 상기 찬장에 수납된다.In the kitchen, there is a space at the top of the cooking equipment such as a kitchen sink, and a cupboard is often installed above the kitchen sink. In kitchen, we use various large and small things such as tableware such as rice gruel, dish, cup, cooking utensil such as pot, frying pan, seasoning such as salt and pepper. For this reason, such tableware, cooking utensils, seasoning and the like are housed in the above-mentioned cupboard.

또한, 생활 양식과 식생활의 다양화에 따라서, 상기 식기류, 조리 기구, 조미료 등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작금의 고령화에 동반되어, 상기 찬장의 사용상의 용이함과 편리함을 구하는 수요도 늘고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diversification of lifestyle and eating habits, the above tableware, cooking utensils, seasonings and the like tend to increase. Moreover, along with the aging of the societ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convenience and convenience in using the above-mentioned cupboard.

그래서, 종래에는 키친 싱크대의 위쪽에 설치되는 찬장을 수동 또는 전동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식 찬장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승강식 찬장은, 예를 들면 찬장 전체가 승강하는 것(예를 들면, 일본특개평11-46886호 공보 참조)과, 찬장의 전면에 배치된 문을 열고나서 찬장 내에 설치된 수납 선반을 회전 아암으로 지지하면서 앞쪽 하방으로 당겨 내리는 것(예를 들면, 일본특개2004-222886호 공보 참조)과, 캐비넷과, 이 캐비넷으로부터 거의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 랙를 구비한 것(예를 들면, 일본특개2006-000677호 공보 참조) 등이 있다.Thus, conventionally, a lifting cupboard for lifting and lowering a cupboard installed above a kitchen sink into a manual or an electric motor has been proposed. The above-mentioned elevating cupboard is, for example, a cupboard in which the entire cupboard ascends and descends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46886), a storage shelf provided in the cupboard after opening the door, (See,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4-222886), a cabinet, and a lifting rack capable of lifting from the cabinet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 -000677).

상기 특개평11-46886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는, 찬장 전체가 승강하기 때문에 승강장치가 대형으로 되고, 또한, 구동기구가 외부로부터 보이기 때문에 미감을 향상시키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개2004-222886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는, 잡아당긴 수납선반이 조리자를 향하여 회전하여 내려오기 때문에 조리작업에 방해가 되고, 빈번하게 수납선반을 꺼내고 넣지 않으면 안되는 수고로움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근년에는 특개2006-00067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캐비넷으로부터 거의 수직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한 승강 랙을 구비한 구성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I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1-46886, there is a problem that since the entire cabinet is raised and lowered, the landing gear becomes large and the drive mechanism is seen from the outside,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aesthetics. I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22886, since the pulled-out storage shelf rotates downward toward the cooker, it interferes with the cooking operation and requires labor that must be frequently taken out of the storage shelf There is a problem. For this reason, in recent years,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000677, a configuration including a lifting rack capable of lift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a cabinet has been widely adopted.

그러나, 수직방향으로 승강이 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승강 랙의 전체 면을 노출시키기 때문에, 승강 랙 전체를 캐비넷 아래쪽으로 내리는 만큼의 스트로크가 캐비넷의 하방에 필요하다. 바꾸어 말하면, 키친 싱크대의 위쪽으로부터 천정까지 찬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 중에서, 반 높이의 찬장밖에 설치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실제로 승강을 위한 구동 기구를 캐비넷 내에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더욱더 승강 랙의 용적은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일반 가정의 천정의 높이는 일반적으로는 2.3m 정도이고, 키친 싱크대의 높이는 85cm 정도이다. 또한, 키친 싱크대의 위에는 병과 작은 랙을 두기 위한 높이를 남겨두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남겨진 위쪽 공간의 높이중 반 이하를 승강 랙의 높이인 것으로 하면, 승강 랙의 용적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However, in the structure of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since the entire surface of the lifting rack is exposed, a stroke required to lower the entire lifting rack below the cabinet is required below the cabinet. In other words, out of the space that can be used as a cupboard from the top of the kitchen sink to the ceiling, it is impossible to install only the half-height cupboard. 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mechanism for actually lifting and lowering must be installed in the cabinet, the volume of the lifting rack is further reduced. And, the height of the ceiling of general household is generally about 2.3m, and the height of the kitchen sink is about 85cm. Also, you must leave a height above the kitchen sink to hold bottles and small racks. Therefore, if half or less of the height of the upper space left is the height of the lifting rack, it can not be said that the capacity of the lifting rack is sufficient.

그래서 종래부터도, 캐비넷의 앞면의 문을 승강 랙의 상하 운동과 연동시켜서 개폐를 하고, 승강 랙을 내린 상태에 있어서 승강 랙의 상단이 캐비넷의 하단보다도 위에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개2006-340756호 공보 참조). 이 구성에 의하면, 앞면의 문으로 감추어져야 하는 위치에서도 꺼내고 넣을 수가 있기 때문에, 승강 랙의 높이를 높게 할 수가 있고, 한정된 높이의 위쪽 공간에 있어서 용적이 큰 승강 랙을 설치할 수가 있다.Therefore, conventionally, a configuration has been disclosed in which the door on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is opened and closed by interlocking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ifting rack, and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rack is above the lower end of the cabinet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rack is lowered ,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6-340756).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elevator rack can be taken out and inserted even at a position to be concealed by the door on the front surface, the height of the elevator rack can be increased, and the elevator rack having a large volume in a space above the limited height can be provided.

일본특개평11-4688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46886 일본특개2004-22288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22886 일본특개2006-000677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000677 일본특개2006-34075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340756

그러나, 특개2006-340756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는, 문의 하단이 회동하여 열리는 구성이기 때문에 앞면의 개방 공간은 작다. 이 때문에, 특히 승강 랙의 상단은 냄비와 상자 물건 등의 큰 물건은 꺼내고 넣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문을 더욱 크게 여는 것도 생각될 수 있지만, 찬장의 전방에 크게 문이 설치되기 때문에 머리 위로 앞판이 다가오게 되어, 압박감을 줄 염려가 있다.However, in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340756, since the lower end of the door rotates and opens, the open space on the front surface is small.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take out and insert a large object such as a pot and a box object, especially at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rack. It may be possible to open the door even larger, but since the door is largely placed in front of the cupboard, the front plate comes close to the top of the cupboard, which may cause pressure.

그래서 본 발명은, 승강 랙을 내리는 스트로크를 짧게 하여 용적의 증대를 도모하면서, 문의 동작에 따른 압박감을 최소한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fting and lowering cupboard which minimizes the pressure feeling due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while reducing the stroke for lowering the lifting rack to increase the volum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식 찬장의 대표적 구성은, 저면과 전면이 개방된 캐비넷과, 캐비넷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 랙을 구비하고, 키친의 위쪽에 설치되는 승강식 찬장에 있어서, 캐비넷의 전면의 위쪽에 배치되는 윗문과, 캐비넷의 전면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아랫문을 구비하고, 아랫문이 윗문의 하단을 돌아서 그 표면을 따라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representative configuration of a lifting-and-lowering cup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 front surface opened, and a lifting rack supported by the cabinet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cabinet includes an upper door disposed above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nd a lower door disposed below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nd the lower door moves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door to rise along the surfac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승강 랙을 내리는 스트로크를 짧게 하여 용적의 증대를 도모하면서, 문의 동작에 따르는 압박감을 최소한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을 제공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ft-up cupboard in which the stroke for lowering the lift rack is shortened and the volume is increased, while minimizing the pressure feeling due to the door operation.

상기 아랫문의 양측 가장자리의 각각에 상측 피안내부 및 하측 피안내부를 설치하고, 상기 캐비넷의 양측 벽의 각각에 상측 피안내부를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와 하측 피안내부를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및 하부 가이드는, 상측 피안내부 또는 하측 피안내부를 그의 정지위치로부터 위로 감에 따라 캐비넷의 전방을 향하여 안내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 연속하여 거의 연직하방으로 안내하는 직선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The upper side guide and the lower side guide are provided on both side edges of the lower door and each of the side walls of the cabinet is provided with an upper guide for guiding the inside of the upper side and a lower guide for guiding the inside of the lower side, The guide and the lower guide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for guiding the inside of the upper side or lower side of the cabinet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as it goes upward from the stop position thereof and a straight portion which is guided substantially vertically downward continuously to the inclined portion good.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아랫문이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경사부에 의해 우선 캐비넷 전방으로 이동하고, 다음에 윗문의 전방측을 따라 상승한다. 이에 따라 아랫문이 윗문의 하단을 돌아서 그의 표면을 따르도록 상승할 수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the lower door moves upward, it first moves forward in the cabinet by the inclined portion, and then rises along the front side of the upper door. As a result, the lower door can be moved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door to follow its surface.

상기 상부 가이드의 경사부는 하부 가이드의 경사부보다도 연직선에 대한 기울기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아랫문의 하단보다 상단이 먼저 캐비넷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원활하게 윗문의 하단을 돌아나올 수가 있다.The inclined portion of the upper guide preferably has a larger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tha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lower guide. Accordingly, the upper end of the lower door is moved to the front of the cabinet first,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door can be smoothly moved.

상기 상부 가이드 또는 하부 가이드에 있어서, 상측 피안내부 또는 하측 피안내부의 정지위치로부터 직선부까지의 수평거리를 게시 폭으로 할 때, 상부 가이드의 게시 폭은 하부 가이드의 게시 폭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아랫문은 그의 상단보다 많게 게시된 기울기 상태에서 상승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머리 위에 최대한으로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고, 아랫문에 의해 압박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In the upper guide or the lower guide, when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stop position to the straight portion in the upper or lower side is a post width, the width of the upper guide is preferably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guide. As a result, the lower door rises in a tilted state posted more than its top.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as large as possible on the user's hea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eeling of being pressed by the lower door.

또한, 아랫문을 견인하여 상승시키는 견인부를 구비하고, 견인부에 의한 견인을 해제함으로써 아랫문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모터와 기어 등에 의한 구동도 생각될 수 있지만, 상기 레일 및 피안내부의 구성에 의하면 위쪽으로의 견인과 자중에 의한 하강에 의해 승강 동작을 시킬 수가 있고, 구동기구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The lower door may be configured to be lowered by its own weight by providing a pulling portion for towing and lifting the lower door and releasing pulling by the pulling portion. Driving by a motor and a gear may be considered. Howev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ail and the inside of the rail, the raising and lowering operation can be carried out by pulling upward and dropping by its own weight, and the drive mechanism can be simplified.

상기 견인부는, 활차와, 상기 활차를 개재하여 승강 랙과 아랫문을 양단에 현수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승강 랙이 하강하는 경우의 하중에 의해 아랫문을 견인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승강 랙과 아랫문이 기계적으로 연동하기 때문에 아랫문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승강 랙의 구동원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 The pulling portion may comprise a pulley and a cable that suspends the lifting rack and the lower door at both ends via the pulley and may be configured to pull the lower door by a load when the lifting rack is lowered. Accordingly, since the elevating rack and the lower door mechanically interlock with each other, the driving forc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lower door can be used as the driving source of the lifting rack.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 랙을 내리는 스트로크를 짧게 하여 용적의 증대를 도모하면서, 문의 동작에 따른 압박감을 최소한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을 제공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ft-up cupboard in which the stroke for lowering the lift rack is shortened to increase the volume, while minimizing the pressure feeling due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시스템 키친과 찬장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승강 랙의 구동 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승강 랙에 연동하는 아랫문의 구동 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구동 모터에 의한 구동 기구와 승강 랙에 의한 구동 기구를 비교 대비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아랫문의 가이드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아랫문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아랫문 등의 궤적을 설명하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system kitchen and a cup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 driving mechanism of a lifting rack.
3 is a view showing a drive mechanism for a lower door interlocked with a lift rack.
Fig. 4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comparing a drive mechanism by a drive motor and a drive mechanism by a lift rack;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guide mechanism of a lower door;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lower door.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cus of a lower door or the like;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 형태에 나타나는 크기, 재료, 그 외의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고, 특히 미리 양해를 얻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drawings, elem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al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The sizes, materials, other specific numerical values, and the like show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only examples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m except for cases in which the understanding is obtained in advance.

본 실시 형태에서는 키친용 승강식 찬장(이하 '찬장'으로 약칭한다)의 승강 랙과, 승강 랙의 전면을 막는 아랫문을 연동시키고, 양 장치를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따라서, 승강 랙의 하강 스트로크를 길게 하지 않아도 전면의 개방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그리고 문은 상승하는 경우에 윗문의 하단을 돌아서 들어가고, 그의 표면을 따라서 상승하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우선 찬장의 배치 및 구동기구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후에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을 상술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vating rack of the elevator cabinet for kitchen (hereinafter abbreviated as "the cupboard") is interlocked with the lower door which covers the front of the elevating rack, and the two devices ar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s. Therefore, even if the descending stroke of the lifting rack is not lengthened, the front open space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door is characterized by the point that it goes round the bottom of the upper door when it ascends and ascends along its surface. Here,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first, the arrangement and driving mechanism of the cabinet will be described, and then the feature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시스템 키친과 찬장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시스템 키친(100)은 조리에 필요한 불(가열) 및 물을 중심으로 조리 기구가 그의 크기에 따라서 각 수납고에 배치되어 있다. 찬장(110)은 시스템 키친(100)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지만, 높은 곳에 있는 문을 개폐함이 없이 수납 부분을 키친 사용자의 눈의 높이까지 내려서, 전방으로 손을 뻗어서 피수납물을 수납 또는 취출하도록 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system kitchen and a cupboard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system kitchen 100, cooking utensils are disposed in the respective storage compartments in accordance with their sizes, with the fire (heating) and water required for cooking being the center. Although the cabinet 110 is installed above the system kitchen 100, it does not open or close the door at a high position, but the storage portion is lowered to the height of the eyes of the user of the kitchen so that the hand extends forward, .

상기 시스템 키친(100)은 대략 싱크(130), 조리 스페이스(140) 및 가열부(150)의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 키친(100) 중 싱크(130) 및 조리 스페이스(140)의 폭에 걸친 영역의 상방에 있어서, 찬장(110)은 벽(500)에 뒷쪽면이 고정 지지되어 있다. 한편, 화기를 취급하는 가열부(150)의 위쪽에는, 찬장(110)에 인접되어 있는 렌지 후드(160)가 찬장(110)과 마찬가지로 벽(500)에 뒷쪽면이 고정 지지되어 있다.The system kitchen 100 is roughly composed of three parts: a sink 130, a cooking space 140, and a heating unit 150. The cabinet 110 has a back side fixed to the wall 500 above the area of the system kitchen 100 over the width of the sink 130 and the cooking space 140. A cooking hood 160 adjacent to the cupboard 110 is fixed to the wall 500 in a manner similar to the cupboard 110 on the upper side of the heating unit 150 for handling firearms.

상기 찬장(110)은, 아래쪽이 개방된 캐비넷(170)과, 상기 캐비넷(170)의 아래쪽에서 캐비넷(170)의 내외로 승강되는 승강 랙(180)을 포함한다. 승강 랙(180)은 수납부를 가지며, 전면의 대부분이 개방되어 있고, 식기와 부엌주변의 물품을 꺼내고 넣을 수가 있다.The cabinet 110 includes a lower cabinet 170 and a lifting rack 180 that is lifted and lowered inside and outside the cabinet 170 below the cabinet 170. The lifting rack 180 has a storage portion, and a large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ifting rack 180 is opened, so that the tableware and articles around the kitchen can be taken out and put in.

또한, 상기 캐비넷(170)의 앞쪽면에는 윗문(172)과 아랫문(174)이 배치되어 있고, 승강 랙(180)이 하강하여 캐비넷(170)의 아래쪽으로 출현하는 때는, 이것과 연동하여 아랫문(174)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승강 랙(180)의 상단을 캐비넷(170)의 하단보다 하강시키지 않아도 승강 랙(180)의 개방 전면은 사용자의 눈앞에 출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승강 랙(180)의 가동범위를 좁게 할 수가 있고, 승강 동작시간을 단축하기도 하고, 찬장(110)의 높이 방향의 크기를 크게 하여 용적증대를 도모할 수도 있다. 이하에, 승강 랙(180)과 아랫문(174)을 연동시키는 구동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upper door 172 and the lower door 174 ar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70. When the elevating rack 180 descends and appears below the cabinet 170, The door 174 moves upward. Therefore, even if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rack 180 is not lower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cabinet 170, the open front of the lifting rack 180 appears in front of the user's eyes. With this configuration, the movable range of the lifting rack 180 can be narrowed, the lifting operation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size of the cupboard 110 in the height direction can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volume. Hereinafter, a driving mechanism for interlocking the lifting rack 180 and the lower door 174 will be described.

(승강 랙의 구동기구)(Driving mechanism of the lifting rack)

도 2는 승강 랙(180)의 구동기구를 표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주로 승강 랙(180)의 승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찬장(110)의 전면측에서 관찰을 하고 있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2에서는 아랫문(174)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2 is a diagram showing a driving mechanism of the lifting rack 180. As shown in Fig. Here, in order to mainly explai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s of the lifting rack 180, observation is made from the front side of the cupboard 110. [ Further,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the lower door 174 is omitted in Fig.

우선, 구동 모터(190)의 회전에 의해, 수평 방향의 좌우로 구동 풀리(192)로부터 2조의 광폭 케이블(200)이 감겨져 나온다. 이 광폭 케이블(200)은, 캐비넷(170)의 양측판의 근방에 고정 설치되어 고정 활차로서 기능 역할을 하는 전향 활차(210)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전향되고, 단부는 각각 승강 랙(180)에 고정되어 동활차로서 기능 역할을 하는 승강 활차(212)를 감고, 캐비넷(170)의 위쪽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190)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승강 랙(180)을 승강시킬 수가 있다. 여기에서, 케이블은 밧줄에 한정되지 않고 띠도 포함된다.First,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190, two sets of the wide cable 200 are wound from the drive pulley 19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wide cable 200 is fixed in the vicinity of both side plates of the cabinet 170 and is tur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forward pulley 210 serving as a stationary pulley, And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70 by winding the elevating pulley 212 fixed and serving as a tibia. Therefore, the elevating rack 180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rotationally driving the driving motor 190. Here, the cable is not limited to a sling, but includes a band.

이렇게 하여 승강 랙(180)이 하강하면 아랫문(174)의 배면으로부터 수납부(220)가 출현된다.When the lifting rack 180 is lowered in this way, the receiving portion 220 emerge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door 174. [

(아랫문의 구동기구)(Lower door drive mechanism)

도 3은 승강 랙(180)에 연동하는 아랫문(174)의 구동 기구(견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찬장(110)을 측면으로부터 관찰하고 있다. 여기에서, 아랫문(174)은 도 2에서 나타낸 승강 랙(180)에 연동되어 승강된다.3 is a view showing a drive mechanism (pulling portion) of the lower door 174 interlocked with the lifting rack 180. As shown i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cupboard 110. Fig. Here, the lower door 174 is moved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lifting rack 180 shown in Fig.

도 3(a)는 승강 랙(180)이 캐비넷(170)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승강 랙(180)과 아랫문(174)과의 사이에는 고정 활차로서 아랫문용 활차(250)가 고정 설치된다. 아랫문용 활차(250)는 2개의 릴(제1 릴(252), 제2 릴(254))이 연결되어 축을 같게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릴(252)에는 승강 랙(180)을 현수하기 위한 제1 케이블(260)이 감겨지고, 제2 릴(254)에는 아랫문(174)을 현수하기 위한 제2 케이블(262)이 감겨져 있다.Fig. 3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rack 180 is housed in the cabinet 170. Fig. The lower door pulley 250 is fixedly installed as a fixed pulley between the lifting rack 180 and the lower door 174. [ The lower door pulley 250 is connected to two reels (a first reel 252 and a second reel 254) so as to be rotatable and axially supported. A first cable 260 for suspending the lifting rack 180 is wound on the first reel 252 and a second cable 262 for hanging the lower door 174 is wound on the second reel 254. [ ).

여기에서, 승강 랙(180)과 아랫문(174)을 각각 현수하기 위한 제1 케이블(260) 및 제2 케이블(262)은, 릴에 대해서 서로 역방향으로 감겨져 있으므로, 승강 랙(180) 또는 아랫문(174)의 한쪽이 상승하면 다른 쪽이 연동하여 자체 무게에 의해 하강한다.Since the first cable 260 and the second cable 262 for suspending the lifting rack 180 and the lower door 174 are wound around the reels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When one side of the door 174 rises, the other side interlocks and descends by its own weight.

도 3(b)는 승강 랙(180)이 캐비넷(170)으로부터 하강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승강 랙(180)이 가이드 레일(264)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강하면, 제1 케이블(260)이 제1 릴(252)을 잡아당기고, 제1 릴(252)과 동축 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제2 릴(254)은 회전축(256)을 중심으로 제1 릴(252)과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한다. 그리고, 제2 릴(254)의 권장력에 의해 제2 케이블(262)에 접속된 연결부(266)와 아랫문(174)이 상승한다. 따라서, 승강 랙(180)의 하강에 대응하여 아랫문(174)이 상승하고, 승강 랙(180)과 아랫문(174)의 이동량의 합이 승강 랙(180)의 개방 공간이 되므로 하강 스트로크를 길게 하지 않아도 승강 랙(180)의 전면의 개방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3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rack 180 descends from the cabinet 170. As shown in Fig. When the lifting rack 180 is lowered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rail 264, the first cable 260 pulls the first reel 252 and moves the second reel 252 coaxially with the first reel 252, The first reel 254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256 by the same angle as the first reel 252. [ The connection portion 266 and the lower door 174 connected to the second cable 262 are raised by the recommending force of the second reel 254. The lower door 174 rises in response to the descent of the lifting rack 180 and the sum of the moving amounts of the lifting rack 180 and the lower door 174 becomes the opening space of the lifting rack 180,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open spac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fting rack 180 without elongating it.

이때, 승강 랙(180) 및 아랫문(174)의 하중이 회전축(256)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로 걸리기 때문에 제1 릴(252) 및 제2 릴(254)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장력이 상쇄되고, 승강 랙(180) 및 아랫문(174)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거나 임의의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부하를 경감할 수가 있어서, 전력 절감, 저코스트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loads of the lifting rack 180 and the lower door 174 are opposite to each other about the rotation axis 256, the tension for rotating the first reel 252 and the second reel 254 is canceled, The load for moving the lifting rack 180 and the lower door 174 to an arbitrary position or holding it at an arbitrary position can be reduc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cost.

또한, 도 3의 아랫문용 활차(250)에 주목하면, 제1 릴(252)과 제2 릴(254)의 케이블의 감긴 부분의 지름이 서로 다른 것을 알 수가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승강 랙(180)과 아랫문(174)과의 승강 스트로크비를 해당 찬장(110)의 용도에 따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3, it can be seen that the diameter of the wound portion of the cable between the first reel 252 and the second reel 254 is differen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set the lift stroke ratio of the upper door 180 and the lower door 174 in accordance with the use of the corresponding cupboard 110.

특히, 도 3에서는, 아랫문(174)을 현수하기 위한 케이블(262)이 감겨진 제2 릴(254)의 지름이 승강 랙(180)을 현수하기 위한 케이블(260)이 감겨진 제1 릴(252)의 지름보다 작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찬장(110)은 아래쪽에는 어느 정도의 점유가능한 공간을 가지고, 위쪽에는 점유가능한 공간이 없다고 하는 설치상황이 상정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 랙(180)은 그 높이(H1)만큼 하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아랫문(174)은 윗문(172)에 중첩될 때까지, 즉 승강 랙(180)의 약 반의 길이(H2)밖에 상승할 수가 없다. 이러한 아랫문(174)에 대응하는 제2 릴(254)의 지름과 승강 랙(180)에 대응하는 제1 릴(252)의 지름의 비는, 예를 들면, H2/H1 로 할 수가 있고, 지름의 비를 4/9 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이 제2 릴(254)의 지름을 제1 릴(252)보다 작게 하는 것으로, 상술한 스트로크차를 다른 특별한 구성을 이용함이 없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3, the diameter of the second reel 254 around which the cable 262 for suspending the lower door 174 is wound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reel 254 wound around the cable 260 for suspending the lifting rack 180. [ (252). As shown in FIG. 3, the cabinet 110 is assumed to have a certain occupable space in the lower side and no occupied space in the upper side. Therefore, the elevating rack 180 can be lowered as much as the height (H 1), however, the lower door 174 until it is superimposed on witmun 172, that is about half the length of the lift rack (180) (H 2 ) Can not rise.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second reel 254 corresponding to the lower door 174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reel 252 corresponding to the elevation rack 180 can be set to, for example, H 2 / H 1 And the diameter ratio is 4/9. By making the diameter of the second reel 254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reel 252, the above-described stroke difference can be realized without using any other special configuration.

(구동 모터로부터의 연동)(Interlocking from the drive motor)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 랙(180)은 구동 모터(190)를 동력원으로서 승강되고, 아랫문(174)은 승강 랙(180)을 간접적인 동력원으로서 승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1개의 동력원(구동 모터)에 의해 승강 랙(180) 및 아랫문(174)의 양쪽의 승강을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rack 180 is elevated and lowered using the drive motor 190 as a power source, and the lower door 174 is lifted up and down using the lifting rack 180 as an indirect power source.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ifting and lowering of both the lifting rack 180 and the lower door 174 by one power source (drive motor).

도 4는 구동 모터(190)에 의한 구동 기구와 승강 랙(180)에 의한 구동기구를 대비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여기에서는, 구동 모터(190)로부터 승강 랙(18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와, 승강 랙(180)으로부터 아랫문(174)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가 독립되어 있고, 각각의 동력의 전달 방향을 면방향으로 제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구동 모터(190)로부터 승강 랙(18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는, YZ면에 있어서의 방향전환만으로 달성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과 활차와의 조합만으로 전달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승강 랙(180)으로부터 아랫문(174)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도 ZX면에 있어서의 케이블 및 활차의 조합에 의한 방향전환만으로 달성할 수 있다.4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comparing the driving mechanism by the driving motor 190 with the driving mechanism by the elevating rack 180. Herein, a mechanism for transmitting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190 to the elevating rack 180 And a mechanism for transmitting the power from the lifting rack 180 to the lower door 174 are independent, and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each power can be limited in the plane direction. For example, the mechanism for transmitting the power from the drive motor 190 to the elevating rack 180 can be achieved only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YZ plane, so that the transmission mechanism can be realized by merely combining the cables and the pulleys. Similarly, the mechanism for transmitting the power from the lifting rack 180 to the lower door 174 can be achieved only by changing the direction by the combination of the cable and the pulley on the ZX plane.

상기 구성에 의해, 승강 랙(180)이 하강하는 때의 하중에 의해 아랫문(174)을 위쪽으로 견인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승강 랙(180)과 아랫문(174)이 기계적으로 연동하기 때문에, 아랫문(174)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승강 랙(180)의 구동원으로 공급할 수가 있다. 더우기, 아랫문(174)이 구동 모터(190)로부터 직접 구동력을 받지 않으므로 승강 랙(180)이 어떤 사고에 의해 승강 불능하게 된 경우에 아랫문(174)도 연동하여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 랙(180)의 정지에 반하여 아랫문(174)만 동작하게 됨으로써 2차적 피해가 생기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ower door 174 can be pulled upward by the load when the lifting rack 180 is lowered. Since the lifting rack 180 and the lower door 174 mechanically interlock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forc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ower door 174 can be supplied to the driving source of the lifting rack 180. Furthermore, since the lower door 174 does not receive the driving force directly from the driving motor 190, the lower door 174 also interlocks and stops when the elevating rack 180 becomes unable to be raised or lowered by any accident. Therefore, only the lower door 174 is operated against the stop of the lifting rack 180, so that the secondary damage does not occur.

(아랫문의 가이드 기구)(Lower guide mechanism)

다음에, 아랫문의 가이드 기구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아랫문의 가이드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Next, the operation of the guide mechanism of the lower door will be described.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guide mechanism of the lower door.

도 5(a)는 가이드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아랫문(174)의 양측 가장자리의 뒷쪽면에는 연결부(266)에 아랫문(174)을 취부하기 위한 문구동 브라켓(176)이 각각 취부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66)에는 상측 피안내부인 상부 굴림대(268)와, 하측 피안내부인 하부 굴림대(27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66)의 상단에는, 제2 케이블(262)을 취부하기 위한 걸림 하부(272)가 설치되어 있다. 캐비넷(170)의 양측벽 각각에는 가이드 브라켓(28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브라켓(280)에는 상부 굴림대(268)를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282)와, 하부 굴림대(270)를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28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280)에는 후술하는 수용기구(390)가 구비되어 있다.5 (a)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a guide mechanism. And a door bracket 176 for attaching the lower door 174 to the connecting portion 266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ide edge of the lower door 174, respectively. The connecting portion 266 is provided with an upper operating portion 268 and a lower operating portion 270. The lower operating portion 270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operating portion. In addition, a hooking lower portion 272 for attaching the second cable 262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266. A guide bracket 280 is provided on each side wall of the cabinet 170. The guide bracket 280 is provided with an upper guide 282 for guiding the upper roller pair 268 and a lower guide 284 for guiding the lower roller pair 270. Further, the guide bracket 28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mechanism 390 described later.

상기 상부 가이드(282) 및 하부 가이드(284)의 하단에는 각각 대경부(282a, 284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곳에 상부 굴림대(268) 및 하부 굴림대(270)의 머리를 삽입할 수가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는 상부 굴림대(268) 또는 하부 굴림대(270)의 정지 위치(거의 하단의 위치)로부터 위로 감에 따라서 캐비넷(170)의 전방을 향하여 안내되는 경사부(282b, 284b)와, 상기 경사부(282b, 284b)에 연속하여 거의 연직 방향으로 안내되는 직선부(282c, 284c)가 구비되어 있다.Large diameter portions 282a and 284a are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upper guide 282 and the lower guide 284 and the heads of the upper and lower rollers 268 and 270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guides 282 and 284, . Each of the guides also has inclined portions 282b and 284b which are guided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170 along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stop position (substantially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upper roll bobbin 268 or the lower roll bobbin 270, And linear portions 282c and 284c which are guided in the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continuously to the inclined portions 282b and 284b.

상기 상부 가이드(282) 및 하부 가이드(284)가 상기 바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음으로써 아랫문(174)이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아랫문(174)은 경사부(282b, 284b)에 의해 우선 캐비넷의 전방으로 이동하고, 다음에 직선부(282c, 284c)에 의해 윗문(172)의 전방측을 따라 상승한다. 이에 의해 아랫문(174)의 상단이 윗문(172)의 하단에 걸리지 않도록, 아랫문(174)이 윗문(172)의 하단을 돌아서, 그의 표면을 따라서 상승할 수가 있다.The upper door 282 and the lower door 284 are shap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lower door 174 is moved upward by the inclined portions 282b and 284b, And then rises along the front side of the upper door 172 by the straight portions 282c and 284c. The lower door 174 can be rotat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door 172 to rise along the surface thereof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door 174 is not caught by the lower end of the upper door 172.

도 5(b)는 가이드 기구의 조립도이다. 상부 굴림대(268) 및 하부 굴림대(270)는 상부 가이드(282) 및 하부 가이드(284)에 그의 머리를 끼워 결합시켜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부(266)의 걸림 하부(272)에는 제2 케이블(262)이 취부되고, 현수됨으로써 아랫문(174)이 정지되어 있다. 이 정지위치로부터 제2 케이블(262)이 상방으로 연결부(266)를 견인함으로써 상부 굴림대(268) 및 하부 굴림대(270)가 상부 가이드(282) 및 하부 가이드(284)에 의해 안내되면서 아랫문(274)이 상승하게 된다.5 (b) is an assembled view of the guide mechanism. The upper roller pair 268 and the lower roller pair 270 are engaged with the upper guide 282 and the lower guide 284 so that their heads can be slidably moved. The second cable 262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272 of the connection portion 266 and is suspended so that the lower door 174 is stopped. The upper roller 268 and the lower roller 270 are guided by the upper guide 282 and the lower guide 284 while the second cable 262 pulls the connecting portion 266 upward from the stop position, The door 274 is raised.

도 6은 아랫문(174)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b)에 도시된 가이드의 형상을 참조하면서 아랫문(174)의 동작을 설명한다.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ower door 174, and the operation of the lower door 174 will be described while referr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shown in Fig. 5 (b).

도 6(a)는 정지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제2 케이블(262)에 의해 견인됨으로써 아랫문(174)이 시동된다. 이 때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282)의 경사부(282b) 쪽이, 하부 가이드(284)의 경사부(284b) 보다도 연직선에 대한 기울기가 크다. 이것에 의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랫문(174)의 하단보다 상단 쪽이 먼저 캐비넷 전방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랫문(174)의 상단이 윗문(172)의 하단보다도 전방으로 이동한 뒤에, 상부 굴림대(282) 및 하부 굴림대(270)가 직선부(282c, 284c)에 이르게 되고,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이 개시된다. 그리고, 직선부(282c, 284c)의 상단까지 상승을 하면, 도 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랫문(174)의 상측과 윗문(172)의 하측이 겹친 상태로 된다.6 (a) shows a state at a stop position. From this state, the lower door 174 is started by being pulled by the second cable 262. At this time, the inclined portion 282b of the upper guide 282 has a larger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than the inclined portion 284b of the lower guide 284, as shown in Fig. 5 (b). Thus, as shown in Fig. 6 (b), the upper end of the lower door 174 starts to move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first. 6C, after the upper end of the lower door 174 moves forward than the lower end of the upper door 172, the upper roll 282 and the lower roll 57 are moved in the straight line 282c , 284c, and the rise is started as shown in Fig. 6 (d). 6 (e), the upper side of the lower door 174 and the lower side of the upper door 172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6 (e).

도 7은 아랫문(174), 연결부(266), 상부 굴림대(268), 하부 굴림대(270)의 궤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아랫문(174)의 상단이 윗문(172)의 하단을 돌아나오고, 그리고나서 아랫문(174)이 윗문(172)의 표면을 따라서 상승함을 알 수가 있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jectory of the lower door 174, the connecting portion 266, the upper rolling table 268, and the lower rolling table 270. 7,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door 174 turns arou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door 172, and then the lower door 174 rises along the surface of the upper door 172.

상부 굴림대(268) 및 하부 굴림대(270)가 직선부(282c, 284c)에 도달한 후에는, 아랫문(174)의 자세(경사도)에는 변화가 없는 채로 상승한다. 여기에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282)에 있어서 상부 굴림대(268)의 정지위치로부터 직선부(282c)까지의 수평 거리를 게시폭(w1)으로, 하부 가이드(284)에 있어서 하부 굴림대(270)의 정지위치로부터 직선부(284c)까지의 수평 거리를 게시폭(w2)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가이드의 게시 폭(w1)은 하부 가이드의 게시 폭(w2)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After the upper roller 268 and the lower roller 270 reach the straight portions 282c and 284c, the posture (inclination) of the lower door 174 rises without any change. 5 (b),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stop position of the upper roll 268 to the straight portion 282c of the upper guide 282 is set to the post width w1, and the lower guide 284 ,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stop position of the lower roller pair 270 to the linear portion 284c is taken as the post width w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guide width w1 is set to be longer than the lower guide width w2.

이것에 의해 아랫문(174)은 상단 쪽이 보다 더욱 캐비넷 전방으로 돌출된 기울기 상태로 상승하고, 정지되어 있는 때에는 그 자세가 확보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 위에 최대한으로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고, 아랫문에 의해 압박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As a result, the lower door 174 ascends to an inclined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protrudes further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the posture thereof is secured when the lower door 174 is stopped. As a resul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eeling of being pressed by the lower door.

아랫문(174)이 닫혔을 때, 즉 승강 랙(180)이 상승할 때는, 아랫문(174)은 도 6에 나타낸 상승과정을 거꾸로 하여 하강하고, 윗문(172)의 아래쪽으로 수납된다. 이 때 수용기구(390)의 동작에 의해 최후까지 확실하게 닫히게 된다.When the lower door 174 is closed, that is, when the lifting rack 180 is lifted, the lower door 174 is lowered upside down as shown in FIG. 6 and housed below the upper door 172. At this time, by the operation of the receiving mechanism 390, it is surely closed to the last.

상기 수용기구(39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 기구(390)는 가이드 브라켓(280)의 상부에 설치되며, 가이드 브라켓(280)에 중도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는 암(390a)과, 상기 암(390a)의 일단에 설치된 굴림대(390b)와, 상기 굴림대(390b)를 캐비넷 내측을 향하여 당겨 미는 스프링(390c; 탄성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ceiving mechanism 390 will be described. 5A, the receiving mechanism 390 is provided on the guide bracket 280 and includes an arm 390a which is rotatably pivotally supported on the guide bracket 280, A roller 390b provided at one end of the roller 390a and a spring 390c urging the roller 390b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한편, 연결부(266)에는 수용기구(390)의 굴림대(390a)가 주행하기 위한 수용가이드(266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용가이드(266a)는 단면이 ㄷ자 형상의 홈 형상으로 굴림대(390b)가 그의 측벽에 접함으로써 연결부(266)를 캐비넷 내측을 향하여 밀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portion 266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uide 266a for running the rolling table 390a of the receiving mechanism 390. [ The receiving guide 266a has a U-shaped section in cross section, and the conveying portion 266 can be pushed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by contacting the side of the roller 390b.

아랫문(174)이 상술한 바와 같이 상승하는 경우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림대(390b)가 수용 가이드(266a)의 측벽에 접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수용기구(390)는 스프링(390c)의 미는 힘에 의하여 회전을 한다. 또한, 상부 굴림대(268) 및 하부 굴림대(270)가 직선부(282c, 284c)에 있는 때, 수용기구(390)의 미는 힘이 가이드 홈의 방향과 거의 직교하기 때문에, 상승력을 방해할 염려는 없다. 그리고, 아랫문(174)이 닫히는 때, 특히 상부 굴림대(268), 하부 굴림대(270)가 경사부(282b, 284b)에 있는 때에는 수용기구(390)의 스프링(390c)의 당겨 미는 힘은 아랫문(174)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6, since the roller 390b is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receiving guide 266a, the receiving mechanism 390 is in contact with the spring 390c, The pushing force of the motor rotates by the force. Further, when the upper roll 268 and the lower roll 270 are in the straight portions 282c and 284c, since the pushing force of the receiving mechanism 390 is almost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There is no worry. When the lower door 174 is closed and particularly when the upper and lower rollers 268 and 270 are at the inclined portions 282b and 284b, the pushing force of the spring 390c of the receiving mechanism 390 Acting in a direction to receive the lower door 174.

여기에서, 반대로 자체 무게에 의해 아랫문(174)을 닫고자 하는 때, 상부 굴림대(268) 및 하부 굴림대(270)가 경사부(282b, 284b)에 있는 때는 분력으로 되기 때문에 수용하는 방향의 힘이 약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아랫문(174)은 최후까지 닫히지 않고, 윗문(172) 보다 조금 뜬 상태에서 이동이 종료되어 버릴 염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수용 기구(390)를 설치함으로써 특히 연결부(266)의 상단을 캐비넷(170)의 상측을 향하여 밀어 줌으로써 확실하게 아랫문(174)을 윗문(172)의 아래쪽에 수용할 수가 있다.Conversely, when the lower door 174 is to be closed by its own weight, when the upper roller 268 and the lower roller 270 are in the inclined portions 282b and 284b, The strength of the force is weakened. Therefore, the lower door 174 is not closed to the end,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ovement is terminated when the upper door 172 is slightly opened. However, by providing the receiving mechanism 39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lower door 174 can be securely received below the upper door 172 by pushing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266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170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찬장(110)은 승강 랙(180)의 하강 스트로크를 길게 하지 않아도 전면의 개방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승강 랙을 내리는 스트로크를 짧게 하여 용적의 증대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아랫문이 윗문의 하단을 돌아들어가, 그 표면을 따라서 상승함으로써 문의 동작에 따르는 압박감을 최소한으로 할 수가 있고, 키친용 승강식 찬장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upboard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ufficiently secure the opening space of the front side without increasing the down stroke of the lifting rack 180, shortening the stroke for lowering the lifting rack The volume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lower door moves arou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door and rises along the surface of the upper door, so that the pressure feeling due to the door operation can be minimized, and convenience in use of the lift-up cupboard for a kitchen can be improved.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 낼 수 있는 것이 명확하고, 그러한 것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사료된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devis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re obviously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키친의 상방에 설치되는 승강식 찬장으로서 이용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elevating cupboard installed above a kitchen.

100 : 시스템 키친 110 : 찬장
130 : 싱크 140 : 조리 스페이스
150 : 가열부 160 : 렌지후드
170 : 캐비넷 172 : 윗문
174 : 아랫문 176 : 문 구동 브라켓
180 : 승강 랙 190 : 구동 모터
192 : 구동 풀리 200 : 광폭 케이블
210 : 전향 활차 212 : 승강 활차
220 : 수납부 250 : 아랫문용 활차
252 : 제1 풀리 254 : 제2 풀리
256 : 회전축 260 : 제1 케이블
262 : 제2 케이블 264 : 가이드 레일
266 : 연결부 268 : 상부 굴림대
270 : 하부 굴림대 272 : 걸림 하부
280 : 가이드 브라켓 282 : 상부 가이드
282a : 대경부 282b : 경사부
282c : 직선부 284 : 하부 가이드
284a : 대경부 284b : 경사부
284c : 직선부 390 : 수용 기구
390a : 암 390b : 굴림대
390c : 스프링 500 : 벽
100: System Kitchen 110: Cabinet
130: sink 140: cooking space
150: heating section 160: range hood
170: Cabinet 172: Upper door
174: lower door 176: door drive bracket
180: Lift rack 190: Drive motor
192: Driving pulley 200: Wide cable
210: forward pulley 212: elevating pulley
220: storage part 250: pulley for lower door
252: first pulley 254: second pulley
256: rotating shaft 260: first cable
262: second cable 264: guide rail
266: connecting portion 268:
270: lower driving table 272:
280: guide bracket 282: upper guide
282a: large diameter portion 282b:
282c: straight portion 284: lower guide
284a: large-diameter portion 284b:
284c: straight line portion 390: accommodating mechanism
390a: arm 390b:
390c: spring 500: wall

Claims (6)

저면과 전면이 개방된 캐비넷과, 캐비넷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 랙을 구비하고, 키친의 위쪽에 설치되는 승강식 찬장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전면의 위쪽에 배치된 윗문;
상기 캐비넷의 전면의 아래쪽에 배치된 아랫문;
상기 아랫문의 양측 가장자리의 각각에 설치된 상측 피안내부 및 하측 피안내부;
상기 캐비넷의 양측 벽의 각각에 설치되어 상측 피안내부와 하측 피안내부를 각각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 및 하부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가이드 및 하부 가이드는, 상측 피안내부 또는 하측 피안내부를 그의 정지 위치로부터 위로 감에 따라 캐비넷의 전방을 향하여 안내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 연속하여 거의 연직 하방으로 안내하는 직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의 경사부는 하부 가이드의 경사부보다 연직선에 대한 기울기가 크게 이루어지고,
상기 아랫문은 윗문의 하단을 돌아서 그 표면을 따라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
A cabinet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 front surface opened; and a lifting rack supported by the cabinet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lifting cabinet provided above the kitchen,
A top door disposed above the front of the cabinet;
A lower door disposed below a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n upper side inside and a lower side inside which are provided at both side edges of the lower door;
And an upper guide and a lower guide installed on both side walls of the cabinet for guiding the inside of the top shelf and the inside of the bottom shelf,
The upper guide and the lower guide include an inclined portion that guides the inside of the upper side slope or the lower side slope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as it goes up from its stop position; And a straight portion continuously extending from the inclined portion and vertically downward,
The inclined portion of the upper guide has a larger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tha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lower guide,
And the lower door ascends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door and rises along the surface there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또는 하부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피안내부 또는 하측 피안내부의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직선부까지의 수평 거리를 게시 폭으로 할 때, 상기 상부 가이드의 게시 폭은 상기 하부 가이드의 게시 폭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in the upper guide or the lower guide, a horizontal width from a stop position in the upper half or lower half to a straight line is a post width, And the guide width of the guide i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gu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문을 견인하여 상승시키는 견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견인부에 의한 견인을 해제함으로써 아랫문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2. The lifting cabinet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raction portion for towing and lifting the lower door, wherein the lower door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by releasing traction by the traction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활차와, 상기 활차를 개재하여 상기 승강 랙과 상기 아랫문을 양단에 현수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 랙이 하강하는 경우의 하중에 의해 아랫문을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ulling portion comprises a pulley and a cable that suspends the lifting rack and the lower door at both ends via the pulley, and the lower door is pulled by a load when the lifting rack is lowered Wherein the cupboard is mounted on the cabinet.
KR1020107001637A 2007-06-29 2008-06-09 Liftable suspended cupboard KR10144066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73571 2007-06-29
JP2007173571A JP5094238B2 (en) 2007-06-29 2007-06-29 Lifting cabinet
PCT/JP2008/060532 WO2009004897A1 (en) 2007-06-29 2008-06-09 Liftable suspended cup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868A KR20100040868A (en) 2010-04-21
KR101440663B1 true KR101440663B1 (en) 2014-09-23

Family

ID=4022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637A KR101440663B1 (en) 2007-06-29 2008-06-09 Liftable suspended cupboard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094238B2 (en)
KR (1) KR101440663B1 (en)
CN (1) CN101686754B (en)
HK (1) HK1142781A1 (en)
TW (1) TWI457093B (en)
WO (1) WO200900489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582B1 (en) 2020-07-13 2021-01-13 신중하 Elevating Type Cabin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9004806U1 (en) 2009-05-12 2010-10-14 Hettich Holding Gmbh & Co. Ohg Furniture
WO2011122562A1 (en) * 2010-03-30 2011-10-06 アークレイ株式会社 Analyzing device
JP5452362B2 (en) * 2010-05-25 2014-03-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Hanging cupboard
JP5452363B2 (en) * 2010-05-25 2014-03-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Hanging cupboard
CN103169264A (en) * 2012-12-18 2013-06-26 王辉煌 Portable multi-function kitchen ware
CN103783844A (en) * 2013-11-20 2014-05-14 哈尔滨金苹果橱柜有限公司 Wall-mounted cupboard
CN105831992A (en) * 2016-05-16 2016-08-10 苏州通快净化科技有限公司 Lifting type combined cabinet
CN111227756A (en) * 2020-01-21 2020-06-05 金诺言 Dish washer mounting structure and over-and-under type dish wash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5491A (en) 2003-04-08 2004-11-04 Oaks Kk Elevating/lowering wall cupboard
JP2006068459A (en) 2004-09-06 2006-03-16 Toshiba Consumer Marketing Corp Up-and-down cabinet with do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5358A (en) * 1999-05-28 2000-12-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Lifting/lowering storage device
JP3653509B2 (en) * 2002-06-20 2005-05-25 有限会社新井鉄工 Elevating storage device
CN1579285A (en) * 2003-08-13 2005-02-16 王玉君 Automatic lifting table
JP4232197B2 (en) * 2003-11-07 2009-03-04 Toto株式会社 Drainer cabinet
JP4828188B2 (en) * 2005-09-14 2011-11-30 クリナップ株式会社 Lifting cabinet
CN101190072A (en) * 2006-11-23 2008-06-04 于维恕 Vertical lifting cabin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5491A (en) 2003-04-08 2004-11-04 Oaks Kk Elevating/lowering wall cupboard
JP2006068459A (en) 2004-09-06 2006-03-16 Toshiba Consumer Marketing Corp Up-and-down cabinet with do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582B1 (en) 2020-07-13 2021-01-13 신중하 Elevating Type Cabi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57093B (en) 2014-10-21
TW200927026A (en) 2009-07-01
KR20100040868A (en) 2010-04-21
JP5094238B2 (en) 2012-12-12
CN101686754A (en) 2010-03-31
HK1142781A1 (en) 2010-12-17
WO2009004897A1 (en) 2009-01-08
CN101686754B (en) 2012-08-29
JP2009011389A (en)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663B1 (en) Liftable suspended cupboard
EP1744656B1 (en) Basket lifting arrangement for a dishwasher
TWI477247B (en) Kitchen with lift hanging cabinet
CN102548451A (en) Item of furniture
CN201658027U (en) Storage cabinet
KR20100091905A (en) Cabinet
US8104852B2 (en) Refrigerator
JP4994130B2 (en) Kitchen lifting cabinet
KR101503808B1 (en) Cabinet of elevating type
JP2010233850A (en) Storage
JP4994131B2 (en) Kitchen lifting cabinet
KR102422099B1 (en) Refrigerator
KR100606981B1 (en) refrigerator
JP4994132B2 (en) Lifting cabinet
JP2009011390A (en) Lifting hanging cupboard for kitchen
CN2626326Y (en) Automatic lifting wall cupboard
KR100628096B1 (en) Refrigerator
JP2004024289A (en) Elevating storage cabinet
JP2010201063A (en) Storage
CN110840370B (en) Dish washing machine
JP5452363B2 (en) Hanging cupboard
KR200318149Y1 (en) Shelf that possible up and down
JP5289141B2 (en) Lifting cabinet
KR20240002581A (en) Lift-up system
KR20210001510A (en) Lift driving device of cosmetic vessel for make-up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