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308B1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308B1
KR101440308B1 KR1020130018391A KR20130018391A KR101440308B1 KR 101440308 B1 KR101440308 B1 KR 101440308B1 KR 1020130018391 A KR1020130018391 A KR 1020130018391A KR 20130018391 A KR20130018391 A KR 20130018391A KR 101440308 B1 KR101440308 B1 KR 101440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bstrate
buffer layer
photosensor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052A (ko
Inventor
김덕훈
조영상
Original Assignee
옵토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토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옵토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308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6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layers,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29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carbon
    • H01L23/293Organic, e.g. pla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93Batch processes
    • H01L2224/95Batch processes at chip-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plurality of singulated devices, i.e. on diced chips
    • H01L2224/97Batch processes at chip-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plurality of singulated devices, i.e. on diced chips the devices being connected to a common substrate, e.g. interposer, said common substrate being separable into individual assemblies after conne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과, 기판 상에 형성되며, 기판을 절단할 때 기판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완충층과, 완충층 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한층의 절연층, 적어도 한층의 도전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소자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라이빙 불량을 해결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RAM, 플래쉬 메모리 등의 메모리 반도체, 포토 센서(photo sensor) 등은 실리콘 웨이퍼 등의 기판 상에 소정 박막의 증착, 사진 및 식각 등의 공정을 반복 실시하여 소정의 구조물을 형성한다. 또한, 소정의 구조물 제조가 완료된 후 소정의 칩 단위로 기판을 절단하는 스크라이브 공정을 실시한다.
예를 들어, 포토 센서는 사람이나 사물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능을 갖는 반도체 소자로서, 기판 상에 광전 변환층, 컬러 필터, 마이크로 렌즈 등의 구조물을 형성한 후 각 칩 단위로 기판을 절단하고, 절단된 포토 센서 칩을 유리 기판 등의 투명 기판과 접합하여 패키징한다. 이러한 패키징 방식을 칩 스케일 패키지(Chip Scale Package; CSP)이라 한다. 이때, 포토 센서 칩을 형성하기 위해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기판을 절단하게 된다. 즉, 포토 센서 등의 반도체 장치 제조 시 복수의 단위 칩과 그 사이의 스크라이브 라인을 정의하고,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기판을 절단함으로써 복수의 단위 칩이 생산된다.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절단하기 위해 블레이드 등의 절단 장치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힘을 기판에 가하게 된다. 그런데, 기판에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에 의해 기판이 파손되어 칩핑(chipping)이나 크랙(crack) 등을 발생시킨다. 또한, 기계적인 힘에 의해 기판이 절단되면서 실리콘 분진(dust)이 발생되고, 이러한 분진에 의해 소자가 오동작할 수 있다. 특히 포토 센서는 분진이 포토 센서 상부로 비산되어 마이크로 렌즈를 손상시키는 등 화상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크라이브 공정 시 절단 장치가 기판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분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스크라이브 공정 시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층을 형성함으로써 스크라이브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적어도 소정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을 절단할 때 상기 기판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완충층; 및 상기 완충층을 포함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한층의 절연층, 적어도 한층의 도전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소자층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은 반도체 기판, 글래스 기판,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층은 유기물층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층은 스크라이브 라인에 적어도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의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완충층은 상기 기판 전체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소자층은 반도체 메모리의 적층 구조, 포토 센서의 적층 구조, 디스플레이 소자의 적층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포토 센서 적층 구조는 상기 완충층 상에 형성된 광전 변환층; 상기 광전 변환층 상에 형성된 패시베이션층; 및 상기 패시베이션층 상에 형성된 폴리머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의 적어도 소정 영역에 완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완충층을 포함한 기판 상에 적어도 한층의 절연층, 적어도 한층의 도전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소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상기 소자층으로부터 상기 기판을 절단하여 개별 칩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은 반도체 기판, 글래스 기판,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층은 유기물층을 포함한다.
상기 소자층은 반도체 메모리 구조, 포토 센서 구조, 디스플레이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판 상에 반도체 메모리 소자, 포토 센서 등의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소자층을 형성한 후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기판을 절단하여 복수의 개별 칩으로 분리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기판 상에 완충층을 형성함으로써 절단 장치에 의해 기판에 전달되는 기계적인 힘을 완화시켜 기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의 크랙, 칩핑 등에 의한 개별 칩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순서적으로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토 센서 패키지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토 센서 칩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순서적으로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토 센서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순서적으로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순서적으로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완충층(20)을 형성한다. 기판(10)은 그 상부에 형성되는 소자 구조물의 구조에 따라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자 구조물로서 DRAM, 플래쉬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가 형성되거나, 포토 센서가 형성되는 경우 기판(10)은 실리콘 웨이퍼 등의 반도체 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소자 구조물로서 디스플레이 소자가 구현되는 경우 기판(10)은 글래스 기판일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구현되는 경우 기판(10)은 플라스틱 기판(PE, PES, PET, PE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 이외에 기판으로 실리콘 기판, 절연층 및 반도체층이 적층된 SOI(Silicon On Insulator) 기판이 이용될 수도 있다. 즉, 기판(10)은 그 상부에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구조에 따라 반도체 기판, 글래스 기판, 플라스틱 기판, 절연 기판, 금속 기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완충층(20)은 기판(10) 상에 형성된 복수의 구조물이 형성된 소자 구조물을 개별 소자로 절단하여 복수의 칩을 형성하기 위해 기판(10)을 절단할 때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러한 완충층(20)은 기판(10) 상의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소정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완층층(20)을 형성한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등에 의해 패터닝하여 적어도 스크라이브 라인(SL)의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완충층(20)은 유기물층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200∼250℃ 정도의 온도에서 경화될 수 있는 저온 경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저온 경화 물질의 예로는 보우(bow)사의 인터비아(intervia), JSR사의 WPR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완충층(20)은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법, 디스펜스법, 스핀 도포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저온 경화 공정을 통해 경화시킬 수 있다. 한편, 기판(10)의 재질, 완충층(20)의 재질 등에 따라 기판(10)과 완충층(20)이 잘 접합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판(10) 상에 접착층(미도시)을 형성한 후 완충층(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완충층(20) 상에 적어도 일층의 구조물이 적층 형성된 소자층(30)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소자층(30)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 적어도 하나의 도전층,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층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이 적층되거나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자층(30)은 소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소자층(30)은 예를 들어 DRAM, 플래쉬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이루는 적층 구조일 수 있으며, 광전 변환층, 컬러 필터, 마이크로 렌즈 등의 포토 센서의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소자층(30)이 형성될 때 칩 단위로 소자층(30)으로부터 기판(10)을 절단하기 위한 스크라이브 라인(S L)을 정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라이브 라인(DL)을 따라 예를 들어 블레이드(40)를 이용하여 기판(10)을 절단한다. 이에 따라 개별 칩(50)이 제조된다. 이때, 기판(10) 상에 완충층(20)이 형성되기 때문에 스크라이브 공정 시 블레이드(40)를 통한 기계적인 힘이 기판(10)에 직접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즉, 완충층(20)이 기판(10)에 전달되는 스트레스를 완화함으로써 기판(10)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기판(10)에 기계적인 힘이 직접 인가되는 경우 발생되는 크랙, 칩핑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분진 발생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판(10) 상에 반도체 메모리 소자, 포토 센서 등의 소자층(30)을 형성한 후 스크라이브 라인(SL)을 따라 기판(10)을 절단하여 복수의 개별 칩으로 분리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기판(10) 상에 완충층(20)을 형성함으로써 블레이드(40)에 의해 기판(10)에 전달되는 기계적인 힘을 완화시켜 기판(10)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10)의 크랙, 칩핑 등에 의한 개별 칩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는 메모리 소자, 포토 센서 등의 반도체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포토 센서 칩을 포함하는 포토 센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 및 단면도로서, 포토 센서 칩을 포함하는 포토 센서 패키지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토 센서 패키지는 이미지를 센싱하는 포토 센서 칩(100)과, 포토 센서 칩(100)과 대향 배치되어 포토 센서 칩(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판 어셈블리(200)와, 포토 센서 칩(100)과 기판 어셈블리(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00)와, 포토 센서 칩(100)의 픽셀 영역(110)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 링(400)을 포함한다.
포토 센서 칩(100)은 기판(110)과, 기판(110) 상에 형성된 완충층(120)과, 완충층(120) 상에 적층 형성된 패시베이션층(130) 및 폴리머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실리콘 기판 등의 반도체 기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완충층(120)은 기판(100) 상에 형성된 복수의 구조물을 개별 소자로 절단하여 복수의 포토 센서 칩(100)을 형성하기 위해 기판(110)을 절단할 때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러한 완충층(120)은 기판(110) 상의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소정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완층층(120)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적어도 스크라이브 라인의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완충층(120)은 유기물층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200∼250℃ 정도의 온도에서 경화될 수 있는 저온 경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포토 센서 칩(100)은 중앙부에 마련되어 이미지를 센싱하는 픽셀 영역(A)과, 주변부에 마련되어 픽셀 영역(A)에서 촬영한 영상의 전기 신호를 송신하거나, 기타 다른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픽셀 영역(A)에는 예를 들어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광전 변환층(미도시)이 형성되고, 광전 변환층 상에 패시베이션층(130) 및 폴리머층(140)이 적층 형성될 수 있다. 광전 변환층(미도시)은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 포토 게이트(photo gate), 핀드 포토 다이오드(Pinned Photo Diode; PPD)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전 변환층 상에는 복수 층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적어도 한 층의 금속 배선 및 적어도 한 층의 층간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130)은 광전 변환층 및 상기 구조물 상에 형성되며, 광전 변환층 또는 금속 배선 등의 구조물을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형성한다. 또한, 패시베이션층(130)은 픽셀 영역(A) 뿐만 아니라 단자부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패시베이션층(130)은 포토 센서 칩(100)의 일면의 전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시베이션층(130)은 실리콘 옥사이드(SiO2), TEOS,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 실리콘 카바이드(SiC),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SiON), 다이아몬드 혼합물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둘 이상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물론, 패시베이션층(130)은 상기 언급된 물질 이외에 소자의 특성에 따라 하부 구조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폴리머층(140)은 컬러 필터 및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는데, 컬러 필터는 패시베이션층(130) 상에 형성되며, 색을 구분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마이크로렌즈는 컬러 필터 상에 마련되어 빛을 광전 변환층에 집중시켜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이러한 컬러 필터 및 마이크로 렌즈는 포토 센서 칩(100)의 픽셀 영역(A)에 형성된다. 폴리머층(140)의 소정 영역 상에는 실링 링(400)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토 센서 칩(100)은 실링 링(400)이 형성되는 영역의 폴리머층(140)이 제거된다. 즉, 실링 링(400)의 형상, 예를 들어 폐루프 형상을 따라 폴리머층(140)이 제거되어 그 하부의 패시베이션층(130)이 노출되고, 패시베이션층(130)에 접하여 실링 링(400)이 형성된다. 한편, 컬러 필터와 마이크로렌즈 사이에 평탄화막이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은 광전 변환층에 대응되는 영역에 컬러 필터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단차를 제거하기 위해 형성할 수 있다. 물론, 평탄화막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실링 링(400)이 형성될 영역에는 평탄화막도 함께 제거되어 패시베이션층(130)이 노출되도록 한다.
기판 어셈블리(200)는 투명 기판(210)과, 픽셀 영역(A)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된 완충층(220)과, 완충층(220) 상의 포토 센서 칩(100)이 실장되는 투명 기판(210)의 일면 상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금속 배선(230)과, 금속 배선(230) 상에 형성되어 금속 배선(230)을 절연하는 절연층(240)을 포함한다. 투명 기판(210)은 유리, 플라스틱 등의 투명 물질로 제작되고, 소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완충층(220)은 투명 기판(210)을 절단할 때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투명 기판(210)에 포토 센서 칩(100)을 접합한 후 투명 기판(210)을 절단하게 되는데, 투명 기판(210)의 절단 시 스트레스를 줄여 투명 기판(210)의 파손 등을 방지하기 완충층(220)을 형성한다. 이러한 완충층(220)은 포토 센서 칩(100)의 픽셀 영역(A)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투명 기판(2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픽셀 영역(A)에 완충층(220)이 형성되면 이미지 왜곡 등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픽셀 영역(A)에 대응되는 영역의 투명 기판(210) 상에는 완충층(220)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층(220)은 포토 센서 칩(100)의 완충층(220)과 마찬가지로 유기물층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200∼250℃ 정도의 온도에서 경화될 수 있는 저온 경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완충층(220)은 그 재질에 따라 투명 기판(210)과의 접착성이 떨어져 후속 공정 시 들뜨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완충층(220)과 투명 기판(210) 사이에 접착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금속 배선(230)이 형성된 투명 기판(210)의 일면 또는 금속 배선(230)이 형성되지 않은 투명 기판(210)의 타면에는 원하는 빛의 파장 대역에서 빛의 감도를 개선하거나 필터링을 위한 광학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빛이 입사되는 투명 기판(210)의 타면 상에 특정 파장대의 빛을 통과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IR 컷오프 필터(미도시)가 코팅되거나, IR 컷오프 필름(미도시)이 부착될 수도 있다. 금속 배선(230)은 투명 기판(210) 일면 상의 픽셀 영역(A)과 대응되는 영역의 외측에 형성된다. 금속 배선(230)은 인쇄 공정을 이용하여 패턴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금속 물질을 증착한 후 사진 및 식각 공정으로 패터닝할 수도 있다. 또한, 금속 배선(230) 상에는 금속 배선(230)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키도록 절연층(240)이 형성된다. 즉, 절연층(240)에 의해 포토 센서 칩(100) 및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과 연결되는 금속 배선(230)의 일부 영역이 노출된다. 이러한 절연층(240) 또한 인쇄 공정으로 패턴화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절연 물질을 증착한 후 사진 및 식각 공정을 패터닝 할 수도 있다.
연결부(300)는 포토 센서 칩(100)과 기판 어셈블리(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조인트(310)와, 기판 어셈블리(200)와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솔더 볼(320)을 포함한다. 복수의 조인트(310)는 실링 링(400) 외측의 기판 어셈블리(200)와 포토 센서 칩(100) 사이에 마련된다. 조인트(310)는 포토 센서 칩(100) 상의 소정 영역에 형성될 수 있는데, 픽셀 영역(A)의 외측, 즉 폴리머층(140)이 형성되지 않은 패시베이션층(1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인트(320)는 실링 링(400)의 내측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조인트(320)가 형성될 영역의 폴리머층(140)이 제거되어 조인트(320)가 패시베이션층(1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인트(310)는 도전층(312)과 접합층(314)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310)는 후술할 실링 링(400)과 동일 물질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310)의 도전층(312)은 구리 등의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접합층(314)은 도전층(312) 및 기판 어셈블리(200)의 금속 배선(230)보다 융점이 낮은 SnAg 등을 저융점 물질이 도전층(312) 및 금속 배선(230)과 반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접합층(314)은 소정 온도, 즉 저융점 물질층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저융점 물질층이 용융되어 액상으로 되고 용융된 상태에서 도전층(312) 및 기판 어셈블리(200)의 금속 배선(230)과 반응하여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SnAg의 저융점 물질층이 도전층(312) 및 금속 배선(230)으로 이용되는 구리와 반응하여 CuSnAg의 접합층(314)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솔더 볼(320)은 포토 센서 칩(100) 외곽의 기판 어셈블리(200)의 금속 배선(220) 상에 융착되어 기판 어셈블리(200)와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복수의 솔더 볼(320)은 예를 들어 사각형의 투명 기판(210) 외곽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솔더 볼(320)의 적어도 하나가 제거되고, 그 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수동 소자는 디커플링 캐패시터, 인덕터, 저항, 바리스터, 필터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포토 센서 칩(100)과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전달되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실링 링(400)은 포토 센서 칩(100)의 픽셀 영역(A)을 포함한 실링 영역을 둘러싸도록 포토 센서 칩(100)과 기판 어셈블리(200) 사이에 마련된다. 실링 링(400)은 포토 센서 칩(100) 상에 형성되어 기판 어셈블리(200)와 접합될 수 있는데, 픽셀 영역(A)의 폴리머층(140)이 제거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실링 링(400)은 폴리머층(140)이 제거되어 노출된 패시베이션층(1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 링(400)은 기판 어셈블리(200)와 포토 센서 칩(100) 사이의 실링 영역 내의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 링(400)은 포토 센서 칩(100) 상에 형성된 실링층(410)과, 실링층(410) 상에 형성된 접합층(4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투명 기판(210)의 소정 영역에 형성되며 접합층(420)과 접합되는 실링 링 패드(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실링 링(400)은 픽셀 영역(110)을 둘러싸는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일 수 있다. 즉, 투명 기판(210), 포토 센서 칩(100) 및 실링 링(400)이 결합되는 내부에 외부와 차단되고 밀봉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 내에 픽셀 영역(A)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실링층(410)이 픽셀 영역(A)을 둘러싸도록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에 접합층(42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링 링 패드(430)는 그 상에 절연층(230)이 형성되고, 절연층(230)에 의해 실링 링 패드(430)의 일부분이 노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링 링 패드(430)는 기판 어셈블리(200)의 금속 배선(230)과 동일 물질을 이용하여 동일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실링 링 패드(430)는 금속 배선(230)과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실링층(410)이 투명 기판(21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링 링 패드(430)는 포토 센서 칩(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링층(410) 및 실링 링 패드(430)는 구리 등의 금속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접합층(420)은 실링층(410) 및 실링 링 패드(430)보다 융점이 낮은 저융점 물질층을 형성하고, 저융점 물질층과 실링층(410) 및 실링 링 패드(430)를 반응시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층(410)은 구리, Au, Sn, SnAg, CuSnAg, Ag, Bi의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 합금을 이용할 수 있고, 실링층(410)보다 융점이 낮은 저융점 물질층은 Sn, SnAg, Ti/In/Au의 적층 구조, Bi, In의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 합금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저융점 물질층은 소정 온도에서 용융되어 실링 링 패드(430) 및 실링층(410)과 반응하여 접합층(420)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실링층(410)은 포토 센서 칩(100)과 기판 어셈블리(200) 사이의 간격에 따라 그 두께가 조절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6㎛∼1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융점 물질층은 2㎛∼12㎛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8㎛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은 접속 패드에 의해 솔더 볼(320)과 연결될 수 있으며, 회로 패턴이 인쇄되어 있어 외부로부터의 구동 전압 및 전류를 기판 어셈블리(200)를 통해 포토 센서 칩(100)에 공급한다. 인쇄 회로 기판은 단층 또는 다층의 인쇄 회로 기판, 금속 인쇄 회로 기판,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등 외부로부터 구동 전압 및 전류를 포토 센서 칩(100)에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순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포토 센서 칩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리콘 웨이퍼 등의 기판(110) 상에 완충층(120)을 형성한다. 이러한 완충층(120)은 기판(110) 상의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소정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완층층(120)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적어도 스크라이브 라인의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완충층(120)은 바람직하게는 저온 경화 유기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완충층(120)은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법, 디스펜스법, 스핀 도포법에 의해 형성되고 저온에서 경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스크라이브 라인 상에 형성하기 위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등에 의해 패터닝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완충층(120)이 형성된 기판(110) 상에 복수의 포토 센서 구조를 형성한다. 즉, 스크라이브 라인(SL)이 정의되고 스크라이브 라인(SL)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포토 센서 구조가 형성된다. 복수의 포토 센서 구조 각각은 중앙부에 이미지를 센싱하는 픽셀 영역이 마련되고, 픽셀 영역 주변부에 단자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픽셀 영역에는 예를 들어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포토 다이오드 등을 포함하는 광전 변환층 및 적어도 일층의 금속 배선층이 형성되고, 광전 변환층을 포함한 전체 상에 패시베이션층(130)이 형성된다. 또한, 패시베이션층(130) 상에는 컬러 필터 및 마이크로렌즈 등의 폴리머층(140)이 형성된다. 이때, 폴리머층(140)은 광전 변환층이 형성된 영역, 즉 픽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폴리머층(140)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폴리머층(140)이 제거되는 영역은 실링 링(400)이 형성될 영역으로, 폴리머층(140)은 실링 링(400)의 형상을 따라 제거되는데, 예를 들어 폐루프 형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포토 센서 구조가 형성된 기판(110) 상의 소정 영역에 도전층(312)과 실링층(410)을 형성하고, 도전층(312) 및 실링층(410) 상에 각각 저융점 물질층(314a 및 420a)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전층(312) 및 저융점 물질층(314a)은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실링층(410) 및 저융점 물질층(420a)은 실링 링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전층(312) 및 실링층(410)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실링층(410)은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실링층(410)은 포토 센서 칩(100)의 폴리머층(124)이 제거된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도전층(312)은 폴리머층(124)이 형성되지 않은 픽셀 영역(110) 외측의 패시베이션층(12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층(410)과 도전층(312)은 동일 높이로 형성된다. 저융점 물질층(314a 및 420a)은 도전층(312) 및 실링층(410)보다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물질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도전층(312) 및 실링층(410)으로는 구리, Au, Sn, SnAg, CuSnAg, Ag, Ni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저융점 물질층(314a 및 420a)로는 Sn, SnAg, Ti/In/Au의 적층 구조, Bi, I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전층(312) 및 실링층(410)과 저융점 물질층(314a 및420a)은 전기도금 또는 프린팅(printing)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포토 센서 구조물과 도전층(312) 및 실링층(41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층을 포토 센서 구조물 상에 형성할 수 있으며, 전기도금의 경우 접착층 상에 시드(seed)층을 형성하여 도전층(312) 및 실링층(410)의 도금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부에 스크라이브 라인(SL)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포토 센서 구조가 형성된 기판(110)을 스크라이브 라인(SL)을 따라 절단하여 복수의 포토 센서 칩(100)을 제조한다. 이때, 기판(110) 상에 완충층(12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110)을 절단할 때 기판(110)이 손상되지 않고 기판(110)으로부터 부산물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판(110) 절단에 따른 불량을 해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포토 센서 칩(100)과는 별도의 공정으로 투명 기판(210)에 대한 공정이 진행되고 포토 센서 칩(100)이 접합되는데, 도 10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을 참조하면, 투명 기판(210) 상에 완충층(220)을 형성한다. 투명 기판(210)은 투과율, 열안정성, 물리적 내구성, 화학적 안정성 등을 구비하는 것을 이용하는데, 일반 가시광선 대역을 센싱하는 포토 센서의 경우 상기 특성을 충족하면서 저가격으로 대향 공급이 가능한 일반 광학용 유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완충층(220)은 투명 기판(210)을 절단할 때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투명 기판(210)에 포토 센서 칩(100)을 접합한 후 절단하게 되는데, 투명 기판(210)의 절단 시 스트레스를 줄여 투명 기판(210)의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층(220)을 형성한다. 이러한 완충층(220)은 패터닝되어 소정 영역, 예를 들어 포토 센서 칩(100)의 픽셀 영역(A)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투명 기판(2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완충층(220)은 저온 경화 유기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완충층(220)과 투명 기판(210)의 접합 특성이 저하되어 이후 공정에서 완충층(220)이 투명 기판(210)으로부터 들뜨게 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투명 기판(210) 상에 접착층(미도시)을 형성한 후 완충층(2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투명 기판(210)의 일면 및 타면의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광학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파장대의 빛을 통과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IR 컷오프 필터(미도시)가 코팅되거나, IR 컷오프 필름(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가시광선 대역에서 투과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반사방지(anti-reflection)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기판(210) 상에 적어도 하나의 금속 배선(230)과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240)을 형성한다. 또한, 금속 배선(230)과 이격되도록 실링 링 패드(43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금속 배선(230) 및 실링 링 패드(430)는 투명 기판(210) 일면 상에 형성되고, 절연층(240)은 금속 배선(230) 및 실링 링 패드(43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투명 기판(210) 상에 형성되는데, 금속 배선(230) 및 실링 링 패드(43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금속 배선(230) 및 절연층(240)이 형성됨으로써 전기적인 입출력 접촉 단자 및 이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배선이 형성된다. 금속 배선(230) 및 실링 링 패드(430)은 동일 물질 및 동일 공정으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퍼터링에 의해 금속층을 투명 기판(210)의 일면 상에 증착한 후 사진 및 식각 공정으로 금속층을 패터닝하거나, 전기 도금에 의해 패턴화하여 금속층을 형성하여 금속 배선(230) 및 실링 링 패드(43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240)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 등의 절연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들 절연 물질을 증착한 후 사진 및 식각 공정으로 패터닝할 수 있다. 절연층(240)은 금속 배선(230) 및 실링 링 패드(43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실링 링 패드(430)는 포토 센서 칩(100) 상에 형성된 실링층(410) 및 저융점 물질층(420a)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포토 센서 패키지와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로 투명 기판(210) 상에 솔더 볼(3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린팅이나 기타 유사한 방법으로 플럭스를 투명 기판(210) 외곽의 예를 들어 금속 배선(230) 상에 도포하고, 볼 형태를 가지는 솔더, 즉 솔더 볼(320)를 플럭스 상에 붙인 후 솔더 리플로우를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솔더 리플로우 후에는 세정 공정을 통해 플럭스 잔류물을 제거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플립 칩 마운팅(mounting) 장비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칩(100)의 양품만을 투명 기판(210) 상에 위치시킨다. 즉, 포토 센서 칩(100)의 실링층(410) 및 저융점 물질층(420a)이 투명 기판(210)의 실링 링 패드(430)과 대응되도록 포토 센서 칩(100)을 투명 기판(210) 상에 위치시킨다.
도 13을 참조하면, 포토 센서 칩(100)이 올려진 투명 기판(210)을 저융점 물질층(314a 및 420a)의 융점 이상의 온도를 가지는 리플로우 오븐을 통과시킨다. 이렇게 하면 저융점 물질층(314a 및 420a)이 용융되어 액상으로 되고, 저융점 물질층(314a 및 420a) 각각의 원소가 도전층(312)과 금속 배선(220)의 원소와 반응하고 실링층(410)과 실링 링 패드(430)와 반응하여 접합층(314 및 420)이 형성된다. 실링층(410) 및 저융점 물질층(420a)으로 구리와 Sn, 구리와 SnAg, Au와 Ti/In/Au의 적층 구조, Sn과 Bi, SnAg와 Bi, CuSnAg와 Bi, Ag와 In, Ni와 Sn을 각각 이용하여 CuSn, CuSnAg, AuIn, SnBi, Sn,AgBi, CuSnAgBi, AgIn, NiSn의 접착층(42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층(312) 및 접합층(314)로 이루어진 플립칩 솔더 범프(310)와 실링층(410) 및 접착층(420)으로 이루어진 실링 링(400)이 형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투명 기판(210)를 스크라이브 라인(DL)을 따라 절단하여 각각의 단위 패키지로 분리함으로써 포토 센서 패키지를 완성한다. 여기서, 투명 기판(210)을 절단할 때 투명 기판(210) 상에 완충층(22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 기판(210)에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을 줄여 투명 기판(2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기판 20 : 완충층
30 : 소자층
100 : 이미지 센서 칩 200 : 기판 어셈블리
300 : 연결부 400 : 실링 링

Claims (11)

  1.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적어도 소정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을 절단할 때 상기 기판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완충층; 및
    상기 완충층을 포함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한층의 절연층, 적어도 한층의 도전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소자층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층은 상기 기판 전체 상부에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반도체 기판, 글래스 기판,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은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자층은 반도체 메모리의 적층 구조, 포토 센서의 적층 구조, 디스플레이 소자의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포토 센서 적층 구조는 상기 완충층 상에 형성된 광전 변환층;
    상기 광전 변환층 상에 형성된 패시베이션층; 및
    상기 패시베이션층 상에 형성된 폴리머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8. 기판 상의 적어도 소정 영역에 완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완충층을 포함한 기판 상에 적어도 한층의 절연층, 적어도 한층의 도전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소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상기 소자층으로부터 상기 기판을 절단하여 개별 칩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반도체 기판, 글래스 기판,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은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소자층은 반도체 메모리의 적층 구조, 포토 센서의 적층 구조, 디스플레이의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30018391A 2013-02-21 2013-02-21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40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391A KR101440308B1 (ko) 2013-02-21 2013-02-21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391A KR101440308B1 (ko) 2013-02-21 2013-02-21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052A KR20140105052A (ko) 2014-09-01
KR101440308B1 true KR101440308B1 (ko) 2014-09-18

Family

ID=5175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391A KR101440308B1 (ko) 2013-02-21 2013-02-21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3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3109B2 (en) 2016-04-27 2018-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chi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device
KR20230030759A (ko)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아이에이네트웍스 허메틱 실링 패키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995A (ko) * 2000-10-04 2002-04-13 윤종용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KR20040076623A (ko) * 2003-02-25 2004-09-0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852116B1 (ko) 2007-03-07 2008-08-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995A (ko) * 2000-10-04 2002-04-13 윤종용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KR20040076623A (ko) * 2003-02-25 2004-09-0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852116B1 (ko) 2007-03-07 2008-08-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3109B2 (en) 2016-04-27 2018-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chi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device
US10643958B2 (en) 2016-04-27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chi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device
KR20230030759A (ko)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아이에이네트웍스 허메틱 실링 패키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052A (ko)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0231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0976813B1 (ko) 전자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TWI508235B (zh) 晶片封裝體及其製作方法
KR101963809B1 (ko) 이미지 센서 패키지
US7221051B2 (en) Semiconductor device, module for optical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US7291518B2 (en) Electronic package of photo-image sensors in cellular phone camera modules, and the fabrication and assembly thereof
US20150255500A1 (en)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976812B1 (ko) 전자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US9997473B2 (en) Chip packag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11107848B2 (en) Semiconductor device for detection of radi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a semiconductor device for detection of radiation
JP4922342B2 (ja) 電子デバイス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US9780135B2 (en) Image pickup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10169118A1 (en) Optical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US9966400B2 (en) Photosensitive modul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20170117242A1 (en) Chip packag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101142347B1 (ko) 포토센서 패키지 모듈 및 제작 방법
TWI442535B (zh) 電子元件封裝體及其製作方法
TWI611528B (zh) 晶片模組及其製造方法
US11282879B2 (en) Image sensor packaging method, image sensor packaging structure, and lens module
KR101440308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56805B1 (ko) 포토 센서 패키지
KR20110117486A (ko) 포토 센서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