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358B1 -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게이트웨이 - Google Patents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게이트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358B1
KR101438358B1 KR1020120057163A KR20120057163A KR101438358B1 KR 101438358 B1 KR101438358 B1 KR 101438358B1 KR 1020120057163 A KR1020120057163 A KR 1020120057163A KR 20120057163 A KR20120057163 A KR 20120057163A KR 101438358 B1 KR101438358 B1 KR 101438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way
gscl
list
procedure
neighb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985A (ko
Inventor
남궁정일
이재호
김용진
Original Assignee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7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358B1/ko
Priority to PCT/KR2012/009876 priority patent/WO2013180355A1/ko
Publication of KR2013013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2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s or mobility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게이트웨이를 개시한다.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M2M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의 이동에 따른 리소스 처리 시 오버헤드를 감소하고, 복수의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분산 처리하며, 실시간 이벤트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게 하며, 디바이스의 로밍(Roaming) 지원을 위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게이트웨이{Method for Providing Machine to Machine Overlay Network, System, Server And Gateway Therefor}
본 실시예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M2M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의 이동에 따른 리소스 처리 시 오버헤드를 감소하고, 복수의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분산 처리하며, 실시간 이벤트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게 하며, 디바이스의 로밍(Roaming) 지원을 위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사물지능통신은 국제적으로 다소 상이하게 정의되어 있지만 전반적으로 M2M(Machine to Machine, ETSI), IoT(Internet of Things, ITU-T),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 3GPP) 등으로 용어가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에 대하여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방송·인터넷 인프라를 인간 대 사물, 사물대 사물 간 영역으로 확대·연계하여 사물을 통해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 가공, 처리하여 상호 전달하는 서비스'로 정의하였다. 협의의 의미로는 기계 간 통신 및 사람이 작동하는 장치와 기계 간 통신을 의미하지만, 광의의 의미로는 통신과 ICT 기술을 결합하여 원격지의 사물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인프라, 시스템, 단말기 등 제반 모든 솔루션(Solution)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의 주요 응용분야로 각광받고 있는 서비스로는 모바일오피스, 홈서비스, 헬스서비스, 차량서비스, 결제, 물류관리, 보안 등이며, 타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가능하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은 세계적으로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스마트워크(Smart Work) 등과 함께 각국의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주요 정책이다. 즉, 세계 주요정부와 글로벌 기업들은 공격적인 투자와 서비스 개발 인프라 구축을 서두르고 있으며, 특히, 사물지능통신 기술과 서비스를 그린IT, 텔레매틱스, 위치기반서비스, 원격검침, 물류관리 분야로 확대 적용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 일부 제공되고 있는 사물지능 통신 서비스로는, 카드결제기, 교통 시스템, 원격검침, 스마트 그리드 및 기상관제시스템 등이 있다. 또한, 자동차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지능형 자동차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 기반의 융합서비스가 다양화되면서 객체(장치)와 객체(장치) 간의 M2M 통신을 위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개발을 필요로 한다. 또한, 현재 국내외 표준기구를 통해 표준화가 추진 중에 있지만, 기존의 사물지능통신 플랫폼 간의 연동보다는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사물지능통신 플랫폼에 대한 구조와 기능을 중심으로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최근 이러한 추세에 따라 M2M 통신에서도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M2M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의 이동에 따른 리소스 처리 시 오버헤드를 감소하고, 복수의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분산 처리하며, 실시간 이벤트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게 하며, 디바이스의 로밍 지원을 위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서버와 게이트웨이 간에 MSBC(M2M Service Bootstrapping and Connection)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SCL: Service Capability Layer)를 등록(Registration)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고,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Resource Tree)를 구축하는 디스커버리 과정(Discovery Procedure); 및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Mutual Trusted Relationship Handshaking), 상호 선언(Mutual Announcement)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Mutual Sharing)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조직 과정(Network Organization Procedur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서버와 게이트웨이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고,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디스커버리 과정;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조직 과정; 디바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 간에 디바이스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서의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제 1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참여 과정; 및 상기 디바이스의 이동 시 새로운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리소스 트리를 갱신하는 제 2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참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서버와 게이트웨이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고,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디스커버리 과정;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조직 과정; 상기 서버와 상기 디바이스 간에 상기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고, 상기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제 1 디바이스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참여 과정; 및 이동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새로운 인접 게이트웨이간에 상기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기 상호 선언 절차, 상기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제 2 디바이스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참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게이트웨이와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여 전송하는 서버; 및 수신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고,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게이트웨이와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여 전송하는 서버; 및 수신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고,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고,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되, 상기 디바이스의 이동 시 새로운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상기 리소스 트리를 갱신하는 게이트웨이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게이트웨이와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여 전송하는 서버; 및 수신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고,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그룹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수신된 상기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고, 이동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새로운 인접 게이트웨이간에 상기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기 상호 선언 절차, 상기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게이트웨이와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NSCL(Network Service Capability Layer); 및 장치 내부 통신을 수행하는 NA(Network Applica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서버와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고,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며,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디바이스의 이동 시 상기 리소스 트리를 갱신하는 GSCL(Gateway Service Capability Layer); 및 게이트웨이 내부 통신을 수행하는 GA(Gateway Applica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M2M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의 이동에 따른 리소스 처리 시 오버헤드를 감소하고, 복수의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분산 처리하며, 실시간 이벤트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게 하며, 디바이스의 로밍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게이트웨이,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DA를 이용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조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참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DSCL을 이용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참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과정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리소스 트리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과정에서의 새로 정의된 리소스 트리에 대한 예시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조직 과정에서의 관련 리소스 트리에 대한 예시도,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가 적용된 차량 사고 현장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기재된, mId, dId, mIa, dIa 등은 표준 문서 ETSI TS 102 690 V2.0.3에 정의되어 있어 이에 따르나, 본 실시예에서 기재된 용어에 대해 그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mId(M2M Network Interface Device)는 M2M 네트워크와 디바이스 간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dId(Device Interface Device)는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간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mIa(M2M Network Interface Application)는 M2M 네트워크(여기서, 네트워크는 물리적인(Physical) 장치로서 서버를 의미함)와 애플리케이션 간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dIa(Device Interface Application)는 디바이스와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또한, GIP(Gateway Interworking Proxy)는 게이트웨이의 상호연동 프록시를 의미하며, NIP(Network Interworking Proxy)는 서버의 상호연동 프록시를 의미하며, DIP(Device Interworking Proxy)는 디바이스의 상호연동 프록시를 의미한다.
한편, DA(Device Application)은 M2M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하며, DAs는 복수 개의 DA를 의미한다. NA(Network Application)은 M2M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서버단의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하며, GA(Gateway Application)는 M2M 통신을 위한 게이트웨이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또한, GSCL(Gateway Service Capability Layer)는 M2M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웨이 캐파빌리티(Capability)의 집합을 의미하며, GSCLs는 복수의 GSCL을 의미한다. NSCL(Network Service Capability Layer)는 M2M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서버측) 캐파빌리티의 집합을 의미하며, DSCL(Device Service Capability Layer)는 M2M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캐파빌리티의 집합을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기술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란 기존 M2M 네트워크(인프라)를 바탕으로 그 위에 구성된 또 다른 네트워크를 말한다. 즉, 기존의 M2M 네트워크 위에 별도의 노드들(Nodes)과 논리적 링크들(Logical Links)을 구성하여 이루어진 가상 네트워크이다.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에서 이웃 노드들은 물리적인 이웃 노드가 아닌 논리적인 이웃 노드를 말한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M2M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M2M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란 기존의 물리적(Physical) 또는 논리적(Logical)으로 존재하는 토폴로지(Topology) 위에 또 다른 필요에 의해 논리적인 토폴로지를 재구성하여 M2M 통신의 성능을 개선하고 효율을 높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이러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형성한 객체 간에 자원을 공유하고 모든 장치가 서버인 동시에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하며, 물리적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피어(Pear)들이 M2M 서비스에 등록하면, 등록된 피어들 간의 가상 네트워크, 즉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여기서, 객체란 M2M 통신을 수행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상에서 피어들은 서버의 도움 없이 다른 피어들과 직접 정보를 공유하고 교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시스템은 디바이스(110), 게이트웨이(120) 및 서버(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시스템이 디바이스(110), 디바이스`(112), 게이트웨이 그룹(120) 및 서버(13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디바이스(110)는 M2M 통신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모든 단말기 또는 기능 모듈을 말한다. 즉, 디바이스(110)는 M2M 통신을 위해 게이트웨이 그룹(120)과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모듈 등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디바이스`(112)는 M2M 통신을 위해 DSCL 및 DA를 탑재한 단말기를 말하며, M2M 통신을 위해 탑재된 DSCL 또는 DA를 구동한다. 디바이스`(112)는 M2M 통신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모든 단말기 또는 기능 모듈을 말한다. 디바이스`(112)는 M2M 통신을 위해 게이트웨이 그룹(120)과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모듈 등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바이스(110)는 M2M 통신을 위해 DA를 탑재한 단말기를 말하며, M2M 통신을 위해 탑재된 DA를 구동하여 dIa 인터페이스를 통해 GSCL과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디바이스`(112)는 DA만을 탑재하여 구동한다.
게이트웨이 그룹(120)은 M2M 통신을 위해 다른 네트워크로 진입하는 입구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를 말한다. 게이트웨이 그룹(120)은 복수의 게이트웨이를 포함한 그룹을 말하나, 본 실시예에는 설명의 편의상 제 1 게이트웨이(122), 제 2 게이트웨이(124), 제 3 게이트웨이(126) 및 제 N 게이트웨이(128)로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13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30)는 통상적인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30)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뜻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10), 게이트웨이(120), 서버(130)가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130)와 게이트웨이 그룹(120) 간에 MSBC(M2M Service Bootstrapping and Connection) 절차를 수행하고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SCL: Service Capability Layer)를 등록(Registration)하고, 게이트웨이 그룹(120) 내에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고,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Resource Tree)를 구축한다. 게이트웨이 그룹(120)은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 내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Mutual Trusted Relationship Handshaking), 상호 선언(Mutual Announcement)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Mutual Sharing)를 수행한다. 이후 디바이스`(112)와 게이트웨이 그룹(120) 중 제 2 게이트웨이(124) 간에 디바이스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제 2 게이트웨이(124)에서의 디바이스`(112)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갱신한다. 디바이스`(112)의 이동 시 새로운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에서 리소스 트리를 갱신한다.
한편, 서버(130)와 게이트웨이 그룹(120)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하고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게이트웨이 그룹(120) 내에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고,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한다. 게이트웨이 그룹(120)은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 내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한다. 서버(130)와 디바이스(110)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하고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디바이스(110)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고,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한다. 디바이스(110)와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새로운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그룹(120)과 서버(130) 간에 수행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의 디스커버리 과정(Discovery Procedure)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게이트웨이 그룹(120)과 서버(130)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하고,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한다. 즉, 게이트웨이 그룹(120) 내에 포함된 각각의 게이트웨이인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내지 GSCL#N과 서버(130)의 NSCL#1은 상호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하고,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한다. 이후, 서버(130)에서 게이트웨이 그룹(120) 내에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한다. 서버(130)의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 산출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서버(130)의 NSCL#1은 상호 인증이 성공한 게이트웨이 그룹(120) 내의 특정 게이트웨이의 GSCL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게이트웨이 그룹(120) 내의 각각의 게이트웨이인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내지 GSCL#N에 대한 인접 GSCL 리스트를 산출한다. 서버(130)에서는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게이트웨이 그룹(120)으로 전송한다. 즉, 서버(130)의 NSCL#1은 등록된 각각의 GSCL#1 내지 GSCL#N에 대한 인접 GSCL 리스트를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로 전송한다. 이후, 게이트웨이 그룹(120)에서 수신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한다. 즉,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은 수신된 인접 GSCL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그룹(120)과 서버(130) 간에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조직 과정(Network Organization Procedure)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게이트웨이 그룹(120)에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와 상호 트러스트 관계를 수립한다. 즉,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은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를 수립한다. 다음으로,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상호 트러스트 관계가 수립된 게이트웨이와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추가 인증없이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즉,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상호 트러스트 관계가 수립된 게이트웨이의 GSCL과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추가 인증없이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에 대한 리소스 생성 및 상호 관심 리소스(Interesting Resources)에 대한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게이트웨이와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리소스에 대한 상호 선언 절차를 수행한다. 즉,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게이트웨이의 GSCL과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리소스에 대한 상호 선언 절차를 수행하고, 상호 관심 리소스에 대한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게이트웨이와 인접 게이트웨이에서 상호 선언된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리소스 생성 및 관심 리소스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즉,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게이트웨이의 GSCL와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에서 상호 선언된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리소스 생성 및 관심 리소스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게이트웨이와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관련 리소스 및 관심 리소스를 상호 공유한다. 즉,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게이트웨이의 GSCL와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관련 리소스 및 관심 리소스를 상호 공유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12), 게이트웨이 그룹(120), 서버(130) 간에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의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참여 과정(DA Join Procedure)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디바이스`(112)와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제 2 게이트웨이(124) 간에 디바이스`(112)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즉, 디바이스`(112)의 DA#1과 제 2 게이트웨이(124)의 GSCL#2 간에 디바이스`(112)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제 2 게이트웨이(124)에서 등록된 디바이스`(112)에 대한 관련 리소스를 생성하고, 인접 게이트웨이인 제 1 게이트웨이(122), 제 3 게이트웨이(126)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 및 서버(130)로 선언(Announcement)을 수행한다. 즉, 제 2 게이트웨이(124)의 GSCL#2는 인접 게이트웨이인 제 1 게이트웨이(122), 제 3 게이트웨이(126)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GSCL#3 내지 GSCL#N 및 서버(130)의 NSCL#1로 등록된 디바이스`(112)의 DA를 선언한다. 다음으로, 제 2 게이트웨이(124)에서 인접 게이트웨이인 제 1 게이트웨이(122), 제 3 게이트웨이(126)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로부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수신한다. 제 2 게이트웨이(124)는 디바이스`(112)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여 인접 게이트웨이인 제 1 게이트웨이(122), 제 3 게이트웨이(126)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위치 및 커버리지 정보를 바탕으로 로밍 영역(Roaming Area)을 예측하여 신속 핸드오버(Fast Handover)를 수행하도록 한다. 즉, 제 2 게이트웨이(124)의 GSCL#2는 인접 게이트웨이인 제 1 게이트웨이(122), 제 3 게이트웨이(126)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GSCL#3 내지 GSCL#N으로부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수신한다. 제 2 게이트웨이(124)는 디바이스`(112)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여 인접 게이트웨이인 제 1 게이트웨이(122), 제 3 게이트웨이(126)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GSCL#3 내지 GSCL#N에 대한 위치 및 커버리지 정보를 바탕으로 로밍 영역을 예측하여 신속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후, 디바이스`(112)의 이동으로 인해 새로운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가 디바이스`(112)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즉, 디바이스`(112)의 DA는 이동으로 인해 새로운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의 GSCL#3이 디바이스`(112)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새로운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에서 리소스 트리에 디바이스`(112)에 관한 리소스를 업데이트한다. 즉, 새로운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의 GSCL#3이 리소스 트리에 디바이스`(112)에 관한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것이다. 이후, 새로운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에서 디바이스`(112)의 정보를 서버(130) 및 인접 게이트웨이인 제 1 게이트웨이(122), 제 2 게이트웨이(126) 또는 제 N 게이트웨이(128)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 3 게이트웨이(126)의 인접 게이트웨이는 제 2 게이트웨이(126) 및 제 N 게이트웨이(128)일 수 있으나, 도 1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제 1 게이트웨이(122)와 제 3 게이트웨이(126)가 거리상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제 3 게이트웨이(126)는 제 1 게이트웨이를 인접 게이트웨이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새로운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의 GSCL#3이 디바이스`(112)에 대한 정보를 서버(130)의 NSCL#1 및 인접 게이트웨이인 제 1 게이트웨이(122)의 GSCL#1, 제 2 게이트웨이(124)의 GSCL#2 또는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N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10), 게이트웨이 그룹(120), 서버(130) 간에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의 디바이스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참여 과정(DSCL Join Procedure)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디바이스(110)와 서버(130)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하고,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한다. 즉, 디바이스(110)의 DSCL#1과 서버(130)의 NSCL#1은 상호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하고,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는 것이다. 이후, 서버(130)에서 게이트웨이 그룹(120)에 대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한다. 즉, 서버(130)의 NSCL#1은 상호 인증이 성공한 디바이스(110)의 DSCL#1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디바이스(110)의 DSCL#1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GSCL 리스트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서버(130)에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디바이스(110)로 전송한다. 즉, 서버(130)의 NSCL#1은 등록된 각각의 DSCL#1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GSCL 리스트를 디바이스(110)의 DSCL#1로 전송한다. 디바이스(110)에서 수신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한다. 즉, 디바이스(110)의 DSCL#1은 수신된 디바이스 인접 GSCL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후, 디바이스(110)와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를 수립한다. 즉, 디바이스(110)의 DSCL#1과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를 수립한다. 상호 트러스트 관계가 수립된 디바이스(110)와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추가 인증없이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호 트러스트 관계가 수립된 디바이스의 DSCL과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추가 인증없이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에 대한 리소스 생성 및 상호 관심 리소스에 대한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호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디바이스(110)와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리소스에 대한 상호 선언 절차를 수행한다. 즉,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디바이스의 DSCL과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리소스에 대한 상호 선언 절차를 수행하고, 상호 관심 리소스에 대한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상호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에서 상호 선언된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리소스 생성 및 관심 리소스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호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디바이스의 DSCL과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상호 선언된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리소스 생성 및 관심 리소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호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에서 관련 리소스 및 관심 리소스를 상호 공유한다. 즉, 상호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디바이스의 DSCL과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관련 리소스 및 관심 리소스를 상호 공유하는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게이트웨이 그룹(120)/디바이스(110)와 게이트웨이 그룹(120)/디바이스`(112) 간 통신 또는 디바이스(110)와 다른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112)와 다른 디바이스` 간 통신을 위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분산 처리 기반의 이벤트/데이터의 신속한 전파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서버(130)의 NSCL#1과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s(GSCL#1 내지 GSCL#N)와 디바이스(110)의 DSCLs 간의 상호 신뢰 관계(Mutual Trusted Relationship) 형성을 통한 추가 인증 생략 및 관련 리소스 공유(Sharing)를 통하여, 디바이스`(112)의 이동성(Mobility)에 따른 오버로드 감소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서버(130)와 게이트웨이 그룹(120) 간의 통신을 네트워크 도메인(Network Domain)이라 일컬으며, 게이트웨이 그룹(120)와 디바이스(110)/디바이스`(112) 간의 통신을 M2M 영역 네트워크(M2M Area Network)라 일컫는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게이트웨이,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10)는 DA, DIP, DSCL을 포함하며, 디바이스`(112)는 DA를 포함하며, 제 1,2 게이트웨이(122, 124)는 GA, GIP, GSCL을 포함하며, 서버(130)는 NA, NIP 및 NSCL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110)가 DA, DIP, DSCL을 포함하며, 디바이스`(112)이 DA를 포함하며, 제 1,2 게이트웨이(122, 124)가 GA, GIP, GSCL을 포함하며, 서버(130)가 NA, NIP 및 NSCL#1을 포함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디바이스(110), 제 1,2 게이트웨이(122, 124) 및 서버(13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디바이스(110)는 제 1 게이트웨이(122), 서버(130)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M2M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DA, DIP, DSCL을 포함한다. 즉, 이러한 디바이스(110)의 DSCL은 mId를 이용하여 서버(130)의 NSCL#1과 M2M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디바이스(110)의 DSCL은 mId 또는 dId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과 M2M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디바이스(110) 내부적으로 DA와 DSCL은 dIa를 통해 통신하며, DIP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10)가 다른 디바이스와 M2M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12)은 제 2 게이트웨이(124), 서버(130)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M2M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DA를 포함한다. 즉, 이러한 디바이스`(112)의 DA는 제 2 게이트웨이(124)의 GSCL과 M2M 통신을 수행한다.
제 1,2 게이트웨이(122, 124)는 디바이스(110), 디바이스`(112), 서버(130) 또는 다른 게이트웨이(가령, 인접 게이트웨이, 새로운 게이트웨이)와 M2M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GA, GIP, GSCL을 포함한다. 즉, 이러한 제 1,2 게이트웨이(122, 124)의 GSCL은 mId를 이용하여 서버(130)의 NSCL과 M2M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은 mId 또는 dId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10)의 DSCL과 M2M 통신을 수행하거나 디바이스`(112)과 M2M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2 게이트웨이(122, 124) 내부적으로 GA와 GSCL은 dIa를 통해 통신하며, GIP를 이용하여 다른 게이트웨이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M2M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30)는 디바이스(110), 게이트웨이 그룹(120)과 M2M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NA, NIP 및 NSCL을 포함한다. 즉, 이러한 서버(130)의 NSCL은 mId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 또는 디바이스(110)의 DSCL과 M2M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서버(130) 내부적으로 NA와 NSCL은 mIa를 통해 통신하며, NIP를 구비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10)의 DSCL, 디바이스`(112)의 DA, 제 1,2 게이트웨이(122, 124)의 GSCL, 서버(130)의 NSCL#1은 dIa, mId 또는 dId를 이용하여 상호 간에 M2M 통신을 수행하며, DIP, GIP, NIP를 이용하여 상호연동하며 결과적으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각 장치 간의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서버(130)의 NSCL#1와 제 1,2 게이트웨이(122, 124)의 GSCL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게이트웨이 그룹(120) 내에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고,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한다.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과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한다. 디바이스`(112)의 DA와 제 1 게이트웨이(122)의 GSCL#1 간에 디바이스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제 1 게이트웨이(122)의 GSCL#1에서의 디바이스`(112)의 DA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갱신한다. 이후, 디바이스`(112)의 이동 시 새로운 게이트웨이에서 리소스 트리를 갱신한다. 서버(130)의 NSCL#1과 디바이스(110)의 DA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이동한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고,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한다. 디바이스(110)와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새로운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도메인(Network Domain)은 서버(130)와 게이트웨이 그룹(120) 간의 통신 영역을 일컬으며, M2M 영역 네트워크(M2M Area Network)는 게이트웨이 그룹(120)과 디바이스(110) 간의 통신 영역을 일컫는다. 이러한, 도 2에 도시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위한, 디바이스(110), 제 1,2 게이트웨이(122, 124) 및 서버(130)를 통해 제 1 게이트웨이(122)/디바이스(110)와 제 2 게이트웨이(124)/디바이스`(112) 간 통신 또는 디바이스`(112)와 다른 디바이스` 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할 수 있다. 즉, 기존의 mId 적용 또는 새로운 인터페이스(가령, dId)를 정의할 수 있다. 한편,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관련 별도의 리소스를 정의할 수 있다. 즉, 새로운 리소스 트리를 정의하거나 애플리케이션 레벨(Application Level)의 리소스 트리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DA를 이용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서버(130)와 게이트웨이 그룹(120)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게이트웨이 그룹(120) 내에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고,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디스커버리 과정을 수행한다(S310). 단계 S310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게이트웨이 그룹(120)에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조직 과정을 수행한다(S320). 단계 S320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후 디바이스`(112)와 제 2 게이트웨이(124) 간에 디바이스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제 2 게이트웨이(124)에서의 디바이스`(112)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제 1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참여 과정을 수행한다(S330). 디바이스`(112)의 이동 시 새로운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에서 리소스 트리를 갱신하는 제 2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참여 과정을 수행한다(S340). 단계 S330과 단계 S340에 대해서는 도 6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의 DA를 이용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은 단계 S310 내지 단계 S34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게이트웨이 그룹(120)과 서버(130)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한다(S410). 단계 S410에서,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각각의 게이트웨이인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내지 GSCL#N과 서버(130)의 NSCL#1은 상호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한다. 이러한, 단계 S4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각각의 게이트웨이인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내지 GSCL#N은 서버(130)의 NSCL#1로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등록 과정을 수행하는 데, 이때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내지 GSCL#N은 해당 디바이스인 디바이스(110)/디바이스`(112)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예를 들어서, 게이트웨이 그룹(120)은 디바이스(110)/디바이스`(112)의 GPS DA 등을 이용한 위치 정보(가령, <gsclBase#i>/applications/<gpsDA#i>/containers/locationContainer)를 함께 서버(130)의 NSCL#1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에서 서버(130)의 NSCL#1을 디스커버리하는 과정은 프레 프로비젼드 머티리얼(Pre-Provisioned Material)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위치 정보는 추가적인 PANA(Protocol for carrying Authentication for Network Access) AVPs(Attribute Value Pairs)를 정의하여 전송되거나 리소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서버(130)에서 게이트웨이 그룹(120)에 대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한다(S420). 단계 S420에서, 서버(130)의 NSCL#1은 상호 인증이 성공한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특정 게이트웨이의 GSCL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게이트웨이인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내지 GSCL#N에 대한 인접 GSCL 리스트를 산출한다. 이러한, 단계 S42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서버(130)의 NSCL#1은 상호 인증이 성공한 게이트웨이의 GSCLs(GSCL#1 내지 GSCL#N)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내지 GSCL#N에 대한 인접 GSCLs(GSCL#1 내지 GSCL#N) 리스트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인접 GSCLs(GSCL#1 내지 GSCL#N) 리스트 산출 알고리즘은 물리적인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하거나, 여러 요소들(가령, 응답시간, 홉 카운트 등)을 기반으로 논리적인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행 가능하며, 상황에 따라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출 가능할 것이다.
서버(130)에서는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게이트웨이 그룹(120)으로 전송한다(S430). 단계 S430에서, 서버(130)의 NSCL#1은 등록된 각각의 GSCL#1 내지 GSCL#N에 대한 인접 GSCL 리스트를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 S430에서 서버(130)는 산출된 각각의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내지 GSCL#N에 대한 인접 GSCLs(GSCL#1 내지 GSCL#N) 리스트를 각각의 GSCL#1 내지 GSCL#N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게이트웨이 그룹(120)은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한다(S440). 단계 S440에서,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은 수신된 인접 GSCL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한다. 예컨대, 단계 S440에서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은 수신된 인접 GSCLs(GSCL#1 내지 GSCL#N) 리스트를 기반으로 <m2mOverlayNetwork>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것이다.
도 4의 디스커버리 과정은 단계 S410 내지 단계 S44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조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게이트웨이 그룹(120)에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와 상호 트러스트 관계를 수립한다(S510). 단계 S510에서,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과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를 수립한다. 또한, 단계 S510에서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은 인접 GSCLs(GSCL#1 내지 GSCL#N) 리스트를 기반으로 인접 GSCLs(GSCL#1 내지 GSCL#N)과 상호 트러스트 관계 수립 절차를 수행하는데, 이때, mId 또는 dId를 이용하며,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은 서버(130)의 NSCL#1과 상호 인증되었으므로 GSCLs(GSCL#1 내지 GSCL#N) 간의 별도의 인증 과정이 불필요하다.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상호 트러스트 관계가 수립된 게이트웨이와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추가 인증없이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S520). 단계 S520에서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상호 트러스트 관계가 수립된 게이트웨이와 GSCL과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추가 인증없이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에 대한 리소스 생성 및 상호 관심 리소스에 대한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즉, 단계 S520에서,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상호 신뢰 관계 수립 이후 상호 트러스트 관계가 수립된 게이트웨이와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별도의 인증 과정 없이 상호 SCL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며, SCL 리소스 생성 및 상호 관심 있는 리소스에 대한 가입 절차가 수행되는 것이다.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게이트웨이와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리소스에 대한 상호 선언 절차를 수행한다(S530). 단계 S530에서,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게이트웨이의 GSCL과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리소스에 대한 상호 선언 절차를 수행하고, 상호 관심 리소스에 대한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즉, 단계 S530에서 SCL 등록 완료 후,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에 등록된 DAs 리소스의 상호 선언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며, DAs 선언 리소스 생성 및 상호 관심 있는 리소스에 대한 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게이트웨이와 인접 게이트웨이에서 상호 선언된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리소스 생성 및 관심 리소스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S540). 단계 S540에서,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게이트웨이의 GSCL와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에서 상호 선언된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리소스 생성 및 관심 리소스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즉, 단계 S540에서, 상호 선언 이후에,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게이트웨이와 인접 게이트웨이에서는 관련 리소스 생성 및 상호 관심 있는 리소스에 대한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다.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게이트웨이와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관련 리소스 및 관심 리소스를 상호 공유한다(S550). 단계 S550에서,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는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게이트웨이의 GSCL와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관련 리소스 및 관심 리소스를 상호 공유한다. 즉, 단계 S550에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형성한 GSCLs(GSCL#1 내지 GSCL#N)은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자신의 클러스터 및 리소스 정보를 상호 공유하므로,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에 조인한 디바이스의 DSCL/DA가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로 이동하여 조인하는 경우에도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은 이미 해당 디바이스의 DSCL/DA에 대한 정보 및 리소스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도 5의 네트워크 조직 과정은 단계 S510 내지 단계 S55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참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디바이스`(112)와 제 2 게이트웨이(124) 간에 디바이스`(112)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S610). 단계 S610에서, 디바이스`(112)의 DA#1과 제 2 게이트웨이(124)의 GSCL#2 간에 디바이스`(112)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단계 S6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디바이스`(112)의 DA#1은 프레 프로비젼드(Pre-Provisioned) GSCLs(GSCL#1 내지 GSCL#N) 리스트에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게이트웨이인 제 2 게이트웨이(124)의 GSCL#2를 선택하거나 전술한 도 5의 디스커버리 절차를 통해 인접 GSCL로 조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112)의 DA#1은 도달 가능(Reachable)한 제 2 게이트웨이(124)의 GSCL#2로 DA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디바이스`(112)의 DA#1은 수집한 로컬 위치 정보를 해당 게이트웨이인 제 2 게이트웨이(124)의 GSCL#2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112)의 DA#1의 Join Msg.의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을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이 수신하여 진행 가능하다.
제 2 게이트웨이(124)에서 등록된 디바이스`(112)에 대한 관련 리소스를 생성하고(S620), 인접 게이트웨이인 제 1 게이트웨이(122), 제 3 게이트웨이(126)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 및 서버(130)로 선언을 수행한다(S630). 단계 S630에서, 제 2 게이트웨이(124)의 GSCL#2는 인접 게이트웨이인 제 1 게이트웨이(122), 제 3 게이트웨이(126)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GSCL#3 내지 GSCL#N 및 서버(130)의 NSCL#1로 등록된 디바이스`(112)의 DA#1을 선언한다. 즉, 단계 S630에서 디바이스`(112)의 DA#1 등록이 성공하게 되면, 해당 게이트웨이인 제 2 게이트웨이(124)의 GSCL#2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인접 게이트웨이인 제 1 게이트웨이(122), 제 3 게이트웨이(126)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s(GSCL#1, GSCL#3 내지 GSCL#N)로 등록된 디바이스`(112)의 DA#1에 대한 선언을 수행함과 동시에 서버(130)의 NSCL#1에도 수행한다. 이때, 인접한 게이트웨이인 제 1 게이트웨이(122), 제 3 게이트웨이(126)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s(GSCL#1, GSCL#3 내지 GSCL#N)과 서버(130)의 NSCL#1에 해당 리소스가 생성될 수 있다.
제 2 게이트웨이(124)는 인접 게이트웨이(제 1 게이트웨이(122), 제 3 게이트웨이(126)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로부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수신(S640)한다. 단계 S64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 2 게이트웨이(124)는 디바이스`(112)의 위치 정보의 주기적 갱신을 위해 인접 게이트웨이(제 1 게이트웨이(122), 제 3 게이트웨이(126)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로부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수신한다는 의미보다 디바이스`(112)가 이동하기 때문에 자신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파악 및 전달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개념을 말한다. 또한, S640에서 게이트웨이의 위치 정보인 인접성이 물리적 위치 정보(즉, GPS) 또는 논리적 위치 정보 등의 다양한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될 수 있기 때문에 오버레이 네트워크 토폴로지 유지를 위해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정보를 상호 교환하게 되는 개념이다.
제 2 게이트웨이(124)는 디바이스`(112)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여 인접 게이트웨이의 위치 및 커버리지 정보를 바탕으로 로밍 영역을 예측하여 신속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한다(S650). 여기서, 단계 S640과 S650의 별도의 단계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650에서, 제 2 게이트웨이(124)의 GSCL#2는 인접 게이트웨이(제 1 게이트웨이(122), 제 3 게이트웨이(126)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GSCL#3 내지 GSCL#N으로부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수신한 후 디바이스`(112)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여 인접 게이트웨이(제 1 게이트웨이(122), 제 3 게이트웨이(126)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GSCL#3 내지 GSCL#N에 대한 위치 및 커버리지 정보를 바탕으로 로밍 영역을 예측하여 신속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한다. 즉, 단계 S650에서, 디바이스`(112)의 DA#1은 조인된 게이트웨이인 제 2 게이트웨이(124)의 GSCL#2로부터 인접 게이트웨이(제 1 게이트웨이(122), 제 3 게이트웨이(126)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인접 GSCLs(GSCL#1, GSCL#3 내지 GSCL#N) 리스트를 수신하며, 자신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인접 GSCLs(GSCL#1, GSCL#3 내지 GSCL#N)의 위치 및 커버리지 정보를 바탕으로 로밍 영역을 예측하여 신속 핸드오버를 수행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신속 핸드오버에는 다양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S640을 기반으로 단계 S650에서 즉, 디바이스`(112)가 위치 정보의 변경 시, 조인된 게이트웨이로 갱신된 위치 정보를 알려주며, 조인된 게이트웨이는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게이트웨이들의 위치 정보를 디바이스`(112)에게 전송하여 신속 핸드오버 과정에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디바이스`(112)는 자신의 최근 위치 정보 내역과 조인된 게이트웨이로부터 획득한 인접 게이트웨이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신속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디바이스`(112)의 이동으로 인해 새로운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가 디바이스`(112)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S660). 단계 S660에서, 디바이스`(112)의 DA#1은 이동으로 인해 새로운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의 GSCL#3이 디바이스`(112)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즉, 단계 S660에서 디바이스`(112)의 이동으로 인해, 이동된 디바이스`(112)의 DA#1가 이동한 지역의 새로운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의 GSCL#3으로 조인을 해야 하는 경우, 기존 DA#1 리소스 해지 및 신규 등록을 위한 절차를 수행할 필요 없이 서비스가 가능하다. 즉, 이미 선언(Announced) 리소스를 가지고 있는 제 3 게이트웨이(126)의 GSCL#3은 DA 식별자를 통해 기존 서비스/세션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지역의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의 GSCL#3은 별도의 리소스 생성이나 인증 과정 수행이 필요가 없다.
새로운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에서 리소스 트리에 디바이스에 관한 리소스를 업데이트한다(S670). 단계 S670에서, 새로운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의 GSCL#3이 리소스 트리에 디바이스`(112)에 관한 리소스를 업데이트한다. 즉, 단계 S670에서, 이동된 디바이스`(112)의 DA#1은 기존(이동 전)의 게이트웨이인 제 2 게이트웨이(124)의 GSCL#2의 리소스 트리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고, 새로 변경(이동 후)된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의 GSCL#3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112)의 DA#1은 서버(130)의 NSCL#1로부터 송신된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을 기존 게이트웨이인 제 2 게이트웨이(124)의 GSCL#2를 경유해서 변경된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의 GSCL#3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변경된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의 GSCL#3과 서버(130)의 NSCL#1 간의 정보 교환을 통해 기존 게이트웨이인 제 2 게이트웨이(124)의 GSCL#2의 경유 없이 변경된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의 GSCL#3으로부터 직접 노티피케이션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새로운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에서 디바이스`(112)의 정보를 서버(130) 및 인접 게이트웨이(제 1 게이트웨이(122), 제 2 게이트웨이(124), 제 N 게이트웨이(128))로 전송한다(S680). 단계 S680에서, 새로운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의 GSCL#3이 디바이스`(112)에 대한 정보를 서버(130)의 NSCL#1 및 인접 게이트웨이(제 1 게이트웨이(122), 제 2 게이트웨이(124),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GSCL#2, GSCL#N으로 전송한다. 즉, 단계 S680에서, 이동 지역의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의 GSCL#3은 이동된 디바이스`(112)의 DA#1의 조인 정보를 서버(130)의 NSCL#1 및 인접 게이트웨이(제 1 게이트웨이(122), 제 2 게이트웨이(124),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s(GSCL#1, GSCL#2, GSCL#N)로 전파한다. 이때, 이동된 디바이스`(112)의 DA#1은 새로운 컨텐트인스턴트(ContentInstance)를 이동 지역의 게이트웨이인 제 3 게이트웨이(126)의 GSCL#3의 관련 리소스 트리에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트인스턴트란 DA#1 관련 리소스를 말한다. 또한, 서버(130)의 NSCL#1로부터의 노티피케이션 메시지가 기존의 게이트웨이인 제 2 게이트웨이(124)의 GSCL#2를 경유하여 전달되거나, 이동 지역의 DA 정보를 통해 이동 지역의 디바이스`(112)의 DA#1로 바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의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참여 과정은 단계 S610 내지 단계 S68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DSCL을 이용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서버(130)와 게이트웨이 그룹(120)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게이트웨이 그룹(120) 내에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고,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디스커버리 과정을 수행한다(S710). 단계 S7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에 기재된 바와 같다. 게이트웨이 그룹(120) 내의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조직 과정을 수행한다(S720). 단계 S7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에 기재된 바와 같다.
서버(130)와 디바이스(110)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이동한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고,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제 1 디바이스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참여 과정(First DSCL Join Procedure)을 수행한다(S730). 디바이스(110)와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새로운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하는 제 2 디바이스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참여 과정(Second DSCL Join Procedure)을 수행한다(S740). 단계 S730과 단계 S740에 대해서는 도 8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의 DSCL을 이용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은 단계 S710 내지 단계 S74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참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디바이스(110)와 서버(130)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한다(S810). 단계 S810에서, 디바이스(110)의 DSCL#1과 서버(130)의 NSCL#1은 상호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한다. 단계 S810에서, 디바이스(110)의 DSCL#1은 서버(130)의 NSCL#1로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의 등록 과정을 수행하는 데, 이때 디바이스(110)의 DSCL#1은 위치 정보를 함께 서버(130)의 NSCL#1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10)의 DSCL#1은 GPS DA 등을 이용해서 위치 정보(가령, <dsclBase#i>/applications/<gpsDA#i>/containers/locationContainer)를 함께 서버(130)의 NSCL#1로 전송한다. 또한, 디바이스(110)의 DSCL#1에서 서버(130)의 NSCL#1을 디스커버리하는 과정은 프레 프로비젼드 머티리얼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추가적인 PANA AVPs를 정의하여 전송되거나 리소스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서버(130)에서 게이트웨이 그룹(120)에 대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한다(S820). 단계 S820에서, 서버(130)의 NSCL#1은 상호 인증이 성공한 디바이스(110)의 DSCL#1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디바이스(110)의 DSCL#1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GSCL 리스트를 산출한다. 단계 S820에서 서버(130)의 NSCL#1은 상호 인증이 성공한 디바이스(110)의 DSCL#1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디바이스(110)의 DSCL#1에 대한 인접 GSCLs(GSCL#1 내지 GSCL#N)의 리스트를 산출한다. 여기서, 인접 GSCLs(GSCL#1 내지 GSCL#N)의 리스트 산출 알고리즘은 물리적인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하거나, 여러 요소들(가령, 응답시간, 홉 카운트 등)을 기반으로 논리적인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행 가능하다. 이때, 상황에 따라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출 가능하다.
서버(130)에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디바이스(110)로 전송한다(S830). 단계 S830에서, 서버(130)의 NSCL#1은 등록된 각각의 DSCL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GSCL 리스트를 각각의 디바이스(110)의 DSCL로 전송한다. 디바이스(110)에서 수신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한다(S840). 단계 S840에서, 디바이스(110)의 DSCL은 수신된 디바이스 인접 GSCL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한다. 즉, 단계 S840에서 디바이스(110)의 DSCL은 수신된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s(GSCL#1 내지 GSCL#N)의 리스트를 기반으로 <m2mOverlayNetwork> 리소스 트리를 구축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와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를 수립한다(S850). 단계 S850에서, 디바이스(110)의 DSCL#1과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를 수립한다. 즉, 단계 S850에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서, 디바이스(110)의 DSCL#1은 인접 게이트웨이(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s(GSCL#1 내지 GSCL#N)) 리스트를 기반으로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1 내지 GSCL#N과 상호 트러스트 관계 수립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mId 또는 dId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호 트러스트 관계 수립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 및 디바이스(110)의 DSCL#1은 서버(130)의 NSCL#1과 상호 인증되었으므로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과 디바이스(110)의 DSCL#1 간의 별도의 인증 과정이 불필요하다.
디바이스(110)와 게이트웨이 그룹(120)은 상호 트러스트 관계가 수립된 디바이스(110)와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 간에 추가 인증없이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S860). 단계 S860에서, 디바이스(110)와 게이트웨이 그룹(120)은 상호 트러스트 관계가 수립된 디바이스(110)의 DSCL#1과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1 내지 GSCL#N 간에 추가 인증없이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에 대한 리소스 생성 및 상호 관심 리소스에 대한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즉, 단계 S860에서, 상호 신뢰 관계 수립 이후, 디바이스(110)와 게이트웨이 그룹(120)은 상호 트러스트 관계가 수립된 디바이스(110)와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별도의 인증 과정 없이 상호 SCL 등록 절차를 수행하게 되며, SCL 리소스 생성 및 상호 관심 있는 리소스에 대한 가입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디바이스(110)와 게이트웨이 그룹(120)은 상호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디바이스(110)와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 간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리소스에 대한 상호 선언 절차를 수행한다(S870). 단계 S870에서,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디바이스(110)의 DSCL#1과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1 내지 GSCL#N 간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리소스에 대한 상호 선언 절차를 수행하고, 상호 관심 리소스에 대한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즉, 단계 S870에서, SCL 등록 완료 후 인접 게이트웨이(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내지 GSCL#N과 디바이스(110)의 DSCL#1에 등록된 GAs/DAs 리소스의 상호 선언 절차를 수행하고, GAs/DAs 선언 리소스 생성 및 상호 관심 있는 리소스에 대한 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와 게이트웨이 그룹(120)은 상호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디바이스(110)와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선언된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리소스 생성 및 관심 리소스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S880). 단계 S880에서, 디바이스(110)와 게이트웨이 그룹(120)은 상호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디바이스(110)의 DSCL#1과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내지 GSCL#N 간에 상호 선언된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리소스 생성 및 관심 리소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다. 즉, 단계 S880에서, 상호 선언 과정 이후에, 상호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디바이스(110)와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에서 관련 리소스 생성 및 상호 관심 있는 리소스에 대한 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와 게이트웨이 그룹(120)은 상호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에서 관련 리소스 및 관심 리소스를 상호 공유한다(S890). 단계 S890에서, 상호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디바이스(110)의 DSCL#1과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1 내지 GSCL#N 간에 관련 리소스 및 관심 리소스를 상호 공유한다. 즉, 단계 S890에서,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형성한 디바이스의 DSCL은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자신의 상태 및 리소스 정보를 상호 공유하고, 제 1 게이트웨이(122) 내지 제 N 게이트웨이(128)의 GSCL#1 내지 GSCL#N에 조인한 디바이스(110)의 DSCL#1이 다른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로 이동하여 조인하는 경우에도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은 이미 해당 디바이스(110)의 DSCL#1에 대한 정보 및 리소스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110)의 이동으로 인해, 디바이스(110)의 DSCL#1이 이동한 지역의 게이트웨이의 GSCL로 조인을 해야 하는 경우에도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신뢰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별도 인증 절차 등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의 디바이스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참여 과정은 단계 S810 내지 단계 S89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과정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리소스 트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의 디스커버리 과정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리소스 트리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디스커버리 과정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리소스 트리는 애플리케이션 레벨(Application Level)에서의 리소스 트리를 생성함으로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리소스 하부에 <m2mOverlayNetwork> 리소스 트리를 생성하는 구조이다. 한편,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과정에서의 새로 정의된 리소스 트리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의 디스커버리 과정에서의 새로 정의된 리소스 트리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디스커버리 과정에서의 새로 정의된 리소스 트리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정의된 <m2mOverlayNetwork> 리소스 하부에 리소스 트리를 생성하는 구조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조직 과정에서의 관련 리소스 트리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의 네트워크 조직 과정에서의 관련 리소스 트리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네트워크 조직 과정에서의 관련 리소스 트리는 상호 신뢰 관계 절차를 통해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게이트웨이 그룹(120)의 GSCL#1 내지 GSCL#N에 등록된 DA/GA의 상호 선언 과정을 통해, 관련 리소스 트리를 생성하는 구조이다. 한편,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가 적용된 차량 사고 현장의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가 적용된 차량 사고 현장에 예컨대,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가 적용된 경우, 발생한 차량 사고를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상에서 제 1 게이트웨이(122)/디바이스`(112)와 제 2 게이트웨이(124)/디바이스(110) 간 통신 또는 디바이스`(112)과 다른 디바이스` 간 통신을 통해 사고 차량 정보의 신속한 전파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디바이스 112: 디바이스`
120: 게이트웨이 그룹 122: 제 1 게이트웨이
124: 제 2 게이트웨이 126: 제 3 게이트웨이
128: 제 N 게이트웨이 130: 서버

Claims (34)

  1. 서버와 게이트웨이 간에 MSBC(M2M Service Bootstrapping and Connection)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SCL: Service Capability Layer)를 등록(Registration)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고,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Resource Tree)를 구축하는 디스커버리 과정(Discovery Procedure); 및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Mutual Trusted Relationship Handshaking), 상호 선언(Mutual Announcement)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Mutual Sharing)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조직 과정(Network Organization Procedure)
    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커버리 과정에서 상기 서버의 NSCL은 상호 인증이 성공한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에 대한 인접 GSCL 리스트를 산출하며,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은 수신된 상기 인접 GSCL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커버리 과정은,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서버 간에 상기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는 스텝 0;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는 스텝 1;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스텝 2; 및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수신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하는 스텝 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0에서 각각의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Gateway Service Capability Layer)와 상기 서버의 NSCL(Network Service Capability Layer)는 상호 간에 상기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며,
    상기 스텝 2에서 상기 서버의 NSCL은 등록된 각각의 GSCL에 대한 인접 GSCL 리스트를 각각의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로 전송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조직 과정은,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와 상기 상호 트러스트 관계를 수립하는 스텝 4;
    상기 상호 트러스트 관계가 수립된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추가 인증없이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스텝 5;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리소스에 대한 상기 상호 선언 절차를 수행하는 스텝 6;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상호 선언된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리소스 생성 및 관심 리소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스텝 7; 및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기 관련 리소스 및 상기 관심 리소스를 상호 공유하는 스텝 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4에서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과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상기 상호 트러스트 관계를 수립하며,
    상기 스텝 5에서 상기 상호 트러스트 관계가 수립된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과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추가 인증없이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에 대한 리소스 생성 및 상호 관심 리소스(Interesting Resources)에 대한 가입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스텝 6에서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과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리소스에 대한 상기 상호 선언 절차를 수행하고, 상호 관심 리소스에 대한 가입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스텝 7에서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에서 상기 상호 선언된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리소스 생성 및 관심 리소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스텝 8에서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상기 관련 리소스 및 상기 관심 리소스를 상호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디바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 간에 디바이스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서의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제 1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참여 과정(First DA Join Procedure); 및
    상기 디바이스의 이동 시 새로운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리소스 트리를 갱신하는 제 2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참여 과정(Second DA Join Procedure)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참여 과정은,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 간에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스텝 9;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등록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리소스를 생성하고,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및 상기 서버로 선언(Announcement)을 수행하는 스텝 10; 및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수신한 후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위치 및 커버리지 정보를 바탕으로 로밍 영역(Roaming Area)을 예측하여 신속 핸드오버(Fast Handover)를 수행하도록 하는 스텝 1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9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DA(Device Application)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스텝 10에서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및 상기 서버의 NSCL로 등록된 상기 디바이스의 DA를 선언하며,
    상기 스텝 11에서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로부터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수신한 후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에 대한 위치 및 커버리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로밍 영역을 예측하여 상기 신속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참여 과정은,
    상기 디바이스의 이동으로 인해 새로운 게이트웨이가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스텝 12;
    상기 새로운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리소스 트리에 상기 디바이스에 관한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스텝 13; 및
    상기 새로운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정보를 상기 서버 및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하는 스텝 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12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DA는 이동으로 인해 상기 새로운 게이트웨이의 GSCL이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스텝 13에서 상기 새로운 게이트웨이의 GSCL이 상기 리소스 트리에 상기 디바이스에 관한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며,
    상기 스텝 14에서 상기 새로운 게이트웨이의 GSCL이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의 NSCL 및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디바이스 간에 상기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고, 상기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제 1 디바이스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참여 과정(First DSCL Join Procedure); 및
    이동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새로운 인접 게이트웨이간에 상기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기 상호 선언 절차, 상기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제 2 디바이스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참여 과정(Second DSCL Join Procedure)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참여 과정은,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서버 간에 상기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는 스텝 15;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는 스텝 16;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스텝 17;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하는 스텝 1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15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DSCL(Device Service Capability Layer)과 상기 서버의 NSCL(Network Service Capability Layer)는 상호 간에 상기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며,
    상기 스텝 16에서 상기 서버의 NSCL은 상호 인증이 성공한 상기 디바이스의 DSCL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디바이스의 DSCL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GSCL 리스트를 산출하며,
    상기 스텝 17에서 상기 서버의 NSCL은 등록된 각각의 DSCL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GSCL 리스트를 각각의 상기 디바이스의 DSCL로 전송하며,
    상기 스텝 18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DSCL은 수신된 디바이스 인접 GSCL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14. 서버와 게이트웨이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고,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디스커버리 과정;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조직 과정;
    디바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 간에 디바이스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서의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제 1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참여 과정; 및
    상기 디바이스의 이동 시 새로운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리소스 트리를 갱신하는 제 2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참여 과정
    을 포함하되, 제 1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참여 과정에서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로부터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수신한 후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에 대한 위치 및 커버리지 정보를 바탕으로 로밍 영역을 예측하여 신속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참여 과정은,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 간에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스텝 9;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등록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리소스를 생성하고,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및 상기 서버로 선언(Announcement)을 수행하는 스텝 10; 및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수신한 후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위치 및 커버리지 정보를 바탕으로 로밍 영역(Roaming Area)을 예측하여 신속 핸드오버(Fast Handover)를 수행하도록 하는 스텝 1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9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DA(Device Application)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스텝 10에서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및 상기 서버의 NSCL로 등록된 상기 디바이스의 DA를 선언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참여 과정은,
    상기 디바이스의 이동으로 인해 새로운 게이트웨이가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스텝 12;
    상기 새로운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리소스 트리에 상기 디바이스에 관한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스텝 13; 및
    상기 새로운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정보를 상기 서버 및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하는 스텝 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12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DA는 이동으로 인해 상기 새로운 게이트웨이의 GSCL이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스텝 13에서 상기 새로운 게이트웨이의 GSCL이 상기 리소스 트리에 상기 디바이스에 관한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며,
    상기 스텝 14에서 상기 새로운 게이트웨이의 GSCL이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의 NSCL 및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19. 서버와 게이트웨이 간에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고,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디스커버리 과정;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조직 과정;
    상기 서버와 디바이스 간에 상기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고, 상기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제 1 디바이스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참여 과정; 및
    이동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새로운 인접 게이트웨이간에 상기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기 상호 선언 절차, 상기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제 2 디바이스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참여 과정
    을 포함하되, 상기 네트워크 조직 과정에서 상기 상호 트러스트 관계가 수립된 게이트웨이의 GSCL과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추가 인증없이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게이트웨이의 GSCL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상기 리소스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참여 과정은,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서버 간에 상기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는 스텝 15;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는 스텝 16;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스텝 17;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하는 스텝 1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15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DSCL(Device Service Capability Layer)과 상기 서버의 NSCL(Network Service Capability Layer)는 상호 간에 상기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며,
    상기 스텝 16에서 상기 서버의 NSCL은 상호 인증이 성공한 상기 디바이스의 DSCL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디바이스의 DSCL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GSCL 리스트를 산출하며,
    상기 스텝 17에서 상기 서버의 NSCL은 등록된 각각의 DSCL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GSCL 리스트를 각각의 상기 디바이스의 DSCL로 전송하며,
    상기 스텝 18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DSCL은 수신된 디바이스 인접 GSCL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
  22. 게이트웨이와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여 전송하는 서버; 및
    수신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고,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그룹
    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의 NSCL은 상호 인증이 성공한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에 대한 인접 GSCL 리스트를 산출하며,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은 수신된 상기 인접 GSCL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그룹은,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되, 상기 디바이스의 이동 시 새로운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상기 리소스 트리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이동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여 이동된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이동된 상기 디바이스는,
    수신된 상기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고, 이동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새로운 인접 게이트웨이간에 상기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기 상호 선언 절차, 상기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
  26. 게이트웨이와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여 전송하는 서버; 및
    수신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고,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고,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되, 상기 디바이스의 이동 시 새로운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상기 리소스 트리를 갱신하는 게이트웨이 그룹
    을 포함하되, 상기 상호 트러스트 관계가 수립된 게이트웨이의 GSCL과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추가 인증없이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가 등록된 게이트웨이의 GSCL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상기 리소스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
  27. 게이트웨이와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여 전송하는 서버; 및
    수신된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고,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그룹
    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디바이스와 상기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수신된 상기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고, 이동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새로운 인접 게이트웨이간에 상기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기 상호 선언 절차, 상기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며, 상기 서버의 NSCL은 상호 인증이 성공한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에 대한 인접 GSCL 리스트를 산출하며,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은 수신된 상기 인접 GSCL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
  28. 게이트웨이와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NSCL(Network Service Capability Layer); 및
    장치 내부 통신을 수행하는 NA(Network Application)
    를 포함하되, 상기 NSCL는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산출하기 위해 물리적인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한 알고리즘을 이용하거나 응답시간 및 홉 카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논리적인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한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NSCL는,
    각각의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Gateway Service Capability Layer)와 상호 간에 상기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호 인증이 성공한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에 대한 인접 GSCL 리스트를 산출하며, 등록된 각각의 GSCL에 대한 인접 GSCL 리스트를 각각의 상기 게이트웨이의 GSCL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NSCL는,
    디바이스의 DSCL(Device Service Capability Layer)과 상호 간에 상기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며, 상호 인증이 성공한 상기 디바이스의 DSCL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디바이스의 DSCL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GSCL 리스트를 산출하며, 등록된 각각의 DSCL에 대한 디바이스 인접 GSCL 리스트를 각각의 상기 디바이스의 DSCL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1. 삭제
  32. 서버와 MSBC 절차를 수행한 후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를 등록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고,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 게이트웨이 간에 상호 트러스트 관계, 상호 선언 절차, 리소스 정보 공유를 수행하며,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디바이스의 이동 시 상기 리소스 트리를 갱신하는 GSCL(Gateway Service Capability Layer); 및
    게이트웨이 내부 통신을 수행하는 GA(Gateway Application))
    을 포함하되, 상기 GSCL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접 GSCL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리소스 트리를 구축하며,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로부터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 리스트를 수신한 후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에 대한 위치 및 커버리지 정보를 바탕으로 로밍 영역을 예측하여 신속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GSCL은,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추가 인증없이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서비스 캐파빌리티 레이어에 대한 리소스 생성 및 상호 관심 리소스(Interesting Resources)에 대한 가입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리소스에 대한 상기 상호 선언 절차를 수행하고, 상호 관심 리소스에 대한 가입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에서 상기 상호 선언된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리소스 생성 및 관심 리소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간에 상기 관련 리소스 및 상기 관심 리소스를 상호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GSCL은,
    상기 디바이스의 DA(Device Application)와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인접 게이트웨이의 GSCL 및 상기 서버의 NSCL로 등록된 상기 디바이스의 DA를 선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KR1020120057163A 2012-05-30 2012-05-30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게이트웨이 KR101438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163A KR101438358B1 (ko) 2012-05-30 2012-05-30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게이트웨이
PCT/KR2012/009876 WO2013180355A1 (ko) 2012-05-30 2012-11-21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게이트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163A KR101438358B1 (ko) 2012-05-30 2012-05-30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게이트웨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985A KR20130133985A (ko) 2013-12-10
KR101438358B1 true KR101438358B1 (ko) 2014-11-03

Family

ID=4967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163A KR101438358B1 (ko) 2012-05-30 2012-05-30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게이트웨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8358B1 (ko)
WO (1) WO20131803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712B1 (ko) * 2014-01-24 2015-10-14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자율적인 소셜 협업 그룹의 형성에 기초한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WO2015111788A1 (ko) * 2014-01-27 2015-07-30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M2m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WO2016047864A1 (ko) * 2014-09-23 2016-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리소스를 재배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TWI813413B (zh) * 2019-12-20 2023-08-21 美商尼安蒂克公司 具有可預測之查詢回應時間之地理定位資料的分區式儲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2683A1 (en) * 2010-03-09 2011-09-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23503A4 (en) * 2010-01-08 2017-04-12 Gemalto SA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ity optimization based on group in machine-type communications
TWI569615B (zh) * 2010-03-01 2017-02-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機器對機器閘道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2683A1 (en) * 2010-03-09 2011-09-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985A (ko) 2013-12-10
WO2013180355A1 (ko)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86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ce layer session migration and sharing
US11716246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dge computin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769227B (zh) 端到端m2m服务层会话
US1033440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nalyzing and grouping service layer subscriptions and notifications for enhanced efficiency
KR20210119849A (ko) 에지 컴퓨팅 시스템을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21223507A1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芯片
CN114902634A (zh) 移动通信***中提供应用服务器的信息的设备和方法
CN108476405A (zh) 用于具有子网的通信网络中的通信的通信***
CN109964495B (zh) 应用的服务层移动性管理
Fang et al. A win–win mode: The complementary and coexistence of 5G networks and edge computing
CN106170969A (zh) 上下文管理
EP40610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in edge computing system
CN113572835B (zh) 一种数据处理方法、网元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JP7268794B2 (ja) 方法、基地局、及びコアネットワークファンクション
CN113316158A (zh) 一种部署应用实例的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AlZubi et al. A best-fit routing algorithm for non-redundant communication in large-scale IoT based network
KR101438358B1 (ko)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게이트웨이
CN107950005A (zh) 服务元素主机选择
KR101995871B1 (ko) M2m 로밍을 위한 m2m 교환 플랫폼
Kitanov et al. Introduction to fog computing
US10645004B2 (en) Methods to support message routing at service layer
US20220053030A1 (en) Enhancements for secure updating in communication networks
KR20220001797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분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Liu et al. Joint routing and mobile VM selection algorithm in multihop C‐RAN networks
Faujdar et al. Identification of 5G Network Complexity Using SD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